KR101113940B1 -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940B1
KR101113940B1 KR1020090122699A KR20090122699A KR101113940B1 KR 101113940 B1 KR101113940 B1 KR 101113940B1 KR 1020090122699 A KR1020090122699 A KR 1020090122699A KR 20090122699 A KR20090122699 A KR 20090122699A KR 101113940 B1 KR101113940 B1 KR 10111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earning
content
senten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984A (ko
Inventor
공경용
임형태
강버들
강노을
Original Assignee
임형태
공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태, 공경용 filed Critical 임형태
Priority to KR102009012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9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그래픽 객체를 편집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을 정의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객체를 주제로 하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언어 학습 시스템은, 배경, 인물 및 사물로 구분되는 그래픽 객체를 DB로부터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픽 객체들의 배치에 의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이 완성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설정 상황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어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이하 "주제어 객체"로 표기)의 정보를 전송받고 대응하는 관련 단어들을 전송하는 수단;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관련 단어를 전송받고, 관련 단어의 품사를 이용하여 생성 가능한 문장 유형들을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수단; 및 결정된 문장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학습 서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based on user selected words in user defined situ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배경, 사람, 사물의 그래픽 객체 콘텐츠를 제공하여 특정 상황을 설정받고, 설정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콘텐츠에 할당된 주제어를 선택받은 후, 선택된 주제어를 내용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종래 외국어 학습의 경우, 사용자의 학습 레벨을 평가하여 사용자 레벨에 맞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외국어 학습은 사용자의 학습 능력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내용을 외국어 콘텐츠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DB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학습 콘텐츠를 학습 레벨별로 분류하여 당해 레벨의 전체 사용자들에게 일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학습 레벨별 외국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효과적이지만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내용(예 : 스포츠, 경제, 미술, 자동차 등)을 외국어로 교육시키는 것은 사용자의 관심과 집중력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높은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 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포츠에 관심이 있은 경우, 스포츠 분야의 내용을 외국어 학습 콘텐츠로 제공할 경우, 사용자의 외국어 학습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에 대하여 고유한 상황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황에서 다양한 외국어 표현을 학습시킬 경우, 특정 상황의 카테고리 내에서 내용 주제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외국어 활용 표현을 사용자에게 교육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관심 분야에 대하여 직접 상황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황에 대하여 관련된 외국어 표현을 학습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상황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궁금해 하는 상황을 직접 설정하여 외국어를 배우는 것이기에 상황 설정 과정에서의 연상 작용 및 상황 설정 후 학습하는 외국어의 친숙도가 높아져 사용자가 쉽고 오래 기억에 남는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래픽 객체들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상황을 설정하게 하고,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주제어 객체를 선택받고 선택된 객체가 주제가 되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관심있는 학습 콘텐츠를 스스로 설계 및 조합하는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에 따르면, 유,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픽 객체로 구성된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단어를 기반으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배경, 인물 및 사물로 구분되는 그래픽 객체를 