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822B1 -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 - Google Patents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822B1
KR101106822B1 KR1020100038041A KR20100038041A KR101106822B1 KR 101106822 B1 KR101106822 B1 KR 101106822B1 KR 1020100038041 A KR1020100038041 A KR 1020100038041A KR 20100038041 A KR20100038041 A KR 20100038041A KR 101106822 B1 KR101106822 B1 KR 101106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ower line
fitting
protruding piece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572A (ko
Inventor
송홍준
Original Assignee
송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홍준 filed Critical 송홍준
Priority to KR102010003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82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는 현수애자(4)의 심봉(4a)을 끼워서 고정시키기 위한 관체(12)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12)의 반대 방향으로는 "⊂" 형태의 돌출편(1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11)의 끝 부분에는 후술하는 체결 핀(30)이 통과되는 구멍(14)이 형성되고, 돌출편(11)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전력선(100a)을 끼워서 물릴 수 있는 전력선 끼움 홈(13)이 원호형태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금구(10)와;
상기 제1 금구(10)의 돌출편(11) 안쪽으로 끼워진 채 체결 핀(30)에 의해 돌출편(11)에 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22)이 관통되고, 끝 부분에는 상기 제1 금구(10)의 전력선 끼움 홈(13)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경사가 지는 전력선 끼움 홈(21)이 형성되어 전력선의 하중이 작용할수록 쐐기식으로 전력선을 고정시키는 제2 금구(20)와;
제1 금구(10)의 돌출편(11) 사이에 제2 금구(20)를 끼워서 조립시키기 위한 체결 핀(30) 그리고 상기 체결 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분할 핀(31)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100038041
데드 앤드 클램프

Description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Wedge Type Electric Cable Clamp}
도1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하여 제2 금구가 제1 금구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5는 도3에서 제2 금구 들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한 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금구 들림방지수단에서 끼움 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8과 도9는 본 발명의 도4에서 "a"부와 "b"를 확대하여 나타낸 참고도.
도10은 종래의 데드 앤드 클램프의 적용 기술을 나타낸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적용 기술을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은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에 관한 것이 다.
종래의 기술을 통하여 전력선(100)을 전신주(1)의 경완금(2)에 보유지지하기 위해서는, 도10과 같이 경완금(2)에 연결된 연결 브라키트(3)에 현수애자(4)가 고정되고 상기 현수애자(4)에는 전력선 고정용 금구(5)가 연결이 되는데, 이들은 도10과 같이 대칭형으로 구비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선 고정용 금구(5)에는 전력선(100)이 U-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전력선 고정용 금구(5)에 고정된 전력선(100)의 끝 부분은 피복을 제거시키고 점프선(101)을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점프선(6)은 도10과 같이 전신주(1) 좌우의 전력선(100)을 도통시키게 된다. 즉, 도10과 같이 전신주(1) 좌우에 위치하는 전력선(100)은 직접 연결방식이 아니고 점프선(101)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이 된다.
한편, 상기 점프선(6)은 경완금(2) 상에 고정된 점프선 지지애자(8)에 얹힌 채 철사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이 되는데, 이는 공지의 수단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는 표현하지 않았다. 