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568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568B1
KR101110568B1 KR1020090116925A KR20090116925A KR101110568B1 KR 101110568 B1 KR101110568 B1 KR 101110568B1 KR 1020090116925 A KR1020090116925 A KR 1020090116925A KR 20090116925 A KR20090116925 A KR 20090116925A KR 101110568 B1 KR101110568 B1 KR 101110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equency band
stub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0362A (en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홍용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09011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568B1/en
Publication of KR2011006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5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을 개선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주파수 대역 및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 및 접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는 스터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 방사출력파워는 유지하면서 안테나 방사 빔의 피크만 하단으로 유도하여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을 개선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mpro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HAC) and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rate (SA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uilt-in antenna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formed on the internal subst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ground terminal of the antenna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ub coupled to the ground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hearing aid compatibility (HAC) and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rate (SAR) by inducing only the peak of the antenna radiation beam to the lower end while maintaining the antenna radiation output power.

전자파 흡수율, 보청기 호환성, 커플링, 스터브 Electromagnetic Absorption Rate, Hearing Aid Compatibility, Couplings, Stub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을 개선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mpro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HAC) and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rate (SAR).

이동통신 서비스 등에서 이용되는 안테나는 신호 입출력의 처음과 끝을 담당하여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으로 설계기술 중 난이도가 높은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Antennas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re the key components that determine the call quality by handling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signal input and output.

최근 들어 상기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에 실장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 경우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표면전류 및 전자파가 상단부의 음성출력부쪽으로 집중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청기를 착용한 청각장애인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경우 상기 음성출력부 방향으로 집중된 상기 표면 전류 및 전자파에 의하여 청각장애인이 음성출력부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제대로 들을 수 없게 된다. Recently, the antenna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surface current an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antenna are concentrated toward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upper end. Accordingly, when a hearing impaired person wearing a hearing aid makes a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not properly hear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output part by the surface curren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s concentrated toward the voice output part.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안테나를 단말기 하단에 실장하는 경우에 있어 단말기의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보청기 호환성(HAC Hearing Aids Compatibility) 및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 게 되었다.Accordingly, when the antenna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improving HAC Hearing Aids Compatibility (SAR) and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without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is needed. It bec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별도의 스터브를 부가함으로써, 보청기 호환성(HAC Hearing Aids Compatibility) 및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way to improve the hearing aid compatibility (HAC Hearing Aids Compatibility) and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by adding a separate stub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ntenna ground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는 스터브를 포함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antenna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in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tub formed on a substrate, the ground part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of the antenna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upled to the ground part in the first frequency ba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 상기 접지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터브를 포함한다.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antenna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in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es a ground portion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of the antenna, an induc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round portion and a stub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 되도록 별도의 스터브를 부가함으로써,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스터브와 접지부 간의 전자기적 결합(커플링 유도 결합)을 통해 접지부 환경의 변화(접지부 확장 효과)를 유도하여 안테나 방사출력파워(TRP; Total Radiated Power)는 유지하면서 안테나 방사 빔의 피크만 하단으로 유도하여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을 개선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separate stub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ntenna ground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change of the ground environment through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coupling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stub and the ground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By inducing (ground expansion effec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ring aid compatibility (HAC) and the electromagnetic absorption rate (SAR) by inducing only the peak of the antenna radiation beam to the bottom while maintaining the total radiated power (TRP).

또한, 이와 같은 스터브를 구현함으로써, 보청기의 호환성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구현하여야 했던 스터브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금형 제작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implementing such a stub,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stub that had to be additionally implemented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of hearing aids, it can also reduce the additional mold manufacturing cos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to explai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판(102), 음성출력부(104) 및 안테나부(106)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substrate 102, a voice output unit 104 and an antenna unit 106.

상기 기판(102)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출력부(104)는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음성, 음향 등을 출력한다. The substrate 102 includes a circuit unit formed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voice output unit 104 generally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100, and outputs voice, sound, and the like.

