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320B1 -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320B1
KR101113320B1 KR1020090087597A KR20090087597A KR101113320B1 KR 101113320 B1 KR101113320 B1 KR 101113320B1 KR 1020090087597 A KR1020090087597 A KR 1020090087597A KR 20090087597 A KR20090087597 A KR 20090087597A KR 101113320 B1 KR101113320 B1 KR 101113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functional
gripping
hold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775A (ko
Inventor
정성희
Original Assignee
정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희 filed Critical 정성희
Priority to KR102009008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3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6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utlery wares; garden too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0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6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utlery wares; garden tools or the like
    • B21D53/6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utlery wares; garden tools or the like knives; scissors; c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2Table-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사도구 전체가 스테인레스 재질과 같은 동일한 재질로 일체?형성된 식사도구를 제조함에 있어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재료비와 제조 공정이 줄어들고 가공 방식 또한 용이하여 종국적으로는 기존 방식에 비해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께가 서로 상이한 파지부와 기능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각각 마련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완성된 파지부의 일단과 이와 연결 형성될 기능부의 일단끼리의 용접을 위해 파지부와 기능부를 용접용 지그에 장착시키는 장착단계와, 상기 지그에 장착된 파지부의 일단과 이와 연결 형성될 기능부의 일단을 용접하여 일체시키는 용접단계와, 그리고 상기 용접완료된 후 용접된 부위를 매끄럽게 다듬는 가공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식사도구, 나이프, 포크, 제조, 일체, 용접, 지그, 흔들림 방지

Description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ABLEWARE}
본 발명은 나이프를 비롯하여 숟가락, 포크, 국자 등과 같은 식사도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식사도구 전체가 스테인레스 재질과 같은 동일한 재질로 일체?형성된 식사도구를 제조함에 있어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재료비와 제조 공정이 줄어들고 가공 방식 또한 용이하여 종국적으로는 기존 방식에 비해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이프를 비롯하여 숟가락, 포크, 국자 등과 같은 식사도구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파지부와 음식물이 수용되거나 음식물을 커팅시키거나 또는 음식물을 찌르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기능부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 및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식사도구의 다양한 형태 중에서 파지부에 별도의 재질로 구비되는 장 식 없이 파지부와 기능부가 동일한 재질로 일체되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심플한 심미감을 주는 형태의 식사도구들이 소비자들에게 높은 반응을 얻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형태의 식사도구들은 시각적으로 심플한 이미지를 줄 뿐만 아니라 세척시에도 음식물 찌꺼기가 끼이거나 남아있을 염려가 없어 더욱 상품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식사도구에서 기능부는 음식물을 담거나 절단하거나 하는 등의 기능 수행을 위해 두께가 얇아야 하지만,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파지부는 파지감을 향상시키고 안정성 및 시각적인 미감을 위해 두께가 두껍게 성형되어야 하는 것으로 파지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품성을 높이 평가받게 되고 제조자 입장에서는 가격 또한 높이 받을 수 있게 된다.
관련업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일체형 식사도구의 제조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큰 판지 형상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부터 기능부와 파지부가 일체로 된 상태의 원하는 식사도구의 형태와 가까운 모양으로 이를 다수 개 절단한 후,
절단된 각각에서 나이프, 포크 등의 실질적인 기능 수행을 위한 형상 제작을 위해 상기 기능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열간장치를 이용하여 열을 가하여 얇게 펴주는 과정(인발)을 실시하게 되고,
