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613B1 - Tool for cheerleading - Google Patents

Tool for cheerlea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613B1
KR101102613B1 KR1020110059930A KR20110059930A KR101102613B1 KR 101102613 B1 KR101102613 B1 KR 101102613B1 KR 1020110059930 A KR1020110059930 A KR 1020110059930A KR 20110059930 A KR20110059930 A KR 20110059930A KR 101102613 B1 KR101102613 B1 KR 101102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odies
tool
pole magnet
ch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에스에스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에스에스앤엘 filed Critical (주)에프에스에스앤엘
Priority to KR102011005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6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PURPOSE: A tool for cheerleading is provided to effectively grow a sound by a hollow part and to enhance a cheering mood. CONSTITUTION: A tool for cheerleading includes a pair bodies(110,120) in which a pair of hollow parts opened to the top and bottom are formed. A pair of bodies generate a sound through mutual contact and include high-density polyethylene. The density of high-density polyethylene is 0.93-0.97 g/cm^2. A pair of bodies are formed in a shape of a baseball bat.

Description

응원용 도구{Tool for cheerleading}Tool for cheerleading}

본 발명은 응원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for cheering.

일반적으로 프로 야구 등의 스포츠를 관전할 때 다양한 형태의 응원용 도구가 사용된다. 확성기, 깃발, 플랫 카드 등이 좋은 예다. In general, when watching sports such as professional baseball, various types of cheering tools are used. Loudspeakers, flags and flat cards are good examples.

최근 막대 풍선을 사용하여 응원하는 모습이 매스컴을 통해 빈번히 노출되고 있다. 관중들은 막대 풍선을 손바닥 등으로 충격하거나 한 쌍의 막대풍선을 서로 충격하여 소리를 내며 응원한다.Recently, the appearance of cheering using a stick balloon is frequently exposed through the media. The crowd cheers with a stick balloon, such as a palm, or a pair of stick balloons.

이러한 막대 풍선은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고, 손상에 의해 풍선 몸체 내부의 공기가 빠져 나가면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막대풍선은 장기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사용된 후 버려지고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경기장에 올 때마다 응원에 사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것을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bar balloon is made of vinyl material and is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and when the air inside the balloon body is blown out by the damage, it can no longer be used. Therefore, the bar balloons are not used for a long time and are thrown away after being used as a one-time problem. And every time he came to the stadium, he had to buy a new one to use for cheer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큰 소리를 발생시키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응원용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cheering tool that can generate a loud sound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로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한 쌍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몸체가 상호 충격됨에 따라 소리가 발생하는, 응원용 도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pair of bodie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opened up and down, provides a cheering tool, the sound is generated as the pair of bodies impact each other.

이때, 상기 한 쌍의 몸체는 각각 야구 방망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bodies may each have a baseball bat shape.

이때, 상기 한 쌍의 몸체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두께가 균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bodies may be uniform in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대안적으로, 상기 한 쌍의 몸체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두께가 불균일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air of bodies may be non-uniform in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나아가, 상기 한 쌍의 몸체는 각각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가 상하 반전되어 나머지 하나와 인접될 때 상호 대향하는 외주면이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each of the pair of bodie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facing each other when one of the pair of bodies is vertically inverted and adjacent to the other one.

한편, 상기 한 쌍의 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pair of bodies.

이때, 상기 한 쌍의 몸체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결합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pair of bodies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supported.

한편, 상기 한 쌍의 몸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for detachably coupling the pair of bodies.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N극 자석부; 및 상기 N극 자석부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S극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N-pole magnet portion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pair of body; And an S pole magnet part installed i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bodies corresponding to the N pole magnet part.

이때, 상기 N극 자석부 및 상기 S극 자석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가 상하 반전되어 나머지 하나와 인접 배치될 때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pole magnet portion and the S-pole magnet portion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hen any one of the pair of bodies is vertically inverted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one.

또는, 상기 N극 자석부 및 상기 S극 자석부는 각각 상기 각 몸체의 외주면 및 내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N pole magnet portion and the S pole magnet portio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body.

