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971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onnecting by third party cal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onnecting by third party c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971B1
KR101112971B1 KR1020110117049A KR20110117049A KR101112971B1 KR 101112971 B1 KR101112971 B1 KR 101112971B1 KR 1020110117049 A KR1020110117049 A KR 1020110117049A KR 20110117049 A KR20110117049 A KR 20110117049A KR 101112971 B1 KR101112971 B1 KR 101112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ing
called terminal
state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태형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10117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9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9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3Click to dia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calling service system of a third party call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fficiently reduce a waiting time of a caller by calling a receiving terminal first. CONSTITUTION: A call request receiving unit(410) receives a request for making a call through a end-user terminal. A terminal calling unit(420) calls a receiving terminal following the request. The terminal calling unit calls a calling terminal depending on a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A call connecting unit(440) connects a call between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Description

효율적인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ONNECTING BY THIRD PARTY CALL}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fficient Three-way Calling System Dial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ONNECTING BY THIRD PARTY CAL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효율적인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ffective three-way calling service.

인터넷상에서 전화 걸기 버튼을 선택했을 때, 발신 전화기와 착신 전화기를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는, 보통 클릭투다이얼(click to dial) 또는 클릭투콜(click to call)이라 불리며, 일부 포털 사이트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한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기술에서는 보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발신과 착신 전화기에 전화를 걸어서 통화를 연결시켜주는 삼자 통화(third party call) 연결 방식으로 제공된다.The service that connects the outgoing phone with the incoming phone when the dial button is selected on the Internet is usually called click to dial or click to call, and is limited in some portal sites or Internet sites. The service is being provided. In the prior art for providing such a service is usually provided by a third party call connection method that connects the call by dialing the calling and incoming phone in the system providing the service.

삼자 통화 연결 방식의 과정은 보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먼저 발신 전화기를 호출한 후, 발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으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착신 전화기를 호출한다. 이때, 착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으면 발신 이용자의 전화기와 같은 발신 단말기와 착신 이용자의 전화기와 같은 착신 단말기간에 통화가 연결되어 발신 이용자와 착신 이용자간의 통화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발신 이용자는 착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을 때까지 대기 상태에서 기다려야만 한다.In the three-way call connection process, the calling telephone is first called by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then when the calling user answers the call, the called telephone is called by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At this time, when the called user receives a call, a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such as the calling user's telephone and the called terminal such as the called user's telephone, thereby enabling a call between the calling user and the called user. In this case, the calling user must wait in the waiting state until the called user answers the call.

즉, 발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은 후, 착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기까지 수 초에서 수십 초까지 시간이 경과하게 된다. 이때, 발신 이용자 입장에서는 착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기까지 기다려야 하거나 착신 이용자가 통화중 상태일 경우 전화를 끊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만약 서비스 제공자가 통신 사업자 망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 연결 후 착신 단말기를 연결할 때까지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일 경우 발신 단말기로의 연결은 의미가 없게 되며 발신 단말기로의 불필요한 통화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통신망의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after the calling user receives the call, time passes from several seconds to several tens of seconds before the called user receives the call.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lling user has to wait until the called user receives the call or hang up when the called user is busy. In addition, from a service provider's point of view, if a service provider provides a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telecommunications provider network,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call costs must be paid until the caller terminal connects to the called terminal. If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the connection to the calling terminal becomes meaningl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call costs to the calling terminal are caused and resource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are wasted.

본 명세서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Provided herein is a system and method for more efficiently providing a three-way phone dialing service.

착신 단말기를 먼저 호출하는 방식을 통해,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통화 비용을 절감하여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방지하며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By calling the destination terminal first, a three-way dialing service that not only reduces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but also reduces the call cost of the service provider to prevent unnecessary call costs and utilizes the resources of the network more efficiently. A provision system and method are provided.

