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602B1 - Spring module for slide type terminal - Google Patents

Spring module for slide typ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602B1
KR101106602B1 KR1020090067700A KR20090067700A KR101106602B1 KR 101106602 B1 KR101106602 B1 KR 101106602B1 KR 1020090067700 A KR1020090067700 A KR 1020090067700A KR 20090067700 A KR20090067700 A KR 20090067700A KR 101106602 B1 KR101106602 B1 KR 10110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pring
piece
elastic ac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19705A (en
Inventor
이신우
Original Assignee
이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우 filed Critical 이신우
Publication of KR20100119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7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6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구조의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메인바디에서 길이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결합된 슬라이드편(10)과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된 고정편(20)에는 스프링 모듈이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모듈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으로 인출되어 오픈되거나 상기 메인바디로 다시 수납되어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20)에 힌지부(31)를 매개로 결합된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드편(10)에 힌지부(41)를 매개로 결합된 슬라이딩 힌지편(40)과, 상기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딩 힌지편(40)에 양단부가 연결된 스프링(50)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드편(10)에 각각 끝단이 연결되며 좌우 너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탄성작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를 갖는 'S'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의 곡률 반경(R)은 상기 제1 탄성작용부(52)의 제1만곡부(56)의 곡률 반경(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에 대해 상대 슬라이드작동시 스프링의 곡선형 만곡부들이 상대적으로 탄성적으로 압착변형되므로, 협소한 공간에도 슬라이드 메인바디에 대해 원활하게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하며, 국부적인 과도한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ing module of the slide-type terminal of the improved structu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body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the slide piece 10 and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slide body A spr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ece 20 coupled to the body, and the slide body is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operation of the spring module and opened or stored back into the main body to maintain a closed state. In the slide type terminal, the fixed hinge piece 30 coupled to the fixing piece 20 via the hinge portion 31, and the sliding hinge coupled to the slide piece 10 via the hinge portion 41. A piece 40 and a spring 5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ing hinge piece 40, the spring 50 is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ab Each end is connected to the de piece 10 and has an 'S' shape having a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and a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respectively.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54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5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large configuration, because the curved curved portion of the spring is relatively elastically compressive deformation when the slide body of the slide-type terminal relative to the main body, smoothly slides against the slide main body even in a narrow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cal excessiv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슬라이드식, 단말기, 스프링 모듈, 만곡부, 곡률반경, 벤딩부 Slide type, Terminal, Spring module, Curved part, Curvature radius, Bending part

Description

슬라이드형 단말기 스프링 모듈{Spring module for slide type terminal}Spring terminal module for slide type {Spring module for slide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인출 개폐 동작을 콤팩트한 구조의 스프링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스프링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개선한 구조의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ing module of a slide type terminal, and in particular, the slide type of the improved structur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pring itself while smoothly made by the spring of the compact structure withdrawal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e type terminal It relates to a spring module of the terminal.

최근의 휴대폰은 한 손으로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시켜 개방하는 형태의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는 다이얼 키패드가 마련된 메인바디와, 이 메인바디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액정화면이 구비된 슬라이드 바디와, 이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바디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하는 슬라이드 유닛으로 대별된다.Recently, a mobile phone has a mainstream slide type terminal which slides a slide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with one hand. Such a slide type terminal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main body provided with a dial keypad, a slide body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slide body provided with an LCD screen, and a slide unit coupling the slide body to the main body by a slide method. .

또한,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슬라이드 바디 가 열린 상태란 메인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인출된 상태를 의미하고, 슬라이드 바디가 닫힌 상태란 메인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다시 슬라이드 바디가 접혀진 상태를 의미한다.In addition, various types of spring modules are employed to maintain the open and closed states of the slide body of the slide type terminal. The open state of the slide body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lide body is drawn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closed state of the slide body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lide body is folded ba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이러한 구조의 스프링 모듈의 작동 원리를 약술하면,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의 일측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두 개의 레버가 코일 스프링의 힘에 의해 스프링 하우징의 양단부로 돌출되어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의 일측으로 밀려나와 열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바디를 다시 메인바디 안쪽으로 밀어 넣는 순간에는 두 개의 레버가 스프링 하우징의 양단부에서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스프링이 압축되어 있다가 변곡점을 넘어서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메인바디 안쪽으로 다시 수납된 상태에서는 다시 코일 스프링의 힘에 의해 두 개의 레버가 펼쳐지면서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 안쪽으로 다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슬라이드 바디가 접혀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바디에서 인출하여 열어주는 순간에도 두 개의 레버가 스프링 하우징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감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어 있다가 변곡점을 넘어가면 두 개의 레버가 펼쳐지면서 코일 스프링의 힘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 안쪽으로 다시 인출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pring module of this structure is outlined, when the slide body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wo levers protrude to both ends of the spring housing by the force of the coil spring, and the slide body is push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It can remain open, and at the moment when the slide body is pushed back into the main body, the two levers are pushed inward from both ends of the spring housing, the spring is compressed, and beyond the inflection point the slide body is completely back into the main body. In the housed state, the two levers are unfolded again by the force of the coil spring, so that the slide body can be folded back into the main body. Of course, even when the slide body is pulled out of the main body and opened when the slide body is folded, the two levers are pushed into the spring housing and the coil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two levers are opened when the inflection point is crossed. The force of the coil spring allows the slide body to be pulled out back into the main body to remain open.

또한, 종래 기술로서 2008.09.19.자로 공개된 공개특허 10-2008-0084444호에는 두개의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여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에서 슬라이드 인출되거나 슬라이드 수납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8-0084444, published on September 19, 2008 as a prior art,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lide body is pulled out or slide-in from a main body using two torsion springs.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두 개의 스프링을 사용하고 토션스프링을 사용함에 따라 메인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연결구조로 인하여 슬라이드 구조에 의한 점유되는 공간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 pat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slide structure is increased du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lide body by using two springs and a torsion spring.

