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378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ting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t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378B1
KR101108378B1 KR1020090113207A KR20090113207A KR101108378B1 KR 101108378 B1 KR101108378 B1 KR 101108378B1 KR 1020090113207 A KR1020090113207 A KR 1020090113207A KR 20090113207 A KR20090113207 A KR 20090113207A KR 101108378 B1 KR101108378 B1 KR 10110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switching center
mobile switching
soun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6750A (en
Inventor
권오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378B1/en
Publication of KR2011005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7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8Notifying a called subscriber of an incoming call during an ongoing call, e.g. Call Wa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 통화 요청을 하여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제1 단말기에 알려주는 경우, 음원 송출 서버가 제1 단말기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이동 교환국과 제2 단말기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이동 교환국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제2 이동 교환국에서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여 제1 이동 교환국으로 송출함으로써,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통화를 방해하지 않고 제1 단말기로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알릴 수 있다.

Figure R1020090113207

통화중 대기 서비스, 음원 송출 서버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rd terminal makes a call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notifies the first terminal of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the sound transmission server performs voice communication to the first terminal. An indirect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providing the service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providing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second terminal, and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is combined with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By sending to the mobile switching center,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first terminal of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without interrupting the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Figure R1020090113207

Call waiting service, sound source server

Description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TING SERVICE}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i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TING SERVICE}

본 발명은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의 통화 중에 제3 가입자가 제1 가입자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제1 가입자에게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제2 가입자의 음성이 결합되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 간의 기존 통화를 방해하지 않고 제1 가입자에게 제3 가입자의 통화 요청을 통보할 수 있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Specifically, when a third subscriber requests a call to a first subscriber during a call between a first subscriber and a second subscriber, the first subscriber requests a call. By providing a combination of the guide sound and the voice of the second subscribe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that can notify the first subscriber of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subscriber without interrupting the existing call between the first subscriber and the second subscriber. It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통화중 대기 서비스란 통화 중에 다른 사람에게서 전화가 걸려 왔을 때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어 기존의 통화 상대방을 대기시키고 전화를 건 사람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를 말한다. Call waiting service is a service that notifies a call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another person during a call so that an existing call party can be held and the caller can be called.

도 1은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all waiting service.

도 1을 참조하면,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가 통화 중일 때 제3 가입자가 제 1 가입자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제1 가입자의 단말기에서 '뚜뚜' 와 같이 통화 요청을 알리는 기계음이 들리게 된다. 제1 가입자는 통화중 기계음을 통해 다른 사람의 통화 요청을 알게 된다. 제1 가입자는 단말기 상의 통화 키를 눌러 전화를 건 제3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이 때 기존의 통화 상대방인 제2 가입자는 제1 가입자와 제3 가입자의 통화가 끝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when a third subscriber requests a call to a first subscriber while a first subscriber and a second subscriber are in a call, a machine sound for notifying a call request, such as 'Dutu', is heard at the terminal of the first subscriber. . The first subscriber learns another person's call request through the busy tone. The first subscriber may press the call key on the terminal to speak with the third subscriber who made the call. At this time, the second subscriber, which is an existing call counterpart, waits until the call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ubscribers ends.

통화중 대기 서비스 관련 종래 기술은 제1 가입자가 제3 가입자의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통화를 하게 될 때 제1 가입자와 제3 가입자 간의 통화 동안 제2 가입자를 지루하지 않게 하여 전화를 끊지 않고 대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대부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정작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한 제1 가입자의 편의를 고려한 기술은 거의 없었다.The prior art relat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does not bore the second subscriber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subscriber and the third subscriber when the first subscriber makes a call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subscriber. The focus is mostly on the technology to make it possible. However, there are few technologies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first subscriber who subscribed to the waiting service.

종래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제3 가입자의 통화 요청 시 제1 가입자에게 단순히 '뚜뚜' 소리와 같은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송출하고 있어서, 통화 중에 다른 사람의 통화 요청을 알리는 본래의 효과는 퇴색되고, 기계적인 통화 요청 안내 음 때문에 오히려 기존 통화를 방해하고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 call waiting service simply transmits a call request guide sound, such as a 'dutou' sound, to a first subscriber when a call is requested by a third subscriber, so that the original effect of informing another person's call request during a call fades, Due to the mechanical call request guide sound, there was a problem of disturbing the existing call and causing discomfor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계적인 통화 요청 안내 음 대신에 제1 가입자가 선정한 특정 안내 음을 송출하는 기술이 제안된 적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of transmitting a specific guide tone selected by the first subscriber instead of a mechanical call request guide tone has been proposed.

종래 제안된 특정 안내 음을 송출하는기술을 설명한다. 먼저, 제1 가입자는 특정 안내 음 송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안내 음을 선택하여 등록한다.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의 통화중에 제3 가입자가 제1 가입자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 안내 음 송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서버는 제1 가입자가 사전 등록해 놓은 특정 안내 음을 제1 가입자에게 송출한다. A technique for transmitting a specific guide sound conventionally proposed will be described. First, the first subscriber accesses a site providing a specific guide sound transmission service and selects and registers a desired guide sound. When a third subscriber requests a call to the first subscriber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subscriber and the second subscriber, the server of the site providing the specific announcement sound transmission service may transmit the specific announcement tone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first subscriber to the first subscriber. Send to subscriber.

