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471B1 -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 Google Patents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471B1
KR101112471B1 KR1020090132646A KR20090132646A KR101112471B1 KR 101112471 B1 KR101112471 B1 KR 101112471B1 KR 1020090132646 A KR1020090132646 A KR 1020090132646A KR 20090132646 A KR20090132646 A KR 20090132646A KR 101112471 B1 KR101112471 B1 KR 10111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regulator
electrical energy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049A (ko
Inventor
윤성환
Original Assignee
윤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환 filed Critical 윤성환
Priority to KR102009013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4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덕트용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팬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데 공기통로로 사용되는 공조덕트기구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팬모터의 가동시 생성되어 공기의 급/배기에 사용되는 바람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처리하기 위한 풍력발전기;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풍력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평활시켜 일정한 출력을 내보내기 위한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배터리;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레귤레이터 또는 충전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도록 접속되는 공기상태센싱부; 상기 본체의 하측부에 설치하되 상기 레귤레이터 또는 충전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도록 접속되며, 상기 공기상태센싱부에 의해 점등색상이 제어되어 발광되는 LED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공조덕트, 디퓨져, 풍력발전기, 레귤레이터, 충전배터리, 공기상태센싱부, LED, 에너지 재생

Description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DIFFUSER OF AIR HANDLING DUCT}
본 발명은 공조덕트용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급기 또는 배기시 팬모터의 가동에 의해 덕트 상에 생성되는 바람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충전(充電)하면서 급/배기되는 공기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에너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덕트용 디퓨져는 공기의 급/배기를 위한 공조덕트의 단말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팬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공조된 기류를 실내에 분배 공급 및 확산시키며 또는 실내의 공기를 회수하는데 사용되는 공조덕트기구를 말한다.
그런데, 종래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디퓨져는 단순히 공기의 급/배기를 위한 공기통로로서의 역할로만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최근에서야 인테리어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디자인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급기 또는 배기시 팬모터의 가동에 의해 덕트 상에 생성되는 바람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처리하고 충전(充電)하여 에너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급/배기되는 공기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퓨져의 유용성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단순 공기통로로만 기능하는 것을 탈피할 수 있도록 한 공조덕트용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팬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데 공기통로로 사용되는 공조덕트기구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팬모터의 가동시 생성되어 공기의 급/배기에 사용되는 바람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처리하기 위한 풍력발전기;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풍력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평활시켜 일정한 출력을 내보내기 위한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레귤레이터 또는 충전 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도록 접속되는 공기상태센싱부;
상기 본체의 하측부에 설치하되 상기 레귤레이터 또는 충전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도록 접속되며, 상기 공기상태센싱부에 의해 점등색상이 제어되어 발광되는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의 급기 또는 배기시 팬모터의 가동에 의해 덕트 상에 생성되는 바람을 풍력발전기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 처리하고 충전배터리에 전기에너지를 충전(充電)함에 따라 그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재생기능을 갖게 되며,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급/배기되는 공기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디퓨져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단순 공기통로로만 사용되었던 디퓨져를 에너지 재생장치 및 활용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조덕트용 디퓨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100)는 덕트 상에 설치된 팬모터(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데 공기통로로 사용되는 공조덕트기구로서, 본체(110), 풍력발전기(120), 레귤레이터(130), 충전배터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공기상태센싱부(150) 및 LED(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디퓨져의 외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공조덕트의 단말부에 해당되며 원형, 콘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기(120)는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의 급/배기를 위해 회전 구동되는 팬모터의 동작시 생성되어 본체(110)에 영향을 미치는 바람의 풍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처리하게 된다.
상기 레귤레이터(130)는 본체(110)의 외면에 설치되며, 풍력발전기(120)에 의해 변환 처리되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평활시켜 일정한 출력을 내보내게 된다.
상기 충전배터리(140) 또한 본체(110)의 외면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터(130)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하게 된다.
이때, 충전배터리(140)는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재사용할 수 있도록 리튬이온전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상태센싱부(150)는 본체(110)의 외면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터(130) 또는 충전배터리(14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도록 접속된다.
이때, 공기상태센싱부(150)는 먼지센서, 가스센서, 온도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2가지를 선택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며, 급/배기되는 공기의 오염상태를 감지하거나 온도 체크를 통해 공기의 쾌적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LED(160)는 본체(110)의 하측부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터(130) 또는 충전배터리(14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도록 접속되어 발광되게 하되, 공기상태센싱부(150)에 의해 점등색상을 제어하여 발광되게 한다.
이때, LED(160)는 녹색과 적색의 2가지 LED를 사용하거나 또는 녹색과 적색의 듀얼타입을 갖는 LED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색상의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공기상태센싱부(150)와 LED(160)는 온오프스위칭부(170)와의 접속을 통해 온오프스위칭부(170)의 스위칭에 의해 사용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풍력발전기(120)와 레귤레이터(130)의 사용 또한 온오프스위칭부(170)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조덕트 상에 설치된 팬모터(10)가 급기(외부공기 유입) 또는 배기(실내공기 배출) 작용을 위해 동작되면 팬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서 바람이 발생되는데, 공기통로로 설치되는 디퓨져 내에 설치된 풍력발전기(120)가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집약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 처리하게 된다.
풍력발전기(120)에 의해 변환 처리된 전기에너지는 레귤레이터(130)를 통해 평활시켜 일정한 출력으로 전압을 안정시킨 상태로 충전배터리(140)로 보내 충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퓨져(100)에 영향을 미치는 바람을 재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로 저장함에 의해 본 발명의 디퓨져(100)는 에너지 저장 및 재생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나아가, 먼지센서, 가스센서, 온도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2가지를 선택 조합하여 설치하는 공기상태센싱부(150)가 충전배터리(140)로부터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되며, 본 발명의 디퓨져(100)를 통하여 급기 또는 배기되는 공기의 오염상태나 쾌적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렇듯 공기상태센싱부(150)가 급/배기되는 공기의 상태를 감지한 후에는 그 오염상태나 쾌적상태 여부의 출력신호 및 제어신호를 LED(160)로 보내 녹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시켜 표시함으로써 실내로 유입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상태를 사람이 시각적으로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공기상태센싱부(150)와 LED(160)는 충전배터리(140)로부터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풍력발전기(120)에 의한 전기에너지의 생성이 정지되었다 하더라도 공기상태 감지기능과 표시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급/배기되는 공기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활용하므로 본 발명의 디퓨져(100)는 에너지 활용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에 단순 공기통로로만 사용되었던 디퓨져를 에너지 재생장치 및 활용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디퓨져의 새로운 가치부여는 물론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조덕트용 디퓨져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조덕트용 디퓨져를 나타낸 블록 관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퓨져 110 : 본체
120 : 풍력발전기 130: 레귤레이터
140: 충전배터리 150: 공기상태센싱부
160: LED

