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264B1 -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264B1
KR101102264B1 KR1020090005674A KR20090005674A KR101102264B1 KR 101102264 B1 KR101102264 B1 KR 101102264B1 KR 1020090005674 A KR1020090005674 A KR 1020090005674A KR 20090005674 A KR20090005674 A KR 20090005674A KR 101102264 B1 KR101102264 B1 KR 10110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delete delete
ethanol
sea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757A (ko
Inventor
배헌민
강양순
박영태
박태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00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2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06Ethanol, i.e. non-beve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다로부터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설정된 크기로 분쇄하며 바닷물 및 이물질과 분리하는 포집수단과 및 포집수단이 정제한 해양생물을 발효시켜 에탄올의 농도를 높이고 에탄올을 정제하며 분리하고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지구 온난화, 이상기온, 해양오염 등에 의하여 바다에서 대량 번식하는 적조, 해파리 및 폐사된 어류를 포집하고 발효시켜 바이오 에너지를 추출하므로 주변환경을 정화하는 동시에 청정에너지를 확보하며, 해양을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깨끗이 하는 효과가 있다.
해양생물, 바이오 에너지, 에탄올, 적조, 해파리, 폐사, 어류

Description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제조 장치{APPARATUS OF MANUFACTURING BIO ETHANOL FROM SEA ORGANISM}
본 발명은 해양의 적조, 해파리 등과 같은 유해생물과 폐사된 어류 등의 해양생물로부터 바이오 에너지를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특히 유해생물이 대량 발생하는 해양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해생물을 포집하여 바이오 에너지를 추출하는 해양 유해생물의 바이오 에너지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형상 삼(3)면을 바다와 접하고 있어 인근 해양으로부터 많은 경제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고, 이러한 해양자원이 오염되거나 온도 변화 등이 발생하는 경우, 주변의 기후 변화, 생활환경 변화, 생태계 오염 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국토개발과 공업화 등에 의하여 육지의 토양이 인근 해양에 흘러들어가거나 각종 환경오염 물질이 유입 또는 투기되어 해양오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지형적 여건상 바다 특히 주변 해양환경은 실생활과 직간접적으로 밀접해 있고, 오염되는 경우 국민의 건강, 생활 및 국가 경제적으로도 많 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주변 해양환경을 청정하게 관리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육지로부터 토양이 유입되거나 각종 환경오염 물질이 유입되거나 투기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이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거나 자연적인 환경변화 및 불가피한 상황 등에 의하여 주변의 해양환경이 심각하게 변화되는 경우도 있다.
지구 온난화 및 주변환경의 변화는 바다에 적조현상 및 해파리 등의 번식을 촉진하여 해양환경을 더욱 황폐화시킨다. 특히 적조는 유독하고 유해한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하여 발생하는 것이고, 해파리는 지구 온난화와 서식환경이 좋은 해양 공업지역 등에서 대량 번식하며 인명 피해까지 줄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적조 및 해파리는 양식업은 물론 어업까지 황폐화 시킨다. 또한, 양식장에서의 적조 발생 등에 의하여 대량의 어류가 일시에 폐사하여 해양을 2차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연근해의 적조현상 발생과 해파리의 대량 번식 등은 해변의 주변 미관을 해치어 관광산업에 영향을 주고, 해수를 취수하여 이용하는 공업 분야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바다에서 나타나는 적조현상과 대량 번식하는 해파리 등을 단순히 포집하여 폐기하는데 주력하였으나, 인력과 자금의 제한 등에 의하여 이러한 작업에 한계가 있었다.
지구는 한정된 광물 및 천연자원이 매장되어 있으며, 특히 에너지를 공급하 는 천연자원으로 대표적인 것이 석유이다.