한편, 상기 결합부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나머지 하나에 부착된 루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Velcro tape, the Velcro tape, a hook member attached to any one of the pair of bodies; And a loop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member and attached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bodies.

한편, 상기 몸체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에스터(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in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polyester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PC), polyamide and mixtures thereof It may be formed including one or more selected.

또는 상기 몸체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의 인장강도가 200 내지 450Kg/cm2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ody may be formed including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may be 200 to 450 Kg / cm 2 .

또는 상기 몸체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3 내지 0.97g/cm2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ody may be formed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the density of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may be 0.93 to 0.97 g / cm 2 .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응원용 도구는 각 몸체에 상하로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됨으로써, 몸체의 상호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가 중공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커지고, 소리에 의한 응원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er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hollow portion vertically open in each body, the sound generated by the mutual impact of the body is effectively increased by the hollow portion, the cheering atmosphere by the sound Can be heightened.

또한 본 발명의 응원용 도구는 한번 사용 후 버려지지 않고, 장기적으로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In addition, the root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hrown away after use, it can be used several times in the long term,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에 포함된 한 쌍의 몸체가 상호 인접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에 포함된 한 쌍의 몸체가 상호 인접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l for che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l for che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bodies included in the chee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ot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bodies included in the root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 볼 때 상하 방향은 각 몸체(110, 120)의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o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o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vertical direction represents the vertical direction of each body 110 and 120.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100)는 중공부(111, 121)가 형성된 한 쌍의 몸체(110, 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응원용 도구는 한 쌍의 몸체(110, 120)가 상호 충격되어 발생된 소리를 통해 응원 분위기를 고조시킨다.1 and 2, the rooting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bodies 110 and 120 having hollow parts 111 and 121 formed therein. This cheering tool heightens the cheering atmosphere through the sounds generated by the pair of bodies 110 and 120 impacted each other.

중공부(111, 121)는 몸체(110, 120)를 상호 충격할 때 발생하는 소리의 통로를 제공한다. 중공부(111, 121)는 몸체(110, 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개방된다. 몸체(110, 120)를 상호 충격할 때 몸체(110, 120) 내부에서 발생된 소리는 중공부(111, 121)를 따라 이동하면서 증폭되고, 몸체(110, 120)의 상하 방향으로 전파된다. 따라서, 몸체(110, 120)를 상호 충격할 때 발생되는 소리가 효과적으로 증가하여, 소리에 의한 응원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다.The hollow parts 111 and 121 provide passages of sound generated when the bodies 110 and 120 impact each other. The hollow parts 111 and 121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ies 110 and 120 and are opened up and down. When the bodies 110 and 120 impact each other, the sound generated inside the bodies 110 and 120 is amplified while moving along the hollow portions 111 and 121 and propa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ies 110 and 120. Therefore, the sounds generated when the bodies 110 and 120 impact each other are effectively increased, thereby enhancing the cheering atmosphere by the sounds.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10, 120)는 야구 방망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몸체(110, 120)는 야구장과 조화를 이루며 야구장에서의 응원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는 스포츠 종목에 따라 관련된 다양한 입체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ies 110 and 120 may have a baseball bat shape. The body (110, 120) of such a shape can be in harmony with the baseball field and heighten the cheering atmosphere at the baseball field.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body may have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related to the sport.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몸체(110, 120)는 각각 한 쌍의 몸체(110, 120) 중 어느 하나를 상하 반전시켜 나머지 하나에 인접시킬 때 상호 대향하는 외주면이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air of bodies 110 and 1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facing each other when the one of the pair of bodies 110 and 120 are vertically inverted to be adjacent to the other one. .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에 포함된 한 쌍의 몸체가 상호 인접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몸체(110, 120) 중 하나(120)를 상하 반전시켜 나머지 하나(110)에 인접시킬 때 상호 대향하는 각 몸체(110, 120)의 외주면이 상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인접 배치된 한 쌍의 몸체(110, 120)는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응원용 도구(100)의 전체 크기 또는 부피가 효과적으로 작아질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해진다.In this regard, Figur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bodies included in the chee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3, when one of the pair of bodies 110 and 120 is inverted up and down to be adjacent to the other one 11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opposite bodies 110 and 120 correspond to each other. Able to know. In this case, the pair of adjacently disposed body (110, 120) can be in close contact effectively, the overall size or volume of the rooting tool 100 can be effectively reduced, so that the storage is easy.