한편, 단말기의 스프링은 적어도 10만회 이상의 작동에 대한 내구성이 요망되지만,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스프링의 만곡부의 반경이 지나치게 작게 되면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탄성력을 잃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만곡되는 부분들이 서로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도 스프링의 변형으로 인한 슬라이드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pring of the terminal is expected to be durable for at least 100,000 times of operation, but if the radius of the bent portion of the spring is too small due to the narrow space,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occurs to cause a problem that loses the elastic force, Even when the par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ause friction, a problem occurs that the slide operation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spring is not smooth.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스프링 모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협소한 단말기의 내부공간에서도 요구되는 내구성을 갖고 안정되게 메인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바디를 원활하게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아울러 스프링의 압축과 압축 해제 작동의 반복 횟수를 현저히 향상시켜 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취한 개선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pring module in the conventional slide-typ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slide body smoothly and elastic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ith stability and durability required even in the inner space of the narrow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ring module of an improved slide type terminal which is slidable and has a remarkably improved number of repetitions of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perations of the spring, and thus has a more durable structu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인바디에서 길이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결합된 슬라이드편(10)과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된 고정편(20)에는 스프링 모듈이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모듈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으로 인출되어 오픈되거나 상기 메인바디로 다시 수납되어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20)에 힌지부(31)를 매개로 결합된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드편(10)에 힌지부(41)를 매개로 결합된 슬라이딩 힌지편(40)과, 상기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딩 힌지편(40)에 양단부가 연결된 스프링(50)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드편(10)에 각각 끝단이 연결되며 좌우 너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탄성작 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를 갖는 'S'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의 곡률 반경(R)은 상기 제1 탄성작용부(52)의 제1만곡부(56)의 곡률 반경(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lide body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the spr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slide piece 10 coupled to the slide body and the fixed piece 20 coupled to the main body In the slide-type terminal that is maintained by the operation of the spring module, the slide body is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opened or stored back to the main body, the hinge piece in the fixed piece 20 Fixed hinge piece 30 coupled via the branch 31, the sliding hinge piece 40 coupled to the slide piece 10 via the hinge portion 41, and the fixed hinge piece 30 A spring 5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liding hinge piece 40, and the spring 50 has an end connected to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e piece 10, respectively, and has a horizontal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The second elastic portion 54 is formed in an 'S' shape having a first elastic portion 52 and a second elastic portion 54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respectively, the second curve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54 (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58 is improved compared to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is a spring module of the improved sliding type terminal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은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본체인 메인바디와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바디에 연결되는 주요부인 스프링을 제1 탄성작용부와 제2 탄성작용부를 갖는 "S"자형으로 구성하되, 이러한 스프링에서 슬라이드 작동시 굽힘 응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는 부분인 제2 탄성작용부의 만곡부의 곡률 반경을 제1 탄성작용부의 만곡부의 곡률 반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드 바디의 메인바디에 대한 슬라이드작동시 스프링이 만곡된 부분들이 상대적으로 탄성적인 압착변형을 이루어 협소한 공간에도 슬라이드 바디를 원활하게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스프링에 국부적인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스프링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스프링의 제1 탄성작용부와 제2탄성작용부 중에서 적어도 회동 궤적이 상대적으로 더 큰 제2 탄성작용부의 끝단 부분에 내측 방향으로 한번 더 절곡한 벤딩부를 더 구비함으로 인하여 슬라이드 바디의 슬라이드 작동시 스프링이 주변의 돌출부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처럼 스프링의 회동 운동시 스프링이 주변 돌출된 부분에 걸리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스프링 자체 의 사이즈와 슬라이드형 단말기 자체의 사이즈도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pring module of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pring, which is a main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ich is the main body of the slide-type terminal, and the slide body to be slid, in an "S" shape having a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In this spr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which is a portion that receives relatively more bending stress during the slide opera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When the slide is operated, the curved parts of the spring can make the slide body slide smoothly even in a narrow space by relatively elastic compressive deformation, and prevent the phenomenon of excessive stress concentrated locally on the spring. Durability is effective, the first shot of the spring At the end of the second elastic acting portion, which has at least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acting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cting portion, a bending portion bent inwardly once again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spring is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lide body when the slide body is operated. The slide can be smoothly operated without interference, and the spring itself and the size of the slide type terminal itself can be more compactly configured due to the structure that the spring does not get caught in the protruding part of the spring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pring. It has an effec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프링과 힌지편의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스프링과 힌지편의 결합된 부분의 확대된 정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프링과 힌지편의 결합된 부분의 다른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스프링과 힌지편의 결합된 부분의 확대된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메인바디에서 길이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바디에 결합된 슬라이드편(10)과 메인바디에 결합된 고정편(20)에는 스프링(50)이 연결되어, 스프링(50)의 탄성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의 일측으로 인출되어 열리거나 메인바디로 다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있어서, 스프링(50)은 고정 힌지편(30)에 연결된 제1 탄성작용부(52)와, 이러한 제1 탄성작용부(52)에 이어지며 좌우 너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탄성작용부(52)와 반대편 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 부분이 슬라이드편(10)에 연결된 제2 탄성작용부(54)를 갖는 형상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ures 4 to 6 are a plan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the combined portion of the spring and the hinge piec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view of the combined portion of the spring and hinge piece shown in Figure 8a 9A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nother structure of the combined portion of the spring and the hinge piec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9B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combined portion of the spring and the hinge piece shown in FIG. 9A. Referring to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body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the spring 50 is connected to the slide piece 10 and the fixed piece 20 coupled to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slide body In the slide-type terminal configured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body is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opened or received back into the main body by the elastic operation of the spring 50, the spring 50 is a fixed hinge piece 30 A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which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a shape which has the 2nd elastic acting part 54 connected to (10).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메인바디에는 고정편(20)이 장착되고, 이러한 고정편(2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편(10)이 결합되며, 슬라이드편(10)에는 디스플레이와 버튼이 구비된 슬라이드 바디가 결합되어, 메인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바디가 길이 방향을 인출되거나 수납된다. 그리고, 고정편(20)에는 힌지부(31)를 매개로 고정 힌지편(30)이 결합되어 있고, 슬라이드편(10)에는 슬라이딩 힌지편(40)이 힌지부(41)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The main body of the slide-type terminal is mounted with a fixed piece 20, the slide piece 10 which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fixed piece 20, the slide piece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and a button slide The bodies are coupled so that the slide body is drawn or recei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lative to the main body. The fixed piece 20 is coupled to the fixed hinge piece 30 via the hinge part 31, and the sliding piece 10 is coupled to the slide piece 10 via the hinge part 41. have.

