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715B1 -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 Google Patents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715B1
KR101111715B1 KR1020080115789A KR20080115789A KR101111715B1 KR 101111715 B1 KR101111715 B1 KR 101111715B1 KR 1020080115789 A KR1020080115789 A KR 1020080115789A KR 20080115789 A KR20080115789 A KR 20080115789A KR 101111715 B1 KR101111715 B1 KR 10111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module
internet
user
web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807A (ko
Inventor
김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치앤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치앤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치앤픽스
Priority to KR102008011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7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특정 대상의 회사, 제품 및 인물 등에 대해 특정 웹사이트, 블로그 및 지식검색 웹페이지 등의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가공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컴퓨터 화면으로 여론조사의 전체 결과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살펴 볼 수 있도록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시켜주는 인터넷상에서의 3차원 여론조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여론조사결과를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인터넷상의 여론조사시스템에 있어서, 수집할 이슈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입력하는 수집조건과 그에 따른 처리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수집조건에 따라 검색엔진 사이트들의 디렉토리들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이슈와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는 웹기사를 수집하는 웹기사수집모듈; 수집된 웹기사를 문장 단위로 분해하고 다시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에 각 단어의 품사를 결정하는 구문분류모듈; 상기 구문분류모듈에 의해 분류되어진 웹기사를 사전에 설정된 단어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평점을 부여하는 분석엔진모듈; 상기 분석엔진모듈을 통해 평점이 부여된 웹기사를 다시 주제별, 사이트별로 통계수치화하여 그 값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통계평가모듈; 및 상기 통계평가모듈의 통계결과를 항성과 행성으로 표현되는 행성계에 대응시켜 3차원 모형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프레젠테이션 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론조사, 검색시스템, 3차원, 선호도, 웹크롤러, 분석엔진

Description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WEB SURVEY 3D VISUALIZATION SYSTEM DISPLAYED BY PLANETARY SYSTEM MODEL}
본 발명은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3차원 효과의 여론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특정 대상의 회사, 제품 및 인물 등에 대해 특정 웹사이트, 블로그 및 지식검색 웹페이지 등의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가공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컴퓨터 화면으로 여론조사의 전체 결과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살펴 볼 수 있도록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차원 여론조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업들이 세계화된 경쟁구도, 빠른 제품 개발기간 및 다양한 고객의 욕구 등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실시간 경영시스템의 구축에 회사의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 고객, 즉 시장이 없이는 어떠한 기업도 생존할 수 없으며, 이전의 고객만족경영으로부터 고객가치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고객의 실질적인 요구 및 반응에 대한 정보를 조사한 후에 알기 쉽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해주는 시스템이 없으며, 대기업들 정도가 간간이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비하여 여론조사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고 있다. 이리하여 기업들이 불필 요한 비용 지출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여론조사 분야에서 종래 서면을 이용하여 여론 조사를 실시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 대중적인 인물에 대한 인기도, 시사성 있는 사건에 대한 국민의 반응 등을 조사하기 위한 여론 조사를 하고 있다.
