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778B1 -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778B1
KR101100778B1 KR1020100042728A KR20100042728A KR101100778B1 KR 101100778 B1 KR101100778 B1 KR 101100778B1 KR 1020100042728 A KR1020100042728 A KR 1020100042728A KR 20100042728 A KR20100042728 A KR 20100042728A KR 101100778 B1 KR101100778 B1 KR 10110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river
gear
aberration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386A (ko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김종근
태경산업(주)
전제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근, 태경산업(주), 전제판 filed Critical 김종근
Priority to KR102010004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7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ate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e.g. from tidal flows, waves or curr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3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5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chains and sprockets; using toothed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물에 설치되어 강물의 높낮이가 변동하더라도 강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력발생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는 가이드레일과, 고정체와, 부유체와, 부유체연결수단과, 수차와, 회전운동수단과, 직선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강물에 수직으로 삽입된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중에 고정시키며 강의 바닥에서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된다. 상기 부유체연결수단은 슬라이딩부재와, 연결막대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부유체가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상기 강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막대는 상기 부유체가 상기 강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이동을 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로 모멘트를 전달하지 않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단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부유체에 연결된다. 상기 수차는 상기 강물의 흐름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부유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운동수단은 상기 수차의 회전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수차에 연결된다. 상기 직선운동수단은 상기 회전운동수단의 회전운동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회전운동수단에 연결된다.

Description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Water power generating apparatus being able to adjust water level according to guide rail}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물에 설치되어 강물의 높낮이가 변동하더라도 강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력발생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기(電氣)는 현대 생활에 있어서 가장 필요한 에너지원이다.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방식으로는 수력발전과, 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이 있다. 이 중 수력발전은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에 비하여 친환경적이고 환경오염이 적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비와 운영비가 적게 소요되는 이점이 있다.
수력발전은 지형적 조건을 이용하여 강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댐(dam)을 건설하여 다량의 물을 저수(貯水)한 뒤, 댐의 상부에 마련된 수문을 통해서 방출되는 물의 낙차에 따른 힘으로 터빈(turbine)을 돌려 발전기를 가동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그러나 이 경우 하천을 막아 댐을 건설함으로써 댐 상류측은 많은 면적이 물에 수몰됨으로써 자연파괴라는 매우 위험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또한 댐건설에 따른 막대한 비용과 자연재해로 인한 댐 붕괴라는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강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수력발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강물의 높이는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라 강수량 등에 따라서 수시로 변한다. 강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얻기 위하여 수력을 발생시키는 수력발생장치는 부유체를 강물에 띄워서 강물의 흐름으로 수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수력발생장치의 부유체는 강물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강물의 높이가 변하면 부유체가 강물에 높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강물의 흐름을 이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의 수력발생장치는 바지선 등을 강물에 고정시킨 후 부유체를 바지선에 고정시켜서 사용하였다. 이 경우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력발생장치는 강물의 흐름으로 수차를 회전시켜 수력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강물의 흐름의 속도가 느린 경우 수차의 회전속도가 늦어서 수력을 제대로 발생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물의 높이가 수시로 변하더라도 강물의 높이에 따라서 부유체가 상하로 이동하여 강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수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높낮이가 자동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물의 흐름의 속도가 늦더라도 수차의 회전속도를 증폭시켜서 수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는 가이드레일과, 고정체와, 부유체와, 부유체연결수단과, 수차와, 회전운동수단과, 직선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강물에 수직으로 삽입된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중에 고정시키며 강의 바닥에서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된다. 상기 부유체연결수단은 슬라이딩부재와, 연결막대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부유체가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상기 강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막대는 상기 부유체가 상기 강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이동을 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로 모멘트를 전달하지 않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단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부유체에 연결된다. 상기 수차는 상기 강물의 흐름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부유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운동수단은 상기 수차의 회전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수차에 연결된다. 상기 직선운동수단은 상기 회전운동수단의 회전운동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회전운동수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의 수력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수단은 동력전달부와,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수차의 회전수를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수차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직선운동수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의 수력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된 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직선운동수단은 상기 캠을 감싸는 환형링과, 상기 환형링에 연결된 동력전달축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수력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기어와, 제2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수차의 회전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수차에 결합한다.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기어 보다 적은 수의 이를 가지며 상기 제1기어의 회전으로 돌아갈 수 있게 상기 캠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의 수력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시키는 체인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수력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캠 대신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된 크랭크축인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직선운동수단은 상기 크랭크축을 감싸는 원형링과, 상기 원형링에 연결된 동력전달축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수력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콘크리트 중량체와,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중량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강물의 바닥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콘크리트 중량체를 상기 강물의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중량체를 관통하여 상기 강물의 바닥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의 수력발생장치는 압축기와, 파이프라인과,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직선운동수단에서 전달되는 힘으로 유체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직선운동수단에 연결된다.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유체를 수송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에 연결된다.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파이프라인에서 수송된 유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은 강물의 수위에 따라 적용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강물의 높낮이가 변하더라도 적은 비용으로 강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차의 회전을 증폭할 수 있는 수력발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강물의 작은 흐름에도 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강의 바닥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수력발생장치를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차의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차의 다양한 실시예,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원형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차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차의 다양한 실시예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원형캠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는 가이드레일(10)과, 고정체와, 부유체(15)와, 부유체연결수단(20)과, 수차(25)와, 회전운동수단(30)과, 직선운동수단(40)과, 압축기(50)와, 파이프라인(55)과, 저장탱크(60)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0)은 수중에 삽입된다. 가이드레일(10)은 하술하는 부유체연결수단(20)의 슬라이딩부재(21)가 회전하지 않도록 그 단면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레일(10)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었다.
