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466B1 -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tunnel using digital imag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tunnel using digital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466B1
KR101104466B1 KR1020110054886A KR20110054886A KR101104466B1 KR 101104466 B1 KR101104466 B1 KR 101104466B1 KR 1020110054886 A KR1020110054886 A KR 1020110054886A KR 20110054886 A KR20110054886 A KR 20110054886A KR 101104466 B1 KR101104466 B1 KR 101104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block
information
digital image
dis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상기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4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4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18Projection by scanning of the objec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using photoelast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01B11/3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for measuring even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Abstract

PURPOSE: A tunnel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images are provided to reduce unnecessary driving of equipment b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utomatic inspection of a tunnel. CONSTITUTION: A tunnel inspection system using digital images comprises a measuring unit(103), an estimating unit(104), a recognizing unit(105), and an extracting unit(106). Th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3D structure of a discontinuous lock surface using 3D images of the heading of a tunnel. The estimating unit projects the measured 3D structure on the wall of the tunnel and estimates the locus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The recognizing unit manufactures a polygonal phase structure based on the estimated locus on the tunne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wall and the heading of the tunnel and recognizes a 3D block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using the polygonal phase structure. The extracting unit extracts an unstable block by analyzing the 3D block using a block theory and creates a 3D drawing of the extracted unstable block.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TUNNEL USING DIGITAL IMAGE}Tunnel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image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TUNNEL USING DIGITAL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unnel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images.

터널의 설계와 시공을 위한 지반조사는 지반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공 조사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다량의 시추공 조사는 많은 예산이 소요되고 국한된 시추조사로 획득된 국부적인 지반예측은 한계를 갖고 있다.The ground survey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tunnel relies heavily on the borehole survey to identify the ground condition. However, a large number of borehole surveys are expensive and local ground predictions obtained by localized borehole surveys are limited.

이러한 이유로 지반상태의 예측이 어려운 상태에서 설계된 터널은, 시공과정에서 획득되어 안정성과 경제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시공 중 자료의 획득과 활용을 무시한 채 기존의 설계 원안을 따라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시공 중 획득될 수 있는 지반자료의 조사기법과 분석방법이 부실함에 기인한다.For this reason, tunnels designed in the unpredictable condition of the soil are being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design plan, ignoring the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data during construction, which can be acquired during construction and contribute greatly to stability and economics. This problem is due to the lack of research and analysis methods of the ground data that can be obtained during construction.