몸체(110, 120)는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내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각 몸체(110, 120)는 수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닐 재질로 이루어진 종래 막대 풍선이 한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것과 달리, 인장강도가 커서 내충격성이 높아 충격에 의한 손상 없이 반영구적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The bodies 110 and 120 are not damaged by mutual impact, respectively, and preferably have durability. For this purpose, each body 110,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of a resin, preferably a thermoplastic resin. In this case, unlike the conventional bar balloon made of a vinyl material is used and discarded once, the tensile strength is large, the impact resistance is high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damage due to impac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에스터(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thermoplastic resin,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polyester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PC), polyamide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Preferably polyethylene can be used.

상기 폴리에틸렌으로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고밀도폴리에틸렌은 높은 결정화도와 우수한 인장강도를 가지고 가격이 저렴하므로 본 발명의 응원용 도구의 재료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polyeth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M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and preferably high density polyethylene can be used. High density polyethylene has a high crystallinity and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low price can be preferably used as a material for the root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응원용 도구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얇으며, 한 쌍의 몸체가 상호 충격됨으로써 소리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응원용 도구의 재료는 높은 인장강도를 요구한다. 상기 상기 응원용 도구 재료, 바람직하게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은 결정화도가 높아 밀도가 0.93 내지 0.97g/cm2이며, 인장강도 200 내지 450Kg/cm2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oot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portion and is thin in thickness, and a pair of bodies are mutually impacted to generate sound. Thus, the material of the rooting tool requires high tensile strength. The rooting tool material, preferably high density polyethylene, has a high crystallinity, has a density of 0.93 to 0.97 g / cm 2 , and a tensile strength of 200 to 450 Kg / cm 2 .

여기서 상기 응원용 도구 재료의 인장강도가 200Kg/cm2 미만일 경우에는 한 쌍의 몸체를 상호 충격하였을 때 상기 응원용 도구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인장강도가 450Kg/cm2을 초과할 경우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큰 고밀도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 경우 응원용 도구 형태로 사출성형하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다.In this case,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ooting tool material is less than 200Kg / cm 2 , the rooting tool may be destroyed when the pair of bodies are mutually impacted, and the tensile strength may exceed 450Kg / cm 2 . In this case, since high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larg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should be used, in this case, injection molding in the form of a support tool is difficult, which is not preferable.

또한 여기서 상기 응원용 도구 재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3미만일 경우에는 탄성률이 낮아 충격시 형체가 변형될 수 있으며, 밀도가 0.97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취성(brittleness)이 너무 커서 충격시 파괴될 위험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when the density of the rooting tool material, preferably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is less than 0.93, the elastic modulus is low, the shape may be deformed during impact, if the density exceeds 0.97, brittleness is too large to impact There is a risk of destruction, which is undesirable.

각 몸체(110, 12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10, 120)는 사출 성형에 의해 한번에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다.Each body 110, 12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In this case, the body (110, 120) is easy to manufacture because it is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at on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몸체(110, 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10, 120)를 상호 충격할 때 충격되는 부위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음역대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bodies 110 and 120 may have a uniform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In this case, when the bodies 110 and 120 impact each other, the same or similar sound range may be generated regardless of the parts to be impacted.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몸체는 상하방향으로 불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를 상호 충격할 때 충격되는 부위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음역대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each body may have a non-uniform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when the body impacts each other, various sound ranges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mpacted part.

본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100)는 각 몸체(110, 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상의 끈 또는 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130)는 각 몸체(110, 120)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보관 시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The rooting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unit 130 that interconnects each of the bodies 110 and 120. The connection part 130 may be formed of a string or a string having a general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2. Such a connecting portion 130 by interconnecting the respective body (110, 120) to minimize the risk of loss during storage, and facilitates the handling of the user.

