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611B1 -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611B1
KR101103611B1 KR1020100073184A KR20100073184A KR101103611B1 KR 101103611 B1 KR101103611 B1 KR 101103611B1 KR 1020100073184 A KR1020100073184 A KR 1020100073184A KR 20100073184 A KR20100073184 A KR 20100073184A KR 101103611 B1 KR101103611 B1 KR 10110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ternet service
unit
storag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구
차남경
Original Assignee
차남경
이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남경, 이명구 filed Critical 차남경
Priority to KR102010007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8Virtual file systems
    • G06F16/192Implementing virtual folder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서버와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동성을 부여하는 연동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에 제공하는 프로그램 설치부를 구비하고, 유저가 활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웹 사이트 URL와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의 저장 매체를 유저로부터 입력받아 등록 처리하는 연동 모듈; 임시 저장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일부 저장하거나 임시 저장하는 저장 공간 제공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개수, 용량, 파일 확장자로 이루어진 구조를 파악하는 데이터 구조 파악부, 유저로부터 데이터의 사용처 및 용도를 입력받는 데이터 용도 설정부, 상기 데이터 구조 파악부와 데이터 용도 설정부에서 파악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 및, 상기 데이터 분류부의 분류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가 저장될 상기 저장 매체를 선정하는 저장매체 결정부, 상기 저장 매체 결정부에서 결정된 해당 저장 매체 각각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분산 저장부;를 구비한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 상기 데이터 분산 저장모듈에서 분산된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호출이 있을 때 분산된 데이터를 싱크 처리하여 상기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싱크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MEDIATING AND DIVID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다양한 데이터 및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들에 의하여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원격으로 중개 처리하되, 전송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서버의 저장 매체와 웹 서버에 분할 저장을 함과 동시에 분할된 데이터를 제어하여 보안성을 한층 강화한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현대 사회는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수많은 데이터를 접할 수 있는바, 그 데이터는 뉴스, 지식 정보, 사진 등은 물론 대용량을 가진 영화, 음악, 게임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있다.
인터넷 활동에서 이러한 데이터는 주로 PC에 설치된 하드디스크에 물리적으로 저장이 되는데, 전송속도 기술이 발달하면서 대용량의 데이터 파일도 길지 않은 시간에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용량이 날로 증대되어 외장하드나 웹하드와 같은 별도의 저장 공간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외장하드는 PC에서 떨어진 지역에서는 활용하기 힘들어 원격지에서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웹 하드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웹하드 서비스는 사용 용량에 따라 차등 비용을 지불해야 할 뿐 아니라, 만일 해킹이 될 경우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더불어 원격지의 데이터를 전송 및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 중개 서비스(예를 들어, MY DESK. www.mydesk.co.kr)이 존재하고 있는바, 이러한 서비스는 가상 디바이스 통합 공간으로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개인이 편리하게 자신의 데이터 저장 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서비스는 단순히 원격지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하드 저장 공간에 불과할 뿐, 저장된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내지 저장 분배 방식에 대한 발전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더불어 개인 대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하는 용도로만 활용되어 n 명의 유저를 대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할 때 해당 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거나 관리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쇼핑몰, 블로그, 미니 홈페이지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인터넷 서비스는 인터넷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주관 서버에서 불러와야 하는데, 주로 인터넷 서비스를 가동하는 웹 서버의 저장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 시 웹 서버의 저장 공간에서 다운로딩을 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역시 웹 서버가 해킹을 당하였을 때에는 웹 서버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가 유출될 수 있는 소지가 있어 역시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기존에 인터넷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는 1곳에 집중 저장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곳이 집중 해킹 대상이 되고, 해킹이 이루어질 경우 일부가 아닌 데이터 전부의 유실 또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하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 특허 제 597007호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국내 등록 특허 제 457669호 '정보의 분산 암호화 및 저장 방법'등과 같은 것이 존재하여 정보를 분산 저장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거나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고 게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데이터를 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언급되어 있을 뿐 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복수 개의 저장매체에 분산 저장할 때 어떠한 기준과 중요도를 가지고 분산 저장할지 여부 내지 특정 프로세스와 모듈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서버에 저장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강화하고 원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되 복수 개의 저장 매체에 특수한 룰과 프로세스에 입각하여 분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인터넷 서버를 구현하는 서버 자체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자 등의 클라이언트 서버에 저장하여 다수 업체의 인터넷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해킹의 타겟(target)이 되거나 보안이 취약해지는 문제를 방지하되, 클라이언트 서버에 마련된 복수 개의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산 저장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원격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할 때 인터넷 서비스의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를 판별하여 특정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별도 관리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의 구조 및 용도를 분석하고 해당 구조 및 용도에 따라서 분산 