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882B1 - Gasification system for organic waste using dual-type reactor including sewage sludge - Google Patents
Gasification system for organic waste using dual-type reactor including sewage slu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0882B1 KR101110882B1 KR1020090053437A KR20090053437A KR101110882B1 KR 101110882 B1 KR101110882 B1 KR 101110882B1 KR 1020090053437 A KR1020090053437 A KR 1020090053437A KR 20090053437 A KR20090053437 A KR 20090053437A KR 101110882 B1 KR101110882 B1 KR 101110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or
- gasification
- partition wall
- fluidized bed
- inclined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100)는, 통체로 구성된 몸체를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과, 격벽에 의해 구획된 일측에 형성되어 유동층 물질을 이용해 유기성 폐기물을 가스화하여 배출하는 가스화 반응기(110)와, 격벽에 의해 구획된 타측에 형성되어 가스화 반응기에서 가스화 후 유동하는 잔여물을 연소시켜 배출하고 유동층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연소 반응기(120), 및 유동층 물질을 연소 반응기 쪽에서 가스화 반응기 쪽으로 순환 유동시키는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152)를 포함하며, 격벽은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의 상부 부위를 좌우로 구획하는 제1 격벽(130)과, 상단은 제1 격벽의 하단과 상하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하단은 몸체의 하단과 상하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 간에 유동층 물질의 순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격벽(140)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통체로 구성된 몸체를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을 이용해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를 좌우로 이중 배열하되, 격벽을 상하로 분리하여 가스화 반응기과 연소 반응기 사이를 유동층 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순환하는 순환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가스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organic waste gasification apparatus 100 including the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one sid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and partitions a body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and the organic waste gas is discharged by gasifying the organic waste using a fluidized bed material. The gasification reactor 110 and the combustion reactor 120 formed on the other sid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o burn and discharge the residue flowing after the gasification in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ized bed material, and the fluidized bed material combustion reactor It comprises an air injector 152 for injecting air circulating to the gasification reactor from the side, the partition wall is a first partition 130 for partitio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from side to side,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It is spaced up and down from the bottom, and the bottom is spaced up and down from the bottom of the body. It consists of a second partition wall 140 to enable a circulating flow of the fluidized bed material during the period.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body consisting of a cylinder to the left and right, but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is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the partition wall is separated vertically to create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fluidized bed material circulates more smoothly between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By adopting,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gasification and combustion efficiency.
Description
이 발명은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통체로 구성된 몸체를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을 이용해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를 좌우로 이중 배열하되, 격벽을 상하로 분리하여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 사이를 유동층 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순환하는 순환구조를 갖는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waste gas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sewage sludge. More specifically,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are dually arranged from side to side using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 body composed of a cylinder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partition wall is separated from the top and bottom to be gasified. An organic waste gasifier comprising a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fluidized bed material circulates more smoothly between a reactor and a combustion reactor.
일반적으로, 유동층 가스화 장치는 대체 에너지 개발 및 폐기물 처리 등의 여러 화학공정분야에서, 석탄이나 슬러지 또는 폐고분자, 폐목재 및 폐타이어 등의 가스화와 관련된 에너지 전환공정 및 에너지 회수공정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동층 가스화 장치는 다른 여러 종류의 가스화 장치(Up-draft gasifier, Down-draft gasifier)에 비해 우수한 열전달 특성을 가지며, 반응로 내의 균일한 온도 분포로 인해 가스화 생성가스의 수율 및 조성이 일정하며, 고체 반응물의 반응로 내의 체류시간이 길뿐만 아니라, 고체가 유체와 같은 흐름을 갖고 있어 고체 처리가 용이하다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In general, fluidized bed gasifiers have been used in various chemical processes such as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and waste disposal, in energy conversion and energy recovery processes involving gasification of coal, sludge or waste polymers, waste wood and waste tires. There is extensive research on this. The fluidized bed gasifier has better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than other types of gasifiers (up-draft gasifier, down-draft gasifier), and the yield and composition of the gasification product gas are constant due to the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reactor. In addition to the long residence time of the reactants in the reactor, the solids have a fluid-like flow and thus have various advantages.