DB로부터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픽 객체들의 배치에 의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이 완성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설정 상황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어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이하 "주제어 객체"로 표기)의 정보를 전송받고 주제어 객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관련 단어들을 전송하는 수단;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관련 단어를 전송받고, 관련 단어의 품사를 이용하여 생성 가능한 문장 유형들을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수단; 및 결정된 문장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학습 서버가 사용자가 디자인한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의 선택한 주제어 객체에 대하여 복수개 문장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주제어 객체 변경에 따라서 대응하는 복수개 문장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실시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문장 유형은, 주제어 객체의 관련 단어가 주어, 동사, 목적어로 사용되는 문장 유형과 부사, 형용사로 삽입되는 문장 유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문장 유형으로부터 생성되는 학습 콘텐츠는 주제어 객체의 관련 단어 및 나머지 그래픽 객체의 관련 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학습 서버는, 주제어 객체를 전송받고, 문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로 구성되는 6하 원칙 중에서 개별 원칙에 대한 질문을 하나씩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별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객체를 전송받고 문장의 단어를 하나씩 완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학습 콘텐츠는, 문자 기반으로 화면에 문장이 표시되는 텍스트 콘텐츠; 당해 문장이 발음으로 출력되는 음성 콘텐츠; 및 주제어 객체가 움직이는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하여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학습 콘텐츠는, 사용자의 다국어 학습 설정에 따라서 복수개 외국어 문장이 텍스트 콘텐츠로 병행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 콘텐츠로 연속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동작 속성을 보유하는 그래픽 객체의 조합으로 생성되고, 사용자로부터 그래픽 객체의 이동 경로 또는 움직임의 동작을 마우스 드래깅으로 입력받고, 설정된 동작 속성을 기반으로 실시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에 따르면, 유,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픽 객체로 구성된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단어를 기반으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의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S21)상기 학습 서버가 배경, 인물 및 사물로 구분되는 그래픽 객체를 DB로부터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S22)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픽 객체들의 배치에 의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이 완성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설정 상황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어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이하 "주제어 객체"로 표기)의 정보를 전송받고 주제어 객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관련 단어들을 전송하는 단계; (S23)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관련 단어를 전송받고, 관련 단어의 품사를 이용하여 생성 가능한 문장 유형들을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S24)결정된 문장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학습 서버가 사용자가 디자인한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의 선택한 주제어 객체에 대하여 복수개 문장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주제어 객체 변경에 따라서 대응하는 복수개 문장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실시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상황을 그래픽 객체를 배치하여 직접 정의하고, 정의된 상황에서 주제가 되는 객체를 하나씩 선택하여 관련 내용의 외국어 콘텐츠를 제공받아 학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학습 대상의 상황을 설정하고 관련된 내용을 외국어로 학습하기 때문에 능동적 학습에 따라서 기억 효과가 높고, 특정 상황에서 복수개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반복 학습의 효과가 높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1.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1)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3)을 상대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어 객체를 중심 내용으로 하는 외국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2)와 사용자가 자신이 배울 외국어 내용에 대하여 그래픽 객체를 배치하여 상황 설정하고 특정 그래픽 객체를 주제어로 선택하여 대응하는 외국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 무선 네트워크는 대표적으로 유, 무선 공중망이나 전용망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포괄한다.