즉, 인터넷은 현재 세계 각지의 수많은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축적매체 및 정보제공매체가 되고 있다. 상기 인터넷은 전자우편, 뉴스그룹, 파일전송 및 정보전달과 검색, 전자상거래, 인터넷 금융거래,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및/또는 화상통신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의 상업적 이용도 확산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설문조사가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그 방법은 설문 여론조사를 위해서 일정한 홈페이지의 사이트를 구성하고, 그 홈페이지 주소를 알고 있는 사용자들이 그 홈페이지를 방문 접속하여 특정한 항목, 예컨데 어떤 사안에 대하여 '찬성' 또는 '반대' 항목을 클릭하는 것으로 그 클릭횟수를 누산함으로 찬성 몇%, 반대 몇% 하는 식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또 그 조사결과를 발표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응답자가 그 사이트를 방문해서 여론 설문조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을 발명한 것으로, 여러 설문조사결과를 3차원의 항성(issue)과 행성간의 관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웹 설문조사 종합 툴의 개발로 사용자가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여론조사결과를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인터넷상의 여론조사시스템에 있어서,
수집할 이슈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입력하는 수집조건과 그에 따른 처리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수집조건에 따라 검색엔진 사이트들의 디렉토리들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이슈와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는 웹기사를 수집하는 웹기사수집모듈;
수집된 웹기사를 문장 단위로 분해하고 다시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에 각 단어의 품사를 결정하는 구문분류모듈;
상기 구문분류모듈에 의해 분류되어진 웹기사를 사전에 설정된 단어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평점을 부여하는 분석엔진모듈;
상기 분석엔진모듈을 통해 평점이 부여된 웹기사를 다시 주제별, 사이트별로 통계수치화하여 그 값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통계평가모듈; 및
상기 통계평가모듈의 통계결과를 항성과 행성으로 표현되는 행성계에 대응시켜 3차원 모형으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항성 및 행성은 구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항성은 조회할 주제를 나타내는 한편 행성은 상기 주제에 관한 여론을 수집한 웹사이트를 나타내며, 상기 항성 주위에 배치되는 행성은 당해 웹사이트의 인지도가 높으면 항성에 가까이 배치하고 인지도가 낮으면 항성으로부터 멀리 배치하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행성은 수집된 의견의 갯수에 대응하여 크기가 결정되도록 이루어지는 프레젠테이션 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여론조사 대상으로써 입력한 이슈에 대하여 조회, 수집, 분석 및 평가를 걸쳐 3D 모형으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여론조사 대상의 이슈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예측가능하며, 또한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하에서 기업의 경쟁력 향상 및 빠르고 올바른 기업의 의사결정이 가능해짐으로 인해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커다란 가치와 이익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수집할 이슈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로써, 크게 주제관리자, 사이트순위관리자, 키워드관리자, 그리고 수집된 웹기사뷰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주제관리자는 수집할 주제가 되는 문장을 선정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6)에 저장하여 이후의 자동화, 반자동화 작업의 입력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화면이다. 여기서 자동화는 수집할 주제와 시기를 입력하면 그에 따라 자동으로 정해진 주제와 시기에 따라 주제에 대한 여론을 수집하도록 하는 기능이며, 반자동화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시기에 여론을 수집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사이트순위관리자는 수집할 대상 사이트를 한정하는 기능을 하며, 만일 사이트순위관리자에 한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전체 웹을 대상으로 웹기사를 수집하게 된다. 사이트순위는 인지도에 따른 사이트순위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사이트를 참조하거나 혹은 자체적으로 인지도를 평가하여 얻은 순위를 바탕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사이트순위 이외에도 특정사이트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키워드관리자는 단어별 의미 및 가중치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연어 처리를 위해 각 언어별로 단어사전의 역할을 하며, 이때 단어별로 분석시에 활용할 수 있는 가중치를 함께 관리하게 된다.
웹기사뷰어는 후술되는 웹기사수집모듈(10)에 의해 수집된 웹기사를 웹으로의 접속없이 사용자의 로컬 화면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미 분석된 웹기사인 경우 그 분석의 결과 또한 수치로 확인할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웹기사수집모듈(1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6)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대상의 주제와 주제별 수집기간을 확인하여 오늘 수집할 대상 주제를 확인하고 웹에서 웹기사를 수집한다. 이때 수집의 대상이 되는 사이트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사이트순위관리자를 통해 설정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 기등록되어 있는 사이트나 전체 웹을 대상으로 수집한다. 웹기사수집모듈(10)로는 예컨대 웹 크롤러(Web Crawler) 등의 수집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구문분류모듈(12)은 수집된 웹기사를 분석엔진모듈(13)을 통해 분석하기 위해 웹기사를 문장 단위로 분해하고 다시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에 각 단어의 품사가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구문 분석은 예컨대 기존에 존재하는 코퍼스 (CORPUS)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분석엔진모듈(13)은 구문분류모듈(12)에 의해 분류되어진 웹기사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키워드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단어별 가중치를 이용해 평점을 부여하는 엔진이다.
