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574B1 - a rotation drying machinefer case - Google Patents

a rotation drying machinefer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574B1
KR101099574B1 KR1020090118943A KR20090118943A KR101099574B1 KR 101099574 B1 KR101099574 B1 KR 101099574B1 KR 1020090118943 A KR1020090118943 A KR 1020090118943A KR 20090118943 A KR20090118943 A KR 20090118943A KR 101099574 B1 KR101099574 B1 KR 101099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ewatering
dehydration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2273A (en
Inventor
조규호
Original Assignee
조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호 filed Critical 조규호
Priority to KR102009011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574B1/en
Publication of KR2011006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2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5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Landscapes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및 탈수를 용이하게 실시하면서 사용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도록 한 회전 탈수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며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각각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탈수용 물을 수용하는 곳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감싸면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표면보다 더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탈수통의 배면 중심에 연결되어 회전축에 신발을 고정하여 탈수하는 보조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지렛대 방식을 통해 상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that is easy to wash and dehydrate, and has excellent usability and adds various functions, and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nd receiving washing water and dewatering water, respectively, A dewatering container installed to receive water for dehydration and dewatering laundry by rotation, and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surrounding the dewatering container, protrude more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connected to the rear center a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o dehydrate the shoe, and a driv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and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rotate the dehydration container through a lever using a user's h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nit.

세척, 탈수, 회전, 칸막이, 분리막, 세탁물 Washing, dewatering, spinning, partition, separator, laundry

Description

회전 탈수통{a rotation drying machinefer case}Rotation drying machinefer case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탈수를 용이하게 실시하면서 사용이 편리한 회전 탈수통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p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dewatering container that is easy to use while easily dehydrating water.

우리나라 주택문화는 외국과는 달리 신발을 벗고서 생활하며 바닥에서 취침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주택에서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을 이용하여 바닥에 쌓인 먼지나 작은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Unlike other countries, Korea's housing culture is to live off its shoes and sleep on the floor, so the floor must be kept clean. Typically, most homes use vacuum cleaners to clean the floor. Such a vacuum cleaner can remove dust or small foreign matters accumulated on the floor using a vacuum.

그러나, 진공청소기는 바닥에서 쉽게 분리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 등은 제거할 수 없었다. However, the vacuum cleaner can remove dust or foreign matter tha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floor, but dirt or oil stuck to the floor, food waste, etc. cannot be removed.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제거할 수 없었던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은 물걸레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었다.As such, dust or oil, food waste, etc., which could not be removed by a vacuum cleaner, had to be removed using a mop.

그런데, 물걸레를 이용한 바닥청소를 할 때 물걸레에 강한 힘을 주지 않으면 바닥에 늘어 붙은 묵은 때를 제거할 수 없었다. 또한, 엎드린 상태에서 물걸레를 손으로 잡고 바닥을 닦아야 하였기 때문에, 물걸레 청소를 하다보면 허리 및 팔에 통증이 오곤 하였다. 즉, 물걸레 청소는 고된 노동을 필요로 하였고, 따라서 노약 자나 임산부, 허리가 아픈 사람은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없었다. By the way, when cleaning the floor using a mop, it was not possible to remove the old time stuck on the floor without giving a strong force to the mop. In addition, in the prone state to hold the mop by hand to clean the floor, so cleaning the mop used to pain in the lower back and arms. In other words, mop cleaning required hard labor, and therefore, the elderly, pregnant women, and those with back pain could not clean the mop.

특히, 대형 아파트가 보급되고 있는 요즈음, 물걸레 청소에 대한 어려움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se days, the spread of large apartments, the difficulty of cleaning the mop has been highlighted.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여러 업체에서는 기다란 손잡이 봉과, 그 손잡이 봉의 하단에 물걸레를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로 구성된 물걸레 청소기를 출시되었다.Based on these problems, many companies have released a mop cleaner consisting of an elongated handle bar and a detachable par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mop at the bottom of the handle bar.

그러나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의 세척 및 탈수방식은 수도를 통해 물을 토출시키면서 더러워진 걸레를 세척한 후 발로 밟거나 손으로 비틀어서 탈수시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물의 소비량이 많음은 물론, 걸레가 제대로 세척 및 탈수되지 않고,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washing and dehydration of the mop cleaner was used to wash the dirty mop while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tap water and then dehydrate it by stepping on it or twisting it by hand, but this method consumes a lot of water and washes the mop properly. And not dehydrated, there is an unsanitary problem.

