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440B1 -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440B1
KR101103440B1 KR1020090104425A KR20090104425A KR101103440B1 KR 101103440 B1 KR101103440 B1 KR 101103440B1 KR 1020090104425 A KR1020090104425 A KR 1020090104425A KR 20090104425 A KR20090104425 A KR 20090104425A KR 101103440 B1 KR101103440 B1 KR 101103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ense
seesaw member
storage container
outer cylind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699A (ko
Inventor
강대윤
Original Assignee
강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윤 filed Critical 강대윤
Priority to KR102009010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4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08Devices related to praying, e.g. counters, reminders, study aids, compasses, rugs, cushi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형으로 형성된 선향을 꽂아 향연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향 발화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되 중간에 선향을 삽입하여 세워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꽂이 홀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격벽을 갖는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 상에 선향을 진입시킬 수 있게 형성되되 진입되는 선향의 간섭에 의해 선향을 점화시킬 수 있도록 된 점화부와, 메인바디의 꽂이 홀에 삽입되게 지지되어 발화되고 있는 선향으로부터 낙하되는 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 하부에 탈부착 될 수 있게 형성된 재받이통을 구비한다. 이러한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에 의하면, 선향을 세워지게 지지시킬 수 있어 선향을 꽂기 위한 내용물을 채워 넣지 않아도 되며, 재를 용이하게 비울 수 있으며, 향보관기에 보관된 선향을 낱개 단위로 인출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향로, 점화장치, 향보관함

Description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incense burner and stick eject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선향을 꽂아 피울 수 있도록 된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을 불살라 향연을 발생시키기 위한 도구로 쓰이는 향로는 가내에서 제사를 지낼때, 사찰 또는 호국영령을 모시는 위령탑이나 국립묘지 등에서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향로는 보통 긴 봉 형상의 향(이하 선향이라 한다)을 세워 꽂아두기 위해 쌀 또는 모래 등을 담아둘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향로는 향연을 발생시키고자 할 때 선향을 점화시키기 위해 라이터나 성냥과 같은 별도의 점화장치를 이용하여야 하며, 소화된 선향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비우기 위해 본체 내에 선향을 꽂기 위해 채워둔 모래나 쌀등을 버리고 새로운 모래 또는 쌀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또한, 향로와는 별도로 선향을 비취해 놓아야하는데, 대부분 선향이 시각적으로 노출되게 보관함을 개방한 상태로 비취해놓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고, 장시간 습기에 노출시 점화과정에서 착화가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점화장치가 일체로 마련되고, 선향을 세워진 형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재를 비울 수 있도록 된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향과 같은 바형 수용체를 수용하되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낱개 단위로 인출될 수 있는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 발화용 장치는 막대형으로 형성된 선향을 꽂아 향연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향 발화용 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되 중간에 상기 선향을 삽입하여 세워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꽂이 홀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격벽을 갖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상에 상기 선향을 진입시킬 수 있게 형성되되 진입되는 상기 선향의 간섭에 의해 상기 선향을 점화시킬 수 있도록 된 점화부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꽂이 홀에 삽입되게 지지되어 발화되고 있는 상기 선향으로부터 낙하되는 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 하부에 탈부착 될 수 있게 형성된 재받이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선향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수납된 상기 선향을 외부로 돌출되게 인 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향 보관기;를 더 구비한다.