이에, 전산화된 막장조사와 불연속면의 원격측정 등을 이용하여 단기간에 정밀한 불연속면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터널의 시공과 유지관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unnel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recise discontinuity data in a short time using computerized membrane survey and telemetry of discontinuiti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널의 시공 중 안정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화된 조사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시공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붕괴사고의 요인을 예측하여 시공기간 및 사고로 인한 불필요한 장비의 가동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시공을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n automated survey technique that can ensure the st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tunnel and applying it to the construction process, by predicting the factors of collapse accidents to operate unnecessary equipment due to the construction period and accid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nnel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images, which can shorten the time frame,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environment-friendly and safe constru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 (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 (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은 터널의 막장을 촬영한 입체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상기 터널의 벽면에 투영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궤적을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된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벽면과 상기 막장에 대응하는 터널 이미지에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3차원 블록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3차원 블록을 블록이론을 이용해 분석하여 불안정 블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불안정 블록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식화하는 추출부를 포함한다.Tunnel irradiation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of the rock distributed in the membrane 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membrane of the tunnel; An estimator for estimating a trajectory of the discontinuous plane by projecting the measured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plane on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A recognition unit for manufacturing a polygonal phase structure in the tunnel image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face and the barrier based on the estimated trajectory, and recognizing a three-dimensional block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using the prepared polygonal phase structure; And an extraction unit for analyzing the recognized three-dimensional block by using block theory to extract an unstable block and plotting the extracted unstable block in a three-dimensional draw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은 일렬로 정열되어 서로 계획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입체 사진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stereoscopic image by using two cameras arranged in a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은 상기 불안정 블록의 3차원 도면을 포함하는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databaseing the membrane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including the 3D drawing of the unstable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은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전문가 집단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real-time sharing of the curtain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with an expert group through the Internet using a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은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막장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연장성을 분석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adjacent film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film thickness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and a comparison unit for analyzing the extension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펜 조작에 따른 상기 불연속면의 스케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입력된 스케치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할 수 있다.Tunnel irradiation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sketch information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according to the user's pen oper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asuring unit By using the sketch information, the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of the rock distributed in the film can be meas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은 상기 불안정 블록의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기 조사된 굴착 부분의 암반의 절리 분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굴착될 부분의 불연속면 분포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unnel irradiation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joint distribution of the rock of the excavated portion irradiat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drawing of the unstable block, the portion to be excavat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dictor configured to predict the discontinuity distribu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은 터널의 막장을 촬영한 입체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상기 터널의 벽면에 투영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궤적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벽면과 상기 막장에 대응하는 터널 이미지에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3차원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3차원 블록을 블록이론을 이용해 분석하여 불안정 블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불안정 블록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식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unnel irradiation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of the rock mass distributed in the membrane 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membrane of the tunnel; Estimating a trajectory of the discontinuous plane by projecting the measured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plane on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Fabricating a polygonal phase structure in the tunnel image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face and the barrier based on the estimated trajectory, and recognizing a three-dimensional block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using the prepared polygonal phase structure; And extracting an unstable block by analyzing the recognized 3D block using block theory, and plotting the extracted unstable block into a 3D draw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은 일렬로 정열되어 서로 계획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입체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unnel irradiation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obtaining the three-dimensional picture by using two cameras arranged in a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은 상기 불안정 블록의 3차원 도면을 포함하는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atabaseing the film thickness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including the 3D drawing of the unstable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은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전문가 집단과 실시간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real-time sharing the closet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with the expert group through the Internet using a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은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막장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연장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unnel irradiation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adjacent film using the film information of the entire section of the tunnel; And analyzing the extensibility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펜 조작에 따른 상기 불연속면의 스케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스케치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unnel irradiation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the sketch information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according to the user's pen oper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asuring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surfaces of the rock mass distributed in the membrane by further using the input sketch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은 상기 불안정 블록의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기 조사된 굴착 부분의 암반의 절리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굴착될 부분의 불연속면 분포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unnel irradiation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nalyzing the joint distribution of the rock of the excavated excavation using the three-dimensional drawing of the unstable block; And predicting a discontinuous plane distribution of a portion to be excavat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의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시공을 위한 자동화된 조사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시공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붕괴사고의 요인을 예측하여 시공기간 및 사고로 인한 불필요한 장비의 가동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제적이고 안전한 시공을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n automated survey technique for the stable and economical construction of the tunnel and applying it to the construction process, by predicting the factors of the collapse accident construction period and operation period of unnecessary equipment due to accident Can be used to lay the foundation for economical and safe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조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5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tunnel surv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100)은 영상 획득부(101), 입력부(102), 측정부(103), 추정부(104), 인식부(105), 추출부(106), 저장부(107), 정보 공유부(108), 비교부(109), 예측부(110), 및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tunnel survey system 100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01, an input unit 102, a measurement unit 103, an estimation unit 104, and a recognition unit. The unit 105, the extraction unit 106, the storage unit 107, the information sharing unit 108, the comparison unit 109, the prediction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11 may be included.

상기 영상 획득부(101)는 일렬로 정열되어 서로 계획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카메라를 이용해 터널의 막장을 촬영한 입체 사진을 획득한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01 obtains a three-dimensional image of a tunnel face using two cameras arranged in a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입력부(102)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펜 조작에 따른 암반의 불연속면의 스케치 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 과정에서 막장의 부위별 암질의 등급이 함께 입력된다. The input unit 102 receives sketch information of a discontinuous surface of a rock according to a user's pen manipulation through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In this process, the grade of the cancer by the part of the membrane is input together.

