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050B1 -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050B1
KR101108050B1 KR1020040091353A KR20040091353A KR101108050B1 KR 101108050 B1 KR101108050 B1 KR 101108050B1 KR 1020040091353 A KR1020040091353 A KR 1020040091353A KR 20040091353 A KR20040091353 A KR 20040091353A KR 101108050 B1 KR101108050 B1 KR 10110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me appliance
lower case
remote monitor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622A (ko
Inventor
노양환
조한기
장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0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8Monitor senso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진행 상태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인식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와 소정의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외부로 표시함은 물론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되,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노출창을 갖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노출창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창을 갖는 외면케이스와; 상기 상·하부케이스에 내장되며,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된 제어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제어기판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제어기판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공한다.
가전기기, 원격 모니터 장치

Description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원격 모니터 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외면 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I-I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Ⅱ-Ⅱ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A부에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부에서 외면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a는 작동버튼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9b는 작동버튼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가 행거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원격 모니터 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외면 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Ⅲ-Ⅲ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11의 Ⅳ-Ⅳ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C부에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5의 D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8a는 작동버튼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b는 작동버튼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가 행거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원격 모니터 장치
2:세탁기 3:건조기
100,1100:하부케이스 101,1101:슬라이드부
120,1120:체결공 130,1130:형합돌기
133,1133:형합후크 170,1170:가이드리브
181,1181:하부지지보스 182,1182:지지핀
190,1190:장착부 191,1191:가이드돌기
200,1200:통신모뎀용 기판 210,1210:암단자핀
290,1290:전자부품 300,1300:디스플레이용 기판
310,1310:수단자핀 320,1320:엘씨디 세그먼트
370,1370:스위치 400,1400:상부케이스
410,1410:노출창 420:관통공
430,1430:형합홈 431,1431:아우터 테두리부
432,1432:이너 테두리부 433,1433:후크홀
450:결합돌기 460:삽입공
461:걸림후크 470,1470:버튼홀
473,1473:단차부 477,1477:후크
480,1480:상부지지보스 500:외면케이스
501:수축방지홈 502:간섭방지홈
510:디스플레이창 520:체결보스
550:결합홈 560:걸림부
561:걸림공 570:연통홀
600,1600:투시용 시트 670,1670:대응홀
700,1700:보호용 시트 702:버
770,1770:대응홀 800,1800:작동버튼
810,1810:누름부 820,1820:설치부
821,1821:접촉돌기 822,1822:탄성리브
823,1823:간섭회피홈 824,1824:역단차부
900,1900:행거 910,1910:안착부
911,1911:가이드홈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실제 주생활 공간에서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 가전기기의 진행 상태를 위치 이동없이 원거리에서도 쉽게 파악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는 가정에서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을 하는 장치로서, 전기를 빛이나 열 또는 동력으로 변환시켜 사용함으로써 가정에서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최근 주택 생활공간이 커짐에 따라 전기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의 가전기기는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여타 가전기기와는 달리 크기 때문에 통상 거실에서 떨어진 베란다 등의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외국에서는 대부분 가옥 구조상 실제 생활 공간과 멀리 떨어진 지하실 또는 별도의 창고 등에 세탁기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거주하는 시간이 많은 거실과 멀리 떨어진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세탁기의 행정이나 남은 시간 등 진행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없었다.
