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953B1 - Air conditioner having fix temperature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having fix temperature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953B1
KR101105953B1 KR1020030091217A KR20030091217A KR101105953B1 KR 101105953 B1 KR101105953 B1 KR 101105953B1 KR 1020030091217 A KR1020030091217 A KR 1020030091217A KR 20030091217 A KR20030091217 A KR 20030091217A KR 101105953 B1 KR101105953 B1 KR 10110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indoor heat
refrigerant
compresso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0134A (en
Inventor
김영모
한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953B1/en
Publication of KR2005006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1Indoor unit or outdoor unit with auxiliary heat exchanger not forming part of the indoor or outdoor unit
    • F25B2313/0212Indoor unit or outdoor unit with auxiliary heat exchanger not forming part of the indoor or outdoor unit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being only used during dehumidif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9On-off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냉/난방 기능과 함께 정온 제습을 실행할 수 있는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후방에 설치된 제 1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 후방에 설치된 제 2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그 일측이 연결된 제 1 팽창 장치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그 일측이 각각 연결된 제 2 팽창 장치 및 압축기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와 제 2 팽창 장치 사이에 설치된 제 1 밸브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된 제 2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in addition to a general cooling / heating func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wherei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d a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behind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a first expansion device to which one side and one side of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are connected, and one side and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respectively. A second expansion device and a compressor, a first valv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expansion device, and a second valv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compressor.

공기조화기, 정온 제습, 실내 열교환기Air Conditioner,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Indoor Heat Exchanger

Description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having fix temperature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Air conditioner having fixed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Air conditioner having fix temperature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general air condition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정온 제습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제 1 실내 열교환기 110 :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10: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20 : 제 1 팽창 장치 130 : 제 2 팽창 장치120: first expansion device 130: second expansion device

140 : 실외 열교환기 150 : 압축기140: outdoor heat exchanger 150: compressor

151 : 제 1 갈래의 도관 152 : 제 2 갈래의 도관151: first branch conduit 152: second branch conduit

160 : 사방변 170 : 제 1 밸브 160: four sides 170: the first valve                 

180 : 제 2 밸브 200 : 실내팬180: second valve 200: indoor fan

210 : 실외팬 220 : 모터210: outdoor fan 220: moto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냉/난방 기능과 함께 정온 제습을 실행할 수 있는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capable of carrying out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with a general cooling / heating function.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하절기에는 증발→ 압축→ 응축→ 팽창 순으로 순환하는 냉방 싸이클로 동작하고, 동절기에는 사방변을 절환하여 상기 냉방 싸이클과 역순환되는 히트 펌프(heat pump)의 난방 싸이클로 동작하여 실내의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냉/ 난방 시스템을 일컫는 것으로, 통상의 냉/ 난방 기능과 함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청정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공기 정화 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흡입하여 건습 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 기능 등을 겸비하고 있다.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as a cooling cycle that circulates in the order of evaporation → compression → condensation → expansion in summer, and operates as a heating cycle of a heat pump that is reversely circulated with the cooling cycle by switching four sides in winter. It refers to a cooling / heating system that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a user at a desired level. The air purifying function of filtering and polluting indoor contaminated air with normal cooling / heating function and making it into clean air again and It also has a dehumidification function that takes in humid air and turns it into dry and dry air.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general air conditioner.

실내 열교환기(10)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흡입구(미도시)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0)의 내부엔 냉매가 흐르는 도관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도관을 흐르는 냉매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공조 공간의 온도를 조절한다. 예컨대,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 중 일때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0)에 흐르는 저온의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여 공조 공간의 온도를 낮추고, 난방 운전 중 일때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0)에 흐르는 고온의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여 공조 공간의 온도를 높인다.The indoor heat exchanger 1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air intake port (not shown) formed in front of the indoor unit (in the case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of the air conditioner. A conduit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is install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is adjusted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nduit and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in the cooling operation,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and the indoor air exchange heat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and when the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high temperature flow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The refrigerant and the room air heat exchang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냉매의 흐름을 위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10)의 내부에 설치된 도관은 외부로 연장되어 사방변(12)과 연결된다. 상기 사방변(12)은 냉매의 흐름 싸이클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엔, 냉매가 냉방 싸이클을 순환하도록 상기 사방변(12)이 절환되고,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하는 경우엔, 냉매가 난방 싸이클을 순환하도록 상기 사방변(12)이 절환된다.The conduit installed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for the flow of refrigerant extends to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our sides 12. The four sides 12 are for controlling the flow cycle of the refrigerant,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to operate the cooling, the four sides 12 are switched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e cooling cycle, the air conditioner is heat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four sides 12 are switched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the heating cycle.