그러나 이 경우에도 특정안내 음이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 간의 기존 통화로를 통해송출되어 기존 통화 음이 단절되므로 기존 통화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specific guide tone is transmitted through the existing call path between the first subscriber and the second subscriber, so that the existing call tone is cut off.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의 통화 중에 제1 가입자로 제3 가입자의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기존 통화에 전혀 방해를 주지 않고 제1 가입자에게 제3 가입자의 통화 요청을 통보할 수 있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call is requested by a third subscriber to a first subscriber during a call between a first subscriber and a second subscriber, the first subscriber is not disturbed to the existing ca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that can notify a subscriber's call reques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통화 중 제3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상기 제1 단말기에 통보함으로써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여 상기 제1 단말 기로 전송하는 음원 송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may include: when a third terminal requests a call from the first terminal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by notifying a call request of a first terminal, wherein an indirect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a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And a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for combining the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mbined sound to the first terminal.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음원 송출 서버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통화 중 제3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상기 제1 단말기에 통보함으로써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원 송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제2 단말기 간에 간접적인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접속부와,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는 데이터 합성부와, 상기 데이터 합성부에서 생성된 합성 데이터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when a third terminal requests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A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by informing a call, comprising: a connection unit for forming an indirect call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a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ata synthesizer to combine the data synthesizer and the synthesized data generated by the data synthesizer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unit.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음원 송출 서버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원 송출 서버에 있어서,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따라서 현재 통화 중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에 위치하여 간접적인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sending server is a sound source sending server that provides a waiting service, and is located indirectly by being located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currently in call according to a call request of a third terminal. A call path is formed, and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are combin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통화 중에 있을 때 상기 단말기로 제3자의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음원 송출 서버로부터 상대방의 음성 및 통화 요청 안내 음이 결합된 합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receiving a call waiting service may have a voice and a call request guide sound of a counterpart from a sound source server when a third party call request is made to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in a call. Receiving the combined synthetic data.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통화 중 제3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통화로가 해제되는 단계와, 음원 송출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음원 송출 서버에 의해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전송된 음성이 결합되어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includes: requesting a call from a first terminal to a first terminal during a call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Releasing a call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a call waiting service is subscribed, and forming an indirect call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rough a sound transmitting server. And combining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with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by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and transmitting the combined voice to the first terminal.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의 통화 중에 제1 가입자에게 제3 가입자의 통화 요청을 통보하는 경우, 종래에는 통화 요청 안내 음이 독립적으로 송출되어 상대방의 음성이 단절되는 현상에 의해 기존 통화가 방해를 받았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제2 가입자의 음성이 결합되어 송출되므로 기존 통화에 방해를 주지 않고 제1 가입자에게 제3 가입자의 통화 요청을 통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first subscriber and the second subscriber are notified of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subscriber during the cal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cribers, the existing call is interrupted by a phenomenon in which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is independently transmitted and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is disconnec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of the second subscriber are combined and transmitted,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subscriber can be notified to the first subscriber without disturbing the existing call.

또한,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의 통화중에 제1 가입자에게 제3 가입자의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제1 가입자와 제2 가입자 간의 직접적인 통화로를 해제하고 음원 송출 서버를 통한 간접적인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음성이 독립적으로 송출되지 않고, 음원 송출 서버에 의해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음성이 결합되어 송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subscriber requests a call of the third subscriber during the call of the first subscriber and the second subscriber, the direct call between the first subscriber and the second subscriber is released, and the indirect call path through the sound transmitting server is removed. By forming,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are not transmitted independent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can be combined and sent by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ll-known configura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가입자의 단말기(MS-1; 이하, 제1 단말기라고 약칭), 제2 가입자의 단말기(MS-2; 이하, 제2 단말기라고 약칭)(2), 제3 가입자의 단말기(MS-3; 이하, 제3 단말기라고 약칭)(3), 서비스 A 지역을 관리하는 제1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MSC-1)(10), 서비스 B 지역을 관리하는 제2 이동 교환국(MSC-2)(20), 서비스 C 지역을 관리하는 제3 이동 교환국(MSC-3)(30), 음원 송출 서버(4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5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of a first subscriber (MS-1; hereinafter abbreviated as first terminal) and a terminal of a second subscriber (MS-2; hereinafter, second Terminal 3), a third subscriber's terminal (MS-3; hereinafter abbreviated third terminal) 3, a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MSC-1) for managing a service A area; (10), a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MSC-2) 20 for managing a service B area, a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MSC-3) 30 for managing a service C area, a sound source server 40, a home Home Location Register (HLR) 50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통화 요청을 하는 경우 제1 단말기(1)로 제3 단말기(3)의 통화 요청을 알려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The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third terminal 3 makes a call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1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1 refers to a service for informing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3 to the terminal 1.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각 단말기(1, 2, 3)가 자신의 서비스 지역(A, B, C)에 속해 있다는 가정 하에 수행되는 것이다. 즉, 제1 단말기(1)는 서비스 A 지역 안에 위치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2 단말기(2)는 서비스 B 지역 안에 위치하여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3 단말기(3)는 서비스 C 지역 안에 위치하여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that each terminal (1, 2, 3) belongs to its own service area (A, B, C). That is, the first terminal 1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A and receives voic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terminal 2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station 20 is provided. Voic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from the third terminal 3, and the third terminal 3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C and receives voic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통화 요청을 하는 경우,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의 통화로가 해제되고,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을 중계하여, 음원 송출 서버(40)를 통해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3 단말기(3)의 통화 요청을 알리는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 전송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rd terminal 3 makes a call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1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the first mobile switching station The call path between the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s released, and the sound source discharging server 40 relays the first mobile switching station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so as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ischarging server 40. Through this, an indirect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combine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informing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3 with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nd transmits the sound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통화 요청을 하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50)는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rd terminal 3 makes a call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1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the home location register ( 50 checks whether the first terminal 1 is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3 illustrates a signal flow in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편의상, 각 이동 교환국(10, 20, 3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1, 2, 3)는 생략되었음에 유의한다.It is noted that, for convenience, the terminals 1, 2, 3 receiving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from each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s 10, 20, 30 are omitted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가 통화 중에 있다. 이 때,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전화를 거는 경우 제3 단말기(3)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이동 교환국(발신 교환기)(30)이 제1 이동 교환국(착신 교환기)(10)으로 통화 요청을 하게 된다(S1). 여기서 제1 이동 교환국(10)은 제1 단말기(1)의 홈 교환기이면서 착신 교환기가 된다. Referring to FIG. 3, first,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are in a call. At this time, when the third terminal 3 calls the first terminal 1,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originating exchange) 30 which provides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third terminal 3 is the first mobile switching station. The call request is made to the (called exchange) 10 (S1). Here,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becomes a home exchange of the first terminal 1 and a destination exchange.

제1 이동 교환국(10)이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부터 통화 요청을 받으면, 제1 이동 교환국(10)은 홈 위치 등록기(50)에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질의한다(S2). 홈 위치 등록기(50)는 제1 단말기의 통화 중 대기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에 응답한다(S3).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1 이동 교환국(10)은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 송출하고,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제1 이동 교환국(10)은 대기음(Ring back Tone)을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 송출한다(S4). Wh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receives a call request from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joins the home location register 50 with the first terminal 1 subscribed to the on-call waiting service. Query whether there is (S2). The home location registerer 50 checks whether the first terminal subscribes to the waiting service during the call and responds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S3). When the first terminal 1 is not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busy state to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and the first terminal 1 transmits a signal. When the subscriber is subscribed to the waiting service,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ransmits a ring back tone to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S4).