저장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서료 연관성이 있거나 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조합이 되어야 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를 분산 저장할 때 각각의 데이터에 시리얼을 부여하여 해당 시리얼의 분류에 따라 각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추후 인터넷 서비스 구현을 위하여 데이터를 싱크 처리할 때 특정 시리얼 범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불러와 데이터의 효율적인 조합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인터넷 상태가 좋지 않거나 클라이언트 서버의 IP 정보가 변경되는 상왕이 발생할 때 시스템 자체에 전송 중이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데이터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중요도가 변경된 데이터를 보안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장 매체에 이동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하나의 데이터를 복수 개의 인터넷 서비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매칭 처리를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은, 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필요한 데이터를 원격의 클라이언트 서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저장 매체에 분산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와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동성을 부여하는 연동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에 제공하는 프로그램 설치부를 구비하고, 유저가 활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웹 사이트 URL와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의 저장 매체를 유저로부터 입력받아 등록 처리하는 연동 모듈; 임시 저장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일부 저장하거나 임시 저장하는 저장 공간 제공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개수, 용량, 파일 확장자로 이루어진 구조를 파악하는 데이터 구조 파악부, 유저로부터 데이터의 사용처 및 용도를 입력받는 데이터 용도 설정부, 상기 데이터 구조 파악부와 데이터 용도 설정부에서 파악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 및, 상기 데이터 분류부의 분류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가 저장될 상기 저장 매체를 선정하는 저장매체 결정부, 상기 저장 매체 결정부에서 결정된 해당 저장 매체 각각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분산 저장부;를 구비한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 상기 데이터 분산 저장모듈에서 분산된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호출이 있을 때 분산된 데이터를 싱크 처리하여 상기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싱크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은, 상기 저장 매체의 잔여 저장 용량을 파악하는 저장매체 용량 파악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데이터 구조 파악부에서 파악한 데이터 구조와 상기 데이터 용도 설정부에서 파악된 데이터의 용도 및 상기 저장매체 용량 파악부에서 파악된 저장 매체의 용량을 종합하여 특정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은, 인터넷 서비스에 따라 중요도가 높은 용도의 데이터의 중요 순위를 수록한 체크 테이블을 구비하여, 상기 체크 테이블과의 비교 판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의 중요도를 판별하는 중요도 설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중요도 파악부에서 파악한 데이터를 특정 저장 매체에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은, 일정 기간 상기 데이터 싱크 전송 모듈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된 회수와 데이터 저장 시기를 종합 판단하여 전송 회수와 저장 시기가 늦은 데이터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중요도 변동 여부를 파악하고, 중요도가 변동된 데이터를 별도 저장 매체로 이동 저장하는 중요도 변환 이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1) 인터넷 서비스를 주관하는 서버에 획일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지 않고 인터넷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자의 클라이언트 서버에 저장을 하되, 복수 개로 마련된 저장 매체에 분산 저장을 하여 보안성을 극대화하도록 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전송 시 트래픽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
2) 데이터의 분산 저장 시 중요도, 용도, 구조 등에 따라서 데이터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분산 기준에 따라 저장하도록 하여 데이터 관리의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3) 데이터의 중요도가 변경되는 것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중요도가 낮아진 데이터를 보안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장 매체로 이동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의 관리의 저장 매체의 용량 분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데이터의 전송 중에 데이터 전송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에는 시스템 자체에 해당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전송 데이터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5) 하나의 데이터를 복수 개의 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매핑처리를 하여 데이터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연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연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관계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 서버(10) 및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연동되어 있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와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가 운영되는 과정에서 유저(클라이언트 서버의 관리자)의 활동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 서버(20)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10)의 주관 하에 생성, 가공, 공유, 관리되는 모든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직접 저장 처리되지 않도록 하고 원격지의 클라이언트 서버(10) 하의 저장 매체(11)에 저장하여 궁극적으로 데이터의 원격 분산 관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의 보안 문제를 강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클라이언트 서버(10)에서 다이렉트로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데이터를 업로딩하거나 아니면 인터넷 서비스 서버(20) 자체에서 생성된 해당 데이터를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의 중개 및 관리 하에 특정한 분산 규율을 가지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서버(10)의 저장매체(11) 또는 시스템 자체적인 저장 공간에 분산 저장 처리하도록 데이터 중개 및 분산 저장 제어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 서버(10)라 함은 인터넷 서비스를 운영하고자 하는 주체인 유저가 관리 및 사용하는 서버로서, 일반적으로 PC가 될 것이고 이러한 클라이언트 서버(10)는 다양한 저장 매체(11)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저장 매체(11)는 PC 내의 하드디스크(마스터/서브 하드 디스크를 포함), PC와 연결되어 있는 스토리지(외장형 하드, USB 메모리 장치 등) 제 3의 웹 서버에서 관리하는 웹 하드와 같은 별도의 저장 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저장 매체(11)는 분산 저장의 필요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단일 저장 매체로 구성된 것보다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과의 연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서버(10) 및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는 연동 프로그램(30)이 설치된다.