즉, 냉방 운전의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10)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상기 사방변(12)의 작용에 의해 압축기(14)로 유입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로 변환되고, 이어, 실외 교환기(16)를 거치며 액상의 냉매로 응축된 후, 팽창 장치(18)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환된다. 저온 저압의 기체로 변환된 상기 냉매는 상기 실내 교환기(10)로 다시 유입되고, 실내 공기는 저온 저압의 상기 냉매와 열교환됨으로써 저온의 공기로 변환된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ol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with the indoor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is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14 by the action of the four sides 12 and converted in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After being condensed into the liquid refrigerant through the outdoor exchanger (16), it is converted into the refrigerant of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device (18). The refrigerant converted into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gas flows back into the indoor exchanger 10, and the indoor air is converted into low temperature air by heat-exchanging with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난방 운전의 경우, 상기 압축기(14)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사방변(12)의 작용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10)로 유입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0)를 통과하여 흐르는 실내 공기는 고온 고압의 상기 냉매와 열교환됨으로써 고온의 공기로 변환된다. 이어, 상기 냉매는 상기 팽창 장치(18)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로 변환되고, 계속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16)을 거치면서 실외 공기와 열 교환된 후 다시 상기 압축기(14)로 유입된다.In the heat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14 flows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by the action of the four sides 12 and flow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Air is converted into hot air by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ubsequently, the refrigerant is converted into a gas of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device 18, and subsequently is heat exchanged with outdoor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6,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compressor 14. .

한편, 상기 냉방 운전 시, 공조 공간의 온도는 냉방 운전의 진행과 더불어 설정 온도로 낮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실내 온도의 저하는 결과적으로 공조 공간의 상대 습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냉방을 위한 설정 온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공조 공간 내 사람은 높은 습도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is lowered to the set temperature with the progress of the cooling operation. Such a decrease in the room temperature increases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Therefore, the lower the set temperature for cooling, the more people in the air conditioning space feel uncomfortable due to high humidity.

제습 운전이란 상술한 바와 같은 원인에 의해 공조 공간의 습도가 높아진 경우 이를 낮추기 위해 상기 공조 공간 내 습기를 제거하는 운전 방법을 의미한다. 공기조화기의 제습 운전은 실내 열교환기(10) 내부를 흐르는 냉매가 실내 공기의 노점(露点)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refers to an operation method of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conditioning space in order to lower the humidity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due to the above-described causes.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possible by keeping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at a low temperature below the dew point of the indoor air.

실내 열교환기(10)를 거치면서 열교환되는 실내 공기는 노점 이하의 냉매와 열교환하는 과정에 그 일부가 결로(結露)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10)의 표면에 미세한 물방울로 맺히게 된다. 이러한 미세 물방울들은 서로 결집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10)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높은 습도를 갖는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0)를 거치면서 습기가 제거되어 건조한 공기로 변하고 이로 인해 공조 공간의 습도는 낮아진다. The indoor air that is heat-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is partially condensed during the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below the dew point, thereby forming fine droplets on the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After the fine water droplets are collected together, the fine water drople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ndensate drain pipe (not shown) installed under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Therefore, indoor air having a high humidity is dehumid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to change to dry air, thereby lowering the humidity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상기와 같은 제습 운전은 실내 열교환기(10)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낮추어 그 표면에 결로되는 물방울의 양을 많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조 공간의 습기는 제거할 수 있지만, 공조 공간의 온도는 필연적으로 설정 온도보다 더 낮아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또 다른 불편함을 제공한다.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to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droplets condensed on the surface, and as a result, moisture in the air conditioning space can be removed, but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is necessarily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provides another inconvenience to the user.

