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256B1 - Seat lift - Google Patents

Seat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256B1
KR101113256B1 KR1020110062323A KR20110062323A KR101113256B1 KR 101113256 B1 KR101113256 B1 KR 101113256B1 KR 1020110062323 A KR1020110062323 A KR 1020110062323A KR 20110062323 A KR20110062323 A KR 20110062323A KR 101113256 B1 KR101113256 B1 KR 101113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hain
motor
sea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경진
고철웅
조덕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6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2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2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seat lift for transferring disables is provided to minimize management cost by preventing damages and minimize production cost by applying simple structure. CONSTITUTION: A seat lift for transferring disables comprises a drive module and a post(210). The drive module comprises a motor(110), a chain unit, and a clutch(130). The motor generates driving force by spinning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seat can be transferred. The chain unit includes a drive sprocket wheel in which revolves by driving force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motor, a chain which revolves as one side of the chain engages with the drive sprocket wheel, a pair of chain parts which spins by the driving force which is transmitted by the drive sprocket wheel. The post elevates and descend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hain.

Description

시트 리프트 {Seat Lift}Seat Lift {Seat Lif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을 이동시키는 기구에 적용되는 리프트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와 체인부 사이에 클러치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와 체인부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할 때 상기 모터 또는 체인부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쇄시켜 파손을 방지하는 시트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 applied to the mechanism for moving the elderly or disabled disabled, more specifically, having a clutch between the motor and the chain portion when operating only one of the motor and the chain portion in the motor or chain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lift that cancel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to prevent breakage.

최근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의 이동 수단 또는 이들을 위한 목욕 보조 기구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구에는 노약자나 장애인들이 앉을 수 있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가 적용된다.In recent years, the mobility of the elderly or disabled people with inconvenience or bath aids for them are widely used. Such a device is applied to a seat for the elderly or disabled and a lif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seat.

종래의 시트 리프트는 주로 유압식이나 볼스크류 타입이 주를 이루었다.Conventional seat lifts are mainly hydraulic or ball screw type.

그러나, 상기 유압식 시트 리프트는 가스 또는 액체를 압축해야 하므로 제작비가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 유압식 시트 리프트는 유압봉에 주입된 가스에 질소 이외의 다른 기체가 섞여있을 경우, 또는 유압봉 내의 압력이 낮은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있었다.However, the hydraulic seat lif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because the gas or liquid must be compressed. In addition, the gas hydraulic seat lift has a risk of explosion when gas other than nitrogen is mixed in the gas injected into the hydraulic rod, or when the pressure in the hydraulic rod is low.

그리고, 볼스크류 타입의 시트 리프트는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나사와 암나사 사이에 다수의 강구를 포함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볼 스크류 자체가 고가이므로 제작비가 많이 들고, 상기 볼스크류가 파손되었을 시 유지 및 보수의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all screw type seat lif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ive stably and have a simple structure. However, the ball screw itself is expensive by converting a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mo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teel ball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threads.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st of maintenance and repair when the ball screw is broken.

따라서, 제작비와 유지 및 보수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트 리프트의 개발이 요구되어왔다.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eat lift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costs for maintenance and repai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적용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시트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lift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applying a simple configuration.

둘째, 본 발명은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트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econd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lift that can prevent damage and minimize the cost of maintenance and repai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 체인부, 클러치를 포함하는 구동모듈과 포스트로 이루어지는 시트 리프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t lift consisting of a motor, a chain portion, a drive module including a clutch and a post.

상기 모터는 상기 시트가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or is preferably made to generate a driving force by rotat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so that the seat can be raised or lowered.

상기 체인부는 다시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 일측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맞물려 회전하는 체인, 상기 체인에 의하여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스프로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인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in part includes a driving sprocket for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and rotating it, a chain on one side engaged with the driving sprocket, and a driven sprocket for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procket by the chain.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in portion consists of a pair.

상기 클러치는 상기 모터와 체인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지 않을 때 슬립됨으로써 회전력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lutch serves to cancel the rotational force by slipping when either the motor and the chain do not rotate.

상기 포스트는 일측이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며 시트를 이동시킨다.One side of the post is coupled to the chain to move the seat up or dow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hain.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모터와 하부캠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캠과 하부캠의 단면이 상시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module preferably includes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motor and the lower cam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cam and the lower cam is always engaged.

