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829B1 - Dual manifold and thermal cycl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ual manifold and thermal cycl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829B1
KR101113829B1 KR1020040039622A KR20040039622A KR101113829B1 KR 101113829 B1 KR101113829 B1 KR 101113829B1 KR 1020040039622 A KR1020040039622 A KR 1020040039622A KR 20040039622 A KR20040039622 A KR 20040039622A KR 101113829 B1 KR101113829 B1 KR 10111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ifold
tank
fluid
pipe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4407A (en
Inventor
옥지태
장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829B1/en
Publication of KR2005011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4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8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9/19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되는 유체 각각의 유량 및 온도가 균등하게 되는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ifold in which th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each fluid discharged are equalized.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ifold that takes up less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At least one inlet pipe;

적어도 두 개의 배출관들;At least two discharge pipes;

상기 유입관 및 배출관들과 연통된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외관; 및An exterior defining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outlet tubes; And

상기 외관 내에 외관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관과 함께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내관;을 구비한 이중관 매니폴드를 제공한다.A double pipe manifold having an inner tu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and defining the flow passage together with the outer surface.

Description

이중관 매니폴드 및 이를 구비한 열순환기{Dual manifold and thermal cycl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Dual manifold and thermal cycl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도 1 은 종래의 매니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anifol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매니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tube manif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매니폴드를 구비한 열순환기를 도시하는 계통도이고,3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thermocycler having a double tube manif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효소중합 연쇄반응에 사용되는 온도 프로파일의 일 예이다.4 is an example of a temperature profile used in the enzymatic polymerization chain reac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이중관 매니폴드, 제1매니폴드 111a, b, c: 제 1, 2, 3 유입관110: double pipe manifold, first manifold 111a, b, c: first, second, third inlet pipe

111c': 제3유입관의 유입구 112: 외관111c ': Inlet 112 of third inlet pipe: Appearance

113: 내관 114: 캡113: inner tube 114: cap

115a, b, c, d, e, f: 제 1, 2, 3, 4, 5, 6 배출관115a, b, c, d, e, f: 1, 2, 3, 4, 5, 6 discharge pipe

115f': 제6배출관의 배출구115f ': outlet of the sixth discharge pipe

121, 122, 123, 124, 125, 126: 제 1, 2, 3, 4, 5, 6 수조121, 122, 123, 124, 125, 126: 1st, 2, 3, 4, 5, 6 tank

121a, 122a, 123a, 124a, 125a, 126a: 제 1, 2, 3, 4, 5, 6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121a, 122a, 123a, 124a, 125a, 126a: 1, 2, 3, 4, 5, 6 microtiter plates

130: 제2매니폴드 141, 142, 143: 제 1, 2, 3 탱크 130: second manifold 141, 142, 143: 1st, 2, 3 tank                 

141a, 142a, 143a: 제2밸브 141b, 142b, 143b: 냉각수단141a, 142a, 143a: second valve 141b, 142b, 143b: cooling means

141c, 142c, 143c: 가열수단 141d, 142d, 143d: 펌프141c, 142c, 143c: heating means 141d, 142d, 143d: pump

141e, 142e, 143e: 제1밸브 C: 내관과 외관의 중심선141e, 142e, 143e: first valve C: center line of inner tube and outer tube

P: 유동통로 R: 내관의 반지름P: flow path R: radius of inner tube

G: 내관과 외관 간의 간격 G: gap between inner tube and outer tube

L: 배출관 및 그에 가장 가까운 유입관 간의 거리L: Distance between discharge pipe and inlet pipe closest to it

본 발명은 이중관 매니폴드 및 이를 구비한 열순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tube manifold and a thermocycler having the same.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매니폴드는, 제 1, 2, 3 유입관들(11a, 11b, 11c)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수집하는 수집관(12), 제 1, 2, 3, 4, 5, 6 배출관들(15a, 15b, 15c, 15d, 15e, 15f)들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분기시키는 배분관(14), 및 상기 수집관(12)의 유체가 배분관(14)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1 및 2 연결관들(13a, 13b)을 구비한다.The conventional manifold shown in FIG. 1 includes a collection tube 12 for collecting fluid flowing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let pipes 11a, 11b, and 11c. Distribution pipe 14 for branching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5, 6 discharge pipes 15a, 15b, 15c, 15d, 15e, and 15f, and the fluid of the collection pipe 12 to move to the distribution pipe 14. Guid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3a, 13b are provided.

매니폴드의 기본적 기능은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를 분기시키는 것인데, 분기된 유체 각각의 압력, 유량, 온도는 모두 균등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ic function of the manifold is to branc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duct. The pressur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each branched fluid are preferably equal.