따라서, 공조 공간 내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면서도(정온) 그 내부의 습기는 없앨 수 있는(제습) 기능, 즉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개발이 중요하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unction of keeping the temperature in the air conditioning space at a set temperature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removing moisture therein (dehumidification), that is,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냉/난방 기능과 함께 정온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that can perform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together with a general cooling / heating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공기조화기를 운전하는데 있어서 가장 적합한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on most suitable fo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described ab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가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후방에 설치되는 제 1 실내 열교환기;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 2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제1실내 열교환기 사이의 냉매 유로상에 위치하여, 정온 제습 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1 팽창 장치;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 사이의 냉매 유로상에 위치하는 제 2 팽창 장치;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팽창 장치 사이의 냉매 유로상에 설치되어, 정온 제습 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의 냉매 유로상에 설치되어, 정온 제습 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의 일부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제 2 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 outdoor heat exchanger in which the refrigerant is heat-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A first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behind the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A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at a rear of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A first expansion device positioned on a refrigerant passage betwe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to expand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dur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 second expansion device positioned on a refrigerant path betwe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 first valve installed on a refrigerant passage between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expansion device to prevent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from flowing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dur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nd a second valve installed on the refrigerant path between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compressor to guide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dur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는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상기 압축기는 그 일측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 및 실외 열교환기와 각각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타측들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first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is install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the compressor is one 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respectively, the other side is the first and second It is preferr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s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냉/난방 시에는 상기 제 1 밸브는 열고 상기 제 2 밸브는 닫아 상기 제 2 팽 창 장치와 제 2 실내 열교환기를 교통시키고, 정온 제습 시에는 상기 제 1 밸브는 닫고 상기 제 2 밸브는 열어 상기 압축기와 제 2 실내 열교환기를 교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cooling / heating, the first valve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is closed to communicate the second expansion device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During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the first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is opened to open the compressor. It is prefer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정온 제습 시, 제 1 실내 열교환기에는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저온의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그 후방에 설치된 제 2 실내 열교환기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고온의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dur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Heat exchange is performed, and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n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so as to exchange heat with the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한편, 냉방 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 모두에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저온의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고, 난방 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 모두에서 고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고온의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cooling,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so that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the indoor air exchange heat, and when heating, the high-temperature refrigerant is heated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coolant to flow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hot refrigerant and the indoor air.

이때, 냉방 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는 이들의 일측들과 그 일측들이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팽창 장치로부터 냉매를 공급받고, 난방 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는 이들의 타측들과 그 타측이 연결된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으며, 정온 제습 시에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팽창 장치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데 반해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는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그 일측이 연결된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are supplied with refrigerant from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devices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uring cooling.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connected, when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receives the refrigerant from the first expansion device, whereas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is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또한, 냉/난방 시에는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제 2 팽창 장치의 일측 사이에 설치된 제 1 밸브를 열고,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압축기의 타측 사이에 설치된 제 2 밸브를 닫음으로써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제 2 팽창 장치의 일측이 교통되도록 하며, 정온 제습 시에는 상기 제 1 밸브는 닫고, 상기 제 2 밸브는 열므로써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압축기의 타측이 교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during cooling / heating, a first valve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one side of the second expansion device is opened, and a second valve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or. By closing,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one side of the second expansion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uring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the first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is opened to op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compressor.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other side of the traffic.

상기 정온 제습 시, 상기 압축기의 타측에서 나온 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으로 흐르고, 나머지는 실외 열교환기로 흐른 후 제 1 팽창 장치를 거쳐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으로 유입된다.Dur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or flows to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remainder flows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n flows into one side of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through a first expansion device. .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로 서로 중첩되도록 두 대의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한 후, 정온 제습 운전 시, 하나의 실내 열교환기에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실내 열교환기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실내 열교환기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고온의 냉매가 흐르는 실내 열교환기는 상기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실내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그 온도가 낮아진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낮아진 온도를 보상하는 정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냉/난방 기능과 함께 정온 제습 기능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talling two indoor heat exchangers so as to overlap each other before and after, dur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 relatively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n one indoor heat exchanger and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n another indoor heat exchanger. The indoor heat exchanger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through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performs a dehumidification function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indoor ai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through which the high temperature coolant flows flow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through which the low temperature coolant flows. As it goes through, it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whose temperature is lowered to perform the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to compensate for the lowered temperature. Therefore,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long with the general cooling / heating function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air conditioner and the operating method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두 대의 실내 열교환기가 전.후로 서로 중첩되도록 놓여 있다. 즉,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흡입구(미도시) 후방에 설치되어 있고,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의 후방에 이와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들의 일측은 제 1 및 제 2 팽창 장치(120 및 130)들의 일측과 각각 도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팽창 장치(120 및 130)들의 타측은 실외 열교환기(1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다. Two indoor heat exchangers are placed so that they overlap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at is,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is installed behind the front inle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It is installed to overlap.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devices 120 and 130, respectively, via a conduit, and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devices 120. And the other side of the 130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한편,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 2 팽창 장치(130) 외에 압축기(150)와도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압축기(150)는 그 일측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일측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의 타측과 각각 연결되어 있고, 그 타측은 사방변(160)을 게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압축기(150)의 일측으로 나온 냉매 흐름을 위한 도관은 임의 지점에서 두 갈래로 분지(分枝)되어 제 1 갈래의 도관(151)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와 연결되고, 제 2 갈래의 도관(152)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와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50 in addition to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the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0 is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respectively,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00 and 110) by placing the four sides (160). That is, the conduit for the refrigerant flow to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0 is branched in two at any point, the first conduit 151 is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The biconduit 15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또한,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와 제 2 팽창 장치(130) 사이에는 이들 사이에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밸브(170)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와 압축기(150)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 2 갈래의 도관(152) 에는 제 2 밸브(180)가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조절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a first valve 17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erebetween is provide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 And a second valve 180 is installed in the second branch conduit 152 connecting the compressor 150 to regulat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erebetween.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후방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담당하는 실내팬(2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의 후방에는 실외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담당하는 실외팬(210)과, 이들 팬들의 구동을 위한 모터(220)가 설치되어 있다.An indoor fan 2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to inhale and discharge the indoor air, and the rear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is responsible for the intake and discharge of the outdoor air. An outdoor fan 210 and a motor 220 for driving these fans are installed.