상기 학습 서버(2)는 홈 페이지(200)가 구축되어 사용자 단말(3)을 대상으로 DB에 저장된 그래픽 객체 콘텐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그래픽 객체 콘텐츠는 배경, 인물 및 사물 객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그래픽 객체 콘텐츠를 제공받고 원하는 배경, 인물 및 사물을 선택하여 특정 상황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래픽 객체 콘텐츠를 임의로 배치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을 완성하면 학습 시작을 요청한다. 또한, 그래픽 객체 콘텐츠별로 고유하게 기 정의된 동작 속성(움직임, 이동 등)이 부여되어 DB에 저장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그래픽 객체 콘텐츠를 선택한 후 당해 객체의 동작 속성을 마우스로 입력으로 부여하여 원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편집 제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의 학습 요청은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마우스를 특정 배경, 인물 또는 사물의 그래픽 객체 위에 올려놓는 것이다. 사용자의 마우스 포인터가 그래픽 객체 콘텐츠에 놓여지면, 당해 객체 콘텐츠는 주제어 객체가 되어 사용자 단말(3)은 학습 서버(2)로 주제어 객체를 전송하여 관련 단어들을 요청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은 학습 서버(2)로부터 당해 객체에 대하여 기 저장된 관련 단어들을 전송받고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관련 단어들 중에서 특정 관련 단어를 선택하면, 선택된 단어가 문장의 중심이 되는 외국어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외국어 콘텐츠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이 될 수 있으며 특정 언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유아들을 대상으로 자국어(모국어) 학습 콘텐 츠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언어 콘텐츠는 외국어 및 자국어를 포함한다. 또한, 문장 형식은 회화 문장(dialogue), 단문장(sentence), 지문(paragrap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관련 단어가 선택되면, 학습 서버(2)가 당해 단어로 표현될 수 있는 언어 문장을 실시간으로 동적 생성한다. 언어 문장은 사용자가 선택한 관련 단어와 더불어 다른 그래픽 객체에 포함된 단어들을 포함한다. 언어 문장을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원리는 품사를 이용한 문장 유형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당해 관련 단어가 명사일 경우에는 주어, 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고, 그 외에 다른 단어들과 결합하여 형용사구, 부사구 등으로 파생될 수 있다. 또한, 관련 단어가 동사일 경우에는 인물 객체 및 사물 객체를 주어 및 목적어로 이용하여 언어 문장을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언어 문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6하 원칙(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을 기반으로 대화형으로 사용자에게 질문하고 응답받아서 하나씩 단어를 추가하여 점점 완성되는 문장을 학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어 학습이라 가정하고 사용자가 인물 John을 선택하면, When does John do?, Where does John do?, What does John do? 등의 질문을 하고, 사용자가 응답하는 단어를 이용하여 문장을 완성해 나가는 것이다. 여기서, 질문 과정에서 사용자가 동사 "study"를 선택하면, 이후의 6하 원칙의 질문에서는 "do"를 "study"로 대체하여 질문(예 : Why does John study?, How does John study? 등)함으로써 점점 분명한 문장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관련 단어에 대하여 여러 유형별 문장이 완성되면 하나씩 사용자 단말로 외국어 콘텐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외국어 콘텐츠는 화면에 글자로 표시되는 텍스트 콘텐츠, 개별 단어의 발음을 조합하여 문장의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콘텐츠 및 그래픽 객체 콘텐츠가 움직이는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텍스트 콘텐츠가 화면 출력되고 동시에 음성 콘텐츠가 재생되는 것이다. 음성 콘텐츠의 경우, 외국어의 발음 및 억양을 학습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동영상 콘텐츠에는 그래픽 객체의 움직임(동작 또는 이동 경로)을 묘사하는 내용의 텍스트 콘텐츠 및 음성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국어 학습과 더불어 고급 사용자를 위한 다중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한 관련 단어에 대하여 영어, 일어, 외국어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상황을 디자인하여 학습 서버(2)에 저장한 후 불러오기를 통하여 재학습이 가능하다. 이것은 마치 사용자 정의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s)가 여러 사용자들에게 공유되듯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정의 상황(User defined Situation)을 공유하도록 한다. 즉, A 사용자가 타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의 상황을 목록으로 제시받고 다운로드 수를 참조하여 타인의 사용자 정의 상황을 불러와 학습하는 것이다. 