상기 향보관기는 상기 선향이 수용될 수 있게 상방이 열린 내부공간을 갖되 바닥면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을 수용할 수 있게 상면에 상기 수납통이 끼워지는 내통 삽입홈이 형성된 메인 외통과; 상기 메인 외통의 저부에서 상기 메인외통과 결합되며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하부캡과; 상기 수납통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슬롯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수납통 내외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내부공간내로 진입된 종단에는 상기 선향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을 갖는 로딩부분을 갖으며, 상기 수납통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시소부재와; 상기 시소부재와 상기 수납통 사이에 결합되어 외력이 비인가시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승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소부재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메인 외통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조작버튼의 하방으로 조작에 의해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향하는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버튼이 노출될 수 있으면서 상기 수납통의 상부 개구를 차폐할 수 있게 상기 메인 외통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시소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인출되는 선향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상부캡;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메인 외통상에 상기 내통 삽입홈와 이격되는 위치상에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관과; 상단이 막혀 있고 하방이 개방된 구속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관 내 에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관보다 길게 연장된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 몸체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몸체의 저면에 상기 가이드관의 내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버튼 몸체의 구속홀에 삽입되어 상기 시소부재를 하방으로 회동되게 간섭할 수 있게 연장된 간섭봉;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시 상기 로딩부분의 종단이 상기 수납통의 경사진 바닥면에 도달되는 위치까지 하강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의 중간에 상기 시소부재를 간섭하도록 일정 높이로 연장되게 형성된 스톱퍼;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는 원통형태로 형성된 바형 수용체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바형 수용체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된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형 수용체가 수용될 수 있게 상방이 열린 내부공간을 갖되 바닥면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을 수용할 수 있게 상면에 상기 수납통이 끼워지는 내통 삽입홈이 형성된 메인 외통과; 상기 메인 외통의 저부에서 상기 메인외통과 결합되며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하부캡과; 상기 수납통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슬롯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수납통 내외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내부공간내로 진입된 종단에는 상기 바형 수용체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을 갖는 로딩부분을 갖으며, 상기 수납통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시소부재와; 상기 시소부재와 상기 수납통 사이에 결합되어 외력이 비인가시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승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소부재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외통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조작버튼의 하방으로 조작에 의해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향하는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버튼이 노출될 수 있으면서 상기 수납통의 상부 개구를 차폐할 수 있게 상기 메인 외통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시소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인출되는 상기 바형 수용체가 배출되는 상기 배출구를 갖는 상부캡;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에 의하면, 선향을 세워지게 지지시킬 수 있어 선향을 꽂기 위한 내용물을 채워넣지 않아도 되며, 재를 용이하게 비울 수 있으며, 향보관기에 보관된 선향을 낱개 단위로 인출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향 발화용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향발화용 장치(100)는 선향을 꽂아 향연을 발생시키기 위한 본체(140)와, 본체(140)에 착탈되는 원터치형 향보관기(200)를 구비한다.
본체(140)는 막대형으로 형성된 선향(300)을 꽂아 발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140)를 구분하면, 메인바디(110)와 재받이통(120)을 구비한다.
메인바디(110)는 상하가 개방된 중공형의 원통형구조로 되어 있고, 중간에 중간에 선향(300)을 삽입하여 세워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꽂이 홀(113)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격벽(11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격벽(112)은 꽂이 홀(113)이 형성된 링부분(114)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분(115)에 의해 얼라인되게 형성된 구조가 적용되었다. 링부분(114)과 연결부분(115) 사이는 상하로 관통되는 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선향(300)으로부터 낙하되는 재가 후술되는 재받이통(120)에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링부분(114)의 내경은 하나 또는 두개의 선향(300)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18은 메인 바디(110)의 외측면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향보관기(200)를 착탈할 수 있도록 착탈홈(119)이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끼움 결합부이다.
재받이통(120)은 메인바디(110)의 꽂이 홀(113)에 삽입되어 발화되고 있는 선향(300)으로부터 낙하되는 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22)이 갖으며 메인 바디(110) 하부에 탈부착 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 바디(110)의 저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결합돌기(116)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재받이통(120)에는 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126)가 형성되어 메인바디(110)와 재받이통(120)이 상호 착탈 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나사결합방식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점화부(130)는 메인 바디(110) 상에 설치되어 선향을 진입시 간섭에 의해 선향을 점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점화부(130)는 메인바디(110) 상에 상부가 열리고 일정깊이 진입되는 진입홀(131)이 형성된 삽입관부(132)와 삽입관부의 하단에 높이차를 갖되 수직상에서 상호 일정 폭이 겹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133)(134)과,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3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진입홀(131)의 내경은 하나의 선향(300)이 무리없이 진입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37은 전원(136)으로 적용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이다.
제1 및 제2전극(133)(134)은 휨성이 있으면서 복원력이 강한 도전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점화부(130)는 선향(300)을 진입홀(131) 내로 진입시켜 제1전극이(133)이 제2전극(134)에 접촉되게 하방으로 간섭시키면, 제1 및 제2전극(133)(134)이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선향에 착화를 시킬 수 있다.
한편 점화부(130)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라이터 등에 적용되는 스파크 발생기를 선향의 간섭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향보관기(200)는 선향을 보관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향보관기(200)는 바형 수용체를 수용 보관하며 조작에 의해 낱개로 인출시킬 수 있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로서 적용된 것으로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로서 선향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용된 것이다.
향보관기(200)는 메인 바디(110)에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선향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조작버튼(261)의 조작에 의해 보관된 선향을 외부로 돌출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세구조를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향보관기(200)는 수납통(210), 메인 외통(220), 하부캡(230), 상부캡(240)을 구비한다.