Claims (4)

  1. 삭제
  2. 팬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데 공기통로로 사용되는 공조덕트기구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팬모터의 가동시 생성되어 공기의 급/배기에 사용되는 바람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처리하기 위한 풍력발전기;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풍력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평활시켜 일정한 출력을 내보내기 위한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배터리;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레귤레이터 또는 충전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도록 접속되는 공기상태센싱부;
    상기 본체의 하측부에 설치하되 상기 레귤레이터 또는 충전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도록 접속되며, 상기 공기상태센싱부에 의해 점등색상이 제어되어 발광되는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상태센싱부는 먼지센서, 가스센서, 온도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2가지를 선택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 레귤레이터, 공기상태센싱부 또는 LED는 온오프스위칭부의 스위칭에 의해 사용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KR1020090132646A 2009-12-29 2009-12-29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KR10111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46A KR101112471B1 (ko) 2009-12-29 2009-12-29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46A KR101112471B1 (ko) 2009-12-29 2009-12-29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049A KR20110076049A (ko) 2011-07-06
KR101112471B1 true KR101112471B1 (ko) 2012-02-22

Family

ID=4491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646A KR101112471B1 (ko) 2009-12-29 2009-12-29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49B1 (ko) * 2012-06-29 2014-03-17 김흥순 축사 조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0368A1 (ko) * 2013-10-02 2015-04-09 김영선 공기열원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KR101478703B1 (ko) * 2013-12-18 2015-01-02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습도제어 방식에 의한 급속 환기 또는 급속 배기식 환기장치
KR102449622B1 (ko) * 2015-06-29 2022-10-04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EP3163201B1 (en) 2015-10-30 2019-03-13 LG Electronics Inc.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1942482B1 (ko) * 2016-11-28 2019-01-28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풍력을 이용한 자가발전형 노면 청소장치
KR102341728B1 (ko) 2017-03-21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87401B1 (ko) * 2018-06-28 2020-03-10 최성철 열감지에 의한 경보가 가능한 디퓨져
KR102215862B1 (ko) * 2019-09-30 2021-02-16 주식회사 미래와도전 부착형 공기청정기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627A (ko) * 2002-01-03 2003-07-10 박길준 배출 풍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627A (ko) * 2002-01-03 2003-07-10 박길준 배출 풍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49B1 (ko) * 2012-06-29 2014-03-17 김흥순 축사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049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471B1 (ko)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공조덕트용 디퓨져
KR20080093369A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080699A (ja) 照明システム
CN203839981U (zh) 具不断电照明及对外供电功能的照明装置
KR20180079591A (ko)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미세먼지 집진장치
CN104603526A (zh) 路灯
JP5548061B2 (ja) 集合住宅用電力供給システム
WO2008108020A1 (ja) 車載空気調和機用インバータシステム
KR20100102929A (ko) Led 비상등
KR20090032663A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191865A (zh) 照明装置及设有灯具的换气扇
EP4234939A2 (en)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jet fan disposed in tunnel and jet fan system using the same
US9885341B2 (en) Power control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storing circulation energy
KR20110089896A (ko) 독립전원 조명장치
KR101565752B1 (ko) 터널의 일일 피크 부하 제어 감시를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225568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CN105098955A (zh) 一种风光互补供电环保空调机组
KR20110133127A (ko) 온도유지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모듈
KR101050207B1 (ko) 절전 및 친환경 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led 조명 제어장치
CN104266275A (zh) 利用室外机震动发电的空调器
KR101225567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JP2011146294A (ja) 照明装置
KR20160070864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KR20090032665A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KR100624735B1 (ko) 열병합 발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