다음, 제1 이동 교환국(10)은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 트랜스코드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트랜스코드 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한다(S5). 트랜스코드 모드 전환 신호에 의해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은 현재 직접 연결되어 있는 통화로를 해제하고,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S6). 즉, 제1 이동 교환국(1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제1 통화로가 형성되고, 음원 송출 서버(40)와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제2 통화 로가 형성된다. 이처럼 음원 송출 서버(40)가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을 중계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의 통화로 해제는 통화로의 물리적 차단이 아니라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의 세션(session)은 유지된 채 음성 톤이 교환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의 통화로가 해제되면, 제1 이동 교환국(10)은 음원 송출 서버(40)로 제1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 이동 교환국(20)은 음원 송출 서버(40)로 제2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의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음원 송출 서버(40)를 매개로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동 교환국(10, 2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ISUP(ISDN User Part) 메시지이다. ISUP이란 통화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서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 Sector)에 의해 표준화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교환국(10, 2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ISUP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ext,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ransmits a transcode mode switching signal for requesting switching to the transcode mode to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S5). By means of the transcode mode switch signal,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release the currently connected call path, an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n indirect currency path is formed (S6). That is, a first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and a second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n this way,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relays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o form an indirect call path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Here, the disconnection of the call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s not a physical blockage of the call, but a session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 voice tone that is maintained and not exchanged. When the call path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s released,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in the first call, and the seco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2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in a second call.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responds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of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Send a message. Accordingly,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re indirectly connected via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The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10, 20 and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is an ISDN (ISDN User Part) message. ISUP i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controlling call setup and is standardiz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 Sector (IT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UP is used as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s 10 and 20 and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 음원 송출 서버(4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DB)(60)에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질의한다(S7). 음원 데이터베이스(60)는 통화 요청 안내 음으로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음원을 저장한다. 통화 요청 안내 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음원은 안내 멘트, 멜로디, 자연 음 등이 될 수있다. 음원 데이터베이스(60)는 음원 송출 서버(40)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음원 송출 서버(6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Next,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queries the sound source database (DB) 60 for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S7).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stores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for use as call request guide sounds. Sound sources that can be used as call request guidance sounds may be announcements, melodies, natural sounds, and the like.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may exist independently of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but may be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60.

통화중 대기 서비스 가입자는 발신번호, 발신시간 등에 따라 다양한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원 데이터베이스(60)는 발신번호 또는 발신시간 별로 설정된 통화중 대기 서비스 가입자의 음원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all waiting service subscriber may set various call request guide sounds according to the calling number and the calling time. Accordingly,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may include a sound source table of the waiting service subscriber set for each call number or call time.

음원 송출 서버(40)가 음원 데이터베이스(60)에 제3 단말기(3)에 설정된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질의하면, 음원 데이터베이스(60)는 이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음원 송출 서버(40)로 전송한다(S8).When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queries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for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set in the third terminal 3,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responds to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with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S8).

음원 송출 서버(4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받은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제2 통화로를 통해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결합한다(S9). 음원 송출 서버(40)는 결합된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음성을 제1 통화로를 통해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 송출한다(S10).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combine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with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hrough the second call path (S9).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transmits the combined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voice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S10).

