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113B1 - The connection display system for a continuation business transaction - Google Patents

The connection display system for a continuation business trans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113B1
KR101100113B1 KR1020090096874A KR20090096874A KR101100113B1 KR 101100113 B1 KR101100113 B1 KR 101100113B1 KR 1020090096874 A KR1020090096874 A KR 1020090096874A KR 20090096874 A KR20090096874 A KR 20090096874A KR 101100113 B1 KR101100113 B1 KR 10110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information
lis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9848A (en
Inventor
이용석
남경아
김기현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이용석
주식회사 아이티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석, 주식회사 아이티젠 filed Critical 이용석
Priority to KR1020090096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113B1/en
Publication of KR2011003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 또는 증권 시스템에서 연속적인 업무 처리와 다양한 업무 화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업무화면별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개별화면을 편리하고 빠르게 전환 가능하도록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연속업무를 처리하는 화면의 구성 및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fficiently managing a continuous work process and various work screens in a financial or securities system, and provi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 enable the user to conveniently and quickly switch individual screens for each work screen. It relates to a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system of a screen for processing a continuous task to provide.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각의 연계 업무별로 원하는 화면을 연속해서 수행되는 일련의 업무를 그룹으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화면을 호출하는 경우 해당 화면이 속한 그룹의 화면을 목록으로 함께 표시하여 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연관성있는 업무에 대하여 빠르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연속된 업무를 처리하는 금융,증권 처리시스템와 같은 시스템에서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그룹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사용자가 화면을 호출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화면사용 이력을 바탕으로 반복되는 패턴에 따라서 호출되는 화면과 함께 연관되는 화면목록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연속 업무가 많은 금융,증권 처리시스템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연속 업무 처리를 쉽게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연계화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t and manage a series of tasks to be performed in succession to the desired screen for each linked task as a group, when calling the user screen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group to which the screen belongs to as a list By providing a linking screen group display system for continuous business processing in a system such as a financial and securities processing system that processes a variety of continuous business tasks so that a user can proceed quickly and effectively on related tasks. In calling and using, the user provides continuous screen lis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alled screen according to the repeated pattern based on the user's screen usage history. Make business easier To be intended to provide a link display systems.

금융, 증권, GUI, 화면설정, 화면전환, 업무설정, 업무 Finance, Securities, GUI, Screen setting, Screen switching, Business setting, Business

Description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표시 시스템{The connection display system for a continuation business transaction}{The connection display system for a continuation business transaction}

본 발명은 금융 또는 증권 시스템에서 연속적인 업무 처리 또는 다양한 수의 업무 화면에 대한 관리에 관한 것으로, 각 업무화면별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개별화면을 편리하고 빠르게 전환 가능하도록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연속업무를 처리하는 화면의 구성 및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business process or management of various numbers of business screens in a financial or securities system, and provi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 enable the user to conveniently and quickly switch individual screens for each business screen. It relates to a screen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system for processing a continuous task.

근래에는 모든 업무가 컴퓨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 업무담당자가 편리하고 쉽게 업무처리에 응용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ll work is done through computers, and various types of programs are executed on the network, and each person in charge is conveniently and easily applying them to the work process.

단순하게 컴퓨터상에서 자신들의 업무별로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나 해당 프로그램의 처리화면을 표시해놓을 경우, 업무가 연속적이어서 다수의 여러 화면을 동시에 실행시켜 놓아야 하거나,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또 다른 화면의 표시가 계속해서 필요한 경우에는 업무처리에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If you simply display the application program or the processing screen of the program on your computer, you will have to run several screens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task is continuous, or continue to display another screen required to carry out the task. If necessary, it will be difficult to process.

특히 금융/증권 업무처리에 있어서는 업무 특성상 연속적인 업무를 처리해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하나의 업무처리에 다수 개의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화 면을 실행시켜야함은 물론, 연계된 다수의 업무에 필요한 화면을 순차적으로 실행시켜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nancial / securities business processing, it is often necessary to process continuous business in order to execute a series of screens required for one business process. Most of the time you need to run them sequentially.

종래의 금융 및 증권 처리시스템에서는 각각의 화면들을 고유의 화면번호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하는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화면들을 개별적으로 실행시켜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각 개별화면을 정리하고 사용하였다.In the conventional financial and securities processing system, each screen is stored as a unique screen number, and the user arranges and uses each individual screen by displaying the screen on a computer screen by executing the screens individually using the corresponding unique number. .

그러나 이와 같이 화면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개별 화면을 불러오고 실행시키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금융 및 증권처리시스템에서의 수천 개의 다양한 업무화면을 기억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연계된 하나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수의 화면을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종료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높은 기억력과 조작과 관련된 숙달을 요구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calling and executing individual screens using the unique number of the screen has a difficulty of remembering thousands of various work screens in financial and securities processing systems. In particular, a method of sequentially calling and terminating a plurality of screens in order to process one linked task required user's high memory and mastery related to manipulation.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연계 업무별로 연계 업무에 속하는 복수의 화면을 그룹으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개별 화면이 아닌 연계 업무에 해당하는 화면 그룹을 실행시키게 함으로써, 다양한 연속된 업무를 처리하는 금융, 증권 처리시스템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일련의 연속된 개별 업무에 해당하는 각각의 화면을 각각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연계된 업무의 그룹을 한번에 표시함으로써, 업무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그룹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set and manage a plurality of screens belonging to a linked task for each linked task as a group. Accordingly, by executing a group of screens corresponding to linked tasks rather than individual screens, the user executes each screen corresponding to a series of consecutive individual tasks in a system such as a financial and securities processing system that processes various continuous tasks. Rather than making a group of linked tasks at once, it is to provide a linked screen group display system for continuous task processing so that the task can proceed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또한, 사용자가 금융, 증권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개별 화면 을 각각 호출하여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의 화면사용이력을 바탕으로 반복되어 사용하는 화면 호출패턴에 따라서 호출되는 화면과 연관되는 화면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연속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연계화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uses the financial and securities system, when each individual screen is called and used, the screen associated with the screen called according to the screen call pattern repeatedly used based on the user's screen usage history. It is to provide a linked screen display system so that a user can effectively process a continuous task by providing a list of users.