이렇듯, 유동층 가스화 장치는 고체를 처리함에 따라 생성되는 열량 가스를 얻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열량 가스의 고열량화 및 수율증대를 위해 촉매를 이용하는 등 여러 방식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As such, the fluidized bed gasifier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by using a catalyst for high calorific value and yield increase of calorific gas, since the main purpose is to obtain calorific gas generated by processing solids.
이러한 유동층 가스화 장치, 예를 들어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는 가스화 반응기의 내부에 유동층 물질을 충전하고, 가스화 반응기의 밑부분에 설치된 다수의 분무노즐을 통해 공기를 유입시켜 유동층 물질을 공기와 함께 유동시키고, 유동하는 유동층 물질을 유기성 폐기물을 가스화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까지 가스버너나 오일버너를 이용해 예열하며, 예열된 유동층 물질이 충전된 가스화 반응기 내에 하수 슬러지, 폐목재, 폐플라스틱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여 가스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화 반응기의 가스화가 완료된 잔여물인 차르(char)와 유동층 물질을 연소 반응기에 공급하여 연소 반응기의 고열을 통해 차르를 연소시키고, 고온으로 가열된 유동층 물질을 가스화 반응기로 공급하여 가스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Such a fluidized bed gasifier, such as an organic waste gasifier, fills the fluidized bed material inside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introduces air through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gasification reactor to flow the fluidized bed material with the air, The preheated fluidized bed material is preheated using gas burner or oil burner to a temperature sufficient to gasify the organic waste, and organic waste such as sewage sludge, waste wood and waste plastic is put into the gasification reactor filled with the preheated fluidized bed material. It is configured to achieve gasification. In addition, char and the fluidized bed material, which is the gasification of the gasification reactor, are supplied to the combustion reactor to burn the char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reactor, and the fluidized bed material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gasification reactor for easy gasification. It is configured to be made.
그런데, 기존의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는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가 분리 구성됨에 따라 각각의 장치를 이용해 유동층 물질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가 분리 구성됨에 따라 유동층 물질의 순환시에 열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유동층 물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 송가스가 가스화 반응기 및 연소 반응기에 각각 공급됨에 따라 가스화 및/또는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organic waste gasifier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fluidized bed material by using the respective devices as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is configured separately. That is, as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are separately configured, not only heat loss occurs in the circulation of the fluidized bed material, but also gasification and / or combustion as the transfer gas for transporting the fluidized bed material is supplied to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respective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통체로 구성된 몸체를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을 이용해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를 좌우로 이중 배열하되, 격벽을 상하로 분리하여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 사이를 유동층 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순환하는 순환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가스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body consisting of the left and right to double-sided gasification reactor and combustion reactor to the left and right, by separating the partition wall up and dow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waste gas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which improves gasification and combustion efficiency by adopting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fluidized bed material circulates more smoothly between a gasification reactor and a combustion reactor.
이 발명의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는, 통체로 구성된 몸체를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과, 격벽에 의해 구획된 일측에 형성되어 유동층 물질을 이용해 유기성 폐기물을 가스화하여 배출하는 가스화 반응기와, 격벽에 의해 구획된 타측에 형성되어 가스화 반응기에서 가스화 후 유동하는 잔여물을 연소시켜 배출하고 유동층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연소 반응기, 및 유동층 물질을 연소 반응기 쪽에서 가스화 반응기 쪽으로 순환 유동시키는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며, 격벽은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의 상부 부위 를 좌우로 구획하는 제1 격벽과, 상단은 제1 격벽의 하단과 상하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하단은 몸체의 하단과 상하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 간에 유동층 물질의 순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rganic waste gas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 body composed of a cylinder from side to side, and a gasification reactor formed on one sid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o gasify and discharge the organic waste using a fluidized bed material. And a combustion reactor formed at the other sid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o burn and discharge the residue flowing after gasification in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ized bed material, and air for circulating and flowing the fluidized bed material from the combustion reactor side to the gasification reactor. Including an air injector for injecting, the partition wall is a first partition partitio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to the left and right, the upper end is spaced up and down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lower end is spaced up and down the bottom of the body Fluidized bed water between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And a second partition wall to enable the circulation of the vagina.
