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612B1 - 사용자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과,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및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과,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및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612B1
KR101104612B1 KR1020100017452A KR20100017452A KR101104612B1 KR 101104612 B1 KR101104612 B1 KR 101104612B1 KR 1020100017452 A KR1020100017452 A KR 1020100017452A KR 20100017452 A KR20100017452 A KR 20100017452A KR 101104612 B1 KR101104612 B1 KR 10110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combination
service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034A (ko
Inventor
김인현
신중수
주성완
차지현
오승
Original Assignee
(주)한국공간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공간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한국공간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0001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6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상기 정보서비스 중 하나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고,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 조합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조합된 조합 정보서비스를 사용자의 복수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과,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및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u-Service combination method, combin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combinated u-Service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은, 정보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제공하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및 장치와, 이 조합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조합된 조합 정보서비스를 사용자의 복수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및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많은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정보 통신 인프라와 IT 기술을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를 제공하는 Ubiquitous City(u-C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u-City는 첨단 IT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 공간에 융합해 원스톱 행정서비스, 자동화한 교통, 방법, 방재 시스템 및 주거 공간의 홈 네트워크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형 도시로, IT 산업의 총체적인 역량이 집결되고 건설, 가전, 문화와의 컨버전스가 발전적으로 전개되는 장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u-City의 특징을 지능화,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City는 도시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을 지능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도시 기능의 지능화(Intelligence), 전자적 공간 구현의 기반이 되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연결(Network), 언제 어디서나 보편적인 서비스 활용을 추구하는 공동플랫폼 및 통합관리(Platform), 유비쿼터스 기술이 접목된 실용적인 서비스를 추구하는 응용서비스의 다양화와 상용화(Application)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u-City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상황과 필요성에 가장 적합한 정보서비스(통상, "u-Service"라 함)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지능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u-City 환경(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상기 다양한 u-Service를 조합하고 융복합하는 것으로 새로운 u-Service를 생성할 수 있지만, 전문 개발자와 u-Service를 제공하는 사업자만이 u-Service를 조합한다면 기존에 개발된 u-Service들의 높은 활용도를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통신단말)에서 손쉽게 기존에 개발된 u-Service들을 재활용하여 조합할 수 있는 조합 도구를 제공하고, 상기 조합 도구에 의해 조합한 정보서비스를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정보서비스 제공 사업자 서버)에 전달하여, 타 이용자도 상기 조합된 정보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보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제공하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및 조합 장치와, 상기와 같이 조합된 정보서비스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조합된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상기 정보서비스 중 하나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고,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상기 정보서비스 중 하나를 정보서비스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고,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한 도메인의 입력값을 가지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시된 정보서비스를 다시 필터링하여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로부터 조합 정보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합 정보서비스를 복수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정보서비스를 제공받아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자신의 통신단말에 설치된 정보서비스들을 조합해 새로운 정보서비스(이하, "조합 정보서비스"라 통칭함)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는 조합 도구를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기존의 정보서비스를 재활용해서 작성한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를 타 이용자(또는 타 이용자의 통신단말)들에게 배포를 가능케 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의 목적에 맞는 최적화된 조합 정보서비스를생성하여 이용 가능하고, 이렇게 생성된 조합 정보서비스는 다시 타 이용자들에게 배포되어 사용 가능하게 되므로, 기존 정보서비스의 활용의 극대화 및, 폭넓고 다양한 정보서비스 제공이 현실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로서의 상기 통신단말(10)과, 정보서비스 제공 서버(20) 및, 위치 추적 시스템(3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단말(10: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에서 조합 도구에 의해 수행되는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정보서비스 조합 과정 및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유비쿼터스 환경]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 백본망 및 이 백본망에 연결된 복수의 AP(access point: AP1 내지 APn) 장치로 이루어지며, 소정 범위, 예를 들면 10~200m 범위 내의 단말(스마트 폰 등의 통신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된 근거리 통신망(100: WiFi 등)과;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으로 구성되어, 각 기지국의 담당 범위 내에 위치된 통신단말(10-1 내지 10-n)과 통신할 수 있도록 된 원거리 이동통신망(200)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신단말과 전용선에 의한 유선 통신망도 구성된다. 