착신 단말기를 먼저 호출하고, 기설정된(predetermined) 대기 시간 후 발신 단말기를 호출함으로써,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통화 비용을 절감하여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방지하며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By calling the called terminal first and calling the calling terminal after a preset waiting time, it not only reduces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but also reduces the call cost of the service provider, thus preventing unnecessary call costs and more efficient use of the resources of the network. Provided i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hree-way dialing service.

기설정된 대기 시간에 착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는 경우, 대기 시간과 관계없이 바로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여,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통화 비용을 절감하여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방지하며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When the called user receives a call at the preset waiting time, the calling terminal is called immediately regardless of the waiting time, which not only reduces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but also reduces the call cost of the service provider to prevent unnecessary call costs. Provided ar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hree-way phone calling service that can utilize resources more efficiently.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착신 이용자가 통화중인 경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바로 서비스 이용자에게 에러를 표시하고 서비스를 종료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통화 비용을 절감하여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방지하며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When the called user is busy or an error occurs during the preset waiting time, an error is immediately displayed to the service user and the service is terminated,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the service user and reducing the call cost of the service provid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aling service using a three-way calling method,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and utilize resources of a communication network more efficiently.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Provided i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hree-way dialing service for minimizing waiting time of a calling user and improving service satisfaction.

삼자 통화(third party call)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발생하는 전화 걸기 요청을 수신하는 전화 걸기 요청 수신부, 전화 걸기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말기 호출부 및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는 PC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 등 유/무선 인터넷과의 연결이 가능한 모든 장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는 이러한 단말기 상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상에서 제공되는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단말기가 방문한 웹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등을 통해 전화 걸기 요청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hird party call dialing service, a call reque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all request generated through a terminal of a service user, and calling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 call request; , A terminal providing unit for calling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a state of a called terminal and a call providing unit for connecting a call between a called terminal and a calling terminal is provided. Here, the terminal of the service user may include one of all devices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such as a mobile terminal as well as a PC. In this case, the service user may generate a call request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terminal, a web application provided on the web, or a service provided on a web page visited by the terminal.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 호출부는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벨 울림(ringing)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한 이후에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terminal caller may call the called terminal, and check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to call the calling terminal after waiting for a preset waiting time when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ringing (ringing) state. .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호출한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응답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호출부는 기설정된 대기 시간 내에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설정된 대기 시간과 관계 없이 바로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response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n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alled terminal is received within the preset waiting time, the terminal calling unit may directly call the calling terminal regardless of the preset waiting tim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은 발신 전화기의 발신 전화망 및 착신 전화기의 착신 전화망과 연동된 ITSP(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망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n outgoing telephone network of the outgoing telephone and an 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ITSP) network interworking with the incoming telephone network of the incoming telephon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 호출부는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인 경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데이터를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전송 후, 전화 걸기 서비스가 종료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terminal calling unit calls the called terminal, and check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to provide data for notifying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when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It can transmit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user. At this time, after the data is transmitted, the dialing service may be terminated.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발생하는 전화 걸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화 걸기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a three-way calling metho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call request generated through a terminal of a service user, calling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 call request, and call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There is provided a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alling a terminal and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착신 단말기를 먼저 호출하는 방식을 통해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통화 비용을 절감하여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방지하며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By calling the called terminal first, not only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can be reduced, but also the cost of the service provider can be reduced,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call costs and utilizing the resources of the network more efficiently.

착신 단말기를 먼저 호출하고, 기설정된 대기 시간 후 발신 단말기를 호출함으로써,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통화 비용을 절감하여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방지하며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By calling the called terminal first and calling the calling terminal after a preset waiting time, it not only reduces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but also reduces the call cost of the service provider, thus preventing unnecessary call costs and utilizing the resources of the network more efficiently. have.