다운로드 수가 높은 사용자 정의 상황은 그래픽 객체의 배치로 디자인이 우수하고, 적합한 관련 단어들의 조합으로 생성된 텍스트 콘텐츠 및 음성 콘텐츠가 포함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이 여러번 학습한 학습 콘텐츠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사용자 정의 상황을 디자인할 수도 있고 타인의 사용자 정의 상황을 다운로드 받고 학습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인의 사용자 정의 상황을 편집하여 자신의 사용자 정의 상황으로 학습 서버(2)에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언어 학습 과정은 다음의 특징이 있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이 관심있는 상황을 직접 정의하기 때문에 미리 연상 작용을 통하여 어떤 상황을 배울 것이지 미리 연상을 한다. 때문에, 사용자는 사전 준비된 상태에서 외국어 콘텐츠를 제공받기 때문에 보다 쉽게 기억에 오래 남는 외국어 학습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주제어 객체를 선택하여 소속된 관련 단어들을 연속적으로 학습하는 과정에서 반복 학습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다른 그래픽 객체를 주제어 객체로 변경하여 학습하면 이전에 학습한 콘텐츠를 다른 관점으로 표현되는 외국어로 학습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연관성이 있는 신규 학습과 복습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 설정 상황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은 당해 상황에 포함된 한정된 관련 단어들이 조합되는 무수히 많은 변형예에 따른 문장 유형별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특정 주제가 결정된 학습 콘텐츠를 제시받고 반복 학습하는 종래의 수동형 언어 학습과는 달리 본 발명은 능동형 언어 학습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학습 속도를 단축시키고, 높은 기억율을 유지하며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2)의 개략적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2)는 배경, 인물 및 사물의 그래픽 객체를 객체 DB(211)로부터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하는 그래픽 객체 제공 수단(21), 사용자가 그래픽 객체를 배치하여 사용자 상황 설정을 완료한 후 주제어 객체를 선택하면, 대응하는 관련 단어들을 단어 DB(221)로부터 조회하여 제공하는 관련 단어 제공 수단(22), 사용자가 특정 관련 단어를 선택하면, 선택된 단어가 주제가 되는 문장 유형들을 결정하는 수단(23), 문장 유형의 결정을 위하여 6하 원칙에 입각하여 사용자에게 질의하고 답변을 응답받는 6하 원칙 질의 수단(231), 결정된 문장 유형에 대응하여 언어 문장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학습 콘텐츠로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개별 구성 요소들의 상세한 기능과 동작은 후술하는 언어 학습 방법을 통하여 설명한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은 전술한 언어 학습 시스템(1)의 구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방법의 개략적 순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의 웹 브라우저(300)를 이용하여 학습 서버(2)의 홈 페이지(200)에 접속한다. 만약, 홈 페이지(200)에서 본 발명의 언어 학습 제공 서비스를 회원제로 운영할 경우, 사용자는 회원 가입 후 로그인을 한다.
사용자 단말(3)이 홈 페이지(200)에 접속하여 그래픽 객체를 요청하면(S31), 학습 서버(2)의 그래픽 제공 수단(21)은 DB로부터 배경, 인물, 사물의 그래픽 객체들을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3)로 전송한다(S21). 사용자 단말(3)에서는 그래픽 객체가 메뉴 툴바 형식으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메뉴 툴바에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여 작업 영역으로 드래깅하여 원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설정 상황을 정의한다(S32).
사용자 설정 상황을 정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그래픽 객체에 대하여 폰트 및 칼라를 원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인물 객체에 대해서는 아바타 꾸미기처럼 다양한 아이템을 설정할 수 있고 고유 이름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이 가능한 인물, 사물 객체에 대해서는 이동 경로를 마우스 드래깅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동 경로의 마우스 드래깅 지정은 동영상 콘텐츠 재생시 객체의 이동으로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상황을 완료하면, 학습 서버(2)에 등록(저장)하여 다음번 학습시 "불러오기"를 통하여 재학습이 가능하고, "공개"를 설정하여 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의 배치 조합에 의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이 완성된 이후에, 사용자는 사용자 설정 상황의 화면 위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임의의 그래픽 객체에 올려놓아 주제어 객체를 선택한다(S33). 주제어 객체의 선택은 사용자가 당해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가 내용의 주제가 되는 언어 학습 콘텐츠의 제공 을 요청하는 것이다. 관련 단어 제공 수단(22)은 사용자 단말(3)로부터 주제어 객체를 선택받고 단어 DB(221)를 조회하여 대응하는 관련 단어들을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한다(S22). 관련 단어는 당해 그래픽 객체로부터 직관적으로 연상될 수 있는 단어들의 집합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래픽 객체별로 대응하는 관련 단어들을 단어 DB(221)로 미리 저장하였다. 사용자 단말(3)이 관련 단어를 수신하면, 당해 선택된 그래픽 객체의 주위에 팝업 윈도우가 표시되어 관련 단어들이 채워진다. 사용자는 팝업 윈도우에서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하고, 사용자 단말(3)은 선택된 단어를 학습 서버(2)로 전송한다.