본 발명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표시 시스템은,  Linked screen display system for the continuous business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업무 정의에 따른 연계 업무에 따라 사용자가 그룹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호출화면에 대하여 설정된 그룹별로 화면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그룹정보 관리부와,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상에 제공하기 위하여 관리하는 서버정보관리부와, 표시될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표시정보조합모듈과, 사용자가 설정한 옵션 정보에 따라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의 화면표시 옵션을 제공하는 화면표시 옵션관리부와,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사용자의 화면표시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화면목록 정보를 제공관리하는 추천화면 목록 제공부와, 사용자가 설정한 그룹별 화면목록정보와 추천화면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표시 선택상황정보 및 추천화면목록정보와 화면표시 옵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allows a user to set a group according to a linked task according to the user's task definition, manages screen information for each group set for the user call screen, requests data to a server, and sends the requested information to the user. A serv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which manages to provide on the screen, a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constituting the screen to be displayed, and a screen display option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screen display options of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op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configured by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a screen display unit for collecting the screen display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ing the recommended screen list information to the user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Display line to provide screen list information and recommended screen list by user. The situation in the information and recommendation screen information and a list of features that comprise a database for storing screen display option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업무영역에 따라 그룹으로 화면을 설정하여 두고, 화면을 호출했을 때 해당 그룹의 화면이 화면목록으로 나타나게 됨에 따라서 업무진행시 각 화면들을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업무의 진행에 빠르고 편리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t the screen as a group according to the work area, and when the screen is called, the screen of the group is displayed as a screen list, so that each screen can be called and used during the work, Fast and convenient to the progress of.

또한, 사용자의 화면사용 이력 및 사용패턴에 따라서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해둔 공식에 따라 계산된 연관도가 높은 추천화면을 제공하게 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개별화면을 호출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이와 연관있는 화면목록을 자동적으로 제공받게 되므로, 복잡하고 다양한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하는 금융 및 증권업무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빠르고 편리하게 업무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screen usage history and usage pattern, the system provides a highly recommended recommendation scree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rmula set in advance in the system. Since it is provided with, it is possible to proceed quickly and conveniently in the process of handling the financial and securities business used by displaying a complex and various screen.

본 발명의 금융/증권 시스템에서 연속 업무를 처리하는 화면의 구성 및 처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creen for processing a continuous task in the financial / securitie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4.

사용자의 업무 정의에 따른 연계 업무를 사용자가 직접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호출한 연계 업무에 대하여 설정된 그룹별로 화면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그룹정보 관리부(10)와,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상에 제공하기 위하여 관리하는 서버정보관리부(20)와, 표시될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표시정보조합모듈(30)과, 사용자가 설정한 옵션 정보에 따라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30)의 화면표시 옵션을 제공하는 화면표시 옵션관리부(40)와,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30)에 의해 구성된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50)와, 사용자의 화면표시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화면목록 정보를 제공 관리하는 추천화면 목록 제공 부(60)와, 사용자가 설정한 그룹별 화면목록정보와 추천화면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이력정보 및 사용자 패턴정보와, 화면표시를 위한 화면표시 옵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allows the user to directly set the linked task according to the task definition of the user as a group, and manages the screen information for each set group for the linked task called by the user, and the data to the server. Serv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 to manage the request and provide the reques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for configuring the screen to be displayed, and the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op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 display option management unit 40 for providing display options of the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a screen display unit 50 for displaying a screen based on information configured by the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and And a screen set providing unit 60 for collecting the screen display history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recommended screen list information to the user by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Screen information and a list of recommended user history information and user patterns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isplay list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base 70 for storing a screen display options for the screen display.

상기 추천화면목록 제공부(60)는 사용자가 사용한 화면의 이력정보(history)를 저장하는 사용자이력수집부(61)와, 사용자 이력수집부(61)의 수집된 정보로부터 반복적으로 연속해서 사용되는 화면들의 패턴정보를 추출하는 사용자 패턴 추출부(62)와, 사용자이력수집부(61)와 사용자의 패턴 추출부(62)로 부터 사용이력 정보 및 추출된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화면목록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목록 추천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ecommendation screen list providing unit 60 is repeatedly used continuously from the collected information of the user history collecting unit 61 and the user history collecting unit 61 to store the history information (history) of the screen used by the user List of recommended screens to the user by using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extracted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user pattern extracting unit 62, the user history collecting unit 61 and the pattern extracting unit 62 of the user And a screen list recommendation unit 63 for providing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화면그룹정보관리부(10)는 사용자가 그룹으로 설정한 화면의 목록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목록 정보 관리부(11)와, 화면목록 정보 관리부(10)에 설정된 목록정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개별화면들을 연계화면으로 전환하기위해 직렬화 되어 바이너리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화면정보를 읽어 객체화를 실행하고, 객체화된 각 화면마다 고유아이디를 부여하여 저장 관리하는 개별화면 관리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is an individual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list information set in 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and 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to manage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creen set by the user as a group In order to convert screens into linked screens, the serialized and stored screen information stored in a binary format is executed to perform objectization, and each scree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parate screen management unit 12 which stores and manages a unique ID.