이 발명의 제2 격벽은 제1 격벽에 비해 연소 반응기 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towards the combustion reactor relative to the first partition.
이 발명의 제1 격벽의 하단에는 연소 반응기 쪽에서 가스화 반응기 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 격벽의 상단에는 제1 격벽의 경사면과 평행한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격벽의 경사면과 제2 격벽의 제1 경사면의 사이에는 유동층 물질이 유동하는 제1 유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ombustion reactor side toward the gasification reactor sid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A first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ized bed material flows may be form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이 발명의 가스화 반응기는 그 하단 부위가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제2 격벽의 하단에는 가스화 반응기의 경사면과 간격을 두고 평행한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가스화 반응기의 경사면과 제2 격벽의 제2 경사면의 사이에는 유동층 물질이 유동하는 제2 유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gasification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clined inclined surface whose lower portion gradually decreases in siz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asification reactor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thereby gasifying A second flow passage through which fluidized bed material flows may be form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actor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이 발명의 제2 격벽은 제1 경사면에서 연장하여 가스화 반응기 쪽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더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hav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protrude toward the gasification reactor.
이 발명의 제2 격벽은 연장부의 하부 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직면을 갖다가 제2 경사면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제3 경사면을 더 구비하며, 가스화 반응기의 하부 내측면 일부분, 가스화 반응기의 경사면, 연장부, 제1 수직면 및 제3 경사면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이 유동층 물질에 의해 가스화 되는 가스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inclined surface having a first vertical surfac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 inclined surface, an extension, a first vertical surface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of the reactor may form a gasification space in which organic waste is gasified by the fluidized bed material.
이 발명의 가스화 반응기에는 가스화 공간에 버블 형태의 공기를 주입하는 다수의 제1 노즐세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In the gasification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nozzle sets for injecting bubble-shaped air into the gasification space may be further installed.
이 발명의 가스화 반응기에는 제2 유동통로에 설치되어 유동층 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연소 반응기 쪽으로 유동하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제2 노즐세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The gasification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set of nozzles installed in the second flow passage for injecting air to flow the fluidized bed material more efficiently toward the combustion reactor.
이 발명은 통체로 구성된 몸체를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을 이용해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를 좌우로 이중 배열하되, 격벽을 상하로 분리하여 가스화 반응기와 연소 반응기 사이를 유동층 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순환하는 순환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가스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sided arrangement of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to the left and right by using a partition partitioning the body consisting of a cylinder to the left and right, the partition wall is separated up and down to circulate the fluidized bed material flows more smoothly between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By adopting,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gasification and combustion efficiency.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organic waste gas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 측면 및 저면 개략도이다.1 to 3 are front, side and bottom schematic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ganic waste gasifier including a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100)는 유동층 물질을 이용해 유기성 폐기물을 가스화하여 배출하는 가스화 반응기(110)와, 가스화 반응기(110)에서 가스화 후 유동하는 잔여물(차르)을 연소시켜 배출하고 유동층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연소 반응기(120)를 갖는다. 1 to 3, the organic