연동 프로그램(3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웹 사이트를 매개로 유저가 접속할 수 있는 환경 제공)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서버(10)의 유저가 다운로드를 받아 클라이언트 서버(10)에 설치함과 동시에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기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에 클라이언트 서버(10)의 IP 주소 및 이에 구비된 저장 매체(11)를 파악하도록 함과 아울러 유저가 특정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을 때 해당 인터넷 서비스의 주소와 서비스 내용을 클라이언트 서버(10)를 통해 알리고 궁극적으로 데이터 교환 및 전송을 위하여 클라이언트 서버(10) 및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 본 발명의 시스템(100)을 매개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이 클라이언트 서버(10) 내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의 다양한 상태와 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저장 및 사용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는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행 주체로서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유저를 위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구성하는 각종 데이터와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온라인 쇼핑몰이 특정 웹 사이트를 통해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웹 서버 내지 DB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는 그 주관 하에 있는 웹사이트(인터넷 서비스 사이트)(21)를 관리하는 공지의 웹 서버 및 DB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는 본 발명의 시스템(100)과 연동 상태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시스템(100)의 관리 하에서 데이터의 흐름 제어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이러한 클라이언트 서버(10)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기존에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다이렉트로 교환 및 전송되던 데이터를 일방 또는 양방으로부터 일단 받아들인 다음 해당 데이터의 분산 저장 및 데이터의 관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기존에 클라이언트 서버(10)에서 직접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업로딩되거나 전송됨과 더불어 인터넷 서비스 서버(20) 자체에서 생성되던 데이터를 일단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전송받은 다음 해당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배와 관리를 위한 중개 및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기본적 특징으로 한다.
즉,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구현되는 데이터를 인터넷 서비스의 DB 저장 공간과 같은 매체에 직접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관리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서버(10)에서 분산 저장하는 방식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해킹 등의 보안 문제에 강력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실행되는 데이터가 그 자체에 저장되어 있지 않고 개인 관리 하의 클라이언트 서버(10)의 저장 매체(11)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클라이언트 서버(10)가 OFF 처리가 된 경우에는 해당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는 인터넷 서비스를 실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 서비스가 정상 가동될 수 없게 된다는 독특한 특성도 제공되고, 대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연동 모듈(110), 저장 공간 제공모듈(120),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130), 데이터 싱크 전송 모듈(1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추가적으로는 데이터 가상 변환모듈(150), 데이터 링킹 처리모듈(160), 데이터 삭제 처리모듈(170), 데이터 복원 처리모듈(180), 방화벽 우회모듈(190), 데이터 매핑모듈(200)을 포함하고 있다.
연동 모듈(110)은 클라이언트 서버(10)와 연동 설정 및 연동 후 기본적인 환경 설정을 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 서버(10)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연결 관계를 가졌던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의 교류 정보를 부여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프로그램 설치부(111), 인터넷 서비스 서버 인식부(112), 저장 매체 등록부(113), 환경 설정부(11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의 연동은 이러한 연동 모듈의 기능에 따라 미리 이루어져 있다는 전제가 따른다.
프로그램 설치부(111)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관리하는 별도의 웹 사이트 내지 다양한 웹 공간의 자료실 등에 접속한 유저에게 연동 프로그램(30)을 공급 및 클라이언트 서버(10)에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과 클라이언트 서버(10)가 연동 관계를 갖기 위해 기본적으로 선결되어야 할 연동 프로그램(30)을 클라이언트 서버(10)에 공급 및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동 프로그램(30)은 클라이언트 서버(10) 및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설치가 되어 클라이언트 서버(10)의 ON/OFF 상태에 따라 가동 여부가 결정됨과 동시에,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서버(10)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 교류하던 데이터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의 중개 하에 간접적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가진다.
