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293B1 - 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iu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iu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293B1
KR101100293B1 KR1020090095913A KR20090095913A KR101100293B1 KR 101100293 B1 KR101100293 B1 KR 101100293B1 KR 1020090095913 A KR1020090095913 A KR 1020090095913A KR 20090095913 A KR20090095913 A KR 20090095913A KR 101100293 B1 KR101100293 B1 KR 10110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transistor
microcomputer
hol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8762A (en
Inventor
김상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09009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293B1/en
Publication of KR2011003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7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2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1/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P1/00 - H02P5/00, H02P7/00 or H02P21/00 - H02P29/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075Computer or micro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포트(P0)(110), 제 2 포트(P1)(130), 제 3 포트(P2)(150)를 포함하는 마이컴(U1)(100); 전원(600),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가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의 사이에 리셋(RESET) 단자(140)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파워온리셋부(600); 및 상기 제 2 포트(P1)(130)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A.Q1)(310), 상기 포트(P2)과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B.Q1)를 포함하는 홀드제어회로(300); 을 포함하는 출력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U1)(100)은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캐패시터(R.C1)(650)의 전압이 0V가 되어 상기 리셋(RESET) 단자(140)에 리셋(RESET)이 걸리게 되면, 상기 포트(P0, P1, P2)(110, 130, 150)의 출력을 오프(OFF)시킨다.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포트(P0, P1, P2)(110, 130, 150)를 초기화시켜 모터(500)를 오프시킨다.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홀드제어회로의 상태가 홀드상태(HOLD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 상기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며, 상기 홀드제어회로의 상태가 제어상태(CONTROL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 상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computer (U1) (100) including a first port (P0) 110, a second port (P1) 130, a third port (P2) (150); The power supply 600,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 power-on reset unit 6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eset terminal 140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on reset unit 600; And a first transistor A. Q1 310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transistor B. Q1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ort P2. A hold control circuit 300; In th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an output control system comprising a, the microcomputer (U1) (100) is powered by a power on reset unit (POWER ON RESET) 600, the capacitor (R.C1) (650) When the voltage of 0 V is reset to the reset terminal 140, the outputs of the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are turned off. The microcomputer U1 100 initializes the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to turn off the motor 500. When the state of the hold control circuit is set to the hold state, the microcomputer U1 100 has a low value in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third port P2. When the high value HIGH is applied to 150 and the state of the hold control circuit is set to the control state, the high value HIGH and the third value are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A low value LOW is applied to the port P2 150.

홀드(Hold), 제어(Control), 출력(Output) Hold, Control, Output

Description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iu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ui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same {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iu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력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오동작에 따른 부품파손을 저감시키기 위한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control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for reducing component damage due to a malfunction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모터구동 제어회로는 모터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다. 반도체 소자의 급진적 발달에 힘입어 모터구동용 드라이버도 집적화된 IC화 되어 시판되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motor drive control circuit is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motor. Thanks to the radical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motor driving drivers are also integrated ICs and are commercially available.

그러나, 대부분의 모터 구동용 드라이버는 소용량의 모터를 구동하는 용도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있어 대전력용 모터 예컨대 1 내지 2KW이상의 모터의 구동제어용으로는 적용하기 어렵다. 특히 대전력용 모터의 경우 오동작에 따른 기기파손이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오동작 발생을 저지시키기 위한 보호장치의 완비가 특별히 요구된다.However, most of the motor driving drivers are made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driving small-capacity motors, and thus, they are difficult to apply for the drive control of large power motors, for example, motors of 1 to 2 kW or mo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arge power motor, since the damage of the device due to the malfunction is large, the provision of a protec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malfunction is particularly required.

한편, 일반적인 모터 구동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펄스폭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부(1)와, 이 모터 제어부(1)의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로 스위칭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모터(3)에 공급하여 모터(3)의 전류를 흐르도록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5)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5)는 통상 4개의 트랜지스터(TR1-TR4)로 구비된다. 모터(3)의 정회전시 상기 모터 제어부(1)로부터 공급되는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TR1)(TR4)가 온상태로 스위칭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모터(3)에 공급되고, 모터(3)에 흐르는 전류는 접지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motor driving apparatus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of the motor control unit 1 and the motor control unit 1 for generating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as shown in FIG. And a motor driver 5 which switches to the on / off state and supplie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motor 3 so as to flow a current of the motor 3. The motor driver 5 is usually provided with four transistors TR1-TR4. When the motor 3 rotates forward, the transistors TR1 and TR4 are switched on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motor controller 1 so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motor 3. The current flowing in the motor 3 is supplied to ground.

또한, 모터(3)의 역회전 시 상기 모터 제어부(1)로부터 공급되는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TR2)(TR3)가 온상태로 스위칭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모터(3)에 공급되고, 모터(3)에 흐르는 전류는 접지로 공급된다.In addition, when the motor 3 rotates in reverse, the transistors TR2 and TR3 are switched on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motor controller 1 so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motor 3. Is supplied, and a current flowing in the motor 3 is supplied to ground.