냉방 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팽창 장치(120 및 130)들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들의 일측으로 저온 저압의 냉매가 유입된 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공조 공간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낮출 수 있고, 난방 시에는, 상기 압축기(150)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들의 타측으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된 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공조 공간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높일 수 있다. 즉, 냉/난방 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로 동일 종류의 냉매가 유입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는 동일 기능을 수행한다. During cooling,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flows in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from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devices 120 and 130, respectively, and then heat exchanges with the indoor air.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can be lower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during heating, aft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flows into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or 150. By heat-exchanging with indoor air,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can be raised to the set temperature. That is, the same type of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during cooling / heating,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perform the same function. .

이때, 상기 제 1 밸브(170)는 열고, 상기 제 2 밸브(180)는 닫음으로써 상기 제 2 팽창 장치(130)와 제 2 실내 열교환기(110) 사이는 교통되도록 하고, 상기 압축기(150)와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는 교통되지 않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valve 170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180 is closed to allow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compressor 150.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prevented from communicating.

한편, 정온 제습 시에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의 일측으로는 상기 제 1 팽창 장치(120)의 일측으로부터 저온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일측으로는 상기 압축기(150)의 일측으로부터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흡입구(미도시)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를 거치면서는 그 속에 포함된 습기가 결로되어 응축기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제거되므로 건조한 공기로 변하고(제습 작용),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를 거치면서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를 거치면서 낮아진 온도를 보상받을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실내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정온 작용). Meanwhile, during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a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flow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pansion device 120 to one side of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and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nto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flows from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0). Therefore,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air intake por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passes through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and moisture contained therein is condensed and removed through the condenser drain pipe (not shown). It is changed (dehumidifying action), an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the temperature lowered through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can be compensated, an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is kept constant. Action).

즉, 정온 제습 시에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로는 저온의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로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는 실내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는 실내 공기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정온 기능을 담당한다.That is, during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a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and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The machines 100 and 110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is responsible for a dehumidification function of removing moisture of indoor air,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responsible for a constant temperature function of maintaining indoor air at a constant temperature. do.

이때, 냉/난방 시와는 달리, 상기 제 1 밸브(170)는 닫고, 상기 제 2 밸브(180)는 열므로써 상기 제 2 팽창 장치(130)와 제 2 실내 열교환기(110) 사이는 교통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압축기(150)와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는 교통되도록 한다.In this case, unlike the cooling / heating, the first valve 170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180 is opened, so that the traffic between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may be reduced. The compressor 150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re allowed to communicat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을, 도 4는 난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을, 그리고 도 5는 정온 제습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and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

먼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냉방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을 설명한다. First,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냉방 운전 시, 상기 제 1 밸브(170)는 열려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일측과 제 2 팽창 장치(130)의 일측 사이를 교통시키는 반면, 상기 제 2 밸브(180)는 닫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일측과 상기 압축기(150)의 일측 사이를 교통시키지 않는다.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he first valve 170 is opened to communicate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while the second valve 180 is closed to There is no communication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0.

실내팬(미도시)이 회전을 시작하면 공기조화기의 흡입구(미도시)로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상기 실내 공기는 제 1 실내 열교환기(100)와 그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를 차례로 거치며 열교환을 하는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의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 When the indoor fan (not shown) starts to rotate,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take por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The sucked indoor air passes through a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and a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nstalled at a rear thereof in order to exchange heat.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nto the inside.