즉, 사용자가 세탁기가 설치된 장소를 직접 수시로 방문하여 세탁기의 진행 상태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세탁기 가동후 가동 사실을 깜박 잊어버리거나 또는 아예 잊어버렸을 경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세탁기 내에 장시간 방치하게 됨에 따라, 세탁물이 쭈글쭈글하게 구겨지거나 세균이 증식하게 되는 등 세탁물의 손상을 초래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세탁기의 행정 에러 등을 인지하지 못하여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게 되면, 세탁물이 세제 및 세탁수에 장시간 접촉되어 탈색 등 세탁물의 옷감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제어하도록 하여 가전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와 소정의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외부로 표시함은 물론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되,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노출창을 갖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노출창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창을 갖는 외면케이스와; 상기 상·하부케이스에 내장되며,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된 제어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제어기판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제어기판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와 소정의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외부로 표시함은 물론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되,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노출창을 갖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하부케이스에 내장되며,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된 제어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제어기판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제어기판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거실 또는 방 등 사용자가 주로 많은 시간을 거주하게 되는 곳에 설치되며,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 등의 가전기기는 상기 거실 또는 방 등에서 떨어진 공간(예를 들면, 베란다와 지하실 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 등의 가전기기와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에는 각각 전력선 통신용 모뎀이 구비되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에는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에 구비된 전력선 통신용 모뎀과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뎀용 기판(200:도 3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를 콘센트를 통해 전력선과 연결하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전력선에 연결하기만 하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의 진행상태를 외부로 표시함은 물론 제어한다.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구비되는 통신모뎀용 기판(200)과,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300)과,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케이스(400)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면케이스(50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400)는 하부가 개구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은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상부에 실장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의 양측단에 수(male)단자핀(310)이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양측단에는 상기 수단자핀(310)이 끼워지는 암(female)단자핀(210)이 구비되어, 상기 수단자핀(310)이 상기 암단자핀(210)에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은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상부에 전기적으로 실장되거나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에 수단자핀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에 암단자핀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상부에 실장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의 표시부인 엘씨디 세그먼트(LCD segment:320)가 노출되는 노출창(41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때, 상기 엘씨디 세그먼트(320)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에 나사 체결방식 또는 후크 체결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가전기기의 진행코스 및 행정시간 등의 상태정보를 숫자 및 문자 등의 기호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외면케이스(500)는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노출창(410)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창(51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400) 및 외면케이스(500)의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비노출면인 하부면의 각 모서리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체결보스(52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400)에는 상기 체결보스(520)가 관통되는 관통공(42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에는 비노출면인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융기부에 의해 이루어진 체결공(120)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외면케이스(500)와 상부케이스(400) 및 하부케이스(100)는, 상기 체결보스(520)가 관통공(420)을 관통하여 체결공(1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인 나사(S)가 상기 체결공(120)을 통해 상기 체결보스(520)에 형성된 홈에 스스로 나사산을 만들면서 결합됨에 따라 동시에 조립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측 테두리에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테두리 전체에 형합돌기(13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하측 테두리에는 상기 형합돌기(130)가 결합되는 형합홈(430:도 4 참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하측 테두리에 형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측 테두리에 상기 형합돌기가 결합되는 형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하측 테두리는 상기 형합홈(43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형합돌기(13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아우터(outer) 테두리부(431:도 4 참조)와 상기 형합돌기(1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이너(inner) 테두리부(432:도 4 참조)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이너 테두리부(432)의 돌출 길이는 상기 아우터 테두리부(431)의 돌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상기 형합돌기(130)의 내측면과 상기 이너 테두리부(432)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상기 상부케이스(400)와 하부케이스(10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형합홈(430)에는, 상기 형합돌기(130)와의 결합시 상기 형합돌기(130)의 끝단 양 모서리부가 압착되는 실링부(430a:도 7 참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430a)는, 상기 형합돌기(130)의 끝단 양 모서리부에 각각 압착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형합돌기(130) 내측면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서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형합후크(133:도 7 참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이너 테두리부(432)에는 상기 복수개의 형합후크(133)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형합후크(133)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후크홀(433:도 7 참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형합돌기(130)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형합홈(430)에 결합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형합후크(133)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후크홀(433)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하부케이스(100)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상측 테두리 전체에 결합돌기(450)가 형성되고,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하측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돌기(450)가 결합되는 결합홈(5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테두리 안쪽 하부면에는 걸림공(561)이 형성된 걸림부(56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상부면에는 상기 걸림부(560)가 관통되는 삽입공(460)이 형성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부(560)의 걸림공(561)이 결합되는 걸림후크(4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걸림부(560)는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테두리를 따라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걸림부(560)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삽입공(460)에 관통되면, 상기 걸림부(560)의 걸림공(561)이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걸림후크(461)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돌기(450)가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홈(55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400)에 