또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클러치와 체인부 사이에 위치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변환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e module may include a gearbox located between the clutch and the chain portion. The gearbox includes a plurality of gears for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convert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이 때, 상기 구동 스프로킷은 상기 기어박스의 회전축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rive sprocke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gear box.

상기 포스트는 상기 체인이 이동할 때 상기 포스트가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와 상기 체인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의 양단은 상기 체인의 홈에 끼워져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포스트와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st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for coupling the post and the chain such that the post may be lifted or lowered together when the chain moves. Both ends of the fastening member are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hain and fastened with bolts.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post and the bol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는 내부에 상기 구동모듈이 위치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포스트가 위치하는 홀이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inner frame in which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drive module is located is formed, and the hole in which the post is located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상기 내부 프레임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 스프로킷은 상기 내부 프레임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frame is fixed, the driven sprocket is preferably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formed in the inner frame.

그리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홀과 상기 포스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의 승강과 하강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부 프레임과 상기 포스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홀과 포스트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에 따른 상기 포스트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포스트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post is provided between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and the post to prevent damage to the inner frame and the post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ost, between the hole and the post It may further include a post ring for preven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ost according to the existing pl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에 따르면, 상기 내부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에 대하여 리프팅 가능하도록 내부의 일측이 상기 포스트와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at lif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frame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frame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post to be lif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상기 외부 프레임은 상기 포스트와 결합되어 상기 포스트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frame is coupled to the post is preferably made possible to lift or lower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ost.

그리고,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측에는 시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a shee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fra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시트 리프트의 일부에 상기 포스트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구동모듈의 구동이 멈추도록 이루어지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seat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configured to stop driving of the drive module when the post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시트 리프트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seat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 시트 리프트에 의하면 체인의 이동에 따라 시트를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seat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raise or lower the sea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ain, the structure is simp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둘째, 본 발명 시트 리프트에 의하면 모터와 체인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때 회전력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모터와 체인부 사이에 클러치를 구비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따라서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고 그 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Secondly, according to the seat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utch is provided between the motor and the chain part so as to offset the rotational force when one of the motor and the chain is not operated, thereby preventing breakage, and thus the maintenance and repair are simple and the cost is high. There is an effect that is minimiz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장치를 예시하기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의 구동모듈과 포스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가 승강 또는 하강할 때 클러치가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가 정지할 때 클러치가 슬립되면서 회전력을 상쇄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의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의 포스트에 포스트링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The above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below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and the post of the seat lif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clutch is engaged to rotate when the seat lift is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utch cancels the rotational force while the seat lift sto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t lif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 ring coupled to the post of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의 구동모듈(100)와 포스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100 and the post of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의 기본구성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는 구동모듈(100)와 포스트(2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dule 100 and a post 210,

상기 구동모듈(100)는 시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크게 모터(110), 체인부(120), 클러치(130)를 포함한다,The drive module 100 includes a motor 110, a chain part 120, and a clutch 130 as a part providing power to the seat.

상기 모터(110)는 상기 시트가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or 110 is preferably made to generate a driving force by rotat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so that the seat can be raised or lowered.

상기 체인부(120)는 다시 상기 모터(1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122), 일측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122)과 맞물려 회전하는 체인(124), 상기 체인(124)에 의하여 상기 구동 스프로킷(12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스프로킷(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체인부(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더욱 안정적인 구동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의 시트 리프트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의 비용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The chain part 120 is driven again by the drive sprocket 122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110, one side is engaged with the drive sprocket 122, the chain 124, by the chain 124 It comprises a driven sprocket 126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procket 122. At this time, the chain portion 120 is preferably made of a pair to make a more stable drive.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a simple struct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eat lift, and the cost of maintenance and repair can also be minimized.