아울러, 상기 안테나부(106)는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입출력을 매개한다. In addition, the antenna unit 106 is gene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mediate signal input / output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안테나부를 통해 다중 대역 예를 들어, 약 1.8GHz의 DCS(Digital Cellular System), 약 1.9GHz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약 2.1GHz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고주파수 대역의 제1주파수 대역과 약 174~216 MHz의 지상파 DMB, 약 80~110 MHz의 FM, 약 530~1610KHz의 AM, 약850~900MHz의 GSM(Group Special Mobile)등과 같은 저주파수 대역의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That is, through the antenna uni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ulti-band, for example, a DCS (Digital Cellular System) of about 1.8 GHz,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of about 1.9 GHz, a WCDMA of about 2.1 GHz Such as the first frequency band of a high frequency band, terrestrial DMB of about 174 to 216 MHz, FM of about 80 to 110 MHz, AM of about 530 to 1610 KHz, and Group Special Mobile (GSM) of about 850 to 900 MHz.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of the low frequency band.

이와 같이, 안테나부가 하단부에 형성되어 다중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게 됨에 따라 배경기술에서 상술한 음성출력부 쪽으로 표면 전류 및 전자파가 집중되는 문제점들이 야기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As such, as the antenna unit is formed at the lower end to transmit and receive a multi-band signal, problems may arise that the surface curren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s are concentrated toward the voice output unit described above in the background art. One embodiment of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102)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strate 102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2)은 접지부(202) 및 스터브(204)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02)은 일 예로 평평한 사각 판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기판(102)의 재질, 크기, 두께 및 형상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된 안테나의 특성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the substrate 102 includes a ground portion 202 and a stub 204. The substrate 102 may be, for example, a flat rectangular plate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size, thickness and shape of the substrate 102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and the environment of use.

상기 접지부(202)는 상기 기판(10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된다.The ground portion 202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2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of the antenna.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접지부(202)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접지부(202)와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나,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202)와 전자기적 결합(electro-magnetic coupling, 이하, "커플링"이라고 함)을 형성하여 접지부 연장 효과로 인한 상기 접지부(202)의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안테나부(106)에서 방사되는 방사 빔의 패턴을 변경하게 된다.The stub 204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portion 20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stub 204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portion 202. However, the stub 204 has an electromagnetic coupling (hereinafter, ““) at a specific frequency band. By changing the environment of the grounding portion 202 due to the grounding extension effect, thereby changing the pattern of the radiation beam emitted from the antenna portion 106.

상기 스터브(204)와 상기 접지부(202)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스터브(204) 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즉,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2주파수 대역(즉,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지 않도록(즉, 오픈(open)되도록) 설정된다. 만약, 상기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도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이 일어날 수 있고, 거리가 너무 멀면,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주파수, 제2주파수의 대역 및 상기 스터브(204)의 너비 또는 길이 등을 고려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A distance between the stub 204 and the ground part 202 is coupled to the ground part 202 in the first frequency band (ie, the high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I.e., low frequency band) is set so as not to be coupled (i.e. open) with the ground portion 202. If the distance is too close, coupling may occur with the ground part 202 even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If the distance is too long, the coupling with the ground part 202 may be lost in the first frequency band. Since it may not occur,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frequency, the band of the second frequency, the width or length of the stub 204,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브(204)와 상기 접지부(202)의 이격 거리를 특정 이격 거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또는 스터브 너비나 길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tub 204 and the ground part 202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tanc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the frequency or stub width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is obvious that various design changes can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and length.

이에 따라,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어, 상기 접지부(202)의 환경을 변화시켜 안테나 방사 빔의 피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단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브(204)는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 되지 않으므로, 상기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의 접지부의 환경이 변화되지 않는다. Accordingly, the stub 204 is coupled to the ground portion 202 in the high frequency ba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the ground portion 202 to move the peak of the antenna radiation beam. It can be guided to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since the stub 204 is not coupled with the ground portion 202 in the low frequency band, the environment of the ground portion of the ground portion 202 does not change in the low frequency band.

왜냐하면, 접지부와 스터브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킴에 따라, 상기 접지부(202)와 상기 스터브(206) 사이에 소정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이 커패시터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커패시터가 형성된 환경에서는 주파수 대역이 높아질수록 임피던스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임피던스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접지부(202)와 상기 스터브(206) 사이에서는 커플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이러한 이격거리에 따른 커패시터 형성에 의해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커플링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오픈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Because, as the spacing between the ground and the stub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dielectric constant between the ground 202 and the stub 206 acts as a capacitor, the frequency band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capacitor is formed The higher this value, the lower the impedance. Therefore, as the impedance decreases, coupling occurs between the ground portion 202 and the stub 206. That is, the coupling effect is generat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by forming the capacitor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n the other hand, in the low frequency band, the impedance increases. Therefore, an open effect occurs in the low frequency band.