상기 외면케이스(5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노출면인 상부면에는, 디스플레이창(510)을 통한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된 투시용 시트(6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용 시트(6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디스플레이창(510)과 대응되는 투시창(710)을 갖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경금속 재질의 보호용 시트(700)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투시용 시트(600)와 보호용 시트(700)는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투시용 시트(600)가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디스플레이창(51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용 시트(700)는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상기 보호용 시트(700)의 가공과정(예를 들면, 프레스 절단 가공 등)에서 잔존하는 버(burr:702)가 있을 경우, 상기 버(702)와 간섭되어 상기 보호용 시트(70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5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테두리 부분은, 부식과 마모의 방지 및 미관상 광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크롬 도금과 같은 도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상·하부케이스(400,100) 내부에서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과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이 지지되는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과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 서 상기 상·하부케이스(400,100) 내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비노출면인 상부면 외곽부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안착됨과 동시에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L"자 형상의 가이드리브(170:도 3 참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리브(17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면 외곽부를 따라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보스(181)가 복수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하부지지보스(181)는 그 돌출 끝단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하부면에 밀착 지지되며,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중앙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주로 분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보스(181)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상부에 실장된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에 구비된 택트스위치(370)가 눌러짐에 따라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이 일측으로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370)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집중하여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에 구비된 스위치(370)가 눌러짐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기판(300) 자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을 직접 지지하는 지지핀(18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핀(182)은,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그 끝단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의 하부면에 밀착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지지핀(182)의 끝단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의 스위치(370)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보스(181)와 함께,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비노출면인 하부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보스(480:도 4 참조)가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보스(480)는 그 돌출 끝단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의 상부면에 밀착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의 외곽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주로 분포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지지보스(480)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의 엘씨디 세그먼트(320) 외측 영역에 위치하는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그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노출창(410) 주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에 구비된 택트스위치(370)를 외부에서 누르기 위해 작동버튼(800)이 구비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케이스(400)에 상기 작동버튼(800)이 구비되는 버튼홀(470)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케이스(500)에는 상기 버튼홀(470)과 대응되는 연통홀(57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시용 시트(600) 및 보호용 시트(700)에는 상기 연통홀(570)과 대응되는 대응홀(670,770)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버튼(800)은 상기 버튼홀(470)과 연통홀(570) 및 상기 대응홀(670,770)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에서 눌러짐에 따라 상기 택트스위치(370)를 누르고 눌러진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800)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버튼홀(470) 및 연통홀(570)을 통해 조작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810)와, 상기 누름부(8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설치부(82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버튼홀(470) 양측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하부면에는 후크(477)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작동버튼(800)은 상기 설치부(820)의 저면 테두리 부위가 상기 후크(477:도 6 참조)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4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820)의 중앙에는 상기 작동버튼(800)이 눌러졌을 때 택트스위치(370)와 접촉되는 접촉돌기(8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820)의 외곽쪽에는 상기 작동버튼(800)이 복원력을 갖도록 복수개의 절개슬롯으로 이루어진 탄성리브(8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820)의 테두리 저면에는 상기 작동버튼(800) 설치시 상기 택트스위치(370)의 주변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에 실장된 전자부품(290:도 6 참조)과 간섭이 방지되도록 간섭회피홈(823)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작동버튼(800)은 양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이므로, 상기 간섭회피홈(823)을 상기 설치부(820)의 태두리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작동버 튼(800)의 오조립으로 인하여 작동버튼(800)이 반대로 설치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전자부품(290)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버튼홀(470) 테두리에는 하부로 돌출된 단차부(473:도 5 참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800)의 설치부(820)에는 상기 단차부(473)와 반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작동버튼(800)이 조립될 시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역단차부(824:도 5 참조)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역단차부(824)의 돌출 길이를 상기 단차부(473)의 돌출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하부면에 상기 역단차부(824)가 밀착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작동버튼(800)이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버튼홀(470)에 조립될 시, 상기 작동버튼(800)의 역단차부(824)는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단차부(473)를 둘러싸도록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버튼홀(470)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스며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격 모니터 장치(1)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사용자가 주로 많은 시간을 거주하는 거실의 벽 등에 상기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100)의 노출면인 하부면의 중앙측에 대략 장방형으로 돌출 형성된 장착부(190)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가 거치될 벽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부(190)가 결합되는 행거(hanger:9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90)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돌기(191)가 형성되고, 상기 행거(90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91)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내측에 가이드홈(911)이 형성된 안착부(910)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행거(900)를 벽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장착부(19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91)를 상기 행거(900)의 안착부(910)에 형성된 가이드홈(91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설치된다.
