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34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342B1
KR101113342B1 KR1020040074706A KR20040074706A KR101113342B1 KR 101113342 B1 KR101113342 B1 KR 101113342B1 KR 1020040074706 A KR1020040074706 A KR 1020040074706A KR 20040074706 A KR20040074706 A KR 20040074706A KR 101113342 B1 KR101113342 B1 KR 10111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boot loader
version
bootcode
flash mem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854A (ko
Inventor
양종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3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34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NAND 타입 플래쉬 메모리 및 부트로더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제어부에서는 부트코드와 함께 저장된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해당 부트코드를 램으로 복사하는 동작을 시스템 부팅시 실시하게 되며, 상기 부트코드는 독립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플래쉬 메모리의 부트코드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부트코드는 적합한 버전의 부트로더를 사용해야만 정확한 동작을 보장하므로 원하는 부트로더 버전과 기 저장되어 있는 부트로더 버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 동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나, 저장되어 있는 부트로더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부트로더의 버전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부트코드 작성시 지원하는 부트로더의 버전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부트코드 작성시 동시에 작성되는 부트로더는 컴파일시 상기 부트코드의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참조하도록 하며, 상기 부트코드와 부트로더를 컴파일한 바이너리 파일을 플래쉬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경우 상기 부트로더 저장 영역의 고정 위치에 해당 부트로더 버전 정보가 위치되도록 한 후, 부팅시마다 플래쉬 메모리의 일정 위치에서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램으로 전달되는 부트코드에 포함된 부트로더 버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부트로더 버전 오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트코드에 적합하지 않은 부트로더 버전의 사용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확한 버전의 부트로더 사용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BOOT-LOADER VERSION MANAG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맵.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NAND 플래쉬 메모리 11: 부트코드 영역
12: 부트로더 영역 13: 버전 정보 위치
20: SD램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제어기에 포함된 NAND타입 플래쉬 메모리에 부트로더(Boot-loader)를 컴파일하여 기록할 경우 부트로더의 버전 정보를 일정 위치에 저장하도록 하고, 부팅시 부트코드에 설정된 부트로더의 버전과 실제 부트로더의 버전을 비교하도록 하여 올바른 부트로더의 사용을 보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 더 버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트로더란, 간단히 말해서 컴퓨터를 켰을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일반 피씨(PC)의 경우 제일 먼저 일어나는 부팅 동작은, 부팅 디바이스(하드디스크)의 0사이드 0트랙 0섹터에서 정보를 가져오는 일이다.
상기 위치가 바로 부팅을 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는 곳이며 부트섹터(Boot Sector)라고 한다.
도스(Dos)나 윈도우즈(Windows) 시스템과 같은 하드디스크를 부팅 디바이스로 이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이 부트 섹터에 자신이 부팅하기 위한 정보(인터럽트 테이블 등)를 복사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대용량의 하드디스크를 구비하기어려운 소형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프로그램 및 운영 체제(OS), 응용 프로그램 등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내부에서 부팅 시스템, 운영체제(OS) 등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플래쉬 메모리는, NOR 타입 플래쉬 메모리로서 바이트(Byte) 단위로 리드 액세스(Read Access)가 가능하기 때문에, 플래쉬 메모리 상에서 직접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류소비가 많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용량(1~32MB)을 실장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가의 가격이나 제어의 복잡성 및 많은 전류소모 때문에 최근에는 리드(Read)와 라이트(Write) 시에 모두 블록단위로 액세스하며 전류소비가 적은 NAND 타입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NAND 타입 플래쉬 메모리는 블록단위로만 액세스가 가능하므로 그 자체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없고,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램(RAM)으로 모두 복사한 후 램에서 실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부트로더로서, NAND형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는 부트 코드를 역시 NAND형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는 전용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램으로 복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램의 크기는 부트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만큼 큰 용량의 것을 사용해야 하지만, 플래쉬 메모리의 용량을 확장하는 것에 비해서 보다 저렴하며, 램의 리드(read)속도가 플래쉬 메모리의 리드 속도보다 빠르므로, 동작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제어부로 많이 사용되는 퀄컴(Qualcomm)사의 MSM6xxx 부터는 NAND 타입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부트로더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부트로더를 통해 부트코드를 램으로 복사하여 부팅을 실시하도록 하며, 새로운 기능이 부가되거나 특정한 개선 사항이 있는 경우 상기 부트코드를 새롭게 작성하여 부트코드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NAND 타입 플래쉬 메모리에 다운로드하여 변경된 부트코드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부트코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부트코드에 적합한 버전의 부트로더가 사용되어야하만 한다. 