수납통(210)은 선향(300)이 수용될 수 있게 상방이 열린 내부공간(211)을 갖되 바닥면(212)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수납통(210)의 경사지 바닥면의 가장 높이가 낮은 지점을 기준으로 맞은편의 외주면에는 내외로 관통되는 슬롯(214)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통(210)의 상하방으로의 길이는 슬롯(214)이 형성된 위치상의 깊이가 적용되는 선향(300)의 길이 정도가 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외통(220)은 후술되는 하부캡(230) 및 상부캡(240)과 결합되어 수납통(210)을 내부에 수용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인 외통(220)은 수납통(210)을 수용할 수 있게 하방이 열리되 상면에는 수납통(210)의 상면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수납통(210)이 끼워지는 삽입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외통(220)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조작버튼(261)의 상하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면서 조작버튼(261)을 수용할 수 있게 삽입홈(222)와 이격되는 위치상에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관(224)이 형성되어 있다.
시소부재(251)는 회동에 의해 수납통(210)내에 수용된 선향(300)을 안착시켜 수납통(210)의 벽면의 타고 승강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소부재(251)는 수납통(210)에 내부공간(211)과 연통되게 형성된 슬롯(214)을 가로지르게 연장되되 수납통(210) 외부로 연장된 부분이 수납통(21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 가이드편(216)과 힌지(256)에 의해 슬롯(214)의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시소부재(251)의 수납통(210) 내부로 진입된 로딩부분(252)의 종단에는 선향(300)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253)이 형성되어 있다. 로딩부분(252)의 안착홈은 Y자형태로 벌어진 형태이되 하부가 막힌 구조로 되어 있다.
시소부재(251)의 수납통(210) 내부로의 연장길이는 하방으로 회동시 바닥면(212)의 경사진 최하단 부근에 도달하되 상방으로 회동시 수납통(210)의 내벽과는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적용하면 된다.
또한, 수납통(210)의 바닥면 중간에는 시소부재(251)의 하방으로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219)가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219)는 시소부재(251)의 로딩부분(252)이 수납통(210)의 바닥면(212) 을 향해 회동시 로딩부분(252)의 종단이 수납통(210)의 경사진 바닥면(212)에 도달되는 위치까지 하강위치를 제한하도록 수납통(210)의 바닥면의 중간에 시소부재(251)를 간섭하도록 일정 높이로 연장되고 상부가 Y자형태로 열린 구조로 되어 있다.
탄성부재로 적용된 스프링(257)은 힌지(256) 보다 높은 위치상의 수납통(210) 외주면에 형성된 제1걸이구(218)와 수납통(210)을 기준으로 시소부재(251)의 힌지(216)보다 더 멀어지는 위치상의 시소부재(251)에 형성된 제2걸이구(25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257)은 시소부재(251)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시소부재(251)의 로딩부분(252) 종단이 수납통(210)의 바닥면(212)으로부터 상승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시소부재(251)가 외력에 의해 바닥면(212)으로 회동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위치로 복원되는 탄성바이어스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적용된다.
하부캡(230)은 메인 외통(220)의 저부에 마련된 결합돌기(226)과 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236)이 형성되어 메인 외통(220)의 저부와 결합되며 수납통(210)의 바닥면(212)을 경사되게 지지할 수 있게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턱지지부(232)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시소부재(251)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는 메인 외통(220) 상면에 돌출되게 연장되어 하방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시소부재(251)가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는 조작버튼(261), 가이드관(234)내에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버튼(261)과, 조작버튼(261)의 조작에 의해 시소부재(251)를 회동시키는 간섭봉(263)으로 되어 있다.
조작버튼(261)은 상단이 막혀 있고 하방이 개방된 구속홀이 형성되어 가이드 관(224) 내에 삽입되되 가이드관(224)보다 길게 연장된 버튼몸체(261a)와, 버튼 몸체(261a)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버튼몸체(261a)의 저면에 가이드관(224)의 내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261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간섭봉(263)은 일단이 버튼 몸체(261a)의 구속홀에 삽입되고, 타단은 시소부재(251)를 하방으로 간섭할 수 있게 연장되어 있다.