또는, 연결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화기 줄과 같이 코일 스프링 형상의 끈 또는 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보관 시 연결부가 최소 길이를 가지게 되어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 시 연결부가 쉽게 늘어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on part may be made of a coil spring-shaped strap or string such as a telephone cord.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has a minimum length at the time of storage for easy storage, and the connection part can be easily stretched for easy handl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몸체(110, 120)에는 연결부(130)의 단부가 결합 지지되는 결합 지지부(115, 125)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지지부(115, 125)는 연결부(130)의 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지지부(115, 125)는 몸체(110, 120)가 사출 성형될 때 몸체(110, 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coupling bodies 115 and 125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bodies 110 and 120 to which the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s 130 are coupled and supported. Coupling support portions 115 and 125 may includ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s 130 are coupled. The coupling support parts 115 and 12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ies 110 and 120 when the bodies 110 and 120 are injection molded.

연결부(130)가 끈 또는 줄로 이루어진 경우, 연결부(130)는 양단부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묶이는 방식으로 결합 지지부(115, 125)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결부는 끈 또는 줄로 이루어진 연결부 몸체의 양단부에 마련된 후크가 관통홀에 걸리는 방식으로 결합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art 130 is made of a string or a string, the connection part 13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upport parts 115 and 125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are tied through the through hole.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engagement support in such a manner that a hook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body made of a string or a string is caught in the through hol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200)는 한 쌍의 몸체(210, 220), 연결부(230) 및 결합부(240)를 포함한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eer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rooting too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bodies 210 and 220, a connection part 230, and a coupling part 240.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3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30)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210, 22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몸체(110, 120)와 다소 차이가 있는바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connec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connec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ba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body (210,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body (110, 120)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ba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100)와 구별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rooting too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4,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contents distinguished from the rooting tool 100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각 몸체(210, 220)는 상하 방향으로 불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몸체(210, 220)를 상호 충격할 때 충격되는 부위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음역대의 소리를 낼 수 있다.Each body 210 and 220 may have a non-uniform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when each body (210, 220) to impact each other can produce a variety of sound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mpacted portion.

도 4에는 각 몸체(210, 220)의 상부 및 하부에 최대 두께부(217, 218, 227, 228)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대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불균일한 두께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몸체가 제안될 수 있다.4 shows that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s 217, 218, 227, and 228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ies 210 and 22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lternatively have non-uniform thickne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Various types of bodies can be propo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몸체(210, 220)는 결합부(24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응원용 도구(200)를 보관하는 경우 한 쌍의 몸체(210, 220)가 결합부(24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해지고, 응원용 도구(200)를 사용하는 경우 결합되어 있던 한 쌍의 몸체(210, 22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bodies 210 and 220 are detachably coupled by the coupling part 2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storing the cheering tool 200, a pair of bodies (210, 22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portion 240, the storage is easy, cheering tool 200 In the case of using), a pair of bodies 210 and 220 that have been combined can be easily separa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240)는 N극 자석부(241, 242) 및 N극 자석부(241, 242)에 대응하는 S극 자석부(246, 2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10, 220)가 인접 배치될 때 상호 대응하는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몸체(210, 220)를 상호 결합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240 may include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corresponding to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bodies 210 and 22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corresponding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so that the body 210 operates. , 2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응하는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는 두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효과적으로 몸체(210, 22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상호 대응하는 N극 자석부 및 S극 자석부는 한 쌍 또는 세 쌍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wo pairs. In this case, the bodies 210 and 220 may be eff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corresponding N-pole and S-pole magnets may be one pair or three or more pairs.

