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218B1 - 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 - Google Patents

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218B1
KR101104218B1 KR1020090062790A KR20090062790A KR101104218B1 KR 101104218 B1 KR101104218 B1 KR 101104218B1 KR 1020090062790 A KR1020090062790 A KR 1020090062790A KR 20090062790 A KR20090062790 A KR 20090062790A KR 101104218 B1 KR101104218 B1 KR 10110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image
plat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5331A (en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황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성 filed Critical 황인성
Priority to KR102009006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218B1/en
Publication of KR2011000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관한 것으로서, 중간이 개방된 문틀, 상기 문틀의 바깥둘레 사면에서 정면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끝단의 일부가 절곡되어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는 절곡부를 이루면서 문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이미지 고정틀, 상기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져 다양한 이미지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이미지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문틀의 후면에 끼워지는 문양 조형물; 및 상기 문양 조형물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져, 문 자체를 액자로 구성하면서 이미지판을 통해 그림이나 사진 등을 보거나 문양 조형물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shaped pattern-forming door, the middle of which is open to the door frame, while protruding to the fron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oor frame at the same time a portion of the end is bent to form a bent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fixed to the door frame Image fixing frame that can be separated or detached, a transparent plate insert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and the bent portion of the image fixing frame, and close to the rear of the transparent pl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and the bent portion of the image fixing frame to various images Image plate to show the front, various patterns are formed is a pattern sculpture to be fitted to the rear of the door frame; And a fixing plate fixed to the door fram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pattern sculpture, and the door itself is composed of a frame, and the image or picture can be seen through the image plate or the pattern sculpture can be seen.

문, 액자, 문틀, 이미지 고정틀, 투명판, 이미지판, 문양 조형물, 고정판 Door, picture frame, door frame, image frame, transparent plate, image plate, pattern sculpture, fixed plate

Description

액자형 문양형성 문{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

본 발명은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문틀의 자체가 액자식으로 되어 정면에는 이미지판이 끼워지고 후면에는 문양 조형물이 끼워져, 상기 이미지판으로는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이미지판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문양 조형물을 보여주도록 한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shaped pattern-forming door, and in detail, the door frame itself is framed, and an image plate is fitted at the front and a pattern sculpture is inserted at the rear, and the image plate is used to display various images such as a picture, a photo or a design drawing. In the case of showing and not installing the image plate relates to a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to show the pattern sculpture.

일반적으로 액자는 중앙부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이 투명한 판과 함께 끼워지며, 상기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백보드가 마련되고, 상기 백보드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된다.In general, a picture frame is fitted with a frame provided with a space for inserting a picture or a picture in the center and a transparent plate with a picture or picture in a space provided by the frame, and a back board capable of supporting the picture or picture.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backboard to the frame is provided.