한편,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는, Wi-Fi(IEEE 802.11b), Zigbee(IEEE 802.15.4), UWB, 블루투스(Bluetooth),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및 원거리 이동통신망(100, 200)을 통해서 상기 통신단말(1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통신단말(10)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는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LBS(Location Based Service) 및,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GPS 중 적어도 하나가 통합되어 구현되는 위치 추적 시스템(30)과; 상기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원거리 이동통신망(100, 200)을 통해서 상기 통신단말(10)에 실시간으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위, "u-City 시스템"으로 불리는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20: 이하, "정보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서버"로 통칭하여 설명함)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위치 추적 시스템(30)에서 사용되는 위치 추적 기법은, Cell-ID, GPS 위치 신호,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이용한 삼각법, Cell-ID를 이용한 삼각법,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RSSI를 이용한 삼각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SSI는, 복수의 AP로부터 상기 통신단말로 전송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단말(10)로부터 직접 상기 위치 추적 시스템(30)으로 전송되거나, 서버(20)를 경유하여 위치 추적 시스템(30)으로 전송된다. 상기 위치 추적 시스템(30)에서는 복수의 RSSI를 참조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 후, 다시 서버(20)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20)에서는 이 위치 정보를 참조로 통신단말(1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버(20)는 통신단말(10)의 위치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파악하면서(즉, 통신단말(10)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면서),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통신단말]
한편, 상기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단말(1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TCP/IP 기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또는 노트북(Notebook), 또는 상기 TCP/IP 기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단말(예컨대, 셋탑박스(Set-Top-Box)등), 또는 TCP/IP 기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키오스크(KIOSK)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단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반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IEEE 802.16x 기반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Motorola사의 DataTAC 방식 또는 Erricson사의 Mobitex 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CDMA 기반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또는 HSDPA 기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통신 단말, 또는 상기 IEEE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휴대 인터넷 단말, 또는 상기 DataTAC/Mobitex 기반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데이터 통신단말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단말(10)은, 복수의 GPS위성으로부터의 GPS 위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정보서비스 이용 방법]
도 1에 나타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정보서비스 이용방법은, 정보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10)을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접속하거나 또는, 접속 가능한 구획에 위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로서의 상기 통신단말(10)과, 정보서비스 제공 서버(20) 및, 위치 추적 시스템(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통신단말(10)은,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 서버(20)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부(11a: 무선 랜카드)와, 원거리 이동통신을 위한 이동통신부(11b: 이동통신 모듈)로 이루어지는 통신부(11)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2)와;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수신된 정보서비스(애플리케이션)를 단말 상에서 동작 및 표시하기 위한 처리부(13) 및; 통신단말마다 설치된 정보서비스(애플리케이션)를 저장하는 개인 정보서비스 저장부(14: 통신단말 상의 메모리로 구성됨)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정보 입력 및 선택을 위한 터치패널 등의 입력장치(10a) 및/또는 표시장치(10b)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13)는,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들을 사용자가 손쉽게 직접 조합하여 새로운 정보서비스(이하, "조합 정보서비스"라 함)를 생성하고,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를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전송하는 기능을 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단말(10)의 저장부(14)에는, 각 개별 정보서비스의 조합을 위한 "조합 도구"(조합 프로그램 툴: combiantion program tool)가 저장되며, 이러한 조합 도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정보서비스 조합시), 상기 처리부(13)에 의해, 상기 정보서비스 저장부(14)로부터 인출되어, 통신단말 상에서 실행된다.
또한, 상기 정보서비스 저장부(14)는, 복수 정보서비스의 조합을 위해서, 각 정보서비스별-출력값-입력값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단일 용어의 텍스트(예를 들어, "날씨", "맑음", "흐림" 등) 또는 복수 용어의 텍스트들의 집합(예를 들어, "날씨 맑음", "날씨 흐림")을 동일 카테고리로 묶은 도메인을 복수 저장한다.