상기 저온의 냉매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들의 일측과 그 일측이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팽창 장치(120 및 130)들로 부터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 팽창 장치들을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들 내부를 흐르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한 냉매는 각각 압축기(150)의 타측에 있는 사방변(160)으로 유입된 후, 상기 압축기(150)를 거치면서 고온 고압의 냉매로 변화한다.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from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devices 120 and 130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respectively. It is a state of being changed to a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through. The refrigerant that has exchanged heat with the indoor air while flowing inside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flows into the four sides 160 on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or 150, and then the compressor 150. Through the chang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이후, 상기 압축기(150)를 거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150)의 일측으로 나온 제 1 갈래의 도관(151)을 통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된다. 이때, 제 2 밸브(180)가 닫힌 상태이므로 상기 제 2 갈래의 도관(152)으로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그 온도가 낮추어 지고, 이어 상기 제 1 및 제 2 팽창 장치(120 및 130)로 각각 나누어져 유입된다. Thereaft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150 is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through the first branch conduit 151 coming out of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0.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valve 180 is closed, no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conduit 152.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is lowered in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with outdoor air, and then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devices 120 and 13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 2 팽창 장치(130)와 제 2 실내 열교환기(110) 사이에 설치된 제 1 밸브(170)가 열려 있어 이들 사이를 교통시키고 있으므로,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제 2 팽창 장치(130)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팽창 장치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화한 후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로 유입되고,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상기 제 1 팽창 장치(120)를 거친 냉매는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로 유입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valve 170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open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the second expansion devic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130 is converted into a refrigerant having a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device, and then flows in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opens the first expansion device 120. Coars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하는 도 3의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 내부를 흐르는 냉매는 동일 종류로, 동일한 싸이클을 흐르므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들은 실내 공기를 설정 온도로 낮추는 것과 같은 동일한 기능(냉방 기능)을 수행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FIG. 3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the cool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is the same type and flows in the same cycle. Perform the same function (cooling function) as lowering to the set temperature.

상기 도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에 표시된 실선의 화살표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거치며 열교환하여 낮은 온도로 변화된 냉기를 의미한다.In FIG. 3, the solid arrows indi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indicate cold air that has been changed to a low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이어, 도 4를 참조하여, 난방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을 설명한다. Next,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냉방 운전 시와 같이 난방 운전 시에도 상기 제 1 밸브(17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밸브(18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일측과 제 2 팽창 장치(130)의 일측 사이는 교통되고,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일측과 상기 압축기(150)의 일측 사이는 교통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As in the cooling operation, the first valve 170 maintains the open state, and the second valve 180 maintains the closed state. Therefore, a traffic is communicat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and a traffic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0. Stay in a state that doesn't work.

실내팬(미도시)이 회전을 시작하면 공기조화기의 흡입구(미도시)로 실내 공 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상기 실내 공기는 제 1 실내 열교환기(100)와 그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를 차례로 거치며 열교환을 하는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의 내부에는 고온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 When the indoor fan (not shown) starts to rotate,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take por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The sucked indoor air passes through a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and a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nstalled at a rear thereof in order to exchange heat.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Inside, the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상기 고온의 냉매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들의 타측들과 그 타측이 연결된 압축기(150)로 부터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150)를 거치면서 고온 고압의 냉매로 변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사방변(160)은 냉매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압축기 방향으로 흐르도록 절환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에서 실내 열교환기 방향으로 흐르도록 절환된다.The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from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and the compressor 15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passes through the compressor 150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It is a changing state. At this time, the four sides 160 is for controll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is switched to flow in the direction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to the compressor,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is heat exchanged in the compressor in the indoor It is switched to flow in the direction of air.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들 내부를 흐르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한 냉매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팽창 장치(120 및 130) 유입된 후 이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화한다. 이때, 상기 제 2 밸브(180)는 닫혀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일측과 압축기(150)의 일측 사이가 교통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저온 저압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150)로 흐르지 않고 상기 제 2 팽창 장치(130)로 흐른다.The refrigerant having exchanged heat with the indoor air while flowing inside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devices 120 and 130, respectively,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respectively. To change.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valve 180 is closed and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0 are not in communication,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does not flow to the compressor 150. Flows into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without.

상기 제 1 및 제 2 팽창 장치(120 및 130)를 거치며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화된 냉매는 상기 팽창 장치들의 타측과 그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를 거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다소 그 온도가 높아진다. 이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 의 타측과 연결된 제 1 갈래의 도관(151)을 통해 압축기(150)로 유입된 냉매는 이를 거치면서 고온 고압의 냉매로 변화되고, 이후 사방변(160)을 거쳐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로 나누어져 유입된다. The refrigerant changed into a gaseous state of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devices 120 and 130 is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to which the other side and the one side of the expansion devices are connected,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e temperature is somewhat increased by heat exchange with out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passing through 140. Subsequently,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150 through the first branch conduit 151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is changed into a refrigerant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hile passing therethrough, and then the four sides 160 Passed through the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하는 도 4의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 내부를 흐르는 냉매는 동일 종류로, 동일한 싸이클을 흐르므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들은 실내 공기를 설정 온도로 높이는 것과 같은 동일한 기능(난방 기능)을 수행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FIG. 4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heating operation, the refrigerants flowing inside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are of the same type and flow the same cycle. Perform the same function (heating function), such as raising to a set temperature.

