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396B1 - Off device interworking apparatus and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ff device interworking apparatus and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396B1
KR101100396B1 KR1020100029928A KR20100029928A KR101100396B1 KR 101100396 B1 KR101100396 B1 KR 101100396B1 KR 1020100029928 A KR1020100029928 A KR 1020100029928A KR 20100029928 A KR20100029928 A KR 20100029928A KR 101100396 B1 KR101100396 B1 KR 101100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device
data
ims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0547A (en
Inventor
김대영
이준원
조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0002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396B1/en
Publication of KR2011011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3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는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의 모바일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어플리케이션 서버로서 프로세서 및 버퍼부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를 대신하여 IMS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로그온 상태를 유지한다. 프로세서는 IMS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로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동작을 제어한다. 버퍼부는 수신된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is an IMS (IP Multimedia Subsystem) application server that interoperates with a mobile terminal device in a non-always logon state and includes a processor and a buffer unit.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in the logoff state,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the IMS core network on behalf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maintain a logon state. When the processor receives the IM (Instant Messaging) data through the IMS core network, the processor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control an access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 buffer unit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IM (Instant Messaging) data.

Description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MS 서비스 시스템{OFF DEVICE INTERWORKING APPARATUS AND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ING THE SAME}OFF DEVICE INTERWORKING APPARATUS AND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ING THE SAME}

개시된 기술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의 모바일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MS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relates to an application server applicable to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service, and in particular, an off-device interworking device interworking with a mobile terminal device in a non-always logon state and an IMS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It is about.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 서비스, 프레전스(Presence)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 장치가 항상 로그온된 상태를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 장치가 항상 로그온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소모가 많고,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이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등 IP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리소스가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instant messaging (IM) data service and presence service based o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a mobile terminal device is always logged on. However, in order for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always be logged on, the battery consumption is high, and to maintain an IP connection such as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etc. The disadvantage is that it requires a lot of resources.

실시예들 중에서,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는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의 모바일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어플리케이션 서버로서 프로세서 및 버퍼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로그온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버퍼부는 상기 수신된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is an IMS (IP Multimedia Subsystem) application server that interoperates with a mobile terminal device in a non-always logon state and includes a processor and a buffer unit.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in the logoff state,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the IMS core network on behalf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maintains a logon state. When the processor receives IM (Instant Messaging) data through the IMS core network, the processor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control an access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 buffer unit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IM (Instant Messaging) data.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M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라면,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시키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로그온되기까지 수신된 상기 IM 데이터를 상기 버퍼부에 버퍼링하여 상기 로그온된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when receiving the IM data, i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ff, sends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log on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the IMS core network, and the mobile The IM data received until the terminal device is logged on may be buffered in the buffer unit and transmitted to the logged on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운영 체제에 따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APN(Apple Push Notification) 메시지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message may be converted into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or an Apple Push Notification (APN) message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는 상기 변환된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APN 메시지를 전송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와 연동하기 위한 통지 메시지 연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message interworking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SMS message or an 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 (APNS) for transmitting an APN message.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로그온되기까지 수신된 상기 IM 데이터는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 IM data received until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n may be transmitted using a 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MSRP).

상기 버퍼부는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되는 경우 상기 버퍼링되는 IM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되지 않을 경우 상기 버퍼링되는 IM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buffer unit may include a first memory and a second memory. The first memory may store the buffered IM data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logs on to the IMS core network within a reference time aft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he second memory may store the buffered IM data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not logged on to the IMS core network within a reference time aft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상기 제1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에 상응하며, 상기 제2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상응할 수 있다.The first memory may correspond to volatile memory, and the second memory may correspond to nonvolatile memory.

상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및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모두 로그온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게 더 높은 우선 순위가 할당되며, 상기 IM 데이터는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device are both logged on, a higher priority is assign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IM data may be transmitted to a device having a higher priorit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통지 메시지의 전송을 재시도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retry transmission of the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does not normally receive the notification message.