고정체는 가이드레일(10)을 수중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강의 바닥에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체는 콘크리트 중량체(9)와 고정핀(8)을 구비한다. 콘크리트 중량체(9)는 가이드레일(10)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레일(10)은 사각형 바로 구성되므로 관통홈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0)은 콘크리트 중량체(9)의 관통홈에 삽입되어 강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콘크리트 중량체(9)의 관통홈에서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콘크리트 중량체(9)에는 강바닥에서 쉽게 뽑아 올리기 위해서 상부에 원형고리(11)가 형성된다. 고정핀(8)은 콘크리트 중량체(9)를 강물의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중량체(9)를 관통하여 강물의 바닥에 삽입된다. 즉 고정핀(8)으로 콘크리트 중량체(9)를 관통시켜 강물의 바닥에 삽입시키면 콘크리트 중량체(9)가 강물의 바닥에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0)을 콘크리트 중량체(9)의 관통홈에 삽입하면 가이드레일(10)의 고정이 완료된다. 또한 가이드레일(10)을 관통홈에서 분리시키면 가이드레일(10)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원형고리(11)를 파지하여 콘크리트 중량체(9)를 들어 올리면 콘크리트 중량체(9)를 강물의 바닥에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체 및 가이드레일(10)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다.
부유체(15)는 강의 수면에 설치된다. 부유체연결수단(20)은 부유체(15)가 가이드레일(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부유체(15)를 가이드레일(10)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부유체연결수단(20)은 강물의 수위의 높이가 변할 때 부유체(15)의 위치도 강물과 함께 변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가이드레일(10)에 연결시킨다. 이를 위하여 부유체연결수단(20)은 슬라이딩부재(21)와 연결막대(23)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부재(21)는 일단이 가이드레일(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가이드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연결된다. 연결막대(23)는 일단이 슬라이딩부재(21)의 타단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이 부유체에 연결된다. 가이드레일(10)의 단면이 사각형이므로 슬라이딩부재(21)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는 있지만 가이드레일(1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지 못한다. 강물의 수위가 변하면 슬라이딩부재(21)가 화살표 1과 같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을 하여 부유체(15)가 강물에 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연결막대(23)와 슬라이딩부재(21)가 힌지결합하여 있으므로 부유체(15)가 강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요동을 치더라도 연결막대(23)가 슬라이딩부재(21)에 대하여 회동하여 굽힘 하중이 부유체연결수단(20)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차(25)는 강물의 흐름으로 회전할 수 있게 부유체(15)에 설치된다. 수차(25)는 회전판(26)에 복수의 물버킷(27)이 고정되어 있어서, 강물이 흐를 경우 회전할 수 있다. 물버킷(27)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운동수단(30)은 수차(25)의 회전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수차(25)에 연결되며, 동력전달부(31)와 회전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부(31)는 수차(25)의 회전수를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게 수차(25)에 연결되며, 이를 위하여 동력전달부(31)는 제1기어(32)와, 제2기어(33)와, 체인(34)을 구비한다. 제1기어(32)는 수차(25)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수차(25)에 결합한다. 그리고 제1기어(32)는 기어이가 제2기어(33) 보다 많다. 그리고 제1기어(32)는 체인(34)으로 제2기어(33)와 연결된다. 따라서 수차(25)가 회전하면 제1기어(32)가 회전을 하고 체인(34)에 의하여 제2기어(33)가 회전한다. 이때 제2기어(33)의 기어이가 제1기어(32)의 기어이 보다 작기 때문에 제2기어(33)는 제1기어(32) 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어를 사용하였지만 기어 대신 풀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회전부는 원형캠(37)으로 구성되며, 제2기어(33)에 고정된다. 이때 원형캠(37)은 제2기어(33)가 회전할 때 원형캠(37)의 중심에서 벗어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제2기어(33)에 고정된다.