만일 부트코드가 원하는 부트로더의 버전과 실제 저장된 부트로더의 버전이 맞지 않는 경우 오동작의 발생 가능성이 있게 된다. 즉, 부트코드 작성시 해당 부트코드를 지원하는 부트로더의 버전이 결정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저장된 부트로더의 버전 이 새롭게 다운로드할 부트코드를 지원하는 버전이 아닐 수도 있으며, 적합하지 않은 버전의 부트로더를 이용하게 되면 부팅과정에서 심각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오동작의 위험을 가진 상태로 부팅이 실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저장되어 있는 부트로더의 버전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부트코드 다운로드시 이를 알 수 없으며, 부팅시에도 부트코드 버전 오류를 검증할 방법이 없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NAND 타입 플래쉬 메모리 및 부트로더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제어부에서는 부트코드와 함께 저장된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해당 부트코드를 램으로 복사하는 동작을 시스템 부팅시 실시하게 되며, 상기 부트코드는 독립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플래쉬 메모리의 부트코드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부트코드는 적합한 버전의 부트로더를 사용해야만 정확한 동작을 보장하므로 원하는 부트로더 버전과 기 저장되어 있는 부트로더 버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 동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나, 저장되어 있는 부트로더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부트로더의 버전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부트코드 작성시 지원하는 부트로더의 버전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부트코드 작성시 동시에 작성되는 부트로더는 컴파일시 상기 부트코드의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참조하도록 하며, 상기 부트코드와 부트로더를 컴파일한 바이너리 파일을 플래쉬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경우 상기 부트로더 저장 영역의 고정 위치에 해당 부트로더 버전 정보가 위치되도록 한 후, 부팅시마다 플래쉬 메모리의 일정 위치에서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램으로 전달되는 부트코드에 포함된 부트로더 버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부트로더 버전 오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트코드 작성시 지원가능한 부트로더의 버전정보를 삽입한 후 컴파일하여 부트코드 바이너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트코드 작성과 동시에 부트로더를 생성할 경우 컴파일시 상기 부트코드에 삽입된 버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정보를 일정 위치에 포함하는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트코드 바이너리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 플래쉬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다운로드 하며,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이 있는 경우 이를 플래쉬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부팅하는 경우 상기 부트로더가 기동하여 상기 부트코드를 램으로 옮겨 실행하면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의 일정 위치에 포함된 부트로더 버전정보를 획득하여 램으로 옮겨진 부트코드에 포함된 부트로더 버전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사용자에게 버전 오류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한 바 와 같이 부트코드와 부트로더를 같이 생성할 경우, 부트로더 컴파일시 부트코드에 삽입된 부트로더 버전정보를 참조하여 그 정보를 일정 위치에 삽입한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을 생성한다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기로 사용되는 퀄컴사의 MSM6xxx칩의 운용체제로는 REX가 주로 사용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DMSS라는 코드 및 개발툴을 이용한다. 상기 DMSS 개발툴을 이용하여 부트코드를 작성할 경우, 소정의 옵션을 조절하고 특정한 설정을 조작하면 해당 부트코드를 위한 부트로더를 작성할 수 있게 되는데, 동일한 개발툴을 이용하게 되므로 상기 부트코드의 내용을 일부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트코드 작성시 해당 부트코드를 로드해 줄 부트로더의 버전 정보를 삽입하도록 한다. 이는 도시된 바와같이 #define 문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된 부트로더의 버전 정보는 해당 부트코드 컴파일시 부트코드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부트코드와 같이 생성되는 부트로더 컴파일시에도 상기 부트코드에서 정의된 부트로더의 버전 정보를 참조하여 이를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 중 고정된 위치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을 위해 DMSS 개발툴에서 추가되어야 할 부분이다.
즉, 부트로더는 부트코드와 동시에 생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트코드에 정의된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참조하여 자신의 버전 정보로 이용한다는 점과, 부트코드만 작성할 경우(부트코드는 단독 컴파일 및 생성이 가능)에도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정의하여 생성되는 부트코드가 적용될 부트로더의 버전을 명시한다는 점에 주의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부트코드 바이너리 파일과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이 생성되면,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제어기(MSM6xxx)에 포함된 NAND 타입 플래쉬 메모리의 부트코드 영역과 부트로더 영역에 각각 다운로드 한다.
