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572B1 - Handle bar with the function of anti-theft - Google Patents

Handle bar with the function of anti-the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572B1
KR101110572B1 KR1020090060107A KR20090060107A KR101110572B1 KR 101110572 B1 KR101110572 B1 KR 101110572B1 KR 1020090060107 A KR1020090060107 A KR 1020090060107A KR 20090060107 A KR20090060107 A KR 20090060107A KR 101110572 B1 KR101110572 B1 KR 10111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ar
bar
stem
plunger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2579A (en
Inventor
이석진
Original Assignee
이석진
(주)영진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진, (주)영진블루텍 filed Critical 이석진
Priority to KR102009006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572B1/en
Publication of KR2011000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2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for locking the steering mechanism
    • B62H5/0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for locking the steering mechanism acting on the handlebars or equival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난방지를 위해 스템과 연결되는 핸들바아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향을 위해 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부가 메인바아에 탈부착될 수 있는 체결구조로 형성되어 자전거를 보관시에 상기 그립부만을 분리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and more particularly, in configuring a handlebar connected to a stem to prevent theft, the grip part which is gripped by hand for steering is formed in a fastening structure which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main b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wherein the grip part can be separated and carried at the time of storage to prevent theft.

자전거, 도난방지, 핸들바아, 조향, 탈부착, 그립부, 메인바아, 휴대 Bicycle, Anti-Theft, Handlebar, Steering, Detachable, Grip, Main Bar, Portable

Description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Handle bar with the function of anti-theft}Handlebar with the function of anti-theft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난방지를 위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and more specifically, a technology for preventing theft.

환경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자전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자전거의 이용자도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한때 자동차의 보급으로 자전거 산업은 사양 산업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석유자원의 감소와 이로 인한 유가의 상승 및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전세계적인 화두로 인해 자전거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As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and health is risin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bicycles, and the use of bicycles is gradually increasing. Although the bicycle industry was once classified as a declining industry due to the spread of automobiles, bicycles are being accepted as a new growth engine due to the decrease in petroleum resources, the rise in oil prices, and the global topic of low carbon green growth.

예전과 달리 근래에는 자전거의 종류도 다양해졌고 경량화되고 고단기어가 채택되고 있다. 이로인해 수천만원에 달하는 고가의 자전거도 판매되고 있으며 동호회 활동을 하거나 산악 자전거를 즐기는 사람들은 대부분 몇백만원에 이르는 자전거를 구입하고 있다.Unlike in the past, bicycles have been diversified, light weight and high gears are being adopted. As a result, expensive bicycles that sell tens of millions of won are sold. Most people who enjoy club activities or mountain bikes purchase bicycles that cost several million won.

이렇게 고가의 자전거의 등장으로 자전거 도난의 문제가 대두하게 되었다. 특히, 아파트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관계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자전거 를 실내에 두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계단 난간에 열쇠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묶어두기도 한다. 일반적인 도난방지 수단인 바퀴를 포크와 구속되게 하는 열쇠들은 절도범이 커터 등을 이용하여 열쇠를 해체할 수 있어 도난방지를 막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또 다른 절도 수법으로는 열쇠로 채워진 자전거 자체를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통체 가지고 가기도 한다.The emergence of expensive bicycles raises the issue of bicycle theft. In particular, because there are a lot of people living in apartments, it is difficult to put a large number of bicycles indoors. Keys for restraining the wheels with forks and locks, which are common anti-theft means, have the limit to prevent theft prevention because thieves can use the cutter to dismantle the keys. Another stealing technique involves taking a bicycle filled with keys by means of a truck-like vehicle.

그리고 도난방지용 설비가 없는 곳에 자전거를 두고(공용화장실, 도심건물 등) 업무 등을 볼 때 자전거의 도난 위험은 더욱 증대되고 자전거 보관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다지만 전국 모든 도로에 자전거 보관 시스템을 다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더욱 본 발명과 같은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의 보급이 절실하다.In addition, the risk of theft of bicycles is increasing and the bicycle storage system is on the rise when people place their bicycles (public toilets, urban buildings, etc.) where there are no anti-theft facilities, but the bicycle storage system is increasing. Since it is not possible to further spread the bicycle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자전거 도난을 방지할 목적으로 제안되었던 종래기술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that have been propo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ft of bicycles will be described.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23461호의 "절첩이 가능한 자전거 핸들"이 있었으며, 또 다른 기술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27840호의 "자전거 도난방지 시스템"이 있었다.Representatively, there was a "foldable bicycle handle"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23461. Another technology was the "Bike anti-theft system"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27840.

그 외에도 다수의 기술이 있지만 알려진 종래기술들은 자전거의 주요부가 그대로 붙어있는 상태이므로 절도 후에 얼마든지 자전거를 팔거나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are a number of technologies, but the known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can sell or use the bicycle as much as possible after theft because the main part of the bicycle is still attach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도범이 자전거를 훔치더라도 자전거의 사용이 어렵도록 하고 자전거를 설령 훔쳐서 달아나더라도 쉽게 자전거를 타고 다닐 수 없으며 핸들이 빠진 자전거를 가지고 이동중에는 절도범으로 각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도난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thief steals a bicycle, it is difficult to use the bicycle, and even if the bicycle is stolen away,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ride the bicycle, and the handle is missing so that the car can be stamped as a thief on the move.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be reduced to.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스템과 연결되는 핸들바아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향을 위해 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부가 메인바아에 탈부착될 수 있는 체결구조로 형성되어 자전거를 보관시에 상기 그립부만을 분리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체결구조로서 상기 메인바아에는 그립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되 내면에 하나 이상의 키홈이 마련되며 외면으로부터 함몰부 내부로 연통되는 플런저홀이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키홈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키 및 플런저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플런저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아의 플런저홀에 설치되는 플런저에 의해 상기 그립부가 메인바아의 함몰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problem as set forth,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bar connected to the stem, the grip portion which is gripped by hand for steering is formed of a fastening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e to the main bar to the bike stor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ft by separating only the grip part and to carry it, but as the fastening structure, the main bar is provided with a depression in which the grip part can be inserted. The plunger hole is provided, and the grip part has a plunger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key and plunger hole corresponding to the key groove. The handle bar having the anti-theft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main bar by the plunger installed in the plunger hole of the main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부를 메인바아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헤드프레임에 끼워지는 포크가 링크수단의 작동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를 제안한다.Preferably, the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grip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the fork fitted to the head frame is restrained from being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ink means.