본 발명은 연속업무 특성에 맞게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하나의 연속업무에 속하는 각각의 화면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반복적인 화면 사용 패턴을 감안하여 사용자별 화면목록을 추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screen belonging to one continuous task to be sequentially proces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uous task can be bundled into one group, and the screen list for each user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repetitive screen usage pattern. As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 recommendation,

화면그룹정보 관리부(10)는 사용자의 업무 정의에 따른 연계 업무에 따라 사 용자가 화면 그룹을 등록하고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업무 그룹에 속한 복수의 화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관리 수단이다. The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provides a process for a user to register and select a screen group according to a linked task according to a user's task definition, and manages a plurality of screen information belonging to a task group selected by the user. Control management means.

화면 목록 정보 관리부(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업무 그룹의 목록을 저장하고, 저장한 목록을 불러오고, 각각의 목록에 속하는 화면을 추가, 수정, 삭제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is a means for storing a list of work groups selected by a user, calling up a stored list, and adding, modifying, and deleting screens belonging to each list.

즉, 화면 목록 정보 관리부(11)는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된 화면 목록 구성을 실제 업무별로 정의하여 그룹화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That is, 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is a means for providing a process for allowing a user to define and group a predefined screen list configuration according to actual tasks, and store and manage the same.

그룹지정이란 사용자가 자신의 업무순서를 정의하고, 자신이 직접 정의한 업무 순서대로 그룹을 설정하는 것이다.Group designation means that the user defines his / her own work order and sets up the groups in the work order that he defines himself.

예를 들어 신규계좌 개설업무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일련의 화면 목록을 신규계좌 개설 업무에 해당하는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new account opening task, a series of screen lists may be set as a group corresponding to a new account opening task as follows.

그룹 : 신규계좌개설Group: opening a new account

1번 화면 - 회원정보 입력Screen 1-Membership Information

2번 화면 - 공인인증서 신청Screen 2-Application for Certificate

3번 화면 - 고객 정보 활용 동의서 양식 출력Screen 3-Print Customer Information Consent Form

4번 화면 - 통장 발급Screen 4-Issuing Account

5번 화면 - 현금카드 발급 및 비밀번호 입력Screen 5-Issue Cash Card and Enter Password

6번 화면 - 인터넷, 모바일, 폰 뱅킹 가입처리Screen 6-Internet, Mobile, Phone Banking Subscription Process

이와 같이 여러개의 화면이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되면 그룹내의 화면중 하나 를 사용자가 호출할 경우 호출화면이 속한 그룹의 화면들을 화면목록으로 표시하게 된다.When several screens are designated as one group, when the user calls one of the screens in the group, the screens of the group to which the calling screen belongs are displayed as the screen list.

개별화면 관리부(12)는 상기에서와 같이 그룹으로 지정된 화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형태 즉, 윈도우 콘트롤로 작업되어 있는 개별화면을 상기에서와 같이 연속업무 표시에 적합한 화면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종래의 시스템과는 별도로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여 저장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individual screen manager 12 may convert and display a screen form displayed to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creen designated as a group as described above, that is, an individual screen operated by a window control to a screen suitable for continuous task display as described above. It is a means for storing and assigning a unique ID so as to be separate from the conventional system.

서버정보관리부(20)는 주식종목 또는 계좌정보와 같이 서버로 요청하여 화면그룹정보관리부(10)의 정보와 조합하여 화면표시정보조합모듈(30)을 통하여 컴퓨터 화면에 표시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serv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 requests information to the server, such as stock items or account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through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in combin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Means.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30)은 화면표시부(5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화면그룹정보관리부(10)에서 제공받은 화면목록정보와, 윈도우 컨트롤들의 위치와 실행 스크립트등의 정보가 객체화된 화면 구성 정보, 서버정보관리부(20)으로 부터 받은 화면내에 표시할 계좌번호와 잔고등의 표시 데이터, 화면 표시 옵션 관리부로부터 받은 화면 표시 옵션 설정 을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구성한다.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is a means for configuring a screen to b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50, the screen lis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the position and execution scripts of the window controls.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object information, the account number to be displayed in the screen received from the serv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 the display data such as the balance, and the screen display option setting received from the screen display option management unit. Configure the screen information.

화면표시 옵션관리부(40)는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30)의 화면표시 옵션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용자가 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creen display option management unit 40 is a means for providing a screen display option of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and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t it.

화면표시 옵션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the display options is as follows.

비활성화면의 투명화 기능 사용여부와 투명화여부 설정, 화면이름, 화면번호의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나타나는 툴팁 표시설정, 별도의 창에서 요약 이미지(미 니맵) 표시 기능 활성화 설정, 비활성 장면의 크기 단계별 축소 비율 설정(활성화대비 각 단계별 화면의 축소 비율)등이 있다.Set transparency of inactive screen and transparency, set tooltip display when hovering the screen name, screen number, enable summary image (minimap) display in separate window, set reduction ratio by size of inactive scene (Reduction ratio of each step compared to activation).