한편, 상기 조합 도구는 필요에 따라, 상기 서버(20)로부터 전송받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는 상기 처리부(13)에 의해 생성된 조합 정보서비스를 상기 유비쿼터스 내의 다른 통신단말(10')로 전송한다. 이러한 조합 정보서비스 전송은 상기 서버(20)를 경유하여 행해지거나, 상기 블루투스(Bluetooth), RFID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 서버(20)는, 상기 통신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단말(10)로 정보서비스 및 정보서비스 ID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10)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30)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21)와; 상기 통신단말(10)로 제공되는 복수의 정보서비스(1 내지 n) 및 이들 정보서비스 식별용의 정보서비스 ID가 저장되는 정보서비스DB(2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정보서비스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통신단말(10) 또는 위치 추적 시스템(30)으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ID, 정보서비스 ID, 조합 정보서비스 ID), 시간 정보(정보서비스 사용 시간 정보) 등의 "상황정보"를 참조로, 해당 통신단말(10)에 대한 최적의 정보서비스를 판단하고, 상기 정보서비스DB(25)에서 해당하는 정보서비스를 검색한 후, 상기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처리부(22)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정보서비스 처리부(22)는, 상기 복수의 통신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조합 정보서비스"를 수신하여, 각각의 조합 정보서비스에 검색용의 ID를 부여한 후, 조합 정보서비스DB(26)에 저장한다.
상기 DB(26)에 저장된 조합 정보서비스는 상기 통신단말의 요청에 따라, 정보서비스로서, 요청한 통신단말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최적의 정보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례로서는, 상기 상황정보를 참조로, 상기 복수의 AP 또는 기지국이 담당하는 복수의 구획 각각에서의 선호 정보서비스를 조사하여 DB(25 또는 26)에 저장해 두고, 통신단말이 상기 어느 한 구획에 위치될 경우, 상기 구획에 대한 해당 선호 정보서비스를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의 정보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로서는, 상기 복수의 AP 또는 기지국이 담당하는 복수의 구획 중 어느 한 구획에서의 소정의 조합 정보서비스 전송을 선호 조합 정보서비스로서, 상기 DB(25 또는 26)에 저장해 두고, 통신단말이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를 전송한 어느 한 구획에 위치될 경우, 해당 통신단말로 상기 선호 조합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추적 시스템(30)은, 상기 근거리 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직접 또는 상기 서버(20)를 경유하여, 단말의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신호 수신부(31)와; 상기 서버(2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부(32)와; 상기 단말(10) 또는 상기 서버(20)로부터 전송되는 RSSI 또는 Cell-ID 또는 GPS 위치 신호를 참조로 상기 삼각법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33) 및; 생성된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10)로부터 전송된 단말 ID를, 단말 위치 정보-단말 ID 형태의 테이블 정보로서 저장하는 위치 정보 DB(34)를 구비한다.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단말(10: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에서 조합 도구에 의해 수행되는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통신단말 상에서 수행되는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통신단말(10)의 사용자는 상기 정보서비스 저장부(14)에 저장된 조합 도구를 인출하여, 통신단말 상에서 실행한다.
도 3의 (a)는 상기 조합 도구의 실행에 따라, 통신단말(10)에서 조합을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정보서비스(정보서비스 1 내지 n)가 표시화면으로서, 표시장치(1b)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참조부호 601은 정보서비스 명칭을 나타낸 창이며, 참조부호 602는 해당 정보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설명창이다.