이때 상기 모터 제어부(1)의 오동작으로 인해 상기 4개의 트랜지스터(TR1-TR4)가 모두 온 상태로 스위칭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접지 사이에 쇼트(SHORT)되어 모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들이 모두 파손되는 문제점이 종래의 기술에는 있었다.At this time, when the four transistors TR1 to TR4 are all turned on due to a malfunction of the motor controller 1, the transistors including the motor are damaged due to a short betwe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in the prior art.

또한, 최근 전자잠금장치(DOOR ROCK)와 같은 보안 장비들이 급격히 확산추세에 있다. 이런 전자식 안정장치는 암호화 수준을 높임으로써 보안성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시스템은 전자파 충격과 같은 하드웨어가 불안정한 환경에 노출될 경우 오동작을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모터와 같은 동적인 기구들은 시스템이 오동작을 일으키면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오동작하게 되면 사용자가 오판을 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In addition, security devices such as DOOR ROCK have recently been proliferating. These electronic stabilizers are improving security by increasing the encryption level. However, these systems sometimes malfunction when exposed to unstable hardware such as electromagnetic shock. In addition, dynamic instruments such as motors can have fatal consequences if the system malfunctions.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user may make a mistake if a malfunction occurs in the system for monitoring data.

이러한 위해요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아래와 같이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시스템이 제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해당기술분야에서는 시스템에 대한 출력을 더욱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hazards,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circuit as follows to prevent the system from operating in an uncontrolled state.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in the art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more accurately control the output to the system.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오동작에 따른 부품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는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n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구동제어에 적합한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suitable for driving control of an actuator such as a motor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제어시스템이 항상 알려진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so that the output control system operates only in a known st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홀드상태와 제어상태 중 제어상태에서만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that can control the motor only in the control state of the hold state and the control state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은, 제 1 포트(P0)(110), 제 2 포트(P1)(130), 제 3 포트(P2)(150)를 포함하는 마이컴(U1)(100); 전원(600),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가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의 사이에 리셋(RESET) 단자(140)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파워온리셋부(600); 및 상기 제 2 포트(P1)(130)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A.Q1)(310), 상기 제 2 포트(P1)(130)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B.Q1)(330)를 포함하는 홀드제어회로(300); 을 포함하는 출력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캐패시터(R.C1)(650)의 전압이 0V가 되어 리셋(RESET) 단자(140)에 리셋(RESET)이 걸리게 되면, 상기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의 출력을 오프(OFF)시키며, 상기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를 초기화시켜 모터(500)를 오프시키며, 상기 홀드제어회로(300)가 홀드상태(HOLD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 상기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system using the hold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U1) including a first port (P0) 110, a second port (P1) 130, a third port (P2) 150. 100; The power supply 600,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 power-on reset unit 6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eset terminal 140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on reset unit 600; And a first transistor (A.Q1) 310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second transistor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port (P1) 130. A hold control circuit 300 comprising (B.Q1) 330; In the output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microcomputer (U1) (100),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on reset (POWER ON RESET) 600,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R.C1) (650) is When the reset terminal 140 is reset to 0V, the outpu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are turned off. The first, second, third ports (P0, P1, P2) (110, 130, 150) are initialized to turn off the motor 500, and the hold control circuit 300 is set to the hold state. In this case, a low valu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high value may be applied to the third port P2 150.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PNP 트랜지스터인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온(ON)되고,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 전압은 0V로 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컬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는 단락되어 상기 모터(500)를 동작시킬 수 없으며, 상기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NPN 트랜지스터인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온(On)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Base) 전압을 0V로 유지시켜, 상기 제 2 포트(P1)(130)의 출력에 대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은 반응하지 않고 오프(Off)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microcomputer U1 applies a low value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first transistor A.Q1 310, which is a PNP transistor, is turned on.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becomes 0V, and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are short-circuited to operate the motor 500. When a high value is applied to the third port P2 150,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which is an NPN transistor, is turned on and the third transistor is turned on. The base voltage of the Q1 200 is maintained at 0 V, so that the third transistor Q1 200 does not react to the output of the second port P1 130 and is off. State can be maintained.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홀드제어회로(300)가 제어상태(CONTROL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 상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할 수 있다.The microcomputer (U1) 100, when the hold control circuit 300 is set to the control state (CONTROL STATE), the high value (HIGH)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third port ( A low value LOW may be applied to P2) 150.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오프(OFF)되며,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오프(OFF)되어, 상기 제 1 포트(P0)(110)에 로우값(LOW) 또는 하이값(HIGH)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applies the high value HIGH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first transistor A.Q1 310 is turned off. 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applies a low value (LOW) to the third port (P2) 150,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is turned off (OFF), By controlling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n a manner of transmitting a low value or a high value signal to the first port P0 110 to turn on or off the operation of the motor. It can be characterized.