이와 같은 형태의 액자는 대부분 주로 장식용으로 사용하게 되나, 가구와 같은 수납장치의 문에 액자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바 그 일례로써 다음과 같은 종래 액자형 이미지 도어(한국공개특허 2006-0025413호)가 있다.This type of picture frame is mostly used for decorative purposes, but the picture frame may be applied to a door of a storage device such as furniture. For example, the following picture frame type image door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6-0025413) There is).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개의 철판(110) 위에 액자(101)가 착탈하 는 방식으로 형성하되, 금속문(100)의 소정부위에 액자(101)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여 상하좌우 절곡부(111)를 형성한 후, 철판(110)과 액자(101)를 피스나 나사로 고정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frame 101 is formed on the one iron plate 110 in a detachable manner, and according to various sizes of the frame 101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etal door 100 After applying pressure to form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bent portions 111, the iron plate 110 and the frame 101 are fixed with a piece or a screw.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액자형 이미지 도어는 문 자체와는 상관없이 상기 문의 일정부위에만 단순히 액자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문 자체의 디자인을 독특하게 구성하는 것과는 상관이 없으며, 오로지 그림이나 사진이 들어가는 액자만 문에 설치하고 있어 액자 이외에 다른 심미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rame-type image door as described above is made by simply installing a frame separately to a certain portion of the door irrespective of the door itself, and thus does not have a unique configuration of the door itself. There is a drawback that you can not display other aesthetic functions other than the picture frame because only the picture frame is installed in the doo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구 등과 같은 수납장치에 설치되는 문 자체가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이 설치되는 액자로 구성되고, 액자인 문에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의 이미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다양한 형상의 문양 조형물을 액자인 문에 설치함으로써 이미지가 설치된 액자의 형태가 아닌 또 다른 형태의 심미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디자인할 수 있으면서, 액자인 상기 문에 설치되는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의 이미지 또는 문양 조형물에 따라 상기 문 자체를 다양한 형태로 독특하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 액자형 문양형성 문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is that the door itself is installed in a storage device such as furniture is composed of a picture frame or picture frame is installed, the picture on the door frame If you do not install the image of a picture or a design drawing, by installing the pattern of various shapes on the door of the frame, the image can be designed to exert an aesthetic function of another form, not the form of the frame on which the image is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that enables the door itself to be uniquely design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n image or a pattern sculpture of a picture, a photo, or a design drawing installed on the do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은, 중간이 개방된 문틀; 상기 문틀의 바깥둘레 사면에서 앞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끝단의 일부가 절곡되어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는 절곡부를 이루면서 문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이미지 고정틀; 상기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져 다양한 이미지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이미지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문틀의 후면에 끼워지는 문양 조형물; 및 상기 문양 조형물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oor frame having an open middle; An image fixing frame which protrudes for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and at the same time a portion of the end is bent to form or be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frame; A transparent plate fitt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and the bent portion of the image fixing frame; An image plate fitt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and the bent portion of the image fixing fram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to show various images in front; Patterned sculptures are formed in a variety of patterns are inserted into the back of the door frame; And a fixing plate fixed to the door fram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pattern sculpture.

또, 상기 이미지판과 문양 조형물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미지판을 고정하는 종이틀; 및 상기 문양 조형물과 고정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문양 조형물의 형상과 함께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보조 이미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per frame is located between the image plate and the pattern sculpture to fix the image plate; And an auxiliary image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pattern sculpture and the fixed plate to show various images with the shape of the pattern sculpture.

또, 상기 투명판은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ransparent plate is glass or transparent acryl.

또, 상기 문양 조형물은 조화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pattern sculpture is a roughening.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의하면, 문 자체가 액자로 구성되어 있어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의 평면의 이미지 또는 입체적인 문양 조형물에 의해 상기 문을 독특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그림 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의 평면 이미지가 설치된 액자로 된 문이나 다양한 형상의 입체적인 문양 조형물이 설치된 문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rame-shaped pattern-form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tself is composed of a picture frame, which has the effect of uniquely designing the door by a planar image or a three-dimensional pattern sculpture of a picture, photograph or design drawing,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door made of a frame installed with a flat image of a picture, a photo or a design drawing or a door installed with a three-dimensional pattern sculpture of various shapes can be selectively used.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문 자체를 실내를 장식하는 액자로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Moreover, the frame-shaped pattern-form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door itself can be seen as a picture frame decorating the interior when viewed from the fro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은, 문틀(1), 이미지 고정틀(2), 투명판(3), 이미지판(4), 문양 조형물(5) 및, 고정판(6)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frame (1), the image fixing frame (2), the transparent plate (3), the image plate (4), the pattern sculpture (5), It consists of the fixed plate 6.

가구인 씽크대, 장식장 등과 같은 수납장치에 문으로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문틀(1)은 알루미늄 재질로 각 모서리에서 안쪽으로 삽입되어 나사로 고정되는 ㄱ자형 조립판(1a)에 의해 사각의 틀로 조립되어 중심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 루고 있다.The door frame (1), which is used to install a door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sink, a cabinet, which is a furniture, is assembled into a square frame by an A-shaped mounting plate 1a that is inserted inward at each corner and fixed by screws with aluminum. The center is open.