여기서, 연동 프로그램(30)은 본 발명의 시스템(100)과 클라이언트 서버(10), 더불어 본 발명의 시스템과 인터넷 서비스 서버(20)가 상호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각각 연결이 이루어진 전제 하에서 정상적인 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연동 프로그램(30)은 클라이언트 서버(10)의 유저에 특정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표현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유저가 모니터의 화면을 통해 특정 데이터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을 매개로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전송하는 과정 등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부여되거나 생성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통해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이 연동 프로그램(30)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서버 인식부(112)는 클라이언트 서버(10)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 이미 관계를 갖고 있거나(즉, 클라이언트 서버의 담당자인 유저가 자신이 주체적으로 활용하는 인터넷 서비스가 있는 경우 그 인터넷 서비스를 관할하는 서버와 통신 관계 내지 교류가 있는 경우) 새로운 관계 설정을 위하여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관리하는 특정 웹 사이트(21)의 URL을 각 인터넷 서비스 별로 유저에게 입력받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에 신규 상품을 촬영한 데이터를 업로딩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URL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저장 매체 등록부(113)는 클라이언트 서버(10)에 연결된 저장 매체(11)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이 인식할 수 있도록 등록 처리를 유저 등에게 요청하거나 아니면 연동 프로그램을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설치할 때 직접 입력을 받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저장 매체 리스트를 유저 별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더 나아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특정 저장 매체(11)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유저가 알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의 저장 매체까지 등록 요청을 하여 후술할 데이터 싱크 전송모듈(140)에 의한 전송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 설정부(1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이 클라이언트 서버(10)의 각 상태 및 유저의 주관적인 시스템 환경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환경 설정부(114)는 후술할 각 모듈의 기능을 선택하거나 자동 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조건을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장 공간 제공모듈(120)은 시스템(100) 자체에서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 공간에 클라이언트 서버(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일부 저장하거나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후술할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130)에서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제공하여 데이터의 효율적 분산 배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데이터 싱크 내지 클라이언트 서버(10)와 본 발명의 시스템(100)의 원활한 접속 여부에 따라 임시적으로 특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130)은 인터넷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서버(10)의 각 저장매체(11) 내지 저장 공간 제공모듈(120)에서 제공하는 저장 공간(심지어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저장 공간)에 분산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데이터의 분산이라 함은 복수 개의 파일 단위로 이루어진 데이터 그룹을 특정 개수 내지 특정 목적 별로 분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130)은 구체적으로 데이터 구조 파악부(131), 데이터 용도 설정부(132), 중요도 설정부(133), 데이터 분류부(134), 저장매체 용량 파악부(135), 저장 매체 결정부(136), 분산 저장부(137), 고유 시리얼 제공부(138), 데이터 이동 저장부(138)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구성은 구성 상황에 따라 필수적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구조 파악부(131)는 클라이언트 서버(10) 내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의 구조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서 데이터 구조라 함은 데이터 자체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것으로 해석되기 보다는 통상 복수 개의 파일 단위로 이루어진 데이터 그룹의 개수, 용량, 파일 확장자(가령 이미지 파일은 JPG, GIF 등의 확장자, 문서 파일은 HWP, TXT, DOC, 웹 문서 확장자 등),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의 경우 각 파일 간의 연관 관계(예를 들어, 실행 파일, 저장 파일 등으로 이루어져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파일 그룹)를 파악하는 기능을 주 기능으로 한다. 즉, 저장이 될 데이터의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상태를 우선 파악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용도 설정부(132)는 해당 데이터가 사용되는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의 웹 사이트(21)는 물론 유저가 직접 각 데이터의 용도를 지정할 수 있는 지정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인터넷 서비스들 중 해당 데이터의 특정 사용처는 물론 예를 들어 신규 상품 데이터, 게시판 댓글 데이터, 블로그 데이터 등을 유저가 직접 지정하여 해당 데이터의 사용처와 특정 용도를 유저의 주관 하에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중요도 설정부(133)는 시스템(100) 자체적 또는 유저의 선택에 의하여 전송된 데이터 중 특히 보안상, 운영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설정 및 지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유저의 선택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유저에게 중요도 지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유저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 데이터 파일을 지정하도록 하고 시스템 자체적으로 중요도를 파악할 때는 해당 데이터가 사용되는 인터넷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자동적으로 중요도를 설정하도록 한다.
시스템 차원에서 자동적으로 중요도를 설정하는 기준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의류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의류 사진 데이터(특히 예를 들어 과거 사진보다 근 2개월 이내 신규 의류 사진 데이터), 고객 정보(특히 아이디와 배송주소)와 같은 것이 중요 데이터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현존하는 인터넷 서비스 별로 중요도를 자체 설정한 체크 테이블(133a)을 구비하여 해당 체크 테이블(133a)의 규율 내지 비교 처리, 가이드 하에 중요도를 설정 처리한다.