실시예들 중에서, IMS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장치, IMS 인에이블러, IMS 코어 네트워크, 메시지 전송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를 가진다. 상기 IMS 인에이블러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상기 IMS 인에이블러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로그온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는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운영체제에 따라 상기 통지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APN(Apple Push Notification) 메시지 형태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IMS service system includes a mobile terminal device, an IMS enabler, an IMS core network, and a message transmission device. The mobile terminal device has a Non-Always Logon state. The IMS enabler provides an IMS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 IMS core network transmits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IMS enabler.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a logoff state,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IMS core network on behalf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maintains a logon state. When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receives IM (Instant Messaging) data through the IMS core network,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based on a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perform an access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control. The message transmission device may send an 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or an APN (Apple Push Notification)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 Includes an 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 (APNS)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in the form of a message.

상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는 상기 수신되는 IM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1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IM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라면,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시키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로그온되기까지 수신된 IM 데이터를 상기 제1 버퍼부에 버퍼링하여 상기 로그온된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includes a first buffer unit to temporarily store the received IM data, and when receiving the IM data, notifies the mobile terminal device i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ff. The mobile terminal device may be logged on the IMS core network by transmitting a message, and the IM data received until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n may be buffered in the first buffer unit and transmitted to the logged on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IMS 인에이블러 및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버퍼부에 버퍼링된 IM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된 이후에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로그온 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1 버퍼부에 버퍼링된 IM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된 이후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로그온 과정이 완료되기까지 수신된 IM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제2 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IMS enabler and the IMS core network may include the first buffer when the log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completed after the IM data buffered in the first buffer un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ffer unit configured to buffer the received IM data after the IM data buffered in the un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until the log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completed.

실시예들 중에서, IMS 서비스 수행 방법은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의 모바일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대신하여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를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로그온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로그오프 상태라면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method for performing an IMS service is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device in a non-always logon state to perform an IMS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ff. Accessing the off-device companion device to the IMS core network in pl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maintain a logon state, and when the off-device companion device receives data, the mobile terminal device logs off. And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IMS 서비스 수행 방법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erforming an IMS service may further include buffering the received data and transmitting the buffered data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when a message inquiry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IMS 서비스는 IM 데이터 서비스, 프레전스(Presence) 서비스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IMS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각각 IM 데이터 수신, 프레전스 상태 변경 및 SNS 이벤트 발생에 대한 통지 메시지일 수 있다.The IMS ser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n IM data service, a presence service,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receive IM data and change a presence sta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MS service. And a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occurrence of the SNS event.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의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S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configuration of an off device compan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3 to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dure of performing an IMS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nd / o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suggested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be given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ny combination of the possible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but not to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For each step, the identifiers (e.g., a, b, c, ...)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is clearly contextual. Unless stated in a specific order,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S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도 1을 참조하면, IMS 서비스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 장치(151, 152), IMS 인에이블러(110), IMS 코어 네트워크(120),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 및 메시지 전송 장치(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IMS service system 100 includes a mobile terminal device 151 and 152, an IMS enabler 110, an IMS core network 120, an off device interworking device 130, and a message transmitting device 140. ).

모바일 단말 장치(151, 152)는 IMS 코어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IMS 인에이블러(110)에 접속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IMS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IMS 서비스에는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수신하는 각종 서비스, 모바일 단말 장치의 사용자 상태를 등록하거나 열람하는 프레전스(Presence)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 장치(151, 152)들 중에서 항상 로그온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를 포함한다. 항시 로그온(Always Logon) 상태는 모바일 단말 장치가 IP 주소를 할당 받고 IMS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고 있으며 IMS 등록(Register)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는 항상 로그온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만 로그온되는 상태를 나타낸다.The mobile terminal devices 151 and 152 access various types of IMS services by accessing the IMS enabler 110 through the IMS core network 120. The IMS service includes various services for receiving IM (Instant Messaging) data, a presence service for registering or reading a user state of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like. The IMS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n at least one non-always logon state, which does not always remain logged on among the mobile terminal devices 151 and 152. ). Always Logon state indicates that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assigned an IP address and is acting as an IMS client and remains in the IMS Register state.Non-Always Logon state is always logged on It is not in a state, but is logged on only when necessary.

IMS 인에이블러(110)는 모바일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여러 가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IMS 인에이블러(110)는 화상 회의 서비스, 프레전스 서비스,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IMS enabler 110 provides various IMS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s in association with a mobile terminal device. For example, the IMS enabler 110 may provide a video conference service, a presence service,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the like.