즉, 상기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상기 입체 사진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암반의 불연속면에 대응하는 스케치와 위치별 암질 분류 자료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입력부(102)는 상기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펜 조작에 따른 스케치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 받게 된다.That is, when the stereoscopic imag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inputs a sketch corresponding to the discontinuous surface of the rock and the rock classification data by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using a stylus pen. Then, the input unit 102 receives the sketc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stylus pe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측정부(103)는 상기 영상 획득부(101)에 의해 획득된 입체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103)는 상기 입력부(102)에 의해 입력된 스케치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103 measures the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of the rock mass distributed in the film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obtain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1. 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103 may further measure the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of the rock mass distributed in the membrane using the sketch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102.

상기 추정부(104)는 상기 측정부(103)에 의해 측정된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와 암질등급을 상기 터널의 벽면에 투영하여 상기 불연속면과 암질의 궤적을 추정한다.The estimator 104 estimates a trajectory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and the rocky material by projecting the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and the rock quality grade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103 onto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상기 인식부(105)는 상기 추정부(104)에 의해 추정된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벽면과 상기 막장에 대응하는 터널 이미지에 다각형의 위상 구조와 암질분포를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105)는 상기 제작된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3차원 블록을 인식한다.The recognition unit 105 produces a polygonal phase structure and a rocky distribution on the tunnel image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face and the barrier based on the trajectory estimated by the estimator 104. In addition, the recognition unit 105 recognizes the three-dimensional block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by using the produced phase structure of the polygon.

상기 추출부(106)는 상기 인식부(105)에 의해 인식된 3차원 블록을 블록이론을 이용해 분석하여 불안정(위험) 블록을 추출한다. 즉, 상기 추출부(106)는 상기 블록이론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블록을 분석함으로써 파괴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106)는 상기 추출된 불안정 블록과 암질의 분포를 3차원 도면으로 도식화하고 이를 중첩해 록볼트 보강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The extraction unit 106 analyzes the three-dimensional block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05 using block theory to extract an unstable block. In other words, the extraction unit 106 may perform fracture prediction by analyzing the 3D block using the block theory. In addition, the extraction unit 106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map the distribution of the extracted unstable block and the rock in a three-dimensional diagram and to superimpose the rock bolt reinforcement.

여기서, 상기 블록이론은 공지기술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block theory is widely used as a known technique,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암반에는 반복되는 지구조 운동 등의 영향에 의하여 수많은 불연속면들이 존재한다. 이 불연속면들은 위치, 심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분포를 지니는데, 절리들의 상호 관계에 따라 암반은 블록(Block)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블록들도 마찬가지로 매우 다양한 양상과 분포를 지니고 있다.There are numerous discontinuities in the rock due to repeated earth movements. These discontinuities have a wide variety of distributions depending on their location and depth. The rocks form blocks according to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joints, so the blocks also have a wide variety of patterns and distributions.

상기 블록이론은 3차원 불연속면들이 교차하면서 만들어지는 블록의 3차원적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며, 그 블록이 암반으로부터 이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기하학적 이론이다.The block theory is a geometric theory that determines the three-dimensional shape and size of a block that is created by intersecting three-dimensional discontinuities, and determines whether the block moves from a rock.

상기 저장부(107)는 상기 불안정 블록의 3차원 도면을 포함하는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여기서, 상기 막장 정보는 상기 불안정 블록의 3차원 도면뿐만 아니라, 상기 불연속면과 관련한 암종, 암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막장 정보는 시공 중 혹은 시공 후 터널의 유지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7 is a database of the film thickness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unstable block. The membrane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a three-dimensional drawing of the unstable block but also information such as carcinoma and cancer quality related to the discontinuous surface. The database-based membrane information may be used for maintenance of the tunnel during or after construction.

상기 정보 공유부(108)는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전문가 집단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formation sharing unit 108 enables the real-time sharing of the closing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with the expert group through the Internet using a network network, so that a problem can be quickly responded to.

이를 위해, 상기 정보 공유부(108)는 상기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정보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정보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각 전문가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o this en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information sharing from the expert group, the information sharing unit 108 may transmit the closing information of the entire section of the tunnel to the terminal of each expert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sharing request.