간섭봉(263)의 시소부재(251)와의 접촉위치를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도록 간섭봉(233)의 타단이 접촉되는 시소부재(251)의 힌지(256)보다 수납통(210)에 가까운 위치상에는 하방으로 인입되어 간섭봉(263)이 일정깊이 인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캡(240)은 메인 외통(220) 상부에서 메인 외통 외주면을 통해 끼움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수납통(210)에서 조작부의 조작버튼(261) 조작에 의해 상방으로 인출되는 선향(300)이 배출되는 배출구(242)와 가이드관(224)이 관통되는 관통홀(244)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248은 상부캡(240)에 형성되어 메인 바디(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 결합부(118)의 착탈홈(119)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끼움봉이다.
향보관기(200)와 본체(140)와의 결합구조는 도시된 예와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향 발화용 장치(100)는 선향(300)을 향보관기(200)로부터 인출하고자 할 경우 조작버튼(261)을 하방으로 조작하면, 간섭봉(263)이 하방으로 후퇴되고, 이 과정에서 시소부재(251)의 로딩부분(252)이 바닥면(212)의 경사진 낮은 부분까지 하강한다. 또한, 수납통(210) 내부에 수직상으로 보관돈 선향은 바닥면(212)의 경사에 의해 낮은쪽으로 이동되거나 위치된다.
이후, 조작버튼(261)에 인가한 외력을 해제시키면, 시소부재(251)의 로딩부분(252)의 안착홈(253)에 인입된 하나의 선향이 스프링(257)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되는 시소부재(251)의 승강에 의해 수납통(210)의 벽면에 가이드되면서 배출구(242)을 통해 상방으로 인출된다.
또한, 향보관기(200)로부터 인출된 선향을 사용자는 뽑아 점화부(130)에 삽입하여 착화시킨 후 다시 점화부(130)로부터 뽑아 격벽(112)의 꽂이 홀(113)에 삽입시키면 된다.
한편, 향보관기(200)는 선향(300)을 보관 및 인출하기 위한 용도로 설명되었으나, 선향(300)과 유사한 구조의 이쑤시게(미도시)와 같은 바형 수용체를 수용시키면서 조작버튼(261)의 조작에 의해 낱개로 인출시키는 이쑤시게 보관 및 인출용의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이쑤시게를 수용하여 인출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는 바형 수용체로 적용되는 내용물이 선향에서 이쑤시게로만 적용될 뿐 상세구조는 향보관기와 동일한 구조로 적용되면 된다. 이때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에는 끼움봉이 생략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향 발화용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터치형 향 보관기를 분리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메인 바디에 장착된 점화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막대형으로 형성된 선향을 꽂아 향연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향 발화용 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되 중간에 상기 선향을 삽입하여 세워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꽂이 홀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격벽을 갖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상에 상기 선향을 진입시킬 수 있게 형성되되 진입되는 상기 선향의 간섭에 의해 상기 선향을 점화시킬 수 있도록 된 점화부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꽂이 홀에 삽입되게 지지되어 발화되고 있는 상기 선향으로부터 낙하되는 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 하부에 탈부착 될 수 있게 형성된 재받이통과;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선향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수납된 상기 선향을 외부로 돌출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향 보관기;를 구비하고,
    상기 향보관기는
    상기 선향이 수용될 수 있게 상방이 열린 내부공간을 갖되 바닥면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을 수용할 수 있게 상면에 상기 수납통이 끼워지는 내통 삽입홈이 형성된 메인 외통과;
    상기 메인 외통의 저부에서 상기 메인외통과 결합되며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하부캡과;
    상기 수납통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슬롯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수납통 내외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내부공간내로 진입된 종단에는 상기 선향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을 갖는 로딩부분을 갖으며, 상기 수납통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시소부재와;
    상기 시소부재와 상기 수납통 사이에 결합되어 외력이 비인가시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승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소부재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메인 외통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조작버튼의 하방으로 조작에 의해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향하는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버튼이 노출될 수 있으면서 상기 수납통의 상부 개구를 차폐할 수 있게 상기 메인 외통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시소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인출되는 선향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상부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화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메인 외통상에 상기 내통 삽입홈와 이격되는 위치상에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관과;
    상단이 막혀 있고 하방이 개방된 구속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관 내에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관보다 길게 연장된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 몸체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몸체의 저면에 상기 가이드관의 내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버튼 몸체의 구속홀에 삽입되어 상기 시소부재를 하방으로 회동되게 간섭할 수 있게 연장된 간섭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화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시 상기 로딩부분의 종단이 상기 수납통의 경사진 바닥면에 도달되는 위치까지 하강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의 중간에 상기 시소부재를 간섭하도록 일정 높이로 연장되게 형성된 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화용 장치.