IMS 코어 네트워크(120)는 모바일 단말 장치(151, 152) 및 IMS 인에이블러(110)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The IMS core network 120 transmits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devices 151 and 152 and the IMS enabler 110.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모바일 단말 장치(151, 152)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를 대신하여 IMS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로그온 상태를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시스템(100)에서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항상 로그온 상태가 아니라 하더라도 마치 항상 로그온 상태인 것처럼 IMS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151)를 대신하여 IMS 코어 네트워크(120)에 로그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로그오프된 상태에 있더라도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항상 로그온된 상태에 있으므로 IMS 인에이블러(110)는 마치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로그온된 상태에 있는 것처럼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전송할 IM 데이터들을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s 151 and 152 is in the logoff state,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is connected to the IMS core network on behalf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maintains a logon state. In the IMS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even i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not always logged on using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the IMS service system 100 may perform the IMS service as if it is always logged on. For example,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hol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and the IMS core network on behalf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logged off. You may be logged on to 120. In this case, even i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in the logged off state, since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is always logged on, the IMS enabler 110 is as i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in the logged on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IM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may be transmitted to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IMS 코어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IMS 인에이블러(110)와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 사이에 전송되는 IM 데이터는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IM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IMS enabler 110 and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through the IMS core network 120 may be transmitted using a 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MSRP).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IMS 코어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접속 상태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 장치에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접속 동작을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로그온되게 한다. 즉,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가 수신한 IM 데이터는 결국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이므로, 만약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로그오프 상태에 있다면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위치를 검색하고 로그온이 필요하다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IMS 코어 네트워크(120)에 로그온되게 한다.When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receives IM (Instant Messaging) data through the IMS core network 120,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logged on by controlling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51. That is, since the IM data received by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is data to be eventually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in the logoff stat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present.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logged on to the IMS core network 120 by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a logon is required.

메시지 전송 장치(140)는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운영 체제에 따라 통지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단말 장치(151)에 전송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141)일 수도 있고, 또는 통지 메시지를 APN(Apple Push Notification)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단말 장치(151)에 전송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142)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아이폰이라면 APNS(142)가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 장치(152)가 그 외의 일반 단말 장치라면 SMSC(141)가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 message transmission device 140 may be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141 that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Or, it may be an 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 (APNS) 142 that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n the form of an Apple Push Notification (APN) message. For example, i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an iPhone, the APNS 142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I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2 is another general terminal device, the SMSC 141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도 2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ff device interworking devic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n more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프로세서(131) 및 버퍼부(13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includes a processor 131 and a buffer unit 132.

프로세서(131)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의 기본 동작을 제어한다. 즉, 프로세서(131)는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151)를 대신하여 IMS 코어 네트워크(120)에 접속되어 로그온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프로세서(131)는 IMS 코어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접속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1)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상술한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31 controls the basic operation of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That is,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in the logoff state, the processor 131 is connected to the IMS core network 120 in pl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and maintains a logon stat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131 receives IM (Instant Messaging) data through the IMS core network 120, the processor 131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to perform an access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To control. The processor 131 may control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based on software installed in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버퍼부(132)는 수신된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가 처음 IM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이 데이터는 결국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이므로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IM 데이터를 전송할 때까지 IMS 코어 네트워크(1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한다.The buffer unit 132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IM (Instant Messaging) data. When the off-device companion device 130 first receives the IM data, the data is ultimately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and thus, the IMS core network 120 until the IM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Buffer the data received from

즉,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가 IM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만약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라면, 통지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를 IMS 코어 네트워크(120)에 로그온시키고,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로그온되기까지 수신된 IM 데이터를 버퍼부(132)에 버퍼링하여 로그온된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전송한다.That is, when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receives the IM data, i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in the logoff state, a notific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to transfer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the IMS core. After logging on to the network 120, the IM data received is buffered in the buffer unit 132 until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logged on, and then transmitted to the logged-on mobile terminal device 151.

버퍼부(132)는 제1 메모리(MEMORY1) 및 제2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ffer unit 132 may include a first memory MEMORY1 and a second memory MEMORY.