그리고 상기 링크수단은, 메인바아 내부에 그립부가 결합됨에 따라 후퇴되도록 탄성체로 지지되는 무빙블럭과; 헤드프레임에 삽입되는 포크 내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포크 및 메인바아 내부를 통해 설치되어 상기 무빙블럭과 레버를 연결하게 되는 링크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그립부가 메인바아로부터 분리되면 레버가 헤드프레임에 마련되는 레버홀에 끼워져 포크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를 제안한다.The link means includes: a moving block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so as to retreat as the grip par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ar; A lever pivotally installed in the fork inserted into the headframe; Link members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ork and the main bar to connect the moving block and the lever; and when the grip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the lever is fitted into a lever hole provided in the head frame to prevent rotation of the fork. A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is proposed.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부를 메인바아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스템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스토퍼와 메인바아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플런저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스템으로부터 메인바아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를 제안한다.In addition, the anti-theft func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main ba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em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provided in the stem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lunger formed in the main bar when the grip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It proposes a handle bar having.

그리고 상기 스템은, 스템바디와 스템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바아가 놓이는 스템바디 내부면에 G 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아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플런저는, 메인바아 내부에 그립부가 결합됨에 따라 후퇴되도록 탄성체로 지지되는 무빙블럭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 근처에 이탈방지스토퍼와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함몰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가 분리되면 절개홈이 상기 이탈방지스토퍼와 불일치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스템으로부터 메인바아를 분리시킬 수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를 제안한다. The stem is composed of a stem body and a stem cover, but the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protruding in a G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m body on which the main bar is formed, the separation prevention plunger formed on the main bar is inside the main bar.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a moving block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so that the grip portion is retracted as the retracted portion is retracted, and a recessed recess is formed near the other end so that the restraint with the escape prevention stopper is released. A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ar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tem by being moved to a position inconsistent with the escape prevention stopper.

본 발명에 의한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사용치 않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그립부를 분리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절도의 대상이 되지 못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The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ft of the bicycle by simply detaching and carrying the grip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bicycle.

그리고 설령 도난 후에도 핸들바아를 분해 후 다른 핸들바아로 교체하려 해도 기존 분리된 그립부가 없으면 핸들바아를 쉽게 분리할 수 없도록 구성하여 분실의 가능성을 더욱 낮추어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Even if the handlebar is disassembled and replaced with another handlebar even after thef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andlebar can not be easily removed without the existing grip part,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os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이하, 핸들바아라 한다)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토록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구체화한 하나의 예에 해당되는 것인 바, 타인에 의한 단순한 구조적 변경이나 치환과 같은 변형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a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andle ba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as a mea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drawings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 However, the drawings presented are intended to correspond to one example embodied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such as simple structural changes or substitutions by others are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개략적인 자전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1은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조향장치와 관련되는 것으로는 앞바퀴(60), 포크(70), 프레임을 이루는 헤드프레임(80), 스템(90), 핸들바아(100) 등이 있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bicycle, Figure 1 shows the structure of a general bicycle as the steering wheel associated with the front wheel 60, fork 70, the head constituting the frame Frame 80, stem 90, handlebar 100, and the like.

헤드프레임(80)을 통해서 포크(70)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스템(90)을 이용하여 핸들바아(100)와 포크(70)가 연결되어 앞바퀴(6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템(90)에 연결되는 핸들바아(100)는 좌우 양 끝단부가 그립부(120)가 되어 사용자가 그립부를 파지한 채 운전을 하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fork 70 is inserted through the head frame 80 and the handle bar 100 and the fork 70 are connected by using the stem 90 so that the front wheel 60 can be rotated. The handle bar 100 connected to the stem 90 has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as the grip part 120, and the user operates while holding the grip part.

본 발명에서의 핸들바아(100)는 그립부(120)가 분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데, 스템(90)에 직접 연결되는 부위를 메인바아(110)라 하고 상기 메인바아(110)의 각 끝단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부분을 그립부(120)라 부르기로 하며 상기 메인바아(110)와 그립부(120)는 탈부착 가능한 체결구조를 갖게 된다. 즉, 메인바아(110)에 탈부착될 수 있는 그립부(120)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운행시에만 연결하여 사용하며 보관시나 잠시 주차시에는 상기 그립부(120)를 메인바아(110)로부터 분리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Handle bar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portion 120 can be separated, the portion directly connected to the stem 90 is called the main bar 110 and each end of the main bar 110 A part that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part is called a grip part 120, and the main bar 110 and the grip part 120 have a detachable fastening structure. That is, the grip part 120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ar 110 is connected to the user only when the user drives the bicycle, and the grip part 1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110 when the user is storing or parking for a while. It helps to prevent thef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바아(110)로부터 그립부(120)가 분리되는 경우에 이와 연동되는 링크수단에 의해서 헤드프레임과 포크가 구속되어 포크의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ore preferably, when the grip part 1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110, the head frame and the fork may be restrained by the link means interlocked with the grip unit 120 so that the fork may not be rotated.