기설정된 대기 시간에 착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는 경우, 대기 시간과 관계없이 바로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여,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통화 비용을 절감하여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방지하며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When the called user receives a call at the preset waiting time, the calling terminal is called immediately regardless of the waiting time, which not only reduces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but also reduces the call cost of the service provider to prevent unnecessary call costs. Use resources more efficiently.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착신 이용자가 통화중인 경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바로 서비스 이용자에게 에러를 표시하고 서비스를 종료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의 통화 비용을 절감하여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방지하며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When the called user is busy or an error occurs during the preset waiting time, an error is immediately displayed to the service user and the service is terminated,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the service user and reducing the call cost of the service provider. It is possible to use the network resources more efficiently.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Servic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가 벨 울림 상태인 경우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인 경우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hree-way phone dial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service providing method when the called terminal is in a ring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service providing method when a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제1 통신망(110) 내지 제4 통신망(140), 발신 단말기(150) 및 착신 단말기(160)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hree-way phone dial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llustrates a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10 to a fourth communication network 140, a calling terminal 150, and a called terminal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삼자 통화(Third party call)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통신망(110) 및 제2 통신망(120)과 연동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provides a dialing service of a third party call method. First,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interwork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20.

이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통신망(110)을 통해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망(110)은 인터넷망일 수 있다. 이 경우, 유/무선 인터넷과의 연결이 가능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가 전화 걸기를 요청하면, 인터넷망인 제1 통신망(110)을 통해 전화 걸기 요청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이용자는 발신 단말기(150)의 발신 이용자와 동일 이용자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이용자일 수도 있다. 여기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는 PC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 등 유/무선 인터넷과의 연결이 가능한 모든 장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는 이러한 단말기 상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상에서 제공되는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단말기가 방문한 웹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등을 통해 전화 걸기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전화 걸기를 요청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 이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화 걸기를 요청하거나 제공된 웹사이트에 방문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웹사이트에 설정된 링크 등을 통해 전화 걸기를 요청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receive a three-way call dialing reques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10.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be an internet network. In this case, when a service user requests a call through a terminal of a service user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a call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10, which is an internet network. Can be. Here, the service user may be the same user as the calling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50, or may be different users. Here, the terminal of the service user may include one of all devices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such as a mobile terminal as well as a PC. In this case, the service user may request a call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terminal, a web application provided on the web, or a service provided on a web page visited by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provide an application, a web application, or a website including a 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a call over the Internet, and the service user may access the Internet provided through a terminal. The user can download a call and make a call through the application's user interface or visit a provided website and request a call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web application or through a link established on the website.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2 통신망(120)을 통해 발신 단말기(150) 또는 착신 단말기(160)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망(120)은 ITSP(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망일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망(120)은 다시 발신 단말기(150)가 이용 가능한 제3 통신망(130) 및 착신 단말기(160)가 이용 가능한 제4 통신망(140)과 각각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통신망(130)은 발신 전화망일 수 있고, 제4 통신망(140)은 착신 전화망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call the calling terminal 150 or the called terminal 16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20.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be an 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ITSP) network. In this case,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again interwork with the third communication network 130 available to the calling terminal 150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network 140 available to the called terminal 160. For example, the third communication network 130 may be an outgoing telephone network,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network 140 may be an incoming telephone network.

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2 통신망(120)을 통해 발신 단말기(150)나 착신 단말기(160)를 호출하면, 제2 통신망(120)은 발신 단말기(150)나 착신 단말기(160)에 해당하는 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기(150)나 착신 단말기(160)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호출을 전달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lls the calling terminal 150 or the called terminal 16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20,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20 calls the calling terminal 150 or the called terminal 160. The call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150 or the called terminal 16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call.