이 때, 미관상 사용자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행거(900)가 보이지 않도록 행거(900)의 크기를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크기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노출면인 상부면에는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시 상기 체결보스(520)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홈(5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축방지홈(501)은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상부면 중 상기 체결보스(520)가 위치되는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보스(52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면케이스(500)는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시 상기 체결보스(520)에 작용하는 수축 변형력을 상기 수축방지홈(501)으로 상당히 분산시킬 수 있어 상기 체결보스(520)가 수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비노출면인 상부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시,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형성된 형합후크(133)와 간섭없이 금형이 제거되도록 슬라이드부(1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부(101)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면 외곽부로부터 상기 형합후크(133)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테두리까지 편평하게 형성된 면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1)는 상기 형합후크(133)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슬라이드부(10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사출 금형은 상기 슬라이드부(101)를 통해 하부케이스(100)의 중앙측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형합후크(133)와 간섭없이 상측으로 원활하게 빠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에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가전기기의 진행상태를 원격지에서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소리로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가전기기의 각 진행상태마다 지정된 고유한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면,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소리를 듣고 소리만으로도 진행상태 및 에러상태 등을 알 수 있으며 적절하게 가전기기의 유지보수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에 형성된 암단자핀(210)에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에 형성된 수단자핀(310)을 결합하여,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상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을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상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실장시킴으로써,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 및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이로 구성된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에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이 결합된 제어기판을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가이드리브(170)에 안착시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리브(17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복수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기판을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 공간에 소정 높이로 설치함과 동시에 제어기판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버튼홀(470)에는 상기 작동버튼(800)이 설치되는데 이 때, 상기 작동버튼(800)은 상기 상부케이스(400)에 형성된 후크(477)에 의하여 상기 버튼홀(47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버튼홀(470)에는 단차부(473)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800)에는 상기 단차부(473)를 둘러싸면서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역단차부(8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버튼홀(470)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800)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구비된 제어기판의 각종 전자부품(290)들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회피홈(8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400)가 하부케이스(100)에 결합될 시,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구비된 제어기판의 각종 전자부품(290)들과 상기 작동버튼(800)과의 조립 간섭없이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상부면에는 상기 투시용 시트(600) 및 보호용 시트(700)가 구비되는데 이 때, 상기 투시용 시트(600)와 보호용 시트(700)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상기 보호용 시트(700)의 가공과정에서 잔존하는 버(702:도 8 참조)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50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호용 시트(700)가 들뜨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상부케이스(400) 및 외면케이스(5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순서대로 위치하여 결합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상부케이스(4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형합돌기(130:도 7 참조)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형합홈(430:도 7 참조)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형합돌기(130) 내측면에 형성된 형합후크(131)가 상기 형합홈(430)에 형성된 후크홀(431)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400)와 하부케이스 (100)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형합홈(430)에는 상기 형합돌기(130)의 끝단 모서리부가 압착되는 실링부(430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시 서로 맞닿은 테두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에 구비된 엘씨디 세그먼트(320:도 5 참조)의 상면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노출창(410)에 대응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외면케이스(500)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결합돌기(450)가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결합홈(550)에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걸림부(560)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삽입공(460)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부(560)의 걸림공(561)에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걸림후크(461)가 걸림 결합되어, 상기 외면케이스(500)와 상부케이스(400)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노출창(410)을 통해 노출된 상기 엘씨디 세그먼트(320)의 상면은 상기 노출창(410)과 연통되는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디스플레이창(5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외면케이스(500)에 구비된 투시용 시트(600)를 통해 외부에서 투시 가능하도록 노출된다.