그러나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매니폴드의 경우에는, 제 1, 2, 3 유입관들(11a, 11b, 11c)을 통하여 유입되는 각 유체들이 수집관(12), 연결관들(13a, 13b), 및 배분관(14) 내에서 충분히 혼합되지 않고, 따라서 제 1, 2, 3, 4, 5, 6 배출관들(15a, 15b, 15c, 15d, 15e, 15f)에서 배출되는 유체 각각의 유량 및 온도가 균등하게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비균등의 문제는, 연결관들(13a, 13b)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제1배출관(15a) 및 제6배출관(15f)과, 다른 배출관들(15b, 15c, 15d, 15e) 간에 더욱더 심각하다. 상기 비균등의 문제는, 유입관들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 더욱더 심각해진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anifold shown in FIG. 1, the fluids flowing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let pipes 11a, 11b, and 11c ar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ipe 12 and the connecting pipes 13a and 13b. ), And the flow rate of each of the fluids discharged from the first, second, second,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discharge pipes 15a, 15b, 15c, 15d, 15e, and 15f is not sufficiently mixed in the distribution pipe 14.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is not even. This non-uniform problem is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ipe 15a and the sixth discharge pipe 15f and the other discharge pipes 15b, 15c, 15d, and 15e which are farthest from the connecting pipes 13a and 13b. It's even worse. The problem of inequality is even worse when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tubes is high.

또한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매니폴드는 수집관(12)과 배분관(14)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면서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관들(13a, 13b)을 구비하므로, 매니폴드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따라서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되기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manifold shown in FIG. 1 includes connecting pipes 13a and 13b connecting the collecting pipe 12 and the distribution pipe 14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connect them, the space occupied by the manifold is limit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large and therefore difficult to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배출되는 유체 각각의 유량 및 온도가 균등하게 되는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anifold in which th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each of the discharged fluids are equalized.

또한 본 발명은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ifold that takes up less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At least one inlet pipe;

적어도 두 개의 배출관들;At least two discharge pipes;

상기 유입관 및 배출관들과 연통된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외관; 및 An exterior defining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outlet tubes; And                     

상기 외관 내에 외관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관과 함께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내관;을 구비한 이중관 매니폴드를 제공한다.A double pipe manifold having an inner tu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and defining the flow passage together with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At least two tanks;

상기 수조들로부터 이송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At least one tank capable of containing fluid conveyed from said baths;

상기 탱크 내의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수단;Cooling means capable of cooling the fluid in the tank;

상기 탱크 내의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Heating means capable of heating the fluid in the tank;

상기 탱크 내의 유체를 수조로 이송시키는 펌프; 및A pump for transferring the fluid in the tank to a water tank; And

상기 탱크로부터 수조들로 이송되는 유체를 분기시키고, 상기 이중관 매니폴드의 구조를 갖는 제1매니폴드;를 구비한 열순환기를 제공한다.And a first manifold having a structure of the double pipe manifold, for branching the fluid transferred from the tank to the water tanks.

상기 이중관 매니폴드는, 상기 외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내관을 지지하는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ouble pipe manifol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ap installed at an end of the outer surface to define the flow passage and support the inner pipe.

상기 내관은 상기 유입관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관의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관의 중심선과 외관의 중심선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관과 외관 간의 간격은 내관의 반지름의 7%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tube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inlet of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of the outlet pipe, the center line of the inner tube and the center line of the appearance is preferably matched,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appearance is 7% to the radius of the inner tube to It is preferably 10%.

상기 배출관들의 수는 유입관의 수의 2배이고, 모든 배출관들의 가장 가까운 유입관과의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관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the discharge pipes is twice the number of the inlet pipes, and the distance from the closest inlet pipe of all the discharge pipes is preferably the same, and the inner pipe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상기 열순환기는 적어도 두 개의 탱크와, 수조들로부터 탱크들로 이송되는 유체를 분기시키는 제2매니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매니폴드는 상기 수조들로부터 이송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 상기 탱크로 이송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관들, 및 상기 유입관 및 배출관들과 연통된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외관을 구비한다.The thermocycler may include at least two tanks and a second manifold for branching fluid from the baths to the tanks. The second manifold may include at least one inlet pipe through which fluid transferred from the tanks flows in, at least two outlet pipes through which fluid transferred to the tank is discharged, and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s and the discharge pipes. It has an external appearance to define.