상기 도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에 표시된 점선의 화살표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거치며 열교환하여 높은 온도로 변화된 온기를 의미한다.In FIG. 4, the dashed arrows indi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indicate warmth changed to a high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정온 제습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을 설명한다. Subsequently,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공기조화기가 정온 제습 운전으로 그 운전 모드를 변환하면, 상기 냉/난방 운전과는 반대로, 상기 제 1 밸브(170)는 닫히고 상기 제 2 밸브(180)는 열린다. 따라서,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일측과 제 2 팽창 장치(130)의 일측 사이는 교통되지 않는 반면,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의 상기 일측과 압축기(150)의 일측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갈래의 도관(152)이 교통된다.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in contrast to the cooling / heating operation, the first valve 170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180 is opened. Therefore, while no traffic is communicat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between the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0. A second branch conduit 152 connecting is communicated.

실내팬(미도시)이 회전을 시작하면 공기조화기의 흡입구(미도시)로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상기 실내 공기는 제 1 실내 열교환기(100)와 그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를 차례로 거치며 열교환을 하는데, 이때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가 흐르고, 상기 제 2 실내 열교 환기(110)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매가 흐른다.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 내부를 흐르는 저온의 냉매는 제 1 팽창 장치(120)의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것이고,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 내부를 흐르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150)의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것이다.When the indoor fan (not shown) starts to rotate,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take por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The sucked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which is installed at the rear, in order to exchange heat. In this case, the inside of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has a low temperature. A refrigerant flows, and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nside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is introduced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pansion device 120, and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the compressor. It is introduced from one side of 150.

먼저, 제 1 실내 열교환기(100) 내부를 흐르는 저온 냉매의 흐름 싸이클을 설명하면, 도 3의 냉방 운전 시와 같이, 냉매는 제 1 실내 열교환기(100) → 압축기(150) → 제 1 갈래의 도관(151) → 실외 열교환기(140) → 제 1 팽창 장치(120) → 제 1 실내 열교환기(100) 순으로 흐른다. First, the flow cycle of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the cooling operation of FIG. 3, the refrigerant is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 the compressor 150 → the first branch. Conduit 151 → outdoor heat exchanger 140 → first expansion device 120 →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flows in this order.

실외 열교환기(140)를 거친 냉매는 상기 제 1 팽창 장치(120)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상태로 변화하고, 이러한 저온의 냉매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 내부로 유입된다. 실내 공기는 상기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결로되어 그 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습기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실내 공기는 필연적으로 그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changes to a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expansion device 120, and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Indoor air condenses in the process of heat exchange with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therein. At this time, the indoor air is necessarily lowered in temperature.

한편,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 내부를 흐르는 상대적으로 고온 냉매의 흐름 싸이클은 제 2 실내 열교환기(110) → 압축기(150) → 제 2 갈래의 도관(152) → 제 2 실내 열교환기(110) 순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low cycle of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 the compressor 150 → the second conduit 152 →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in order.

제 1 및 제 2 실내 열교환기(100 및 110)의 타측에서 상기 사방변(160)을 거쳐 압축기(150)의 타측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150)을 거치면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변화된다. 이후, 상기 압축기(150) 거친 냉매는 상기 압축기(150)의 일측으로 분지되어 나온 제 1 갈래의 도관(151) 및 제 2 갈래의 도관(152)으로 나누 어져 흐르는데, 상기 제 1 갈래의 도관(151)을 거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로 흐르고 (이때, 상기 제 1 밸브(170)가 닫혀있으므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를 통과한 냉매가 제 2 팽창 장치(130)을 거쳐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로 유입될 수는 없다), 상기 제 2 갈래의 도관(152)을 거친 냉매는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로 흐른다. 이때, 상기 사방변(160)은, 도 3의 경우와 같이,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에서 압축기 방향으로 흐르도록 절환된다.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or 150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100 and 110 through the four sides 160 is changed into a stat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150. . Thereafter, the coarse refrigerant of the compressor 150 is divided into a first branched conduit 151 and a second branched conduit 152 branched to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0, and the first branched conduit (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151 flows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and finally flows into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valve 170 is close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is closed). Passed refrigerant cannot enter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through the second expansion device 130),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branch conduit 152 is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Flows). At this time, the four sides 160, as in the case of Figure 3, is switched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compressor direction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제 1 갈래의 도관(151)을 통과하는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40) 및 제 1 팽창 장치(120)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상태로 변화하는 반면, 상기 제 2 갈래의 도관(152)을 통과하는 냉매는 다른 통과물 없이 바로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로 유입되므로 고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한다.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nched conduit 151 changes to a state of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and the first expansion device 120, while the second branched conduit 152 is remove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without any other passing material, thereby maintain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흡입구(미도시)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를 거치면서는 그 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습기를 결로 과정에서 제거하는 것에 의해 건조한 상태로 변화하고(제습 기능),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를 거치면서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를 거치면서 낮아진 실내 공기의 온도를 보상하여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정온 기능).Therefore,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air inle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is changed to a dry state by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condensation process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 Dehumidification functio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can be increased by the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110.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low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is compensated. To maintain a certain level (temperature function).