상기 비교부(109)는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막장의 정보를 비교한다. 즉, 상기 비교부(109)는 인접 막장 간에 불연속면, 암종, 암질 등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109)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연장성을 분석한다. 즉, 상기 비교부(109)는 상기 인접 막장 간의 정보의 유사 여부에 따라 상기 불연속면의 연장성을 분석할 수 있다.The comparison unit 109 compares the information of the adjacent close using the close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That is, the comparison unit 109 may compare information such as discontinuities, carcinomas, and cancers between adjacent membranes. The comparison unit 109 analyzes the extensibility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at is, the comparison unit 109 may analyze the extension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between the adjacent barriers is similar.

상기 비교부(109)는 상기 인접 막장 간의 정보가 유사하면 상기 불연속면이 연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접 막장 간의 정보가 다르면 상기 불연속면이 연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mparison unit 109 may determine that the discontinuous surface is extended when the information between the adjacent bars is similar, and that the discontinuous surface does not extend when the information between the adjacent bars is different.

상기 예측부(110)는 상기 불안정 블록의 3차원 도면을 이용하여 기 조사된 굴착 부분의 암반의 절리 분포를 기초로 하여 굴착될 앞부분의 지반을 분석하여 적절한 보강을 결정한다. 상기 예측부(110)는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굴착될 부분의 불연속면 분포를 예측한다.The prediction unit 110 determines the appropriate reinforcement by analyzing the ground of the front part to be excavated based on the joint distribution of the rock of the excavated part irradiat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drawing of the unstable block. The prediction unit 110 predicts a discontinuous plane distribution of a portion to be excavat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상기 제어부(1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100), 즉 상기 영상 획득부(101), 상기 입력부(102), 상기 측정부(103), 상기 추정부(104), 상기 인식부(105), 상기 추출부(106), 상기 저장부(107), 상기 정보 공유부(108), 상기 비교부(109), 상기 예측부(11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11 is a tunnel survey system 100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1, the input unit 102, the measurement unit 103, the estimation unit 104, the recognition unit 105, the extraction unit 106, the storage unit 107, the information sharing unit 108, the comparison unit 109, the prediction unit 110, and the like. Overall contro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터널 조사 방법은 도 1의 터널 조사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nel survey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tunnel survey system 100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01)에서 상기 터널 조사 시스템은 일렬로 정열되어 서로 계획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카메라를 이용해 터널의 막장을 촬영한 입체 사진을 획득한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201, the tunnel surveying system obtains a stereoscopic image of a tunnel face using two cameras arranged in a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다음으로, 단계(202)에서 상기 터널 조사 시스템은 상기 터널의 막장을 촬영한 입체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한다.Next, in step 202, the tunnel irradiation system measures a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of the rock mass distributed in the membrane 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membrane of the tunnel.

다음으로, 단계(203)에서 상기 터널 조사 시스템은 상기 측정된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상기 터널의 벽면에 투영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궤적을 추정한다.Next, in step 203, the tunnel survey system estimates the trajectory of the discontinuous plane by projecting the measured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plane onto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다음으로, 단계(204)에서 상기 터널 조사 시스템은 상기 추정된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벽면과 상기 막장에 대응하는 터널 이미지에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제작한다.Next, in step 204, the tunnel surveying system constructs a polygonal phase structure in the tunnel image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face and the barrier based on the estimated trajectory.

다음으로, 단계(205)에서 상기 터널 조사 시스템은 상기 제작된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3차원 블록을 인식한다.Next, in step 205, the tunnel survey system recognizes the three-dimensional block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by using the phase structure of the produced polygon.

다음으로, 단계(206)에서 상기 터널 조사 시스템은 상기 인식된 3차원 블록을 블록이론을 이용해 분석하여 불안정 블록을 추출한다.Next, in step 206, the tunnel survey system analyzes the recognized three-dimensional block using block theory to extract an unstable block.