또한, 상기 외면케이스(500)에는 상기 버튼홀(470)과 연통되는 연통홀(570)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버튼(800)은 상기 버튼홀(470) 및 연통홀(570)을 통해 외부 로 돌출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400) 및 외면케이스(500)는 상기와 같이 상호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외면케이스(500)의 체결보스(520)가 상기 상부케이스(400)의 관통공(420)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체결공(120)에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나사(S)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각 케이스(100,400,500) 사이의 조립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케이스(100,400,500)의 조립이 동시에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과 디스플레이용 모뎀기판(300)은 각각 상기 상·하부케이스(400,100)에 형성된 상·하부지지보스(181)에 의하여 상기 상·하부케이스(400,100)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은 상기 상부케이스(400)에 형성된 상부지지보스(48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형성된 하부지지보스(181)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0)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200)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을 지지하는 지지핀(182)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에 구비된 스위치(370)가 작동버튼(800)의 조작에 의하여 눌러질 경우, 상기 지지핀(182)의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이 기울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조립된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행거(900)를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장착부(19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91)를 상기 행거(900)의 안착부(910)에 형성된 가이드홈(911)에 상하방향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행거(900)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에 고정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행거(900)의 크기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면에서 원격 모니터 장치(1)를 바라볼 때 행거(900)가 보이지 않으며 또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외면케이스(500) 테두리 부위는 긁힘,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버 크롬 도금이 되어 있어 미관이 수려하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10)는 상기 제1실시예의 원격 모니터 장치(1:도 3 참조)를 구성하는 외면케이스(500:도 3 참조) 기능을 겸용할 수 있는 상부케이스(1400)가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10) 역시 세탁기(2:도 1 참조) 및 건조기(3:도 1 참조) 등의 가전기기와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10)의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는 크게 하부케이스(1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100)에 구비되되 통신모뎀용 기판(1200)과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으로 이루어진 제어기판과,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케이스(1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110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400)는 하부가 개구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은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은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의 상부에 실장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의 양측단에 수(male)단자핀(1310)이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의 양측단에는 상기 수단자핀(1310)이 끼워지는 암(female)단자핀(1210)이 구비되어, 상기 수단자핀(1310)이 상기 암단자핀(1210)에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은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의 상부에 전기적으로 실장되거나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에 수단자핀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에 암단자핀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의 표시부인 엘씨디 세그먼트(1LCD segment:1320)가 노출되는 노출창(141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때, 상기 엘씨디 세그먼트(1320)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에 나사 체결방식 또는 후크 체결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가전기기의 진행코스 및 행정시간 등의 상태정보를 숫자 및 문자 등의 기호로 표시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400)와 하부케이스(1100)의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비노출면인 하부면의 각 모서리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체결보스(142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00)에는 비노출면인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융기부에 의해 이루어진 체결공(1120)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400)와 하부케이스(1100)는, 상기 체결보스(1420)가 체결공(11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인 나사(S)가 상기 체결공(1120)을 통해 상기 체결보스(1420)에 형성된 홈에 스스로 나사산을 만들면서 결합됨에 따라 동시에 조립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측 테두리에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테두리 전체에 형합돌기(113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하측 테두리에는 상기 형합돌기(1130)가 결합되는 형합홈(1430:도 13 참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하측 테두리에 형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측 테두리에 상기 형합돌기가 결합되는 형합홈이 형성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하측 테두리는 상기 형합홈(143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형합돌기(113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아우터(outer) 테두리부(1431:도 13 참조)와 상기 형합돌기(11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이너(inner) 테두리부(1432:도 13 참조)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이너 테두리부(1432)의 돌출 길이는 상기 아우터 테두리부(1431)의 돌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상기 형합돌기(1130)의 내측면과 상기 이너 테두리부(1432)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상기 상부케이스(1400)와 하부케이스(10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형합홈(1430)에는, 상기 형합돌기(1130)와의 결합시 상기 형합돌기(1130)의 끝단 양 모서리부가 압착되는 실링부(1430a:도 16 참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1430a)는, 상기 형합돌기(1130)의 끝단 양 모서리부에 각각 압착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형합돌기(1130) 내측면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서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형합후크(1133:도 16 참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이너 테두리부(1432)에는 상기 복수개의 형합후크(1133)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형합후크(1133)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후크홀(1433:도 16 참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형합돌기(1130)가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형합홈(1430)에 결합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형합후크(1133)가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후크홀(1433)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하부케이스(1100)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노출면인 상부면에는, 노출창(1410)을 통한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된 투시용 시트(16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용 시트(16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노출창(1410)과 대응되는 투시창(1710)을 갖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경금속 재질의 보호용 시트(1700)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투시용 시트(1600)와 보호용 시트(1700)는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투시용 