<제1실시예> First Embodiment

첨부되는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들바아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3은 메인바아의 측면도에 해당된다.2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andle ba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corresponds to a side view of the main ba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들바아(100)에 있어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그립부(120)와 메인바아(110)는 서로 상응하는 체결구조를 통해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바아(110)의 좌우 양측 모두에 탈부착될 수 있는 그립부(120)를 둘 수도 있는 것이며, 어느 일측에만 분리될 수 있는 그립부(120)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handle b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120 and the main bar 110, which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can be simply coupled or separated through a fasten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grip part 120 may be attach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ar 110, and the grip part 12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only on one side.

상기 메인바아(110)와 그립부(120)간의 체결구조는 암수 형태로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바아(110)에 그립부(120)가 삽입될 수 있는 함몰부(111)가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고정을 위한 걸림턱(112)이 마련된다. 상기 함몰부(111)를 통해 그립부(120)의 일부분이 끼워지며 본 예의 경우 함몰부(111)는 테이퍼진 형태로 내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것으로 한다.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main bar 110 and the grip part 120 may be coupled or separated in a male and female form,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ssed part in which the grip part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ar 110 ( 111 is formed and the locking step 112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for fixing. A part of the grip part 120 is fitted through the recess 111, and in this example, the recess 111 is taper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thereof decreases toward the inside.

상기 메인바아(11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112)은 후술할 돌출윙(122)과 결합되는데, 분할된 형태로 두개의 걸림턱(112)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두개의 걸림턱(112) 사이는 빈 공간으로서 돌출윙(122)이 통과되는 부위이며 상기 걸림턱(112)과의 구별을 위해 통과홀(113)이라 부르기로 한다.The locking jaw 112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ar 110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wing 12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wo locking jaws 112 are provided in a divided form. Between the two locking jaw 112 is an empty space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wing 122 passes and will be referred to as a passage hole 113 to distinguish it from the locking jaw 112.

메인바아(110)에 결합될 수 있는 그립부(120)는 함몰부(111)로 끼워지는 돌출부(121)를 갖추게 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형상은 함몰부(111)에 상응하는 형태로서 암수를 이루면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21) 외면에는 상기 걸림턱(112)에서 그립부(120)를 구속시키기 위한 돌출윙(122)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윙(122)은 그립부(120)의 돌출부(121) 중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며 상기 돌충윙(122)은 메인바아(110)의 통과홀(113)에 맞추어 최대한 밀어넣고서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턱(112)에서 돌출윙(122)이 구속되어 그립부(1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grip part 120 that can be coupled to the main bar 110 has a protrusion 121 fitted into the depression 111, and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21 corresponds to the depression 111. That's it. In addition, a protruding wing 122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1 to restrain the grip 120 from the locking jaw 112. The protruding wing 122 is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121 of the grip portion 120, and the bump wing 122 is pushed and rotated as much a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hole 113 of the main bar 110. Protruding wing 122 is constrained at 112 to allow the grip portion 120 to be coupled.

보다 구체적으로 그립부(120)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1)의 기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돌출윙(122)이 형성되는데 그 거리는 걸림턱(112)이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면 충분하며 이 부위를 결합홈(123)이라 부르도록 한다. 물론 함몰부(111)에도 걸림턱(112)과 사이에 돌출윙(122)이 끼워질 수 있는 또 다른 결합홈(114)이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projecting wing 12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rigin of the protrusion 121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grip part 120, and the distance is sufficient so that the locking jaw 112 can be fitted. The part to be called the coupling groove 123. Of course, the recess 111 is also formed with another engaging groove 114 into which the protruding wing 122 may be fitted between the locking jaw 112.

본 발명의 핸들바아(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될 수 있는 그립부(120)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고리(130)를 두도록 할 수 있다. 즉, 메인바아(110)로부터 그립부(120)를 분리한 후 휴대할 때나 보관할 때 고리(130)를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특정장소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constructing the handle b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ut the ring 130 in order to facilitate carrying in the grip portion 120 that can be separated. That is, the grip unit 1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110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using the ring 130 when carrying or storing, or can be hung in a specific place.

이처럼 본 발명에서의 핸들바아(100)는 메인바아(110)에 그립부(120)를 쉽게 결합되게 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으며 동시에 도난사고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handle bar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grip portion 120 to the main bar 110,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ft accidents.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핸들바아에 대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하며, 도4는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이며, 도5는 메인바아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6은 그립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Next, a description of the handle b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veloped, Fig. 4 is a schematic partial front view, Fig. 5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bar and Fig. 6 shows a front view of the grip portion.

도시된 것처럼 본 제2실시예에서의 체결구조는 메인바아(110)의 끝단부에 그립부(12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함몰부(111)가 형성되되 그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키홈(KG)이 마련되고 외면으로부터 상기 함몰부(111)에 이르도록 연통되는 플런저홀(PH)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120)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키홈(KG)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키(K)가 구비되며 플런저홀(PH)에 상응하는 위치에 플런저그루브(PG)가 구비된다.As shown, the fastening structure in the second embodiment has a recess 111 in which a part of the grip portion 120 can be inserted at the end of the main bar 110, but at least one key groove KG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provided is provided with a plunger hole (PH) which communicates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recess 111. At least one key K corresponding to the key groove KG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grip part 120, and a plunger groove PG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nger hole PH.