통계평가모듈(14)은 분석엔진모듈(13)을 통해 평점이 부여된 웹기사를 다시 주제별, 사이트별로 통계수치화하여 그 값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6) 내에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프레젠테이션 툴(15)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집과 분석 및 통계처리를 통해 나온 주제별, 사이트별로 수치화된 통계평가치를 일반 텍스트와 숫자, 그림 등을 이용해 표 구조, 2D 그래픽 구조, 3D 그래픽 구조로 볼 수 있도록 화면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여론조사 대상으로써 예컨대 회사, 제품 및 인물 등에 대해 실시간으로 특정 웹사이트, 블로그 및 지식검색 웹페이지 등의 인터넷 상에 고객인 네티즌들이 올려놓은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가공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여론조사의 전체 결과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론조사를 위한 자료조회화면을 나타낸다
자료조회화면(20)의 주제입력창(Subject)(21)에 사용자가 여론조사를 하고자하는 질문을 입력하면 웹기사수집모듈(10)은 인터넷망을 통해 각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가져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6)에 저장함과 아울러 관련정보를 자료조회화면(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한미 FTA"라는 주제를 주제입력창(21)에 입력한 상태의 예시화면을 나타낸다.
자료조회화면(20)은 상기와 같이 여론조사를 위한 주제를 입력하는 주제입력창(21)을 비롯하여, 상기 주제와 관련된 기사를 가져온 웹사이트명과 기사제목을 디스플레이하는 웹사이트표시창(Article)(22), 상기 기사들에 대한 네티즌들의 답변글을 디스플레이하는 답변표시창(Article & Replys)(23), 상기 기사 또는 답변에 대한 댓글을 디스플레이하는 댓글표시창(Tail)(24), 상기 웹사이트표시창(22)에 표시된 특정 사이트 또는 기사제목을 클릭하였을 때 해당 기사 전문을 디스플레이하는 내용표시창(Context)(25), 상기 댓글표시창(24)중 선택된 댓글을 표시하는 선택댓글표시창(Tail)(26)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상기 웹사이트표시창(22)에 표시된 특정 사이트 또는 기사제목이 선택되어 있을 때 클릭하면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사이트의 기사가 게재된 창으로 옮겨가도록 된 링크버튼(View in IE)(27), 클릭시 여론조사결과를 도 14에 의거 후술되는 바와 같이 2차원으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선택하는 2차원 시각화버튼(28), 그리고 클릭시 여론조사결과를 도 5 등에 의거 후술되는 바와 같이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하는 3차원 시각화버튼(View in WS3D)(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웹기사수집 동작은 입력된 주제에 대해 단발적으로 수집될 수도 있지만 입력된 주제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6)에 저장한 다음에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갱신하거나, 혹은 정해진 특정 기간내에 한하여 수집하거나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집조건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변경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수집된 웹기사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문분석모듈(12), 분석엔진모듈(13) 및 통계평가모듈(14)을 이용하여 통계화 된 후 프레젠테이션 툴(15)을 통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시각화된다.
도 3은 도 2의 자료를 조회, 수집, 분석, 시각화 단계를 보여주는 구성도 이다. 이렇게 정리된 자료는 도 4에서 살펴보듯이 프레젠테이션 툴(15)에 의해 행성계에 대응된 모양으로 3차원 형태로 시각화된다. 여기서 중심의 항성(30)은 특정 주제(issue)에 대하여, 그리고 기타 행성(40:40A, 40B, 40C...)은 특정 주제에 대한 각 (포탈) 웹사이트에 대하여 분석된 결과를 표현해주는 구조도이다.
도 4는 항성과 행성의 거리, 행성의 크기, 행성의 색깔로 분석된 결과를 표현하고 있다.