본 발명에 따른 출력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은, 제 1 포트(P0)(110), 제 2 포트(P1)(130), 제 3 포트(P2)(150)를 포함하는 마이컴(U1)(100); 전원(600),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가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의 사이에 리셋(RESET) 단자(140)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파워온리셋부(600); 및 상기 제 2 포트(P1)(130)과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A.Q1)(310), 상기 포트(P2)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B.Q1)를 포함하는 홀드제어회로(300); 을 포함하는 출력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U1)(100)은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캐패시터(R.C1)(650)의 전압이 0V가 되어 상기 리셋(RESET) 단자(140)에 리셋(RESET)이 걸리게 되면, 상기 포트(P0, P1, P2)(110, 130, 150)의 출력을 오프(OFF)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포트(P0, P1, P2)(110, 130, 150)를 초기화시켜 모터(500)를 오프시키는 제 2 단계; 및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홀드제어회로의 상태가 홀드상태(HOLD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 상기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며, 상기 홀드제어회로의 상태가 제어상태(CONTROL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 상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U1) including a first port (P0) 110, a second port (P1) 130, a third port (P2) 150. 100; The power source 600,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 power-on reset unit 6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eset terminal 140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on reset unit 600; And a first transistor A. Q1 310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transistor B. Q1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ort P2. A hold control circuit 300; In th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an output control system comprising a, the microcomputer (U1) (100) is powered by a power on reset unit (POWER ON RESET) 600, the capacitor (R.C1) (650) When the voltage of 0 V becomes reset to the reset terminal 140, the first output of turning off the outputs of the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is performed. step; The microcomputer (U1) 100 is a second step of initializing the ports (P0, P1, P2) (110, 130, 150) to turn off the motor (500); When the state of the hold control circuit is set to the hold state, the microcomputer U1 100 has a low value in the second port P1 130, and the third port P2.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when the state of the hold control circuit is set to the control state. A low value LOW may be applied to the three ports P2 and 150.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마이컴(U1)(100)이, 상기 홀드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PNP 트랜지스터인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온(ON)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은 0V로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는 단락되어 상기 모터(500)를 동작시킬 수 없으며,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NPN 트랜지스터인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온(On)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Base) 전압을 0V로 유지시켜, 상기 포트(P1)(310)의 출력에 대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은 반응하지 않고 오프(Off)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마이컴(U1)(100)이, 상기 제어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오프(OFF)되며,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포트(P2)(33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오프(OFF)되어, 상기 제 1 포트(P0)에 로우값(LOW) 또는 하이값(HIGH)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In the third step, 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applies the low value to the second port P1 130 in the hold state, the first transistor A is a PNP transistor. Q1) 310 is turned on, the base voltage of the transistor Q1 becomes 0V, and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ransistor Q1 are short-circuited to form the motor 500. 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applies a high value to the third port (P2) 150,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which is an NPN transistor Is turned on, and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s maintained at 0 V, so that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s output with respect to the output of the port (P1) 310. ) Does not react and maintains an off state, and 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applies the high value to the second port P1 130 in the control state, The first transistor AQ 1) 310 is turned off, and 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applies a low value to the ports P2 and 330, the second transistor B. Q1 ( 330 is turned off to control the third transistor Q1 200 to transmit a low value or a high value signal to the first port P0. The operation can be turned on or off.

본 발명에 따른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은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구동제어에 적합하여 동작에 따른 부품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output control system using the hold control circuit and th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uitable for driving control of an actuator such as a moto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reducing component damage due to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출력제어시스템이 항상 알려진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allowing the output control system to operate only in a known state at all times.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해, 출력제어시스템이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해 홀드상태와 제어상태 중 제어상태에서만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that the output control system can control the motor only in the control state of the hold state and the control state by using the hold control circu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em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y on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a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through the APC.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온리셋부(600), 홀드제어회로(300)를 제외한 마이컴(U1)(100)을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온리셋부(600)와 홀드제어회로(300)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워온리셋부(600)와 홀드제어회로(300)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1000)은, 마이컴(U1)(100), 제 3 트랜지스터(Q1)(200), 홀드제어회로(300), 전원부(400), 모터(500),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system 1000 using the microcomputer U1 100 except for the power on reset unit 600 and the hold control circuit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system 1000 using a power on reset unit 600 and a hold control circuit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the output control system 1000 using the power on reset unit 600 and the hold control circuit 300 includes a microcomputer U1 and a third transistor Q1 and 200. And a hold control circuit 300, a power supply unit 400, a motor 500, and a power on reset unit 600.

마이컴(U1)(100)은 제 1 포트(P0)(110), 제 2 포트(P1)(130), 제 3 포트(P2)(150)를 포함하며, 출력제어시스템(1000)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The microcomputer U1 100 includes a first port P0 110, a second port P1 130, a third port P2 150, and controls the output control system 1000 as a whole. do.

제 1 포트(P0)(110)는 저항(R1)(170)과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R1)은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제 2 포트(P1)(130)는 저항(A.R1)과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A.R1)은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제 3 포트(P2)(150)는 저항(B.R1)과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A.R1)은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The first port P0 11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resistor R1 170, and the resistor R1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The second port P1 13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resistor A.R1, and the resistor A.R1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Q1 310. The third port P2 15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resistor B.R1, and the resistor A.R1 is form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second transistor B.Q1 330.