비활성 화면의 크기 단계별 축소 비율 설정은 활성화화면이 100이라면 80%로 설정하였을 경우 2번째 화면은 100*0.8, 3번째 화면은 (100*0.8)*0.8, 4번째 화면은 ((100*0.8)*0.8)*0.8) 등으로 조정한다. 여기서, 활성화된 화면이란 키보드등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등의 화면내부의 컨트롤들을 사용할 수 있는 화면을 말한다.The size of the inactive screen is reduced by 80% if the active screen is set to 100% .The second screen is 100 * 0.8, the third screen is (100 * 0.8) * 0.8, and the fourth screen is ((100 * 0.8) * 0.8) * 0.8) and so on. Here, the activated screen refers to a screen that can use controls within the screen, such as inputting data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표시형태설정은 표시될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둑판 형식, 3D형식, 계단 형식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display form setting shows an example of display of the screen to be displayed and can be set in a checkerboard format, a 3D format, a staircase format, or the like.

도 2는 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2 shows an example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of.

화면표시부(50)는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40)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실제 화면에 그래픽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display)이다. The screen display unit 50 is a display means for graphically displaying the screen configured by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40 on the actual screen.

추천화면 목록 제공부(60)는 사용자의 사용이력 및 화면전환의 패턴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도 2의 일 측에 표시되는 추천화면목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recommended screen list providing unit 60 is a means for extracting a user's history of use and a pattern of screen switching, and providing recommended screen list information displayed on one side of FIG. 2 us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상기 추천화면목록 제공부(60)의 사용자 이력수집부(61)는 화면표시부(50)를 통해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화면을 사용한 시간, 클릭 횟수, 키보드 입력 횟수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화면사용 이력정보를 사용자패턴 정보추출부(62)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user history collecting unit 61 of the recommendation screen list providing unit 60 stores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that the user sequentially uses the screen, the number of clicks, the number of keyboard inputs, and the like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50 to use the user's screen. Means for providing the history information to the user patter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62.

상기 추천화면목록 제공부(60)의 사용자 패턴 추출부(62)는 사용자 이력수집 부(61)의 수집된 정보로부터 현재 사용하는 화면으로부터 다음 선택 전환되는 화면의 연계가능성에 대한 패턴정보(연관도)와 사용되는 빈도수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user pattern extracting unit 62 of the recommendation screen list providing unit 60 performs pattern information on the linkability of a screen to be selected and switched next from the currently used screen from the collected information of the user history collecting unit 61. ) And means for extracting the frequencies used.

화면목록 추천부(63)는 사용자이력수집부(61)의 화면 사용이력정보와 사용자의 패턴추출부(62)로부터 추출된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화면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screen list recommendation unit 63 is a means for providing a list of recommended screens to the user by using the screen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history collecting unit 61 and the patter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pattern extracting unit 62 of the user.

데이터 베이스(70)는 시스템의 각 부에서 관리되는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데이터베이스(70)는 사용자가 설정한 그룹정보, 그룹정보에 따른 화면목록정보, 화면표시옵션관리부(40)의 화면표시옵션정보 및 추천화면목록제공부(60)의 사용자 화면사용 이력정보, 추출된 패턴정보, 추천화면 목록정보를 포함한다. The database 70 is a means for storing the information managed in each part of the system, the database 70 is the group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e screen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roup information, the screen of the display option management unit 40 The display option information and the recommendation screen list providing unit 60 include user screen usage history information, extracted pattern information, and recommendation screen list informa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detail as follows.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업무를 선택하게 되면, 화면그룹정보 관리부(1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업무에 해당하는 화면목록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a task to be performed, the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provides screen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sk selected by the user.

화면그룹정보 관리부(10)의 화면목록정보관리부(11)에서 제공하는 화면목록정보는 사전에 정의된 업무에 대하여 사용자가 그룹화하여 저장한 화면목록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개별화면관리부(12)에서는 사용자가 그룹으로 선택한 각 개별화면별로 즉, 화면목록정보관리부(11)에 등록되는 화면목록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개별화면들을 연계화면으로 전환하기위해 화면표시정보조합모듈(30)에서 표시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객체화시키고, 객체화된 각 화면마다 고유아이디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The screen lis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of the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provides screen list information stored by grouping the user for a predefined task. For each individual screen selected by the user as a group, that is, according to the screen list registered in 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to the display screen to convert the individual screen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to the associated screen. Objectize to be able to switch and save and manage by giving unique ID to each screened object.

즉, 개별화면관리부(12)에서는 각각의 화면이 가지고 있는 컨트롤들의 위치 정보와 컨트롤들에 연동되어 있는 스크립트정보 등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든 정보를 구조화된 표준 양식으로 저장하여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30)에서 화면 표시 옵션 관리부(40)로 부터 받은 정보와 조합하여 새로이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객체화를 수행하는 것이다. That is, the individual screen management unit 12 stores all the information for configuring the screen, such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s of each screen and the script information linked to the controls in a structured standard form to display the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In operation 30, objectification is performed so that a new screen can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with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creen display option manager 40. FIG.

따라서, 사용자가 업무에 필요한 그룹을 선택하면, 화면목록정보관리부(11)에서는 호출한 그룹에 해당하는 화면목록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서 개별화면관리부(12)에서 각 개별화면에 대하여 객체화된 화면정보를 제공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a group necessary for work, 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provides screen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group, and accordingly, the individual screen management unit 12 screens the object screened for each individual screen. Provide information.

상기 개별화면관리부(12)에서 제공하는 개별화면 정보에는 생성된 화면 객체로부터 화면구성의 요약 이미지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요약이미지정보를 이용하여 실체화면을 불러오지 않아도, 요약 이미지를 이용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미리보기용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In the individual scree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dividual screen management unit 12, the summary image information of the screen configuration is generated from the generated screen object, so that the summary screen information is not used even if the actual screen is not called using the generated summary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configure the preview image is included.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30)에서는 상기한 개별화면 관리부(12)에서 화면목록정보관리부(11)의 목록정보에 따라 각각의 화면 구성정보를 호출하여, 서버정보 관리부(20)로부터 제공되는 계좌정보, 잔고등의 정보와 화면표시 옵션 관리부(40)로부터 제공되는 옵션정보와 조합하여 화면표시부(50)를 통해 표시한다.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calls each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in the individual screen management unit 12, and the accou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50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such as the balance and the op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creen display option management unit 40.