이러한 석유 에너지 자원은 제한된 지역에서만 산출되고 매장량도 한정되어 있으므로 가격이 계속 비싸지고, 언젠가는 고갈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지구에 제한 상태로 매장된 석유자원에 대체할 수 있는 것이 바이오 에너지이며, 바이오 에너지는 식물 또는 동물 및 그 부산물 등으로부터 추출되는 에탄올, 디젤, 가스 등의 유용물질을 이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유용물질의 추출하는 기술은 현재에도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도, 지구 온난화 및 주변환경의 오염 등에 의하여 연근해에서 대량 발생하고 번식하는 적조 및 해파리 등을 단순하게 제거하고 억제하는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 보다는, 이러한 유독하고 유해한 해양생물로부터 바이오 에너지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양식업, 어업, 관광산업을 보호하고 새로운 에너지원을 확보하는 일석이조의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 해결 및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연근해에서 자연적으로 대량 증식하는 적조, 해파리 등으로부터 바이오 에너지를 추출하는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에 의하여 연근해에서 자연적으로 대량 증식하는 적조, 해파리 등으로부터 바이오 에너지를 추출하는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폐사한 어류, 작은 새우 등과 같은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가공 처리하여 바이오 에어지를 추출하는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장치는, 바다로부터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설정된 크기로 분쇄하며 바닷물 및 이물질과 분리하는 포집수단; 및 포집수단이 정제한 해양생물을 발효시켜 에탄올의 농도를 높이고 에탄올을 정제하며 분리하고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집수단은 바다에서 해양생물을 포집하는 포집부; 포집부가 포집한 해양생물을 설정된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분쇄부; 분쇄부가 분쇄한 해양생물을 바닷 물과 분리하는 원심분리부; 원심분리부가 분리한 해양생물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제하는 해양생물 정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부는 운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포집부의 해양생물을 상기 원심분리부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부는 포집된 해양생물과 바닷물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제 1 차 원심분리기; 제 1 차 원심분리기가 분리한 해양생물로부터 바닷물을 2차 분리하여 제거하는 제 2 차 원심분리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양생물은 살아 있는 것과 죽어 있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양생물은 유독성 해양생물과 무독성 해양생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은 포집수단이 정제한 해양생물을 발효시켜 에탄올의 농도를 높이는 발효부; 발효부에서 발효된 에탄올을 정제하여 추출하는 에탄올 정제부; 에탄올 정제부에서 추출된 에탄올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에탄올 저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전개판을 이용하여 모아진 해양생물을 효율적으로 포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장치는, 바이오 에너지 제조 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이동하여 해양생물을 탐색하고 포집하여 설정된 크기로 분쇄하며 원심 분리하여 바닷물을 제거하고 정제하여 발효된 에탄올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양생물은 적조 생물, 해파리, 작은 새우, 폐사한 어류가 포함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방법은, 해양생물로부터 바이오 에너지를 제조하는 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이동하여 해양생물을 탐색하고 포집하여 설정된 크기로 분쇄하는 과정; 분쇄된 해양생물을 원심 분리하여 바닷물과 분리하고 정제하여 발효시키는 과정; 및 발효된 해양생물로부터 에탄올을 정제하고 분리하여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쇄과정은 포집된 해양생물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하로 작은 경우는 분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과정은 분쇄된 해양생물을 1차 원심 분리하여 바닷물을 제거하고, 상기 1차 원심분리에서 바닷물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았으면 2차 원심 분리하여 바닷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과정의 해양생물 정제는 바닷물이 제거된 해양생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과정의 발효는 해양생물의 분쇄된 크기, 숙성을 위한 온도, 습도, 유지 시간, 투입되는 세균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고속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 에너지는 에탄올, 디젤, 가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 에너지가 정제되어 분리된 해양생물은 사료, 비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재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지구 온난화, 이상기온, 해양오염 등에 의하여 바다에서 대량 번식하는 적조, 해파리 및 폐사된 어류를 포집하고 발효시켜 바이오 에너지를 추출하므로 주변환경을 정화하는 동시에 청정에너지를 확보하는 산업적인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적조, 해파리, 폐사된 어류 등의 해양생물을 현장에서 포집하고 일정한 크기로 분쇄 및 발효시켜 에탄올, 디젤, 가스 등의 바이오 에너지를 추출하므로 해양을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깨끗이 하는 친환경적인 이용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장치의 기능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방법 순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구성상태 도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면, 포집부(110); 분쇄부(120); 원심분리부(130); 해양생물 정제부(140); 로 이루어지는 포집수단, 발효부(150); 에탄올 정제부(160); 에탄올 저장부(170); 로 이루어지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포집수단과 저장수단은 이동할 동력이 없는 바지선 또는 이동할 동력을 구비한 선박(이하 모두 선박이라 한다)(100)에 설치된다.