제 3 트랜지스터(Q1)(200)는 NPN 트랜지스터로, 컬렉터(Collector)가 모터(500)와 연결되며, 에미터(Emiter)가 접지단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third transistor Q1 200 is an NPN transistor, in which a collector is connected to a motor 500 and an emitter is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홀드제어회로(300)는 제 2 포트(P1)(130)와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A.R1)과, 저항(A.R1)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A.Q1)(310), 제 3 포트(P2)(150)과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B.R1)과, 저항(A.R1)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B.Q1)(330)를 포함한다.The hold control circuit 300 includes a resistor A.R1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first transistor A.Q1 310 having a base connected to the resistor A.R1. ), A resistor (B.R1)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hird port (P2) 150, and a second transistor (B.Q1) 330 having a base connected to the resistor (A.R1).

전원부(400)는 모터(500)에 전원을 공급하며, 모터(500)는 전원(500)에 의해 회전운동을 수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400 supplies power to the motor 500, and the motor 500 performs a rotational motion by the power supply 500.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는 전원(600),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의 사이에 병렬로 리셋(RESET) 단자(140)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power on reset unit 600 may include a power supply 600, a resistor (R.R1) 630, and a capacitor (R.C1) 650 connected in series, and a resistor (R.R1). The reset terminal 140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630 and the capacitor R. C1 650.

이하, 동작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먼저, 도 2와 같이, 파워온리셋부(600), 홀드제어회로(300)를 제외하면 전형적인 마이컴(U1)(100)을 이용한 전형적인 출력제어시스템(1000)이다. The following will focus on the operation. First, as shown in FIG. 2, except for the power-on reset unit 600 and the hold control circuit 300, a typical output control system 1000 using a typical microcomputer U1 100 is used.

마이컴(U1)(100)의 제 1 포트(P0)(110)에서 하이(High)값을 출력하면, 제 3 트랜지스터(Q1)(200)가 온(ON)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컬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가 통전되어 전원부(Battery)(40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모터(5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전류패스를 형성시켜준다. When the high value is output from the first port P0 110 of the microcomputer U1 100,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s turned on. More specifically,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are energized so that a current path is supplied so that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400 may drive the motor 500. To form.

또한 마이컴(U1)(100)에서 제 1 포트(P0)(110)에서 로우값(Low)을 출력하면, 제 3 트랜지스터(Q1)(200)이 오프(OFF)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컬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가 단락되어 전원부(Battery)(40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모터(500)를 구동할 수 없으므로, 모터(500)가 정지한다. In addition, 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outputs a low value from the first port P0 110,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s turned off. More specifically, since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are short-circuited,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400 cannot drive the motor 500. 500 stops.

이처럼 마이컴(100)(U1)은 제 1 포트(P0)(110)를 이용하여 제 3 트랜지스터(Q1)(200)를 구동함으로써 모터(500)를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100 (U1) may control the motor 500 by driving the third transistor Q1 200 using the first port P0 110.

그러나 모터(500)는 우리가 원하지 않는 조건에서 동작을 하게 되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However, the motor 500 may cause a dangerous situation if we operate in an undesired condition.

이러한 상황은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고나서부터 안정화되는 시간까지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파워온리셋 부(POWER ON RESET)(600)를 추가한다. 전원(610)이 인가되면 캐패시터(R.C1)(650)의 전압이 0V가 되어 리셋(RESET) 단자(140)에 리셋(RESET)이 걸리게 되면, 모든 출력은 오프(OFF)가 된다. 또한, 전원(610)이 오프(OFF) 되게 되면,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 기능이 동작하여 모든 출력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This situation typically occurs from the time the system is powered up until the time it stabilize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power on reset unit 600 is generally added. When the power supply 610 is applied,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R.C1) 650 becomes 0V, and when the reset terminal 140 is reset, all outputs are turned off. In addition, when the power supply 610 is turned off, the power on reset unit 600 operates to turn off all outputs.

하지만, 리셋(RESET) 동안에 각각의 제 1, 2, 3포트(P0, P1, P2)(110, 130, 150)는 하이 상태(HIGH STATE)가 되어서 짧은 시간이지만 출력제어시스템(1000)이 제어되지 않는 불안정해지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However,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becomes a high state during a reset, but is controlled by the output control system 1000. You are in an unstable situation.

순서order 1One 22 33 44 55 66 77 시스템동작System operation 전원공급Power supply System ResetSystem reset 포트 설정Port settings 포트 제어Port control Power OffPower off System ResetSystem reset 전원 0VPower supply 0V 포트 상태Port status 초기화 상태
(제어 안됨)
Initialization state
(Not controlled)
초기화 상태
(제어 안됨)
Initialization state
(Not controlled)
알려진 상태Known State 알려진 상태Known State 알려진 상태Known State 초기화 상태
(제어 안됨)
Initialization state
(Not controlled)
알려진 상태 offKnown state off

위와 같이 출력제어시스템(1000)에 전원(610)이 인가되어 동작하기 시작하면, 제 1, 2, 3포트(P0, P1, P2)(110, 130, 150)가 설정될 때까지 시스템은 제 1, 2, 3포트(P0, P1, P2)(110, 130, 150)에 대한 제어가 안 되는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When the power supply 610 is applied to the output control system 1000 and starts to operate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operates until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are set. 1, 2, 3 ports (P0, P1, P2) (110, 130, 150) is in an unstable state that is out of control.