여기서, 체크 테이블(133a)은 예를 들어 쇼핑몰 분야 - 의류 상품 군의 인터넷 서비스 분류를 대그룹에서 소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하여 설정한 다음 각각의 인터넷 서비스에서 통상적으로 중요하게 처리되는 데이터를 사진 데이터, 고객 정보 데이터와 같이 기 설정 처리를 한 테이블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요도 설정부(133)는 유저의 선택 내지 시스템 자동적으로 전송 데이터의 중요도를 판가름하여 중요하거나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별도 저장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데이터 분류부(134)는 기본적으로 상기 데이터 구조 파악부(131) 및 데이터 용도 설정부(132), 중요도 설정부(133)에서 파악한 데이터의 개수, 용량, 확장자, 용도, 중요도를 기준으로 특정 카테고리 별로 복수 개로 이루어진 파일 형식의 데이터를 분류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의류 쇼핑몰 인터넷 서비스에서 데이터 1 그룹에는 사진 데이터가 저장되고 2 그룹에는 고객 정도 데이터, 3 그룹에는 게시판 댓글 데이터 등이 분류되어 저장될 수가 있고, 더불어 동일한 용도 내지 기능을 가진 데이터를 무조건 1개 그룹에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분산하여 분류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매체 용량 파악부(135)는 클라이언트 서버(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된 저장매체(11)의 저장 가능한 용량을 파악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즉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을 각 저장매체(11) 별로 파악하여 데이터의 분류 장소를 미리 살펴보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저장 매체 결정부(136)는 유저가 저장 매체를 직접 선택하여 선택된 저장 매체 별로 특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방식은 물론, 상기 저장용량 파악부(135) 및 상기 세부 구성에 의한 판단 기준에 의하여 시스템(100) 자체에서 자동적으로 저장이 될 저장 매체(11)를 결정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특히 시스템(100)에서 자동으로 저장 매체(11)를 결정하는 기준은, 가장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지정(이는 유저의 선택에 의하여 지정받을 수 있음)된 저장 매체(11)에 중요도가 높거나 인터넷 서비스를 실행할 때 필수적인 데이터(즉 중요한 용도와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구조 파악부에서 판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외 데이터는 제 2, 제 3의 저장 매체(11)에 저장하도록 한다. 즉, 저장 매체 결정부(136)는 데이터의 용량, 기능은 물론 중요도, 저장매체(11)의 잔여 저장 공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서버(10)의 저장 매체 내지 상기 저장 공간 제공모듈(120)에서 제공하는 시스템(10) 차원의 저장 공간에 분산 저장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아니면, 저장 매체(11)가 복수 개로 있는 상황에서 특정 저장 매체(11)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 매체(11)의 활용도를 지정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산 저장부(137)는 상기 저장 매체 결정부(136)에 의하여 저장 매체 선택이 된 각 데이터를 해당 저장 매체(11)(또는 저장 공간)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저장되는 데이터는 한 개의 바이너리 파일에 저장되어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을 때에만 접근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저장 매체 내의 하드 시리얼, MAC 주소, 전자 인증서 등을 통한 다양한 암호 저장 방식을 추구하여 저장된 바이너리 파일이 행여 외부로 유출이 되어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유 시리얼 제공부(138)는 특히 동일 기능, 용도를 가진 데이터가 복수 개의 저장 매체(11)(또는 저장 공간도 포함)에 분산되어 저장될 때 각각의 데이터에 시스템(100)에서 해석 가능하도록 문자, 숫자의 조합으로 부여된 고유 일련부호, 즉 시리얼을 부여하도록 하여 각 저장매체(11)에 분산 처리된 데이터를 추후 사용하고자 할 때 분산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재조합 후 사용의 용이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데이터 분류 체계를 명확하게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고유 시리얼 제공부(138)는 비단 데이터 뿐 아니라 저장 매체(11) 각각에도 시리얼을 부여하도록 하여 보안성 및 데이터 관리의 체계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특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데이터 이동 저장부(139)는 중요도가 떨어지거나 데이터를 중요도가 변경된 시점에 별도의 저장 매체(11)에 데이터 이동 저장 처리를 하거나, 아니면 보안을 위해 주기적으로 각각의 저장 매체(11)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동하여 저장 매체(11)를 변경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중요도 변환 이동부(139a) 및 주기적 데이터 이동부(139b)로 구성되어 있다.
중요도 변환 이동부(139a)는 유저가 중요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선택하거나 아니면 시스템(100) 자체에서 직접 중요도 변동 여부를 판단하여 중요도 설정부(133)를 통해 처음에 지정받었던 중요도가 떨어진 데이터를 추출하여 별도의 저장 매체(주로 중요하지 않은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로 이동하여 저장 처리를 하는 것으로, 중요도 변동 입력 수단을 유저에게 제공하여 중요도가 변동된 데이터를 직접 유저에게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시스템(100) 차원에서 중요도 변동 기준을 설정할 때에는 일정 기간 후술할 데이터 싱크 전송 모듈(140)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전송된 회수와 데이터 저장 시기라는 2개의 파라미터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중요도의 변동을 판단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 이미지 데이터의 중요도를 판단할 때, 오래된 이미지 데이터는 주로 재고 상품일 경우가 많으므로 저장 시점 후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일정 시간이 경과된 사진 이미지 데이터는 중요도가 떨어진 것으로 판단을 하되 오래된 사진 이미지 데이터라도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사용 요청이 많았을 경우에는 단순히 오래되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중요도가 떨어졌다고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의 전송 요청 회수와 저장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중요도의 변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주기적 데이터 이동부(139b)는 주기적으로 복수 개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 매체를 변경하도록 이동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특정 저장 매체에 해킹 타켓이 되거나 물리적 문제가 있을 경우에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작용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130)에 의하여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구현되는 데이터가 직접 그 자체에 저장되도록 처리하지 않고 클라이언트 서버(10) 내지 본 발명의 시스템(100) 하에 분산 저장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클라이언트 서버(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단 1인의 유저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체가 활용할 수도 있고 시스템 관리자의 내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의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 처리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특정 공간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싱크 전송모듈(140)은 상기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130)에 의하여 분산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인터넷 서비스로 활용하고자 할 때 분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합(싱크 처리)하여 해당 인터넷 서비스를 주관하는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싱크 전송모듈(140)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데이터 요청이 있을 때에 용도 별, 기능 별 등으로 분산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취합하여 이를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특히 시리얼 처리가 된 데이터는 시리얼 범위를 설정하여 이를 특정 인터넷 서비스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그룹으로서 인식하고 해당 시리얼의 조합 및 연관 관계를 파악하여 특정 시리얼 범위(예를 들어 A111부터 A999까지의 데이터)를 가진 데이터를 추출 및 조합하여 해당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전송하도록 한다.