가스화 반응기(110)와 연소 반응기(120)는 1개의 통체로 구성된 몸체를 상하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제2 격벽(130, 140)을 이용해 좌우로 구획하여 일체화된 이중 배열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1, 제2 격벽(130, 140)은 가스화 반응기(110)와 연소 반응기(120)의 사이를 유동층 물질이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이들 반응기(110, 120)를 구획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가스화 반응기(110)에는 하수 슬러지, 폐목재, 폐플라스틱 등의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폐기물 투입구(111)와, 유기성 폐기물을 가스화 하여 생성한 유용한 가스를 후속 공정을 위해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112)가 상부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가스화 반응기(110)는 그 하단 부위가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경사진 경사면(113)을 갖는다.The
연소 반응기(120)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가스화 시키고 가스화시에 잔류하는 잔류물인 차르를 연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동층 물질(모래)을 보충하는 유동층 물질 투입구(121)와, 가스화시에 잔류하는 차르를 연소함으로써 생성된 연소가스를 후속 공정을 위해 배출하는 연소가스 배출구(122)가 상부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The
제1 격벽(130)은 가스화 반응기(110)와 연소 반응기(120)의 상부 부위를 좌 우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상단은 반응기의 상단 내측에 고정되고 양측은 반응기의 양쪽 내측에 각각 고정되어 이들 반응기(110, 120)를 좌우로 구획한다. 여기서, 제1 격벽(130)은 일정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그 하단에 연소 반응기(120) 쪽에서 가스화 반응기(110) 쪽을 향해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31)을 갖는다.The
제2 격벽(140)은 가스화 반응기(110)와 연소 반응기(120)의 하부 부위를 좌우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양측이 반응기의 양쪽 내측에 각각 고정되어 이들 반응기(110, 120)를 좌우로 구획한다. 이때, 제2 격벽(140)의 상단은 제1 격벽(130)의 하단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The
또한, 제2 격벽(140)의 상단에는 제1 격벽(130)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131)과 평행한 제1 경사면(141)이 형성된다. 즉, 제2 격벽(140)은 그 상단에 연소 반응기(120) 쪽에서 가스화 반응기(110) 쪽을 향해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141)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제2 격벽(130, 140)의 경사면(131, 141) 사이에는 연소 반응기(120) 쪽에서 가스화 반응기(110) 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유동층 물질의 제1 유동통로(1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격벽(140)은 제1 격벽(130)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대략 제1 격벽(130)의 두께 만큼 연소 반응기(120) 쪽으로 치우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제2 격벽(130, 140) 간에 단차가 지므로 제1, 제2 격벽(130, 140) 사이의 제1 유동통로(150)를 따라 유동층 물질의 보다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first
또한, 제2 격벽(140)의 하단은 몸체의 하단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가스화 반응기(110)의 경사면(113)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한 제2 경사면(142)을 갖는다. 따라서, 가스화 반응기(110)의 경사면(113)과 제2 격벽(140)의 제2 경사면(142)의 사이에는 가스화 반응기(110) 쪽에서 연소 반응기(120) 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유동층 물질의 제2 유동통로(1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동층 물질은 제1, 제2 유동통로(150, 151)를 따라 반응기(110, 120) 간의 순환 유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또한, 제2 격벽(140)은 제1 경사면(141)에서 연장하여 가스화 반응기(110) 쪽으로 돌출된 연장부(143)를 갖는다. 연장부(143)는 제1 경사면(141)에 비해 완만한 하향 경사면이 그 상면에 형성되고, 제2 격벽(140)에 수직한 수평면이 그 하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연장부(143)는 가스화 반응기(110)의 폐기물 투입구(111)를 통해 공급되어 낙하하는 유기성 폐기물이 얹혀진 후 그 하부로 낙하할 수 있는 정도만큼 연장 돌출된다. 