한편, 위의 예와 달리 출력제어시스템(1000)이 어떤 원인으로 파손되게 되면 시스템은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에 대한 입출력을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이때 각각의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 상태는 어떤 상태인지 알 수가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example, if the output control system 1000 is damaged for any reason, the system can control the input and output to the first, second, third port (P0, P1, P2) (110, 130, 150) There is no situation. At this time, the state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rt (P0, P1, P2) (110, 130, 150) is not known what state.

따라서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는 돌발적인 상황에 대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시스템이 항상 알려진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홀드제어회로(300)를 추가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ower on reset unit 600 cannot cope with an unexpected situation. Therefore, to improve this problem, it is intended to add a hold control circuit 300 to allow the system to operate only in a known state at all times.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PNP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온(ON)된다. 이때,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의 온(ON)에 따라,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 전압은 0V로 유지시키게 된다. When the low value Low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first transistor A. Q1 310 is turned on because it is a PNP transistor. At this time, as the first transistor A. Q1 310 is turned on,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s maintained at 0V.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 전압이 0V가 되면,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컬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는 단락되기 때문에 모터(500)를 동작시킬 수가 없게 된다. 이를 홀드상태(HOLD STATE)라고 한다.When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becomes 0V,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are short-circuited so that the motor 500 cannot be operated. do. This is called a hold state.

한편, 제 3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NPN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온(On)된다.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이 온(ON)이 되면,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Base) 전압을 0V로 유지시킴으로써, 제 2 포트(P1)(130)의 출력에 대해서 제 3 트랜지스터(Q1)(200)은 반응하지 않고 오프(Off)상태를 유지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igh value High is applied to the third port P2 150,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is turned on because it is an NPN transistor. When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is turned on,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s maintained at 0 V,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port (P1) 130. The third transistor Q1 200 does not react to the output and remains off.

따라서, 이와 같이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이 되거나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이 되면 홀드상태(HOLD STATE)가 된다. Accordingly, when the low value Low is set at the second port P1 130 or the high value HIGH is set at the third port P2 150, the hold state is HOLD STATE.

반대로,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오프(OFF)되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오프(OFF)된다. On the contrary, when a high value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first transistor A. Q1 310 is turned off and the third port P2 150 is turned off. When the low value Low is applied,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is turned OFF.

이와 같이, 제 1 트랜지스터(A.Q1)(310)와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제 1 포트(P0)(110)에 신호를 전송하면, 정상적으로 제 3 트랜지스터(Q1)(200)를 제어하여 액추에이터(모터(500), 인디케이터(미도시) 등)를 온(ON)/오프(OFF)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제어상태(CONTROL STATE)라고 한다. As such, when the first transistor (A.Q1) 310 and the second transistor (B.Q1) 330 are turned off,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ort (P0) 110. Normally, the third transistor (Q1) 200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an actuator (a motor 500, an indicator (not shown), etc.). Such a state is called a control state.

이런 2개의 홀드상태(HOLD STATE) 및 제어상태(CONTROL STATE)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상태를 이상 동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By using these two hold states and control states, the state of the system can be protected from abnormal operation.

한편, 그림에서 저항(R1)(170)은 제 1 포트(P0)(110)의 출력이 제어회로(300)에 의해 홀드상태(HOLD STATE)로 진입한 상태에서, 전위차에 의한 과전류를 보호하기 위한 저항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sistor (R1) 170 in the figure is to protect the overcurrent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in the state that the output of the first port (P0) 110 enters the hold state by the control circuit 300 It is a resistance fo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제어시스템(1000)을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마이컴(U1)(100)은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로 전원(610)이 인가되어 캐패시터(R.C1)(650)의 전압이 0V가 되어 리셋(RESET) 단자(140)에 리셋(RESET)이 걸리게 되면, 모든 출력을 오프(OFF)시킨다(S1).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output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 to 4, the microcomputer U1 100 is supplied with a power supply 610 to a power on reset unit 600 so that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R.C1 650 is 0V. When the reset terminal 140 is reset, all outputs are turned off (S1).

이에 따라, 마이컴(U1)(100)은 제 1,2,3포트(P0, P1, P2)(110, 130, 150)를 초기화시킨다(S3). 한편, 리셋(RESET) 동안에 각각의 제 1,2,3포트(P0, P1, P2)(110, 130, 150)는 하이 상태(HIGH STATE)가 되어서 짧은 시간이지만 시스템이 제어되지 않는 불안정해지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제어시스템(1000)이 파워 리셋(RESET)과 같은 환경에서 초기화되면, 각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는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ance)상태가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U1 100 initializes the first, second, third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S3). Meanwhile,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becomes a high state during a reset, but the system becomes unstable in a short time due to a high state. Will be placed in. More specifically, when the output control system 1000 is initialized in an environment such as a power reset,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may have a high impedance. It becomes the state.