즉,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는 본 발명의 시스템(100) 특히 데이터 싱크 전송 모듈(140)에 데이터 요청을 하여 특정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서버(10)의 저장 매체(11)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100)을 매개로 전송받도록 하고, 전송 후 데이터는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자체 보관 내지 저장을 하지 않고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와 같이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를 본 발명의 시스템(100)이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하기에서 별도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데이터 가상 변환모듈(150)은 상기 중요도 설정부(133)에서 중요하다고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분산 저장부(137)를 통해 특정 저장 매체(11)에 저장할 때 복수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가상화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분산 저장부(137)를 매개로 저장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특정 저장매체(11)에 저장된 가상화 파일은 유저가 직접 저장 매체(11)에 접속한다 하여도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처리되어 있다.
더불어 이에 상응하여 상기 데이터 싱크 전송모듈(140)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의 호출(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어 상기 가상화 파일을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할 때에는 해당 1개의 가상화 파일을 원래의 복수 개의 데이터로서 복원한 다음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링킹 처리모듈(160)은 클라이언트 서버(10)의 IP 정보를 은닉한 상태에서 저장 매체(11) 등에 저장되어 있던 특정 데이터를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URL 확인부(161), IP 정보 은닉부(162), 데이터 전송부(163)를 포함하고 있다.
URL 확인부(161)는 데이터를 제공받을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의 URL을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연동 모듈(110)의 인터넷 서버 인식부(112)에서 저장된 URL 중 특정 인터넷 서비스를 담당하는 URL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P 정보 은닉부(162)는 클라이언트 서버(10)의 IP 정보를 은닉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더불어, 데이터 전송부(163)는 저장 매체(11)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상기 IP 정보 은닉부(162)의 제어 하에 클라이언트 서버(10)의 IP 정보를 은닉한 상태에서 상기 URL 확인부(161)에서 확인된 웹 사이트(21)(또는 인터넷 서비스 서버 자체)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데이터 링킹 처리모듈(160)은 특정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클라이언트 서버(10)의 IP 정보를 은닉한 상태에서 인터넷 서비스 서버(20)가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처리하여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클라이언트 서버의 인증 절차(즉, 아이디, 비밀번호 확인절차) 없이도 해당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인증 절차의 간소화 내지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다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저 인증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 3자가 임의로 데이터를 특정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며 다만 본 발명의 시스템 인증,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서 특정 클라이언트 서버(10)(또는 사용자인 유저 인증)의 인증이라는 2중의 인증 절차를 밟아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삭제 처리모듈(170)은 인터넷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전송받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 내의 데이터를 보안을 이유로 삭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 서버 가동 확인부(171), 삭제 처리부(172)로 구성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서버 가동 확인부(171)는 클라이언트 서버(10)의 ON/OFF 상태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삭제 처리부(172)는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가동 확인부(171)에서 클라이언트 서버(10)가 OFF 처리되어 있을 때 인터넷 서비스 서버(20) 내로 진입하여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해당 데이터를 추적 및 삭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클라이언트 서버(10)가 OFF 처리되어 있을 때 인터넷 서비스는 종료된 것으로 인식을 하고 이와 같이 인터넷 서비스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굳이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안을 이유로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진입(물론 인터넷 서비스 서버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제어 하, 즉 연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접근 권한이 있다는 전제가 따름)하여 해당 데이터의 이름 내지 시리얼을 확인하여 데이터를 삭제 처리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데이터 삭제 처리모듈(170)은 클라이언트 서버(10)의 저장 매체(11)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는 권한도 가질 수 있음과 동시에 특정 저장 매체(11)를 등록 제외, 즉 폐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삭제 처리방식은 삭제되어야 할 데이터가 저장된 물리적인 하드 섹터 위치에 특수 데이터(즉, 용량은 가지되 별도의 기능과 임무가 없는 데이터)를 강제적으로 10회 이상 덮어씌우기를 하여 해당 데이터를 결론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인케이스 등의 전문적 포렉식 툴을 이용해서도 데이터의 복원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 삭제 처리모듈(170)에는, 윈도우 시스템에 기록되는 레지스트리 정보를 함께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복원 처리모듈(180)은 인터넷 상태가 원활하지 않거나 클라이언트 서버(10)의 IP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 클라이언트 서버(10)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받지 못하거나 전송하지 못할 때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환경 변동 파악부(181), 임시 저장부(182), 데이터 복원부(183)로 구성되어 있다.