따라서, 연장부(143)의 상부에는 제1 유동통로(150)를 따라 유동하는 유동층 물질과 폐기물 투입구(111)를 통해 낙하하는 유기성 폐기물이 서로 섞여 혼합되는 혼합공간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제2 격벽(140)은 연장부(143)의 하부 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직면(144)을 갖다가 제2 경사면(142)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제3 경사면(145)을 갖는다. 따라서, 가스화 반응기(110)의 하부 내측면 일부분, 경사면(113)과, 연장부(143), 제1 수직면(144) 및 제3 경사면(145)을 통해 유기성 폐기물이 유동층 물질에 의해 가스화되는 가스화 공간(1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제2 격벽(140)은 제2 경사면(142)의 타측 끝단과 연소 반응기(120) 쪽의 제2 수직면(147)을 서로 연결하되 상향 경사각으로 연결하는 제4 경사면(146)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유동통로(151)를 따라 유동하던 유동층 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연소 반응기(120) 쪽으로 유동 가능하다.In addition, the
가스화 반응기(110)에는 가스화가 발생하는 가스화 공간(114)에 버블 형태의 공기를 주입하여 효율적인 가스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제1 노즐세트(115)를 갖는다. 다수의 제1 노즐세트(115)는 가스화 공간(114)의 하부 쪽에 치우쳐 위치하면서 유동층 물질과 유기성 폐기물의 혼합 및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스화시킨다. 또한, 가스화 반응기(110)에는 제2 유동통로(151)의 끝단 부위에 설치되어 유동층 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연소 반응기(120) 쪽으로 유동하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제2 노즐세트(116)를 갖는다.The
연소 반응기(120)의 하단에는 제2 유동통로(151)를 따라 유동하는 유동층 물질이 연소 반응기(120)를 따라 유동하다가 제1 유동통로(150)를 따라 가스화 반응기(110) 쪽으로 유동 순환하는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공기 분사부(152)를 갖는다. 다수의 공기 분사부(152)는 그곳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을 조절함으로써 유동층 물질의 유동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연소 반응기(120)의 하단에는 유동층 물질을 예열하기 위한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부(123)와, 소각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4)를 갖는다.At the bottom of the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를 통해 가스화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the gasification process through the organic waste gas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of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 공급부(123)를 통해 열원을 공급하여 유동층 물질을 예열함과 더불어, 다수의 공기 분사부(152)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유동층 물질을 순환 유동시킨다. 유동층 물질의 예열이 완료되면, 열원 공급부(123)를 통한 열원공급을 중단하고, 폐기물 투입구(111)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한다.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은 연장부(143)의 상면 쪽으로 낙하하면서 제1 유동통로(150)를 따라 유동하는 유동층 물질과 혼합되면서 점점 가스화 된다. 이렇게 혼합 가스화되는 유기성 폐기물과 유동층 물질은 연장부(143)의 하부로 낙하하고, 유기성 폐기물은 유동층 물질에 의해 가스화 공간(114)에서 보다 활발하게 가스화 된다. 이때, 가스화 공간(114)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노즐세트(115)에서 분사되는 버블형태의 공기에 의해 보다 활발하게 가스화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heat source is supplied through the heat
가스화한 가스는 가스 배출구(112)로 배출되고, 가스화 후 잔류하는 차르와 유동층 물질은 제2 유동통로(151)를 따라 연소 반응기(120)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유동통로(151)의 끝단 부위에 설치된 제2 노즐세트(116)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다. 유동층 물질과 함께 유동된 차르는 연소 반응기(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면서 연소되어 연소가스가 연소가스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되고, 유동층 물질은 제1 유동통로(150)를 따라 가스화 반응기(110) 쪽으로 순환 유동한다.The gasified gas is discharged to the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기의 주입속도가 변화됨에 따른 유동층 물질의 유동변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고, 또한 가스화 반응기과 연소 반응기 사이를 유동층 물질이 원활하게 순환하는 순환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가스화 및 연소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4 is a graph showing a simulation result of an organic waste gasifier including a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the flow change of the fluidized bed material occurs as the injection speed of the air is changed, and also by adopting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fluidized bed material is smoothly circulated between the gasification reactor and the combustion reactor gasification and combus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is improved.