상기 'S'자 형상의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 끝단 부분은 고정 힌지편(30)에 결합되고, 제2 탄성작용부(54)의 끝단 부분은 슬라이딩 힌지편(4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는 단일의 탄성 와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어진 'S'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50)의 제2 탄성작용부(54)의 곡률 반경(R)은 제1 탄성작용부(52)의 곡률 반경(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제2 탄성작용부(54)의 끝단에 이어진 벤딩부(59)를 더 구비하는데, 이러한 벤딩부(59)는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되는 방향의 중심선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The end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of the 'S' shaped spring 50 is coupled to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is the sliding hinge piece 40. ) Are combined.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and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of the spring 50 is composed of a 'S' shape continuously connected by a single elastic wire. At this time,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of the spring 50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In addition, a bending portion 59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which bending portion 59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of the slide piece 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S'자형 스프링(50)은 원호형의 제1만곡부(56)와, 이 제1만곡부(56)의 일단부에 이어진 제1연장부(56a)와, 제1만곡부(56)의 타단부에 한쪽 단부가 이어진 중간 연결부(57)와, 이 중간 연결부(57)의 다른쪽 단부에 일단부가 이어진 원호형의 제2만곡부(58)와, 이 제2만곡부(58)의 타단부에 이어진 제2연장부(58a)를 갖는 구조이다. 이러한 'S'자형 스프링(50)을 구성하는 제2연장부(58a)의 끝단에 슬라이딩 힌지편(40))에 삽입 결합되는 벤딩 부(59)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부(56a)의 끝단에도 벤딩부(59))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shaped spring 50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rc-shaped first curved portion 56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56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 An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an arc-shaped second curved portion 58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It is a structure which has the 2nd extension part 58a connected to the other end part of the 2nd curved part 58. As shown in FIG. A bending part 59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liding hinge piece 40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58a constituting the 'S'-shaped spring 50, as shown in FIG. 7. Likewise, the bending part 59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56a.

이러한 구조를 갖는 'S'자형 스프링(50)이 복수개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S'자형 스프링(50)이 세 개로 나란하게 배열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The 'S'-shaped spring 50 having such a structure is arranged side by side in plura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shaped spring 50 is arranged in three side by sid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에서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클로즈 모드(즉, 메인바디에 슬라이드 바디가 수납된 상태)에서 고정편(20)과 슬라이드편(10) 및 본 발명의 상태를 보여준다.4 shows the fixed piece 20 and the slide piece 10 and th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lide body of the slide-type terminal in a closed mode (ie, the state in which the slide body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도 4의 클로즈 모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손으로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바디 일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작용시키면 슬라이드편(10)이 올가가고, 고정 힌지편(30)과 슬라이딩 힌지편(40)이 각각 힌지부(31 및 41)를 매개로 회동됨과 동시에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의 제1만곡부(56)와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가 탄성적으로 압착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드편(10)이 고정편(20)의 중간 부분을 지날 때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의 제1만곡부(56)와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가 최대로 굽힘 응력을 받아 자체로서 탄성 복원하려는 힘을 최대로 작용시키게 된다.In the close mode of FIG. 4, when the terminal user applies a force to push the slide body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hand, the slide piece 10 is raised, and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ing hinge piece 40 are hinged portions, respectively. The first curved portion 56 of the first elastic acting portion 52 of the spring 50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of the second elastic acting portion 54 are elastic at the same time as they are rotated through the 31 and 41. Is pressed. As shown in FIG. 5, the first curved portion 56 and the second elastic acting portion 54 of the first elastic acting portion 52 of the spring 50 when the slide piece 10 passes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fixing piece 20.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of) is subjected to the maximum bending stress to maximize the force to elastically restore itself.

도 5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계속 밀어 올리면, 도 6에서와 같이,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가 압착된 상태에서 자체의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펼쳐지면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메 인바디의 일측으로 인출된 상태로 유지한다. 즉,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오픈 모드가 되는 것이며, 오픈 모드에서는 스프링(50)의 위치가 클로즈 모드인 상태와는 상하 반대로 된 상태가 된다.If the slide body is continuously pushed up in the state of FIG. 5, as shown in FIG. 6, the elasticity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and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of the spring 50 is compressed by its elasticity. The slide body of the slide-type terminal is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unfold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in the open mode of the slide-type terminal, the open mode is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spring 50 is upside down from the state in the close mode.