이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전화 걸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먼저 착신 단말기(160)를 호출하고, 기설정된 대기 시간 이후에 발신 단말기(150)를 호출하여 발신 단말기(150)와 착신 단말기(160)간의 통화 연결을 유도함으로써,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신 단말기(150)가 대기하는 동안 발생하는 불필요한 통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receives a call request,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first calls the called terminal 160 and calls the calling terminal 150 after a preset waiting time to call the calling terminal 150 and the called terminal ( By inducing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160, not only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can be minimized, but also unnecessary call costs generated while the calling terminal 150 is waiting can be reduced.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기설정된 대기 시간 중에 착신 단말기(160)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대기 시간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바로 발신 단말기(150)를 호출함으로써, 발신 이용자와 착신 이용자간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lled terminal 160 is connected during the preset waiting tim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lls the calling terminal 150 instead of waiting for the preset waiting time to end, thereby calling the calling user and the called user. Minimize the latency of your liver.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착신 단말기(160)를 먼저 호출하여 착신 단말기(160)가 벨 울림(ringing) 상태일 경우에만 발신 단말기(160)를 호출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기(160)가 벨 울림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발신 단말기(150)를 호출할 필요가 없다. 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착신 단말기(160)가 통화중 상태이거나 에러 상태인 경우에는 제1 통신망(110)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에게 착신 단말기(160)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임을 알리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통신망(110)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160)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 후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call the called terminal 160 first and call the calling terminal 160 only when the called terminal 160 is in a ringing state. That is, when the called terminal 160 is not ringing, there is no need to call the calling terminal 150. That i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notifies the service user that the terminating terminal 160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10 when the terminating terminal 160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You can terminate the service.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terminate the service after transmitting 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called terminal 160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to the servic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10. .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가 벨 울림 상태인 경우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2는 단말기(210), 발신 단말기(220), 서비스 제공 시스템(230) 및 착신 단말기(240)를 나타내고 있다.2 is an example of a service providing method when the called terminal is in a ring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terminal 210, a calling terminal 220, a service providing system 230, and a called terminal 240.

단말기(210)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화 걸기 버튼과 같이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이용자의 유선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용자가 단말기(210)를 통해 전화 걸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단말기(21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30)으로 전화 걸기를 요청(251)할 수 있다.The terminal 210 may include a wired terminal or a wireless terminal of a service user requesting a three-way phone dialing service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to a service user such as a dial button by accessing the Internet. That is, when the service user clicks the dial button through the terminal 210, the terminal 210 may request 251 to make a call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230.

이때, 서비스 제공 시스템(230)은 착신 단말기(240)를 호출하여 착신 단말기(240)와의 착신 연결(252)을 시도하고, 착신 단말기(240)의 상태를 확인(253)한다.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230 calls the called terminal 240 to attempt an incoming connection 252 with the called terminal 240 and check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240 (253).

확인된 착신 단말기(240)의 상태가 벨 울림 상태인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230)은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대기(254)한다.When the confirmed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240 is a ringing stat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230 waits 254 for a preset waiting time.

대기 시간 이후, 서비스 제공 시스템(230)은 발신 단말기(220)를 호출하여 발신 단말기(220)와의 발신 연결(255)을 시도한다.After the waiting tim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230 calls the calling terminal 220 and attempts an outgoing connection 255 with the calling terminal 220.

이때, 발신 단말기(220)와 착신 단말기(240)가 모두 연결되면 발신 단말기(220)와 착신 단말기(240)간의 통화(256)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발신 단말기(220)의 발신 이용자와 착신 단말기(240)의 착신 이용자가 모두 전화를 받으면, 발신 이용자와 착신 이용자가 발신 단말기(220)와 착신 단말기(240)를 통해 서로 통화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when both the calling terminal 220 and the called terminal 240 are connected, a call 256 is mad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220 and the called terminal 240. In other words, when both the calling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220 and the called user of the called terminal 240 receive a call, the calling user and the called user can call each other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220 and the called terminal 240. It becomes a state.

만약,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대기(254)하는 도중 착신 단말기(240)의 착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아 착신 단말기(240)가 먼저 연결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230)으로 응답(answer)이 전달되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230)은 기설정된 대기 시간 중이라 하더라도 대기 상태를 종료하고 바로 발신 단말기(220)를 호출하여 발신 단말기(220)로 발신 연결(255)을 시도할 수 있다.If the called user of the called terminal 240 receives a call and the called terminal 240 is connected first during the waiting 254 for a preset waiting time, an answer is deliver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230.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230 may end the standby state and immediately attempt the outgoing connection 255 to the calling terminal 220 by calling the calling terminal 220 even if it is during the preset waiting tim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인 경우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3은 단말기(310), 발신 단말기(320),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 및 착신 단말기(340)를 나타내고 있다.3 is an example of a service providing method when a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terminal 310, a calling terminal 320, a service providing system 330, and a called terminal 340.