또한, 상기 메인바아(110)에 형성되는 플런저홀(PH)에는 플런저(P)가 결합되 며 상기 플런저(P)는 사용자가 플런저헤드(P1)를 당기면 후퇴되는 것으로 외력을 가하지 않게 되면 플런저(P)가 플런저그루브(PG)에 끼워지게 되어 메인바아(110)에 그립부(120)를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nger P is coupled to the plunger hole PH formed in the main bar 110, and the plunger P is retracted when the user pulls the plunger head P1. P is to be fitted to the plunger groove (PG) to fix the grip portion 120 to the main bar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5의 씨이(C)와 같이 상기 메인바아(110)의 끝단부에 커버(C)를 부착시키도록 한 상태에서 그립부(120)를 메인바아(110)에 삽입되게 한 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플런저(P)가 플런저그루브(PG)에 끼워져 그립부(120)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버(C)에는 그립부(120)의 키(K)가 통과될 수 있도록 키홈(KG)이 형성되어야 하며, 한편 메인바아(110) 내면에 형성되는 키홈(KG)의 경우에는 그 형성 면적이 대략 90도 만큼 확장되어 그립부(120)를 삽입 후 최대 90도 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그립부(120)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플런저홀(PH)과 플런저그루브(PG)의 위치는 일치될 수 있도록 적당한 위치에 플런저홀(PH)과 플런저그루브가(PG)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grip portion 120 is inserted into the main bar 110 in a state where the cover C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main bar 110 as shown in the seed C of FIG. 5. The plunger P may be fitted into the plunger groove PG to be rotated by an angle of to fix the grip part 120. In this case, a key groove KG must be formed in the cover C to allow the key K of the grip part 120 to pass therethrough, and in the case of a key groove KG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ar 110. The formation area is extended by approximately 90 degrees to allow the grip portion 120 to rotate up to 90 degrees after insertion.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plunger hole PH and the plunger groove PG in the state where the grip unit 120 is rotated by 90 degrees is assumed to be provided with the plunger hole PH and the plunger groove PG.

이와 같이 메인바아(110) 단부에 커버(C)를 두게 되면 그립부(120)가 삽입된 후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되므로 커버(C)에 의해 그립부(120)의 이탈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반대로 그립부(1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런저(P)가 플런저그루브(PG)로부터 빠지도록 한 후 상기 그립부(120)를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고 축방향으로 당겨서 빼내어 분리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cover C is placed at the end of the main bar 110, the grip part 120 is fixed at the rotated position after the grip part 120 is inserted, thereby preventing the grip part 120 from being separated by the cover C. . On the contrary, when the grip part 120 is to be separated, the plunger P may be pulled out of the plunger groove PG, and then the grip part 120 may be rotated 90 degre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pulled out in the axial direction to separate the grip part 120.

본 실시예에서의 키 및 키홈의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서로 상응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The shape of the key and the key groove in this embodiment is only one example and their shape can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들바아에 대해 설명하며 도7은 이에 따른 핸들바아의 정면도이고 도8은 배면도이며 도9는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10은 그립부의 정면도이며 도11은 메인바아의 단면도이고 도12는 락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Next, a handle ba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handle bar, FIG. 8 is a rear view, and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 front view of the grip portion, Figure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bar and Figure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ans.

핸들바아(100)를 구성하는 메인바아(110)에는 그립부(12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대(110a)와 덮개(110b)가 힌지(115)로 연결되어 상기 덮개(110b)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110b)의 내부면에는 돌출되는 키(K)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10a)와 덮개(110c)는 락수단(140)을 통해서 서로 구속될 수 있다. 즉, 힌지(115)로 연결되는 덮개(110b)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이며, 덮개(110b)를 열어둔 상태에서 그립부(120)를 지지대(110a) 위에 놓고 덮개(110b)를 닫아 그립부(120)를 고정 연결시키게 된다.The main bar 110 constituting the handle bar 100 is a means for fixing the grip portion 1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110a and the cover 110b by a hinge 115 to open or close the cover 110b. Is configured to be,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10b) is formed with a protruding key (K) and the support (110a) and the cover (110c) can be restrain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locking means (140). That is, the cover 110b connected to the hinge 115 may be opened and closed. The grip part 120 is placed on the support 110a while the cover 110b is opened, and the cover 110b is closed to close the grip part 120. Will be fixedly connected.

상기 그립부(120)에는 상기 덮개(110b)에 형성되는 키(K)에 상응하는 키홈(KG)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110b)를 닫게 되면 키(K)가 키홈(KG)에 결합되어 상호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110b)를 닫아 메인바아(110)에 그립부(120)가 연결되도록 할 때에는 덮개(110b)가 무단히 열리게 되면 않되므로 사용자가 조작을 하여야만 덮개가 열릴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Since the grip part 120 is formed with a key groove KG corresponding to the key K formed on the cover 110b, the key K is coupled to the key groove KG when the cover 110b is closed. The connection is made. In addition, when the grip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bar 110 by closing the cover 110b, the cover 110b does not need to be opened. Therefore, the cover 110b needs to be opened only by the user.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10a)와 덮개(110b)를 구속하기 위해 락수단(140)을 두도록 하는데, 상기 락수단(140)의 설치를 위해 지지대(110a)의 일측면에는 하부플랜지(F1)를 두고 덮개(110b)에는 상부플랜지(F2)를 두는 것으로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means 140 is provided to restrain the support 110a and the cover 110b. The lower flange F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110a for the installation of the locking means 140. The upper flange (F2) is to be placed on the cover (110b).