상기 탱크와 제1매니폴드 사이에는 탱크로부터 이송된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탱크로 반송시킬 수 있는 제1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매니폴드와 탱크 사이에는 제2매니폴드로부터 탱크로 이송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2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valve is provided between the tank and the first manifold to transf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transferred from the tank to the tank, and between the second manifold and the tank to the tank. Preferably, a second valve is provided to adjust the amount of fluid to be conveyed.

이어서,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매니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매니폴드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111a, 111b, 111c), 적어도 두 개의 배출관들(115a, 115b, 115c, 115d, 115e, 115f), 상기 유입관 및 배출관들과 연통된 유동통로(P)를 한정하는 외관(112), 및 상기 외관 내에 외관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외관과 함께 유동통로(P)를 한정하는 내관(113)을 구비한다.Next, the double pip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double pipe manif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inlet pipe (111a, 111b, 111c), at least two outlet pipes (115a, 115b, 115c, 115d, 115e, 115f), the flow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nd outlet pipes An exterior 112 defining the passage P and an inner tube 113 spaced apart from the exterior within the exterior define a flow passage P together with the exterior.

본 실시예에 예시된 배출관들(115a, 115b, 115c, 115d, 115e, 115f)의 수는 6개로서, 이는 유입관들(111a, 111b, 111c)의 수인 3개의 2배이다. 또한 모든 배출관들의 가장 가까운 유입관(제1배출관(115a)과 제2배출관(115b)의 경우에는 제1유입관(111a), 제3배출관(115c)과 제4배출관(115d)의 경우에는 제2유입관(111b), 제5배출관(115e)과 제6배출관(115f)의 경우에는 제3유입관(111c))과의 거리(L)는 동일하다. The number of the discharge pipes 115a, 115b, 115c, 115d, 115e, and 115f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is six, which is three times the number of the inlet pipes 111a, 111b and 111c. In addition, the first inlet pipe (111a), the third discharge pipe (115a) and the fourth discharge pipe (115d) for the inlet pipe (the first discharge pipe (115a)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115b) closest to all discharge pipes In the case of the 2nd inflow pipe 111b, the 5th discharge pipe 115e, and the 6th discharge pipe 115f, the distance L of the 3rd inflow pipe 111c) is the same.                     

전술된 구조를 갖는 이중관 매니폴드(110)에서는, 일 유입관(예를 들어, 제1유입관(111a))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예를 들어, 물)가 주로 인접한 두 개의 배출관들(예를 들어, 제1배출관(115a)과 제2배출관(115b))로 양분되고, 또한 상기 유체가 외관(112)과 내관(113)에 의하여 한정되는 좁은 슬릿(slit) 형태의 유동통로(P)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강하되고 와류유동을 하게 되므로, 배출관들(115a, 115b, 115c, 115d, 115e, 115f)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 각각의 압력, 유량, 및 온도는 모두 균등하게 된다. 또한 이중관 매니폴드(110)는,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매니폴드와는 달리, 유입관들과 배출관들을 연결하는 유동통로(P)가 하나의 관(외관(112)) 내에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되기에 유리하다.In the double pipe manifold 1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luid (for example, water) introduced through one inlet pipe (for example, the first inlet pipe 111a) is mainly two adjacent outlet pipes (for example, water). For example, the first passage pipe (115a)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115b)) is divided into a flow passage (P) of narrow slit (slit) shape is also defined by the fluid 112 and the inner tube (113). Since the pressure drops and the vortex flows through the through, the pressur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each of the fluid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s 115a, 115b, 115c, 115d, 115e, and 115f are all equalized. Also, unlike the conventional manifold shown in FIG. 1, the double pipe manifold 110 has a narrow flow path P connecting the inflow pipes and the discharge pipes in one pipe (exterior 112). It is advantageous to be installed in a space.

상기 유동통로(P) 내에 있는 유체의 온도 균일화를 위하여, 상기 내관(113)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동,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외관(112)도 상기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외관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유체의 열에너지가 외관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관을 외면을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 예를 들어 유리섬유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uniformiz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 the flow passage P, the inner tube 113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copper, aluminum, or the like. For the same purpose, the appearance 112 is also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However, when the exterior is formed of a met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exterior surfac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glass fiber or plastic,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energy of the flui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exterior. It is preferable to cover with material.

도 2 에 도시된 외관의 단부(112a)에는 캡(114)이 씌워지고, 내관의 단부(113a)는 상기 캡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캡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캡(114)과 외관의 단부(112a)는 용접에 의하여 밀봉되고, 캡(114)과 내관의 단부(113a)도 용접된다. A cap 114 is covered by the end portion 112a of the exterior shown in FIG. 2, and the end portion 113a of the inner tube is supported by the cap by being fit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p, and the cap 114 and The end 112a of the exterior is sealed by welding, and the cap 114 and the end 113a of the inner tube are also welded.                     