도 2는 NAND 타입 플래쉬 메모리(10)의 부트코드 영역(11)과 부트로더 영역(12)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부트코드 영역(11)과 부트로더 영역(12)은 분리되어 있으며, 부트로더 영역(12)의 시작 위치 혹은 종료 위치를 고정시켜 해당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의 고정 위치에 삽입된 부트로더 버전 정보가 실제 플래쉬 메모리의 고정 위치(13)에 존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직접 억세스 방식으로 언제든지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외부 개발 툴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NAND 타입 플래쉬 메모리(10)의 고정 위치(13)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방법으로 부트로더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개발자에게 장비연결의 부담을 주게 되는 방법이며, 서비스 센터등에서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부트코드를 갱신하는 경우등에는 사용이 어려운 방법이다. 따라서, 부팅시 부트코드에 정의된 지원 부트로더 버전 정보와 실제 저장된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오류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방법이 더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팅시 부트로더가 기동하여 부트코드를 SD램(20)에 복사하여 실행시키면, 상기 SD램(20)에서 동작하는 부트코드에서는 자신의 코드 상에 정의된 지원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획득하고, NAND 플래쉬(10)의 고정된 위치에 저장된 실제 부트로더 버전 정보(13)를 직접 억세스 방식등으로 획득하여 상호 비 교한다. 그리고, 버전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그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표시하거나 알람등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도 3은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구동 방법 중 부팅시 실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로서, 부트코드를 새롭게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실시될 수도 있고, 모든 (콜드)부팅시 항상 실시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하면(S10), 부트로더가 동작하여 부트코드를 램으로 로드하고(S20), 상기 램에 로드된 부트코드에 의해 기본적인 시스템 점검이나 부팅 절차를 실시하게 되는데, 그 전에 부트로더가 저장된 플래쉬 메모리의 일정 위치에 저장된 부트로더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부트코드에 포함된 지원 부트로더 버전 정보와 비교한다.(S30~S40)
이때, 부트로더 버전 정보가 일치한다면 부팅절차를 수행하도록 하고(S50), 부트로더 버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부트로더 버전 오류 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문자로 알려주거나, 알람등을 발생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한다.(S6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전 관리가 불가능한 부트로더의 버전과 부트로더의 버전에 영향을 받는 부트코드 사이의 버전충돌을 부팅 단계에서 확인시켜줄 수 있도록 하여 부트코드에 적합한 부트로더 버전의 사용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은 부 트코드 작성시 지원하는 부트로더의 버전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부트코드 작성시 동시에 작성되는 부트로더는 컴파일시 상기 부트코드의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참조하도록 하며, 상기 부트코드와 부트로더를 컴파일한 바이너리 파일을 플래쉬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경우 상기 부트로더 저장 영역의 고정 위치에 해당 부트로더 버전 정보가 위치되도록 한 후, 부팅시마다 플래쉬 메모리의 일정 위치에서 부트로더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램으로 전달되는 부트코드에 포함된 부트로더 버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부트로더 버전 오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트코드에 적합하지 않은 부트로더 버전의 사용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확한 버전의 부트로더 사용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부트코드 작성시 지원가능한 부트로더의 버전정보를 삽입한 후 컴파일하여 부트코드 바이너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트코드 작성과 동시에 부트로더를 생성할 경우 컴파일시 상기 부트코드에 삽입된 버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정보를 일정 위치에 포함하는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트코드 바이너리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 플래쉬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다운로드 하며,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이 있는 경우 이를 플래쉬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부팅하는 경우 상기 부트로더가 기동하여 상기 부트코드를 램으로 옮겨 실행하면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의 일정 위치에 포함된 부트로더 버전정보를 획득하여 램으로 옮겨진 부트코드에 포함된 부트로더 버전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사용자에게 버전 오류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트로더 바이너리 파일이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 포함되는 부트로더 버전정보가 항상 메모리의 고정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도록 컴파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
  2. 삭제
KR1020040074706A 2004-09-17 2004-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1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706A KR101113342B1 (ko) 2004-09-17 2004-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706A KR101113342B1 (ko) 2004-09-17 2004-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854A KR20060025854A (ko) 2006-03-22
KR101113342B1 true KR101113342B1 (ko) 2012-02-28

Family

ID=3713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7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3342B1 (ko) 2004-09-17 2004-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269B1 (ko) 2006-09-08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의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516583B1 (ko) * 2018-03-19 2023-04-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업데이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903B1 (ko) * 2001-12-27 2004-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903B1 (ko) * 2001-12-27 2004-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854A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7457B (zh) 数字广播处理装置及其引导装载器更新方法
CN110096300B (zh) 一种fpga程序文件备份管理系统、运行方法及升级方法
CN104123153A (zh) 用于使用usb升级固件的装置与方法
US9348730B2 (en) Firmware ROM patch method
US6944867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ingle preloaded software image with an ability to support multiple hardware configurations and multiple types of computer systems
WO2022007656A1 (zh) Bootloader软件更新方法、装置、嵌入式控制器以及存储介质
US8539213B2 (en) Manageability extension mechanism for system firmware
CN103970557B (zh) 存储设备启动系统的方法及存储设备
KR20050079835A (ko) 엠비디드 컨트롤러의 펌웨어 갱신방법 및 갱신용 펌웨어저장매체
WO2012071852A1 (zh) 引导程序的升级方法和装置
CN110874237A (zh) 软件升级方法、装置、终端以及可读存储介质
US20060064576A1 (en) Boot systems and methods
CN106155713B (zh) 启动信息管理方法及装置
CN118092989B (zh) 一种存储器的固件升级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3467797B (zh) 程序更新方法、装置和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1133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트로더 버전 관리 방법
CN100399281C (zh) 基于可扩充表单的可复用嵌入式系统的硬件驱动和软件更新方法
CN100573450C (zh) 在具有与非闪速存储器的系统执行应用程序的方法和设备
CN116954674A (zh) eMMC固件升级方法、固件升级设备和存储装置
US20150033003A1 (en) Host and method of upgrading connection manager of dongles
JP4735765B2 (ja) Linuxプログラム起動システム
KR100617796B1 (ko) 무선 펌웨어 업그레이드 가능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60402B1 (ko) 2단계 부트로더를 이용한 시스템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KR100734303B1 (ko) 시스템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
CN115904820B (zh) 一种失效硬盘的恢复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9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9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