상기 선박(100)은 적조 현상이 발생하는 해역, 해파리가 번성하는 해역, 폐사된 어류가 있는 해역, 작은 새우 등이 집단 번식하는 해역 등을 탐색하거나 해당 해역으로 이동한다.
상기 포집부(110)는 상기 선박(100)의 일단으로부터 적조, 해파리, 폐사한 어류 등을 포집 또는 수거하여 저장한다. 상기 포집 또는 수거에는 전개판을 이용하므로 대량의 해양생물을 한곳으로 모으고 효율적으로 포집한다.
상기 포집하는 방식은 해양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일례로, 적조의 경우는 진공흡입기 방식을 이용하여 바닷물과 함께 포집하고, 해파리 등은 그물을 이용할 수 도 있으며, 폐사된 어류 등은 비교적 크기와 무게가 있으므 로 그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포집하는 해양생물은 적조류, 해파리, 작은 새우, 폐사된 어류 등을 각각 포집하여 수거하거나 또는 동시에 포집 수거할 수 있다.
상기 적조 해양생물은 식물 플랑크톤 종류이고, 플랑크톤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건조한 상태에서의 화학성분은 단백질 17~57%, 탄수화물 4.1~37%, 지질성분 1.8~18%의 범위로 구성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코클로디니움이 포함되는 와편모 조류는 단백질 28~31%, 탄수화물 30.5~37%, 지질성분 15.8~18%의 범위를 차지하므로, 바이오 에너지를 확보하는 대상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된다.
상기 코클로디니움의 세포 하나에는 유기탄소가 약 2.5ng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남해 미조해역과 같이 40,000 CELLS/ml의 적조 발생시에는 해수 1톤(t) 당 약 100g의 탄소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되고, 지질 성분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제 바이오 에너지로서 에탄올을 추출하는 경우 최대 약 4배(400g/톤) 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
상기 코클로디니움 적조 해양생물의 점진물질(점액물질)은 약 70%가 다당류이다.
상기 다당류(POLYSACCHARIDE)는 글리칸이라고도 하며, 대부분 천연 탄수화물로 구성되고, 선형이거나 가지 형태이다.
셀룰로오스와 같은 선형 화합물은 서로 조밀하고 단단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지 형태의 화합물은 물에 잘 녹아서 반죽 형태의 용액을 만든다.
한 종류의 당 또는 당 유도체의 분자들만으로 구성된 다당류를 호모 다당류 또는 호모 글리칸이라 한다. 포도당으로 구성된 호모 다당류로 동물과 식물의 탄수화물을 각각 저장하는 형태인 글리코겐과 녹말 및 대부분의 식물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구조 성분인 셀룰로오스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세균에 의해 점액형태로 분비된다.
해파리는 예로부터 사람이 먹거나 한방재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100g 중, 수분 65g, 단백질 12.3g, 지방 0.1g, 당질 4g, 무기질 18.7g, 칼슘 182mg, 철 9.5mg, 비타민 B1, B2 가 미량 포함되어 있다.
노무라 입깃 해파리의 경우 1톤(t)에서 약 40 Kg의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 크기 이상인 해파리, 폐사된 어류 등의 경우에는, 상기 분쇄부(120)를 이용하여 설정된 소정 크기로 분쇄하고, 플랑크톤인 적조류, 작은 새우 등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분쇄부(120)를 운용하지 않으며, 이때 상기 분쇄부(120)는 포집부(110)가 포집한 해양생물을 원심분리부(130)에 공급하는 경로로 이용된다.
상기 분쇄부(120)를 통하여 공급되는 해양생물은 원심분리부(130)에 의하여 바닷물 또는 해수를 분리하고 제거한다. 상기 해양생물의 종류 및 특성 등에 의하여 바닷물이 일정한 범위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는 1차 원심분리기와 2차 원심분리기로 분류하여 해양생물로부터 바닷물을 설정된 범위가 되도록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는 원심분리기를 더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부(130)에 의하여 바닷물이 적정하게 제거된 해양생물은 상기 정제부(140)에 공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순수한 해양생물만을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정제되어 추출된 해양생물은 발효부(150)에 공급되어 발효되고, 발효과정에서 에탄올이 생성된다. 상기 발효를 촉진하기 위하여서는 온도, 습도를 설정된 범위로 일정한 시간동안 관리하고, 선택에 의하여 발효를 위한 미생물을 투입할 수 도 있다. 발효는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에탄올의 농도가 높아지고, 상기 설정된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에탄올의 농도가 크게 변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분쇄부(120)에서 큰 크기의 해양생물을 설정된 소정 크기로 일정하게 분쇄하는 것은, 상기 발효부(150)에서 발효가 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분쇄하는 크기는 오랜 동안 반복된 실험에 의하여 최적의 크기를 선택 결정하며, 해양생물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는 다르게 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정제부(160)는 상기 발효부(150)에서 발효되어 공급되는 해양생물로부터 에탄올과 불순물을 분리하여 순수한 에탄올을 추출하는 정제처리하고, 상기와 같이 정제된 에탄올을 저장부(170)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상기 에탄올 이외에도 해양생물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디젤, 가스 등으로 추출하여 정제할 수 있다.