제1 단말기(1)는 제1 이동 교환국(10)을 통해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음성이 결합된 합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로써 제1 가입자는 기존통화에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3 가입자로부터의 통화 요청을 통보 받을 수 있다. 제1 가입자가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상의 통화 키를 누르면,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3 이동 교환국(30) 간에 통화로가 연결된다(S11).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3 이동 교환국(30) 간에 통화로가 연결되면, 제1 이동 교환국(1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통화로가 해제된다(S12). 제1 가입자는 제 3가입자와 통화를 하게 되고, 제2 가입 자는 제1 가입자와 제3 가입자의 통화 동안 대기하게 된다. The first terminal 1 receives the combined data combined with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through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his allows the first subscriber to be notified of the call request from the third subscriber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the existing call. When the first subscriber presses a call key on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a call path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S11). When the communication path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s released (S12). The first subscriber is talking to the third subscriber, and the second subscriber is waiting for the call of the first subscriber and the third subscriber.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단말기(1), 제2 단말기(2), 제3 단말기(3), 서비스 A 지역을 관리하는 제1 이동 교환국(10), 서비스 B 지역을 관리하는 제2 이동 교환국(20), 서비스 C 지역을 관리하는 제3 이동 교환국(30), 서비스 D 지역을 관리하는 제4 이동 교환국(MSC-4)(70), 음원 송출 서버(40), 홈 위치 등록기(50),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 Location Register)(8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a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hat manages a first terminal 1, a second terminal 2, a third terminal 3, and a service A area. ), A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for managing a service B area, a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for managing a service C area, a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MSC-4) 70 for managing a service D area, a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home location register 50,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80,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통화 요청을 하는 경우 제1 단말기(1)로 제3 단말기(3)의 통화 요청을 알려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In the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hird terminal 3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When a call request is made to the first terminal 1 refers to a service that informs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3).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제2 단말기(2) 및 제3 단말기(3)는 자신의 서비스 지역(B, C)에 속해 있으나 제1 단말기(1)는 자신의 서비스 지역(A)이 아닌 다른 서비스 지역(D)에 속해 있다는 가정 하에 수행되는 것이다. 즉, 제1 단말기(1)는 서비스 D 지역 안에 위치하여 제4 이동 교환국(7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2 단말기(2)는 서비스 B 지역 안에 위치하여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3 단말기(3)는 서비스 C 지역 안에 위치하여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 는다. In the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erminal 2 and the third terminal 3 belong to their service areas B and C, but the first terminal 1 has its own service. It i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belongs to a service area (D) other than area (A). That is, the first terminal 1 is located in the service D area to receive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terminal 2 is located in the service B area and is located in the second mobile switching station 20. Voice communication service is received from the third terminal 3, and the third terminal 3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C and receives voic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통화 요청을 하는 경우,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의 통화로가 해제되고,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을 중계하여, 음원 송출 서버(40)를 통해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3 단말기(3)의 통화 요청을 알리는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여 제4 이동 교환국(70)으로 전송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rd terminal 3 makes a call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1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The call path between the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s released, and the sound source discharging server 40 relays the fourth mobile switching station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so as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ischarging server 40. Through this, an indirect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combine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informing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3 with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nd transmits it to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1)가 자신의 서비스 지역(A)에서 벗어나 다른 서비스 지역(D)으로 이동할 때 위치 등록(AR: Automatic Registration)을 하게 되고, 위치 등록 시 홈 위치 등록기(50)에 저장된 제1 단말기(1)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정보가 방문자 위치 등록기(80)로 제공된다.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통화 요청을 하는 경우, 방문자 위치 등록기(80)는 제1 단말기(1)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교환국 및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terminal 1 moves out of its service area A and moves to another service area D, a location registration (AR) is performed. Call waiting servi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 stored in the home location register 50 is provided to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80. When the third terminal 3 makes a call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1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80 contacts the first terminal 1. It is checked whether the mobile switching center providing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first terminal 1 are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5 illustrates a signal flow in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편의상, 각 이동 교환국(10, 20, 30, 7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 스를 제공받는 단말기(1, 2, 3)는 생략되었음에 유의한다.Note that in FIG. 5, for convenience, the terminals 1, 2, and 3 receiving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from each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s 10, 20, 30, and 70 ar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가 통화 중에 있다. 이 때,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전화를 거는 경우 제3 단말기(3)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이동 교환국(발신 교환기)(30)이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 통화 요청을 하게 된다(S100). 제1 단말기(1)가 서비스 A 지역을 벗어나 서비스 D 지역으로 이동한 상태로서 현재 제4 이동 교환국(7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받고 있으나, 제3 이동 교환국(30)은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있기 때문에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 통화 요청을 하게 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5, first,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are in a call. At this time, when the third terminal 3 calls the first terminal 1,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originating exchange) 30 which provides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third terminal 3 is the first mobile switching station. The call is made to (10) (S100). Since the first terminal 1 has moved from the service A area to the service D area and is currently receiving voic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does not know this fact. A call request is made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부터 통화 요청을 받으면 제1 이동 교환국(10)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80)에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질의한다(S101). 방문자 위치 등록기(80)는 제1 단말기의 통화 중 대기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에 응답한다(S102). 이 때 방문자 위치 등록기(80)는 현재 제1 단말기(1)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이동 교환국을 확인하여 알려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방문자 위치 등록기(80)는 제1 이동 교환국(1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으나, 제1 이동 교환국(1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Upon receiving a call request from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queries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80 whether the first terminal 1 is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S101).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80 confirms whether the first terminal subscribes to the waiting service during the call and responds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S102). At this time,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80 identifies and informs the mobile switching center that is currently providing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first terminal 1.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80 may exist outside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but may also be included inside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제1 이동 교환국(10)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80)로부터 현재 제1 단말기(1)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이동 교환국이 제4 이동 교환국(70)임을 알아내고 제4 이동 교환국(착신 교환기)(70)으로 통화 요청을 전달한다(S103). 여기서, 제4 이동 교환국(70)은 제1 단말기(1)의 방문 교환기이면서 착신 교환기가 된다.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determines from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80 that the mobile switching center that is currently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first terminal 1 is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called exchange). Transfer the call request to 70) (S103). Here,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is a visiting exchange of the first terminal 1 and a destination exchange.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4 이동 교환국(10)은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 송출하고,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제4 이동 교환국(10)은 대기음(Ring back Tone)을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 송출한다(S104). When the first terminal 1 is not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1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busy state to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and the first terminal 1 When the subscriber is subscribed to the waiting service,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10 transmits a ring back tone to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S104).

다음, 제4 이동 교환국(70)은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 트랜스코드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트랜스코드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한다(S105). 트랜스코드 모드 전환 신호에 의해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은 현재 직접 연결되어 있는 통화로를 해제하고,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S106). 즉, 제4 이동 교환국(7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제1 통화로가 형성되고, 음원 송출 서버(40)와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제2 통화로가 형성된다. 이처럼 음원 송출 서버(40)가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을 중계하여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의 통화로 해제는 통화로의 물리적 차단이 아니라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의 세션(session)은 유지된 채 음성 톤이 교환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의 통화로가 해제되면, 제4 이동 교환국(70)은 음원 송출 서버(40)로 제1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 이동 교환국(20)은 음원 송출 서버(40)로 제2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의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음원 송출 서버(40)를 매개로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동 교환국(70, 2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ISUP(ISDN User Part) 메시지이다. ISUP이란 통화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서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 Sector)에 의해 표준화된 것이다. Next,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transmits a transcode mode switching signal for requesting switching to the transcode mode to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S105). By means of the transcode mode switch signal,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release the currently connected call paths, and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n indirect currency path is formed (S106). That is, a first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and a second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n this way,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relays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o form an indirect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Here, the release of the call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s not a physical blockage of the call, but a session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 voice tone that is maintained and not exchanged. When the call path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s released,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in the first call, and the seco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2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in a second call.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responds to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of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by connecting to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Send a message. Accordingly,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r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The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70, 20 and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is an ISUP (ISDN User Part) message. ISUP i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controlling call setup and is standardiz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 Sector (ITU-T).

다음, 음원 송출 서버(4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DB)(60)에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질의한다(S107).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음원 데이터베이스(60)는 통화 요청 안내 음으로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음원을 저장한다. 통화 요청 안내 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음원은 안내 멘트, 멜로디, 자연 음 등이 될 수있다. 음원 데이터베이스(60)는 음원 송출 서버(40)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음원 송출 서버(6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Next,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queries the sound source database (DB) 60 for a call request guide sound (S107).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stores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for use as call request guide sounds. Sound sources that can be used as call request guidance sounds may be announcements, melodies, natural sounds, and the like.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may exist independently of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but may be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60.

통화중 대기 서비스 가입자는 발신번호, 발신시간 등에 따라 다양한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원 데이터베이스(60)는 발신번호 또는발신시간 별로 설정된 통화중 대기 서비스 가입자의 음원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all waiting service subscriber may set various call request guide sounds according to the calling number and the calling time. Accordingly,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may include a sound source table of the waiting service subscriber set for each calling number or calling time.

음원 송출 서버(40)가 음원 데이터베이스(60)에 제3 단말기(3)에 설정된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질의하면, 음원 데이터베이스(60)는 이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음원 송출 서버(40)로 전송한다(S108).When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queries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for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set in the third terminal 3,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responds to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with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S108).

음원 송출 서버(4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받은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제2 통화로를 통해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결합한다(S109). 음원 송출 서버(40)는 결합된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음성을 제1 통화로를 통해 제4 이동 교환국(70)으로 송출한다(S110).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combine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with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hrough the second call path (S109).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transmits the combined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voice to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S110).