다만, 상기 캡(114)을 이용하여 외관의 단부(112a)를 막음으로써 유동통로(P)를 한정하는 것은 일 예에 불과하고, 예를 들어 캡(114)이 없을 수도 있다. 캡(114)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외관(112) 내에 내관(113)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외관의 단부(112a)를 내관의 단부(113a)에 압착시키고, 외관의 단부(112a)와 내관의 단부(113a)를 용접하여, 상기 유동통로(P)를 한정할 수 있다.However, limiting the flow passage P by blocking the end portion 112a of the exterior using the cap 114 is just an example, and for example, there may be no cap 114. When the cap 114 is not present, the end 112a of the outer tube is pressed against the end 113a of the inner tube while the inner tube 113 is disposed in the outer tube 112, and the end 112a of the outer tube 112 and the inner tube are separated. The end 113a may be welded to define the flow passage P.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14)을 이용하여 유동통로(P)를 한정하는 경우이든, 캡을 이용하지 않고 유동통로(P)를 한정하는 경우이든, 상기 내관(113)의 중심선(C)과 외관(112)의 중심선(C)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center line C of the inner tube 113 is used to limit the flow passage P using the cap 114 or to limit the flow passage P without using the cap. ) And the center line C of the appearance 112 preferably coincide as shown in FIG. 2.

상기 내관(113)과 외관(112) 간의 간격(G)이 너무 작으면, 유동통로(P)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마찰이 커지므로 유체를 압송하는 펌프에 의하여 소비되는 에너지가 과도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는 반대로 내관(113)과 외관(112) 간의 간격(G)이 너무 크면, 유동통로(P) 내의 유체가 충분히 와류화되지 않으므로, 내관(113)이 없는 경우와 유사하게 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면, 상기 내관(113)과 외관(112) 간의 간격(G)은 내관(113)의 반지름(R)의 7%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gap G between the inner tube 113 and the outer 112 is too small, the flow friction of the fluid flowing in the flow passage P becomes large, so that the energy consumed by the pump for pumping the fluid becomes excessive. Not desirable On the contrary, if the distance G between the inner tube 113 and the outer tube 112 is too large, the fluid in the flow passage P is not sufficiently vortexed, and thus, the inner tube 113 is similar to the case where the inner tube 113 is not provided.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In consideration of such matters, the interval G between the inner tube 113 and the outer tube 112 is preferably 7% to 10% of the radius R of the inner tube 113.

상기 유입관(111a, 111b, 111c)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배출관들(115a, 115b, 115c, 115d, 115e, 115f)로 배출되기 전에 충분한 시간동안 와류상태를 겪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내관(113)은 상기 유입관의 유입구(예를 들어, 제3유입관의 유입구(111c'))와 상기 배출관의 배출구(예를 들어, 제6배출관의 배출구(115f'))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관(113)이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다는 것은, 내관의 중심축(C) 방향으로 보았을 때, 유입관과 배출관이 90° 내지 180°의 각도(바람직하게는 180°)를 이룬다는 의미이다.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유입구로부터 내관의 중심선(C)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선(V1)은, 상기 배출관의 배출구로부터 내관의 중심선(C)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선(V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Since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s (111a, 111b, 111c) is preferably subjected to a vortex state for a sufficient time befo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s (115a, 115b, 115c, 115d, 115e, 115f), the inner tube 113 )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inlet of the inlet pipe (for example, the inlet 111c 'of the third inlet pipe) and the outlet of the outlet pipe (for example, the outlet 115f' of the sixth discharge pipe). . The inner tube 113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which means that the inlet and outlet tubes form an angle of 90 ° to 180 ° (preferably 180 °)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C of the inner pipe. . For the same reason, the imaginary line V1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inlet of the inlet pipe to the center line C of the inner tube is a virtual line V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utlet of the outlet pipe to the centerline C of the inner tube. It is more preferr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이중관 매니폴드(110)를 구비한 열순환기(thermal cycling system)에 관하여 설명한다.3 and 4, a thermal cycling system including the double pipe manifold 110 will be described.

열순환기는 소정의 유체(예를 들어, 물)가 특정의 대상물(예를 들어, 수조(121, 122, 123, 124, 125, 126))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열순환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최근에는 DNA증폭을 위한 효소중합 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에도 사용되고 있다.A thermocycler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target object by allowing a fluid (eg, water) to pass through a specific object (eg, water tanks 121, 122, 123, 124, 125, 126). to be. This thermocycler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recently, it has also been used i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r DNA amplification.