특히, 적조류는 독성이 강하여 어류를 폐사시키고, 특히, 양식장에서 적조류가 발생하는 경우, 양식되는 많은 어류가 동시에 폐사하고, 또한, 폐사된 어류에 의하여 2차 환경오염이 발생하였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적조류를 찾아다니면서 포집하므로 해양환경을 정화하는 동시에 바이오 에너지를 확보하고, 해양의 생태환 경을 보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양생물을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한다.
또한, 발전소의 냉각을 위하여 해수를 유출입하는 곳 등에서 대량 번식하는 해파리를 제거하므로 공업 및 산업시설이 원활하게 가동되도록 하고, 생태환경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하므로, 고유가 상황에서 청정 에너지원 개발과 유해 해양생물로 인한 피해를 줄이므로 직 간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발생한다.
또한, 해양생물로부터 에탄올을 정제하고 남은 찌꺼기는 사료 및 비료 등으로 재처리 또는 재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해양생물은 불가사리, 해조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해양생물로부터 바이오 에너지를 제조하는 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이용하여 적조류, 해파리 등이 대량 번식하거나 폐사 어류가 대량 발생한 영역을 탐색하고 이동한다(S110). 상기 탐색은 해당 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을 이용하여 해양생물을 포집한다(S120). 상기 해양생물은 살아 있거나 죽어 있을 수 있으며, 유독성이거나 무독성일 수 있다.
상기 포집된 해양생물이 적조류, 작은 새우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 일정한 크기 이상의 폐사한 어류 등과 같은 경우에는 분쇄 처리(S130)하므로, 설정된 소정 크기로 일정하게 분쇄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포집되거나 분쇄된 해양생물은 원심분리에 의하 여 바닷물 또는 해수를 제거한다(S140). 상기 원심분리는 포집된 해양생물로부터 해수가 제거되는 특성에 의하여 1차, 2차로 원심분리 처리할 수 있고, 필요에 의하여 반복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해양생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수한 해양생물로 정제하고(S150), 상기와 같이 정제된 해양식물을 적정한 온도, 습도, 소정 시간 등에 의하여 발효시키므로 에탄올을 제조한다(S160).
상기 발효는 반복된 실험을 통하여 선택된 세균류를 이용하거나 반복된 실험에 의하여 선택된 최적의 온습도를 유지시키는 조건에서 수행된다. 상기 해양생물의 종류 및 사용되는 세균류, 선택된 온습도 조건 등에 의하여 에탄올 대신에, 바이오 디젤, 다당류, 가스 등을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해양생물로부터 제조된 에탄올을 정제하므로 순수한 에탄올을 분리 추출하고(S170), 상기 정제된 바이오 에너지, 즉, 디젤, 다당류, 가스 등은 별도의 탱크 등에 분리하여 저장한다(S180).