제1 단말기(1)는 제4 이동 교환국(70)을 통해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음성이 결합된 합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로써 제1 가입자는 기존 통화에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3 가입자로부터의 통화 요청을 통보 받을 수 있다. 제1 가입자가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상의 통화 키를 누르면,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3 이동 교환국(30) 간에 통화로가 연결된다(S111).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3 이동 교환국(30) 간에 통화로가 연결되면, 제4 이동 교환국(70)과 제2 이동 교환국(20) 간에 통화로가 해제된다(S112). 제1 가입자는 제 3가입자와 통화를 하게 되고, 제2 가입자는 제1 가입자와 제3 가입자의 통화 동안 대기하게 된다. The first terminal 1 receives the combined data combined with the call request guide tone and the voice through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This allows the first subscriber to be notified of the call request from the third subscriber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the existing call. When the first subscriber presses a call key on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a call path is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S111). When the communication path is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ourth mobile switching center 7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s released (S112). The first subscriber is talking to the third subscriber, and the second subscriber is waiting for the call of the first subscriber and the third subscriber.

상기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는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가 다른 서비스 지역에 속해 있다는 가정 하에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제3 실시 예로서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가 동일한 서비스 지역에 속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have described the standby waiting servic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belong to different service areas. A case where the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belong to the same service area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제1 단말기(1) 및 제2 단말기(2)가 모두 서비스 A 지역에 속해 있다는 가정 하에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즉, 제1 단말기(1) 및 제2 단말기(2)는 서비스 A 지역 안에 위치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3 단말기(3)는 서비스 C 지역에 위치하여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부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that both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belong to the service area A. That is,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are located in the service A area to receiv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third terminal 3 is located in the service C are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from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통화 요청을 하는 경우, 제1 이동 교환국(10)의 내부 통화로가 해제되고,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1 이동 교환국(10)과 연결되어, 음원 송출 서버(40)를 통해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2 단말기(2)의 음성과 제3 단말기(3)의 통화 요청을 알리는 통화 요청 안내 음을 결합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 출력한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rd terminal 3 makes a call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1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the first mobile switching station The internal call path of the 10 is released, and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is connected with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through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Indirect currency paths are formed between them.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40 combines the voice of the second terminal 2 input from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informing the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3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가 제1 이동 교환국(10)을 통해 연결되어 통화 중에 있다. 이 때,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전화를 거는 경우 제 3단말기(3)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이동 교환국(발신 교환기)(30)이 제1 이동 교환국(착신 교환기)(10)으로 통화 요청을 하게 된다. First,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are connected via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are in a call. At this time, when the third terminal 3 calls the first terminal 1,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calling switch) 30 that provides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third terminal 3 is the first mobile switching station. A call request is made to (called exchange) 10.

제1 이동 교환국(10)이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부터 통화 요청을 받으면, 제1 이동 교환국(10)은 홈 위치 등록기(50)에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질의한다. 홈 위치 등록기(50)는 제1 단말기의 통화 중 대기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에 응답한다.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1 이동 교환국(10)은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 송출하고, 제1 단말기(1)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제1 이동 교환국(10)은 대기음(Ring back Tone)을 제3 이동 교환국(30)으로 송출한다. Wh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receives a call request from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joins the home location register 50 with the first terminal 1 subscribed to the on-call waiting service. Query whether there is any. The home location registerer 50 checks whether the first terminal subscribes to the waiting service during the call and responds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When the first terminal 1 is not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busy state to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and the first terminal 1 transmits a signal.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ransmits a ring back tone to the third mobile switching center 30 when it is subscribed to a waiting service during a call.

다음, 제1 이동 교환국(10)은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내부 통화로를 해제한다. 내부 통화로의 해제는 이동 교환국에서의 일반적인 처리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Next,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releases the internal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Since the release to the internal currency corresponds to general processing at the mobile switching cent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내부 통화로가 해제되면, 제1 이동 교환국(10)은 음원 송출 서버(40)로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부터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음원 송출 서버(40)는 이에 응답하여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 통화로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교환국(1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통화로가 형성된다. 제1 이동 교환국(1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의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ISUP 메시지이다. When the internal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is released,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sound source server 40 by a call. Upon receiving the call request message from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transmits the call answering message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in response. As a result, a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The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40 are ISUP messages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이처럼 제1 이동 교환국(10)의 내부 통화로가 해제되고 제1 이동 교환국(1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면서,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가 음원 송출 서버(40)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As such, the internal communication path of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is released and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1 이동 교환국(10) 간의 통화로를 통해제2 단말기(2)의 음성을 수신하여 이를통화 요청 안내 음과 결합한다. 다음, 음원 송출 서버(40)는 결합된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음성을 제1 이동 교환국(10) 간의 통화로를 통해 제1 단말기(1)로 송출한다.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receives the voice of the second terminal 2 through the call path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combines it with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Next,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transmits the combined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voice to the first terminal 1 through the call path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음원 송출 서버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음원 송출 서버(4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서 동일하 게 사용되며, 제1 단말기(1)와 제2 단말기(2) 간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3)가 제1 단말기(1)에 통화 요청을 하는 경우, 제1 단말기(1)와 상기 제2 단말기(2)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제2 단말기(2)에서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여 제1 단말기(1)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6 is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40 is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the third terminal 3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When a call request is made to the call), an indirect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econd terminal 2, and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2 are combined. 1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1).

도 6을 참조하면, 음원 송출 서버(40)는 제1 접속부(41), 제2 접속부(42), 데이터 합성부(43), 제어부(4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음원 송출 서버(4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하며 제2 및 제3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에 유의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4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41, a second connecting portion 42, a data synthesizing portion 43, a controller 44, and the like. He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is based o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제1 접속부(41)는 제1 단말기(1)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이동 교환국(1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제1 통화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접속부(41)는 데이터 합성부(43)에 의해 결합된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음성을 제1 통화로를 통해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1 allows a first communication path to be formed between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hat provides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first terminal 1 and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1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voice coupled by the data synthesizing portion 43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hrough the first call path.