따라서, 근래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척된 물걸레를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탈수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형태의 물걸레 청소기가 개발되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various types of mop cleaners have been developed in which the mop can be dewatered by mechanical operation.

그러나, 이러한 물걸레 청소기는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여 비경제적임은 물론 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청소하는 장소로 이동이 곤란하여 사용이 불편하며, 세척 및 탈수가 원활하지 않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However, most of these mop cleaners are inconvenient due to their complicated structure and are inexpensive as well as poor durability of the device, difficult to move to a cleaning place, and inconvenient to use, and are not widely used due to poor cleaning and dehydration. I ca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 및 탈수를 용이하게 실시하면서 사용성이 우수한 회전 탈수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rotary spinneret having excellent usability while easily performing cleaning and dehyd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 탈수통은 상부가 개구되며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각각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탈수용 물을 수용하는 곳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감싸면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표면보다 더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탈수통의 배면 중심에 연결되어 회전축에 신발을 고정하여 탈수하는 보조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지렛대 방식을 통해 상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otating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main body for receiving the washing water and dewatering water, respectively, and installed to receive the dewatering water of the main body laundry by rotation Dehydration container for dewatering and surrounding the dehydration container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trudes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back center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inside to secure the shoe to the rotating shaft to dehydr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dehydrator,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dehydrator and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rotate the dehydrator through a lever method using a user's hand.

본 발명에 의한 회전 탈수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물걸레 손잡이봉을 손으로 잡고 지렛대 방식으로 전후로 움직이면서 구동유닛을 가동하여 탈수통을 회전시킴으로서 내부에 담겨진 걸레나 신발 등을 보다 용이하게 탈수시킬 수가 있다.First, by holding the mop handle bar by hand and moving the drive unit back and forth in the lever method to rotate the dehydration container can be easily dehydrated mop or shoes contained therein.

둘째, 탈수되는 물과 세척용 물을 분리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으로 걸레를 세착할 수가 있다.Second, by separating the dewatered water and the washing water can be more hygienic to wash the mop.

셋째, 탈수통에 연결되면서 본체 케이스에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보조 탈수통을 구성함으로써 신발의 탈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ehydration of the shoe by configuring an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cas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dehydration container.

넷째, 신발의 탈수시 탈수통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하여 탈수통을 이등분하여 각각 하나씩 신발을 삽입하여 탈수함으로써 무게 중심의 어긋남에 의해 소음이나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ourth, in order to grasp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when dehydrating the shoes by dividing the dehydration container into two and inserting the shoes one by 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or failure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다섯째,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탈수통을 회전시킴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아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Fifth, by rotating the dehydration container without power without using electricity can be convenient to use anywhere.

여섯째, 발대신에 지렛대 방식을 통한 손을 이용하여 탈수통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주부들이 보다 편하게 탈수통을 사용할 수가 있다.Sixth, the housewife can use the dehydration container more easily by rotating the dewatering container at a high speed by using a hand using a lever instead of the foot.

일곱째, 절첩이 가능한 보조 발판을 장착하여 한 발을 사용하여 누르면서 지렛대 방식을 통해 손으로 탈수통을 회전함으로써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면서 탈수통이 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even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while smoothly rotating by rotating the dehydration container by hand through the lever method while pressing by using one foot by mounting the foldable auxiliary footres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회전 탈수통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조립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view illustrating the driving unit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riving unit of FIG. 2.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며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수용하기 위해 분리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분리하기 위한 칸막이(12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 양측에 각각 연결 및 고정되는 손잡이(130)와, 상기 칸막이(120)에 의해 분리된 상기 본체(110)의 탈수용 물을 수용하는 곳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걸레 또는 신발 등의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통(140)과, 상기 탈수통(140)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탈수통(140)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main body 110 separated to accommodate the water for washing and dewatering, The partition 120 for separat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dehydration water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10, the handle 130 is connecte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partition 120 It is installed in a place to receive the dewatering water of the main body 110 separated by the dehydration barrel 140 for dewatering laundry such as rag or shoes, and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It extends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unit 150 for rotating the dehydrator 140.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배면에는 상기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각각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22)가 구성되어 있다.Here, a drain hole 122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dewatering wat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또한, 상기 칸막이(120)는 상기 본체(110)의 중심 부분에 배면까지 연장되어 구성되어 상기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완전히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칸막이(120)는 필요에 따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가능하다면 설치하는 것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rtition 120 is configured to extend to the rear surfac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o completely separate the water for washing and dehydration, the partition 120 is not installed if necessary Although possibl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f possible to separate the washing water and the dewatering water.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 양단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본체(110)를 이동시킬 때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handle 130 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upper ends of the main body 110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when moving the main body 110.