상기 스터브(204)의 길이(A)는 상기 제1주파수의 1/4 λ에 해당되는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지부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고, 안테나 방사 빔 패턴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터브(204)의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터브(204)의 길이(A)가 상기 제1주파수에 대응되는 이유는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스터브(204)가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어 상기 접지부(202)의 환경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The length A of the stub 204 is preferably set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1/4 λ of the first frequenc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change an environment of a ground part, and may radiate an antenna radiation beam pattern. The length of the stub 204 can be freely adjusted to induce a change of. At this time, the reason that the length (A) of the stub 204 corresponds to the first frequency is because the stub 204 is coupled to the ground portion 202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ground portion 202 Because it changes the environment.

또한,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기판(102)의 하부방향으로 상기 기판(102)의 하면(202b)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기판(102)의 측면(202a)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과 상기 기판(102)의 하면(202b)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이 수직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스터브(204)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터브(204)를 통해서 상기 접지부(202)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든 채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tub 204 may be formed along the lower surface 202b of the substrate 102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2. For example, the stub 204 is formed while the portion form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 surface 202a of the substrate 102 and the portion form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202b of the substrate 102 are formed vertically. Can be. However, the shape of the stub 204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shape may be adopted as long as the shape of the ground 202 may be changed through the stub 20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부에 소정 거리 이격된 스터브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접지부와 스터브간에 커플링이 형성되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방사 빔 패턴을 변화시킴에 유용하다.As su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tub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ground portion, a coupling is formed between the ground portion and the stub in the high frequency ba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radiation beam radiated from the antenna Useful for changing patterns.

반면, 저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방사 빔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음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o change the antenna radiation beam in the low frequency band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내부에 형성된 접지부(302)와, 상기 접지부(302)에 일단이 연결되는 인덕터(306) 및 상기 인덕터(306)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터브(304)를 포함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hown in FIGS. 1 and 2. The ground part 302 formed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e inductor 306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ound part 302, and the stub 304 connected with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306. It include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내부구조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조와 동일하기에 여기에서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접지부(302) 및 상기 스터브(304)가 이격 된 것이 아니라, 상기 접지부(302) 및 상기 스터브(304)를 상기 인덕터(306)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3, the ground portion 302 and the stub 304 are no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 but the ground portion 302 and the stub 304 are connected to the inductor. 306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n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즉, 도 3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스터브(304)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어 상기 접지부(302)의 환경을 변화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안테나(미도시) 방사 빔의 피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하단으로 유도하고,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지 않으므로 상기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의 환경이 변화되지 않게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stub 304 is coupled to the ground unit 302 in the low frequency ba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so as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the ground unit 302. Change the peak of an antenna (not shown) radiation be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o the low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 is not coupled to the ground portion 302 in the high frequency band, so that the high frequency band In this case, the environment of the ground portion 302 is not changed.

왜냐하면,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접지부와 스터브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커패시터가 형성되는 효과가 발생되었지만,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덕터(306)에 의해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임피던스가 감소되어 커플링 효과가 발생되고,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임피던스 증가로 오픈 효과가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capacitor is form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ground portion and the stub.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impedance is reduced in the low frequency band by the inductor 306, thereby coupling. This is because the effect occurs, and in the high frequency band, the open effect occurs due to the increase of the impedance.

상기 인덕터(306)의 값은, 상기 스터브(304)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덕터(306)의 값을 약 30nH(nano Henry)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덕터(306)의 값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 방사되는 주파수 및 스터브의 너비나 길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The value of the inductor 306 is that the stub 304 is coupled with the ground portion 302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low frequency band), and in the first frequency band (high frequency band) the ground portion ( 302 may be set not to be coupled. Preferably, the value of the inductor 306 may be set in a range of about 30 nH (nano Henry).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value of the inductor 306,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changed in various designs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radi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 the width or length of the stub, etc. Is obvious.