단계(S5) 이후, 초기화에 따라, 모터(500)는 오프된다(S5). 즉, 마이컴(U1)(100)은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를 이용해 각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를 초기화함으로써, 모터(500)를 오프(OFF)시킨다. After step S5, upon initialization, the motor 500 is turned off (S5). That is, the microcomputer U1 100 initializ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by using a power on reset unit 600. The motor 500 is turned off.

마이컴(U1)(100)은 홀드상태(HOLD STATE)로 설정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7). The microcomputer U1 100 determines whether it is set to a hold state (S7).

단계(S7)의 판단결과 홀드상태(HOLD STATE)로 설정된 경우, 마이컴(U1)(100)은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한다(S9).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ep (S7) is set to the hold state (HOLD STATE), the microcomputer (U1) (100) is a low value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third port (P2) (150) A high value is applied to the signal (S9).

즉,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제 2 트랜지스터(A.Q1)(330)은 PNP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온(ON)된다. 이때,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의 온(ON)에 따라,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 전압은 0V로 유지시키게 된다.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 전압이 0V가 되면,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컬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는 단락되기 때문에 모터(500)를 동작시킬 수가 없게 된다. 이를 홀드 상태(HOLD STATE)라고 한다.That is, when the low value Low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second transistor A. Q1 330 is turned on because it is a PNP transistor. At this time, as the first transistor A. Q1 310 is turned on,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s maintained at 0V. When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becomes 0V,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are short-circuited so that the motor 500 cannot be operated. do. This is called a hold state.

한편,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NPN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온(On)된다.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이 온(ON)이 되면,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Base) 전압을 0V로 유지시킴으로써, 제 2 포트(P1)(130)의 출력에 대해서 제 3 트랜지스터(Q1)(200)은 반응하지 않고 오프(Off)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포트(P1)(310)에 로우값(Low)이 되거나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이 되면 홀드상태(HOLD STATE)가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igh value High is applied to the third port P2 150,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is turned on because it is an NPN transistor. When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is turned on,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s maintained at 0 V,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port (P1) 130. The third transistor Q1 200 does not react to the output and remains off. Therefore, when the low value (Low) to the port (P1) (310) or the high value (HIGH) to the third port (P2) 150 in this way is a hold state (HOLD STATE).

단계(S7)의 판단결과 제어상태(CONTROL STATE)로 설정된 경우(즉, 모터(500)를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마이컴(U1)(100)은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한다(S11).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 when it is set to the control state (that is, when the motor 500 is to be driven), the microcomputer U1 100 receives the high value (the second port P1) 130. HIGH) and a low value LOW is applied to the third port P2 150 (S11).

즉,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오프(OFF)되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오프(OFF)된다. 이와 같이, 제 1 트랜지스터(A.Q1)(310)와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제 1 포트(P0)(110)에 신호를 전송하면, 정상적으로 제 3 트랜지스터(Q1)(200)를 제어하여 액추에이터(모터(500), 인디케이터(미도시) 등)를 온(ON)/오프(OFF)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제어상태(CONTROL STATE)라고 한다. 이런 2개의 홀드상태(HOLD STATE) 및 제어상태(CONTROL STATE)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상태를 이상 동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high value (High)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first transistor (A. Q1) 310 is turned off (OFF), the third port (P2) 150 When the low value Low is applied,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is turned OFF. As such, when the first transistor (A.Q1) 310 and the second transistor (B.Q1) 330 are turned off,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ort (P0) 110. Normally, the third transistor (Q1) 200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an actuator (a motor 500, an indicator (not shown), etc.). Such a state is called a control state. By using these two hold states and control states, the state of the system can be protected from abnormal operation.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injected onto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aliz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은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구동제어에 적합하여 동작에 따른 부품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출력제어시스템이 항상 알려진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할 수 있고,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해 홀드상태와 제어상태 중 제어상태에서만 모터를 제어할 수 있어 기존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system using the hold control circuit and th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itable for driving control of an actuator such as a motor, thereby reducing component damage due to the operation, and allowing the output control system to operate only in a known state at all times. In addition, the motor can be controlled only in the control state of the hold state and the control state using the hold control circuit, thereby providing a technology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technology.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일반적인 출력제어시스템의 하나인 모터 구동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tor drive device which is one of the general output control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드제어회로를 제외한 마이컴(U1)을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microcomputer U1 except for a hold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an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마이컴(U1) 110: 제 1 포트(P0)100: microcomputer (U1) 110: first port (P0)

130: 제 2 포트(P1) 150: 제 3 포트(P2)130: second port P1 150: third port P2

170: 저항(R1) 200: 제 3 트랜지스터(Q1)
300: 홀드제어회로 310 : 제 1 트랜지스터(A.Q1)
330 : 제 1 트랜지스터(B.Q1) 400: 전원부
170: resistor R1 200: third transistor Q1
300: hold control circuit 310: first transistor (A.Q1)
330: first transistor B. Q1 400: power supply unit