상기와 같이 에탄올, 바이오 디젤, 다당류, 가스 등의 바이오 에너지가 분리 추출되고 남은 해양생물은 사료 또는 비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재처리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지구의 온난화, 해양오염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적조류, 해파리 등의 해양생물을 포집하므로 해양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해양의 자연 생태계를 보호 유지하고, 청정한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하여 고유가 시대에 대비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장치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방법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제조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구성상태 도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바이오 에너지 제조 선박 110 : 포집부
120 : 분쇄부 130 : 원심분리부
140 : 해양생물 정제부 150 : 발효부
160 : 에탄올 정제부 170 : 저장부

Claims (16)

  1. 바이오 에탄올 제조용 해양 선박에 있어서,
    상기 해양 선박의 선단에 V자형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해양 선박의 하부로 해수를 유입하는 전개판;
    상기 전개판을 통하여 유입된 해수에 포함된 해양생물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해양 생물을 설정된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해양 생물로부터 해수를 분리하는 원심분리부 그리고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해수가 분리된 해양생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제하는 해양 생물 정제부를 포함하는 포집수단; 및
    상기 포집수단에 의해 정제된 해양생물을 발효시켜 에탄올의 농도를 높이고 에탄올을 정제하여 분리하고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에탄올 제조용 해양선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005674A 2009-01-22 2009-01-22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제조 장치 KR10110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74A KR101102264B1 (ko) 2009-01-22 2009-01-22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74A KR101102264B1 (ko) 2009-01-22 2009-01-22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757A KR20090016757A (ko) 2009-02-17
KR101102264B1 true KR101102264B1 (ko) 2012-01-03

Family

ID=4068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674A KR101102264B1 (ko) 2009-01-22 2009-01-22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2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264A (ja) 2005-01-31 2006-08-10 Mitsubishi Research Institute Inc マリンバイオマスを用いた大規模co2削減システム
WO2008011598A2 (en) * 2006-07-21 2008-01-24 Xyleco, Inc. Conversion systems for biomass
KR20080059142A (ko) * 2005-06-24 2008-06-26 레슬리 딘 프라이스 해양 선박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생물 자원 재료를에너지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25221A (ko) * 2007-02-26 2009-03-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264A (ja) 2005-01-31 2006-08-10 Mitsubishi Research Institute Inc マリンバイオマスを用いた大規模co2削減システム
KR20080059142A (ko) * 2005-06-24 2008-06-26 레슬리 딘 프라이스 해양 선박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생물 자원 재료를에너지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8011598A2 (en) * 2006-07-21 2008-01-24 Xyleco, Inc. Conversion systems for biomass
KR20090025221A (ko) * 2007-02-26 2009-03-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757A (ko) 2009-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ina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potential use of Fucus vesiculosus from Gulf of Riga
Negrão et al. Inorganics in sugarcane bagasse and straw and their impacts for bioenergy and biorefining: A review
US201500566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from algae
WO20101479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algae
Kelly et al. The potential of marine biomass for anaerobic biogas production
JP2012503476A (ja) 藻類からバイオ燃料を製造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01210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lturing algae with bivalves
US20120285392A1 (en) Deep water nutrient recovery system
Fu et al. Protective exploitation of marine bioresources in China
Pimpimol et al. Spirogyra cultured in fishpond wastewater for biomass generation
Ferriols et al. Efficiency of various flocculants in harvesting the green microalgae Tetraselmis tetrahele (Chlorodendrophyceae: Chlorodendraceae)
Lopresto et al. Sargassum invasion in the caribbean: an opportunity for coastal communities to produce bioenergy based on biorefinery—an overview
US20120283458A1 (en) Sourcing phosphorus and other nutrients from the ocean via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systems
Teixeira et al. Evaluation of the flocculation efficiency of Chlorella vulgaris mediated by Moringa oleifera seed under different forms: flour, seed cake and extracts of flour and cake
Blanco-Vieites et al. Culturing Arthrospira maxima in mining wastewater: Pilot-scale culturing and biomass valorisation into C-phycocyanin and crude lipid extract
Jiang et al. Effects of intensive mariculture on the sediment environment as revealed by phytoplankton pigments in a semi‐enclosed bay, S outh C hina S ea
KR101102264B1 (ko)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제조 장치
Kuo Harvesting natural algal blooms for concurrent biofuel production and hypoxia mitigation
JP6983924B2 (ja) 沖合海域での新鮮なスジアオノリの熟成変性処理方法
US8252561B2 (en) Production of biofuel using molluscan pseudofeces derived from algal cells
Dibenedetto Production of aquatic biomass and extraction of bio-oil
Piccolo Aquatic Biofuels: New Options for Bioenergy
de Lira et al. Energy recovery from nuisance algae blooms and residues
Benzie et al. Suitability of microalgae and seaweeds for biomethane production
KR100977638B1 (ko) 독성분이 있는 배출가스 혼합체에 생존하면서 온실가스를 흡수한 수생식물의 포식자를 이용하는 온실가스 제거 및 바이오 에너지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