상기 효소중합 연쇄반응은, 내열성이 있는 중합효소가 특정한 DNA의 일부를 클론화시키지 않으면서 DNA를 지수함수적으로 증폭시키는 반응을 의미한다. 도 4 에는 DNA가 수용되어 있는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MTP: Microtiter Plate)(121a, 122a, 123a, 124a, 125a, 126a)가 장착된 수조의 온도 프로파일이 예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효소중합 연쇄반응은 활성화단계(Sa), 복수의 증폭싸이클(Sc)들, 및 건조단계(Sd)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화단계(Sa)는 상기 수조의 온도가 대략 95℃인 상태에서 대략 15분 정도지속되고, 상기 건조단계(Sd)는 수조의 온도가 실온인 상태에서 대략 2 내지 4 분정도 지속된다. 상기 활성화단계와 건조단계 사이에서 연쇄적으로 반복되는 증폭싸이클(Sc)들 각각은, 수조의 온도를 95℃정도로 5초가량 지속시키는 디네이쳐링 단계(denaturing step), 수조의 온도를 56℃정도로 5초가량 지속시키는 어닐링 단계(annealing step), 및 수조의 온도를 72℃정도로 15초가량 지속시키는 익스텐션 단계(extension step)를 구비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증폭될 DNA의 종류, 원하는 증폭의 정도 등에 따라서 상기 온도 프로파일은 달라질 수 있다.The enzyme polymerization chain reaction refers to a reaction in which a heat-resistant polymerase amplifies DNA exponentially without cloning a part of a specific DNA. 4 illustrates the temperature profile of a bath equipped with a microtiter plate (MTP) 121a, 122a, 123a, 124a, 125a, 126a containing DNA. As shown, one enzyme polymerization chain reaction includes an activation step (Sa), a plurality of amplification cycles (Sc), and a drying step (Sd). The activation step (Sa) is continued for about 15 minutes whil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ank is about 95 ℃, the drying step (Sd) lasts about 2 to 4 minute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ank is room temperature. Each of the amplification cycles (Sc) which are serially repeated between the activation step and the drying step includes a denaturing step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ank for about 5 seconds at about 95 °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ank at about 56 ° C. An annealing step for lasting about 15 seconds, and an extension step for lasting 15 seconds for about 15 ° C.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temperature profil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DNA to be amplified, the degree of amplification desired, and the like.

온도 프로파일을 어떻게 정하는가는 여러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수조들(121a, 122a, 123a, 124a, 125a, 126a) 각각의 특정 시점에서의 온도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하여야 한다. 여기서 수조들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수조들 간의 최대 온도차이가 0.2℃ 이내인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 최대 온도차이가 0.2℃ 이내이더라도, 모든 수조내에 장착된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에 수용된 DNA들이 모두 동일하게 증폭된다는 것이 보장되지는 않고, 일부는 불량하게(원하지 않는 상태로)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조들 간의 최대 온도차이는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How the temperature profile is determined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but the temperatures at each particular time of each of the baths 121a, 122a, 123a, 124a, 125a, 126a should all be substantially the same. 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baths being substantially the same means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baths is within 0.2 ° C. However, even if this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is within 0.2 ° C, it is not guaranteed that all DNA contained in the microtiter plates mounted in all the tanks are amplified equally, and some may be amplified poorly (undesirably). Therefore, th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baths needs to be minimized.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순환기는, 제 1, 2, 3, 4, 5, 6 수조들(121, 122, 123, 124, 125, 126), 제 1, 2, 3 탱크들(141, 142, 143), 냉각수단(141b, 142b, 143b), 가열수단(141c, 142c, 143c), 펌프들(141d, 142d, 143d), 이중관 매니폴드인 제1매니폴드(110), 제2매니폴드(130), 제1밸브들(141e, 142e, 143e), 및 제2밸브들(141a, 142a, 143a)을 구비한다. The thermocyc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ncludes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sixth tanks 121, 122, 123, 124, 125, 126, first, second, 3 tanks 141, 142, 143, cooling means 141b, 142b, 143b, heating means 141c, 142c, 143c, pumps 141d, 142d, 143d, a first manifold that is a double pipe manifold ( 110, a second manifold 130, first valves 141e, 142e, and 143e, and second valves 141a, 142a, and 143a.                     