환경 변동 파악부(181)는 클라이언트 서버(10)와의 인터넷 연결 상태 및 클라이언트 서버(10)의 IP 정보 변경 상태를 수시(일정 주기)로 체크하여 해당 체크 상황에 변동 여부(즉, 인터넷 연결 상태가 좋지 않거나 IP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를 파악하고 변동 상황을 환경 변동 상황 정보로 기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임시 저장부(182)는 상기 환경 변동 파악부(181)에서 환경 상황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클라이언트 서버(10)와 데이터 교류가 있는 상황에서 해당 데이터를 임시로 상기 저장 공간 제공모듈(120)에서 제공하는 저장 공간에 저장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10)와 데이터 교류를 할 때 무조건 임시 저장을 하고 있다가 해당 데이터가 안전하게 저장 매체(11)에 분산 저장이 되었을 경우 임시 저장부(182)에 저장되었던 데이터를 삭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복원부(183)는 변경 상황이 복구(인터넷 활성화, IP 정보 변경의 확인 및 인증)되었을 때 상기 임시 저장부(18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절된 데이터를 싱크 처리하여 복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데이터 복원 처리모듈(180)에 의하여 클라이언트 서버(10)의 비정상 연결 상태에도 데이터 교류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하고, 이는 더 나아가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벽 우회모듈(190)은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암호 처리한 다음, 클라이언트 서버(10) 및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 데이터 교류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 개의 자체 IP 정보를 구비하고 있어 특정 IP 정보에 따른 접속 환경 파악부(191)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IPS 등에서 시그니쳐 기반 탐지를 불가능하도록 하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와 연결될 때 수 개의 IP 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연결속도가 가장 빠른 IP 정보로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연결을 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유저는 웹(80포트)을 통해 궁극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어 특정 방화벽의 차단 문제없이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매핑모듈(200)은 복수 개의 인터넷 서비스 서버(10)에 특정 데이터를 매핑 방식으로 동시 이용 내지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테이블 제공부(201), 매핑 전송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테이블 제공부(201)는 동시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201a)에 별도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201a)은 특정 저장 매체(11)에 지정되거나 아니면 시스템 내 저장 공간을 저장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매핑부 전송부(202)는 복수 개의 인터넷 서비스의 URL 주소 및 전송 루트를 확보한 상태에서 해당 복수 개의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상기 데이터 테이블(201a)에 저장된 데이터를 매핑, 즉 동시 전송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A 인터넷 서비스의 데이터와 B 인터넷 서비스의 데이터 간 스키마간 연동을 추구하여 A라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다른 B라는 인터넷 서비스의 데이터로 재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다시 말해 A 블로그의 데이터를 다른 인터넷 서비스인 B 블로그, C 게시판의 데이터로서 사용 가능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클라이언트 서버 135: 저장 매체 용량 파악부
11: 저장 매체 136: 저장 매체 결정부
20: 인터넷 서비스 서버 137: 분산 저장부
21: 웹 사이트 138: 고유 시리얼 제공부
30: 연동 프로그램 139: 데이터 이동 저장부
100: 본 발명의 시스템 139a: 중요도 변환 이동부
110: 연동 모듈 139b: 주기적 데이터 이동부
111: 프로그램 설치부 140: 데이터 싱크 전송모듈
112: 인터넷 서비스 서버 인식부 150: 데이터 가상 변환모듈
113: 저장 매체 등록부 160: 데이터 링킹 처리모듈
114: 환경 설정부 161: URL 확인부
120: 저장 공간 제공모듈 162: IP 정보 은닉부
130: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 163: 데이터 전송부
131: 데이터 구조 파악부 170: 데이터 삭제 처리모듈
132: 데이터 용도 설정부 171: 클라이언트 서버 가동 확인부
133: 중요도 설정부 172: 삭제 처리부
133a: 체크 테이블 180: 데이터 복원 처리모듈
134: 데이터 분류부 181: 환경 변동 파악부
182: 임시 저장부 200: 데이터 매핑모듈
183: 데이터 복원부 201: 데이터 테이블 제공부
190: 방화벽 우회모듈 201a: 데이터 데이블
191: 접속 환경 파악부 202: 매핑 전송부

Claims (7)

  1.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원격에 위치한 클라이언트 서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저장 매체에 분산 저장하는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및 인터넷 서비스 서버와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동성을 부여하는 연동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및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는 프로그램 설치부를 구비하고, 유저가 활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웹 사이트 URL와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의 저장 매체를 유저로부터 입력받아 등록 처리하는 연동 모듈;
    임시 저장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일부 저장하거나 임시 저장하는 저장 공간 제공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개수, 용량, 파일 확장자로 이루어진 구조를 파악하는 데이터 구조 파악부, 유저로부터 데이터의 사용처 및 용도를 입력받는 데이터 용도 설정부, 상기 데이터 구조 파악부와 데이터 용도 설정부에서 파악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 및, 상기 데이터 분류부의 분류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가 저장될 상기 저장 매체를 선정하는 저장매체 결정부, 상기 저장 매체 결정부에서 결정된 해당 저장 매체 각각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분산 저장부;를 구비한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
    상기 데이터 분산 저장모듈에서 분산된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호출이 있을 때 분산된 데이터를 싱크 처리하여 상기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싱크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은,
    상기 저장 매체의 잔여 저장 용량을 파악하는 저장매체 용량 파악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데이터 구조 파악부에서 파악한 데이터 구조와 상기 데이터 용도 설정부에서 파악된 데이터의 용도 및 상기 저장매체 용량 파악부에서 파악된 저장 매체의 용량을 종합하여 특정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은,