단말기(310)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화 걸기 버튼과 같이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이용자의 유선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용자가 단말기(310)를 통해 전화 걸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단말기(31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으로 전화 걸기를 요청(351)할 수 있다.The terminal 310 may include a wired terminal or a wireless terminal of a service user requesting a three-way call type dialing service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to a service user such as a dial button by accessing the Internet. That is, when the service user clicks the dial button through the terminal 310, the terminal 310 may request 351 to make a call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330.

이때,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은 착신 단말기(340)를 호출하여 착신 단말기(340)와의 착신 연결(352)을 시도하고, 착신 단말기(340)의 상태를 확인(353)한다.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330 calls the called terminal 340 to attempt an incoming connection 352 with the called terminal 340, and check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340 (353).

확인된 착신 단말기(340)의 상태가 통화중 상태이거나 에러 상태인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330)은 단말기(310)로 착신 단말기(340)가 통화중 또는 에러 상태(354)임을 알린 후 서비스를 종료(355)할 수 있다.If the confirmed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340 is in a call state or an error stat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330 notifies the terminal 310 that the called terminal 340 is in a call or error state 354 and then provides a service. End 355.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삼자 통화(third party call)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걸기 요청 수신부(410), 단말기 호출부(420), 응답 신호 수신부(430) 및 통화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응답 신호 수신부(43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에 포함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ystem for providing a third party call type dialing service. As shown in FIG. 4, the call requesting unit 410 and the terminal calling unit 420 are illustrated. ), The response signal receiver 430 and the call connection unit 440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response signal receiver 430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as needed.

전화 걸기 요청 수신부(410)는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발생하는 전화 걸기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넷망과 같은 제1 통신망(110)과 유선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접근한 서비스 이용자가 특성 사이트가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전화 걸기 요청을 발생시키기 위한)를 클릭함으로써 발생하는 전화 걸기 요청을 전화 걸기 요청 수신부(4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는 PC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 등 유/무선 인터넷과의 연결이 가능한 모든 장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는 이러한 단말기 상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상에서 제공되는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단말기가 방문한 웹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등을 통해 전화 걸기 요청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call request receiving unit 410 receives a call request generated through a terminal of a service user. For examp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may include a user whose service site accesses a specific sit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10 such as an internet network and a wired terminal or a wireless terminal. A dialing request generated by clicking an interface (to generate a dialing request) may be received via the dialing request receiving unit 410. Here, the terminal of the service user may include one of all devices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such as a mobile terminal as well as a PC. In this case, the service user may generate a call request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terminal, a web application provided on the web, or a service provided on a web page visited by the terminal.

단말기 호출부(420)는 전화 걸기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호출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의 상태는 정상적으로 착신 단말기로 호(call) 신호가 전달되는 벨 울림(ringing) 상태,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통화중 상태 및 착신 단말기가 연결될 수 없는 상태인 에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호출부(420)는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벨 울림 상태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The terminal calling unit 420 calls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request and calls the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Here,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ncludes a ringing state in which a call signal is normally transmitted to the called terminal, a busy state indicating that the called terminal is busy, and an error state in which the called terminal cannot be connected. can do. At this time, the terminal caller 420 may call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ringing.

이와 같이, 단말기 호출부(420)에서 착신 단말기를 먼저 호출하고, 발신 단말기를 나중에 호출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의 이용자인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통신망에 발생하는 부하를 줄여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착신 단말기를 먼저 호출함에 따라 발생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단말기 호출부(420)는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벨 울림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한 이후에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대기 시간은 경험적인 결과를 토대로 기설정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terminal calling unit 420 calls the called terminal first, and then calls the calling terminal later,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which is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and reducing the communication cost incurred according to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utilize the resource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more efficiently. In this cas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caused by calling the called terminal first, the terminal calling unit 420 calls the called terminal, and check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ringing, the preset The calling terminal can be called after waiting for the waiting time. At this time, the waiting time may be preset based on empirical results.