제1 메모리(MEMORY1)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IMS 코어 네트워크(120)에 로그온되는 경우 버퍼링되는 IM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메모리는(MEMORY1)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정상적으로 로그온되는 경우 버퍼링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 메모리(MEMORY1)는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에 상응할 수 있다.The first memory MEMORY1 stores IM data buffered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logs on to the IMS core network 120 within a reference time aft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he first memory MEMORY1 generally performs a buffering opera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51 normally logs on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 Therefore, the first memory MEMORY1 may correspond to a volatile memory such as DRAM.

제2 메모리(MEMORY2)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모바일 단말 장치가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되지 않을 경우 버퍼링되는 IM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 메모리는(MEMORY2)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비교적 긴 시간 이후에도 정상적으로 로그온되지 않을 경우 버퍼링 동작을 수행한다. The second memory MEMORY2 stores IM data that is buffered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not logged on to the IMS core network within a reference time aft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he second memory MEMORY2 generally performs a buffering opera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not normally logged on even after a relatively long time.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통지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 통지 메시지의 전송을 재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수신된 IM 데이터가 계속적으로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버퍼부(132)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상응하는 제2 메모리(MEMORY2)에 누적된 IM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MEMORY2)에 버퍼링된 데이터는 이후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정상적으로 로그온되면 재전송될 수 있다.I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does not receive the notification message normally, the mobile device 151 retries the transmission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M data received in this process may continue to accumulate. Therefore, in this case, the buffer unit 132 may store the accumulated IM data in the second memory MEMORY2 corresponding to the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or a hard disk. The data buffered in the second memory MEMORY2 may be retransmitted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normally logged on.

통지 메시지는 모바일 단말 장치의 운영 체제에 따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APN(Apple Push Notification) 메시지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변환된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APN 메시지를 전송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와 연동하기 위한 통지 메시지 연동 모듈(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message may be converted into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or an Apple Push Notification (APN) message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ly, the off-device interworking device 130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message interworking module 133 for interworking with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SMS message or an 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 (APNS) for transmitting the APN message. It may includ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 및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접속 상태가 모두 로그온 상태인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151)에게 더 높은 우선 순위가 할당되며, IM 데이터는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장치, 즉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and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are both logged on, a higher priority is assign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and the IM data has a higher priority. The device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evice having the priority, that is,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정상적으로 로그온되기까지 수신된 IM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부(132)(이하, "제1 버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시스템(100)은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 이외에 IMS 인에이블러(110) 또는 IMS 코어 네트워크(120) 중 적어도 하나에 제2 버퍼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may include a buffer unit 1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buffer unit”) that buffers the received IM data until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normally logged on. . The IMS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cond buffer unit (not shown) in at least one of the IMS enabler 110 or the IMS core network 120 in addition to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can do.

모바일 단말 장치(110)가 로그온되는 과정 중 제1 버퍼부(132)에 저장된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전송되는 시점과 실제로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로그온이 완료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제1 버퍼부에 버퍼링된 IM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된 이후에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로그온 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제2 버퍼부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의 제1 버퍼부(132)에 버퍼링된 IM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전송된 이후부터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로그온 과정이 완료되기까지 수신된 IM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따라서 로그온 과정의 시간 지연에 따른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The time difference between when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buffer unit 132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and when the log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actually completed during the log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10. May occur. If the log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completed after the IM data buffered in the first buffer un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 second buffer unit may include the first buffer unit of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The received IM data is buffered after the IM data buffered at 132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until the log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is completed. Therefore, data loss due to time delay of logon process can be prevent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의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의 흐름도는 화상 회의 또는 대화방 등과 같은 IMS 서비스의 수행 절차를 나타낸다. 이하,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는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performing an IMS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shows a procedure of performing an IMS service such as a video conference or a chat room.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user B's mobile terminal device 151 has a Non-Always Logon state.