    인터넷 서비스에 따라 중요도가 높은 용도의 데이터의 중요 순위를 수록한 체크 테이블을 구비하여, 상기 체크 테이블과의 비교 판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의 중요도를 판별하는 중요도 설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중요도 파악부에서 파악한 데이터를 특정 저장 매체에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은,
    동일 기능, 용도를 가진 데이터가 복수 개의 저장 매체에 분산되어 저장될 때 각각의 데이터에 문자, 숫자의 조합으로 부여된 고유 일련부호, 즉 시리얼을 부여하는 고유 시리얼 제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싱크 전송 모듈은,
    상기 시리얼을 기준으로 상기 시리얼이 부여된 데이터를 재조합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산 제어모듈은,
    일정 기간 상기 데이터 싱크 전송 모듈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된 회수와 데이터 저장 시기를 종합 판단하여 전송 회수와 저장 시기가 늦은 데이터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중요도 변동 여부를 파악하고, 중요도가 변동된 데이터를 별도 저장 매체로 이동 저장하는 중요도 변환 이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중요도 설정부에서 결정한 복수 개의 중요 데이터들을 하나의 가상화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분산 저장부를 통해 특정 저장 매체에 저장 처리를 하는 데이터 가상 변환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동시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에 별도 저장 처리하는 데이터 테이블 제공부 및, 복수 개의 인터넷 서비스의 URL 주소 및 전송 루트를 확보한 상태에서 해당 복수 개의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시 전송 처리하는 매핑부로 구성된 데이터 매핑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KR1020100073184A 2010-07-29 2010-07-29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KR10110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84A KR101103611B1 (ko) 2010-07-29 2010-07-29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84A KR101103611B1 (ko) 2010-07-29 2010-07-29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611B1 true KR101103611B1 (ko) 2012-01-09

Family

ID=4561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184A KR101103611B1 (ko) 2010-07-29 2010-07-29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6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786B1 (ko) * 2017-11-01 2019-01-2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5198A (ko) * 2022-01-26 2023-08-02 (주)한국소프트웨어아이엔씨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방법
WO2023146237A1 (ko) * 2022-01-26 2023-08-03 (주)한국소프트웨어아이엔씨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976A (ko) * 2001-04-12 2001-07-13 이경일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976A (ko) * 2001-04-12 2001-07-13 이경일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786B1 (ko) * 2017-11-01 2019-01-2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088687A1 (ko) * 2017-11-01 2019-05-09 (주)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734661B2 (en) 2017-11-01 2023-08-22 Altimedia Corporation Conten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20230115198A (ko) * 2022-01-26 2023-08-02 (주)한국소프트웨어아이엔씨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방법
WO2023146237A1 (ko) * 2022-01-26 2023-08-03 (주)한국소프트웨어아이엔씨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방법
KR102616356B1 (ko) * 2022-01-26 2023-12-21 (주)한국소프트웨어아이엔씨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데이터 관리 및 저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47487B1 (en) File storage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220198410A1 (en) Providing data provenance, permissioning, compliance, and access control for data storage systems using an immutable ledger overlay network
EP3317998B1 (en) Resilient secret sharing cloud based architecture for data vault
JP5446860B2 (ja) 仮想マシン運用システム、仮想マシン運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646226B1 (en) Access control manager configuration based on log files mining
US8254579B1 (en) Cryptographic key distribution using a trusted computing platform
CN102929658B (zh) 访问目录结构中文件的方法和系统
US20070016771A1 (en) Maintaining security for file copy operations
US20070011749A1 (en) Secure clipboard function
US8392547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hardware inventory in virtualized environments
CN103931156A (zh) 具有用户不可知加密文件的服务器侧去重的云文件系统
KR20130101645A (ko) 콘텐츠 필터링 장치 및 방법
AU2018386714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omputer network
CN109635581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4412252A (zh) 使用虚拟媒体客户端并通过远程访问器具来访问远程磁盘镜像的系统和方法
JP2013058101A (ja)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2009015585A (ja) 管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及び管理方法
US11190359B2 (en)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a distributed ledger
KR101103611B1 (ko) 데이터의 원격 중개 및 분산 제어 시스템
US10447818B2 (en) Methods, remote access systems, client computing devices, and server devices for use in remote access systems
US11755374B2 (en) Cloud resource audit system
US201503042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ccess to a location indicated by a link in a remote access system
CN110221991A (zh) 计算机外围设备的管控方法及系统
RU2656739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US200701742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llaborative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