직선운동수단(40)은 원형캠(37)의 회전운동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원형캠(37)에 연결되며, 환형링(41)과 동력전달축(43)을 구비한다. 환형링(41)은 타원형으로서 원형캠(37)을 감싼다. 그리고 동력전달축(43)은 환형링(41)에 결합한다. 그래서 원형캠(37)이 회전운동을 하면 동력전달축(43)은 직선운동을 한다.
압축기(50)는 부유체(15)의 상부에 설치되며, 동력전달축(43)에 연결된다. 그래서 동력전달축(43)이 직선운동을 하면 공기 또는 물 등의 유체를 압축시킨다. 파이프라인(55)은 압축기(50)에 연결되어 압축기(50)에서 압축된 유체가 전송되도록 한다. 저장탱크(60)는 파이프라인(55)에 연결되어 파이프라인(55)을 통하여 전송되는 압축유체를 저장한다. 그래서 저장탱크(60)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된다. 저장탱크(60)의 일측(61)을 통하여 압축유체를 분출하면 발전기(미도시)가 구동하여 발전을 할 수 있다.
강물이 흐르면 물버킷(27)에 의하여 수차(25)는 회전을 한다. 수차(25)가 회전을 하면 제1기어(32)가 수차(25)와 동일한 속도를 회전을 하고, 제1기어(32)와 체인(34)으로 연결된 제2기어(33)가 회전을 한다. 제2기어(33)의 기어이가 제1기어(32) 보다 적으므로 제2기어(33)는 제1기어(32) 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을 한다. 제2기어(33)가 회전을 하면 제2기어(33)에 고정된 원형캠(37)이 회전을 하고, 원형캠(37)의 회전으로 인하여 직선운동수단(40)이 직선운동을 하여 압축기(50)를 구동시킨다. 압축기(50)는 유체를 압축시켜 지상에 설치된 탱크(60)에 파이프라인(55)을 통하여 압축유체를 전송한다. 저장탱크(60)는 압축유체를 저장한 후 일측(61)을 통하여 압축유체를 분출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회전운동수단(30)의 회전부로서 원형캠(37)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크랭크축(39)을 회전부로 사용하였다. 이 경우 원형링(42)과 동력전달축(44)을 구비한다. 동력전달축(44)은 크랭크축(39)이 회전운동을 하면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원형링(42) 및 압축기(50)에 결합한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기어(32)와 제2기어(33)가 체인(34)로 연결되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기어(32)와 제2기어(33)가 직접 연결된다. 즉 동력전달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기어(32) 및 제2기어(33)가 체인(34)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기어(32) 및 제2기어(34)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레일(10)이 강물의 바닥에 고정된 중량의 콘크리트 중량체(9)에 고정되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레일(10)은 강물에 설치된 다리를 지지하는 교각(7)에 설치된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레일(10)에 하나의 부유체(15)를 연결하여, 그 부유체(15)에 하나의 수차(25) 및 압축기(50) 등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가이드레일(10)에 여러 개의 부유체(15)를 직렬로 연결한 후 각각의 부유체(15)에 수차와 압축기 등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압축 유체를 지상에 설치된 하나의 저장탱크(60)에 저장하기 위하여 파이프라인(55)으로 연결하였다.