그리고 상기 전력선 고정용 금구(5)와 결속구(6)는 절연커버(7)에 의해 엄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력선(100)을 경완금(2)에 보유지지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구성품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는 부품의 숫자가 많아서 작업성이 불량하고 작업효율이 저조해지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수반될 뿐만 아니라 많은 부품은 원자재 가격 및 작업단가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고 특히, 금속으로 제작된 전력선 고정용 금구(5)는 중량이 무거워서 현수애자(4) 및 연결 브라키트(3)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선(100)의 끝 부분의 피복을 제거하고 점프선(101)을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까다로움은 물론 점프선(101)과 전력선(100)의 연결 부위를 통해 누설전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고, 현수애자(4) 또는 점프선(101), 절연커버(7) 상에 까치가 둥지를 틀 경우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커서 정기적으로 까치집을 제거시켜야 하는 불합리한 작업이 가해져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선 고정용 금구(5)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불량한 단점과 함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전력선(100) 또한 바람의 영향을 받아서 지속적으로 흔들리고 출렁거리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전력선(100)을 고정시키고 있는 U-볼트와 너트가 이완될 가능성이 커서 전력선 고정용 금구(5)로부터 전력선(100)이 빠져나오게 되는 폐단이 있으므로 이를 자주 점검을 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선(100)의 피복을 벗기고 점프선(101)을 연결시키는 방식을 탈피하여 본 발명의 도11과 같이 전력선(100a) 자체가 전신주(1)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전력선 고정용 금구도 안출된 바가 있는데, 이는 점프선(101) 및 결속구(6), 절연커버(7)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은 있지만 역시 전력선(100a)을 U-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전력선 고정용 금구로부터 전력선(100a)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문제는 해결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데드 앤드 클램프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었던 상술 한 문제와 단점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의 전력선 고정용 금구(5)와 절연커버(7), 결속구(6), 점프선(101)을 사용하지 않고, 특히 전력선이 미끄러져 이탈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데드 앤드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일측으로는 현수애자(4)의 심봉(4a)을 끼워서 고정시키기 위한 관체(12)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12)의 반대 방향으로는 "⊂" 형태의 돌출편(1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11)의 끝 부분에는 후술하는 체결 핀(30)이 통과되는 구멍(14)이 형성되고, 돌출편(11)의 안쪽에는 표면에 쐐기식 너얼링(70)이 형성된 전력선 끼움 홈(13)이 원호형태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금구(10)와;
상기 제1 금구(10)의 돌출편(11) 안쪽으로 끼워진 채 체결 핀(30)에 의해 돌출편(11)에 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22)이 관통되고, 끝 부분에는 상기 제1 금구(10)의 전력선 끼움 홈(13)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경사가 지며, 표면에 쐐기식 너얼링(80)이 형성된 전력선 끼움 홈(21)을 가지는 제2 금구(20)와;
제1 금구(10)의 돌출편(11) 사이에 제2 금구(20)를 끼워서 조립시키기 위한 체결 핀(30) 그리고 상기 체결 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분할 핀(31)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핀 구멍(52)이 관통된 좌우 대칭형의 수직판(51)을 가진 채 "
Figure 112011502222100-pat00014
" 형태를 띠는 끼움 금구(50)와, 상기 끼움 금구(50)를 제1 금구(10)에 조립된 돌출편(11)의 위에서 아래로 끼웠을 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 핀(53)으로 된, 제2 금구(20) 들림방지수단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2는 도1을 정면에서 바라 본 정면도인 바,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로 보관 및 이동이 된다.
다음 본 발명을 도11과 같이 사용코자 할 경우, 먼저 분할 핀(31)을 체결 핀(3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도4와 같이 제2 금구(20)를 제1 금구(10)의 돌출편(11)으로부터 분리를 시킨다. 물론 본 발명의 제1 금구(10)는 도면과 같이 현수애자(4)의 심봉(4a)이 관체(12)에 견고하게 박힌 채 공지의 유압 그리퍼(Gripper)를 통해 압착이 되기 때문에 현수애자(4)와 한 몸을 이루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현수애자(4)는 종래와 같이 전신주(1)에 고정된 경완금(2)과 연결 브라키트(3)를 통해 고정이 된다.
다음, 도4의 상태에서 전력선(100a)을 당겨 돌출편(11) 사이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제1 금구(10)의 전력선 끼움 홈(13)에 안착시키고 이어서 제2 금구(20)를 제1 금구(10)와 조립을 시키게 되는데, 이때 체결 핀(30)을 돌출편(11)의 구멍(14)과 제2 금구(20)의 구멍(22)을 관통시키고 분할 핀(31)을 조립하게 된다.
한편, 전력선(100a)을 당겨주는 장치는 이미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위와 같이 전력선(100a)이 제1 금구(10)의 돌출편(11)과 제2 금구(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전력선(100a)을 적절한 강도로 팽팽히 당겨서 제1 금구(10)의 전력선 끼움 홈(13)에 안착이 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제2 금구(20)를 하방으로 강하게 눌러주면 도3과 같이 쐐기식으로 끼이게 된다.