학습 서버(2)의 문장 유형 결정 수단(23)은 선택된 단어를 수신하고, 당해 단어의 품사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문장 유형을 실시간으로 결정한다(S23). 만약, 선택 단어가 동사일 경우 주어, 주어+목적어 등의 문장 유형이 결정되고 정해진 문장 유형에 부사, 형용사 등이 추가로 배치되는 문장 유형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명사가 선택될 때에는 당해 명사가 주어 또는 목적어 등으로 배치되는 문장 유형이 가능하다. 때문에, 본 발명의 학습 서버(2)는 완성된 문장을 DB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관련 단어 선택에 따라서 그 품사별 파생 가능한 문장 유형을 미리 저장해 놓는다.
또한, 전술한 시스템의 문장 유형 결정 방식에 추가되는 선택(대체) 옵션으로서, 6하 원칙 질의 수단(231)은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에 대하여 6하 원칙에 입각하여 질문을 하나씩 하고, 사용자의 답변을 받아서 하나씩 완성된 문장을 완성한다(S231). 예를 들어, 도 5에서 사용자가 "knife" 그래픽 객체를 주제어 객체로 선 택한 후 관련 단어 "cut"을 선택하면, 학습 서버(2)는 Who cut with a knife?라는 질문을 한다. 사용자가 캐릭터 "John"을 선택하면, "John cut with a knife"라는 학습 콘텐츠를 전송된다. 다음으로, "Where does John cut with a knife?"라는 질문을 전송하여 사용자로부터 "kitchen"이라는 답변을 받는다. 그러면, "John cut with a knife in the kitchen"이라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What does John cut with a knife?"라는 질문을 하고 사용자로부터 "apple"이라는 답변을 받는다. 그러면, "John cut an apple with a knife in the kitchen"이라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응답은 주관식, 객관식 및 이들의 혼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6하 원칙 질의 수단(231)은 질의 응답 과정에서 보다 완성된 문장을 단계적으로 학습시키고 선택된 단어의 문장 배치 구조를 학습시킨다.
문장 유형이 결정되면, 학습 콘텐츠 제공 수단(24)은 전체 문장 유형별로 하나씩 사용자가 선택한 관련 단어와 타 그래픽 객체의 관련 단어를 배치하여 문장을 생성하고, 생성된 문장의 학습 콘텐츠(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한다(S24).
사용자 단말(3)은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35). 텍스트 콘텐츠는 화면에 문장으로 표시되고, 음성 콘텐츠는 당해 언어의 네이티브 발음으로 출력되고, 동시에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된다.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은 학습 서버(2)가 미리 저장한 그래픽 객체의 움직임 속성 또는 이미지에 따라서 사용자 설정 상황을 배경으로 그래픽 객체의 움직이는 효과를 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상황의 조회 및 제공 단계 의 상세 순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정의한 사용자 설정 상황에 따라서 학습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별 사용자의 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 상황의 학습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다.
학습 서버(2)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가 등록 요청하는 사용자 설정 상황을 수신하여 사용자별로 저장한다(S221).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상황의 목록 제공을 요청하면, 개별 사용자 설정 상황의 다운로드 수로 정렬된 목록을 제공한다(S222).
사용자가 다운로드 수 및 이미지를 검토한 후 목록상에서 특정 사용자 설정 상황을 선택하여 제공을 요청하면, 학습 서버(2)는 당해 사용자 설정 상황을 사용자 단말(3)로 제공한다(S223). 그리고 사용자는 주제어 객체 및 관련 단어를 선택하여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아 언어를 학습한다.
다운로드가 발생하면, 학습 서버(2)는 당해 사용자 설정 상황의 다운로드 수를 1씩 증가한다(S224).