항성(30)과 행성(40:40A, 40B, 40C...) 사이의 거리는 도 2에서 자료를 수집한 각 웹사이트의 인지도를 표현한다. 인지도는 각 포털의 랭킹을 제공하는 인터넷 랭킹 사이트의 순위자료를 기준으로 정하거나 혹은 별도 여론조사에 의거 자체적으로 선정한 순위자료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항성(30)에 가까울수록 해당 웹사이트의 인지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성(40)의 크기는 모아진 의견의 개수를 표현하는 것으로 크기가 클수록 의견의 개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행성(40)의 색상은 예컨대 푸른색일수록 긍정적 반응을, 붉은색일수록 부정적 반응을 의미하도록 하여 행성(40)의 색상으로 의견의 찬반 정도를 표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항성(30)과 행성(40)간의 거리, 크기, 색깔에 따라 의미를 부여하여 여론조사결과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보다 쉽게 여론 동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행성(40)의 색상은 긍정적인 반응을 푸른색, 부정적인 반응을 붉은색으로 표시하고 있지만, 서로 대비되는 임의의 색상으로 변경하여 긍전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를 행성계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기본적인 출력예시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중앙의 항성(30)을 클릭하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의 그래프 및 수치 형태인 각 웹사이트의 분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항성(30) 주위를 도는 형태로 표시된 웹사이트에 해당하는 행성(40)을 클릭하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의 도표 및 수치형태로 각 웹사이트의 분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로써 텍스트 형 태로 자료를 살펴 볼 수도 있다 .
본 실시예에서 도 14(a)의 상단에는 각 웹사이트별로 조회된 주제에 대하여 찬성, 반대, 미결정, 여과된 비율을 막대형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고, 도 14(a)의 하단에는 각 웹사이트별로 조회된 주제에 대한 의견수를 비롯하여 찬성, 반대, 미결정, 여과된 비율을 수치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SSQL2005 reporting servi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원형태의 표로 만들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기타 동일목적의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도시된 예는 한미 FTA에 관한 주제를 가지고 여론조사를 한 결과 Daum(다음), Yahoo(야후), Google(구글), Naver(네이버), Empas(엠파스)라는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결과를 나타내며, 범례에 표시된 바와 같이 찬성측 의견비율은 청색으로, 반대측 의견비율은 적색으로, 미결정은 녹색으로, 그리고 필터링된 것은 황색으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4(a)의 화면중에서 웹사이트별 링크를 클릭하면 앞서 행성을 클릭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각 사이트 별로 수집된 기사의 제목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영문명 표기 사이트(Eng site)의 밑줄되어진 웹사이트인 Daum을 클릭하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사이트 Daum에서 수집된 자료의 제목과 각 제목에 해당하는 의견 중에서 찬성, 반대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단어의 수와 그 결과에 대한 백분율이 각각 도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4(b)의 이미지에서 찬성(good)과 반대(bad)로 나온 선호도의 결과(result(%))에 따라 도 4의 기준에 의거 항성의 색상이 결정된다.
도 6은 도 5의 기본적인 뷰어의 도구를 통해 상하좌우 회전시키면서 볼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도 7은 상하좌우를 이동시키면서 살펴 볼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8은 도구를 통해 확대/축소하여 확인할 수 있고, 도 8의 도구를 통해 도 10, 도 11, 도 12에서 살펴보듯이 x 축, y 축, z 축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확인해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의 기능은 도 7의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으나 더 빠르고 정확한 x 축, y 축, z 축 뷰어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사결과를 구 모양으로 표현해주고 있지만 구가 아닌 다른 형태인 사각 모양, 선모양, 점 모양으로 시각화해 줄 수도 있다. 