그리고, 오픈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다시 메인바디 안쪽을 슬라이드식으로 밀어주는 힘을 작용시키면 상기와 반대되는 작동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 안쪽을 수납되는 클로즈 상태로 될 수 있다.When the slide body is pushed to push the slide body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the open state, the slide body may be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slide body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이때,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50)의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의 곡률 반경(R)이 제1 탄성작용부(52)의 제1만곡부(56) 곡률 반경(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어서, 스프링(50)의 탄성 변형시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의 직경이 제1 탄성작용부(52)의 제1만곡부(56)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응력집중이 완화되게 하고 반복되는 탄성변형에 의한 피로 또한 감소되게 하므로,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10만회 정도의 작동시에는 스프링(50) 자체의 탄성력을 잃게 되거나 파단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낮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대략 14만회 정도의 작동 횟수를 보장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를테면, 스프링(50)의 반복되는 굽힘과 굽힘 해제 작동으로 인한 국부적인 피로가 크게 작용하는 부분이 없게 되므로, 스프링(50)의 내구성 요건을 충족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of the second elastic acting portion 54 of the spring 50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of the first elastic acting portion 52. Compared to r), the diameter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54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2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52 when the spring 50 is elastically deformed. By enlarging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56), stress concentration is alleviated and fatigue caused by repeated elastic deformation is also reduced,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more improved. Specifically, in the prior art, when the operation of about 100,000 tim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0 itself is lost or broken occurs, the durability is relatively low, in the present invention, by guarantee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about 140,000 times, Compared with the durability is improved. For example, since there is no part where local fatigue due to repeated bending and release of the spring 50 acts significantly, it is possible to meet the durability requirements of the spring 50.

부언하면, 최근에는 단말기 자체의 사이즈가 점점 작아지는 추세에 있어서, 스프링(50) 자체의 사이즈도 보다 작은 규격이 요구되는데, 스프링 자체의 사이즈 를 줄이다 보면,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스프링의 만곡부의 반경이 지나치게 작게 되고, 이처럼 스프링의 만곡부의 반경이 지나치게 작게 되면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스프링이 보다 빨리 탄성력을 잃거나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된다.In other words, in recent years, the size of the terminal itself is getting smaller, and the size of the spring 50 itself is also required. When reducing the size of the spring itself, the radius of the bent portion of the spring due to the narrow space When the radius of the bent portion of the spring is too small,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occurs so that the spring loses elasticity or breaks more quickly.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스프링(50)의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 곡률 반경(R)이 제1 탄성작용부(52)의 만곡부(24) 곡률 반경(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어서, 스프링(50)에서 집중 굽힘 응력을 받는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의 직경이 제1 탄성작용부(52)의 제1만곡부(56)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응력집중이 완화되게 하고 반복되는 탄성변형에 의한 피로도 감소되게 하므로,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스프링(50) 자체의 사이즈는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말기의 사이즈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54 of the spring 50 is the radius of curvature 24 of the curved portion 24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52. Compared to r), the diameter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of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subjected to the concentrated bending stress in the spring 5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By expanding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rved portion 56, the stress concentration is alleviated and the fatigue caused by repeated elastic deformation is also reduced, so that the durability is more improved, and further, the spring 50 itself Since the size does not have to be larg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eet the trend that the size of the terminal becomes small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50)의 제2 탄성작용부(54)의 끝단 부분에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되는 방향의 중심선 방향으로 절곡된 벤딩부(59)를 구비한 것이 특징을 이룬다. 즉,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에 대해 상대 슬라이드 작동할 때에 스프링(50)의 끝단 부분이 주변의 돌출부에 간섭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50)의 제2 탄성작용부(54)의 끝단 부분에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되는 방향의 중심선 방향으로 절곡된 벤딩부(59)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에 대해 상대 슬라이드 작동할 때에 스프링(50)의 끝단 부분이 주변의 돌출부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스프링(50)이 슬라이드 바디의 슬라이드 작동중에 주변의 돌출부에 걸리지 않는 공 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말기 자체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스프링(50)에 구비된 벤딩부(59)도 역시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벤딩부(59)도 스프링(50)에 굽힘 응력 작용시 굽힘 응력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함으로써, 스프링(5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of the spring 50 is provided with a bending portion 59 bent in the center line direction of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of the slide piece 10. . That is, when the slide body of the slide type terminal relative to the main body, the end portion of the spring 50 may interfere with the surrounding protru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of the spring 50 By having a bending portion 59 bent in the centerline direction of the slide actuation direction of the slide piece 10 at the end portion of the slide piece, the end portion of the spring 50 is moved when the slide body is operated relative to the main bod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protrusions, and the spring 50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terminal itself in order to ensure a space that is not caught in the surrounding protrusions during the slide operation of the slide body, such a spring The bending part 59 provided at 50 also has the effect of meeting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bending part 59 may also provide an effect of dispersing the bending stress when the bending stress is applied to the spring 50,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spring 50.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의 끝단에도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되는 방향의 중심선 방향으로 절곡된 벤딩부(59)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스프링(50)의 양끝단 부분이 슬라이드 바디의 슬라이드 작동중에 주변의 돌출부에 걸리는 현상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고, 굽힘 응력 분산 효과도 보다 크게 얻을 수 있으며, 스프링(50)의 좌우 너비를 더욱 줄여서 단말기 자체의 사이즈를 더욱더 슬림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bending portion 59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of the slide piece 10 is further at the end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of the spring (50)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spring 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oublely caught in the peripheral projections during the slide operation of the slide body, it is possible to obtain a greater effect of bending stress dispersion, the spring 50 By further reducing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side, it can contribute to the slimmer size of the terminal itself.

또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50)은 고정편(20) 및 슬라이드편(1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세로 방향인 제1너비부(W1)의 단면 두께는 고정편(20) 및 슬라이드편(10)의 내측면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인 제2너비부(W2)의 단면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된 것이 다른 특징을 이룬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pring 50 has a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first width portion W1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ac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piece 20 and the slide piece 10. Compared with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second width W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piece 20 and the slide piece 10, the feature is relatively large.