다음으로, 단계(207)에서 상기 터널 조사 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불안정 블록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식화한다.
Next, in step 207, the tunnel survey system plots the extracted unstable blocks into a three-dimensional diagram.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조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tunnel surv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5.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조사 시스템은 자료와 도면의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고 그 자료를 입출력 할 수 있는 자료처리 기능과, 현장(막장)에서 펜(Pen) PC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자료를 입력하는 기능과, 원격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불연속면 및 암질의 자료를 불러와 그 결과를 3차원으로 투영하여 디스플레이(display) 하는 기능과, 투영 결과를 분석하여 불안정한 블록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블록이론을 이용한 분석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기 조사 자료의 분포상황을 통계 처리하여 미굴착 영역의 절리분포를 예측하여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5, a tunnel surve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making a database of data and drawings and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nd using a pen PC at a site. Function of inputting data by touch screen method, importing discontinuities and dark material measured by telemetry device, projecting the result in 3D and displaying the result, and analyzing unstable blocks It has an analysis function using block theory that automatically recognizes. In addition, it has the function of evaluating the stability by predicting the joint distribution of the unexcavated area by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distribution of the survey data.

1. One. 데이터베이스 기능Database function

가. 속성 데이터베이스(DB) 제작 기능end. Property Database (DB) Authoring Capabilitie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성 DB는 프로젝트의 명칭을 입력함으로 자동으로 엑세스(Excess) 데이터베이스가 작성되고 자료 입력과 출력에 필요한 디렉토리들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4, the attribute DB is automatically created by entering the name of the project (Access) database is created and the directories necessary for data input and output is formed.

나. 도면 DB 제작 기능I. Drawing DB production func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DB는 오토캐드(AutoCad) 도면으로부터 노선을 복사하여 붙여넣고 노선의 위치를 시작과 끝점의 좌표를 입력하고 단면을 Cad 파일에서 불러옴으로 3차원 노선 위치도의 기초가 작성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drawing DB copies and pastes a route from an AutoCad drawing, inputs the coordinates of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position of the route, and loads a cross section from the Cad file. Will be written.

다. 터널 막장 DBAll. Tunnel curtain DB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막장 DB는 막장의 스케치를 전산으로 수행하면서 입력된 자료들이 3차원 좌표로 변환되어 저장되기 위한 기본기능으로, 터널의 사진을 이용하여 절개부위의 경계를 그려주는 것과, 노선 도면에 막장의 위치를 입력하는 알고리듬이다.
As shown in FIG. 6, the barrier DB of the tunnel is a basic function for converting and storing the input data into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hile performing the sketch of the barrier, and drawing the boundary of the incision site using a tunnel picture. It is an algorithm for inputting the position of the closet in the drawing and the route drawing.

2. 2. 전산 조사 기능Computerized survey function

전산조사 기능은 터널 막장의 사진을 입력하고 그 사진위에 터치스크린 기능을 이용하여 불연속면을 스케치 하거나 암종, 암질, 기재사항을 입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Computerized search function has a function of inputting a picture of tunnel face and sketching discontinuity or inputting carcinoma, rock quality, and description using touch screen function on the picture.

가. 불연속면의 스케치 기능end. Sketch function of discontinuitie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치 기능은 입력된 사진에 모니터의 터치 스크린 기능을 이용하여 절리를 그려 넣고 그려진 절리에 주향과 경사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7, the sketch function has a function of drawing a joint by using a touch screen function of a monitor on an input picture and inputting a strike and a slope to the drawn joint.

나. 암질 입력 기능I. Dark input func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질은 경암(Solid), 연암(Soft), 풍화암(Weathered), 토사(Soil), 단층점토(Gauge)로 분류하여 막장에 면구조로 입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8, the rock is classified into solid rock, soft rock, weathered rock, soil, and clay and input into a membrane structure.

다. RMR 분류 기능All. RMR classification func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반의 공학적 분류 방법인 RMR은 조사자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므로 자료의 객관성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입력 자체를 주어진 메뉴에 의해 선택하여 전산으로 입력하는 알고리듬을 작성하였다. 이 알고리듬은 첫째 조사자의 주관에 의한 편차를 최소화 하고, 둘째 숙련되지 않은 조사자가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스스로 암 분류의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스스로 교육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s shown in FIG. 9, RMR, which is an engineering classification method of rock, has a larg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vestigator, and thus it is not easy to secure objectivity of dat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lgorithm that selects input itself by given menu and inputs it by computer is written as below figure. This algorithm aims to minimize the variation caused by the first investigator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educating the inexperienced investigator to become an expert in cancer classification while using this system.