도 3의 (b)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화면상에서, 소정 정보서비스(예를 들어, 정보서비스 1)를 클릭으로 선택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서비스 선택에 따라, 표시장치 상에는 도 3의 (c)와 같은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도 3의 (c)에 있어서는, 도 3의 (b)에서 정보서비스 1이 선택됨에 따라, 이 정보서비스 1은 조합을 위한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도면 중 좌측에 표시되며, 이 선행 정보서비스 1의 출력값과 동일한 도메인의 입력값을 갖는 그 밖의 정보서비스(정보서비스 2 내지 n: 이 정보 중 하나가 후행 정보서비스로 선택됨)가 제시되어 도면 중 우측에 표시되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603은 정보서비스의 출력값에 해당하는 노드를 나타내고, 604는 정보서비스의 입력값에 해당하는 노드를 나타내며, 605는 상기 출력값 또는 입력값에 대한 설명창을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2개의 노드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출력값 또는 입력값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노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에도 입력 노드가 구비되고, 후행 정보서비스에도 출력 노드가 구비되지만, 그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표시화면상의 정보서비스를 클릭함에 따라, 정보서비스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는 설명창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 1 또는 후행 정보서비스 2 내지 n의 노드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설명창(605)에는 노드의 출력값 또는 입력값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의 (c)에 있어서는, 선행 정보서비스 1의 출력값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채워진 원)와 그 밖의 노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채워지지 않은 원)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설명창(605)에 선행 정보서비스 1의 노드의 출력값에 대한 설명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우측에 제시된 후행 정보서비스의 입력값 노드는 선택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3의 (d)는 상기 도 3의 (c) 상태에 이어서, 상기 후행 정보서비스 2 내지 3 중에서 정보서비스 3을 선택하는 한편, 정보서비스 3의 어느 하나의 입력값 노드를 선택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어서, "완료"를 선택하게 되면, 예를 들어 선행 정보서비스 1과 후행 정보서비스 3의 조합이 완료된다.
도 3의 (e)는 상기 조합에 따른 "조합 정보서비스"가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06은 새로운 조합 정보서비스 1'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는 설명창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 1'에 다른 정보서비를 조합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된 다른 조합 정보서비스 2'에 또 다른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정보서비스 3' 등을 순차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f)는, 도 3의 (e)에 따른 조합 정보서비스 1'의 생성 후, 이 조합 정보서비스 1'이 선행 정보서비스 1'로서, 도면 중 좌측에 표시되며, 이 선행 정보서비스 1'에 조합될 그 밖의 정보서비스(정보서비스 2, 4 내지 n)이 도면 중 우측에 표시되는 한편, 정보서비스2의 입력값 노드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일례에 따른 정보서비스 조합 과정]
이하, 도 4의 (a)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정보서비스 조합 과정을 설명한다.
통신단말(10)의 사용자는, 자신의 "내일"의 "일정"에 관한 정보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며, 이를 위해 조합 정보서비스 1'을 생성하려 한다고 상정하자.
이때, 상기 도 3의 (a)의 정보서비스 1은, 예를 들어 "내일", "달력" 또는 "일정" 등의 입력값에 따라, "날짜", "날짜-요일명", "날짜-일정" 등의 출력값을 표시하는 정보서비스로 상정하고, 상기 정보서비스 2는, "장소" 또는 "날짜" 등의 입력값에 따라, "날씨"를 표시하는 정보서비스로 상정하며, 상기 정보서비스 3은, "날짜" 등의 입력값에 따라, "일정-이름", "일정-장소", "일정-날짜", "일정-시간" 등을 표시하는 정보서비스로 상정하며, 상기 정보서비스 10은, "메일" 등의 입력값에 따라, "전송 날짜" 등을 표시하는 정보서비스로 상정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서비스는 상기 정보서비스 저장부(14)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서비스에 포함된다. 즉, 상기 정보서비스 1은 입력값 노드가 3개이고, 출력값 노드가 3개이며, 상기 정보서비스 2는 입력값 노드가 2개이고, 출력값 노드가 1개이며, 상기 정보서비스 3은 입력값 노드가 1개이고, 출력값 노드가 4개이며, 상기 정보서비스 10은 입력값 노드가 1개이고, 출력값 노드가 1개이다.
먼저, 통신단말(10)의 사용자는, 정보서비스 저장부(14)에 저장된 상기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실행하여, 서버(20)로부터 통신단말에 제공되는 정보서비스 중 소정의 정보서비스 1을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한다(S10). 도 3의 (b) 참조. 예로서, 상기 "내일", "달력" 또는 "일정" 등의 입력값에 따라, "날짜", "날짜-요일명", "날짜-일정" 등의 출력값 노드를 표시하는 정보서비스 1을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한다.