삭제delete

500: 모터 600: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500: motor 600: power on reset unit (POWER ON RESET)

Claims (6)

제 1 포트(P0)(110), 제 2 포트(P1)(130), 제 3 포트(P2)(150)를 포함하는 마이컴(U1)(100); 전원(600),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가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의 사이에 병렬로 리셋(RESET) 단자(140)가 연결된 파워온리셋부(600); 상기 제 2 포트(P1)(130)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A.Q1)(310), 상기 제 3 포트(P2)(150)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B.Q1)(330)를 포함하는 홀드제어회로(300); 및 상기 마이컴(U1)(100)의 제 1 포트(P0)(110)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Q1)(200)을 포함하는 출력제어시스템에 있어서,A microcomputer (U1) 100 including a first port (P0) 110, a second port (P1) 130, and a third port (P2) 150; The power supply 600,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 power-on reset unit 600 to which a reset terminal 140 is connected in parallel; A first transistor (A.Q1) 310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second transistor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hird port (P2) 150 ( A hold control circuit 300 comprising B. Q1) 330; And a third transistor (Q1) 200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port (P0) 110 of the microcomputer (U1) (100).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캐패시터(R.C1)(650)의 전압이 0V가 되어 리셋(RESET) 단자(140)에 리셋(RESET)이 걸리게 되면, 상기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의 출력을 오프(OFF)시키며, 상기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를 초기화시켜 모터(500)를 오프시키며, 상기 홀드제어회로(300)가 홀드상태(HOLD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 상기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온리셋부와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The microcomputer U1 100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power on reset unit 600 so that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R.C1 650 becomes 0V so that a reset terminal ( When RESET is applied to 140, the output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second ports P0, P1, and P2 110, 130, and 150 are turned off. When the motor 500 is turned off by initializing (P0, P1, P2) (110, 130, 150), and the hold control circuit 300 is set to the hold state, the second port (P1) And a high value (HIGH) to the third port (P2) (150) and a low value (130) to (1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U1)(10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U1) 100, 상기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PNP 트랜지스터인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온(ON)되고,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 전압은 0V로 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컬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는 단락되어 상기 모터(500)를 동작시킬 수 없으며,When the low value Low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first transistor A. Q1 310, which is a PNP transistor, is turned on and the third transistor Q1 (200). ), The base voltage is 0V, and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are short-circuited to operate the motor 500. 상기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NPN 트랜지스터인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온(On)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Base) 전압을 0V로 유지시켜, 상기 제 2 포트(P1)(130)의 출력에 대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은 반응하지 않고 오프(Off)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When a high value is applied to the third port P2 150,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which is an NPN transistor, is turned on and the third transistor Q1 ( The base voltage of the 200 is maintained at 0 V, so that the third transistor Q1 200 does not react to the output of the second port P1 130 and remains off.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U1)(10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U1) 100, 상기 홀드제어회로(300)가 제어상태(CONTROL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 상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 When the hold control circuit 300 is set to a control state, a high value is set at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low value is set at the third port P2 150.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for apply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U1)(100)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icrocomputer (U1) 100, 상기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오프(OFF)되며, When the high value HIGH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first transistor A. Q1 310 is turned OFF.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오프(OFF)되어,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applies the low value LOW to the third port P2 150,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is turned off. 상기 제 1 포트(P0)(110)에 로우값(LOW) 또는 하이값(HIGH)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드제어회로를 이용한 출력제어시스템.By controlling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n a manner of transmitting a low value or a high value signal to the first port P0 110,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turned on or off. Output control system using a hold control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포트(P0)(110), 제 2 포트(P1)(130), 제 3 포트(P2)(150)를 포함하는 마이컴(U1)(100); 전원(600),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가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R.R1)(630) 및 캐패시터(R.C1)(650)의 사이에 병렬로 리셋(RESET) 단자(140)가 연결된 파워온리셋부(600); 상기 제 2 포트(P1)(130)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A.Q1)(310), 상기 제 3 포트(P2)(150)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B.Q1)(330)를 포함하는 홀드제어회로(300); 및 상기 마이컴(U1)(100)의 제 1 포트(P0)(110)와 직렬로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Q1)(200)을 포함하는 출력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에 있어서,A microcomputer (U1) 100 including a first port (P0) 110, a second port (P1) 130, and a third port (P2) 150; The power supply 600,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resistor (R.R1) 630 and the capacitor (R.C1) 650 are connected in series. A power-on reset unit 600 to which a reset terminal 140 is connected in parallel; A first transistor (A.Q1) 310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second transistor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hird port (P2) 150 ( A hold control circuit 300 comprising B. Q1) 330; And a third transistor (Q1) 200 having a bas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port (P0) 110 of the microcomputer (U1) (100). 상기 마이컴(U1)(100)은 파워온리셋부(POWER ON RESET)(600)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캐패시터(R.C1)(650)의 전압이 0V가 되어 상기 리셋(RESET) 단자(140)에 리셋(RESET)이 걸리게 되면, 상기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의 출력을 오프(OFF)시키는 제 1 단계;The microcomputer U1 100 is supplied with a power on reset unit 600 so that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R.C1 650 becomes 0V so that the reset terminal 140 A first step of turning off the outpu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rts (P0, P1, P2) (110, 130, 150) when reset occurs;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제 1,2,3 포트(P0, P1, P2)(110, 130, 150)를 초기화시켜 모터(500)를 오프시키는 제 2 단계; 및The second microcomputer (U1) 100 is a second step of initializing the first, second, third ports (P0, P1, P2) (110, 130, 150) to turn off the motor (500); And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홀드제어회로의 상태가 홀드상태(HOLD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 상기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며, 상기 홀드제어회로의 상태가 제어상태(CONTROL STAT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 상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출력제어방법. When the state of the hold control circuit is set to the hold state, the microcomputer U1 100 has a low value in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third port P2. When the high value HIGH is applied to 150 and the state of the hold control circuit is set to the control state, the high value HIGH and the third value are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And a third step of applying a low value to the port (P2) (15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hird step, 상기 마이컴(U1)(100)이, 상기 홀드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PNP 트랜지스터인 상기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온(ON)되고,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 전압은 0V로 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의 컬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는 단락되어 상기 모터(500)를 동작시킬 수 없으며,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제 3 포트(P2)(15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NPN 트랜지스터인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온(On)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의 베이스(Base) 전압을 0V로 유지시켜, 상기 제 2 포트(P1)(130)의 출력에 대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은 반응하지 않고 오프(Off)상태를 유지하며,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is in the hold state, when the low value Low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first transistor A.Q1 310 which is a PNP transistor is applied. ) Is turned on,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becomes 0V, and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A.Q1) 310 are short-circuited. When the motor 500 is not operated and the microcomputer U1 100 applies a high value to the third port P2 150, the second transistor B, which is an NPN transistor, is applied. Q1) 330 is turned on, and maintains the base voltage of the third transistor (Q1) 200 at 0V,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port (P1) 130 The third transistor Q1 200 does not react and remains in an off state. 상기 마이컴(U1)(100)이, 상기 제어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포트(P1)(130)에 하이값(HIGH)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A.Q1)(310)은 오프(OFF)되며, 상기 마이컴(U1)(100)은 상기 제 3 포트(P2)(150)에 로우값(LOW)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B.Q1)(330)은 오프(OFF)되어, 상기 제 1 포트(P0)(110)에 로우값(LOW) 또는 하이값(HIGH)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200)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출력제어방법. 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is in the control state, when the high value HIGH is applied to the second port P1 130, the first transistor A.Q1 310 is turned off. When the microcomputer U1 100 applies the low value LOW to the third port P2 150, the second transistor B. Q1 330 is turned off. OFF to control the third transistor Q1 200 in a manner of transmitting a low value or a high value signal to the first port P0 1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Output control method using an outpu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 or off.
KR1020090095913A 2009-10-09 2009-10-09 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iu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100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913A KR101100293B1 (en) 2009-10-09 2009-10-09 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iu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913A KR101100293B1 (en) 2009-10-09 2009-10-09 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iu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62A KR20110038762A (en) 2011-04-15
KR101100293B1 true KR101100293B1 (en) 2011-12-28