상기 스터브(304)의 길이(A)는 상기 제2주파수의 1/4 λ에 해당되는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지부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고, 안테나 방사 빔 패턴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터브(304)의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터브(304)의 길이(A)가 상기 제2 주파수에 대응되는 이유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스터브(304)가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어 접지부 환경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The length A of the stub 304 is preferably set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1/4 λ of the second frequenc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change an environment of a ground part, and an antenna radiation beam pattern The length of the stub 304 can be freely adjusted to induce a change of. In this case, the reason why the length A of the stub 304 corresponds to the second frequency is that the stub 304 is coupled to the ground portion 202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to change the ground portion environment. Becaus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저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방사 빔 패턴만을 변화시키려 할 때 유용하다.Therefo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when trying to change only the antenna radiation beam pattern in the low frequency ba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한편, 상기 인덕터(306)의 값은, 상기 스터브(304)가 상기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주파수나 스터브 너비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상기 인덕터(306)의 값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면, 상기 스터브(304)가 제1주파수 대역에서도 오픈되지 않고 상기 접지부(304)와 커플링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두 실시예와는 달리 제1주파수 대역 및 제2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접지부의 환경 변화가 일어나므로, 듀얼 밴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대역의 안테나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상기 인덕터(306)의 값을 약 10nH(nano Henry)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the inductor 306 may be set such that the stub 304 is coupled with the ground portion 302 in both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if the value of the inductor 306 is appropriate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frequency, stub width, length, or the like, the stub 304 may be coupled with the ground unit 304 without opening in the first frequency band. have. Therefore,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 two embodiments, since the environment of the grounding part occurs in both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antenna patterns of all bands of the dual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hanged. In this case, the value of the inductor 306 may be preferably set in the range of about 10 nH (nano Henr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스터브 및 인덕터를 형성하여 고주파 또는 저주파수 대역에서 커플링 효과로 인한 접지부 연장 효과에 따른 안테나 방사 빔 패턴이 변화된다고 기술하였는바, 이하 이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radiation beam patter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ground extension extension effect due to the coupling effect in the high frequency or low frequency band by forming the stub and the inductor. Shall be.

도 4는 스터브를 형성하지 않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HAC 스캔 영역이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HAC 스캔 영역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측정한 분포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터브가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HAC 스캔 영역이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HAC 스캔 영역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측정한 분포도이다. FIG. 4 is a distribution chart measuring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HAC scan region is designated and an HAC scan region in order to measure an electromagnetic distribution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stub. 5 is a distribution chart of measuring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HAC scan region is designated and an HAC scan region in order to measure an electromagnetic distribu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의 (a)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출력부를 스캔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출력부의 일정 범위 내를 HAC 스캔 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 분포되는 전자파를 측정하였다. First, as shown in (a) of FIG. 4,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canned to measure the electromagnetic distribu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s shown, a predetermined range within the voice output unit is designated as the HAC scan area, and the electromagnetic waves distributed in the HAC scan area were measured.

그러면, 상기 도 4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의 전자파 분포도가 도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남색, 자주색, 주황색, 노란색 순으로 갈수록 방출되는 전자파가 많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 음성출력부가 위치한 부분이 밝은 색으로 출력되어 가장 많은 전자파가 방출됨을 알 수 있으며, 반면에, 음성출력부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어두운 색으로 출력되어 점차적으로 방출되는 전자파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Then, as shown in (b) of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distribution in the HAC scan region is shown. Here, it means that more electromagnetic waves are emitted in the order of navy blue, purple, orange, and yellow.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portion where the voice output unit is located in the HAC scan area is output in a bright color, and the most electromagnetic waves are emitted. It can be seen that the decrease.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표면전류 및 전자파가 상단부의 음성출력부쪽으로 집중됨에 따라, 보청기를 착용한 청각장애인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경우, 집중되는 표면 전류 및 전자파에 의하여 청각장애인이 음성출력부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제대로 들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도를 측정하면 다음과 같 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generally concentrates when the hearing impaired person wearing a hearing aid makes a cal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surface curren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from the antenna are concentrated toward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upper end. Due to the surface current and electromagnetic waves, a problem occurs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not properly hear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output unit. Therefore, when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wave distribu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such a problem as follows.