이어서,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 1의 복수의 출력값 노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출력값을 선택한다(S20). 예를 들어, 3개의 출력값 노드 중 "날짜"의 노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날짜"의 출력값 노드를 선행 정보서비스 1의 출력값 노드로 선택하면, 상기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는, 선택한 출력값을 분석하여 동일한 도메인의 입력값을 가지는 후행 정보서비스를 필터링하여 표시화면 상에 제시한다(S30). 도 3의 (c) 참조. 이를 위해, 상기 조합 도구는, 상기 정보서비스 저장부(14)에 저장된 각 정보서비스별-출력값-입력값 정보 및 도메인 정보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정보서비스 1의 "날짜"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인 "날짜"의 입력값에 따라, "일정-이름", "일정-장소", "일정-날짜", "일정-시간" 등을 출력값으로 표시하는 상기 정보서비스3과, "장소" 또는 상기 정보서비스 1의 "날짜"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인 "날짜"의 입력값에 따라, "날씨"를 출력값으로 표시하는 정보서비스 2 및, 그 밖의 "날씨" 입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가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표시화면상에 제시된다. 한편, 상기 정보서비스 10은,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 1의 "날짜"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의 입력값이 없음에 따라, 제시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제시된 후행 정보서비스의 입력값 중에서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조합할 후행 정보서비스의 입력값을 선택한다(S40). 일례로서, 상기 정보서비스 2 및 3 중, 상기 정보서비스 3의 "날짜" 입력값 노드를 선택함으로써, 정보서비스 3을 후행 정보서비스로 선택한다.
한편, 선행 정보서비스는 복수의 출력값(복수의 노드)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출력값을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으로 선택하면, 해당 출력값과 동일한 도메일을 가지는 후행 정보서비스를 다시 필터링하고 조합 목적에 따라 후행 정보서비스의 입력값을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어서, 완료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후행 정보서비스의 입력값을 조합하여, 정보서비스 1과 정보서비스 3의 조합 정보서비스 1'을 생성한다(S50). 도 3의 (e) 참조.
이에 따라, "내일", "달력" 또는 "일정"의 입력값에 따라, "일정-이름", "일정-장소", "일정-날짜", "일정-시간" 등을 출력값으로 하는 조합 정보서비스 1'을 생성하게 된다.
이어서, 조합 완료된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 1'의 명칭 또는 기능 등의 간략한 설명을 입력하고, 사용자 통신단말의 정보서비스 저장부(14)에, 조합 정보서비스로서 저장한다(S60).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저장된 조합 정보서비스는 다른 통신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된다.
[2 이상의 정보서비스 조합 과정]
한편, 통신단말(10)의 사용자는, 상기 "내일"의 "일정"과 관련된 "장소"의 "날씨"에 관한 정보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 1'은, 다시 정보서비스 2와 조합되어야 한다.
즉,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 1'의 출력값은, "일정-이름", "일정-장소", "일정-날짜", "일정-시간" 등이 되고, 상기 정보서비스 2의 입력값이 "장소" 및 "날짜"임에 따라, 상기 "일정-장소" 또는 "일정-날짜"를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 1'의 출력값으로 선택하고, 상기 정보서비스 2의 입력값을 "장소" 또는 "날짜"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 1'과 정보서비스 2의 조합에 의해 새로운 조합 정보서비스 2'을 생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일", "달력" 또는 "일정"의 입력값에 따라, "일정-장소-날씨", "일정-날짜-날씨" 등을 출력값으로 하는 조합 정보서비스 2'을 생성하게 된다.
이어서, 조합 완료된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 2'의 명칭 또는 기능 등의 간략한 설명을 입력하고, 사용자 통신단말의 정보서비스 저장부(14)에, 조합 정보서비스 2'로서 저장한다(S60).