얇게 펴진 기능부를 원하는 숟가락 또는 나이프 등의 형상에 맞도록 성형하거나 절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최종적으로 표면 전체 및 부위부위를 매끄럽게 다듬는 연마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제조방식에서는 열간장치와 같은 고가의 장비가 요구되고, 작업 공정 또한 복잡하고, 특히, 파지부에서의 문양 형성은 열처리 과정을 거쳐 문양을 새기게 되는데 이 경우 기능부까지 열이 전달되어 휘어짐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는 등 물성이 변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품의 고급화를 위해 기능부가 두꺼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운 강판을 사용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파지부에서는 버려지는 부분이 많이 발생되어 재료비 상승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실용실안 제20-2009-0007398호(2009.07.22)『음식용 스푼』의 경우, 음식용 스푼의 손잡이부의 상,하부에 각각 한쌍씩 형성된 장식편을 일체로 가공하여 사용에 의한 분리방지를 하고자 리벳으로 장식편을 손잡이편에 부착하여 주방용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디자인의 미감을 고급화하고자 하였고 삽부와 주방용품 본체를 분리하여 용접하여 제품을 완성시키고 있으나,
상기 공개실용신안에 개시된 용접과정이 본 발명처럼 두께가 다른 각 부분을 연결하고자한 것이 아니고 또한 일체형 식사도구를 제작하기 위한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더욱이 본 발명의 용접과정에서 편의성을 위해 고안된 용접용 지그와 관련해서는 전혀 개시된 바 없어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조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형 식사 도구 제조에 있어 기능부와 성형부를 별도 제작한 후 용접으로 일체시키는 방식으로 인해 공정수를 줄이고 기능부와 같은 특정 형상을 용이하게 성형 및 가공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종래 방식에 비해 강판 전체가 이용되지 않아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한 파지부의 두께에 한정되어 기능부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접과정에 있어서도 용접대상물을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안치시킬 수 있고 고정시킬 수 있어 용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용접지그에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파지부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국적으로는 인건비의 절감, 원가의 절감, 제조 과정 단순화 및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여 동일한 상품성을 가진 제품에 비해 제조 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파지부와 음식물과 접촉되어 음식물을 담거나 커팅하는 기능부가 일체로 형성된 식사도구에 있어서,
두께가 서로 상이한 파지부와 기능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각각 마련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완성된 파지부의 일단과 이와 연결 형성될 기능부의 일단끼리의 용접을 위해 파지부와 기능부를 용접용 지그에 장착시키는 장착단계와,
상기 지그에 장착된 파지부의 일단과 이와 연결 형성될 기능부의 일단을 용접하여 일체시키는 용접단계와, 그리고
상기 용접완료된 후 용접된 부위를 매끄럽게 다듬는 가공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준비단계에서는 파지부의 외주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단계에 사용된 상기 용접용 지그는,
기능부가 안착되는 기능부용 안치부와 파지부가 안착되는 파지부용 안치부가 일체되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용 안치부의 상면에는 안착된 파지부의 좌우 흔들림 방지를 위하여 파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양 측에서 돌출형성되어 파지부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용 안치부 후단에는 다양한 길이를 가진 파지부의 안치가 가능하도록 한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부와 성형부의 필요한 형상 및 디자인을 별도 사전 개별적으로 성형시킨 후 이들을 간단히 용접시킴으로써 일체형 식사도구를 완성하게 되고,
특히 용접과정에 있어 파지부를 지그에 흔들림없고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길이를 가진 파지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공정수가 줄거나 가공 및 성형 작업이 용이해져 전반적인 작업이 수월해졌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좋아졌고,
궁극적으로는 동일한 상품성을 가지는 제품을 저가로 공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나이프, 포크, 숟가락 등과 같이 식사에 사용되는 일체형 식사도 구를 보다 용이하게 생산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비롯한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식사 도구 중 나이프에 한정을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파지부는 그대로 파지부라는 용어를 사용하되, 기능부는 커팅부로 명하에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두께가 서로 상이한 파지부(10)와 커팅부(기능부)(20)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각각 마련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완성된 파지부의 일단과 이와 연결 형성될 커팅부의 일단끼리의 용접을 위해 파지부와 커팅부를 용접용 지그(30)에 장착시키는 장착단계와,
상기 지그에 장착된 파지부(10)의 일단과 이와 연결 형성될 커팅부(20)의 일단을 용접하여 일체시키는 용접단계와, 그리고