<3. 화면 예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사용자 화면을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뉴바의 그래픽 객체(아이콘)을 작업 영역에 배치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을 정의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상황을 완성한 후 학 습을 시작하면, 사용자의 주제어 객체 및 관련 단어 선택에 따라서 실시간 생성되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도 5는 고급 사용자를 위하여 4개 국어의 외국어 문장이 동시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로 위에 차가 멈춰있는 상태와 주행 중인 상태의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각각의 상태를 표현하는 학습 콘텐츠의 예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상황의 조회 및 제공 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사용자 화면의 예시도.

Claims (16)

  1. 유,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픽 객체로 구성된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단어를 기반으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배경, 인물 및 사물로 구분되는 그래픽 객체를 DB로부터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픽 객체들의 배치에 의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이 완성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설정 상황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어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이하 "주제어 객체"로 표기)의 정보를 전송받고 주제어 객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관련 단어들을 전송하는 수단;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관련 단어를 전송받고, 관련 단어의 품사를 이용하여 생성 가능한 문장 유형들을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수단; 및
    결정된 문장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학습 서버가 사용자가 디자인한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의 선택한 주제어 객체에 대하여 복수개 문장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주제어 객체 변경에 따라서 대응하는 복수개 문장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실시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유형은,
    주제어 객체의 관련 단어가 주어, 동사, 목적어로 사용되는 문장 유형과 부사, 형용사로 삽입되는 문장 유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유형으로부터 생성되는 학습 콘텐츠는 주제어 객체의 관련 단어 및 나머지 그래픽 객체의 관련 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학습 서버는,
    주제어 객체를 전송받고, 문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로 구성되는 6하 원칙 중에서 개별 원칙에 대한 질문을 하나씩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별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객체를 전송받고 문장의 단어를 하나씩 완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학습 콘텐츠는
    문자 기반으로 화면에 문장이 표시되는 텍스트 콘텐츠;
    당해 문장이 발음으로 출력되는 음성 콘텐츠; 및
    주제어 객체가 움직이는 동영상 콘텐츠
    를 포함하여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사용자의 다국어 학습 설정에 따라서 복수개 외국어 문장이 텍스트 콘텐츠로 병행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 콘텐츠로 연속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동작 속성을 보유하는 그래픽 객체의 조합으로 생성되고, 사용자로부터 그래픽 객체의 이동 경로 또는 움직임의 동작을 마우스 드래깅으로 입력받고, 설정된 동작 속성을 기반으로 실시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8. 유,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개 그래픽 객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픽 객체로 구성된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단어를 기반으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의 언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S21)상기 학습 서버가 배경, 인물 및 사물로 구분되는 그래픽 객체를 DB로부터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S22)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픽 객체들의 배치에 의하여 사용자 설정 상황이 완성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설정 상황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어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이하 "주제어 객체"로 표기)의 정보를 전송받고 주제어 객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관련 단어들을 전송하는 단계;
    (S23)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관련 단어를 전송받고, 관련 단어의 품사를 이용하여 생성 가능한 문장 유형들을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S24)결정된 문장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학습 서버가 사용자가 디자인한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의 선택한 주제어 객체에 대하여 복수개 문장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주제어 객체 변경에 따라서 대응하는 복수개 문장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실시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유형은,
    주제어 객체의 관련 단어가 주어, 동사, 목적어로 사용되는 문장 유형과 부사, 형용사로 삽입되는 문장 유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유형으로부터 생성되는 학습 콘텐츠는 주제어 객체의 관련 단어 및 나머지 그래픽 객체의 관련 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3)는,
    학습 서버가 주제어 객체를 전송받고, 문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로 구성되는 6하 원칙 중에서 개별 원칙에 대한 질문을 하나씩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별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객체를 전송받고 문장의 단어를 하나씩 완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학습 콘텐츠는