도 3에서 스프링(50)에 굽힘 응력이 A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스프링(50)에서 굽힘 응력을 받는 가로 방향인 제2너비부(W2)의 두께를 세로 방향인 제1너비부(W1)의 두께에 비하여 작게 함으로써, 스프링(50)에 굽힘력이 작용할 때, 파단 응력을 줄임으로써 스프링(50) 자체의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스프링(50) 자체의 탄성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FIG. 3, the bending stress acts on the spring 50 in the A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width portion W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ubjected to the bending stress in the spring 50 is the first width portion W1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when the bending force is applied to the spring 50, by reducing the breaking stress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pring 50 itself,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0 itself as it is You can expect

스프링(50)의 굽힘 응력을 받는 가로 방향인 제2너비부(W2)의 두께를 줄일수 록 파단 응력이 줄어드는 반면, 스프링(50)의 탄성력은 낮아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50)의 가로 방향 제2너비부(W2)의 두께를 줄여서 파단 응력을 줄이는 한편, 스프링(50)의 세로 방향 제1너비부(W1)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더 늘려줌으로써 스프링(50)의 탄성력을 보상하여 스프링(50)의 탄성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width portion W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ubjected to the bending stress of the spring 50 decreases the breaking stres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0 is lower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width W2 in the direction to reduce the breaking stress, the thickness of the first width W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ring 50 is further increased to compensate for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0 so that the spring It is comprised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50 may be maintained as it is.

그리고, 본 발명에서 스프링(50)은 복수개의 열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열로 'S'자형 스프링(50)이 나란하게 배열된 구조를 이루는데, 이러한 복수개 열의 스프링(50) 사이의 간격은 휨변형 방지편(60)에 의해 유지된다. 휨변형 방지편(60)은 실리콘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스프링(50)의 대략 중간 부분(즉, 제1 탄성작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의 이어지는 부분)이 끼워져서 휨변형 방지편(60)에 의해 각 스프링(50) 사이의 스페이스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50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 shaped spring 50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ree rows,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rows of the spring 50 is maintained by the deflection prevention piece (60). The bending deflection prevention piece 6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lock shape made of silicon, and is formed in a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and is approximately intermediate part of the spring 50 (that is,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and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Continued portion of 54) is insert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springs 50 can be maintained by the deflection deflection prevention piece 60.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주요부인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드 작동될 때에는 각각의 스프링(50), 특히, 각 스프링(50)의 만곡부(56 및 58)들이 서로 접촉하면서 스크래치 마찰이 발생하고, 이러한 스크래치 마찰에 의해 스프링(50)이 파단되는 여지가 생길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휨변형 방지편(60)을 더 구비하여 각각의 스프링(50)이 스크래치 마찰되면서 파단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각 스프링(50)의 휨변형으로 인한 슬라이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해소한 효과가 있다.When the slide body,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slide type terminal, is operated for sliding, scratch friction occurs when the respective springs 50, in particular, the curved portions 56 and 58 of each spring 5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prings cause such scratch friction. There may be room for breakage (5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flection prevention piece 60 as described abov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each spring 50 is broken while scratching friction, Further,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slide operation due to the bending deformation of each spring 50 is not smoothly mad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50)의 양단부측 둘레부에 걸림돌부(70) 또는 걸림홈부(74)가 형성되고, 상대편 고정 힌지편(30)과 슬라이딩 힌지편(40)에는 각각 걸림홈부(74) 또는 걸림돌부(70)가 형성되어, 스프링(50)이 고정 힌지편(30)과 슬라이딩 힌지편(40)에 걸림돌부(70)와 걸림홈부(74)의 맞걸림식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50)에 걸림홈부(74)가 형성되고, 상대편 고정 힌지편(30)과 슬라이딩 힌지편(40)에는 각각 걸림돌부(70)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rotrusion 70 or the locking groove 74 is formed at both end side circumferences of the spring 50, and the locking groove 74 is disposed at the opposit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ing hinge piece 40, respectively. Or the engaging protrusion 70 is formed, the spring 50 is firmly secured by the engaging engagement of the engaging protrusion 70 and the engaging groove 74 to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ing hinge piece 40. It can take a fixed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engaging groove portion 74 is formed in the spring 50, and the engaging protrusion 70 is formed in the opposit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ing hinge piece 40, respectively.

아울러,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힌지편(4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41)는 힌지공(41a)에 금속제의 힌지축(41b)이 인서트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편의 고정 힌지편(30)을 지지하는 힌지부(31)도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힌지편(40)을 지지하는 힌지부(31)는 힌지공(41a)에 플라스틱재의 힌지축(41a)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편 고정 힌지편(30)을 지지하는 힌지부(31)도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hinge portion 41 rotatably supporting the sliding hinge piece 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hinge shaft 41b made of metal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41a. Can be. The hinge portion 31 supporting the fixed hinge piece 30 on the opposite side also has the same structure.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a and 9b, the hinge portion 31 for supporting the sliding hinge piece 40 may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shaft 41a of the plastic material is coupled to the hinge hole (41a), The hinge part 31 supporting the opposite fixed hinge piece 3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이러한 힌지부(31 및 41)의 구조를 갖춤으로 인하여 슬라이딩 힌지편(40)과 고정 힌지편(30)이 제대로 회동되지 못하고 브레이크가 걸리는 현상(즉, 원활하게 돌아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작동상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hinge parts 31 and 41, the sliding hinge piece 40 and the fixed hinge piece 30 are prevented from being properly rotated and brakes are applied (that is, a phenomenon that does not turn smoothly). Operational reliability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의 끝단에 각각 제1 벤딩부(59A)와 제2벤딩부(59B)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벤딩부(59A)와 제2 벤딩부(59B)는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 되는 방향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향 절곡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s 9 to 1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9 to 14, the first bending part 59A and the second at the ends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art 52 and the second elastic action part 54 of the spring 50, respectively. A bending portion 59B is provided,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59A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59B have a structure that is bent out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line of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of the slide piece 10.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프링(50)은 원호형의 제1만곡부(56)와, 이러한 제1만곡부(56)의 일단부에 이어진 제1연장부(56a)와, 상기 제1만곡부(56)의 타단부에 한쪽 단부가 이어진 중간 연결부(57)와, 이러한 중간 연결부(57)의 다른쪽 단부에 일단부가 이어진 원호형의 제2만곡부(58)와, 이 제2만곡부(58)의 타단부에 이어진 제2연장부(58a)를 갖는 'S'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spring 5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to 14 has an arc-shaped first curved portion 56, a first extension portion 56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An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an arc-shaped second curved portion 58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It is composed of an 'S' shape hav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ortion 58.