또한, 단말기 호출부(420)는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인 경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데이터를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전송 후, 전화 걸기 서비스는 바로 종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calling unit 420 calls the called terminal and check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to provide data for notifying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when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It can transmit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user. In this case, after the data is transmitted, the dialing service may be immediately terminated.

응답 신호 수신부(430)는 호출한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착신 단말기를 호출한 후, 착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으로는 통신망을 통해 응답 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응답 신호 수신부(430)는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호출부(420)는 기설정된 대기 시간 내에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설정된 대기 시간과 관계 없이 바로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기의 착신 이용자가 통화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말기 호출부(420)는 대기 시간 내에 착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기 시간 중이라도 바로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착신 이용자에게는 발신 단말기와 연결되기 전까지 안내 멘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The response signal receiving unit 430 receive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n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For example, after calling the called terminal, when connected with the called terminal, a respons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esponse signal receiving unit 430 may receive the transmitted response signal. Can be. In this case, when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alled terminal is received within the preset waiting time, the terminal calling unit 420 may call the calling terminal immediately regardless of the preset waiting time. That is, in order to minimize the time for which the called user of the called terminal waits for a call, the terminal caller 420 may call the calling terminal immediately even during the waiting time when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within the waiting time. At this time, the called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announcement until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여기서, 응답 신호가 전달되는 통신망은 발신 전화기의 발신 전화망 및 착신 전화기의 착신 전화망과 연동된 ITSP(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망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may include an outgoing telephone network of the outgoing telephone and an 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ITSP) network interworking with the incoming telephone network of the incoming telephone.

통화 연결부(440)는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연결한다. 즉, 착신 단말기 및 발신 단말기가 각각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과 연결되는 경우, 통화 연결부(440)는 착신 단말기 및 발신 단말기를 서로 연결하여 착신 단말기 및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all connection unit 440 connects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That is, wh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the call connection unit 440 may connect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to each other to enable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단계(53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n this case, step 530 illustrated in FIG. 5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as necessary.

단계(510)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발생하는 전화 걸기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넷망과 같은 제1 통신망(110)과 유선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접근한 서비스 이용자가 특성 사이트가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전화 걸기 요청을 발생시키기 위한)를 클릭함으로써 발생하는 전화 걸기 요청을 단계(5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는 PC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 등 유/무선 인터넷과의 연결이 가능한 모든 장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는 이러한 단말기 상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상에서 제공되는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단말기가 방문한 웹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등을 통해 전화 걸기 요청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operation 510,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receives a call request generated through a terminal of a service user. For examp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may include a user whose service site accesses a specific sit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10 such as an internet network and a wired terminal or a wireless terminal. A dialing request, generated by clicking on the interface (to generate a dialing request), may be received via step 510. Here, the terminal of the service user may include one of all devices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such as a mobile terminal as well as a PC. In this case, the service user may generate a call request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terminal, a web application provided on the web, or a service provided on a web page visited by the terminal.