이후, 화면표시부(50)를 통해서 표시되는 각 개별화면이 화면상에 표시되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값에 의해 비활성화된 화면을 활성화면으로 전환시키면서 미리보기용으로 표시된 화면목록을 표시하여 주고, 사용자가 이를 보고 활성화할 화면을 선택하도록 한다.  Subsequently, each individual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50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creen list displayed for preview is switched while switching the screen deactivated by the user's input value to be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t method. Display it, and let the user select it to view it.

이와 같이 사용자가 활성화할 화면을 선택하게 되면,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30)에서는 해당 화면을 활성화시켜 화면표시부(50)를 통해 표시한다. As such, when the user selects a screen to be activated,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activates the corresponding screen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display unit 50.

한편, 화면목록추천부(63)에서는 사용자 이력수집부(61)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화면이력정보와 사용자 패턴추출부(62)에서 추출된 패턴정보에 따라서 추천할 화면목록을 생성하고, 화면목록 정보 관리부(11)의 사용자가 등록한 화면목록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등록하지 않은 추천 화면목록을 생성하여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30)로 전송하여 화면표시부(50)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Meanwhile, the screen list recommendation unit 63 generates a screen list to be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screen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from the user history collecting unit 61 and the patter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user pattern extracting unit 62, and the screen list. Compared with the screen list registered by the user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generates a recommended screen list that is not manually registered by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to display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50 to be viewed by the user. Will be displayed.

즉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화면과, 이전 화면에서 다음 화면으로 전환시의 반복되는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다음화면 전환을 예측하고, 그에 대한 화면목록을 화면의 일측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손쉽게 화면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screen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nd the repeated use pattern when switching from the previous screen to the next screen, the next screen transition of the user is predicted, and a screen list thereof is shown on one side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2. By providing the user, the user can easily switch the screen in performing the work.

도 5 및 도 6은 이의 실제 프로그램상에서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5 and 6 show an example displayed on the actual program thereof.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그룹으로 지정한 화면이 표시되며, 마우스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각 화면간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며, 도 6에서와 같이 미니맵을 구성하여 미니맵을 선택하여 해당하는 화면을 직접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screen designated by a user is displayed, and switching between the screens is possible by using a means such as a mouse. As shown in FIG. You can choose directly.

도 3은 사용자 화면 이용 이력정보 및 사용패턴으로부터 추천화면 목록을 구성하는 추천화면 목록제공부(60)에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the recommendation screen list providing unit 60 constituting the recommendation screen list from the user screen us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age pattern.

사용자가 화면을 호출하면 사용자이력수집부(61)에서는 사용자가 지금 호출한 화면 바로 이전에 사용한 화면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하게 되고, 사용자 패턴추출부(62)에서는 바로 이전에 사용한 화면과 현재 호출한 화면에 대하여 연계화면으로 저장된 정보가 있는 지를 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검색한다. When the user calls the screen, the user history collecting unit 61 stores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screen used immediately before the screen called by the user, and the user pattern extracting unit 62 displays the previously used screen and the present. The database 70 searches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stored as a linked screen for the called screen.

바로 이전에 사용한 화면과 현재 호출된 화면에 대하여 연계화면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두 화면간의 연관도를 지정된 공식에 따라 산출하여 연관도를 새로이 갱신하여 저장한다. If there is a linking screen information on the previously used screen and the currently called screen, the association degree between the corresponding two screens is calculated according to a specified formula, and the association degree is newly updated and stored.

한편, 현재 호출된 화면에 대하여 이전화면의 연계화면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연계화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공간을 확보하고, 공식에 따라 산출된 연관도를 데이터 베이스(70)에 저장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associated screen information of the previous screen for the currently called screen, a space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linked screen is secured, and the degree of associatio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rmula is stored in the database 70.

이러한 연관도는 사용자 이력정보로부터 추출되는 것인데, 사용자가 연속업무로 정의된 그룹이 아닌, 각각의 개별화면을 호출하여 순차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저장되는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추출된다.This degree of association is extracted from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Instead of the group defined as the continuous task, the association degree is extracted from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stored as each individual screen is called and used sequentially.

두 화면간에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를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이력 정보가 저장될때마다 연관도를 계산하여 새로이 갱신하며, 예를 들어 n화면을 호출하고 어느정도의 시간이 지나고, 사용자가 다른 화면을 호출하는 등의 조작을 한 후 m화면을 호출했을 때의 연관도αnm의 연산 방법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n order to express how close the relationship is between the two screens, each time usage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the association is calculated and updated.For example, n screens are called and some time has elapsed.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correlation degree α nm when the m screen is called after an operation such as calling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1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1

여기서, T는 연관도를 사용시간에 대한 연관도를 설정하기 위한 함수이고, α'nm 는 현재의 화면전환이 일어나기 이전에 저장된 화면 연관도 값이다. Here, T is a function for set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with the time of use, and α ' nm is a screen association value stored before the current screen change occurs.