또한, 상기 제1만곡부(56)의 양단부에 연속으로 이어지는 중간 연결부(57)와 제1연장부(56a) 사이의 거리(D1)가 점차적으로 좁아짐과 동시에, 제2만곡부(58)의 양단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중간 연결부(57)와 제2연장부(58a) 사이의 거리(D2)도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제1연장부(56a)와 제2연장부(58a)의 끝단에 각각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즉, 외측 방향)으로 제1벤딩부(59A)와 제2벤딩부(59B)가 연장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56a which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gradually decreases, an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respectively. The distance D2 between the continuously connecting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is also gradually narrowed, and at the ends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6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respectively. The first bending part 59A and the second bending part 59B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lide operation center of the slide piece 10 (ie, outward direction).

이러한 제1벤딩부(59A)와 제2벤딩부(59B)가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즉, 외측 방향)으로 제1벤딩부(59A)와 제2벤딩부(59B)가 연장된 구조를 갖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다른 점이며, 나머지 다른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The first bending part 59A and the second bending part 59B ar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lide operation center of the slide piece 10 (that is, outward direction) such as the first bending part 59A and the second bending part 59B. ) Has an extended struc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때, 상기 제1연장부(56a) 사이의 각도는 90° 정도인데, 바람직하게, 85°에서 95° 정도이다. 제2벤딩부(58B)와 제2연장부(58a) 사이의 각도 범위도 마찬가지이다.In this cas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6a is about 90 °, preferably about 85 ° to about 95 °. The same applies to the angle range between the second bending portion 58B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닫혀진 클로즈 모드(도 11의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손으로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바디 일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작용시키면, 도 12와 같은 중간 부분 위치에서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의 제1만곡부(56)와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가 최대로 굽힘 응력을 받아 자체로서 탄성 복원하려는 힘을 최대로 작용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계속 밀어 올리면, 도 13에서와 같이,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가 압착된 상태에서 자체의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펼쳐지면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의 일측으로 인출된 상태로 유지한다. 즉,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오픈 모드가 되는 것이며, 오픈 모드에서는 스프링(50)의 위치가 클로즈 모드인 상태와는 상하 반대로 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오픈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다시 메인바디 안쪽을 슬라이드식으로 밀어주는 힘을 작용시키면 상기한 것과는 반대되는 작동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바디 안쪽을 수납되는 클로즈 상태로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9 to 14, the terminal user in the close mode (state of Fig. 11) the slide body of the slide-type terminal the force pushing the slide body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hand 12, the first curved portion 56 of the first elastic acting portion 52 of the spring 50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of the second elastic acting portion 54 are the maximum at the intermediate part position as shown in FIG. When the bending body is subjected to the bending stress to act as a force to restore elasticity to its maximum, and the slide body is continuously pushed up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3,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and the second elasticity of the spring 50 are While the action part 54 is push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by its elasticity, the slide body of the slide type terminal is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hat is, in the open mode of the slide-type terminal, the open mode is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spring 50 is upside down from the state in the close mode. When the slide body is pushed to push the slide body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the open state, the slide body may be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slide body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in an operation opposite to that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 스프링(50)은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작동시킬 때, 제1 탄성작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가 안쪽 방향으로 굽힘 작용되면서 굽힘 응력을 받게 되는데, 제1만곡부(56)의 양단부에 연속으로 이어지는 중간 연결부(57)와 제1연장부(56a) 사이의 거리(D1)가 점차적으로 좁아짐과 동시에, 제2만곡부(58)의 양단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중간 연결부(57)와 제2연장부(58a) 사이의 거리(D2)도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제1연장부(56a)와 제2연장부(58a)의 끝단에 각각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 중 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즉, 외측 방향)으로 제1벤딩부(59A)와 제2벤딩부(59B)가 연장된 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굽힘 응력이 작용되는 중간 연결부(57)와 제1연장부(56a) 사이의 거리(D1)와 중간 연결부(57)와 제2연장부(58a) 사이의 거리(D2)가 미리 간격이 좁아져 있으므로, 슬라이드 단말기 작동시 벤딩 응력을 받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한편 제1벤딩부(59A)와 제2벤딩부(59B)는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작동시 상기의 실시예들보다 강인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기능을 한다.At this time, the spring 50 when the slide body of the slide-type terminal slid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bending stress while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and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is bent inward directio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6a which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gradually decreases, an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respectively. The distance D2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which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is gradually narrowed, and at the ends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6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Each of the slide pieces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ending portion 59A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59B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re portion (ie, outward direction) during the slide operation of the slide piece 10, and thus ben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57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6a to which stress is applied Since the distance D2 between the D1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is narrow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ending stress when the slide terminal is operated, and the first bending The portion 59A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59B extend in an outward direction away from the slide operation center of the slide piece 10 to function a stronger elastic force than the above embodiments during slide operation.