라. GSI 분류 기능암la. GSI classification functional arm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반의 공학적 분류 방법인 GSI를 터치스크린으로 간단히 입력하고 그 결과에 의해 암괴의 지반정수를 계산하는 알고리듬이다.
As shown in FIG. 10, the GSI, which is an engineering classification method of rock, is simply input to a touch screen, and the ground constant of the rock is calculated based on the result.

마. 원격측정 자료 입력 기능hemp. Telemetry data input func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조사를 위해 개조 제작된 터널조사용 Surface Mapper 원격 측정장치를 이용해 측정된 면구조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읽어오는 알고리듬이다. AutoCad와 DB에 저장된 도면과 측정 자료를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 읽어온다.
As shown in FIG. 11, an algorithm for reading a measured surface structure into a system database using a surface mapper telemetry device for tunnel survey, which has been retrofitted for tunnel survey. Read drawings and measurement data stored in AutoCad and DB into the system's database.

3. 3. 분석 기능Analysis function

조사된 자료는 모두 3차원으로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으므로 터널의 자료를 3차원으로 도면화 하는 기능들이 포함된다.
All surveyed data are databased in 3D, so the functions of drawing tunnel data in 3D are included.

가. 터널 벽면과 막장의 불연속면end. Tunnel wall and curtain discontinuity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능은 3차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막장의 절리구조를 터널벽면을 편 2차원과 터널 자체의 3차원 도면으로 출력하는 알고리듬이다.
As shown in Fig. 12, this function is an algorithm for outputting a joint structure of a membrane selected from a three-dimensional database in a two-dimensional drawing on the tunnel wall and in a three-dimensional drawing of the tunnel itself.

나. 불연속면의 3차원 DisplayI. 3D display of discontinuities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능은 선택된 막장의 불연속면을 터널의 내부와 외부에 디스크 형태의 3차원 도면으로 플롯(Plot) 하는 알고리듬이다.
As shown in Fig. 13, this function is an algorithm that plots the discontinuities of the selected membrane into a three-dimensional diagram in the form of a disk inside and outside the tunnel.

다. 블록이론을 이용한 불안정 블록의 자동추출 기능All. Automatic Extraction Function of Unstable Block Using Block Theory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능은 3차원으로 조사 투영된 불연속면의 교차로 형성되는 블록들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알고리듬으로, 먼저 곡면의 터널벽면을 2차원 평면으로 펴서 그 평면에 불연속면의 괴적을 표기한 후 면들의 교차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의 토폴로지(Topology)를 분석하여 불연속면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As shown in Fig. 14, this function is an algorithm for evaluating the stability of blocks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discontinuous planes projected in three dimensions. First, the tunnel wall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is flattened into a two-dimensional plane to indicate the discontinuities of the discontinuous planes on the plane. After that,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discontinuous surface by analyzing the topology of the block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surfaces.

라. 불안정한 블록의 3차원 도면화la. 3-D drawing of unstable blocks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능은 추출된 불안정한 블록을 3차원으로 도면화 하는 알고리듬이다.
As shown in Fig. 15, this function is an algorithm for drawing the extracted unstable blocks in three dimension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조사 시스템은 그밖에 인접 막장의절리를 탐색하여 연결성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기능, 절리의 3D 투영 기능(전체 절리 투영, 그룹별 투영), 투영망 분석 기능, 각종 통계 분석 기능 등을 더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unnel surv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analyzing the connectivity by searching the joint of the adjacent curtain, 3D projection function of joint (total joint projection, group projection), projection network analysis function, It also provides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터널의 시공 중 안전성과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된 조사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시공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붕괴사고의 요인을 예측하고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보강을 수행하여 시공기간 및 사고로 인한 예산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시공을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n automated survey technique that can provide safety and economic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tunnel and applying it to the construction process, it predicts the factors of the collapse accident and performs rational and scientific reinforcement This can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budget due to accidents,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afe construction.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영상 획득부
102: 입력부
103: 측정부
104: 추정부
105: 인식부
106: 추출부
107: 저장부
108: 정보 공유부
109: 비교부
110: 예측부
111: 제어부
101: image acquisition unit
102: input unit
103: measuring unit
104: estimator
105: recognition unit
106: extraction unit
107: storage unit
108: Information Sharing Department
109: comparator
110: prediction unit
111: control unit