상기 용접완료된 후 용접된 부위(40)를 매끄럽게 다듬는 가공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기존 방식에서는 파지부의 두께가 3mm가 되는 상품을 원하는 경우 3mm가 되는 판재를 준비하고, 상기 판재를 파지부와 커팅부가 일체로 형성된 나이프를 커팅부의 폭에 맞추어 다수 개 절단을 하여, 파지부에 비해 얇은 두께가 요구되는 커팅부에서는 결국 버려지는 재료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넓은 면적의 판재에 다수 개 필요한 형상을 따내다 보니, 남은 가장자리 부분을 버려야 하는 등 재료 소모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준비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형상과 거의 비슷한 형상으로 파지부(10)와 커팅부(20)를 성형하게 되어, 종래 방식에 비해 재료 사용량을 훨씬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준비단계에서는,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양형상단계에서 형성되는 문양은 파지부(10)에 열을 이용하여 음각 방식으로 형성되는 문양인 것으로 외형적으로 심플한 이미지를 부가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상기와 같은 문양형성단계를 거친다 하더라도 커팅부(20)에는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되어 얇은 두께를 가진 커팅부가 휘게 되어 형태에 변형이 오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용접단계에서 작업자는 용접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상기 문양형성까지 완료된 파지부(10)와 커팅부(20)를 용접용 지그(30)에 장착시키게 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용접용 지그(30)는 기능부가 안착되는 기능부용 안치부(310, 나이프에서는 커팅용 안치부가 되고, 이하 설명에서는 커팅용 안치부라 명함)와 파지부가 안착되는 파지부용 안치부(320)가 일체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파지부용 안치부(320)의 상면에는 파지부가 흔들리지 않고 지지되기 위한 거치대(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는 파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21a)과 상기 삽입홈 양 측에서 돌출형성되어 파지부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32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321)는 상기 파지부용 안치부(320)의 전방에 위치되어 파지부(10)가 커팅부(20)와 용접되는 부위의 근접 부위를 고정하게 되어 용접시 흔들림을 보다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파지부용 안치부 후방에는 다양한 길이를 가진 파지부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323)이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323)은,
상기 파지부용 안치부의 상단에 돌출된 형상으로 장착된 볼트축부(323a)와,
상기 볼트축부를 중심으로 전후로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로드(323b')를 구비한 연장부(323b)와,
상기 볼트축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전후로 이동되는 연장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너트(32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부(323b)의 후단에는 안착되는 파지부의 하단과 접착되어 이를 지지해주기 위한 받침부(323d)가 연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커팅부용 안치부(310)를 살펴보면, 상기 커팅부용 안치부의 상면에는 높이조절수단(315)이 구비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커팅부용 안치부에 안착된 커팅부가 이후 용접될 파지부와의 용접 높이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커팅부의 일면이 거치되는 거치면(315a)과,
상기 거치면의 하부에 형성되고 안치부의 상면에 나사결합된 조절축(315b)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축을 회전시켜 거치면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커팅부용 안치부 상면에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지부용 안치부(320)와 커팅부용 안치부(310)가 일체 형성된 용접용 지그(30)에서
작업자는 파지부용 안치부에 파지부(10)를 거치대의 삽입홈(321a)으로 안치시키되, 파지부의 길이가 길어 안치부 후방 외곽까지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너트(323c)를 풀어 볼트축부(323a)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로드(323b')를 따라 연장 부(323b)를 뒤로 빼내어 파지부 길이까지 이를 연장시킨 후 조절너트(323c)를 다시 조여 고정시킴으로서 파지부를 파지부용 안치부(32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커팅부용 안치부에 커팅부(20)를 안치시키되 파지부용 안치부에 안착된 파지부와의 용접 높이가 상이한 경우 작업자는 상기 거치면 즉 조절축(315b)을 회전시켜 원하는 높낮이로 거치면(315a)을 위치시킨 후 커팅부를 상기 거치면에 안착시켜 파지부와 가까이 위치시킨다.
또한 커팅부용 안치부(320)에는 안치되는 커팅부(20)를 끌어당겨 커팅부(20)를 안치부(320)에 밀착?고정시키는 지지부(316)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316)는 도체를 끌어당기는 자성을 가진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커팅부가 자력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부(316)는 자성을 가진 마그네틱(316b)과 상기 마그네틱(316b)을 지지하는 지지편(316a)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보다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커팅부를 커팅부용 안치부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고, 이후 용접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된 부위를 매끄럽게 다듬게 되는 가공단계가 진행되는데, 상기 가공단계에서는 연삭기와 같은 장치가 사용된다.
즉, 작업자는 용접으로 인해 불균일적으로 형성된 용접부위(40)를 연삭기를 이용하여 용접부위의 양 표면만이 아니라 상단과 하단의 날카로운 부분 또한 함께 가공을 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완성시키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가공공정은 종래의 일체형 식사 도구 제조 방법에서도 필요한 공정이긴 하지만 본 발명에서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계라는 점에서 이점을 가진다.