제2 접속부(42)는 제2 단말기(2)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이동 교환국(2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제2 통화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접속부(42)는 제2 통화로를 통해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데이터 합성부(43)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2 allows a second communication path to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hat provides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second terminal 2 and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40.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unit 42 is responsible for delivering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o the data synthesizing unit 43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데이터 합성부(43)는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음성을 결합하여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음성이 결합된 합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합성부(43)는 제어부(44)를 통해 음원 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제공된 통화 요청 안내 음을 입력 받고, 제2 접속부(42)를 통해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입력 받아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음성을 결합한다. The data synthesizing unit 43 combine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to generate synthesized data in which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are combined. The data synthesizing unit 43 receive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through the control unit 44, and receives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42. Combin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voice.

제어부(44)는 음원 송출 서버(4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음원 송출 서버(40)의 전체적인 동작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controller 44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sound source server 40 to manage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server 4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음원 송출 서버(40)의 동작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제어부(44)는 제3 단말기(3)의 통화 요청에 따라 제1 이동 교환국(10) 및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제1 접속부(41)를 통해 제1 이동 교환국(1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제1 통화로를 설정하고, 제2 접속부(42)를 통해 제2 이동 교환국(20)과 음원 송출 서버(40) 간에 제2 통화로를 설정한다. 다만, 제3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이동 교환국만이 관여하므로 통화로 설정 시 제1 접속부(41) 또는 제2 접속부(42) 중 어느 하나만이 사용될 수 있다. First, when there is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in response to a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3, the controller 44 receives the first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41. A first call path is set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10 and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and a second call path is set between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nd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4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42. do. 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only one mobile switching center is involved, only on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2 may be used when establishing a call.

제어부(44)는 음원 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제3 단말기(3)에 설정된 통화 요청 안내 음을 검색하여 이를 데이터 합성부(43)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44)는 제2 접속부(42)를 통해 제2 이동 교환국(20)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데이터 합성부(43)에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44)는 음원 데이터베이스(60)의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제2 이동 교환국(20)의 음성을 각각 복호화 하여 데이터 합성부(43)에 제공한다. The control unit 44 retrieve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set in the third terminal 3 from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and provides it to the data synthesizing unit 43. The control unit 44 also provides the data synthesizing unit 43 with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42. At this time, the controller 44 decode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of the sound source database 60 and the voice of the second mobile switching center 20 and provides the decoded data to the data synthesizer 43.

데이터 합성부(43)는 제어부(44)를 통해 복호화 된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음성을 결합한 후 부호화 하여 합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44)는 데이터 합성부(43)에서 생성된 합성 데이터를 제1 접속부(41)를 통해 제1 이동 교환국(10)으로 송출한다. The data synthesizing unit 43 combines and decode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decoded by the control unit 44 and encodes the same to generate synthesized data. The control unit 44 transmits the synthesized data generated by the data synthesizing unit 43 to the first mobile switching center 1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41.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환경에서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환경,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이 연동된 환경, 로밍, VoIP(Voice over IP) 망 등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standby service during a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environment, an environment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d telephone network are interworked, roaming, and voice over VoIP The same can be applied to IP) networks.

유선 가입자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받는 경우When a wired subscriber receives call waiting service

<유선전화망 환경>Wired Telephone Network Environment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모두 유선 가입자의 단말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A case where bot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terminals of a wired subscriber will be described.

제3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 전화를 거는 경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착신 교환기)은 유선 가입자 DB에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질의한다. 여기서, 제3 단말기는 유전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기에 전화를 걸 수 있다.When the third terminal makes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the local switching center (called exchange) of the first terminal inquir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Here, the third terminal may make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a genetic telephone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은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제3 단말기로 송출하고,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은 제3 단말기로 대기음을 송출한다. If the first terminal is not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local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sends a signal indicating the busy state to the third terminal, and if the first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regional switching center of the terminal sends out a waiting sound to the third terminal.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제2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 간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통화로가 해제되고, 음원 송출 서버를 매개로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제2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 지역 교환국와 음원 송출 서버 간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ISUP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지역 교환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지역 교환국에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내부 통화로가 해제되고, 지역 교환국과 음원 송출 서버 간에 통화로가 형성된다. Subsequently, as described above, the call path directly connected between the local exchange st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local exchange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released, and the local exchange st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local exchange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are connected via the sound source server. Indirect currency paths are formed between them. As described above, the ISUP protocol may also be used between the local switching center and the sound transmitting ser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 the same local switching center, the internal telephone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released at the local switching center, and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local switching center and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의 연동> <Interwork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d telephone network>

제1 단말기는 유선 가입자의 단말기이고, 제2 단말기는 무선 가입자의 단말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A case where a first terminal is a terminal of a wired subscriber and a second terminal is a terminal of a wireless subscriber will be described.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 간에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관문교환기(CGS: Common Gateway Switch)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connected through a common gateway switch (CGS) that performs an access fun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ired telephone network.

제3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 유전전화망을 통해 전화를 거는 경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착신 교환기)은 유선 가입자 DB에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질의한다. 또한, 제3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화를 거는 경우 관문교환기가 유선 가입자 DB에 제1 단말기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질의한 후 호출 신호를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으로 전달한다. When the third terminal makes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genetic telephone network, the local switching center (terminating exchange) of the first terminal inquir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In addition, when the third terminal makes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gateway exchange inquires the wired subscriber DB whether the first terminal is subscribed to a waiting service, and then sends a call signal to the area of the first terminal. Deliver to the exchange.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은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제3 단말기로 송출하고,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은 제3 단말기로 대기음을 송출한다. If the first terminal is not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local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sends a signal indicating the busy state to the third terminal, and if the first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regional switching center of the terminal sends out a waiting sound to the third terminal.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 간에 관문교환기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통화로가 해제되고, 음원 송출 서버를 매개로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음원 송출 서버는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관문교환기 간에 위치하거나,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관문교환기 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Subsequently, as described above, the call path connected between the regional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gateway exchange is released, and the local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via the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are released. Indirect currency paths are established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s. Here,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may be located between the local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gateway switch, or may be located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gateway switch.