도 5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출력부를 스캔한다. 이때, 상기 도 4의 (a)에서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음성출력부의 일정 범위 내를 HAC 스캔 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 분포되는 전자파를 측정하였다. As shown in (a) of FIG. 5,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canned to measure the electromagnetic wave distribu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a) of FIG. 4, a predetermined range within the voice output unit is designated as the HAC scan area, and electromagnetic waves distributed in the HAC scan area are measured.

그러면, 도 5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4의 (b)와 마찬가지로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 음성출력부가 위치한 부분에 가장 많은 전자파가 방출되었으며, 음성출력부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방출되는 전자파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전자파 방출도와는 달리 상기 도 5의 (b)에 도시된 전자파 방출도에서는 음성출력부 부근에서 출력되는 노란색 영역이 확연히 감소됨을 알 수 있다. Then, as shown in (b) of FIG. 5, as in FIG. 4 (b), the most electromagnetic waves are emitted in the portion where the voice output unit is located in the HAC scan area, and the farther away from the voice output unit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is reduced. However, unlike the electromagnetic emission diagram shown in (b) of FIG. 4, it can be seen that in the electromagnetic emission diagram shown in (b) of FIG. 5, the yellow region output near the voice output unit is significantly reduced.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스터브를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즉, 스터브를 형성하지 않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로 단말기의 상부 쪽인 음성출력부에 전자파가 밀집되어 방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스터브를 형성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사되는 전자파가 상부 및 하부로 분산되어 방출되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tub is formed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changing the beam pattern emitted from the antenna. That is, in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does not form a stub, the electromagnetic wave is mainly concentrated in the voice output unit,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but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ed from the upper and This is because it is dispersed and released downward.

이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표 1과 같이, 스터브를 형성하기 전,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사출력파워(TRP; Total Radiated Power, 이하 TRP라 지칭함.) 수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o examine this in detail, as shown in Table 1, before and after forming the stub, the radiated output power (TRP; Total Radiated Power (TR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s follows.

Figure 112009073759497-pat00001
Figure 112009073759497-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측면을 기준으로 0˚에서 180˚까지 이동통신 단말기를 회전시켜, TRP를 측정한 수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TRP 측정부는 고정되어, 각도 별로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TRP를 측정한다. Referring to Table 1, the TRP measurement value is shown by 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0 ° to 180 ° based on the long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 the TRP measurement unit is fixed. The TR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ing by angles is measured.

먼저, 상기 표 1의 좌측 표를 살펴보면, 통상적인 단말기의 TRP의 수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1의 좌측표에서 Theta 30˚와 Phi 30˚~ 90˚의 저도 영역에서는 TRP가 23.92, 26.26, 27.05dB로 나타났다. 상기 저도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출력부 부근 영역이다. 또한, Theta 150˚의 고도 영역에서는TRP의 최고 값이 32.63 dB로 나타났다. 상기 고도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부 영역이다. First, looking at the left side of Table 1, the numerical value of the TRP of a typical terminal is shown. In the left table of Table 1, TRP was 23.92, 26.26, and 27.05dB in the low temperature ranges of Theta 30 ° and Phi 30 ° to 90 °. The low altitude region is an area near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maximum value of TRP was 32.63 dB in the Theta 150˚ altitude region. The altitude region is a lower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음, 상기 표 1의 우측 표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터브가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TRP의 수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1의 우측표에서 Theta 30˚와 Phi 30˚~ 90˚의 저도 영역에서는TRP가 23.06, 25.15, 25.91dB로 나타났다. 또한, Theta 150˚의 고도 영역에서는 TRP의 최고 값이 33 dB로 나타났다. Next, looking at the right table of Table 1, the numerical value of the TR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tub is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ight table of Table 1, TRP was 23.06, 25.15, and 25.91 dB in the low temperature ranges of Theta 30˚ and Phi 30˚ ~ 90˚. In addition, the maximum value of TRP was 33 dB in the Theta 150˚ altitude region.