시트(1600)가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디스플레이창(141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용 시트(1700)는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상기 보호용 시트(1700)의 가공과정(예를 들면, 프레스 절단 가공 등)에서 잔존하는 버(burr:1702)가 있을 경우, 상기 버(1702)와 간섭되어 상기 보호용 시트(170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14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상측 테두리 부분은, 부식과 마모의 방지 및 미관상 광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크롬 도금과 같은 도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상·하부케이스(1400,1100) 내부에서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과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이 지지되는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과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400,1100) 내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비노출면인 상부면 외곽부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이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안착됨과 동시에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L"자 형상의 가이드리브(1170:도 12 참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리브(1170)는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부면 외곽부를 따라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보스(1181)가 복수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하부지지보스(1181)는 그 돌출 끝단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의 하부면에 밀착 지지되며,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의 중앙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주로 분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보스(1181)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의 상부에 실장된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에 구비된 택트스위치(1370)가 눌러짐에 따라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이 일측으로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1370)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집중하여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에 구비된 스위치(1370)가 눌러짐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 자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을 직접 지지하는 지지핀(118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핀(1182)은,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그 끝단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의 하부면에 밀착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지지핀(1182)의 끝단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의 스위치(1370)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보스(1181)와 함께,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비노출면인 하부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보스(1480:도 13 참조)가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보스(1480)는 그 돌출 끝단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의 상부면에 밀착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의 외곽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주로 분포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지지보스(1480)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의 엘씨디 세그먼트(1320) 외측 영역에 위치하는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그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디스플레이창(1410) 주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에 구비된 택트스위치(1370)를 외부에서 누르기 위해 작동버튼(1800)이 구비된다.
즉,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400)에 상기 작동버튼(1800)이 구비되는 버튼홀(147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시용 시트(1600) 및 보호용 시트(1700)에는 상기 버튼홀(1470)과 대응되는 대응홀(1670,1770)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버튼(1800)은 상기 버튼홀(1470)과 상기 대응홀(1670,1770)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에서 눌러짐에 따라 상기 택트스위치(1370)를 누르고 눌러진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1800)은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버튼홀(1470)을 통해 조작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1810)와, 상기 누름부(18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설치부(182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버튼홀(1470) 양측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하부면에는 후크(1477)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작동버튼(1800)은 상기 설치부(1820)의 저면 테두리 부위가 상기 후크(1477:도 15 참조)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4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1820)의 중앙에는 상기 작동버튼(1800)이 눌러졌을 때 택트스위치(1370)와 접촉되는 접촉돌기(18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1820)의 외곽쪽에는 상기 작동버튼(1800)이 복원력을 갖도록 복수개의 절개슬롯으로 이루어진 탄성리브(18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1820)의 테두리 저면에는 상기 작동버튼(1800) 설치시 상기 택트스위치(1370)의 주변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에 실장된 전자부품(1290:도 15 참조)과 간섭이 방지되도록 간섭회피홈(1823)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작동버튼(1800)은 양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이므로, 상기 간섭회피홈(1823)을 상기 설치부(1820)의 태두리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작동버튼(1800)의 오조립으로 인하여 작동버튼(1800)이 반대로 설치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전자부품(1290)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버튼홀(1470) 테두리에는 하부로 돌출된 단차부(1473:도 14 참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1800)의 설치부(1820)에는 상기 단차부(1473)와 반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작동버튼(1800)이 조립될 시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역단차부(1824:도 5 참조)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역단차부(1824)의 돌출 길이를 상기 단차부(1473)의 돌출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하부면에 상기 역단차부(1824)가 밀착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작동버튼(1800)이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버튼홀(1470)에 조립될 시, 상기 작동버튼(1800)의 역단차부(1824)는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단차부(1473)를 둘러싸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버튼홀(1470)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스며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격 모니터 장치(10)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를 사용자가 주로 많은 시간을 거주하는 거실의 벽 등에 상기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1100)의 노출면인 하부면의 중앙측에 대략 장방형으로 돌출 형성된 장착부(1190)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가 거치될 벽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부(1190)가 결합되는 행거(hanger:19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190)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돌기(1191)가 형성되고, 상기 행거(190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191)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내측에 가이드홈(1911)이 형성된 안착부(1910)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는 상기 행거(1900)를 벽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장착부(119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191)를 상기 행거(1900)의 안착부(1910)에 형성된 가이드홈(191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설치된다.