상기 지지대(110a)에 구비되는 하부플랜지(F1)의 상면에는 함몰되는 클램프홈(CG)이 형성되며 덮개(110b)에 구비되는 상부플랜지(F2)에는 상기 클램프홈(CG)에 결합될 수 있는 클램프(C1)가 구비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10b)의 상부플랜지(F2)에 형성되는 클램프(C1)는 좌우로 직선운동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S)과 연결되는데 덮개(110b)를 닫을 시에 덮개(110b)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클램프(C1)가 클램프홈(CG)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F1) provided in the support (110a) is formed with a recessed clamp groove (CG) and the upper flange (F2) provided in the cover (110b) can be coupled to the clamp groove (CG). Clamp C1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2, the clamp C1 formed on the upper flange F2 of the cover 110b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spring S so as to linearly move from side to side, and the cover 110b is closed when the cover 110b is closed. When pressing 110b, the clamp C1 enters the clamp groove CG.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110b)의 가압시 클램프(C1)가 클램프홈(CG)속으로 들어가는 메카니즘은 아래와 같이 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mechanism in which the clamp C1 enters the clamp groove CG when the cover 110b is pressed is achieved as follows.

클램프홈(CG))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안내턱(CG1)이 구비되며 그 상면은 비스듬하게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클램프(C1)의 하단부인 걸림고리(C1a)는 안내턱(CG1)의 경사면을 따라 가압시 후퇴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부면이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한다.Clamp groove (CG) is provided with a guide jaw (CG1)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obliquely inclined surface. And the catch ring (C1a),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clamp (C1) is to form a slanted lower surface to be moved downward while being retracted when press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jaw (CG1).

덮개(110b)를 닫기 전 도면상 클램프(C1)는 압축스프링(S)으로 인해 가장 좌측에 위치하게 되나 덮개(110b)를 닫기 위해 눌러주게 되면 클램프(C1)는 클램프홈(CG)의 안내턱(CG1)과 접촉되면서 미끌리어 후퇴되다가 안내턱(CG1)을 벗어나게되면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다시 좌측방향으로 전진되어 걸림고리(C1a)가 안내턱(CG1) 하부면과 접촉되어 구속되는 상태로 전환된다.Before closing the cover 110b, the clamp C1 is positioned at the leftmost position due to the compression spring S. However, when the clamp C1 is pressed to close the cover 110b, the clamp C1 is a guide jaw of the clamp groove CG.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CG1) slips back and leaves the guide jaw (CG1) is moved downward to the left again while moving forward to the left and the hook ring (C1a)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jaw (CG1) to be constrained. .

덮개(110b)를 열기 위해서는 클램프(C1)를 도면상 우측으로 강제로 이동시켜서 걸림고리(C1a)가 안내턱(CG1)으로부터 분리되게 한 후 열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프(C1)의 이동을 위해 클램프(C1)와 연결되어 상부플랜지(F2) 상면으로 돌출되 는 클램프헤드(C1b)를 두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open the cover 110b, the clamp C1 is forcibly moved to the right in the drawing so that the hook C1a is separated from the guide jaw CG1 and then opened. In order to move the clamp C1, it is preferable to have a clamp head C1b connected to the clamp C1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F2.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메인바아(110)에 그립부(120)가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더 나아가 보다 확실하게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그립부(120)가 메인바아(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링크수단(150)이 작동되어 포크(70)가 헤드프레임(80)에 구속되어 회전이 되지 못하도록 구성함에 특징을 둔다.In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art 12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ar 110, and the grip part 120 may be further prevented from theft accident. In the case of separation from the link means 150 is operated so that the fork 70 is constrained to the head frame 80 to prevent rotation.

도13은 개략적인 제4실시예의 핸들바아에 대한 구성도이며, 메인바아(110) 및 포크(70)의 내부를 통해서 링크수단(15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언급된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들바아(100)에 링크수단(150)이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것이나 타 실시예인 제2, 제3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andlebar of the fourth embodiment, wherein the link means 150 is form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main bar 110 and the fork 70. In this embodiment, the link means 150 is applied to the handle ba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but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may be similarly applied.

상기 링크수단(150)은 무빙블럭(150a), 레버(150b) 및 링크부재들(150c)로 구성되며, 상기 무빙블럭(150a)은 탄성체로 지지되어 메인바아(110)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탄성체로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립부(120)를 메인바아(110)에 연결시키기 위해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무빙블럭(150a)이 그립부(120)와 맞닿으면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키게 된다. 상기 무빙블럭(150a)에는 수평링크바아(15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평링크바아(151)는 다시 링크플레이트(152)와 연결되며 상기 링크플레이트(152)의 다른 쪽에는 수직링크바아(153)가 연결되어 포크(70) 내부를 따라 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다. 상기 수직링크바아(153)의 하단부에 레버(150b)가 연결되며 상기 레버(150b)는 브라켓(154)에 회동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상기 링크플레이트(152) 역시 브라켓(154)에 구속되어 회동동작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The link means 150 is composed of a moving block 150a, a lever 150b, and link members 150c, and the moving block 150a is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to move within the main bar 110. As the elastic body, a general coil spring may be utilized. When the grip part 120 is coupled to the main bar 110, the moving block 150a moves to the left side in contact with the grip part 120 to compress the coil spring. A horizontal link bar 151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50a, and the horizontal link bar 151 is connected to the link plate 152 again, and a vertical link bar 153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link plate 152. Is connected is formed long downward along the inside of the fork 70. A lever 150b i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link bar 153, and the lever 150b is pivotally constrained to the bracket 154. The link plate 152 is also constrained by the bracket 154 to form a pivotable structure.