모바일 단말 장치의 사용자 A는 초대(INVITE)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 B에게 IM 서비스를 시도한다(S301). IMS 인에이블러(110) 및 IMS 코어 네트워크(120)는 다자간 채팅을 위한 대화방 식별 정보(Conference-Uri)를 할당한 후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로그온 상태를 확인하여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S302). User A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ttempts an IM service to user B by sending an invitation message (S301). The IMS enabler 110 and the IMS core network 120 allocate the chat room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ference-Uri) for the multi-party chat, and then check the log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of the user B to connect the off-device. The invitation message is sent to 130 (S302).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고(S303)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세션을 생성하며(S306)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에게 대화방 식별 정보(Conference-Uri)를 통지한다(S304, S305). 이 경우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운영체제에 따라 APNS 또는 SMSC와 연동할 수 있다.The off-device interworking device 130 responds to the invitation message (S303), generates a 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MSRP) session (S306), and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of the user B to identify the chat room (Conference-Uri). (S304, S305). In this case, the user B may interwork with the APNS or the SMSC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가 대화에 참여할 때까지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 한다(S307, S308, S309). 이 경우 버퍼링된 데이터는 사용자들 사이의 대화 내용일 수 있다.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buffers the received data until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of the user B participates in the conversation (S307, S308, and S309). In this case, the buffered data may be conversation contents between users.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는 초대 메시지를 통지 받은 후,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에 접속하여 버퍼링된 대화 내용을 전송 받아 표시하고(S312), SMS 또는 APN 형태로 수신된 대화방 식별 정보(Conference Uri)를 이용하여 IMS 인에이블러(110) 또는 IMS 코어 네트워크(120) 사이에 MSRP 세션을 생성하여 대화에 참여한다(S314).After receiving the notification of the invitation message,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of the user B connects to the off-device interworking device 130 to receive and display the buffered conversation contents (S312), and the chat room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orm of SMS or APN. Using the interference Uri, an MSRP session is created between the IMS enabler 110 or the IMS core network 120 to participate in the conversation (S314).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가 버퍼링된 대화 내용을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한 후, IMS 인에이블러(110) 또는 IMS 코어 네트워크(120)와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 사이의 MSRP 세션을 종료하고,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에 버퍼링된 대화 내용도 삭제한다(S315).After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transmits the buffered conversation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of User B, an MSRP session between the IMS enabler 110 or the IMS core network 120 and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is performed. In step S315, the conversation content buffered in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is also deleted.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의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는 프레전스(Presence) 서비스의 수행 절차를 나타낸다. 프레전스 서비스는 다른 사용자의 상태를 알려주는 서비스로서, 다른 사용자가 온라인 상태인지 오프라인 상태인지 또는 온라인 상태라면 비지(Busy) 상태인지 아이들(Idle) 상태인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는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performing an IMS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performing a presence service. The presence service is a service for notifying the status of another user, and may indicate whether the other user is online or offline, or if it is busy or idle.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user B's mobile terminal device 151 has a Non-Always Logon state.

프레전스 인에이블러(110)는 사용자 B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 B가 서브스크립션 정보의 상태 변화가 있으면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401). 즉, 사용자 B의 열람 대상이 되는 다른 단말 장치 등의 상태 정보(Presence)에 변화가 생기면 IMS 코어 네트워크(120)를 통해 통지 메시지가 전송된다.The presence enabler 110 stores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B and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user B has a state change of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S401). That is, when a change occurs in the status information (Presence) of another terminal device or the like that is to be viewed by the user B, a notific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IMS core network 120.

IMS 코어 네트워크(120)는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로그온 상태를 확인하고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402). The IMS core network 120 checks the log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of the user B and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S402).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로 프레전스 상태 변경이 있음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403, S404). 이 경우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운영체제에 따라 APNS 또는 SMSC와 연동할 수 있다.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 presence state chan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of the user B (S403 and S404). In this case, the user B may interwork with the APNS or the SMSC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는 IMS 코어 네트워크(120)를 통해 프레전스 인에이블러(110)에 등록(S405, S406) 및 서브스크립션 과정(S407, S408)을 수행하고, 그 결과 변경된 프레전스 상태를 통지 받는다(S409, S410).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of the user B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performs registration (S405, S406) and subscription processes (S407, S408) with the presence enabler 110 through the IMS core network 120. As a result, the changed presence status is notified (S409, S410).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의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도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연동하여 SNS 사이트에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송해 주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이하,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는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performing an IMS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for transmitting updated information when a new event occurs in an SNS site in association with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user B's mobile terminal device 151 has a Non-Always Logon state.

먼저, SNS 사이트에 새로운 게시물이나 댓글이 게재되거나, 친구 또는 폴로워(Follower)가 생기는 등의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면 SNS 연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를 통해 IMS 인에이블러(110) 또는 IMS 코어 네트워크(120)로 업데이트된 내용이 전달된다(S501). First, when a new post or comment is posted on an SNS site, or when a new event such as a friend or follower occurs, the IMS enabler 110 or the IMS core network ( The updated content is transmitted to 120 (S501).