단, 모양이 사각형으로 변해도 색상은 앞서와 같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다각형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각 방위별로 특정항목이 공통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예컨대 X축, Y축, Z축 등에서의 보기기능을 선택하였을때 각 사이트별로 동일한 항목에 대한 조사결과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하나의 회전 궤도에 하나의 행성을 보게 됨으로 인해 너무 커진 뷰어를 하나의 회전 궤도 안에 다수의 행성을 놓고 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도 13의 이러한 기능은 웹사이트의 인지도에 대한 판단보다는 해당 항성(30)에 대한 빠르고 쉬운 판단력만을 요구하는 경우에 행할 수 있는 형태의 뷰어가 될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웹기사수집모듈과 프레젠테이션 툴(WS3D)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간의 관계도 및 각각의 상세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도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분석된 특정 주제를 선택하게 되면 프레젠테이션 툴(15)의 데이터베이스 연동기(MFModel)가 해당 주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6)로부터 가져와서 각 사이트 별로 특성 변수값을 채우게 되고 그래픽 생성 관리자(MFGLManager)가 데이터베이스 연동기(MFModel)가 보유한 정보를 2차원그래픽생성기(MFModel2D)와 3차원그래픽생성기(MFModel3D)를 통해서 화면에 표현하게 된다. 사용자가 확대, 축소, 이동, 회전 등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모델변환관리자(MFCondinateAxis)가 이를 반영하여 선택된 이벤트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의 순위를 가져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이트순위관리자(frmSiteRankManager)를 통해 수집의 대상이 되는 사이트 정보를 관리하게 되며, 이 사이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6)에 유지된다. 여론조사 의뢰인으로부터 수집할 특정 주제를 의뢰받게 되면 사용자는 주제관리자(frmSubjectManager)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6)에 해당 주제를 등록한다. 웹기사수집기(frmWebCrawer)가 배치작업을 통해 해당 주제에 대한 관련 기사를 사이트순위관리자(frmSiteRankManager)에 등록된 사이트에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6)에 저장한다. 저장된 웹기사는 웹기사뷰어(frmArticleViewer)를 통해 GUI 형태로 볼 수 있도록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웹기사분석기(frmAnalysisEngine)를 통해 수집해온 웹기사를 분석하도록 시스템에 지시하게 되고, 이 때 웹기사분석기(frmAnaylisEngine)는 자연어 처리를 위해 단어별의미와 가중치 관리자(frmKeywordManager)에 등록된 자연어 처리모듈을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을 나타낸 논리적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론조사를 위한 자료조회화면,
도 3은 도 2의 자료를 조회, 수집, 분석, 시각화 단계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여론조사결과를 행성계에 대응시켜 3차원 형태로 시각화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행성계의 기본적인 출력예시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보기기능에 회전기능이 구비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보기기능에 트랜스레이트기능이 구비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보기기능에 줌 기능이 구비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보기기능에 드로우 모드(Draw Mode) 기능이 구비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보기기능에 X축방향 보기 기능이 구비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보기기능에 Y축방향 보기 기능이 구비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보기기능에 Z축방향 보기 기능이 구비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 는 본 발명의 보기기능에 특정 행성을 선택하여 해당 행성에 대응된 사이트의 여론조사결과를 2차원 그래프 및 수치정보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구비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 (a) 및 도 14 (b)는 도 4의 서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웹기사수집모듈과 프레젠테이션 툴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간의 관계도 및 각각의 상세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 (a)는 웹기사수집모듈의 기능설명도, 도 16 (b)는 분석엔진모듈의 기능설명도, 도 16 (c)는 프레젠테이션 툴의 기능설명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웹문서수집모듈, 11 : 사용자인터페이스(GUI),
12 : 구문분류모듈, 13 : 분석엔진모듈,
14 : 통계평가모듈, 15 : 프레젼테이션 튤,
16 : 데이터베이스 서버, 30 : 항성,
40(40a, 40b, 40c) : 행성.