알루미늄 재질로 된 상기 이미지 고정틀(2)은 상기 문틀(1)의 바깥둘레의 사면에 각각 밀착되어 문틀(1)의 앞쪽으로 돌출시킨 후 끝단을 일부를 약간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2a)가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하고, 각각의 이미지 고정틀(2)을 상기 문틀(1)의 바깥둘레 사면에 고정나사(b)로 각각 고정함으로써,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2)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두는 틈을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문틀(1)의 바깥둘레면 사면에 설치되는 이미지 고정틀(2) 각각은 상기 고정나사(b)에 의해 문틀(1)로부터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The image fixing frame (2) made of aluminu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pe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door frame (1), respectively,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frame (1) and the bent portion (2a)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end is a door frame At the same time as the front of the frame (1), by fixing each image fixing frame (2) to the outer peripheral slope of the door frame (1) with fixing screws (b), respectively, the front of the frame of the door frame (1) The image fixing frame (2) is to maintain a gap at regular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image fixing frame (2)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frame (1) is the door frame (1) by the fixing screw (b) It is possible to attach or detach from.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의 재질로 된 상기 투명판(3)과 다양한 형상의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이 그려진 이미지판(4)은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상기 이미지 고정틀(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지 고정틀(2) 중 어느 한쪽의 이미지 고정틀(2b)을 분리한 후, 서로 포개어진 상기 투명판(3)과 이미지판(4)을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2)의 절곡부(2a)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끼워넣고, 분리되어 있던 한쪽의 상기 이미지 고정틀(2b)을 문틀(1)에 고정나사(b)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문틀(1)에 투명판(3)과 이미지판(4)을 설치하는 것을 완료하게 된다. 한쪽의 상기 이미지 고정틀(2b)에는 문손잡이(12)가 부착되어 있다.The transparent plate 3 made of glass or transparent acrylic and an image plate 4 on which various shapes, pictures, or designs are drawn are locat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1 and the image fixing frame 2. After separating the image fixing frame 2b of any one of the image fixing frame 2, the transparent plate 3 and the image plate 4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the front edge of the frame and the image fixing frame ( 2)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bent portion (2a), and to the transparent to the door frame (1) by fixing the separated image fixing frame (2b) to the door frame (1) with a fixing screw (b) The installation of the plate 3 and the image plate 4 is completed. A door handle 12 is attached to one of the image fixing frames 2b.

따라서,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2)의 절곡부(2a)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간격은 거의 서로 포개어진 상기 투명판(3)과 이미지판(4)의 두 께에 해당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문틀(1)과 이 문틀(1)에 설치되는 투명판(3) 및 이미지판(4)에 의해 만들어진 문 자체가 상기 투명판(3)을 통해 이미지판(4)의 그림이나 사진 등이 보이는 액자를 이루게 된다.Therefore, the gap form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1 and the bent portion 2a of the image fixing frame 2 is almost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late 3 and the image plate 4 superimposed on each other. In this way, the door frame (1) and the door itself is made by the transparent plate 3 and the image plate (4) installed in the door frame (1) through the transparent plate 3 of the image plate (4) A picture frame or picture will be visible.

이때, 상기 이미지판(4)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해 중간이 개방된 사각의 종이틀(7)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종이틀(7)의 각 모서리에 끼움홈(7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홈(7a)을 통해 이미지판(4)을 끼운 상태에서 투명판(3)과 함께 문틀(1)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이틀(7)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2)의 절곡부(2a)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간격은 거의 서로 포개어진 상기 투명판(3)과 이미지판(4) 및 종이틀(7)의 두께에 해당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assist the fixing of the image plate 4, a square paper frame 7 of which the middle is open may be used, and fitting grooves 7a ar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paper frame 7 so that the It i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1 together with the transparent plate 3 in the state of sandwiching the image plate 4 through the fitting groove (7a). Therefore, when the paper frame 7 is used, the gap form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1 and the bent portion 2a of the image fixing frame 2 is almost overlapped with the transparent plate 3. And the thickness of the image plate 4 and the paper frame 7.

한편, 상기 이미지판(4)은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 이외에도 신생아의 발 모양을 본뜬 것이나 다양한 형상을 본뜬 입체적인 동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plate 4 may be used in addition to a picture, a picture or a design drawing is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at mimics the shape of the newborn or various shapes.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문양 조형물(5)은 사각의 틀 형태로써 나무나 플라스틱 또는 기타 여러 가지의 재질의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문틀(1)의 후면을 통해 끼워넣도록 하며, 상기 문양 조형물(5)을 보조하기 위해 그림이나 디자인이 도안된 예컨대 한지와 같은 보조 이미지판(8)을 후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The glyph sculptures 5 having a lattice shape may be made of wood, plastic, or other materials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nsert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frame 1, and the glyph sculptures 5 may be used. In order to assist in this, an auxiliary image plate 8 such as, for example, Hanji, in which a picture or a design is designed,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ide.