IMS 인에이블러(110) 또는 IMS 코어 네트워크(120)는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 로그온 상태를 확인하고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IMS enabler 110 or the IMS core network 120 checks the log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of the user B and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130)는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로 SNS 업데이트 정보를 통지한다(S504, S505). 이 경우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151)의 운영체제에 따라 APNS 또는 SMSC와 연동할 수 있다.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130 notifies the SNS updat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B (S504 and S505). In this case, the user B may interwork with the APNS or the SMSC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51.

또한, 통지 메시지 내에 업데이트된 내용을 함께 전송할 수 있는데 이 때 통지 메시지에 실어 보낼 수 있는 업데이트 정보량에 한계가 있으며, 이를 초과하는 정보는 버퍼링한다(S503).In addition, the updated contents can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notification message. At this time,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update information that can be sent in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information exceeding this is buffered (S503).

통지를 받은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 장치는 HTTP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버퍼링된 정보를 읽어 올 수 있다(S506).Up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the mobil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B may read the buffered information using a protocol such as HTTP (S506).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MS 서비스 시스템은 비-항시 로그온 상태를 가진 모바일 단말 장치에 대해 마치 항상 로그온되어 있는 것처럼 데이터를 전송해 줄 수 있어 시스템의 효율성이 향상된다.The off-device interworking device and the IMS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transmit data to a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a non-always-on logon state as if always logged on,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또한 모바일 단말 장치가 항상 로그온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모바일 단말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고 IP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device does not always need to be logged on, the mobile terminal device may reduce battery consumption and resources for maintaining an IP connection.

한편, 일반적으로 멀티 태스킹이 지원되지 않는 모바일 단말 장치의 경우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IMS 등록 상태를 유지할 수 없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가 대신 등록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도 IMS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a mobile terminal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multitasking cannot maintain an IMS registration state while another application is running, but an off-device compan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intains a registration state instead of another application. It can efficiently perform IMS service while it is runn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6)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의 모바일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대신하여 IMS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로그온 상태를 유지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는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가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라면,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시키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로그온되기까지 수신된 상기 IM 데이터를 버퍼부에 버퍼링하여 상기 로그온된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함-; 및
상기 수신된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상기 버퍼부를 포함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An off-device interworking device that cooperates with a mobile terminal device in a non-always logon state,
A processor that is connected to an IMS core network and maintains a logon state on behalf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ff; And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ff,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log on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the IMS core network, and receive the mobile terminal device until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n. Buffering the encrypted IM data in a buffer unit and transmitting the buffered IM data to the logged on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d the buffer unit to temporarily store the received IM (Instant Messaging)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운영 체제에 따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APN(Apple Push Notification) 메시지로 변환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message is
And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or an apple push notification (APN) message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APN 메시지를 전송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와 연동하기 위한 통지 메시지 연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notification message interworking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SMS message or an 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 (APNS) for transmitting an APN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로그온되기까지 수신된 상기 IM 데이터는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M data received until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n is transmitted using a 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MSR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되는 경우 상기 버퍼링되는 IM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되지 않을 경우 상기 버퍼링되는 IM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ffer unit
A first memory for storing the buffered IM data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n to the IMS core network within a reference time aft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And a second memory configured to store the buffered IM data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does not log on to the IMS core network within a reference time aft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에 상응하며, 상기 제2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first memory corresponds to a volatile memory, and the second memory corresponds to a nonvolatile mem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및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모두 로그온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게 더 높은 우선 순위가 할당되며, 상기 IM 데이터는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device are both logged on, a higher priority is assign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IM data is transmitted to a device having a higher priority. Off device interworking device.
삭제delete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 장치;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를 제공하는 IMS 인에이블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상기 IMS 인에이블러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IMS 코어 네트워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로그온 상태를 유지하는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 -상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는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IM(Instant Messaging)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1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IM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라면,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시키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로그온되기까지 수신된 IM 데이터를 상기 제1 버퍼부에 버퍼링하여 상기 로그온된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함-; 및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운영체제에 따라 상기 통지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APN(Apple Push Notification) 메시지 형태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시스템.
A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a Non-Always Logon state;
An IMS enabler which provides an IMS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in associ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 IMS core network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IMS enabler;
An off device companion device connected to the IMS core network to maintain a logon state on behalf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ff; And a first buffer unit configured to temporarily store instant messaging (IM) data, and when receiving the IM data, if a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ff, by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Logging on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the IMS core network and buffering the IM data received until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n to the first buffer unit to transmit to the logged on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or the notification message in the form of an Apple Push Notification (APN) messag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MS service system including an Apple Push Notification Server (APNS)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MS 인에이블러 및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버퍼부에 버퍼링된 IM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된 이후에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로그온 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1 버퍼부에 버퍼링된 IM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된 이후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로그온 과정이 완료되기까지 수신된 IM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제2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MS Enabler and the IMS Core Network is
When the log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completed after the IM data buffered in the first buffer un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 IM data buffered in the first buffer un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cond buffer unit for buffering the received IM data until the logon process is completed.
비-항시 로그온(Non-Always Logon) 상태의 모바일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가 로그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대신하여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를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로그온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 디바이스 연동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로그오프 상태라면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를 상기 IMS 코어 네트워크에 로그온시키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수행 방법.
A method of performing an IMS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in conjunction with a non-always logon mobile termi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Maintaining an logon state by connecting an off device companion device to the IMS core network in pl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a logoff state; And
When the off device companion device receives data, i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logged off,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log on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the IMS core network;
Buffering the received data; And
And transmitting the buffered data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when a message inquiry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device.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MS 서비스는 IM 데이터 서비스, 프레전스(Presence) 서비스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IMS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각각 IM 데이터 수신, 프레전스 상태 변경 및 SNS 이벤트 발생에 대한 통지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IMS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 data service, a presence service,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notification message is a notification message for receiving IM data, changing a presence state, and generating an SNS ev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MS service.

