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352B1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352B1
KR101107352B1 KR1020100009133A KR20100009133A KR101107352B1 KR 101107352 B1 KR101107352 B1 KR 101107352B1 KR 1020100009133 A KR1020100009133 A KR 1020100009133A KR 20100009133 A KR20100009133 A KR 20100009133A KR 101107352 B1 KR101107352 B1 KR 101107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mobile communication
mous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640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0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3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소정의 단말기에 접속한 후, 영상 인식 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작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1 이미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종료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2 이미지를 인식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거리를 연산하며, 상기 연산된 이동 거리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 포인트를 상기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MOBILE COMUN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MOBILE COMUN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오늘날에는 통신 기술 및 이동 통신 단말기 제작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 기능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대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 이동 통신 단말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등의 영상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한 지점 또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기연결된 다른 단말기의 마우스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단말기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접속부, 영상 인식 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작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1 이미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종료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2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동 감지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이동 거리를 상기 단말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소정의 단말기에 접속하는 단계, 영상 인식 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작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1 이미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종료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2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이동 거리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등의 영상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한 지점 또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기연결된 다른 단말기의 마우스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의 마우스로 활용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마우스의 포인트를 이동시키는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마우스의 포인트를 이동시키는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의 마우스로 활용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다른 단말기(120)에 접속시킨 후,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 하여 단말기의 마우스를 대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노트북 등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노트북의 스크린 마우스나 별도의 외부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필요 없이, 항상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노트북에 연결한 후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 하여 마우스 대신 사용함으로써, 손쉽게 마우스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PC, 노트북, 모바일 기기 등의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에 접속 가능하며, 특정 단말기에 제한적으로 사용하지 아니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크게 단말기 접속부(210), 이동 감지부(220), 연산부(230) 및 제어부(240)로 구성된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정의 단말기의 마우스로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기 접속부(210)를 통하여 단말기에 접속한다(310).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부(21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 연결된 단말기 간의 정보 연결 수단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접속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단말기와 접속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SB 케이블을 직접 상기 단말기와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와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에 접속함에 따라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으며, 마우스의 기능 역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감지부(220)는 영상 인식 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작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인식하고(320),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종료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2 이미지를 인식한다(330).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인식 모듈로써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영상 인식 모듈을 통하여 수집되는 이미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이동 시작 지점 및 이동 종료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감지부(220)는 상기 제1 이미지의 깊이(depth) 정보 및 제2 이미지의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상기 이동 시작 지점 및 상기 이동 종료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인식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이미지의 명암, 조도, 밝기 등의 깊이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하기 시작한 지점이 어디인지 인식 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함에 따라 달라지는 깊이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단말기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하였는지 여부도 분석 및 인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감지부(220)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이미지 노출도 또는 이미지 초점을 기반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상기 이동 시작 지점 및 상기 이동 종료 지점을 인식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인식 모듈에 의하여 이미지가 인식되는 과정에서 이미지의 노출도 또는 이미지의 초점이 변화하는 정도를 분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정도 및 방향을 인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연산부(230)는 이동 감지부(220)에 의하여 인식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이동 거리를 연산한다(340).
이때,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비교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상기 연산된 이동 거리를 단말기 접속부(210)를 통하여 접속된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350).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상기 이동 거리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36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마우스의 포인트를 이동시키는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마우스의 포인트를 이동시키는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쥔 상태에서 카메라가 이미지를 인식 할 수 있도록 공중 또는 바닥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움직임에 따라 접속된 단말기의 마우스 포인트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쥐고 공중을 향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속된 단말기의 마우스 포인트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바닥면에 향하게 한 상태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속된 단말기의 마우스 포인트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하나 이상의 마우스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마우스 제어부(250)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우스 제어부(250)는 마우스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우스 버튼 클릭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마우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의 버튼이 클릭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우스 제어부(250)는 마우스 휠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우스 휠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마우스 휠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의 휠이 조작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이동 통신 단말기
210: 단말기 접속부
220: 이동 감지부
230: 연산부
240: 제어부
250: 마우스 제어부

Claims (19)

  1.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단말기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접속부;
    영상 인식 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작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1 이미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종료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2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동 감지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이동 거리를 상기 단말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감지부는,
    상기 제1 이미지의 깊이(depth) 정보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이동 시작 지점 및 상기 이동 종료 지점을 인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이미지 노출도 또는 이미지 초점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이동 시작 지점 및 상기 이동 종료 지점을 인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거리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모듈은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접속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와 접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접속부는,
    USB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와 접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접속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와 접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나 이상의 마우스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마우스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제어부는,
    마우스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우스 버튼 클릭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마우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의 버튼이 클릭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제어부는,
    마우스 휠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우스 휠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마우스 휠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의 휠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단말기에 접속하는 단계;
    영상 인식 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작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1 이미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종료 지점에 대한 이미지인 제2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이동 거리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의 깊이(depth) 정보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이동 시작 지점 및 상기 이동 종료 지점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이미지 노출도 또는 이미지 초점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이동 시작 지점 및 상기 이동 종료 지점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거리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모듈은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나 이상의 마우스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마우스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우스 버튼 클릭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우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의 버튼이 클릭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마우스 휠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우스 휠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우스 휠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마우스의 휠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00009133A 2010-02-01 2010-02-01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1107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133A KR101107352B1 (ko) 2010-02-01 2010-02-01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133A KR101107352B1 (ko) 2010-02-01 2010-02-01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640A KR20110089640A (ko) 2011-08-09
KR101107352B1 true KR101107352B1 (ko) 2012-01-19

Family

ID=4492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133A KR101107352B1 (ko) 2010-02-01 2010-02-01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3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42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마우스기능의 구현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70044354A (ko) * 2005-10-24 2007-04-27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휴대 단말기 장치, 마우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휴대단말기 장치를 무선 마우스 장치로서 사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42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마우스기능의 구현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70044354A (ko) * 2005-10-24 2007-04-27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휴대 단말기 장치, 마우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휴대단말기 장치를 무선 마우스 장치로서 사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640A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418B1 (ko)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US9733713B2 (en) Laser beam based gesture control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KR102165818B1 (ko) 입력 영상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90105858A (ko)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19155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207779B2 (en) Method of recognizing contactless user interface motion and system there-of
EP2708982B1 (en) Method for guiding the user of a controller of a multimedia apparatus to move within recognizable range of the multimedia apparatus, the multimedia apparatus, and target tracking apparatus thereof
KR101631011B1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제스처 인식 장치의 제어 방법
US11372538B2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WO2021052008A1 (zh) 一种投屏方法及系统
KR101450586B1 (ko) 동작 인식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4580697B (zh) 在便携式终端控制电子设备的音量的设备和方法
CN104035764A (zh) 对象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04090657A (zh) 控制翻页的方法及装置
KR10110735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CN102722239A (zh) 移动设备的非接触式控制方法
KR20060125375A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스타일러스 펜과 그의 마우스 기능구현방법
KR102360628B1 (ko)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5094633A (zh) 传输控制指令的方法及装置
KR102158096B1 (ko) 인식 대상으로부터 3차원 거리 정보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W201419051A (zh) 電腦遙控系統及方法
US20140062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distance information from recognition target
TW201621651A (zh) 滑鼠模擬系統及方法
KR102289497B1 (ko) 입력 영상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010782B1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인식 범위로 컨트롤러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이를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타겟 추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