상기 고정판(6)은 문양 조형물(5)과 보조 이미지판(8)이 문틀(1)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를 고정해 주도록 상기 문틀(1)의 후면에 부착되어 고정나사(b)에 의해 상기 문틀(1)에 고정하게 되며, 재질로는 아크릴이나 합판 등의 여러 가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fixing plate (6)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door frame (1) to fix it in a state in which the pattern sculpture (5) and the auxiliary image plate (8) i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1) by the fixing screw (b) It is fixed to (1),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acrylic or plywood can be used as the material.

이와 같이 문틀(1) 내에 설치되는 이미지판(4) 및 문양 조형물(5)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미지판(4)을 설치한 경우에는 문양 조형물(5)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문양 조형물(5)을 설치한 경우에는 이미지판(4)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문 자체를 이미지판(4)이 보이는 액자형태의 문으로 사용하거나 문양 조형물(5)이 보이는 액자형태의 문으로 사용하는 것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As such, the image plate 4 and the pattern sculpture 5 installed in the door frame 1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When the image plate 4 is installed, the pattern sculpture 5 is not installed. It is not necessary, and when the pattern sculpture 5 is provided, the image plate 4 may not be provided. Therefore, the door itself can be used as a framed door in which the image plate 4 is visible or in a framed door in which the patterned sculpture 5 is visibl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문양 조형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문양 조형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ttern sculpture of a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ttern sculpture of a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격자형태로 된 상기 문양 조형물(5)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문양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 일례로 도 3에 도시한 바아 같이 마름모꼴 형태의 격자형상으로 된 문양 조형물(5a)을 사용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틀 내에 조화가 설치된 문양 조형물(5b)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문양을 문양 조형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patterned sculpture 5 in the form of a lattice can be changed into various patterns as need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patterned sculpture 5a in the shape of a lattice is used or shown in FIG. 4. As shown, it is possible to use a patterned sculpture (5b) installed in harmony in a rectangular frame, and various other patterns may be applied to the patterned sculptur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설치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9)은 경첩(10)에 의해 가구인 씽크대나 장식장 등과 같은 수납장치(11)에 설치하여 문으로 사용하게 되나, 단순히 문의 역할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판(4)에 의해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이 보이거나 문양 조형물(5)이 보이는 액자로써의 역할도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9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orage device 11 such as a sink or a cabinet as a furniture by a hinge 10 and used as a door, but merely serves as a door. Rather than ending, the image plate 4 may serve as a picture frame, a picture, a picture or a design drawing, or a pattern sculpture 5.

또한,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9)을 수납장치(11)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지판(4)이나 문양 조형물(5)의 교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9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ly exchanged with the image plate 4 or the patterned sculpture 5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torage device 1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for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bu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문양 조형물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tern sculpture of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문양 조형물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tern sculpture of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설치상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문틀 1a : ㄱ자형 조립판1: door frame 1a: A shaped plate

2,2b : 이미지 고정틀 2a : 절곡부2,2b: image fixing frame 2a: bend

3 : 투명판 4 : 이미지판3: transparent plate 4: image plate

5,5a,5b : 문양 조형물 6 : 고정판5,5a, 5b: Sculpture Sculpture 6: Fixed Plate

7 : 종이틀 7a : 끼움홈7: paper frame 7a: fitting groove

8 : 보조 이미지판 9 : 액자형 문양형성 문8: secondary image plate 9: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10 : 경첩 11 : 수납장치10: hinge 11: storage device

12 : 문손잡이 b : 고정나사12: door handle b: fixing screw

Claims (4)