즉, 상기 표 1의 좌측 표와 우측 표를 비교했을 시, 각각의 상기 저도 영역에서 TRP가 약26.26dB에서 25.15dB로 약 1dB정도 감소됨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따라 HAC 스캔 영역의 HAC 수치는 약 37.4dBV/m에서 36.7dBV/m로 감소되어, HAC이 0.7dBV/m정도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고도 영역에서 TRP의 최고 값이 32.63dB에서 33dB로 변화되었는데, 이는 약 0.37dB 정도 변경된 것으로 TRP의 수치가 큰 변화 폭 없이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That is, when comparing the left table and the right table of Table 1, it can be seen that in each of the low region, the TRP decreases by about 1 dB from about 26.26 dB to 25.15 dB, whereby the HAC value of the HAC scan region is about. From 37.4dBV / m to 36.7dBV / m, the HAC is improved by 0.7dBV / m. In addition, the maximum value of the TRP was changed from 32.63 dB to 33 dB in each of the altitude regions, which is about 0.37 dB, indicating that the value of the TRP is almost the same without significant chang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스터브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이용 시 방출되는 전자파를 음성출력부의 상부만이 아닌,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 및 하부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TRP 변화 없이 HAC 및 SAR을 개선할 수 있다. As such, by adding a separate stub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whe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distribu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 just the upper portion of the voice output unit. Can b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HAC and SAR without changing the TR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1 is a bottom view of a mobile terminal generally us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을 도시한 저면도이다.2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substr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을 도시한 저면도이다.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substr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HAC 스캔 영역 및 전자파 분포도이다. 4 is a HAC scan area and electromagnetic wave distribu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lly u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HAC 스캔 영역 및 전자파분포도이다. 5 is a HAC scan area and electromagnetic wave distribu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ntenna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 및A ground part formed on an internal subst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of the antenna; And 상기 접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는 스터브;A stub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upled to the ground part in the first frequency band;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터브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지 않도록상기 접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tub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be coupled with the ground part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스터브는 상기 제1주파수의 1/4 λ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tub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1/4 λ of the first frequency.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ntenna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A ground part formed on an internal subst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of the antenna; 상기 접지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인덕터; 및An induc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ound portion; And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터브;A stub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인덕터의 값은, 상기 스터브가 상기 제2주파수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value of the inductor is set so that the stub is coupled with the ground portion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not coupled with the ground portio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인덕터의 값은, 상기 스터브가 상기 제1주파수대역 및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도록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value of the inductor is set so that the stub is coupled with the ground portio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상기 스터브는 상기 제2주파수의 1/4 λ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tub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1/4 λ of the second frequency.
KR1020090116925A 2009-11-30 2009-1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105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25A KR101110568B1 (en) 2009-11-30 2009-1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25A KR101110568B1 (en) 2009-11-30 2009-1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362A KR20110060362A (en) 2011-06-08
KR101110568B1 true KR101110568B1 (en) 2012-02-15

Family

ID=4439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925A KR101110568B1 (en) 2009-11-30 2009-1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5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52B1 (en) * 2013-06-27 2019-1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Hearing aid compatible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102644B1 (en) * 2013-12-24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020A (en) * 2006-03-30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ntenna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KR100901496B1 (en) 2007-10-19 2009-06-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Ultra Wide Band Monopole Internal Antenn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020A (en) * 2006-03-30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ntenna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KR100901496B1 (en) 2007-10-19 2009-06-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Ultra Wide Band Monopole Internal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362A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5205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911405B2 (en) Multi-band low profile antenna with low band differential mode
CN103117452B (en) A kind of novel LTE terminal antenna
TWI423520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5120779A1 (en) Antenna and mobile terminal
JP2003535542A (en) Double band patch antenna
US8164524B2 (en) Built-in straight mobile antenna type dual band antenna assembly with improved HAC performance
US20200358198A1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68480A (en) Co-location insensitive multi-band antenna
CN203071219U (en) Broadband LTE (Long Term Evolution) antenna suitable for mobile terminal
US7642966B2 (en) Carrier and device
TWI446626B (en) Wideban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US8115682B2 (en) Multi-band HAC compatible antenna module
KR20110126488A (en) Antenna with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TWI437762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tenna
KR10111056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e et al. Heptaband inverted-F antenna with independent resonance control for mobile handset applications
WO2016101136A1 (en) Multiband dielectric resonance mobile phone terminal antenna
US2012003851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464960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nopole slot antenna therein
Dong et al. A coupled-fed antenna for 4G mobile handset
CN108432048B (en) Slot antenna and terminal
TWI481118B (en) Dual band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1416931B1 (en) Operating Line MIMO Antenna
Ikram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ultiband loop antenna for cellular mobile hand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