상기 클러치(130)는 상기 모터(110)와 체인부(120)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지 않을 때 슬립됨으로써 회전력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러치(130)는 마찰로 동력을 끊어주는 마찰 클러치(13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모터(110) 또는 상기 체인부(120)의 동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The clutch 130 serves to cancel the rotational force by slipping when any one of the motor 110 and the chain portion 120 does not rotate. The clutch 130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friction clutch 130 that cuts off the power by friction, any one that can offset the power of the motor 110 or the chain portion 120 can be applied. .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러치(130)가 단면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 상부에 위치하는 캠을 상부캠(132), 하부에 위치하는 캠을 하부캠(134)이라 칭하기로 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that the clutch 130 is made of a cross-section cam.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m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ing will be referred to as the upper cam 132 and the cam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will be referred to as the lower cam 134.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가 승강 또는 하강할 때 클러치가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clutch is engaged to rotate when the seat lift is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캠(132)과 하부캠(134)은 마주보는 단면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듈(100)가 작동할 때 상기 상부캠(132)과 하부캠(134)의 단면이 서로 맞물려 상기 모터(1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2a, the upper cam 132 and the lower cam 134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facing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driving module 100 operates, end surfaces of the upper cam 132 and the lower cam 134 mesh with each other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110.

상기 포스트(210)는 일측이 상기 체인(124)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24)의 이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며 시트를 이동시킨다. 상기 포스트(210)는 시트에 사람이 앉았을 때 상기 시트와 사람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210)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시키는 체인(124) 또한 포스트(2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충분한 장력을 가지는 체인(124)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side of the post 210 is coupled to the chain 124 to move the seat up or down as the chain 124 moves. The post 210 serves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and the load of the person when a person sits on the seat,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In addition, the chain 124 supporting the post 210 and moving up and down is also preferably applied to the chain 124 having sufficient tension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to the post 210.

상기 구동모듈(100)는 상기 모터(110)와 하부캠(13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캠(132)과 하부캠(134)의 단면이 상시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40)에는 압축스프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클러치(130)가 상시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The driving module 100 is provided between the motor 110 and the lower cam 134 elastic member 14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cam 132 and the lower cam 134 is always engag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compression spring is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140, but any one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 clutch 130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constantly engaging direc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가 정지할 때 클러치가 슬립되면서 회전력을 상쇄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utch cancels the rotation force when the seat lift sto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듈(100)가 작동할 때에는 상기 모터(110)와 클러치(130)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체인(124)과 모터(110)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이 멈추었을 때에는 상기 상부캠(132)과 하부캠(134)의 단면 곡선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하부 캠이 상하로 이동하고, 이 때 상기 상부캠(132)과 하부캠(134)의 단면이 발생시키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이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인(124)과 모터(110) 중 어느 하나의 일방적인 회전에 따른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지, 보수 및 관리 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As shown in FIG. 2B, when the driving module 100 operates, the motor 110 and the clutch 130 rotate together, and the operation of any one of the chain 124 and the motor 110 is stopped. When the lower cam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ross-sectional curve of the upper cam 132 and the lower cam 134,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y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cam 132 and the lower cam 134 at this time The rotational force can be offset b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components due to one-way rotation of the chain 124 and the motor 110,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maintenan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듈(100)는 상기 클러치(130)와 체인부(120) 사이에 위치하는 기어박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150)는 상기 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변환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driving module 100 may include a gear box 150 positioned between the clutch 130 and the chain part 120. The gear box 150 includes a plurality of gears for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10 to convert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그리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122)은 상기 기어박스(150)의 회전축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sprocket 122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gear box 150.

상기 포스트(210)는 상기 체인(124)이 이동할 때 상기 포스트(210)가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210)와 상기 체인(124)을 결합하는 체결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12)의 양단은 상기 체인(124)의 홈에 끼워져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12)는 상기 포스트(210)와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재(212)의 체결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체인(124)의 운동을 상기 포스트(210)에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형태로든 결합 가능하다.The post 210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212 that couples the post 210 and the chain 124 so that the post 210 may be raised or lowered together when the chain 124 moves. have. Both ends of the fastening member 212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hain 124 is fastened by a bolt.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212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post 210 and the bolt. However,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member 21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bined in any form as long as the fastening member 212 may transmit the movement of the chain 124 to the post 21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t lif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는 내부에 상기 구동모듈(100)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포스트(210)가 위치하는 홀이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3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in the seat lif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spac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100 is located is formed, and a hole in which the post 210 is located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ner frame (300).