[다른 예에 따른 정보서비스 조합 과정]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정보서비스 조합 과정을 도 4의 (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통신단말(10)의 사용자는, 정보서비스 저장부(14)에 저장된 상기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실행하여, 서버(20)로부터 통신단말로 전송된 정보서비스 중 소정의 정보서비스 1을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한다(S10).
이러한 선택에 따라, 상기 정보서비스 조작 도구는,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 1의 출력값을 분석하여, 동일한 도메인의 입력값을 가지는 정보서비스를 필터링하여 표시화면 상에 제시한다(S20').
예를 들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 1의 출력값 노드가, "날짜", "날짜-요일명", "날짜-일정" 등의 복수의 출력값 노드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정보서비스 1의 복수의 출력값 각각에 대해서, 동일한 도메인의 입력값을 가지는 정보서비스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합 도구는, 상기 정보서비스 저장부(14)에 저장된 각 정보서비스별-출력값-입력값 정보 및 도메인 정보를 사용한다.
이어서, 선행 정보서비스 1의 복수의 출력값 노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30'). 이러한 출력값 선택에 따라, 상기 단계 S20'에서 제시된 정보서비스는 다시 필터링되어, 다시 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정보서비스 1의 "날짜", "날짜-요일명", "날짜-일정" 등의 복수의 출력값 노드 중 "날짜-요일명"을 출력값으로 선택하면, 다시 제시되는 정보서비스는, "날짜" 또는 "요일명"의 입력값만을 갖는 정보서비스만이 제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제시된 정보서비스의 입력값 중에서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조합할 입력값을 선택한다(S40). 일례로서, 상기 정보서비스 3의 "날짜" 입력값 노드를 선택함으로써, 정보서비스 3을 후행 정보서비스로 선택한다.
이어서, 완료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후행 정보서비스의 입력값을 조합하여, 정보서비스 1과 정보서비스 3의 조합 정보서비스 1'을 생성한다(S60). 그 다음 과정은, 상기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과정]
한편, 상기와 같은 조합 정보서비스는, 다른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의 (c)를 참조로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통신단말(10)은 상기 저장부(14)에 저장된 조합 정보서비스를 상기 서버(20)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20)는 이 조합 정보를 상기 정보서비스 DB(25)에 저장한다(S80).
이어서, 다른 통신장치(10')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조합 정보서비스를 다른 통신장치(10')로 전송한다(S70).
한편, 상기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단말간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항의 내용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통신단말, 14 - 정보서비스 저장부,
13, 22 - 처리부, 20 - 서비스 제공자 서버,
26 - 조합 정보서비스 DB.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으로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인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정보서비스 중 하나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는 단계(S10)와;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2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는 단계(S30)와;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이 상기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는 단계(S4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S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2.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으로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인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정보서비스 중 하나를 정보서비스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는 단계(S1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한 도메인의 입력값을 가지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는 단계(S2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시된 정보서비스를 다시 필터링하여 제시하는 단계(S30')와;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단계(S30')에서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는 단계(S4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S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는 단계(S10)와;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2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는 단계(S30)와;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는 단계(S4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S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는 단계(S1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한 도메인의 입력값을 가지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는 단계(S2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시된 정보서비스가 다시 필터링되어 제시되는 단계(S30')와;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단계(S30')에서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는 단계(S40)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S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
  5.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로서,
    상기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는, 상기 정보서비스 중 하나를 선행 정보서비스로 선택하고,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6.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로서,
    상기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는, 상기 정보서비스 중 하나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고,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한 도메인의 입력값을 가지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시된 정보서비스가 다시 필터링되어 제시하고, 상기 다시 필터링되어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도구는,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고,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도구는,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고,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또 다른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는,
    상기 조합 도구와, 각 정보서비스의 정보서비스별-출력값-입력값 정보 및 도메인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서비스 저장부(14)와;