상기 레버(150b)의 설치 위치는 헤드 프레임(80)으로 둘러싸이는 포크(7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프레임(80)과 포크(70)에는 레버(150b)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되어있다. 메인바아(110)로부터 그립부(120)가 분리된 상태인 경우 무빙블럭(150a)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며 이때 수평링크바아(151)는 우측으로 이동되어있고 이에 따라 수직링크바아(153)는 가장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되고 결국에는 레버(150b)는 헤드프레임(80)과 포크(70)에 형성되는 레버홀(155)을 통해서 끼워진 상태가 되어 포크(70)는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ver 150b is formed in the fork 70 surrounded by the head frame 80 and perforated so that the ends of the lever 150b can be inserted into the head frame 80 and the fork 70. have. When the grip part 1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110, the moving block 150a is moved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nd the horizontal link bar 151 is moved to the right, and thus the vertical link bar 153 is moved. Is placed in the highest position and eventually the lever 150b is fitted through the lever hole 155 formed in the head frame 80 and the fork 70, and the fork 70 is not rotated. .

반면에 그립부(120)를 메인바아(110)에 결합시키게 되면 무빙블럭(150a)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연동하여 수평링크바아(151)도 좌측으로 이동되고 링크플레이트(15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수직링크바아(153)를 하방으로 밀게된다. 이에 따라 수직링크바아(153)에 연결된 레버(150B)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포크(70)와 헤드프레임(80)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포크(70)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그립부(120)도 메인바아(110)에 결합된 상태인 바 자유롭게 조향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rip unit 120 is coupled to the main bar 110, the moving block 150a is moved to the left in the drawing,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horizontal link bar 151 is also moved to the left and the link plate 152 is counterclockwise. The vertical link bar 153 is pushed downward while being rotated in the direction. Accordingly, the lever 150B connected to the vertical link bar 153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to release the restrained state of the fork 70 and the head frame 80. As a result, the fork 70 is in a rotatable state, and the grip part 120 is also coupled to the main bar 110, thereby allowing free steering.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핸들바아로서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14는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주며, 도15는 스템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스토퍼와 메인바아에 구비되는 이탈방지플런저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16은 스템의 단면도이고 도17은 핸들바아의 평면 단면도에 해당된다.Finally, a fifth embodiment as a handl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14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nd FIG. 15 is a schematic part of a release prevention plunger provided on the stem and a release prevention plunger provided on the main bar. 16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stem and FIG. 17 corresponds to a top sectional view of the handlebar.

본 제5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는 메인바아(110)로부터 그립부(120)의 분리가 가능한 것이되, 이에 더하여 그립부(120)를 메인바아(11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스템(9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스토퍼(95)와 메인바아(11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플런저(160)가 서로 구속되는 상태로 전환되어 스템(90)으로부터 메인바아(110)를 자유롭게 분리시킬 수 없도록 함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grip part 120 is basically separated from the main bar 110. In addition, when the grip part 1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110, a detachment is formed in the stem 90. The prevention stopper 95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lunger 160 formed on the main bar 110 are switched to the restrained state so that the main bar 110 can not be freely separated from the stem 90. .

상기 이탈방지스토퍼(95)와 이탈방지플런저(160)의 상호작용 및 이를 위한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interaction between the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95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plunger 160 and a configuration theref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스템(90)의 경우는 핸들바아(1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스템바디(90a)와 스템덮개(90b)로 이루어지게 되며, 스템바디(90a)에서 포크(70)와 연결이 이루어지고 메인바아(110)는 스템덮개(90b)로 덮히면서 스템바디(90a)에 결합이 이루어진다.First, the stem (90) is made of a stem body (90a) and the stem cover (90b) to install the handle bar 100, the stem body (90a) is connected to the fork (70) and the main bar 110 is coupled to the stem body (90a) is covered with the stem cover (90b).

메인바아(110)가 놓이게 되는 스템바디(90a) 내부면에는 대략 G 자 형태의 돌출되는 이탈방지스토퍼(95)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스토퍼(95)는 스템바디(90a) 내부면 중간 부분에 소정의 두께를 갖추면서 돌출되는데 부분적으로 단절된 형태이고 중심부는 축방향으로 이탈방지플런저(16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천공된 형태를 이룬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m body 90a on which the main bar 110 is placed, an escape preventing stopper 95 protruding in a substantially G shape is formed. As shown, the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95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em body 90a and is partially disconnected,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95 can move in the axial direction. Perforated form.

한편, 상기 메인바아(110)의 경우 그 내부에 그립부(120)와 접촉되어 후퇴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지지되는 무빙블럭(150a)이 구비되며 상기 무빙블럭(150a)에 이탈방지플런저(16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 근처에 부분적으로 함몰된 절개홈(16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탈방지플런저(160)는 대략 사각단면을 갖는 것으로 하며 그 하부면에 절개홈(161)이 형성되고 그립부(12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도면상 우측으로 이탈방지플런저(160)가 이동되어 절개홈(161)이 상기 이탈방지스토퍼(95)와 일치되는 위치에 오게 되고 반대로 그립부(120)를 제거하면 이탈방지플런저(160)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절개홈(161)이 이탈방지스토퍼(95)를 벗어나 불일치하는 위치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ar 110 is provided with a moving block 150a that is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to be retracted in contact with the grip portion 120 therein, the departure prevention plunger 160 of the moving block 150a One end is connected and a cutout groove 161 partially recessed near the other end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prevention plunger 16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an incision groove 161 is formed at a lower surface thereof, and when the grip part 120 is coupled, the separation prevention plunger 160 is moved to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Is moved so that the incision groove 161 i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95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grip part 120 is removed, the separation prevention plunger 160 is moved to the left to prevent the separation groove 161 from being separated. It is moved out of the stopper 95 to a mismatched position.