상기 내부 프레임(300)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 스프로킷(126)은 상기 내부 프레임(300)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스트(210)는 상기 내부 프레임(300)의 상부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상기 체인(124)의 이동에 따른 상기 포스트(210)의 승강 도는 하강에 있어서 상기 홀이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frame 300 is fixed, the driven sprocket 126 is preferably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formed in the inner frame 300. In addition, the post 210 may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300 so that the elevation of the post 21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ain 124 may be formed so that the hole serves as a guide. hav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의 포스트에 포스트링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 ring coupled to the post of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의 포스트(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프레임(300)의 상부에 형성된 홀과 상기 포스트(2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210)의 승강과 하강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부 프레임(300)과 상기 포스트(2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홀과 포스트(210)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에 따른 상기 포스트(210)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포스트링(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Post 210 of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300 and the post 210 as shown in Figure 4 of the post 210 The inner frame 300 and the post 210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friction force caus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post 210 according to the clearance between the hole and the post 210 are prevented. It may further include a post ring 214 to prev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에 따르면, 상기 내부 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300)에 대하여 리프팅 가능하도록 내부의 일측이 상기 포스트(210)와 결합되는 외부 프레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프레임(400)은 상기 포스트(210)와 결합되어 상기 포스트(2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프레임(400)의 외측에는 시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시트는 상기 외부 프레임(400) 없이 상기 포스트(210)의 상부에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ide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frame 300 and the outer side is coupled to the post 210 so as to be able to lift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300. The frame 400 may further include. The outer frame 400 is coupled to the post 210 is preferably made possible to lift or lower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ost (21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heet is installed outside the outer frame 4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ee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210 without the outer frame 400 so as to be lifted or lowere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시트 리프트의 일부에 상기 포스트(210)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구동모듈(100)의 구동이 멈추도록 이루어지는 스톱퍼(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160)는 상기 내부 프레임(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210)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포스트(210)가 상기 스톱퍼(160)에 걸려 더 이상 승강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stop the driving of the drive module 100 when the post 210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in a portion of the seat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160 may further include. The stopper 16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frame 300 so that the post 210 is not caught by the stopper 160 when the post 210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have.

또한, 상기 스톱퍼(160)는 일종의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포스트(210)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듈(100)의 작동을 멈추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스톱퍼(16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포스트(210)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구동모듈(100)의 구동을 멈출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topper 160 is made of a kind of sensor, when the post 210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made so that the sensor detects thi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dule 100. However, the stopper 16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ne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stopper 160 may stop driving of the driving module 100 when the post 210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앞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프트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So far, the configuration of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a process of operating the seat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모터(110)의 회전축상에 위치하는 기어박스(150)가 작동한다. 이 때, 상기 모터(110)와 기어박스(150) 사이에 위치하는 클러치(130)의 단면이 서로 맞물려 상기 클러치(130)는 상기 기어박스(150)에 상기 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150)는 상기 모터(110)의 회전력의 방향과 속도를 변환하여 상기 구동 스프로킷(122)에 전달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122)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 스프로킷(122)에 맞물려 이동하는 체인(124) 또한 이동하며, 상기 체인(124)에 일측이 결합된 상기 포스트(210)가 승강한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210)의 타측에 결합된 상기 외부 프레임(400)이 승강하며 상기 시트를 승강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tor 1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gear box 150 locat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110 operates.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s of the clutch 130 positioned between the motor 110 and the gearbox 1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lutch 130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10 to the gearbox 150. . In addition, the gearbox 150 converts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10 and transmits the speed to the driving sprocket 122. When the driving sprocket 122 rotates, the chain 124 meshed with the driving sprocket 122 also moves, and the post 2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chain 124 is lifted. Therefore, the outer frame 40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st 210 ascends and elevates the seat.

한편, 상기 포스트(210)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스톱퍼(160)에 의해 상기 체인(124)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 때, 상기 스톱퍼(160)가 상기 포스트(210)가 일정 높이에 도달했을 때 상기 체인(124)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상기 체인(124)의 이동이 정지된 후 상기 기어박스(150)의 작동이 멈추고, 마지막으로 모터(110)가 멈추게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t 210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the movement of the chain 124 by the stopper 160 is limited. At this time, if the stopper 160 is configured to physically limit the movement of the chain 124 when the post 210 reaches a certain height, the gearbox (S) after the movement of the chain 124 is stopped. The operation of 150 will stop, and finally the motor 110 will stop.