상기 도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에 표시된 실선의 화살표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100)를 거치며 열교환하여 낮은 온도로 변화된 냉기를 의미하고,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110)에 표시된 점선의 화살표는 상기 제 2 실 내 열교환기(110)를 거치며 열교환하여 높은 온도로 변화된 온기를 의미한다.In FIG. 5, a solid arrow marked on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means cold air that is changed to a low temperature by heat exchange through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100,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 The dashed arrow indicated by 110 indicates warmth that is changed to a high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through the heat exchanger 110 in the second chamber.

본 발명에 의한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에 의하면, 전.후로 서로 중첩되도록 두 대의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한 후, 정온 제습 운전 시, 하나의 실내 열교환기에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실내 열교환기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실내 열교환기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고온의 냉매가 흐르는 실내 열교환기는 상기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실내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그 온도가 낮아진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낮아진 온도를 보상하는 정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talling two indoor heat exchangers so as to overlap each other before and after, and at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one indoor heat exchanger ha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refrigerant. By allowing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to flow through the other indoor heat exchanger, the indoor heat exchanger through which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to perform a dehumidification function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nd the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The indoor heat exchanger flowing through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whose temperature is lowered to perform a constant temperature function to compensate for the lowered temperature.

따라서, 일반적인 냉/난방 기능과 함께 정온 제습 기능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long with the general cooling / heating functions.


Claims (9)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냉매가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An outdoor heat exchanger in which the refrigerant is heat-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후방에 설치되는 제 1 실내 열교환기;A first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behind the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 2 실내 열교환기;A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at a rear of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제1실내 열교환기 사이의 냉매 유로상에 위치하여, 정온 제습 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1 팽창 장치;A first expansion device positioned on a refrigerant passage betwe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to expand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dur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 사이의 냉매 유로상에 위치하는 제 2 팽창 장치;A second expansion device positioned on a refrigerant path betwe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팽창 장치 사이의 냉매 유로상에 설치되어, 정온 제습 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밸브; 및A first valve installed on a refrigerant passage between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expansion device to prevent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from flowing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dur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nd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의 냉매 유로상에 설치되어, 정온 제습 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의 일부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제 2 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A second valve installed on a refrigerant passage between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compressor to guide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dur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ir condition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configured to includ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압축기는 일측이 상기 제 2 밸브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밸브의 다른 일측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The compressor i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alve i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냉/난방 운전시에는 상기 제 1 밸브는 열고 상기 제 2 밸브는 닫아 상기 제 2 팽창 장치와 제 2 실내 열교환기를 교통시키고, 정온 제습 운전시에는 상기 제 1 밸브는 닫고 상기 제 2 밸브는 열어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를 교통시켜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로 유동하고, 냉매의 다른 일부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유동시키는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In the cooling / heating operation, the first valve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is closed to communicate the second expansion device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In the case of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the first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is opened. And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ying function for communicating a compressor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so that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flows 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another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내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제 1,2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밸브와,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상기 압축기의 타측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for exchanging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the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nd a second valve positioned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a first valve position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or, 정온 제습 운전시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 2 밸브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로 유동시키고, 냉매의 다른 일부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로 유동시켜, 제 1 실내 열교환기에는 저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저온의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그 후방에 설치된 제 2 실내 열교환기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고온의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는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Dur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passes through the second valve to flow 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another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to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to allow heat exchange between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and indoor air, and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installed behind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Air conditioning unit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function to heat exchange the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and indoor air.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냉방 시에는 상기 제 1,2 실내 열교환기는 이들의 일측들과 그 일측들이 각각 연결된 제 1,2 팽창 장치로부터 냉매를 공급받고, 난방 시에는 상기 제 1,2 실내 열교환기는 이들의 타측들과 그 타측이 연결된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으며, 정온 제습 시에는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팽창 장치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데 반해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는 일측과 연결된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When cooling,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receive refrigerant from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devices to which one side and one side thereof are connected, respectively,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indoor heat exchangers. A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in the case of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receives a refrigerant from the first expansion device, whereas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receives a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connected to one side. Air conditioner with the func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냉/난방 시에는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제 2 팽창 장치의 일측 사이에 설치된 제 1 밸브를 열고,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압축기의 타측 사이에 설치된 제 2 밸브를 닫음으로써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제 2 팽창 장치의 일측이 교통되도록 하며, 정온 제습 시에는 상기 제 1 밸브는 닫고 상기 제 2 밸브는 개방하여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과 압축기의 타측이 교통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In the case of cooling / heating, by opening the first valve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one side of the second expansion device, and closing the second valve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or.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one side of the second expansion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uring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the first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is opened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or are opened. Air conditioner to allow traffic.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정온 제습 시, 상기 압축기의 타측에서 공급되는 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 2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으로 흐르고, 나머지는 실외 열교환기로 흐른 후 제 1 팽창 장치를 거쳐 상기 제 1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조화기.During the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a part of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or flows to one side of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remaining flows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n flows into one side of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through a first expansion device. Air conditioner.
KR1020030091217A 2003-12-15 2003-12-15 Air conditioner having fix temperature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KR101105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217A KR101105953B1 (en) 2003-12-15 2003-12-15 Air conditioner having fix temperature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217A KR101105953B1 (en) 2003-12-15 2003-12-15 Air conditioner having fix temperature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134A KR20050060134A (en) 2005-06-22
KR101105953B1 true KR101105953B1 (en) 2012-01-18