    문자 기반으로 화면에 문장이 표시되는 텍스트 콘텐츠;
    당해 문장이 발음으로 출력되는 음성 콘텐츠; 및
    주제어 객체가 움직이는 동영상 콘텐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사용자의 다국어 학습 설정에 따라서 복수개 외국어 문장이 텍스트 콘텐츠로 병행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 콘텐츠로 연속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동작 속성을 보유하는 그래픽 객체의 조합으로 생성되고, 사용자로부터 그래픽 객체의 이동 경로 또는 움직임의 동작을 마우스 드래깅으로 입력받고, 설정된 동작 속성을 기반으로 실시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2)는,
    (S221)학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설정 상황의 학습 콘텐츠를 전송받고 사용자별로 DB에 저장하는 단계;
    (S222)학습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요청을 전송받고, 상기 DB로부터 조회되는 전체 사용자의 학습 콘텐츠와 다운로드 수를 목록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S223)학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목록에서 요청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S224)학습 서버가 당해 제공된 학습 콘텐츠의 다운로드 수를 증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학습 콘텐츠가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타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상황의 학습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고 편집하여 본인의 학습 콘텐츠로 학습 서버에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KR1020090122699A 2009-12-10 2009-12-10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 KR10111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99A KR101113940B1 (ko) 2009-12-10 2009-12-10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99A KR101113940B1 (ko) 2009-12-10 2009-12-10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84A KR20110065984A (ko) 2011-06-16
KR101113940B1 true KR101113940B1 (ko) 2012-03-05

Family

ID=4439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699A KR101113940B1 (ko) 2009-12-10 2009-12-10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658B1 (ko) * 2015-09-23 2016-04-22 진현정 사용자 지향적 외국어 학습 콘텐츠 아티클 제공시스템
KR101631671B1 (ko) * 2016-01-19 2016-06-17 진현정 유비쿼터스 환경의 외국어 학습 콘텐츠 아티클 제공시스템
KR102093780B1 (ko) * 2018-04-30 2020-04-01 주식회사 파라다이스팩토리 다국어 교육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문장 생성 장치
KR102196457B1 (ko) * 2020-05-18 2020-12-29 신은추 읽기와 말하기 학습을 위한 랜덤단어조합 기반 영어 연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84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bett An intercultural approach to English language teaching
Baron Language of the Internet
Dresang Radical change: Books for youth in a digital age
US8700620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and apparatus
US20020005865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uthoring content for interactive agents
US20140122083A1 (en) Chatbot system and method with contextual input and output messages
Van Leeuwen et al. Notes towards a semiotics of kinetic typography
Park et al. Systematic review on chatbot techniques and applications
KR101113940B1 (ko) 사용자 설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언어 학습 방법
Pauletto et al. Exploring expressivity and emotion with artificial voice and speech technologies
Mckie et al. Conversational voice assistants and a case study of long-term users: A human information behaviours perspective
Hassenfeld Reading sacred texts in the classroom: The alignment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s interpretive stances when reading the Hebrew Bible
Huenerfauth Design approaches for developing user-interfaces accessible to illiterate users
Mateos-Moreno et al. Grounded theory as a methodology to design teaching strategies for historically informed musical performance
Doumanis Evaluating humanoid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s in mobile guide applications
Xia Meaning in context and nature of translation
Wallwork Guides to Professional English
Awada et al. An E-Learning Platform That Supports Personalized Learning and Multimodal Interactions
Doyle Viewing language patterns: Data visualization for data-driven language learning
KR100599008B1 (ko) 아바타를 이용한 회화 학습시스템 및 회화 학습방법
Bowden et al. I Probe, Therefore I Am: Designing a Virtual Journalist with Human Emotions
Araújo et al. Pedagogic software evaluation protocol: analyzing a digital educational game for portuguese language teaching
Dündar A robot system for personalized language educa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language education system built on a robot
JP2019139282A (ja) コンテンツに関する対話を実施可能な対話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Winiwarter et al. Collaborative hypermedia education with the VIENA Classroo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