로밍 중인 경우If you are roaming

제1 단말기는 로밍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로서 해외에 위치하고, 제2 단말기는 설명의 편의상 무선 가입자의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The first terminal is located abroad as a terminal of a roaming service subscriber, and the second terminal is assumed and described as a terminal of a wireless subscrib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제3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경우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은 홈 위치 등록기에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질의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제1 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에 응답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는 글로벌 위치 등록기(GLR: Global Location Register)에 해외 착신 교환기의 위치를 질의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글로벌 위치 등록기로부터 해외 착신 교환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에 응답한다. When the third terminal makes a call to the first terminal,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inquir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home location register verifi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subscribes to the busy service and responds to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In addition, the home location register queries the Global Location Register (GLR) for the location of the overseas incoming exchange. The home location register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overseas incoming exchange from the global location register and responds to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다음,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은 호출 신호를 국제 신호망을 통해 해외 착신 교환기로 전달한다.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은 해외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통해 제1 단말기의 통화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은 통화중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제3 단말기로 송출하고,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은 제3 단말기로 대기음을 송출한다. Next,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the call signal to the overseas destination exchange through the international signal network.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may check the busy state of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overseas destination exchange. If the first terminal is not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sends a signal indicating a busy state to the third terminal, and if the first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terminal sends out a waiting sound to the third terminal.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 간의 직접적인 통화로가 해제되고, 음원 송출 서버를 매개로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음원 송출 서버는 국내 신호망(즉,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 간)에 위치하거나, 국제 신호망(즉,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해외 착신 교환기 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음원 송출 서버가 국제 신호망에서구현될 경우 해외 착신 교환기를 보유한 통신업체와의 협약이 필요하다. Subsequently,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 call path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second terminal is released, and indirectly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switching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via the sound source server. A currency path is formed. Here,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may be located in a domestic signaling network (ie,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second terminal) or may be located in an international signaling network (ie,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overseas destination exchange). It may be located. However, if a sound source server is implemented in an international signal network, an agreement with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with an overseas incoming exchange is required.

VoIP 망의 경우In case of VoIP network

VoIP 망은 현재의 이동통신망의 구조 및 프로토콜을 IP 기반으로 구축한 망을 말한다. VoIP 망에서는 이동통신망의 구성요소가 IP 기반으로 변경되면서, 종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고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상위에서 동작하는 SIP 프로토콜에 의해서 호 접속 제어, 서비스 제어, 이동 제어 등을 수행한다. The VoIP network refers to a network constructed based on IP structure and protocol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VoIP network, as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re changed based on IP, call access control, service control, and mobility control are performed by the SIP protocol operating on the TCP / IP Internet protocol without using the conventional protocol.

VoIP 망에서는 이동통신망의 이동 교환국에 대응하는 망 요소로서 IP-PBX(Inter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가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 대기 서비스가 VoIP 망에 적용되는 경우, 음원 송출 서버는 IP-PBX와 통화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IP-PBX가 음원 송출 서버에 SIP 기반의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음원 송출 서버와 IP-PBX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VoIP 망에서도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에 음원 송출 서버를 통해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VoIP network, an IP-PBX (Inter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 is used as a network element corresponding to a mobile switching center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when the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VoIP network,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forms a call path with the IP-PBX. That is, as the IP-PBX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sound source server in a SIP-based call, a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sound source server and the IP-PBX.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n the VoIP network are also described. An indirect call path may be formed through the sound source server.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qu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통화 중 통화 음을 단절시켜 통화 요청을 알림으로써 기존 통화를 방해하고 불쾌감을 유발하여 가입자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기존 통화에 전혀 방해를 주지 않고 이전과 동일하게 통화 요청을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중 대기 서비스 가입을 증대시켜 현재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사업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다. Conventional call waiting service interrupts an existing call and interrupts an existing call by informing a call request, causing inconvenience, thereby having difficulty in securing subscrib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terfere with an existing call at all and is the same as before. Since there is an advantage of notifying the request, the user can increase the current call waiting service subscription to activate the current call waiting service business.

도 1은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ll waiting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도.3 is a signal flow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도.5 is a signal flow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송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2, 3: 단말기10, 20, 30, 70: 이동 교환국1, 2, 3: terminal 10, 20, 30, 70: mobile switching center

40: 음원 송출 서버 41: 제1 접속부40: sound source delivery server 41: first connection portion

42: 제2 접속부 43: 데이터 합성부42: second connecting portion 43: data synthesizing portion

44: 제어부 50: 홈 위치 등록기44: control unit 50: home location register

60: 음원 데이터베이스 80: 방문자 위치 등록기60: sound source database 80: visitor location register