7 : 다리의 교각 8 : 고정핀
9 : 콘크리트 중량체 10 : 가이드레일
11 : 원형고리 15 : 부유체
20 : 부유체연결수단 21 : 슬라이딩부재
23 : 연결막대 25 : 수차
26 : 회전판 27 : 물버킷
30 : 회전운동수단 31 : 동력전달부
32 : 제1기어 33 : 제2기어
34 : 체인 37 : 원형캠
40 : 직선운동수단 41 : 환형링
43 : 동력전달축 50 : 압축기
55 : 파이프라인 60 : 저장탱크

Claims (10)

  1. 강물에 수직으로 삽입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강물의 바닥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중량체와, 상기 콘크리트 중량체를 상기 강물의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중량체를 관통하여 상기 강물의 바닥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강의 바닥에 분리할 수 있게 고정시키는 고정체와,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가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상기 강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부유체가 상기 강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이동을 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로 모멘트를 전달하지 않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단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부유체에 연결된 연결막대를 구비한 부유체연결수단과,
    상기 강물의 흐름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부유체에 설치된 수차와,
    상기 수차의 회전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수차에 연결된 회전운동수단과,
    상기 회전운동수단의 회전운동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회전운동수단에 연결된 직선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수단은
    상기 수차의 회전수를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수차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직선운동수단에 연결된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된 캠이며,
    상기 직선운동수단은 상기 캠을 감싸는 환형링과, 상기 환형링에 연결된 동력전달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수차의 회전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수차에 결합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 보다 적은 수의 이를 가지며 상기 제1기어의 회전으로 돌아갈 수 있게 상기 캠에 결합한 제2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시키는 체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된 크랭크축이며,
    상기 직선운동수단은 상기 크랭크축을 감싸는 원형링과, 상기 원형링에 연결된 동력전달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수차의 회전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수차에 결합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 보다 적은 수의 이를 가지며 상기 제1기어의 회전으로 돌아갈 수 있게 상기 크랭크의 축에 결합한 제2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시키는 체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수단에서 전달되는 힘으로 유체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직선운동수단에 연결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유체를 수송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에 연결된 파이프라인과,
    상기 파이프라인에서 수송된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10. 삭제
KR1020100042728A 2010-05-07 2010-05-07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KR10110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28A KR101100778B1 (ko) 2010-05-07 2010-05-07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28A KR101100778B1 (ko) 2010-05-07 2010-05-07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313 Division 2009-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86A KR20110016386A (ko) 2011-02-17
KR101100778B1 true KR101100778B1 (ko) 2012-01-02

Family

ID=4377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728A KR101100778B1 (ko) 2010-05-07 2010-05-07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0394B (zh) * 2015-01-13 2018-06-22 总瀛企业股份有限公司 陆上水流发电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9587A (ja) * 1982-02-13 1983-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再生装置
KR20050047375A (ko) * 2003-11-17 2005-05-20 최동규 자연훼손 없이 천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발전을 위한고압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9587A (ja) * 1982-02-13 1983-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再生装置
KR20050047375A (ko) * 2003-11-17 2005-05-20 최동규 자연훼손 없이 천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발전을 위한고압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86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03120B2 (en) Conversion of energy in waves and in tidal flow
Polinder et al. Wave energy converters and their impact on power systems
US7462949B2 (en) Floating electricity production unit
CN102132034B (zh) 一种海洋浪潮能量利用系统
JP5859523B2 (ja) 波浪エネルギーシステム
US7339285B2 (en) Hydroelectric wave-energy conversion system
KR101061824B1 (ko)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KR100697717B1 (ko) 조류 발전 장치
US20090121486A1 (en) Tidal Power System
CN102900592B (zh) 浮动平台波浪能储能系统和波浪能发电系统
AU2016357633B2 (en) An apparatus for power generation from the surface ocean waves in deep seas
WO2005057006A1 (en) Water turbine capable of being lifted out of the water
US20110289913A1 (en) Wave energy transfer system
SE539195C2 (sv) Vågenergiomvandlare innefattande kolvstång med flottörkropp
KR20110059880A (ko) 해양 파도 에너지 변환 장치
CN102200091A (zh) 以伞状装置吸收海浪能量的发电的方法与装置
KR101100778B1 (ko)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WO2012127486A1 (en) System for generation of electrical power by siphoning sea water at sea shore
US9709142B2 (en) Wave energy conversion system
TWI744633B (zh) 具舉升功能之往復式水力發電機構
GB2335006A (en) Apparatus for harnessing tidal power
KR101634637B1 (ko) 가이드베인을 장착한 수력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발전장치
CN109372684A (zh) 水波浪浮仓齿条直推杆发电装置
US20050012338A1 (en) Tide and wave powered generation apparatus
Rachman et al. Reviews: Pontoon, an alternative flexibale cheap mounting option for the renewable decentralized river current turbine power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