한편, 메인바아(110)는 내부가 빈 튜브 형상이지만 상기 스템(90)에 연결되는 중심부는 부분적으로 개구되며 상기 이탈방지플런저(160)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격거리를 두고 두개의 가이드(170)가 마련된다. 상기 메인바아(110)의 가이드(170) 사이는 이탈방지스토퍼(95)가 끼워질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뚫려 있기 때문에 가이드(170)를 따라 움직이는 이탈방지플런저(160)의 절개홈(161)이 이탈방지스토퍼(95)에 일치되는 상태가 되면 메인바아(110)를 스템(9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에는 스템덮개(90b)를 제거한 상태에서 가능한 것이며, 그립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만 이탈방지스토퍼(95)와 이탈방지플런저(160)의 절개홈(161)이 일치되기 때문에 자전거의 주인이 아닌 경우에는 스템(90)으로부터 핸들바아(100)를 쉽게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할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ar 110 has an empty tube shape inside, but the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stem 90 is partially opened and two guides with a separation distance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release prevention plunger 160. 170 is provided. Since the guide 170 of the main bar 110 is partially drilled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95 can be fitted, the cutaway groove 161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lunger 160 moving along the guide 170 is separated. The main bar 110 can be detached from the stem 90 when it is in a state consistent with the prevention stopper 95. Of cours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stem cover (90b), the owner of the bicycle because the cutaway stopper 95 and the cutout groove 161 of the release prevention plunger 160 is matched only when the grip portion 120 is coupled. If not, the handlebar 100 from the stem 9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with a new one.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립부가 없는 상태로 절도범이 자전거를 훔치더라 도 핸들바아만의 교체도 용이치 못하기 때문에 절도유혹을 더욱 줄여주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thief steals the bicycle without the grip part, it is not easy to replace only the handle bar,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seduction temptation.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핸들바아는 조향을 위해 손으로 파지해야 하는 그립부를 자유롭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자전거를 사용치 않을시에는 그립부를 분리시켜 휴대하거나 실내에 보관함으로써 자전거 도난을 예방할 수 있어 자전거 산업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leba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ttach and detach the grip part to be gripped by hand for steering, so when the bicycle is not in use, the grip part can be removed and carried or stored indoors to prevent theft of the bicycl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도1은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조를 보여주는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ypical bicycle.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들바아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handle b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메인바아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main bar;

도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핸들바아의 부분 정면도.4 i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handleb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5는 메인바아의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ar.

도6은 그립부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the grip portion;

도7은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들바아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a handle ba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8은 배면도.8 is a rear view.

도9는 개략적인 단면도.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도10은 그립부의 정면도.10 is a front view of the grip portion.

도11은 메인바아의 단면도.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bar.

도12는 락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ans.

도13은 개략적인 제4실시예의 핸들바아에 대한 구성도.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andlebar of a schematic fourth embodiment.

도14는 제5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Fig. 14 i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도15는 스템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스토퍼와 메인바아에 구비되는 이탈방지플런저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Figure 15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release prevention stopper provided on the stem and the release prevention plunger provided on the main bar;

도16은 스템의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m.

도17은 핸들바아의 평면 단면도.17 i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bar.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60 : 앞바퀴 70 : 포크60: front wheel 70: fork

80 : 헤드프레임 90 : 스템80: head frame 90: stem

100 : 핸들바아 110 : 메인바아100: handle bar 110: main bar

120 : 그립부 111 : 함몰부 120: grip portion 111: depression

114 : 결합홈 115 : 힌지114: engaging groove 115: hinge

121 : 돌출부 122 : 돌출윙121: protrusion 122: protrusion wing

123 : 결합홈 110a: 지지대123: coupling groove 110a: support

110b: 덮개 130 : 고리110b: cover 130: loop

140 : 락수단 150 : 링크수단140: lock means 150: link means

150a: 무빙블럭 150b: 레버150a: moving block 150b: lever

150c: 링크부재들 151 : 수평링크바아150c: link members 151: horizontal link bar

152 : 링크플레이트 153 : 수직링크바아152: link plate 153: vertical link bar

154 : 브라켓 155 : 레버홀154: bracket 155: lever hole

K : 키 KG : 키홈K: Key KG: Keyway

F1 : 하부플랜지 F2 : 상부플랜지F1: Lower Flange F2: Upper Flange

C : 커버 C1 : 클램프C: Cover C1: Clamp

CG : 클램프홈 CG1: 안내턱CG: Clamp groove CG1: Guide jaw

C1a: 걸림고리 C1b: 클램프헤드C1a: Hook C1b: Clamp Head

P : 플런저 P1 : 플런저헤드P: Plunger P1: Plunger Head

PG : 플런저그루브 PH : 플런저홀PG: Plunger Groove PH: Plunger Hole

S : 압축스프링 160 : 이탈방지플런저S: compression spring 160: release prevention plunger

161 : 절개홈 170 : 가이드161: incision groove 170: guide

95 : 이탈방지스토퍼 90a : 스템바디95: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90a: stem body

90b : 스템덮개90b: Stem cover

Claims (9)