도 5는 이 발명에 따른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를 구비한 가스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가스화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구성된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100)와, 일반적인 가스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가스화 장치(100)에서 가스화하기 위한 원료와 열원을 공급하는 슬러지 투입호퍼(200), 예열용 버너(201) 및 점화용 버너(202) 등과, 가스화 장치(100)에서 가스화한 가스를 정제하기 위한 가스연소기(203), 열교환기(204) 및 송풍기(205) 등과, 가스화 장치(100)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싸이클론(206), 열교환기(207), 건식반응기(208), 여과집진기(209) 및 송풍기(210) 등을 갖도록 구성된다.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asification system having an organic waste gasifier comprising a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gas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rganic
이상에서 이 발명의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organic waste gas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 측면 및 저면 개략도이고, 1 to 3 are front, side and bottom schematic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ganic waste gasifier including a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4 is a graph showing simulation results of an organic waste gasifier including a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이 발명에 따른 이중 반응기형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를 구비한 가스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asification system having an organic waste gasifier comprising a double reactor type sewage slu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유기성 폐기물 가스화 장치 110 : 가스화 반응기 100
120 : 연소 반응기 130 : 제1 격벽120: combustion reactor 130: first partition wall
140 : 제2 격벽 150 : 제1 유동통로140: second bulkhead 150: first flow passage
151 : 제2 유동통로151: second flow passag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437A KR101110882B1 (en) | 2009-06-16 | 2009-06-16 | Gasification system for organic waste using dual-type reactor including sewage slu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437A KR101110882B1 (en) | 2009-06-16 | 2009-06-16 | Gasification system for organic waste using dual-type reactor including sewage slud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5016A KR20100135016A (en) | 2010-12-24 |
KR101110882B1 true KR101110882B1 (en) | 2012-02-15 |
Family
ID=4350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3437A KR101110882B1 (en) | 2009-06-16 | 2009-06-16 | Gasification system for organic waste using dual-type reactor including sewage slu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08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6764B1 (en) * | 2015-10-28 | 2016-08-09 |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 Method and fixed bed gasifier |
KR102453033B1 (en) | 2022-07-07 | 2022-10-12 | 주식회사 예인에프에스 | Carbon emission reduction type sludge separation treatment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1757A (en) * | 1997-11-04 | 2001-04-16 | 마에다 시게루 | Fluidized bed gasification combustion furnace |
KR20070031487A (en) * | 2005-09-14 | 2007-03-20 | (주)유젠텍 | Modified Waste Gasification Apparatus Utilizing Heat from Residue Combustory |
JP2009019870A (en) | 2008-08-12 | 2009-01-29 | Ebara Corp | Fluidized bed gasification combustion furnace |
-
2009
- 2009-06-16 KR KR1020090053437A patent/KR10111088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1757A (en) * | 1997-11-04 | 2001-04-16 | 마에다 시게루 | Fluidized bed gasification combustion furnace |
KR20070031487A (en) * | 2005-09-14 | 2007-03-20 | (주)유젠텍 | Modified Waste Gasification Apparatus Utilizing Heat from Residue Combustory |
JP2009019870A (en) | 2008-08-12 | 2009-01-29 | Ebara Corp | Fluidized bed gasification combustion furna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5016A (en) | 2010-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01130A (en) | Internal circulation fluidized bed (ICFB)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BR112012017820B1 (en) | grate assembly for gasifier and downflow aerator | |
JP6447718B2 (en) | Waste plastic solid fuel incinerator | |
JPS6023855B2 (en) | Fluidized bed reactor | |
FI122858B (en) | Method for performing pyrolysis and pyrolysis apparatus | |
JP2007024492A (en) |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and pyrolizing gasification method | |
KR101110882B1 (en) | Gasification system for organic waste using dual-type reactor including sewage sludge | |
CN101646752A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is used for the variable-power gasification of combustible matl | |
KR101265760B1 (en) | Fluidized Bed Reactor Mounted with Sparge Pipes | |
RU2476770C2 (en) | Method of processing and destruction of solid wastes and device for its realisation | |
CN103429715A (en) | Tar removal device | |
KR20130021718A (en) | Fluidiz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stair type air distributor | |
AU2007347601B2 (en) | Method of gasifying gasification fuel and apparatus therefor | |
US8377155B2 (en) | Auger gasifier with continuous feed | |
WO2011161947A1 (en) | Fluidized bed furnace and waste processing method | |
JP6008082B2 (en) | Gasification apparatus and gasification method | |
KR20170097076A (en) | Reactor for producing a product gas from a fuel | |
KR101425798B1 (en) | Dual bubbling-fluidized-bed indirect gasifier | |
KR100530563B1 (en) | Manufacturing system synthetic gas from combustibles wastes by gasification | |
KR101283569B1 (en) | Swirling flow combustion equipment of a combustor using biomass and waste fuel capable of reducing heating costs by completely combusting fuel. | |
JP3542280B2 (en) | Fluid bed incinerator | |
KR20090039534A (en) | Pyrolysis reactor and char combustor intergrally formed pyrolysis-combustor system | |
KR101704766B1 (en) | gasifier | |
KR102704432B1 (en) | Fluidized bed gasification boiler for waste | |
KR101704768B1 (en) | Gasifier using pyroelectric effe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