따라서, 상기 스프링(50)은 주요부인 중간 연결부(57), 제1연장부(56a), 제2연장부(58a), 제1벤딩부(59A) 및 제2벤딩부(59B)의 연개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단말기 슬라이드 인출 또는 수납 작동시에 작용하는 벤딩 응력은 최소화하는 한편, 슬라이드 바디의 수납 및 인출 작동시의 탄성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멀티 기능을 함으로써, 상기 실시예들에 비하여 신뢰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9 내지 도 14의 실시예는 스프링(50)의 양끝에 슬라이드 바디(10)의 슬라이드 작동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제1벤딩부(59A)와 제2벤딩부(59B)를 가짐으로 인하여 상기한 실시예들에 비하여 스프링(50) 자체의 수명이 보다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곧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Accordingly, the spring 50 is operated by the opening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the first extending portion 56a,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58a, the first bending portion 59A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59B, which are main parts. By minimizing the bending stress acting during the slide take-out or storage operation by the slide terminal by the multi-function to maintain the elastic force during the storage and take-out operation of the slide body, the reliability is more improved than the above embodiments It works.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S. 9 to 14, the first bending part 59A and the second bending part 59B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50 in an outward direction away from the slide operation center of the slide body 10. Due to having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spring 50 itself compared to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obtained, which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한편, 상기 중간 연결부(57)와 제1연장부(56a) 사이의 거리(D1)와 중간 연결부(57)와 제2연장부(58a) 사이의 거리(D2)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스프링(50)의 양끝단에 외향 연장된 제1벤딩부(99A)와 제2벤딩부(59B)의 좌우 돌출 길이만큼 오프셋(상쇄)시키기 때문에, 스프링(50) 자체의 좌우 너비는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더 작게 할 수 있다. 즉, 제1벤딩부(99A)와 제2벤딩부(59B)가 스프링(50)의 좌우 양끝단에서 외향으로 연장된 구조이지만, 중간 연결부(57)와 제1연장부(56a) 사이의 거리(D1)와 중간 연결부(57)와 제2연장부(58a) 사이의 거리(D2)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프링(50) 자체의 좌우 너비가 상기의 실시예에 비하여 커지는 일은 없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6a and the distance D2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are gradually narrowed. Since the offset (offset) by the left and right protruding lengths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99A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59B extending outward at both ends of the spring 50,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pring 50 itself are the above-described implementation. It can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example. That is, although the first bending portion 99A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59B extend outwardly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pring 50,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6a. The distance D2 between the D1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is gradually narrow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pring 50 itself do not become larger than in the above embodiment.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permuta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FIG.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4 to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프링과 힌지편의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Figure 8a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the combined portion of the spring and the hinge piec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스프링과 힌지편의 결합된 부분의 확대된 정면도FIG. 8B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combined portion of the spring and hinge piece shown in FIG. 8A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평면도10 is a top view of FIG. 9

도 11 내지 도 13은 도 9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11 to 13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FIG. 9.

Claims (9)