스템과 연결되는 핸들바아를 구성함에 있어서,In constructing a handlebar that connects to the stem, 조향을 위해 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부가 메인바아에 탈부착될 수 있는 체결구조로 형성되어 자전거를 보관시에 상기 그립부만을 분리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체결구조로서 상기 메인바아에는 그립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되 내면에 하나 이상의 키홈이 마련되며 외면으로부터 함몰부 내부로 연통되는 플런저홀이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키홈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키 및 플런저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플런저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아의 플런저홀에 설치되는 플런저에 의해 상기 그립부가 메인바아의 함몰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The grip portion gripped by hand for steering is formed in a fastening structure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from the main bar so that the bicycle can be separated and carried only when the bicycle is stored, thereby preventing theft. The bar is provided with a recess into which the grip portion can be inserted, and at least one key groove is provided at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plunger hole communicating from the outer surface into the recess portion, wherein the grip portion corresponds to at least one key and plunger hole corresponding to the key groove. Plunger groove is formed at the position.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main bar by a plunger installed in the plunger hole of the main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립부를 메인바아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헤드프레임에 끼워지는 포크가 링크수단의 작동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When the grip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k fitted to the head frame is restrained from being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ink mean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링크수단은,The link means, 메인바아 내부에 그립부가 결합됨에 따라 후퇴되도록 탄성체로 지지되는 무빙블럭과;A moving block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to be retracted as the grip par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ar; 헤드프레임에 삽입되는 포크 내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레버와;A lever pivotally installed in the fork inserted into the headframe; 상기 포크 및 메인바아 내부를 통해 설치되어 상기 무빙블럭과 레버를 연결하게 되는 링크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그립부가 메인바아로부터 분리되면 레버가 헤드프레임에 마련되는 레버홀에 끼워져 포크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Link members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ork and the main bar to connect the moving block and the lever; and when the grip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the lever is fitted into a lever hole provided in the head frame to prevent rotation of the fork.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립부를 메인바아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스템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스토퍼와 메인바아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플런저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스템으로부터 메인바아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When the grip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ar, a handle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which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main ba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em due to the coupling between the release preventing stopper provided in the stem and the release preventing plunger formed in the main bar. B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템은,The stem is 스템바디와 스템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바아가 놓이는 스템바디 내부면에 G 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스토퍼가 형성되며,Stem body and the stem cover, but the main body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m body is separated from the G-shaped protruding stopper is formed, 상기 메인바아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플런저는,The separation prevention plunger formed on the main bar, 메인바아 내부에 그립부가 결합됨에 따라 후퇴되도록 탄성체로 지지되는 무빙블럭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 근처에 이탈방지스토퍼와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함몰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가 분리되면 절개홈이 상기 이탈방지스토퍼와 불일치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스템으로부터 메인바아를 분리시킬 수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핸들바아. When the grip par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ar,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 moving block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so that the grip part is retracted. Handle bar having an anti-thef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groove is moved to a position inconsistent with the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so that the main bar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stem.
KR1020090060107A 2009-07-02 2009-07-02 Handle bar with the function of anti-theft KR101110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107A KR101110572B1 (en) 2009-07-02 2009-07-02 Handle bar with the function of anti-the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107A KR101110572B1 (en) 2009-07-02 2009-07-02 Handle bar with the function of anti-the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9A KR20110002579A (en) 2011-01-10
KR101110572B1 true KR101110572B1 (en) 2012-02-15

Family

ID=4361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107A KR101110572B1 (en) 2009-07-02 2009-07-02 Handle bar with the function of anti-the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5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13Y1 (en) 2021-09-09 2022-08-01 정준모 Bundling tool for plastic ba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711A (en) * 1989-09-29 1991-05-22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Insert molding of flat coil
JPH0820370A (en) * 1994-07-05 1996-01-23 Michiko Akihara Theft preventing device for bicy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711A (en) * 1989-09-29 1991-05-22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Insert molding of flat coil
JPH0820370A (en) * 1994-07-05 1996-01-23 Michiko Akihara Theft preventing device for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9A (en)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32268B2 (en) Cable anti-theft device for a cycle and cycl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20120125145A1 (en) Pivotable Handlebar for Locking and Efficient Storage of a Bicycle
JPH111189A (en) Bicycle with theft preventing device
KR101110572B1 (en) Handle bar with the function of anti-theft
US10060162B2 (en) Closed-loop handlebar locking device for a bicycle
CN201559782U (en) Brake handlebar lock
TWI438111B (en) A multi-purpose article fastener for motorcycle
JP3629265B2 (en) Folding vehicle body opening prevention coupling device having a locking mechanism for a folding two-wheeled vehicle
JP5403741B2 (en) Motorcycle parking device with locker
CN201923245U (en) Quick-release structure for burglarproof seat tube
CN100460252C (en) Burglarproof lock for steering wheel of auto car
CN101342922A (en) Anti-theft lock for vehicle
CN204548300U (en) A kind of handle-bar with anti-theft feature
CN104802884B (en) A kind of handle-bar with anti-theft feature
CN203228741U (en) Anti-sawing and anti-theft structure for automobile pedal lock
CN208682985U (en) A kind of saddle is antitheft can localization bike
JP3132588U (en) Handle limit lock
CN2287107Y (en) Steer locker of bicycle
CN200957853Y (en) Safety lock of automobile
CN209757349U (en) Anti-theft self-ejection type turnover saddle pipe
CN2717790Y (en) Motorcycle ladder lock
CN201703466U (en) Antitheft bicycle
FR2923207A1 (en) Device for making bicycle to be temporarily unused, has movable and retractable safety block movable around axis of frame, and including tube integrated to and disintegrated from articulated frame of bicycle using bolts
CN201321102Y (en) Handlebar locking device for bikes
CN201033601Y (en) Theftproof lock for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