그리고, 상기 스톱퍼(160)가 상기 포스트(210)가 일정 높이에 도달했을 때 상기 모터(110)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센서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모터(110)가 멈춘 후 상기 기어박스(150), 체인(124)의 순서로 작동이 멈추게 될 것이다.And, if the stopper 160 is made of a senso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0 when the post 210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the gear box 150 after the motor 110 is stopped , The operation will be stopped in the order of the chain (124).

이 때, 상기 기어박스(150)와 모터(110) 중, 상기 기어박스(150)의 작동이 먼저 정지된다면 상기 기어박스(150)의 정지력이 모터(110)에 전달되는 동안 상기 모터(110)의 회전이 잔류하여 상기 기어박스(150) 내의 기어가 파손될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110)의 작동이 먼저 정지된다면, 상기 모터(110)의 정지력이 상기 기어박스(150)에 전달되는 동안 상기 기어박스(150)의 회전이 잔류하여 상기 체인(124)이 파손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110)와 기어박스(150) 사이에 클러치(130)를 구비하면, 상기 기어박스(150)와 모터(110)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이 정지되었을 때 상기 클러치(130)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잔류하는 회전력이 상쇄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듈(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operation of the gearbox 150 is stopped first of the gearbox 150 and the motor 110, the motor 110 while the stopping force of the gearbox 150 is transmitted to the motor 110. Rotation of) will damage the gears in the gearbox 150. In addition, if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0 is stopped first, the rotation of the gearbox 150 remains while the stopping force of the motor 110 is transmitted to the gearbox 150, so that the chain 124 It will be broken. To prevent this, if the clutch 130 is provided between the motor 110 and the gearbox 150, the clutch 130 when the operation of any one of the gearbox 150 and the motor 110 is stopped. The remaining torque will be counteracted by the friction occurring at the cross section of. Therefore, damage to the drive module 100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모터(1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모터(1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와 반대로 상기 포스트(210)의 하강이 이루어질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motor 11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ost 210 will be lowered as opposed to when the motor 1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구동모듈 110 : 모터
120 : 체인부 122 : 구동 스프로킷
124 : 체인 126 : 종동 스프로킷
130 : 클러치(단면캠) 132 : 상부캠
134 : 하부캠 140 : 탄성부재
150 : 기어박스 160 : 스톱퍼
210 : 포스트 212 : 체결부재
214 : 포스트링 300 : 내부 프레임
400 : 외부 프레임
100: drive module 110: motor
120: chain portion 122: drive sprocket
124: chain 126: driven sprocket
130: clutch (section cam) 132: upper cam
134: lower cam 140: elastic member
150: gearbox 160: stopper
210: post 212: fastening member
214: post ring 300: inner frame
400: outer frame

Claims (12)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시트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 일측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맞물려 회전하는 체인, 상기 체인에 의하여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체인부; 및
상기 모터와 체인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지 않을 때 슬립됨으로써 상기 모터 또는 상기 체인의 회전력을 상쇄시키는 클러치;
를 포함하는 구동모듈; 및
일측이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포스트;
를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A motor that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seat movement;
A chain part including a driving sprocket rotating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a chain on one side engaged with the driving sprocket, and a driven sprocket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procket by the chain; And
A clutch that slips when one of the motor and the chain does not rotate to cancel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or the chain;
A drive module comprising a; And
A post coupled to one side of the chain to move up or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ain;
Seat lift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클러치와 모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가 상시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module,
And a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clutch and the moto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lutch is always engag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변환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와 체인부 사이에 위치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module,
A seat lift comprising a plurality of gears for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convert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the gearbox located between the clutch and the chai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체인이 이동할 때 상기 포스트가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와 상기 체인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t,
And a fastening member for engaging the post and the chain such that the post can be raised or lowered together when the chain is moved.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구동모듈이 위치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포스트가 위치하는 홀이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inner fram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is located is formed, and an hole in which the post is located is formed therei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홀과 상기 포스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의 승강과 하강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부 프레임과 상기 포스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스트링을 더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st,
And a post ring provided between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and the post to prevent the inner frame and the post from being damaged by the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pos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에 대하여 리프팅 가능하도록 내부의 일측이 상기 포스트와 결합되며, 외부의 일측에 시트가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6. The method of claim 5,
A seat lifter comprising an outer frame,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post and positioned on an outer side of the inner frame so as to be lifted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and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구동모듈의 구동이 멈추도록 이루어지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topper configured to stop driving of the driving module when the post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in portion,
A pair of seat lifts.
시트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과 연결된 하부캠과 상기 하부캠과 면접촉되는 상부캠을 포함하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의 타측에 연결된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에 결합된 구동 스프로킷;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체인 연결된 종동 스프로킷; 및
상기 체인과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스트
를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A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seat movement;
A clutch including a lower cam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tor and an upper cam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ower cam;
A gear box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lutch;
Drive sprocket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earbox;
A driven sprocket chained to the drive sprocket; And
The post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chain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hain
Seat lift comprising a.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캠 및 하부 캠은,
원통 바디부와 상기 상부 캠과 상기 하부 캠이 서로 맞닿는 면은 일부가 곡면을 갖는 시트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 cam and the lower cam,
A seat lift surface of which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and the surface where the upper cam and the lower cam abut each other has a curved surfa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하부 캠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시트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compression spring positioned between the motor and the lower cam.
KR1020110062323A 2011-06-27 2011-06-27 Seat lift KR1011132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323A KR101113256B1 (en) 2011-06-27 2011-06-27 Seat l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323A KR101113256B1 (en) 2011-06-27 2011-06-27 Seat li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256B1 true KR101113256B1 (en) 2012-02-20