이 때, 미관상 사용자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행거(1900)가 보이지 않도록 행거(1900)의 크기를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크기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노출면인 상부면에는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시 상기 체결보스(1420)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홈(14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축방지홈(1401)은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상부면 중 상기 체결보스(1420)가 위치되는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보스(142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1400)는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시 상기 체결보스(1420)에 작용하는 수축 변형력을 상기 수축방지홈(1401)으로 상당히 분산시킬 수 있어 상기 체결보스(1420)가 수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비노출면인 상부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시, 상기 하부케이스(1100)에 형성된 형합후크(1133)와 간섭없이 금형이 제거되도록 슬라이드부(11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부(1101)는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상부면 외곽부로부터 상기 형합후크(1133)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테두리까지 편평하게 형성된 면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101)는 상기 형합후크(1133)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100)에 슬라이드부(110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사출 금형은 상기 슬라이드부(1101)를 통해 하부케이스(1100)의 중앙측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형합후크(1133)와 간섭없이 상측으로 원활하게 빠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에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가전기기의 진행상태를 원격지에서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소리로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가전기기의 각 진행상태마다 지정된 고유한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면,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소리를 듣고 소리만으로도 진행상태 및 에러상태 등을 알 수 있으며 적절하게 가전기기의 유지보수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8b를 참조하여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에 형성된 암단자핀(1210)에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에 형성된 수단자핀(1310)을 결합하여,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의 상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을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의 상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실장시킴으로써,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 및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이로 구성된 원격 모니터 장치(10)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에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이 결합된 제어기판을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가이드리브(1170)에 안착시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리브(117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복수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기판을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내측 공간에 소정 높이로 설치함과 동시에 제어기판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버튼홀(1470)에는 상기 작동버튼(1800)이 설치되는데 이 때, 상기 작동버튼(1800)은 상기 상부케이스(1400)에 형성된 후크(1477)에 의하여 상기 버튼홀(147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버튼홀(1470)에는 단차부(1473)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1800)에는 상기 단차부(1473)를 둘러싸면서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역단차부(18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버튼홀(1470)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1800)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100)에 구비된 제어기판의 각종 전자부품(1290)들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회피홈(18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1400)가 하부케이스(1100)에 결합될 시, 상기 하부케이스(1100)에 구비된 제어기판의 각종 전자부품(1290)들과 상기 작동버튼(1800)과의 조립 간섭없이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상부면에는 상기 투시용 시트(1600) 및 보호용 시트(1700)가 구비되는데 이 때, 상기 투시용 시트(1600)와 보호용 시트(1700)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상기 보호용 시트(1700)의 가공과정에서 잔존하는 버(1702:도 8 참조)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140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호용 시트(1700)가 들뜨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버튼(1800)과 투시용 시트(1600) 및 보호용 시트 (1700)가 구비된 상부케이스는(1400)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형합돌기(1130:도 16 참조)가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형합홈(1430:도 16 참조)에 결합됨에 따라 하부케이스(11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형합돌기(1130) 내측면에 형성된 형합후크(1131)가 상기 형합홈(1430)에 형성된 후크홀(1431)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400)와 하부케이스(1100)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형합홈(1430)에는 상기 형합돌기(1130)의 끝단 모서리부가 압착되는 실링부(1430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시 서로 맞닿은 테두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에 구비된 엘씨디 세그먼트(1320:도 14 참조)의 상면은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노출창(1410)에 대응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노출창(1410)을 통해 노출된 상기 엘씨디 세그먼트(1320)의 상면은 상기 노출창(14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400)에 구비된 투시용 시트(1600)를 통해 외부에서 투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400)에는 상기 버튼홀(1470)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버튼(1800)은 상기 버튼홀(147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100)와 상부케이스(1400)는 상기 와 같이 상호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케이스(1400)의 체결보스(1420)가 상기 하부케이스(1100)의 체결공(1120)에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나사(S)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각 케이스(1100,400) 사이의 조립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케이스(100,400)의 조립이 동시에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과 디스플레이용 모뎀기판(1300)은 각각 상기 상·하부케이스(1400,1100)에 형성된 상·하부지지보스(1181)에 의하여 상기 상·하부케이스(1400,1100)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은 상기 상부케이스(1400)에 형성된 상부지지보스(148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은 상기 하부케이스(1100)에 형성된 하부지지보스(1181)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00)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1200)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을 지지하는 지지핀(1182)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에 구비된 스위치(1370)가 작동버튼(1800)의 조작에 의하여 눌러질 경우, 상기 지지핀(1182)의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1300)이 기울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조립된 원격 모니터 장치(1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행거(1900)를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의 장착부(119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191)를 상기 행거(1900)의 안착부(1910)에 형성된 가이드홈(1911)에 상하방향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는 상기 행거(1900)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에 고정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행거(1900)의 크기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의 전체적인 외관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면에서 원격 모니터 장치(10)를 바라볼 때 행거(900)가 보이지 않으며 또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의 상부케이스(1400) 상측 테두리 부위는 긁힘,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버 크롬 도금이 되어 있어 미관이 수려하다.