  6. 원통형태로 형성된 바형 수용체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바형 수용체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된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형 수용체가 수용될 수 있게 상방이 열린 내부공간을 갖되 바닥면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을 수용할 수 있게 상면에 상기 수납통이 끼워지는 내통 삽입홈이 형성된 메인 외통과;
    상기 메인 외통의 저부에서 상기 메인외통과 결합되며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하부캡과;
    상기 수납통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슬롯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수납통 내외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내부공간내로 진입된 종단에는 상기 바형 수용체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을 갖는 로딩부분을 갖으며, 상기 수납통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시소부재와;
    상기 시소부재와 상기 수납통 사이에 결합되어 외력이 비인가시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승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소부재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외통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조작버튼의 하방으로 조작에 의해 상기 시소부재의 로딩부분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을 향하는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버튼이 노출될 수 있으면서 상기 수납통의 상부 개구를 차폐할 수 있게 상기 메인 외통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시소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인출되는 상기 바형 수용체가 배출되는 상기 배출구를 갖는 상부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외통상에 상기 내통 삽입홈와 이격되는 위치상에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관과;
    상단이 막혀 있고 하방이 개방된 구속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관 내에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관보다 길게 연장된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 몸체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몸체의 저면에 상기 가이드관의 내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버튼 몸체의 구속홀에 삽입되어 상기 시소부재를 하방으로 회동되게 간섭할 수 있게 연장된 간섭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수용체는 이쑤시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KR1020090104425A 2009-10-30 2009-10-30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KR101103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425A KR101103440B1 (ko) 2009-10-30 2009-10-30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425A KR101103440B1 (ko) 2009-10-30 2009-10-30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699A KR20110047699A (ko) 2011-05-09
KR101103440B1 true KR101103440B1 (ko) 2012-01-09

Family

ID=4423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425A KR101103440B1 (ko) 2009-10-30 2009-10-30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4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884A (ja) * 1994-04-26 1995-11-10 Gonichi Azuma 線香の着火装置
KR200260846Y1 (ko) * 2001-10-20 2002-01-17 조진식 전기히터가 내설된 향로
KR20020060846A (ko) * 2001-01-12 2002-07-19 엘지전자주식회사 열교환사이클용 팽창장치
JP2003052525A (ja) 2001-08-10 2003-02-25 Kazuko Omi 線香立て
JP2008253801A (ja) * 2004-07-07 2008-10-23 Aboji Shokuhin Kk ワンタッチ式楊枝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884A (ja) * 1994-04-26 1995-11-10 Gonichi Azuma 線香の着火装置
KR20020060846A (ko) * 2001-01-12 2002-07-19 엘지전자주식회사 열교환사이클용 팽창장치
JP2003052525A (ja) 2001-08-10 2003-02-25 Kazuko Omi 線香立て
KR200260846Y1 (ko) * 2001-10-20 2002-01-17 조진식 전기히터가 내설된 향로
JP2008253801A (ja) * 2004-07-07 2008-10-23 Aboji Shokuhin Kk ワンタッチ式楊枝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699A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4341B2 (en) Electronic cigarette having an elevating portion
KR101656061B1 (ko) 전자담배
KR101232619B1 (ko) 휴대성 및 충전편의성이 개선된 전자담배 키트
KR20120097246A (ko) 립스틱 용기
KR101103440B1 (ko) 향 발화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바형 수용체 인출장치
US20190053536A1 (en) Weatherproof container for smoking supplies
JPS581329B2 (ja) ライタ−
US8967154B2 (en) Briquette ignition device
JPWO2017072909A1 (ja) 棒状たばこ物品における炭素熱源の燃え殻収容器、吸い殻入れ、及び棒状たばこ物品用パッケージ
CN215684772U (zh) 一种爆珠植入装置
US2123779A (en) Cigarette lighter and holder
CN217337381U (zh) 一种爆珠植入盒
CN102653095A (zh) 工具盒
CN106091000B (zh) 一种油电混合点火器
CN217389976U (zh) 一种便于植珠的爆珠盒
CN215381424U (zh) 一种便于更换爆珠的爆珠植入装置
CN204191574U (zh) 一种香烟吸烟器
CN220777400U (zh) 一种方便替换香烟的抽烟器
US3820942A (en) Gas lighters
RU20113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жигания спичек
US11805808B1 (en) Fire bong
CN214509015U (zh) 一种壁挂式蚊香盒
JP3833201B2 (ja) 線香立て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た墓碑
KR101357479B1 (ko) 라이터
US2320825A (en) Lighter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