    상기 조합 도구를 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정보서비스의 정보서비스별-출력값-입력값 및 도메인 정보를 참조로, 복수 정보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출력값과, 복수 정보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값을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처리부(13)와;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를 제공 서버(20) 또는 다른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10)와 전송하는 통신부(11)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는,
    상기 조합 도구와, 각 정보서비스의 정보서비스별-출력값-입력값 정보 및 도메인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서비스 저장부(14)와;
    상기 조합 도구를 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정보서비스의 정보서비스별-출력값-입력값 및 도메인 정보를 참조로, 복수 정보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출력값과, 복수 정보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값을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처리부(13)와;
    상기 조합 정보서비스를 제공 서버(20) 또는 다른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10)와 전송하는 통신부(11)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11.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를 선행 정보서비스로 선택하고,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 도메인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로부터 조합 정보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합 정보서비스를 복수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
  12.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를 선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고,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과 동일한 도메인의 입력값을 가지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제시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시된 정보서비스가 다시 필터링되어 제시하고, 상기 다시 필터링되어 제시된 복수의 정보서비스 중 하나의 입력값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서비스를 후행 정보서비스로서 선택하며, 상기 선행 정보서비스와 후행 정보서비스를 조합하여, 조합 정보서비스를 생성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갖는 복수의 정보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정보서비스 조합 도구를 구비한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로부터 조합 정보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합 정보서비스를 복수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00017452A 2010-02-26 2010-02-26 사용자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과,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및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 KR10110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452A KR101104612B1 (ko) 2010-02-26 2010-02-26 사용자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과,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및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452A KR101104612B1 (ko) 2010-02-26 2010-02-26 사용자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과,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및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034A KR20110098034A (ko) 2011-09-01
KR101104612B1 true KR101104612B1 (ko) 2012-01-12

Family

ID=4495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452A KR101104612B1 (ko) 2010-02-26 2010-02-26 사용자 참여형 정보서비스 조합 방법과, 정보서비스 조합 장치 및 조합 정보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6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044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한 동적 서비스 조합 시스템 및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64732A (ko) * 2007-01-05 2008-07-0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 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27158A (ko) * 2007-04-06 2009-12-09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서비스·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기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044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한 동적 서비스 조합 시스템 및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64732A (ko) * 2007-01-05 2008-07-0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 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27158A (ko) * 2007-04-06 2009-12-09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서비스·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034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g et al. Spectrum inference in cognitive radio network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US10313964B2 (en) WiFi access system
CN105008959A (zh) 经由gps定位利用分布的分析产生地理围栏
CN105850218B (zh) 一种d2d通信的发现方法、装置及系统
CN103596128B (zh) 一种信息提供方法、装置、系统及移动终端
CN105187468A (zh) 用于服务发现的动态布隆过滤器操作
CN101731017A (zh) 信息的收集系统、登记服务器、收集方法及便携终端装置
CN101848416A (zh) 一种移动终端、应用服务器及应用推送方法和系统
CN102867031A (zh) 兴趣点poi搜索结果优化方法、系统、移动终端和服务器
CN106603609A (zh) 文件发送、传输方法及装置
CN103942221B (zh) 检索方法及设备
CN103338475A (zh) 无线接入点的测试方法及装置、测试终端
CN105898841A (zh) 智能终端和终端分享wlan资源的方法
CN105912358A (zh) 智能电子设备及其设置方法
CN102067633A (zh) 用于位置共享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CN102063834A (zh) 含有地理位置信息的智能交互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10351654A (zh) 一种定位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7291713A (zh) 兴趣点搜索关键词的提示方法、终端和服务器
JP2014529374A (ja) 無線通信装置の装置識別情報を用いるコンテンツ表示方法、コンテンツ提供方法、前記コンテンツ表示方法を行うユーザ端末及び前記コンテンツ提供方法を行う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CN105208130A (zh) 景点解说方法及系统、服务器、终端
CN113064183A (zh) 一种多源融合的定位终端及定位方法
CN104039008A (zh) 一种混合定位方法
CN103841513A (zh) 服务信息提供方法、服务器及系统
CN108200584A (zh) 一种待建wlan站点的筛选方法及装置
CN102802258A (zh) 扩充定位数据库的方法、服务器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