Claims (12)

터널의 막장을 촬영한 입체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상기 터널의 벽면에 투영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궤적을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된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벽면과 상기 막장에 대응하는 터널 이미지에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3차원 블록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3차원 블록을 블록이론을 이용해 분석하여 불안정 블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불안정 블록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식화하는 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discontinuous surfaces of the rock mass distributed in the membrane 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tunnel membrane;
An estimator for estimating a trajectory of the discontinuous plane by projecting the measured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plane on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A recognition unit for manufacturing a polygonal phase structure in the tunnel image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face and the barrier based on the estimated trajectory, and recognizing a three-dimensional block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using the prepared polygonal phase structure; And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unstable block by analyzing the recognized three-dimensional block by using block theory, and the extracted unstable block in a three-dimensional drawing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일렬로 정열되어 서로 계획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입체 사진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stereoscopic image by using two cameras arranged in a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블록의 3차원 도면을 포함하는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storage unit for databaseing the membrane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including the 3D diagram of the unstable block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전문가 집단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공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Information sharing unit that allows the real-time sharing of the closing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with the expert group through the Internet using a network network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막장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연장성을 분석하는 비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 comparison unit comparing information of adjacent barriers using the barrier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and analyzing the extension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펜 조작에 따른 상기 불연속면의 스케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입력된 스케치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put unit for inputting sketch information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according to the user's pen operation through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urther comprising:
The measuring unit
The tunnel survey system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further using the input sketch information to measure the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of the rock distributed in the film.
터널의 막장을 촬영한 입체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상기 터널의 벽면에 투영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궤적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벽면과 상기 막장에 대응하는 터널 이미지에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다각형의 위상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3차원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3차원 블록을 블록이론을 이용해 분석하여 불안정 블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불안정 블록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식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discontinuous surfaces of the rock mass distributed in the membrane 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tunnel membrane;
Estimating a trajectory of the discontinuous plane by projecting the measured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the discontinuous plane on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Fabricating a polygonal phase structure in the tunnel image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face and the barrier based on the estimated trajectory, and recognizing a three-dimensional block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using the prepared polygonal phase structure; And
Analyzing the recognized three-dimensional block using block theory to extract the unstable block, and the extracted unstable block in a 3D diagram
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7항에 있어서,
일렬로 정열되어 서로 계획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입체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cquiring the stereoscopic image using two cameras arranged in a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 블록의 3차원 도면을 포함하는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atabaseting the membrane information of all tunnel sections including the 3D diagram of the unstable block.
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9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전문가 집단과 실시간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Real-time sharing of the curtain information of the entire tunnel section with a group of experts through the Internet using a network;
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전 구간의 막장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막장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불연속면의 연장성을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Comparing information of adjacent bars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thicknesses of all sections of the tunnel; And
Analyzing the extensibility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펜 조작에 따른 상기 불연속면의 스케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스케치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막장에 분포하는 암반의 불연속면의 3차원 배열 구조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터널 조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Receiving sketch information of the discontinuous surface according to a user's pen oper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urther comprising:
The measuring step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array structure of discontinuous surfaces of the rock mass distributed in the film by further using the input sketch information
Tunnel survey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110054886A 2011-06-08 2011-06-08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tunnel using digital image KR1011044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886A KR101104466B1 (en) 2011-06-08 2011-06-08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tunnel using digita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886A KR101104466B1 (en) 2011-06-08 2011-06-08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tunnel using digital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466B1 true KR101104466B1 (en) 2012-01-12