단계(520)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전화 걸기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호출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의 상태는 정상적으로 착신 단말기로 호 신호가 전달되는 벨 울림 상태,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통화중 상태 및 착신 단말기가 연결될 수 없는 상태인 에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단계(520)에서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벨 울림 상태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In step 520,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calls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request, and calls the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Here,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may include a ringing state in which a call signal is normally transmitted to the called terminal, a busy state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called terminal is in a call, and an error state in which the called terminal cannot be connected.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may call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ringing in step 520.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에서 착신 단말기를 먼저 호출하고, 발신 단말기를 나중에 호출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의 이용자인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발신 이용자의 대기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통신망에 발생하는 부하를 줄여 통신망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착신 단말기를 먼저 호출함에 따라 발생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벨 울림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한 이후에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대기 시간은 경험적인 결과를 토대로 기설정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calls the called terminal first, and then calls the calling terminal later,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which is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and reducing the communication cost incurred according to the waiting time of the calling us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utilize the resource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more efficiently. In this cas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caused by calling the called terminal first,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calls the called terminal, and check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f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ringing, the preset The calling terminal can be called after waiting for the waiting time. At this time, the waiting time may be preset based on empirical results.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인 경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데이터를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전송 후, 전화 걸기 서비스는 바로 종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calls the called terminal and check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to provide data for notifying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when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It can transmit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user. In this case, after the data is transmitted, the dialing service may be immediately terminated.

단계(530)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호출한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착신 단말기를 호출한 후, 착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으로는 통신망을 통해 응답 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단계(530)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기설정된 대기 시간 내에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설정된 대기 시간과 관계 없이 바로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 즉, 단계(520)에서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하는 도중에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즉시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기의 착신 이용자가 통화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대기 시간 내에 착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기 시간 중이라도 바로 발신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착신 이용자에게는 발신 단말기와 연결되기 전까지 안내 멘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In operation 530,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n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For example, after calling the called terminal, when connected with the called terminal, a respons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step 530,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is delivered. A response signal can be received. In this case, when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alled terminal is received within the preset waiting tim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may directly call the calling terminal regardless of the preset waiting time. That is, in step 520, when the called terminal is called and a response signal to the called terminal is received while waiting for the waiting tim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may immediately call the calling terminal. That is, in order to minimize the time for which the called user of the called terminal waits for a call,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may directly call the calling terminal even during the waiting time when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within the waiting time. At this time, the called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announcement until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여기서, 응답 신호가 전달되는 통신망은 발신 전화기의 발신 전화망 및 착신 전화기의 착신 전화망과 연동된 ITSP 망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may include an ITSP network interworking with the outgoing telephone network of the outgoing telephone and the incoming telephone network of the incoming telephone.

단계(540)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연결한다. 즉, 착신 단말기 및 발신 단말기가 각각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과 연결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은 착신 단말기 및 발신 단말기를 서로 연결하여 착신 단말기 및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In operation 540,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connects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That is, wh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400 may connect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to each other to enable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는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먼저 확인한 후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므로,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불필요한 연결 없이 서비스를 종료하여 통화 비용을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착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기까지의 시간을 고려한 대기 시간을 통해 발신 이용자와 착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는 시간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통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이거나 에러 상태인 경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송한 후 서비스를 종료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가 바로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rvice provider first check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then calls the calling terminal, the service provider can avoid wasting money by ending the service without unnecessary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For example, the waiting time considering the time taken by the called user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calling user and the called user. In addition, when the called terminal is in a call state or an error state, the service user can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transmitting 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n a call state or an error state to the service user and ending the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제1 통신망
120: 제2 통신망
130: 제3 통신망
140: 제4 통신망
150: 발신 단말기
160: 착신 단말기
100: service delivery system
110: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20: second network
130: third network
140: fourth network
150: calling terminal
160: called terminal

Claims (10)