상기 제 1, 2, 3, 4, 5, 6 수조들(121, 122, 123, 124, 125, 126)은 증폭될 DNA가 수용된 제 1, 2, 3, 4, 5, 6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들(121a, 122a, 123a, 124a, 125a, 126a) 각각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sixth tank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ar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microtiter plates containing DNA to be amplified. Each of (121a, 122a, 123a, 124a, 125a, 126a) has a structure to which it can be mounted.

상기 제 1, 2, 3 탱크들(141, 142, 143)은 상기 수조들로부터 이송되는 유체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탱크들 각각의 내부에는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수단(141b, 142b, 143b)과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141c, 142c, 143c)이 설치된다. 상기 탱크들 각각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는 펌프(141d, 142d, 143d)에 의하여 제1매니폴드(110)를 경유하여 상기 수조들로 이송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tanks 141, 142, and 143 may accommodate the fluid transferred from the tanks therein, and cooling means 141b capable of cooling the fluid in each of the tanks. 142b and 143b and heating means 141c, 142c and 143c capable of heating the fluid are provided. The fluid contained in each of the tanks is transferred to the tanks via the first manifold 110 by pumps 141d, 142d, and 143d.

상기 냉각수단은 예를 들면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튜브일 수 있다. 상기 냉각튜브는 일 냉동시스템을 형성하는 기본 구성요소들인 압축기, 응축기, 교축기, 및 증발기 중에서 증발기에 해당된다. 상기 가열수단은 예를 들어 전류가 흐를 때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고저항의 열선일 수 있다.The cooling means may be, for example, a cooling tub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The cooling tube corresponds to an evaporator among the basic components forming a refrigeration system such as a compressor, a condenser, a throttle and an evaporator. The heating means may be, for example, a high resistance heating wire that generates a lot of heat when current flows.

상기 제1매니폴드(110)는 전술된 이중관 매니폴드이고, 상기 탱크들로부터 이송되어 수조들로 진행하는 유체를 분기시킨다. 상기 수조들로부터 탱크들로 이송되는 유체를 분기시키는 제2매니폴드(130)는 제1매니폴드에 비하여 이중관 매니폴드일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는 제2매니폴드(13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가 정밀하게 제어될 필요가 적기 때문이다.The first manifold 110 is a double pipe manifold as described above and branches the fluid that is transported from the tanks to the water tanks. The second manifold 130 for branching the fluid transferred from the water tanks to the tanks is relatively less likely to be a double pipe manifold compared to the first manifold, which is a flow of fluid from the second manifold 130.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need not be precisely controlled.

본 실시예의 제2매니폴드(130)는 내관(113)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에 도시된 매니폴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세하게는, 제2매니폴드(130)는 상기 수조들(121, 122, 123, 124, 125, 126)로부터 이송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6개의 유 입관, 상기 탱크들(141, 142, 143)로 이송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세 개의 배출관들, 및 상기 유입관 및 배출관들과 연통된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외관을 구비한다. 다만 상기 제2매니폴드(130)는 필요에 따라서 제1매니폴드(110)와 같이 이중관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제2매니폴드(130)는 외관 내에 외관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관과 함께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내관을 더 구비한다.The second manifold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manifold shown in FIG. 2 except that the inner tube 113 is not provided. In detail, the second manifold 130 includes six inflow pipes through which fluid transferred from the tank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flows, and the tanks 141, 142, and 143. And three discharge pipes through which the fluid to be discharged is discharged, and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s and the discharge pipes. However, the second manifold 130 may have a double tube structure, such as the first manifold 110 as necessary, in which case the second manifold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exterior in the exterior and together with the exterior.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ner tube defining a flow passage.