메인바디에서 길이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결합된 슬라이드편(10)과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된 고정편(20)에는 스프링 모듈이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모듈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으로 인출되어 오픈되거나 상기 메인바디로 다시 수납되어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편(20)에 힌지부(31)를 매개로 결합된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드편(10)에 힌지부(41)를 매개로 결합된 슬라이딩 힌지편(40)과, 상기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딩 힌지편(40)에 양단부가 연결된 스프링(50)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드편(10)에 각각 끝단이 연결되며 좌우 너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탄성작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를 갖는 'S'자 형상으로서 상기 제2 탄성작용부(54)의 제2만곡부(58)의 곡률 반경(R)은 상기 제1 탄성작용부(52)의 제1만곡부(56)의 곡률 반경(r)에 비하여 더 크게 구성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은 복수개의 열로 배열되며, 복수개의 열로 배열된 스프링(50) 사이의 간격은 휨변형 방지편(60)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A slide body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and a spr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slide piece 10 coupled to the slide body and the fixed piece 20 coupled to the main body, thereby operating the spring module. Fixed hinge piece coupled via the hinge portion 31 to the fixing piece 20 so that the slide body is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be opened or stored back to the main body to maintain a closed state ( 30, a sliding hinge piece 40 coupled to the slide piece 10 via a hinge portion 41, and a spring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ing hinge piece 40 ( And a spring (50),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e piece (10), each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respectively. 52 and Article 2,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of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of the 'S' shape having an elastic action portion 54 is the first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In the slide type terminal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curved portion 56, the spring 50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the spacing between the spring 50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s the bending deformation prevention piece Spring module of the slide-typ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held by 6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의 상기 제2 탄성작용부(54)의 끝단에 이어지며 상기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되는 방향의 중심선 방향으로 절곡된 벤딩부(5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The bending part 59 of claim 1, furth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elastic action part 54 of the spring 50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slide actuation direction of the slide piece 10. Spring module of the improved slide-typ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고정편(20)과 슬라이드편(1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세로 방향인 제1너비부(W1)의 단면 두께는 상기 제1너비부(W1)와 직교하는 가로 방향인 제2너비부(W2)의 단면 두께보다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first width portion W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piece 20 and the slide piece 10 is the first width portion (1). Spring module of the improved slide-typ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second width portion (W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W1).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의 상기 제1 탄성작용부(52)의 끝단에도 상기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되는 방향의 중심선 방향으로 절곡된 벤딩부(59)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nd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of the spring 50 is also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slide operation direction of the slide piece 10 Spring module of the improved slide-typ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portion 59 is further provid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의 제1 탄성작용부(52)와 상기 제2 탄성작용부(54)는 상기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딩 힌지편(40)에 매입 결합되는 둘레부에 걸림돌부(70) 또는 걸림홈부(7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힌지편(30)과 상기 슬라이딩 힌지편(40)에는 상기 제1 탄성작용부(52)와 상기 제2 탄성작용부(54)가 매입 결합되는 부분의 내부에 걸림홈부(74) 또는 걸림돌부(70)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50)의 양끝단 부분이 상기 고정 힌지편(30) 및 상기 슬라이딩 힌지편(40)에 상기 걸림돌부(70)와 상기 걸림홈부(74)의 맞걸림 구조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and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of the spring 50 is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ing A locking protrusion 70 or a locking groove 74 is formed at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inge piece 40 embedded in the hinge piece 40, and the first elastic action part is formed on the fixed hinge piece 30 and the sliding hinge piece 40. 52 and the engaging groove portion 74 or the locking protrusion 70 is provided inside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is embedded, the both ends of the spring 50 is the fixed hinge piece ( 30) and the spring module of the improved slide-typ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engaging structure of the locking projection 70 and the locking groove portion 74 to the sliding hinge piece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의 상기 제1 탄성작용부(52)와 제2 탄성작용부(54)의 끝단에는 각각 제1 벤딩부(59A)와 제2벤딩부(59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벤딩부(59A)와 상기 제2 벤딩부(59B)는 상기 슬라이드편(10)의 슬라이드 작동되는 방향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ending portion 59A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59B at the ends of the first elastic action portion 52 and the second elastic action portion 54 of the spring 50, respectively And the first bending part 59A and the second bending part 59B are bent out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slide-operating direction of the slide piece 10. Spring modu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은 원호형의 제1만곡부(56)와, 이 제1만 곡부(56)의 일단부에 이어진 제1연장부(56a)와, 제1만곡부(56)의 타단부에 한쪽 단부가 이어진 중간 연결부(57)와, 이 중간 연결부(57)의 다른쪽 단부에 일단부가 이어진 원호형의 제2만곡부(58)와, 이 제2만곡부(58)의 타단부에 이어진 제2연장부(58a)를 갖는 'S'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만곡부(56)의 양단부에 연속으로 이어지는 상기 중간 연결부(57)와 상기 제1연장부(56a) 사이의 거리(D1)가 점차적으로 좁아짐과 동시에, 상기 제2만곡부(58)의 양단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중간 연결부(57)와 상기 제2연장부(58a) 사이의 거리(D2)도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56a)와 상기 제2연장부(58a)의 끝단에 각각 상기 제1벤딩부(59A)와 상기 제2벤딩부(59B)가 연장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8. The spring 50 has an arc-shaped first curved portion 56, a first extension portion 56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and a first curved portion 56. The middle connecting portion 57,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 RTI ID = 0.0 >), < / RTI > an arc-shaped second curved portion 58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other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It is composed of a 'S' shape hav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connected to the end,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6a continuous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6 While the distance D1 gradually decreases, the distance D2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8a which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58 gradually decreases. The first bending part 59A and the second bending part 59B extend to the ends of the first extension part 56a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58a, respectively. Improved spring module of the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삭제delete
KR1020090067700A 2009-05-01 2009-07-24 Spring module for slide type terminal KR10110660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648 2009-05-01
KR20090038648 2009-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705A KR20100119705A (en) 2010-11-10
KR101106602B1 true KR101106602B1 (en) 2012-01-20

Family

ID=4340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700A KR101106602B1 (en) 2009-05-01 2009-07-24 Spring module for slide typ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6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479A (en) 2019-01-21 2020-07-29 최지우 Leaves fracking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719A (en) * 2005-04-19 2006-10-25 도옥균 A spring for sliding of the cellular phone mobile
KR20060117578A (en) * 2005-05-11 2006-11-17 세원정밀주식회사 A slide hinge, and spring element
KR100861773B1 (en) * 2007-08-07 2008-10-06 김봉길 Hing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090042166A (en) * 2007-10-25 2009-04-29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sliding each ot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719A (en) * 2005-04-19 2006-10-25 도옥균 A spring for sliding of the cellular phone mobile
KR20060117578A (en) * 2005-05-11 2006-11-17 세원정밀주식회사 A slide hinge, and spring element
KR100861773B1 (en) * 2007-08-07 2008-10-06 김봉길 Hing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090042166A (en) * 2007-10-25 2009-04-29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sliding each ot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705A (en)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0727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terminal device
KR101044797B1 (en) Slide module of mobile phone
KR100716599B1 (en) Sliding assembly
KR101106602B1 (en) Spring module for slide type terminal
KR101034577B1 (en) Slide Hinge module
KR100884735B1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KR200417355Y1 (en) Sliding assembly
KR20070040136A (en) The slide device for using portable telephone
KR200346618Y1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KR100921534B1 (en) Slide Hinge Apparatus of Cellular Phone
KR100721175B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1006261B1 (en) Sliding hinge device and sliding type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67346B1 (en) Slide type terminal spring module
KR200363295Y1 (en)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lie phone
KR200397454Y1 (en)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726832B1 (en) Pin for sliding-hinge of moblie phone
KR20070079494A (en) Device of opening or closing of a slide typed mobile phone
KR100970983B1 (en) Spring module for sliding apparatus
KR20120058389A (en) Elastic Driving Device for Sliding Hinge
KR200417445Y1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KR200411625Y1 (en) Slim Sliding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100790843B1 (en) Slide hinge module
KR200408307Y1 (en) Pin for sliding-hinge of moblie phone
KR200402997Y1 (en)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408293Y1 (en) Hing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