삼자 통화(third party call)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발생하는 전화 걸기 요청을 수신하는 전화 걸기 요청 수신부;
상기 전화 걸기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말기 호출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hird party call type dialing service,
A dialing request receiver for receiving a dialing request generated through a terminal of a service user;
A terminal calling unit for calling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request and calling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Call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호출부는,
상기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벨 울림(ringing)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한 이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caller,
Calling the called terminal and check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so that the calling terminal is called after waiting for a preset waiting time when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ringing; Provid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호출한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응답 신호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호출부는,
상기 기설정된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대기 시간과 관계 없이 바로 상기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Response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n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terminal caller,
And when the response signal to the called terminal is received within the preset waiting time, calling the calling terminal immediately regardless of the preset waiting ti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상기 발신 전화기의 발신 전화망 및 상기 착신 전화기의 착신 전화망과 연동된 ITSP(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n outgoing telephone network of the outgoing telephone and an 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ITSP) network interworking with the incoming telephone network of the incoming tele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호출부는,
상기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의 전송 후, 상기 전화 걸기 서비스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caller,
When the called terminal is called and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checked and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data for notifying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is provided. To,
And after the data is transmitted, the dialing service is terminated.
삼자 통화 방식의 전화 걸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발생하는 전화 걸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화 걸기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a three-way dialing service,
Receiving a call request generated through a terminal of a service user;
Calling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request, and calling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걸기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벨 울림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대기한 이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Calling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request, and calling the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Calling the called terminal, check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if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ringing, calling the calling terminal after waiting for a preset waiting time.
제7항에 있어서,
호출한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에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화 걸기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대기 시간과 관계 없이 바로 상기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n connected to a calling terminal;
Further comprising:
Calling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request, and calling the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n the response signal to the called terminal is received within the preset waiting time, calling the calling terminal immediately regardless of the preset waiting ti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걸기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발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 또는 에러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의 전송 후, 상기 전화 걸기 서비스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Calling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request, and calling the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When the called terminal is called and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checked and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data for notifying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n a busy state or an error state is provided. To,
And after the data is transmitted, the dialing service is terminated.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9.
KR1020110117049A 2011-11-10 2011-11-1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onnecting by third party call KR1011129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049A KR101112971B1 (en) 2011-11-10 2011-11-1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onnecting by third party c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049A KR101112971B1 (en) 2011-11-10 2011-11-1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onnecting by third party c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971B1 true KR101112971B1 (en) 2012-02-29

Family

ID=4584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049A KR101112971B1 (en) 2011-11-10 2011-11-1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onnecting by third party c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97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5913A1 (en) * 2002-04-02 2003-10-16 Worldcom, Inc. Telephony services system with instant communications enhancements
KR100695205B1 (en) * 2005-11-18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ng call inter third party service
KR20090095061A (en)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Call
KR101035286B1 (en) * 2009-08-07 2011-05-18 델피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me for connecting call service using representative nu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5913A1 (en) * 2002-04-02 2003-10-16 Worldcom, Inc. Telephony services system with instant communications enhancements
KR100695205B1 (en) * 2005-11-18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ng call inter third party service
KR20090095061A (en)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Call
KR101035286B1 (en) * 2009-08-07 2011-05-18 델피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me for connecting call service using representative nu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2222B1 (en) Customer service call processing and support agent access application
EP3905652A1 (en) Video ringback tone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90273824A1 (en) Universal Ring Free
US20070201688A1 (en) Cable telephony network supporting roaming VoIP terminals
US20110153868A1 (en) Cloud-Based Application For Low-Provisioned High-Functionality Mobile Station
CN107018504A (en) Communication means, blacklist collocation method and device
CN110337091B (en) Number conversion method and device
JP5628865B2 (en) Call support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JP2012527200A (en) Virtual ag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007966B1 (en) Integration centaral studio recording system and method of mobile station
US201300848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aller name information to mobile devices
KR101194998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hishing between mobile terminals
KR1011129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connecting by third party call
JP59161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 mobile device to initiate communication
KR101003790B1 (en) VoIP Based Call Delivery Service Method
JP3968279B2 (en) Proxy response communication system, proxy response communication method, proxy response device, and gateway device
CN108566497B (en) Online service telephone monitoring method, serv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09430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P Centrex based call center service, Method for preparing the service
JP2007324732A (en) Information processor, telephone exchange method, and program
US201402694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incoming communications directed to a telephony device
KR1007270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l send/receive service in mobile station
KR101369981B1 (en) Terminal for providing subscriber service of call processing and the driving method
KR100596003B1 (en) Method for providing barge-in service and IP switch using the method
JP2006025228A (en) Optimum called party selecting and call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KR101702552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processing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