상기 탱크들(141, 142, 143) 각각과 제1매니폴드(110) 사이에는 특정의 탱크로부터 이송된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그 탱크로 반송시킬 수 있는 제1밸브(141e, 142e, 143e)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탱크들(141, 142, 143) 각각과 제2매니폴드(130) 사이에는 제2매니폴드로부터 특정의 탱크로 이송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2밸브(141a, 142a, 143a)가 설치된다.Between each of the tanks 141, 142, 143 and the first manifold 110 there are first valves 141e, 142e, 143e that can convey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transferred from a particular tank to the tank. Is installed. Also, between each of the tanks 141, 142, and 143 and the second manifold 130, second valves 141a, 142a, and 143a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fluid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anifold to a specific tank. Is installed.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순환기의 경우, 도 4 에 도시된 온도 프로파일 대로 제 1, 2, 3, 4, 5, 6 수조들(121, 122, 123, 124, 125, 126)의 온도를 제어한 결과, 동일 시점에 있어서의 수조들 간의 최대 온도차이는 0.324℃였다. 이에 반하여,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매니폴드(10)가 도 3 에 도시된 이중관 매니폴드(110)의 자리에 설치된 경우에는, 동일 시점에 있어서의 수조들 간의 최대 온도차이가 1.724℃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순환기의 수조들 간의 동일 시점에서의 최대 온도차이가 종래의 열순환기의 수조들 간의 동일 시점에서의 최대 온도차이인 1.724℃의 18.8%에 불과하게 됨에 따라서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MTP: Microtiter Plate)(121a, 122a, 123a, 124a, 125a, 126a)들 내에 수용된 DNA 들이 모두 양호하게 증폭된다. In the case of the thermocyc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second, second, third, fourth, fifth, sixth tank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of the first and second bath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profile shown in FIG. As a result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baths at the same time was 0.324 ° C. In contrast, when the conventional manifold 10 shown in FIG. 1 is installed in place of the double tube manifold 110 shown in FIG. 3, th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baths at the same time point is 1.724 ° C. As such, th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water tanks of the thermocyc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18.8% of 1.724 ° C. which is th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water tanks of the conventional thermocycler. DNAs contained in MTP: Microtiter Plates 121a, 122a, 123a, 124a, 125a, 126a are all well amplified.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밸브들(141e, 142e, 143e)과 제2밸브들(141a, 142a, 143a)은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고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제1밸브들과 제2밸브들이 없는 경우에는 유체의 유동량이 펌프들(141d, 142d, 143d)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제1밸브와 제2밸브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valves 141e, 142e and 143e and the second valves 141a, 142a and 143a are installed as necessary and are not necessary. In the absence of the first valves and the second valv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may be controlled by the pumps 141d, 142d, and 143d. In addition, a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amount of the fluid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positions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shown in FIG. 3.

전술된 실시예의 열순환기는 6개의 수조들과 3개의 탱크들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적어도 2개의 수조들과 적어도 하나의 탱크를 구비한 열순환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매니폴드(110)는 하나의 유입관과 두 개의 배출관들을 구비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탱크가 하나밖에 없으므로, 제2매니폴드(130)가 없을 수도 있다. 제2매니폴드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수조들을 경유한 유체가 제2밸브를 경유하거나 경유하지 않고 탱크로 이송된다.The thermocycler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six tanks and three tanks, but the invention is not so limited. That i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thermocycler having at least two tanks and at least one tank. In this case, the first manifold 110 has one inlet tube and two outlet tubes. In this case, since there is only one tank, there may be no second manifold 130. If there is no second manifold,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tanks is transferred to the tank via or without the second valve.