즉 αnm의 초기값은 0이며, 최초로 n화면에서 m화면을 호출하는 이벤트가 일어남에 따라 초기값에 계산된 값이 더해진다. 이 값은 사용자가 기준이 되는 시간과 근접한 시간에 많은 작업을 실행하고 입력할 수록 큰 값이 되며, 같은 사용패턴이 반복됨에 따라 값이 누적되어 최종적으로는 1에 수렴한다.That is, the initial value of α nm is 0, and the calculated value is added to the initial value as the first event of calling the m screen from n screens occurs. This value becomes larger as the user executes and enters more work at a time closer to the reference time, and the value accumulates as the same usage pattern is repeated and finally converges to 1.

또한 C는 사용자가 해당 화면에 클릭한 횟수, K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이용하여 화면에 데이터를 입력한 횟수, t는 사용시간, R은 사용자가 화면을 조작하여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거나 표시 데이터 갱신을 요구한 횟수이다.In addition, C is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clicks on the screen, K is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inputs data on the screen using the keyboard, t is the usage time, R is the user operating the screen to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or update the display data. The number of times a request was made.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2
의 기본 값은 10,000등의 임의의 자연수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사용이력 데이터가 쌓이는 속도 및 빈도에 따라 조정한다.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2
The default value of is set to an arbitrary natural number, such as 10,000,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ed and frequency at which the user history data is accumulated.

T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3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3

t는 화면이 사용된 시간, u 는 기준 시간t is the time the screen is used, u is the reference time

수학식 2는 도 4에서와 같은 그래프 함수로부터 정의될 수 있다.Equation 2 may be defined from a graph function as shown in FIG. 4.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 화면에 대한 평균 업무처리 시간이 3분이고, 이에 맞춰 사용시간이 3분에 가까운 경우 가장 높은 연관도 값이 저장되도록 설정해야 하는 경우, 수학식 2는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4
으로 설정함으로써 이전화면의 사용시간이 3일경우 최대치 0.9에 가장 가까워 지며,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5
로 함으로써 함수의 X축 분포를 적절하게 정하여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6
의 영역에서 연관도에 유효한 값이 더해지도록 하고, 그 이외의 값에서는 0에 가까운 값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을 활성화하고 3분 체류한 후 새로운 화면으로 넘어갔을 경우에 연관도가 높게 설정되도록 한다. For example, if the user has an average processing time of 3 minutes for one screen and the usage time is close to 3 minutes, the user needs to set the highest correlation value to be stored.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4
If you set the previous screen to 3 hours, the maximum value is 0.9.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5
By setting the X-axis distribution of the function appropriately,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6
In the area of, add a valid value to the degree of relevance, and make other values close to zero so that the degree of relevance is set when the user activates the screen and stays for 3 minutes and then moves to a new screen. do.

즉, u를 조정함으로써 기준 시간을 정하고, σ를 조정하여 기준 사용시간의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작업하는 시간범위에서 유효한 값이 연관도에 더해지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That is, by adjusting u, the reference time is determined, and σ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range of the reference use time, so that a value valid in the time range on which the user works on average is added to the degree of association.

도 4는 시간폭에 따라서 연관도를 설정하기 위한 함수 그래프이다.4 is a function graph for set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time width.

(X축은 시간, Y축은 연관도를 나타낸다.)(X-axis shows time, Y-axis shows correlation.)

다음의 표 1과 같이 화면이 사용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연관도를 구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As shown in Table 1 below, an example of obtaining an association degree for a case where a screen is used will be described.

클릭 횟수 - CClick Count-C 키보드 입력 - KKeyboard input-K 사용 시간- t(분)Usage time-t (minute) 서버정보요청횟수 - RServer Information Requests-R 1번->2번 1 to 2 33 2020 33 77 2번->3번2-> 3 times 55 100100 22 1616 3번->4번3-> 4 times 44 5050 55 2424

1번화면에 대한 2번 화면의 연관도 Association of Screen 2 to Screen 1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7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7

1번화면에 대한 3번 화면의 연관도는The relevance of screen 3 to screen 1 is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8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8

1번화면에 대한 4번 화면의 연관도는The relevance of screen 4 to screen 1 is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9
Figure 112009062412244-pat00009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Can be expressed as:

이와 같이 산출된 연관도와 사용패턴 추출부(62)에 설정된 임계값(TH)과의 비교를 수행하여 추천목록의 갱신여부를 결정한다.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update the recommendation list by performing a comparison with the calculated correlation and the threshold value TH set in the usage pattern extracting unit 62.

임계 값(TH)은 상기의 도 4와 같은 함수 그래프를 이용하여 반복실험에 의해 구해진 값으로 추천목록구성을 위해 설정된 값이다. The threshold value TH is a value obtained by repeating experiments using the function graph as shown in FIG. 4 and is set for the recommendation list.

추천구성 순위에 대한 기준 값(TH)과 비교하여 추천순위가 변동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변동이 있으면, 새로운 순위로 갱신하여 새로운 추천목록을 갱신한다.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TH for the recommendation structure rank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ommendation rank has changed, and if there is a change, the new recommendation list is updated by updating to a new rank.

즉, 이전에 호출된 화면과 현재 호출된 화면간의 연관도가 기준 값(TH)이상인 경우 추천목록정보에 등록하고, 연관도에 따라서 추천목록정보를 갱신하여 추천순위를 연관도 순서대로 갱신하게 된다. That is, if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previously called screen and the currently called scree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 it is registered in the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일 측에 표시된 상기한 추천목록정보를 선택하여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화면 호출될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추천목록은 갱신된다. The user can select and display the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displayed on one side as shown in FIG. 2, and the recommendation list is upd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even when the screen is called.

따라서 사용자의 화면 사용이력 및 그 사용패턴에 따라서 추천목록은 지속적으로 변경된다. Therefore, the recommendation list is continu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creen usage history and its usage pattern.