한편,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통신모뎀용 기판(100,1200)을 원격 모니터 장치(1,10) 내에 구비하는 대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10)와 별도로 가전기기의 모뎀과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외장형 모뎀을 구비하여, 상술한 본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10)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용 기판(300,1300)을 상기 외장형 모뎀과 통신용 케이블로 연결하여 상호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한 다음, 상기 외장형 모뎀으로는 상기 가전기기의 모뎀과 데이터를 주고 받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300,1300)으로는 상기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 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적절한 시기에 조치할 수 있어, 가전기기의 유지 보수 등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가전기기에 쓰이는 세탁물, 조리물 등 물건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와 소정의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외부로 표시함은 물론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되,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노출창을 갖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노출창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창을 갖는 외면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내장되며,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된 제어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가전기기와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뎀용 기판과,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의 상부에 실장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핀이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보스와 상기 하부지지보스는, 그 끝단부가 각각 편평한 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제어기판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판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면 외곽부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와 소정의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외부로 표시함은 물론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되,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노출창을 갖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내장되며,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된 제어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가전기기와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뎀용 기판과,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의 상부에 실장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통신모뎀용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핀이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의 끝단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의 통신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각 진행상태에 대응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20040091353A 2004-11-10 2004-11-10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0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353A KR101108050B1 (ko) 2004-11-10 2004-11-10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353A KR101108050B1 (ko) 2004-11-10 2004-11-10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622A KR20060042622A (ko) 2006-05-15
KR101108050B1 true KR101108050B1 (ko) 2012-01-25

Family

ID=3714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353A KR101108050B1 (ko) 2004-11-10 2004-11-10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0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7790A (en) * 1987-09-09 1989-03-14 Toshiba Corp Cassette door mechanism
JP2000261160A (ja) * 1999-03-12 2000-09-22 Harness Syst Tech Res Ltd 分岐接続箱
KR20020026910A (ko) * 2002-03-05 2002-04-12 김사욱 통합원격제어기에 의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30012077A (ko) * 2001-07-30 200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7790A (en) * 1987-09-09 1989-03-14 Toshiba Corp Cassette door mechanism
JP2000261160A (ja) * 1999-03-12 2000-09-22 Harness Syst Tech Res Ltd 分岐接続箱
KR20030012077A (ko) * 2001-07-30 200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기
KR20020026910A (ko) * 2002-03-05 2002-04-12 김사욱 통합원격제어기에 의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622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6875B2 (ja) 家電機器の遠隔モニタ装置
WO2020168712A1 (zh) 一种显示组件、显示结构及电器
KR101100169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049130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08050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00173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00174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00170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00172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079089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00171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08951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00177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CN211722733U (zh) 烹饪器具
KR101258479B1 (ko) 세탁 장치
CN218096817U (zh) 控制面板组件及电器设备
KR100863311B1 (ko)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KR200170575Y1 (ko) 분리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데코물의 결합구조
KR101265589B1 (ko) 세탁장치의 버튼 설치 구조
KR101306692B1 (ko) 세탁 장치
KR20040011970A (ko) 세탁기의 컨트롤패널
KR19990006036U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스위치 동작장치
KR20000001900U (ko) 모니터의 택트 버튼 조립구조
KR20000015710A (ko) 전자제품용 파워버튼장치
JPH0396080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