본 발명에 의하여, 배출되는 유체 각각의 유량 및 온도가 균등하게 되는 이중관 매니폴드 및 이를 구비한 열순환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uble tube manifold and a thermocycler having the same, in which th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each of the fluid discharged are equaliz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이중관 매니폴드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ouble tube manifold that takes up less spa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 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At least one inlet pipe; 적어도 두 개의 배출관들;At least two discharge pipes; 상기 유입관 및 배출관들과 연통된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외관; 및An exterior defining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outlet tubes; And 상기 외관 내에 외관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관과 함께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내관;을 구비하며, And an inner tu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xterior in the exterior and defining the flow passage together with the exterior. 상기 내관은 상기 유입관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관의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매니폴드.The inner pipe is a double pipe manifold,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the inlet of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of the discharge pi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내관을 지지하는 캡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매니폴드.A double pipe manifold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outer surface, the cap defining a flow passage and supporting the inner pip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관의 중심선과 외관의 중심선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매니폴드.A double pipe manifold,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line of the inner tube and the center line of the appearance coincid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내관과 외관 간의 간격은 내관의 반지름의 7%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매니폴드.The gap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 tube manifold of 7% to 10% of the radius of the inner tub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출관들의 수는 유입관의 수의 2배이고,The number of outlet pipes is twice the number of inlet pipes, 모든 배출관들의 가장 가까운 유입관과의 거리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매니폴드.Double pipe manifol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of the closest inlet pipe of all outlet pipes is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관은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매니폴드.Double tube manifol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tube is formed of a metal.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At least two tanks; 상기 수조들로부터 이송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탱크;At least two tanks capable of containing the fluid conveyed from the tanks; 상기 탱크 내의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수단;Cooling means capable of cooling the fluid in the tank; 상기 탱크 내의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Heating means capable of heating the fluid in the tank; 상기 탱크 내의 유체를 수조로 이송시키는 펌프;A pump for transferring the fluid in the tank to a water tank; 상기 탱크로부터 이송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 상기 수조로 이송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관들,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들과 연통된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외관, 및 상기 외관 내에 상기 외관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관과 함께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내관을 구비하고,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수조들로 이송되는 유체를 분기시키는 제1매니폴드; 및At least one inlet pipe into which the fluid conveyed from the tank flows in, at least two outlet pipes from which the fluid conveyed to the tank is discharged, an appearance defining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and the discharge pipes, and the appearance A first manifold disposed within the exterior and having an inner tube defining a flow passage together with the exterior, the first manifold for branching fluid transferred from the tank to the tanks; And 상기 수조들로부터 이송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관, 상기 탱크로 이송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관들, 및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들과 연통된 유동통로를 한정하는 외관을 구비하고, 상기 수조들로부터 상기 탱크들로 이송되는 유체를 분기시키는 제2매니폴드;를 구비하는 열순환기.At least one inlet pipe into which fluid transferred from the tanks is introduced, at least two outlet pipes from which fluid to be transferred to the tank is discharged, and an exterior defining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and the discharge pipes And a second manifold for branching the fluid transferred from the tanks to the tanks.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탱크와 상기 제1매니폴드 사이에는 상기 탱크로부터 이송된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탱크로 반송시킬 수 있는 제1밸브가 설치되고,Between the tank and the first manifold is provided a first valve capable of conve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transferred from the tank to the tank, 상기 제2매니폴드와 상기 탱크 사이에는 상기 제2매니폴드로부터 상기 탱크로 이송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2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순환기.And a second valv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manifold and the tank to adjust an amount of fluid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anifold to the tank.
KR1020040039622A 2004-06-01 2004-06-01 Dual manifold and thermal cycl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1138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622A KR101113829B1 (en) 2004-06-01 2004-06-01 Dual manifold and thermal cycl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622A KR101113829B1 (en) 2004-06-01 2004-06-01 Dual manifold and thermal cycl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07A KR20050114407A (en) 2005-12-06
KR101113829B1 true KR101113829B1 (en) 2012-02-29

Family

ID=3728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622A KR101113829B1 (en) 2004-06-01 2004-06-01 Dual manifold and thermal cycl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8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353B1 (en) * 2006-04-14 2006-09-15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Flat part structure for heating room
CN102287601B (en) * 2011-05-03 2013-05-01 吴超 Running water equally dividing device
KR101998320B1 (en) * 2019-05-07 2019-07-09 경일워터이엔지 주식회사 Water flow distribution device of water treatment fac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592U (en) * 1984-12-20 1986-07-09
JP2000104879A (en) * 1998-09-28 2000-04-11 Toyo Kogyo Kk Jig for double pipe and double pi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592U (en) * 1984-12-20 1986-07-09
JP2000104879A (en) * 1998-09-28 2000-04-11 Toyo Kogyo Kk Jig for double pipe and double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07A (en)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2289B1 (en) Heat exchanger
DE602005027752D1 (en) HEAT EXCHANGERS WITH MULTI-STAGE LIQUID EXTENSION IN THE COLLECTOR
ATE529717T1 (en) HEAT EXCHANGER WITH FLUID EXPANSION IN THE END CHAMBER
US5950575A (en) Hydronic manifold
EP2282140B1 (en) Heat exchanger and hot-water supply device using same
KR900016719A (en) heat transmitter
US20170184352A1 (en) Radiator having a reverse flow manifold
KR101113829B1 (en) Dual manifold and thermal cycl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9557075B2 (en) Condensing heat exchanger and boiler/water heater including the same
CN116686075A (en) Online heater
JP2016038115A (en) Heat exchanger
JP6764734B2 (en) Heat exchanger
CN104180564A (en)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of
JP2002062082A (en) Plate heat-exchanger
JP5046748B2 (en) Gas cooler for hot water system
EP4246075A3 (en) Heat exchanger for heat pump applications
KR102010156B1 (en) shell in a shell and plate heat exchanger, and shell and plate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JP2010255857A (en)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water heater using the same
JP6487048B2 (en) High vacuum series condenser
EP3791124B1 (en) Heat exchanger, heat pump system and method for heat exchange
KR20060086762A (en) Working fluid branching device
CN219368047U (en) Heat exchange device
EP3367036B1 (en) A dry-expansion tube bundle heat exchanger
CN201589476U (en) Liquid-separating device of air-conditioner heat exchanger adopting sidewall air supply
WO2008038363A1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