Family

ID=4404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913A KR101100293B1 (en) 2009-10-09 2009-10-09 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iu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29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267A (en) 2001-03-29 2002-10-04 Mitsuba Corp Motor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267A (en) 2001-03-29 2002-10-04 Mitsuba Corp Motor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62A (en)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9645B2 (en) Motor drive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7535189B2 (en) Motor drive circuit
US8330406B2 (en) Motor drive circuit
US20070133955A1 (en) Fan Speed Control Circuit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Temperature And PWM
US20110018621A1 (en) Current mirror circuit
US6239991B1 (en) Control circuit compensating for malfunction of pulse width modulation circuitry
JP2010104079A (en) Load driver
JP486366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1100293B1 (en) Output control system using hold control circiut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O2007000916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2009254170A (en) Motor drive circuit
JP5233242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US9901006B2 (en) Control circuit for fan
WO2019026295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device
JP5855339B2 (en) Motor driver and vehicle using the same
JP2002164440A (en) Protective circuit for field-effect transistor
JP6070291B2 (en) LIGHT SOURCE DEVICE, PROJECTOR, AND LIGHT SOURCE DEVICE CONTROL METHOD
KR101650434B1 (en) Motor driver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97127B1 (en) Motor drive apparatus and method
JP2019189144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102348623B1 (en) Motor drive circuit with fail safe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1589651A1 (en) Apparatus for powering electric motors
JP6200209B2 (en) Control circuit and motor drive control device
CN117040506A (en) High-side driving circuit, vehicle, soft start method and program product
JP2000217383A (en) Control circuit for intermittent operation of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