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365B1 - 접이식 무릎의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무릎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365B1
KR101109365B1 KR1020100009703A KR20100009703A KR101109365B1 KR 101109365 B1 KR101109365 B1 KR 101109365B1 KR 1020100009703 A KR1020100009703 A KR 1020100009703A KR 20100009703 A KR20100009703 A KR 20100009703A KR 101109365 B1 KR101109365 B1 KR 10110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frame
chair
des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112A (ko
Inventor
권철신
조정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09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3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1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 A47C4/2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무릎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무릎의자는 등받이 및 좌판이 구비되고,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상호 회동시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된 의자본체;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무릎을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 무릎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무릎받이를 절첩할 수 있어 이동시 휴대가 간편하고, 무릎받이를 이용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접이식 무릎의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이식 무릎의자{A Collapsible Knee Chair}
본 발명은 접이식 무릎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식 의자에 무릎을 받칠 수 있는 무릎받이가 구비된 접이식 무릎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로서, 바닥을 지지하는 다리, 사람이 착석하는 좌판,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최근 의자에 앉아서 오래 생활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 의자에서의 자세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특히, 의자에서 나쁜 자세로 오래 앉아 있는 경우에는 쉽게 피로해질 뿐만 아니라 척추 및 근육 등의 변형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등을 똑바로 펴고 앉는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기 위해 등을 편 상태에서 무릎을 댈 수 있는 무릎의자가 제안되었으나, 종래 무릎의자는 복잡한 구조로 인해 고가로 제조되어 소수의 사람들만이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무릎의자는 복잡한 구조로 인해 이동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릎받이를 절첩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접이식 무릎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무릎받이가 접이식으로 마련됨으로써 이동이 간편한 접이식 무릎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무릎받이를 이용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도록 길이조절부가 부가된 접이식 무릎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등받이 및 좌판이 구비되고,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상호 회동시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된 의자본체;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무릎을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 무릎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무릎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릎받이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에 양측이 결합된 무릎받이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이 전방으로 회동시 일정각도로 지지하는 무릎받이용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의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후방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후방프레임의 양측과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회동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회동브라켓을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브라켓의 회동시 상기 후방프레임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의 일 측에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책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책상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일 측에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된 책상프레임과, 상기 책상프레임의 선단에 결합된 책상용 패널과, 상기 책상프레임이 전방으로 회동시 일정각도로 지지하는 책상용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릎받이를 절첩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접이식 무릎의자가 제공된다.
또한, 무릎받이가 접이식으로 마련됨으로써 이동이 간편한 접이식 무릎의자가 제공된다.
또한, 무릎받이를 이용시 사용자의 편안한 자세를 유도하도록 길이조절부가 부가된 접이식 무릎의자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무릎의자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무릎받이부의 결합도,
도 3은 도 1의 길이조절부의 결합도,
도 4는 도 1의 책상부의 결합도,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무릎의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무릎의자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무릎의자(100)는 의자본체(10), 무릎받이부(20), 길이조절부(30), 책상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자본체(10)는 등받이(13)가 구비된 전방프레임(11)과, 전방프레임(11)과 상호 회동하도록 소정의 회동수단을 통해 결합된 후방프레임(12)과,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에 양측이 회동하도록 소정의 회동수단을 통해 결합된 좌판(14)으로 구성된다.
이 같이 결합된 의자본체(10)는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이 상호 회동하여 의자본체(10)는 접었다 폈다가 가능하며, 이때 좌판(14) 또한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회동에 의해 절첩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릎받이부(20)는 회동프레임(21), 무릎받이(22) 및 무릎받이용 힌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프레임(21)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전방프레임(11)의 하부 양측에 소정의 핀 등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며, 무릎받이(22)는 패널형태로 마련되어 한 쌍의 회동프레임(21)에 양측이 고정된다.
여기서, 무릎받이(22)의 무릎이 닿는 면에는 소정의 쿠션부재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무릎받이용 힌지(23)는 공지의 힌지수단으로서, 두 힌지부재의 각각의 일 측은 상호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은 각각 전방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21)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통해, 회동프레임(21)은 전방프레임(11)의 전방으로 회동시 일정한 각도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재의 소정부에는 두 힌지부재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호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지지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B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길이조절부(30)는 후방프레임(12)의 하부 양측 중 후방면과 맞닿게 결합되도록 대략 "U"자 형태로 형성된 길이조절부재(31)와, 일 측은 후방프레임(12)과 회동하도록 결합하고 타 측은 길이조절부재(11)와 회동하도록 결합하는 회동브라켓(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브라켓(32)과 후방프레임(12) 및 길이조절부재(31)는 소정의 핀 또는 리벳결합 등의 방법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같이 결합된 길이조절부재(31)는 회동브라켓(32)의 회동에 의해 후방프레임(12)의 하향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후방프레임(12)의 길이가 더 길어지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회동브라켓(32) 또는 후방프레임(12)에는 길이조절부재(31)의 이동이 완료된 후, 회동브라켓(32)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스토퍼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C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책상부(40)는 책상프레임(41), 책상패널(42) 및 책상용 힌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책상프레임(41)은 전방프레임(11)의 우측에 소정의 핀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책상프레임(41)의 일 측에는 사용자가 책 등을 놓을 수 있는 책상용패널(42)이 결합된다.
책상용 힌지(43)는 상술한 무릎받이용 힌지(23)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양측 단부가 각각 책상프레임(41)과 전방프레임(11)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책상프레임(41)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한 후 지지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접이식 무릎의자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5는 무릎받이부(20), 길이조절부(30) 및 책상부(40)가 모두 접어진 상태에서 의자본체(10)를 구성하는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상호 회동을 통해 일반적인 접이식 의자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의자본체(10)로부터 무릎받이부(20)와 길이조절부(30)는 접어진 상태이고, 책상부(40)만 전방으로 회동하여 책상겸용 의자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무릎받이부(20), 길이조절부(30) 및 책상부(40)가 모두 회동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길이조절부(30)가 후방프레임(12)의 하향으로 이동하여 후방프레임(12)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의자본체(10)는 다소 앞쪽으로 기울어진 것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좌판(14)에 착석시에 다소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게 되고, 이때 무릎을 무릎받이부(20)에 받치면서 균형을 유지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등이 올바르게 펴지는 자세를 유도하게 된다.
도 8은 도 1의 접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사용을 하지 않거나 또는 이동시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의자본체(10)를 접음과 동시에 무릎받이부(20), 길이조절부(30) 및 책상부(40)를 접어서 보관 또는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관시에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동시에도 휴대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는 무릎받이부를 사용할 때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무릎받이부를 사용하지 않고, 책상부만 펼쳐지도록 회동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책상부, 무릎받이부 및 길이조절부가 모두 접힌 상태에서 일반 접이식 의자와 같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접이식 무릎의자 10 : 의자본체 11 : 전방프레임
12 : 후방프레임 13 : 등받이 14 : 좌판
20 : 무릎받이부 21 : 회동프레임 22 : 무릎받이
23 : 무릎받이용 힌지 30 : 길이조절부 31 : 회동브라켓
32 : 길이조절부재 40 : 책상부 41 : 책상프레임
42 : 책상용패널 43 : 책상용 힌지