본 실시예에 따르면, N극 자석부(241, 242)는 한 쌍의 몸체(210, 220) 중 하나(210)에 설치되고, N극 자석부(241, 242)에 대응하는 S극 자석부(246, 247)는 한 쌍의 몸체(210, 220) 중 나머지 하나(220)에 설치된다. 다만, 두 개의 N극 자석부(241, 242)가 모두 하나의 몸체(210)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둘 중 하나는 나머지 몸체(220)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re installed in one 210 of the pair of bodies 210 and 220 and the S pole magnet parts corresponding to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246 and 247 are installed i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bodies 210 and 220. However, the two N-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do not need to be disposed in one body 210, and one of the two magnets 241 and 242 may be disposed in the other body 2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대응하는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는, 한 쌍의 몸체(210, 220) 중 하나가 상하 반전되어 나머지 하나와 인접 배치될 때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 pole magnet portion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ortions 246 and 247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by inverting one of the pair of bodies 210 and 220 up and down.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도구에 포함된 한 쌍의 몸체가 상호 인접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몸체(210, 220) 중 하나(220)를 상하 반전시켜 나머지 하나(210)에 인접시킬 때 N극 자석부(241, 242)와 S극 자석부(246, 247)가 상호 대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N극 자석부(241, 242)와 S극 자석부(246, 247)가 배치됨에 따라, 몸체(210, 220)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In this regard,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bodies included in the root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5, when one of the pair of bodies 210 and 220 is inverted up and down to be adjacent to the other 210,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 246, It can be seen that 247 are opposed to each other. As the N-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are disposed, the bodies 210 and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close contact.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몸체(210, 2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는 각 몸체(210, 220)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210, 220)가 상호 충격할 때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may be located inside the bodies 210 and 2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That is,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body 210 or 220. In this case, when the bodies 210 and 220 are mutually impacted,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는 각 몸체(210, 220)의 중공부(211, 221)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는 각 몸체(210, 220)의 중공부(211, 221)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복수의 절편이 상호 이격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hollow parts 211 and 221 of the bodies 210 and 220 as a whole. Alternatively,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may have a plurality of segme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partially surround the hollow parts 211 and 221 of the bodies 210 and 220. It may have a form.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는 각 몸체(210, 220)의 최대 두께부(217, 218)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의 배치 공간이 넓어져,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를 각 몸체(210, 220)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may be disposed in the maximum thickness parts 217 and 218 of the bodies 210 and 22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space for arranging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is widened, and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are respectively separated. It is easy to position the interior of the body (210, 2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몸체(210, 220)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240)는 N극 자석부(241, 242) 및 S극 자석부(246, 247)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의 결합부가 제안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240 that couples the respective bodies 210 and 220 to each other may include the N pole magnet parts 241 and 242 and the S pole magnet parts 246 and 247.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types of coupling parts may be proposed.

예를 들어, 결합부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벨크로 테이프는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후크부재와, 이 후크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 몸체에 부착되는 루프부재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engagement portion may comprise a Velcro tape. In this case, the Velcro tape includes a hook member attached to any one of the pair of bodies, and a loop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member and attached to the other body.

이러한 벨크로 테이프는 몸체의 외주면에 부착된다.This velcro tape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벨크로 테이프가 몸체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때에 사용될 수 있다. Also, at least one Velcro tape can be used when the bodies are removably joined together.

또한, 후크부재와 루프부재는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가 상하 반전되어 나머지 하나와 인접 배치될 때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ok member and the loop member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hen one of the pair of bodies is vertically inverted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on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omponents within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changing, deleting, adding, etc.,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120, 210, 220 : 몸체
111, 121, 211, 221 : 중공부
130, 230 : 연결부
240 : 결합부
110, 120, 210, 220: body
111, 121, 211, 221: hollow part
130, 230: connection
240: coupling part

Claims (15)