Family

ID=4584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323A KR101113256B1 (en) 2011-06-27 2011-06-27 Seat 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2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434B1 (en) 2018-10-11 2019-04-09 (주)하이탑 Method of preparing flooring composition
KR101967433B1 (en) 2018-10-11 2019-08-13 (주)하이탑 Flooring composi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571A (en) 2003-03-10 2004-09-30 Advanfit Inc Wheelchair apparatus and its chair body
KR100468129B1 (en) 2002-03-21 2005-01-26 김덕철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dus for chairs
JP2006158964A (en) 2004-11-12 2006-06-22 Yuichi Kinoshita Lifting unit
KR100961543B1 (en) 2008-06-30 2010-06-07 서일대학산학협력단 Seat-element going up and coming down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129B1 (en) 2002-03-21 2005-01-26 김덕철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dus for chairs
JP2004267571A (en) 2003-03-10 2004-09-30 Advanfit Inc Wheelchair apparatus and its chair body
JP2006158964A (en) 2004-11-12 2006-06-22 Yuichi Kinoshita Lifting unit
KR100961543B1 (en) 2008-06-30 2010-06-07 서일대학산학협력단 Seat-element going up and coming down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434B1 (en) 2018-10-11 2019-04-09 (주)하이탑 Method of preparing flooring composition
KR101967433B1 (en) 2018-10-11 2019-08-13 (주)하이탑 Flooring composi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6171B2 (en) Embedded safety elevator
KR101113256B1 (en) Seat lift
CN101792084A (en) Energy-saving environment-friendly double-power lift
CN108557691B (en) Anti-falling lifting device and anti-falling method thereof
CN205471039U (en) Automatic intelligent lifting machine device of packing cupboard
CN112960594B (en) Lifting device, positioning equipment and chamber equipment
CN104843565A (en) Hand-cranking lifting-type elevator
CN216112858U (en) Lifting device, positioning equipment and chamber equipment
CN217355447U (en) One-way self-locking device for linear driving mechanism and linear driving mechanism
CN114852819B (en) Sheet-mounted hoistway construction lifter
CN107857184B (en) Power-off leveling device of screw elevator for villa
CN203624392U (en) Bucket chain transmission mechanism for dehydrating bucket elevator
CN211871079U (en) Elevator maintenance safety device
CN210064866U (en) Half-open nut type in-building straight ladder directly driven by motor
CN214928230U (en) Ink stack lifting adjusting mechanism
CN210594839U (en) Direct-drive structure of lifting platform
CN208150866U (en) A kind of novel single driving synchronous lifting device
CN210420294U (en) Lifting adjusting system for steel collar and yarn guide ring of small spinning frame
CN203976303U (en) The bay-lift table top of energy translation
CN217603139U (en) Long-distance spiral carrying device
CN201280420Y (en) Transmission mechanism of hoister for high-speed elevation work cradle
KR101182964B1 (en) The elevator to use the rail pillar
CN201777826U (en) Purely electric drive scissor elevator
CN214732557U (en) Conveying mechanism of return plate lifter
CN210635643U (en) Lifting machine based on cycloidal pin gear speed redu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