Claims (6)

  1. 등받이 및 좌판이 구비되고,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상호 회동시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된 의자본체;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무릎을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 무릎받이부; 및,
    상기 후방프레임의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후방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후방프레임의 양측과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회동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회동브라켓을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브라켓의 회동시 상기 후방프레임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무릎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받이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에 양측이 결합된 무릎받이와,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이 전방으로 회동시 일정각도로 지지하는 무릎받이용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무릎의자.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의 일 측에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책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무릎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일 측에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된 책상프레임과, 상기 책상프레임의 선단에 결합된 책상용 패널과, 상기 책상프레임이 전방으로 회동시 일정각도로 지지하는 책상용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무릎의자.
KR1020100009703A 2010-02-02 2010-02-02 접이식 무릎의자 KR10110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703A KR101109365B1 (ko) 2010-02-02 2010-02-02 접이식 무릎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703A KR101109365B1 (ko) 2010-02-02 2010-02-02 접이식 무릎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112A KR20110090112A (ko) 2011-08-10
KR101109365B1 true KR101109365B1 (ko) 2012-01-31

Family

ID=4492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703A KR101109365B1 (ko) 2010-02-02 2010-02-02 접이식 무릎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3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28Y1 (ko) * 2000-04-17 2000-09-01 이우수 등받이탁자와 선반을 갖는 실용의자
KR20010095528A (ko) * 2000-04-10 2001-11-07 김순택 보호 케이스를 가지는 이차 전지
KR200275528Y1 (ko) * 2002-02-23 2002-05-11 오현찬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레저용의자
KR20020075528A (ko) * 2001-03-26 2002-10-05 구본주 항균도자기 제품의 제조방법
KR20080095824A (ko) * 2008-10-10 2008-10-29 신은성 접이식 의자 및 배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528A (ko) * 2000-04-10 2001-11-07 김순택 보호 케이스를 가지는 이차 전지
KR200195528Y1 (ko) * 2000-04-17 2000-09-01 이우수 등받이탁자와 선반을 갖는 실용의자
KR20020075528A (ko) * 2001-03-26 2002-10-05 구본주 항균도자기 제품의 제조방법
KR200275528Y1 (ko) * 2002-02-23 2002-05-11 오현찬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레저용의자
KR20080095824A (ko) * 2008-10-10 2008-10-29 신은성 접이식 의자 및 배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112A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824B2 (en) Collapsible and portable rocking chair
JP6343118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2009520543A5 (ko)
TWI221129B (en) Baby carriage
US20030214159A1 (en) Rocking, reclining, folding chair
JP3201565U (ja) 安楽椅子
KR101109365B1 (ko) 접이식 무릎의자
JP6163332B2 (ja) 折り畳み式チェア
TWI413596B (zh) Baby carriages and baby carriages
JP5972432B2 (ja) 折り畳み椅子
JP5131600B2 (ja) 折りたたみ椅子
JP5802090B2 (ja) 折り畳み椅子
KR20110008591U (ko) 벤치
JP5088847B2 (ja) 椅子
KR102531897B1 (ko) 접이식 의자
KR200427740Y1 (ko) 접이식 의자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US20130119740A1 (en) Foldable chair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KR101342019B1 (ko) 수레 겸용 의자
US20080150328A1 (en) Foldable, height-adjustable, and slantable seating device
KR20130004781U (ko) 접철식 캠핑 의자
KR20150049114A (ko) 책상 일체형 무릎의자
CN201564019U (zh) 具可收折的扶手单元的躺椅
KR20100034425A (ko) 간이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