상하로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한 쌍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몸체가 상호 충격됨에 따라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몸체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3 내지 0.97g/cm2인, 응원용 도구.
Including a pair of bodies formed with a hollow opening up and down,
As the pair of bodies impact each other, a sound is generated,
The body is formed including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The tool for cheering, wherein the density of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is 0.93 to 0.97 g / cm 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의 인장강도가 200 내지 450Kg/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of claim 1,
Cheer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is 200 to 450Kg / cm 2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는 각각 야구 방망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air of bodies cheer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each has a baseball bat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두께가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pair of body support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uniform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두께가 불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pair of body support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non-uniform in each of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는 각각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가 상하 반전되어 나머지 하나에 인접될 때 상호 대향하는 외주면이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Each of the pair of bodies is a cheer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acing each oth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one of the pair of the body is inverted up and dow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heering tool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for interconnecting the pair of bodi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결합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air of body support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s supported by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eer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for detachably coupling the pair of bodi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N극 자석부 및
상기 N극 자석부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S극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upling part,
An N pole magnet portion installed in any one of the pair of bodies and
The cheer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ole magnet portion installed i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body corresponding to the N-pole magnet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극 자석부 및 상기 S극 자석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가 상하 반전되어 나머지 하나와 인접될 때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N-pole magnet portion and the S-pole magnet portion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when one of the pair of bodies is vertically inverted and adjacent to the other o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극 자석부 및 상기 S극 자석부는 각각 상기 각 몸체의 외주면 및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The method of claim 10,
The N pole magnet portion and the S pole magnet portion is a cheer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spective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몸체 중 나머지 하나에 부착된 루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도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ngaging portion comprises a Velcro tape,
The Velcro tape is
A hook member attached to any one of the pair of bodies and
And a loop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member and attached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bodi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59930A 2011-06-21 2011-06-21 Tool for cheerleading KR101102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930A KR101102613B1 (en) 2011-06-21 2011-06-21 Tool for cheerlea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930A KR101102613B1 (en) 2011-06-21 2011-06-21 Tool for cheerlea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613B1 true KR101102613B1 (en) 2012-01-03

Family

ID=4561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930A KR101102613B1 (en) 2011-06-21 2011-06-21 Tool for cheerlea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61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892A (en) * 1989-09-19 1991-04-30 Fujitsu Ltd Display control system
JPH11253666A (en) * 1998-03-12 1999-09-21 Toshika Sato Beating tool for toy
JP3103892B2 (en) 1990-12-28 2000-10-30 ソニー株式会社 Lens barrel
JP2003236262A (en) * 2002-02-19 2003-08-26 Shimura Seikei:Kk Cheering goods
JP2005062448A (en) * 2003-08-12 2005-03-10 Sharp Sangyo Kk Ringing tool for cheer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892A (en) * 1989-09-19 1991-04-30 Fujitsu Ltd Display control system
JP3103892B2 (en) 1990-12-28 2000-10-30 ソニー株式会社 Lens barrel
JPH11253666A (en) * 1998-03-12 1999-09-21 Toshika Sato Beating tool for toy
JP2003236262A (en) * 2002-02-19 2003-08-26 Shimura Seikei:Kk Cheering goods
JP2005062448A (en) * 2003-08-12 2005-03-10 Sharp Sangyo Kk Ringing tool for chee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5944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apparel and accessories
JPH0727385B2 (en) Whistle
CA2507210A1 (en) Helmet reinforcement system
JP3151112U (en) hose
US8981195B2 (en) Cymbal edge guard
JP2018538109A5 (en)
KR101102613B1 (en) Tool for cheerleading
US5188359A (en) Drum beat sounding racket
US6555736B1 (en) Rhythm shaker
US6817922B1 (en) Noise maker configured as a sports article
KR200467317Y1 (en) Protective case for terminal
KR2015003991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huttlecock
USD627411S1 (en) Resilient swing trainer
US20080023115A1 (en) Golf club protector
US713316A (en) Ball and bat toy.
JP3335745B2 (en) megaphone
KR200487846Y1 (en) A golf bag
JP3134816U (en) Golf club holder
JP3177630U (en) Plug set and earphone set including the plug set
JP5813195B1 (en) Golf club group, golf bag for the same, and golf club set combining them
JP3114735U (en) Megaphone made of thermoplastic foam
KR102641040B1 (en) Cheering balloon
JP2000350797A (en) Racket frame
CN204050854U (en) A kind of flash ball
JP3495293B2 (en) Portable straps for supporting equipment such as mega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