또한 이렇게 반복적인 사용을 통해 누적된 연관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과 높은 연관도를 가지고 있는 화면을 자동으로 그룹으로 묶을 수 있도록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by using the accumulated degree of relevance through the repeated use, it provide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group the screens having a high degree of relevance with the user's selected screen.

이 기능은 도면 8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동작한다. 도면 8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면이 X, 이전화면이 Wn 이고, 다음화면이 Yn 일 경우, 현재화면을 기점으로 사전에 설정해둔 임계값(TH)이상을 만족시킨 화면들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만약 X와 Wn사이의 연관도가 임계값(TH)이상을 만족한 경우, 이전 단계와 동일하게 Wn과 임계값(TH) 이상의 연관도를 가지고 있는 이전 화면이 있는지 탐색한다. 이를 만족하는 화면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탐색을 반복한다. 이러한 탐색은 사전에 정해둔 횟수까지 반복 되며, X와 Yn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반복된다. 이렇게 추출된 연계화면 리스트는 X와 Wn사이의 연관도와 X와 Wn사이의 연관도를 더하여 높은 순서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This function operates with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In Figure 8, the current screen is X, the previous screen is W n If the next screen is Y n , a list of the screens satisfying the threshold value TH or more set in advance from the current screen is cre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If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X and W n satisfies the threshold TH or more, it is searched whether there is a previous screen hav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W n and the threshold TH as in the previous step. If there is a screen that satisfies this, the search is repeated. This search is repeated up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 same is repeated between X and Y n . Thus extracting the associated display list is presented to the user in the higher order by adding the association degree between the assist X and W n association between X and W n.