이때 전력선(100a)은 매우 무거운 자체 하중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 금구(10)를 기준하여 하방으로 당김력을 작용하게 되지만 전력선(100a)의 당김력이 작용함에 따라 제2 금구(20)가 쐐기식으로 같이 당겨져 내려가려고 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결국 전력선(100a)은 본 발명의 제1 금구(10)와 제2 금구(20)에 의해 끼워져 물린 채로 고정이 되는 것인데, 여기서 제1 금구(10)의 전력선 끼움 홈(13)과 제2 금구(20)의 전력선 끼움 홈(2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쐐기식 너얼링(70)(80)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력선(100a)이 하방으로 처지는 중량이 가해져도 전력선(100a)이 제1 금구(10)와 제2 금구(20)에서 미끄러져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전력선(100a)은 수 십 미터 내지 수 백 미터의 길이로 설치되고 그 하중도 매우 무거운데, 전력선(100a)의 하중은 2개의 전신주 사이에 설치된 길이의 중앙부분에서 가장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전력선(100a)의 하중은 수평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도3을 기준하여 볼 때 전력선(100a)의 자체 하중에 의한 당김력은 체결 핀(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력선(100a)의 당김력은 결국 본 발명의 제 2 금구(20)를 더욱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작용을 하여 전력선(100a)은 제1 금구(10)와 제2 금구(20)의 전력선 끼움 홈(13)(21) 안에 끼이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쐐기식 너얼링(70)(80)의 논-슬립 작용에 의하여 전력선(100a)은 더욱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11과 같은 상태로서 본 발명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만일의 경우 전력선(100a)이 태풍 등의 요인에 의해 심하게 요동칠 경우 제2 금구(20)가 위쪽 방향으로 들려서 전력선(100a)이 본 발명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릴 가능성도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도5와 같이 제2 금구(20) 들림방지수단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2 금구(20) 들림방지수단은, 도7과 같이 핀 구멍(52)을 가지는 수직판(51)이 대칭형으로 형성된 끼움 금구(50)와 고정 핀(53)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3과 같이 전력선(100a)을 본 발명에 끼워서 물린 다음 도5와 같이 끼움 금구(50)를 제1 금구(10)에 끼우게 된다. 여기서 끼움 금구(50)의 수직판(51)은 제1 금구(10)의 돌출편(11)의 외부로 끼워진다. 다음, 고정 핀(53)을 끼우면 도5와 같이 끼움 금구(50)는 돌출편(11)의 위쪽에서 고정이 되기 때문에 전력선(100a)이 심하게 요동을 쳐도 제2 금구(20)는 위로 들리지가 않기 때문에 결국 전력선(100a)은 본 발명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리거나 이탈되는 현상이 없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금구(10)는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제2 금구(20)는 강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비철금속 등으로 제작하여도 큰 문제는 없음이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도6과 같이 2개의 제2 금구(20a)를 조립할 수 있는 돌출편 구조를 가지는 또 다른 제1 금구(10a)로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데, 이때 체결 핀(30a)의 길이는 당연히 연장될 것이며 분할 핀(31a)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6과 같은 응용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며 필요에 의한 단순 설계변화 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3개의 제2 금구를 사용하는 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분할 핀은 너트로 대체될 수는 있겠으나 너트는 진동이나 충격을 받으면 풀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크게 바람직하지는 않다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력선의 끝 부분의 피복을 벗기고 점프선을 연결하는 방식에서 비롯된 문제와 단점을 해결함은 물론 전력선의 끝 부분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전신주를 바로 지나가도록 하는 데드 앤드 클램프에서 전력선이 미끄러져 이탈하는 문제까지 모두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장 컴팩트(Compact) 하고 가벼운 특징으로 인하여 현수애자 및 연결 브라키트 등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가볍고 가장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작업성 및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작업시간도 대폭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잦은 점검 및 보수작업이 거의 불필요하게 되고 미관상으로도 크게 향상된 다수의 또 다른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측으로는 현수애자(4)의 심봉(4a)을 끼워서 고정시키기 위한 관체(12)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12)의 반대 방향으로는 "⊂" 형태의 돌출편(1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11)의 끝 부분에는 후술하는 체결 핀(30)이 통과되는 구멍(14)이 형성되고, 돌출편(11)의 안쪽에는 표면에 쐐기식 너얼링(70)이 형성된 전력선 끼움 홈(13)이 원호형태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금구(10)와;