중간이 개방된 문틀;Middle open door frame; 상기 문틀의 바깥둘레 사면에서 앞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끝단의 일부가 절곡되어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는 절곡부를 이루면서 문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고정틀로 이루어지며, 사면의 고정틀 중 어느 한쪽의 고정틀은 분리되는 이미지 고정틀;At the same time protrudes for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door frame, a portion of the end is bent to form a bent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front of the door frame is made of a fixed frame that can be fixed or detached to the door frame, any one of the fixed frame of the slope The fixing frame of the image fixing frame is separated; 상기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는 투명판;A transparent plate fitt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and the bent portion of the image fixing frame; 상기 투명판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져 다양한 이미지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이미지판;An image plate fitt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and the bent portion of the image fixing fram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to show various images in front;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문틀의 후면에 끼워지는 문양 조형물;Patterned sculptures are formed in a variety of patterns are inserted into the back of the door frame; 상기 문양 조형물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A fixing plate fixed to the door fram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pattern sculpture; 상기 이미지판과 문양 조형물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미지판을 고정하는 종이틀; 및A paper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image plate and the pattern sculpture to fix the image plate; And 상기 문양 조형물과 고정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문양 조형물의 형상과 함께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보조 이미지판; An auxiliary image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pattern sculpture and the fixed plate to show various images together with the shape of the pattern sculpture;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문양형성 문.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명판은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문양형성 문.The transparent plate is a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 or transparent acryli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양 조형물은 조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문양형성 문.The frame-shaped pattern form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monious sculpture.
KR1020090062790A 2009-07-10 2009-07-10 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 KR101104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90A KR101104218B1 (en) 2009-07-10 2009-07-10 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90A KR101104218B1 (en) 2009-07-10 2009-07-10 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31A KR20110005331A (en) 2011-01-18
KR101104218B1 true KR101104218B1 (en) 2012-01-09

Family

ID=4361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790A KR101104218B1 (en) 2009-07-10 2009-07-10 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2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79B1 (en) 2012-09-17 2014-07-31 박서정 translucent door including patterned portion
KR101542318B1 (en) 2014-01-13 2015-08-06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Locker with edge-reinforced d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4638B (en) * 2016-01-29 2017-06-23 青岛六福润贸易有限公司 A kind of fire resistant doorse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507A (en) * 2001-12-26 2003-07-04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A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vanadium titanium catalyst for ehtylene homo- and copolymerization
KR20040019963A (en) * 2002-08-29 2004-03-06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Liquid crystal dropp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0019946A (en) * 2002-08-28 2004-03-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apparatus
KR200355507Y1 (en) 2004-03-19 2004-07-07 송재승 Ornament structure in front door
KR200419946Y1 (en) * 2006-04-14 2006-06-26 주식회사 백조씽크 Frame type door
KR200419963Y1 (en) * 2006-04-19 2006-06-26 우명래 The door where the vignette lies betwee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507A (en) * 2001-12-26 2003-07-04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A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vanadium titanium catalyst for ehtylene homo- and copolymerization
KR20040019946A (en) * 2002-08-28 2004-03-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apparatus
KR20040019963A (en) * 2002-08-29 2004-03-06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Liquid crystal dropp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355507Y1 (en) 2004-03-19 2004-07-07 송재승 Ornament structure in front door
KR200419946Y1 (en) * 2006-04-14 2006-06-26 주식회사 백조씽크 Frame type door
KR200419963Y1 (en) * 2006-04-19 2006-06-26 우명래 The door where the vignette lies betwe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79B1 (en) 2012-09-17 2014-07-31 박서정 translucent door including patterned portion
KR101542318B1 (en) 2014-01-13 2015-08-06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Locker with edge-reinforced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31A (en)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791B2 (en) Platform and double frame display hanging system
KR101104218B1 (en) 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
KR101631134B1 (en) Advertisement lighting device
US20090019753A1 (en) Picture Frame
US5960573A (en) Wall hanging picture frame
US20040261307A1 (en) Shadow box having multiple display surfaces and shadow box kit
KR101446305B1 (en) frame
KR200477021Y1 (en) Paper frame
KR200398626Y1 (en) A picture frame which has an illumination means
KR20150097900A (en) a picture frame
KR20130022006A (en) Acryl frame
US20050117330A1 (en) Light illuminated photo frame
TW201726036A (en) Picture frame providing features of low manufacturing cost, light weight, repetitive replacement of placed pictures, and feelings of modern sense and conciseness of a picture similar to crystal pictures when the picture is placed thereon
KR101226238B1 (en) Picture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M472925U (en) Thin type advertisement lamp board
CN215852394U (en) Display box
KR20150097899A (en) a picture frame
KR200382696Y1 (en) A Picture-Frame-Type Commemorative Plaque
USD528823S1 (en) Dresser
KR20130064343A (en) Mirror assembly
KR20160000721U (en) A frame
JP2018054873A (en) Decorative panel set
KR200305145Y1 (en) Frame
KR20110011379U (en) Crystal plaque
KR200408419Y1 (en) Scree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