Family

ID=3725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217A KR101105953B1 (en) 2003-12-15 2003-12-15 Air conditioner having fix temperature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95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892B1 (en) 2012-09-12 2012-12-24 (주)세기 Constant temperature clean dehumidifier
WO2019143198A1 (en) * 2018-01-19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type air conditioner
WO2019143195A1 (en) * 2018-01-19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type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88B1 (en) * 2007-07-06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840A (en) * 1992-03-26 1993-10-22 Kubota Corp Air-conditioning processing equipment
KR970021998A (en) * 1995-10-10 1997-05-28 구자홍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er of reheat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840A (en) * 1992-03-26 1993-10-22 Kubota Corp Air-conditioning processing equipment
KR970021998A (en) * 1995-10-10 1997-05-28 구자홍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ier of reheat air condition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892B1 (en) 2012-09-12 2012-12-24 (주)세기 Constant temperature clean dehumidifier
WO2019143198A1 (en) * 2018-01-19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type air conditioner
WO2019143195A1 (en) * 2018-01-19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type air conditioner
KR20190088693A (en) * 2018-01-19 2019-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ype air conditioner
EP3742075A4 (en) * 2018-01-19 2021-10-13 LG Electronics Inc. Multi-type air conditioner
KR102418488B1 (en) 2018-01-19 202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ype air conditioner
US11448408B2 (en) 2018-01-19 2022-09-20 Lg Electronics Inc. Multi-type air conditioner
US11486591B2 (en) 2018-01-19 2022-11-01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apable of performing dehumidification while maintaining a temperature of indoor air at a constant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134A (en)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0207B2 (en) Ventilation air conditioner
JPH08271088A (en)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ler
KR102232441B1 (en) Air conditioner with six port
KR20070077892A (en)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KR100430278B1 (en) Air Conditioner Applying Heatpipes
CN109595694A (en) A kind of wall hanging fresh air, air conditioner integrated machine
KR102314183B1 (en) All-in-one heat exchange ventilator that allows air cooling bypass and de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105953B1 (en) Air conditioner having fix temperature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JP3980215B2 (en) Heat exchange ventilator
KR200375780Y1 (en) Separated type ventilation withdrawal rate adjustment waste heat withdrawal combined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KR100867766B1 (en) Air-conditioner using exhast heat
KR100849549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14198808A (en) Reheating type passive environmental control integrated machine set
KR102324917B1 (en) Small-Type Air Conditioner Mounted in Bathroom
JPH1089748A (en) Air conditioner
KR100655382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690915B1 (en) Air-conditioner and dehumidifying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H0718570B2 (en) Air purification ventilatio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system of the device
CN115183441B (en) Air conditioner
KR102413709B1 (en) High-efficiency heat pump system with heat exchange function
JPH06123469A (en) Operation controller for dehumidifying unit with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ng function
KR100519331B1 (en) cooling and heating system with ventilating room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 system
KR20110087894A (en) Heat exchange ventilating apparatus
KR100889128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3480869B2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