삭제delete
KR1020100029928A 2010-04-01 2010-04-01 Off device interworking apparatus and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ing the same KR1011003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928A KR101100396B1 (en) 2010-04-01 2010-04-01 Off device interworking apparatus and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928A KR101100396B1 (en) 2010-04-01 2010-04-01 Off device interworking apparatus and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547A KR20110110547A (en) 2011-10-07
KR101100396B1 true KR101100396B1 (en) 2011-12-30

Family

ID=4502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928A KR101100396B1 (en) 2010-04-01 2010-04-01 Off device interworking apparatus and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39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74B1 (en) * 2005-09-14 2007-04-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Use in Mobile Instant Messeng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902046B1 (en) 2007-06-26 2009-06-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of delivering information for VoIP absent ca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74B1 (en) * 2005-09-14 2007-04-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Use in Mobile Instant Messeng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902046B1 (en) 2007-06-26 2009-06-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of delivering information for VoIP absent c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547A (en)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787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notifications in communications networks
US9258259B2 (en) Retrieval of offline instant messages
KR101979535B1 (en) Voice chat mode self adaptation method and device
US7505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mproved communications channel for telephone conference initiation and management
US9426108B2 (en) Method for storing conversation upon user's request in CPM system, and system thereof
US20070202884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vent information from a remote terminal to subscribers over a network
WO2019072197A1 (en) Red packet distribution method, device, and medium
US9083693B2 (en) Managing private information in instant messaging
EP1853033A1 (en) A method and system of notification using an instant messaging block message
JP2011527467A (en) Enhanced messaging platform
CN101573928A (en) Method for the delivery of messag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61695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communication service
CN102904962A (en) Message pushing system and message pushing method thereof
CN101223746B (en) Page-mode messaging
CN102223293A (en) Routing method of information requests and processing system
US20070276913A1 (en) Providing Access to Missed Text Messages in a Real-Time Text-Messaging Conference
KR101100396B1 (en) Off device interworking apparatus and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using the same
CN201210691Y (en) System for obtaining historical information from instant communication tool
CN101394365A (en) Message correlation method, user terminal and server
KR101307363B1 (en) Instant messenger device and method for using of identity service and in the device
EP33703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information
CN108881774B (en) Call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network call
CN102783083A (en) Automated session admission
US10659463B2 (en) Delivering anonymous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s at customer care site
KR1017106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ual-mode discussion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