Family

ID=4561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886A KR101104466B1 (en) 2011-06-08 2011-06-08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tunnel using digital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466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3075A (en) * 2017-01-13 2017-06-06 淮南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Geological information Weigh sensor system and method based o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CN107990882A (en) * 2017-12-14 2018-05-04 北京龙软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ine working geological record drafting system
KR20190109094A (en)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Real time remote system and method for observing tunnel working face
CN113032952A (en) * 2021-01-07 2021-06-25 北京华根仕数据技术有限公司 Visualization method for calculating stability of joint cone and block
KR102344741B1 (en) * 2020-06-30 2021-12-29 주식회사 대림 Method for analysis of blind ends in tunne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predicting front blind ends
KR102519688B1 (en) 2022-11-11 2023-04-10 (주)아이콘트 A method for creating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rock mass conditions of tunnel excavation surf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244B1 (en) * 2002-04-11 2004-11-1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A method for forecasting soft ground may be fit face ahead in case of tunneling
KR100907306B1 (en) * 2007-11-13 2009-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ediction method of falut pole ahead of the tunnel face using monitoring center v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244B1 (en) * 2002-04-11 2004-11-1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A method for forecasting soft ground may be fit face ahead in case of tunneling
KR100907306B1 (en) * 2007-11-13 2009-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ediction method of falut pole ahead of the tunnel face using monitoring center vect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록이론과 3차원 조사 시스템을 이용한 암반의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 배재대학교, 2010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3075A (en) * 2017-01-13 2017-06-06 淮南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Geological information Weigh sensor system and method based o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CN106803075B (en) * 2017-01-13 2019-12-10 淮南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Geological information intelligen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CN107990882A (en) * 2017-12-14 2018-05-04 北京龙软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ine working geological record drafting system
CN107990882B (en) * 2017-12-14 2019-04-23 北京龙软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ine working geological record drafting system
KR20190109094A (en)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Real time remote system and method for observing tunnel working face
KR102344741B1 (en) * 2020-06-30 2021-12-29 주식회사 대림 Method for analysis of blind ends in tunne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predicting front blind ends
CN113032952A (en) * 2021-01-07 2021-06-25 北京华根仕数据技术有限公司 Visualization method for calculating stability of joint cone and block
CN113032952B (en) * 2021-01-07 2023-11-14 北京华根仕数据技术有限公司 Visualization method for calculating joint cone and block stability
KR102519688B1 (en) 2022-11-11 2023-04-10 (주)아이콘트 A method for creating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rock mass conditions of tunnel excavation su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ovidakis et al. Predictions of settlement risk induced by tunnelling using BIM and 3D visualization tools
KR1011044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tunnel using digital image
Truong‐Hong et al. Combining an angle criterion with voxelization and the flying voxel method in reconstructing building models from LiDAR data
CN102622526B (en) Digital mine tunneling search prediction method
WO2023185734A1 (en) Mine digital model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three-dimensional point cloud database
KR100860797B1 (en) Method for three dimensionally implementing mine tunnel
JP2018084076A (en) Tunnel management system, tunnel management method, and tunnel management program
CN106709987B (en) Dynamic construc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geological profile model
Zhang et al. A case study on integrated modeling of spatial information of a complex geological body
CN106803281A (en) A kind of information extraction of excavation slope sillar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method
KR1011044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discontinous face of tunnel working face
Sepasgozar et al. Implementation of as-built information modelling using mobile and terrestrial lidar systems
Thum et al. 2D and 3D GIS-based geological and geomechanical survey during tunnel excavation
KR102207792B1 (en) Apparatus for modeling 3d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CN109635387B (en) Method for obtaining deformation law of mining slope body in gully development mining area
Zeibak-Shini et al. Toward generation of a building information model of a deformed structure using laser scanning technology
Long et al.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rregular rock blocks from 3D point cloud data of rock surface
KR101243885B1 (en) Tunnel exec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CN117197377A (en) Three-dimensional dynamic visual modeling method for mining area
Medinac Advances in pit wall mapping and slope assessmen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technology
Zheng et al. Accuracy comparison of rock discontinuity geometric parameters in photogrammetry based on two georeferencing methods: Control points and geotagged photos
KR1011238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discontinuity distribution of tunnel face
Truong-Hong et al. Tunneling appropriate computational models from laser scanning data
Corrao et al. Investigation of the underground building heritage and the mechanism of water flowing in Qanāts in Palermo through innovative surveying techniques
Palleske A study of biases, assumptions and practical consideration for the use of discrete fracture networks in geomechanical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