이에 따르면, 화면 목록 추천부는 현재 사용시점을 기준으로 이전화면과 다음화면과의 연관도와 사전에 설정한 임계값(TH)을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한 값 이상일 경우, 해당 하는 이전 화면과 그 이전에 사용한 화면과의 연관도를 탐색하여 연관도가 설정한 값 이상이 되는 화면을 그룹으로 묶는 작업을 반복하고, 다음 화면과 그 다음 화면의 정보를 탐색하여 연관도가 설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 동일한 그룹으로 묶는 작업을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사용한 이력정보를 기초로하여 사용자별 추천 화면목록을 각각 작성하여 추천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the screen list recommendation unit compa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vious screen and the next screen based on the current point of use and the preset threshold value (TH). Repeat the process of grouping the screens that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by searching for the degree of association with the used screen, and searching the information of the next screen and the next screen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By repeating the grouping opera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cess that allows the user to create a recommendation screen list for each user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using the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ked screen display system for continuous business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화면표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추천화면 목록의 제공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recommendation screen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기준 사용 시간과 기준 사용 시간으로부터의 변동 폭에 따라서 연관도를 설정하기 위한 함수 그래프.4 is a function graph for set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width from the reference use time and the reference use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실제 프로그램상에서 적용되는 화면목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list that is applied on the actual program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제 프로그램상에서 적용되는 미니맵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inimap display applied on an actual program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제 프로그램상에서 적용되는 화면표시(화면전환)의 옵션 설정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on setting screen of screen display (screen switching) applied on an actual program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화면을 연관도에 따라 자동으로 그룹으로 묶어 추천하도록 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구조를 나타낸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ructure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grouping and recommending screens in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사용자 호출화면에 대하여 설정된 그룹별로 화면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그룹정보 관리부(10);A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for managing screen information for each group set for the user call screen;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상에 제공하기 위하여 관리하는 서버정보관리부(20);A server information manager 20 for requesting data from a server and managing the requested information on a screen; 표시될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표시정보조합모듈(30);A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30 for configuring a screen to be displayed; 사용자가 설정한 옵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의 화면표시 옵션을 제공하는 화면표시 옵션관리부(40);A display option manager 40 for storing option information set by a user in a database and providing a display option of the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stored information; 화면표시정보 조합모듈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50);A screen display unit 50 for displaying a screen configured by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combination module; 사용자의 화면표시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화면목록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화면 목록 제공부(60); 및A recommendation screen list providing unit 60 for collecting screen display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ing recommendation screen list information to the user by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70); 를 포함하되,A database 70 for storing information managed by the system; , ≪ / RTI & 상기 화면그룹정보 관리부(10)는,The screen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 사용자가 그룹으로 설정한 화면의 목록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목록 정보 관리부(11)와, 화면목록 정보 관리부에 설정된 목록정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개별화면들을 연계화면으로 전환하기위해 바이너리로 직렬화되어 있는 화면파일을 객체화시키고, 객체화된 각 화면마다 고유아이디를 부여하여 저장 관리하는 개별화면 관리부(12)를 포함하고,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which manages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creens set by the user as a group, and serialized in binary to convert the individual screens displayed on the screen into linked screens according to the list information set in the screen lis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 individual screen management unit 12 that objectizes the screen file, and assigns and stores and manages a unique ID for each screened object, 상기 추천화면목록 제공부(60)는,The recommended screen list providing unit 60, 사용자가 사용한 화면의 이력정보(history)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 수집부(61)와, 사용자 이력수집부의 수집된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반복하여 사용하는 화면 이용 패턴을 추출하는 사용자 패턴 정보 추출부(62)와, 사용자 패턴 정보 추출부(62)에서 추출된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화면목록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목록 추천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표시 시스템.A user histor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61 for storing and manag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screen used by the user, and a user patter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screen use pattern repeatedly used by the user from the collected information of the user history collecting unit; And a screen list recommendation unit 63 for providing recommended screen list information to the user by using the pattern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user patter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62. Linkage display system fo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이력 정보 수집부의 사용자 이력정보는 이전 화면 번호, 현재 전환이벤트가 발생하여 활성화된 다음 화면 번호, 사용자가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기 전까지 사용한 시간, 화면을 클릭한 횟수, 키보드의 키를 눌러 입력한 횟수,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 화면을 조작하여 서버에 데이터 통신 요청을 보낸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표시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ncludes a previous screen number, a next screen number activated by a current switching event, a time used before the user switches the screen to another screen, the number of times the screen is clicked, And a number of times of inputting a key by pressing a key of a keyboard and a number of times of transmitting a data communication request to a server by operating a screen with a keyboard or a mouse.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패턴 정보 추출부에 있어서, 패턴정보를 구하는 것은 표시된 화면간의 연관도로 산출하며, 상기한 연관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user patter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obtaining the pattern information is calculated by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displayed screens.
Figure 112011036557125-pat00010
Figure 112011036557125-pat00010
Figure 112011036557125-pat00011
Figure 112011036557125-pat00011
여기서, T는 연관도를 사용시간에 대한 연관도를 설정하기 위한 가우스 함수, α'nm 는 현재 시점 이전에 갱신되어 저장된 화면 연관도로서 초기값은 0, ε의 기본 값은 10,000이며 사용자의 사용 이력 데이터가 쌓이는 속도 및 빈도에 따라 조정 가능한 값, t는 화면이 사용된 시간, u는 기준 사용시간. u를 조정함으로써 기준 시간을 정하고, σ를 조정하여 기준 사용시간의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작업하는 시간범위에서 유효한 값이 연관도에 더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표시 시스템.Here, T is a Gaussian function for set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with the usage time, α ' nm is a screen association updated and stored before the current time point. The initial value is 0, the default value of ε is 10,000, and the user's use The valu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ed and frequency of historical data accumulation, t is the time the screen is used, and u is the reference time. By adjusting u, the reference time is determined, and σ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range of reference time, so that a valid value is added to the degree of association in the time range on which the user works on average. Linked Display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화면목록 추천부는 계산된 연관도를 기준으로 현재 선택한 화면의 연관도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화면과 사전에 설정한 임계값(TH) 이상을 가지는 화면번호를 가져와 연관도가 높은 순서대로 개별 화면 목록을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표시 시스템.The screen list recommender of claim 1, wherein the screen list recommender retrieves the relevance data of the currently selected screen based on the calculated relevance, and brings a screen nu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 or more to the screen and has a high relevance. Linked screen display system for continuous business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to arrange the individual screen list in order to recommend to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화면 목록 추천부는 현재 사용시점을 기준으로 이전화면과 다음화면과의 연관도와 사전에 설정한 임계값(TH)을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한 값 이상일 경우, 해당 하는 이전 화면과 그 이전에 사용한 화면과의 연관도를 탐색하여 연관도가 설정한 값 이상이 되는 화면을 그룹으로 묶는 작업을 반복하고, 다음 화면과 그 다음 화면의 정보를 탐색하여 연관도가 설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 동일한 그룹으로 묶는 작업을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사용한 이력정보를 기초로하여 사용자별 추천 화면목록을 작성하여 추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업무 처리를 위한 연계화면 표시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list recommendation unit is based on the current use point and compa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vious screen and the next screen and the threshold value (TH) that is set in advance, if more than the preset value, the corresponding previous screen and the Search for association with the previously used screen and group the screens that are at or above the value set by the association, and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next screen and the next screen to be at least the value set by the association. In the case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grouping the same group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linked screen display system for continuous work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o create a recommendation screen list for each user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using the screen.
KR1020090096874A 2009-10-12 2009-10-12 The connection display system for a continuation business transaction KR101100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74A KR101100113B1 (en) 2009-10-12 2009-10-12 The connection display system for a continuation business trans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74A KR101100113B1 (en) 2009-10-12 2009-10-12 The connection display system for a continuation business trans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48A KR20110039848A (en) 2011-04-20
KR101100113B1 true KR101100113B1 (en) 2011-12-29

Family

ID=4404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874A KR101100113B1 (en) 2009-10-12 2009-10-12 The connection display system for a continuation business trans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1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4099B (en) * 2014-11-18 2018-0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device for showing menu
KR102243819B1 (en) * 2018-12-21 2021-04-22 주식회사 케이티 Terminal and method for adaptive menu navigation based on user behavi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48A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5933B (en) Authorization policy recommendation and device
US201903246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mepage cluster system management based on tree structure
US201201670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interface quick filter
US8321803B2 (en) Aggregating service components
US110799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cting to messages
CN111666280B (en) Comment ordering method, comment ordering device, comment ordering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1756832B (en)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informa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3582132A1 (en) Row-level and column-level policy service
US20120304095A1 (en) Identity Manager Operations Dashboard
KR101100113B1 (en) The connection display system for a continuation business transaction
JP54373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190014588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input keyboard
US9262035B1 (en) Display for embedded intelligence
CN110874644A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user in exploring data set and data table
KR102418853B1 (en) The bigdata intergared-processing user interface method for increasing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platforms
CN114995875A (en) Page component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8536782A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H10254665A (en) Device and method for default provision, and storage medium
CN113238693A (en) Icon sorting method, icon sor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6476153B2 (en) Task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2009003696A (en) Display control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management apparatus, and program
US20170075869A1 (en) Recency Sensitive User Interface
JP2016130996A (en) Information browsing system
JP72908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800809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rocessing result of big data processing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