Claims (18)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통화 중 제3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상기 제1 단말기에 통보함으로써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In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by notifying the first terminal of a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when a third terminal requests a call from the first terminal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상기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사이에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제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말기와 제2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 요청 안내 음 및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 송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In response to a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are formed by forming a second communication path with the second terminal. Forming an indirect call path between the second terminal, the call wai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er for transmitting to the first terminal by combining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Provid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무선 가입자의 단말기로서 다른 이동 교환국 내에 위치하는 경우,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located in another mobile switching center as a terminal of a wireless subscriber, 상기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 시 상기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상기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 간의 통화로가해제되고,When a call request is made from the third terminal, a call path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st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switching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released. 상기 음원 송출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이동교환국과 제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제2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forms a first communication path with a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forms a second communication path with a mobile switching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무선 가입자의 단말기로서 동일한 이동 교환국 내에 위치하는 경우,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located in the same mobile switching center as the terminal of the wireless subscriber, 상기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 시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내부 통화로가 해제되고, An internal call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released from the mobile switching station when the call of the third terminal is requested; 상기 음원 송출 서버는 상기 이동 교환국과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forms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mobile switching cen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유선 가입자의 단말기로서 다른 지역 교환국 내에 있는 경우,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 a different regional switching center as a terminal of a wired subscriber, 상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상기 제2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 간의 통화로가 해제되고, 상기 음원 송출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제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제2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음원 송출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제2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The call path between the local exchange st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local exchange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released, and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forms a first communication path with the local exchange st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with the local exchange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an indirect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area exchange st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area exchange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by forming a second call path.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유선 가입자의 단말기로서동일한 지역 교환국 내에 있는 경우,I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 the same local exchange as the terminal of the wired subscriber, 상기 지역 교환국에서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내부 통화로가 해제되고, 상기 지역 교환국과 상기 음원 송출 서버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the internal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released from the local switching center, and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local switching center and the sound transmitting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말기가 유선 가입자의 단말기이고 상기 제2 단말기가 무선 가입자의 단말기인 경우,When the first terminal is a terminal of a wired subscriber and the second terminal is a terminal of a wireless subscriber, 상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상기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 간에 유선전화망과 이동통신망 간의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관문교환기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통화로가 해제되고, 상기 음원 송출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제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제2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음원 송출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의 지역 교환국과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A call path connected through a gateway switch that performs a connection function between a wired telephone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local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switching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released, and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terminal. An indirect call path between the local exchange st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exchange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sound source server by forming a first communication path with a local switching cent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th with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second terminal.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말기가 로밍 가입자의 단말기로서 해외에 위치하는 경우,If the first terminal is located abroad as a terminal of a roaming subscriber, 상기 음원 송출 서버는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상기 제1 단말기가 위치하는 해외의 착신 교환기 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is located between a mobile switching center of a first terminal and an overseas destination exchang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is locat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VoIP 망 내에 있는 경우,I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n the VoIP network,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통화로가 해제되고 상기 음원 송출 서버와 VoIP 망 내의 교환기 역할을 수행하는 IP-PBX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The call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released,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sound source server and the IP-PBX serving as an exchange in the VoIP network.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통화 중 제3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상기 제1 단말기에 통보함으로써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음원 송출 서버에 있어서, Sound source in a system that provides a call waiting service by notifying the first terminal of a call request of the third terminal when a third terminal requests a call from the first terminal during a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n the sending server, 상기 제1 단말기와 제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말기와 제2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접속부와,A connection unit for forming an indirect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by forming a first communication path with the first terminal and forming a second communication path with the second terminal;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는 데이터 합성부와,A data synthesizer for combining a call request guide sound and a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상기 데이터 합성부에서 생성된 합성 데이터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음원 송출 서버.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synthesized data generated by the data synthesizing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unit.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국, 지역 교환국, 해외 착신 교환기 또는 IP-PBX 중 적어도 하나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송출 서버.And the connection unit forms a communication path with at least one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a local switching center, an overseas destination exchange, or an IP-PBX that provides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통화 요청 안내 음으로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 단말기에 설정된 음원을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 합성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송출 서버.The sound source database may further include a sound source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for use as the call request guide sound. 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a sound source set in the third terminal from the sound source database and provide the sound source to the data synthesis unit. Sound recording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통화 중 제3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와,Requesting a call from the third terminal by the third terminal during the cal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통화로가 해제되는 단계와,Releasing a call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first terminal is subscribed to a call waiting service; 상기 제1 단말기와 제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말기와 제2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음원 송출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되는 단계와, Forming an indirect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rough a sound transmitting server by forming a first communication path with the first terminal and forming a second communication path with the second terminal; 상기 음원 송출 서버에 의해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전송된 음성이 결합되어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a call request guide sound by the sound source transmitting server and a vo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mbined voice to the first terminal.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무선가입자의 단말기로서 다른 이동 교환국 내에 위치하는 경우,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located in another mobile switching center as a terminal of a wireless subscriber, 상기 통화로가 해제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이 상기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으로 트랜스코드 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이동교환국과 상기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 간의 통화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The step of releasing the communication path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switching station of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a transcode mode switching signal to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second terminal. Method of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released.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상기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이 각각 상기 음원 송출 서버로 통화로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상기 음원 송출 서버 간에 제1 통화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과 상기 음원 송출 서버 간에 제2 통화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The indirect communication path may be formed wh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second terminal transmit a call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sound source server, respectively. A first call path is formed between a sending server, and a second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ound source sending server.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무선가입자의 단말기로서 동일한 이동 교환국 내에 위치하는 경우,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in the same mobile switching center as the terminal of the wireless subscriber, 상기 통화로가 해제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내부 통화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The step of releasing the call path is a method of providing a standby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is released. 제 14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7, 상기 간접적인 통화로가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이동 교환국이 상기 음원 송출 서버로 통화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이동 교환국과 상기 음원 송출 서버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In the step of forming the indirect call path,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sound transmitting server by a call so that a call path is formed betwee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and the sound transmitting server. Method of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90113207A 2009-11-23 2009-11-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ting service KR101108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07A KR101108378B1 (en) 2009-11-23 2009-11-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t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07A KR101108378B1 (en) 2009-11-23 2009-11-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ting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50A KR20110056750A (en) 2011-05-31
KR101108378B1 true KR101108378B1 (en) 2012-01-30

Family

ID=4436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207A KR101108378B1 (en) 2009-11-23 2009-11-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t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3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85B1 (en) 2021-01-13 2022-04-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reminder service for waiting calls during a ca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155A (en) * 2005-05-04 2006-11-08 변동환 Incoming call rejection method of phone using ars
KR20070055826A (en) * 2005-11-28 2007-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iting service, and mobile phone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vided call waiting service
KR100747709B1 (en) 2006-02-08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multimedia audio codec in wcdma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155A (en) * 2005-05-04 2006-11-08 변동환 Incoming call rejection method of phone using ars
KR20070055826A (en) * 2005-11-28 2007-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iting service, and mobile phone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vided call waiting service
KR100747709B1 (en) 2006-02-08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multimedia audio codec in wcdma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85B1 (en) 2021-01-13 2022-04-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reminder service for waiting calls during a c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50A (en)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636B1 (en) Telephone system based on presence and call routing method thereof
EP2003865A2 (en) A method, a system and a ring back tone apparatus for offering the presence information using ring back tone
KR20020071296A (en) Method for forwarding short messag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W2008059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ingback tone personalization
WO2007068207A1 (en) A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providing ring-back tone in real time
KR100393553B1 (en)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ervice Method when originating call to a non-subscriber
KR100849816B1 (en) Fixed and mobile convergence voice service system using PSTN and Wibro/WLAN
EP2109299B1 (en) A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laying group color ring
KR100394976B1 (en)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during Call-Waiting
US20050036457A1 (en) Messaging services offer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KR20040100927A (en) Notification of calling party when mobile called party becomes available
KR1011083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wating service
KR101190347B1 (en) Voic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PSTN and messenger/WEB/WAP client
KR20080064774A (en) Fixed and mobile convergence voice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08310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national roaming color ring
KR100378089B1 (en) Trunk Controlling Method for transmitting RBT Source in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KR100734147B1 (en) System for service of multimedia ring back tone using alerting delay and method thereof
KR20070023481A (en) VoIP phone call forward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by messenger&#39;s status
KR100807907B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ring back tone of international roaming
KR20050092615A (en) System and method for one phone service combinig cellular network and wireless voip network
KR100965091B1 (en) Method for providing Sender information of uncompleted wire telephone call
KR1007875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lor ring of foreign roaming subscriber
KR100378088B1 (en) Method for confirming RBT Source in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KR20020097040A (en)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Method without Progress Tone
KR100627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 in a call connec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