    상기 제1 금구(10)의 돌출편(11) 안쪽으로 끼워진 채 체결 핀(30)에 의해 돌출편(11)에 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22)이 관통되고, 끝 부분에는 상기 제1 금구(10)의 전력선 끼움 홈(13)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경사가 지며, 표면에 쐐기식 너얼링(80)이 형성된 전력선 끼움 홈(21)을 가지는 제2 금구(20)와;
    제1 금구(10)의 돌출편(11) 사이에 제2 금구(20)를 끼워서 조립시키기 위한 체결 핀(30) 그리고 상기 체결 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분할 핀(31)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핀 구멍(52)이 관통된 좌우 대칭형의 수직판(51)을 가진 채 "
    Figure 112011502222100-pat00015
    " 형태를 띠는 끼움 금구(50)와, 상기 끼움 금구(50)를 제1 금구(10)에 조립된 돌출편(11)의 위에서 아래로 끼웠을 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 핀(53)으로 된, 제2 금구(20) 들림방지수단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
KR1020100038041A 2010-04-21 2010-04-21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 KR101106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41A KR101106822B1 (ko) 2010-04-21 2010-04-21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41A KR101106822B1 (ko) 2010-04-21 2010-04-21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72A KR20110117572A (ko) 2011-10-27
KR101106822B1 true KR101106822B1 (ko) 2012-01-19

Family

ID=4503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041A KR101106822B1 (ko) 2010-04-21 2010-04-21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573B1 (ko) * 2014-06-24 2016-06-21 박철웅 전력선고정용 절연클램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646Y1 (ko) * 1986-02-06 1989-03-11 이병균 데드 엔드 클램프
KR200259348Y1 (ko) 2001-10-09 2002-01-09 한국전력공사 데드 엔드 클램프 카바
KR20020059348A (ko) * 1999-07-30 2002-07-12 유진 알지스키 상호변조 효과 소거 회로
KR20030075092A (ko) * 2002-03-15 2003-09-22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식물병 방제활성을 갖는 항진균 물질을 생성하는패니바실러스 에스디 17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물농약조성물
KR200375092Y1 (ko) 2004-11-09 2005-02-05 황인영 배전선로용 점프선 클램프
KR100954958B1 (ko) 2007-05-04 2010-04-23 송홍준 특 고압 전력선 보유지지용 데드 엔드 홀더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646Y1 (ko) * 1986-02-06 1989-03-11 이병균 데드 엔드 클램프
KR20020059348A (ko) * 1999-07-30 2002-07-12 유진 알지스키 상호변조 효과 소거 회로
KR200259348Y1 (ko) 2001-10-09 2002-01-09 한국전력공사 데드 엔드 클램프 카바
KR20030075092A (ko) * 2002-03-15 2003-09-22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식물병 방제활성을 갖는 항진균 물질을 생성하는패니바실러스 에스디 17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물농약조성물
KR200375092Y1 (ko) 2004-11-09 2005-02-05 황인영 배전선로용 점프선 클램프
KR100954958B1 (ko) 2007-05-04 2010-04-23 송홍준 특 고압 전력선 보유지지용 데드 엔드 홀더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72A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81826Y (zh) 10kv架空导线绝缘支撑固定器
CN201263063Y (zh) 更换直线单联双串悬垂绝缘子的工具
CN201323409Y (zh) 带电更换高压输电线路v型绝缘子串的工具
CN105914646A (zh) 带电更换35kV耐张绝缘子串作业方法
KR101106822B1 (ko) 쐐기식 끼워 물림 구조를 가지는 데드 앤드 클램프
CN106401196A (zh) 一种预应力锚具用钢绞线张拉装置
CN103532042B (zh) 一种配电网用的便携式简易跨越架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CN207518244U (zh) 一种220kV双回架空线路电缆开断杆
CN205857791U (zh) 电线杆加高装置
CN209823368U (zh) 一种电缆安装用固定装置
CN203553851U (zh) 一种绝缘耐张线夹
CN201584701U (zh) 一种带电更换220kV线路“V”串绝缘子的工具
CN205544113U (zh) 一种输电杆塔用横担
CN204304320U (zh) 一种导线单串绝缘子更换提升装置
CN106285029A (zh) 电线杆加高装置及方法
CN209948624U (zh) 耐张线夹
CN205407193U (zh) 一种用于固定两芯集束电缆的耐张线夹
CN205407194U (zh) 一种输变电用线夹
KR101268252B1 (ko) 가공케이블 트레이
CN212908846U (zh) 一种电缆固定夹
CN203690801U (zh) 更换横担端直线串绝缘子的分体式卡具
CN212518318U (zh) 一种耐张线夹
CN212908802U (zh) 一种辅助敷设装置
CN215212653U (zh) 一种预绞式拉线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