Claims (9)

  1. 인터넷상의 여론조사결과를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인터넷상의 여론조사시스템에 있어서,
    수집할 이슈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입력하는 수집조건과 그에 따른 처리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수집조건에 따라 검색엔진 사이트들의 디렉토리들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이슈와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는 웹기사를 수집하는 웹기사수집모듈;
    수집된 웹기사를 문장 단위로 분해하고 다시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에 각 단어의 품사를 결정하는 구문분류모듈;
    상기 구문분류모듈에 의해 분류되어진 웹기사를 사전에 설정된 단어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평점을 부여하는 분석엔진모듈;
    상기 분석엔진모듈을 통해 평점이 부여된 웹기사를 다시 주제별, 사이트별로 통계수치화하여 그 값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통계평가모듈; 및
    상기 통계평가모듈의 통계결과를 항성과 행성으로 표현되는 행성계에 대응시켜 3차원 모형으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항성 및 행성은 구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항성은 조회할 주제를 나타내는 한편 행성은 상기 주제에 관한 여론을 수집한 웹사이트를 나타내며, 상기 항성 주위에 배치되는 행성은 당해 웹사이트의 인지도가 높으면 항성에 가까이 배치하고 인지도가 낮으면 항성으로부터 멀리 배치하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행성은 수집된 의견의 갯수에 대응하여 크기가 결정되도록 이루어지는 프레젠테이션 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성은 여론의 선호도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되, 선호도가 높을수록 파랑색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선호도가 낮을수록 빨강색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웹기사수집모듈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웹사이트별 인지도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사이트순위관리자와, 저장된 웹기사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웹기사뷰어 및, 기사분석을 위한 자연어를 운영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했을때 이를 자연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단어별의미와 가중치 관리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분석엔진모듈은 운영자가 여론조사 대상의 주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했을때 이를 저장하는 주제관리자, 주제관리자를 통해 저장된 정보를 입력값으로 하여 수집된 기사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사이트별로 저장하는 웹기사수집기 및 상기 웹기사수집기를 통해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웹기사를 단어별의미와 가중치 관리자에 등록된 자연어 처리모듈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웹기사분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프레젠테이션 툴은 웹기사분석기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행성의 크기, 색깔, 중앙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는 데이터베이스 연동기, 상기 데이터베이스 연동기의 결과값을 2차원 모델 형태로 화면에 표현하는 2차원그래픽 생성기, 상기 데이터베이스 연동기의 결과값을 3차원 모델 형태로 화면에 표현하는 3차원그래픽 생성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값(확대, 축소, 이동 또는 회전 이벤트)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행성계의 시각화 형상을 변경출력하는 모델변환관리자,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연동기가 보유한 정보를 2차원그래픽 생성기와 3차원그래픽 생성기를 통해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생성관리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KR1020080115789A 2008-11-20 2008-11-20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KR101111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789A KR101111715B1 (ko) 2008-11-20 2008-11-20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789A KR101111715B1 (ko) 2008-11-20 2008-11-20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07A KR20100056807A (ko) 2010-05-28
KR101111715B1 true KR101111715B1 (ko) 2012-03-14

Family

ID=4228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789A KR101111715B1 (ko) 2008-11-20 2008-11-20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7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571A (ko) * 2004-06-24 2005-12-29 김기형 어휘의 난이도 정보와 시소러스를 활용한 도서지수 부여시스템
KR20060072544A (ko) * 2004-12-23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호 프로그램의 장르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KR20060098671A (ko) * 2005-03-03 2006-09-19 주식회사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 사이버 여론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571A (ko) * 2004-06-24 2005-12-29 김기형 어휘의 난이도 정보와 시소러스를 활용한 도서지수 부여시스템
KR20060072544A (ko) * 2004-12-23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호 프로그램의 장르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KR20060098671A (ko) * 2005-03-03 2006-09-19 주식회사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 사이버 여론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07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53372A1 (en) 3d visualization system for web survey
US105586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a topic-centric visualization of collaboration data
US200200709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analyzing conditioned data
RU2427912C2 (ru) Система для визуальн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упр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ей на web-страниц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дикатора
JP5683037B2 (ja) 取引関係マップ生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1080899A1 (ja) 情報推薦方法
Nguyen et al. A novel visualization model for web search results
US20170060348A1 (en) Compact display of hierarchical structure on user interface
JP5886924B2 (ja) 取引関係マップ生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566616B1 (ko) 빅데이터 처리를 통한 광고의사결정시스템 및 방법
Hartson et al. Usability inspection of digital libraries: a case study
Li et al. VisTravel: visualizing tourism network opinion from the user generated content
Lytvyn et al. Architecture of system for content integration and formation based on cryptographic consumer needs
CN108921734A (zh) 一个基于多源异构数据的房地产信息可视化系统
KR101850853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방법 및 장치
Jetter et al. Hypergrid—accessing complex information spaces
JP2013109513A (ja) 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ngh et al.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sales data
KR101111715B1 (ko) 행성계에 대비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에서의 3 차원 여론조사시스템
JP5368900B2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hom Visual analytics of social media for situation awareness
Guldamlasioglu Web-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using JavaScript
Schleußinger et al. Knowde: A Visual Search Interface
Zhang Design of Movie Data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Web Crawler
Olawale Search engine optimization: concepts, techniques and challe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