즉 일체형 식사 도구에 있어 파지부와 커팅부가 연결되는 소위 목부는 가늘게 형성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종래의 방식으로라면 상기 가공 단계 전 목부를 비롯하여 파지부와 커팅부를 커팅하여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밀 커팅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데,
상기 정밀 커팅 공정에서 가늘게 형성되는 목부를 정밀하게 커팅하는 작업은 커팅부와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는 난이도가 있고 작업 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부분이고, 작업자의 숙련 정도에 따라서는 원하는 목부의 형상을 얻지 못해 제품 자체를 파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은 제조 방식을 도입함에 따라 이와 같은 정밀 커팅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종래에 어차피 실시되었던 가공 단계를 진행하면서 상기 가공 단계에서 용접된 자국을 없앨 수가 있게 되어 작업성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체형 식사 도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사 도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용접용 지그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파지부 20: 커팅부(기능부) 30: 용접용 지그 40: 용접부위
310; 기능부용 안치부(커팅부용 안치부) 320: 파지부용 안치부
315: 높이조절수단 315a: 거치면 315b: 조절축
321: 거치대 321a: 삽입홈 321b; 지지편
323: 길이조절수단
323a: 볼트축부 323b: 연장부 323b': 슬라이딩로드부
323c: 조절너트 323d: 받침부
316: 지지부 316a:지지편 316b: 마그네틱

Claims (4)

  1.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파지부와 음식물과 접촉되어 음식물을 담거나 커팅하는 기능부가 일체로 형성된 식사도구에 있어서,
    두께가 서로 상이한 파지부와 기능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각각 마련하는 준비단계;
    상기 완성된 파지부의 일단과 이와 연결 형성될 기능부의 일단끼리의 용접을 위해 파지부와 기능부를 용접용 지그에 장착시키는 장착단계;
    상기 지그에 장착된 파지부의 일단과 이와 연결 형성될 기능부의 일단을 용접하여 일체시키는 용접단계;
    상기 용접완료된 후 용접된 부위를 매끄럽게 다듬는 가공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접용 지그는
    기능부가 안착되는 기능부용 안치부와 파지부가 안착되는 파지부용 안치부가 일체되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용 안치부의 상면에는 안착된 파지부의 좌우 흔들림 방지를 위하여 파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양 측에서 돌출형성되어 파지부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 형성된 거치대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파지부와 기능부가 용접되는 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용 안치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능부용 안치부에는 안치되는 기능부를 끌어당겨 기능부를 안치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지지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는 자성을 가진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을 지지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에서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지그는
    다양한 길이를 가진 파지부의 안치가 가능하도록 한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KR1020090087597A 2009-09-16 2009-09-16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KR10111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97A KR101113320B1 (ko) 2009-09-16 2009-09-16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97A KR101113320B1 (ko) 2009-09-16 2009-09-16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75A KR20110029775A (ko) 2011-03-23
KR101113320B1 true KR101113320B1 (ko) 2012-03-13

Family

ID=4393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597A KR101113320B1 (ko) 2009-09-16 2009-09-16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8956A (zh) * 2022-05-09 2022-07-29 冯彬 一种抗菌不锈钢餐具冲压成型生产线及其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1643A (en) 1976-02-23 1977-08-25 Showa Youkou Kk Method of manufacturing shunk of table knifes
KR20070122279A (ko) * 2006-06-26 2007-12-31 박경조 음식용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0852057B1 (ko) * 2007-06-19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험평가용 점용접기의 시편 지그 장치
KR20090083670A (ko) * 2008-01-30 2009-08-04 유진크레베스 주식회사 양식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1643A (en) 1976-02-23 1977-08-25 Showa Youkou Kk Method of manufacturing shunk of table knifes
KR20070122279A (ko) * 2006-06-26 2007-12-31 박경조 음식용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0852057B1 (ko) * 2007-06-19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험평가용 점용접기의 시편 지그 장치
KR20090083670A (ko) * 2008-01-30 2009-08-04 유진크레베스 주식회사 양식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75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320B1 (ko) 생산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식사도구 제조 방법
JP2013220639A (ja) 竹材加工システム
EP2605690B1 (en) Grill with grill tool holder
CN217453282U (zh) 一种测试盘的棱角处理装置
CN112536665B (zh) 一种不锈钢制品生产用表面处理装置
USD951703S1 (en) Ergonomic handle and utensil holder accessory
CN110583731B (zh) 一种带花边形状刀削面的切削装置
EP0855166A2 (en) Pull-out basket for dishwashing machine
CN208682028U (zh) 一种电脑支架注塑尾料免打磨切除装置
CN105562797B (zh) 一种连接类零件上叉形槽的加工方法
KR200399447Y1 (ko) 음식용구 손잡이
CN107811370B (zh) 一种用于贴合扇子扇面的机器
KR100871450B1 (ko) 공간부가 형성된 음식용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적합한 프레스 기기
CN210790315U (zh) 一种显示屏支架加工用边角磨边装置
CN101347927A (zh) 不锈钢锅手柄花纹喷砂的工艺及产品
CN220259740U (zh) 一种金属盒切边机构
JP3176799U (ja) 刃物研ぎ用装置
CN215967892U (zh) 一种基于家用电器用的外壳修磨设备
CN211640077U (zh) 一种可拆卸式切割机
CN215318026U (zh) 一种加工换网器的磨床工装
CN220334234U (zh) 一种整纸机的夹持机构
CN219419800U (zh) 一种接线辅助装置
KR102109354B1 (ko) 기물의 외주면 장식을 보호하는 철판 가공방법
KR101556667B1 (ko) 표면 가공용 연마장치
CN212526500U (zh) 一种多产品兼容的打标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