상기 탈수통(140)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물걸레 또는 신발의 탈수시 탈수된 물이 빠져나가는 다수의 홀로 이루어진 수세부(141)와, 상기 탈수통(140)의 배면 중심에 연결되어 하부까지 연장되는 회전축(1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and the washing unit 14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dehydrated water escapes when the mop or shoes are dewater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rotating shaft 142.

상기 구동유닛(15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결절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절구(111)에 삽입 및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151)와, 상기 받침대(151)상의 일측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는 지지부(152)와, 상기 지지부(152)의 사이에 구성되고 상측표면에 손잡이봉(210)이 삽입되는 삽입홀(153a)을 갖고 상기 받침대(151)와 일정한 갭을 갖도록 하부로 연 장되는 연장부(153b)를 갖으며 상부가 상기 지지부(152)의 양측에 관통하는 고정축(153c)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홀(153a)에 삽입되는 손잡이봉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는 가동부(153)와, 상기 가동부(153)의 연장부(153b)와 접하고 상기 가동부(153)의 전후 동작에 의해 직선운동하고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톱니형상이 형성된 가이드부(154)와, 상기 가이드부(154)가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154)를 수용하고 상기 받침대(151)의 상부 표면에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155)과, 상기 가이드레일(155)의 일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54)의 톱니형상과 하부가 맞물려 상기 가이드부(154)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기어(156)와, 상기 제 1 기어(156)에 맞물려 상기 제 1 기어(156)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142)이 삽입되는 제 2 기어(157)와, 상기 제 1 기어(156)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대(151)에 고정하는 고정부(15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When describing the drive unit 150 in more detail, a nodule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pedestal 151 is inserted into the nodule 111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A support portion 152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pedestal 151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insertion hole 153a form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52 and having a handle bar 210 inserted into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extension portion 153b extending downwardly to have a constant gap with the pedestal 151, the upper portion being connected to a fixed shaft 153c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152 and the insertion hole 153a. The movable part 153 which moves back and forth by the handle bar inserted into the contact part and the extension part 153b of the said movable part 153 is linearly moved by the front-back motion of the movable part 153, and the tooth shape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he guide part 154 formed and the guide part 154 may move linearly. A guide rail 155 for accommodating the guide portion 154 and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51,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155 and the teeth of the guide portion 154 The first gear 156 is rotated by the linear motion of the guide portion 154 in engagement with the shape and the lower portion,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156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156. And a second gear 157 into which the rotary shaft 142 is inserted, and a fixing part 158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first gear 156 to the pedestal 151.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54)의 복귀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55)의 내부에 스프링(159)이 구성되어 있다.Here, a spring 159 is configured inside the guide rail 155 to smoothly return the guide part 154.

또한, 상기 손잡이봉은 물걸레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잡고 청소하기 위한 봉이거나 별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봉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bar is connected to the detachable mop and can be used for the user to hold the handle using the hand or to clean the rod can be used to adjust the length separately.

또한, 상기 가동부(153)와 접하는 상기 가이드부(154)의 일측은 다른 부분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돌출부(154a)를 가지고 있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154)가 전후로 동작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움직이게 되는데, 최정점에 도달했을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154)와 가동부(153)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 드부(154)에 돌출부(154a)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154 in contact with the movable portion 153 has a protrusion 154a protruding higher than the other portion. The guide part 154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peak point is reached, the guide part 154 is moved to the guide part 154 to prevent the guide part 154 and the movable part 153 from shifting. Protrusions 154a are formed.

또한, 상기 지지부(152) 일측에 상기 받침대(15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절첩이 가능하게 보조 발판(152a)이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옆으로 펼쳐서 발을 사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상기 가동부(153)를 동작시킬 때 탈수통의 무게 중심을 잡아 보다 편리하게 고속회전시킬 수 있고, 탈수통의 중심이 무너져 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ing portion 152 has an auxiliary footrest 152a configured to be folded while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pedestal 151, and stretched sideways as needed, while pressing the movable portion 153 at a predetermined pressure using the foot. When opera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hydration can be grasped and rotated at high speed more conveniently.

상기 손잡이(130)는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단에 각각 연결하여 고정한다. 즉, 상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단에 홀(131)을 갖는 돌출부(132)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30)의 양끝단을 볼록한 형태로 제작하여 후크 체결방식과 같이 상기 홀(131)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The handle 130 i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both upper ends of the main body 110 to be fixed. That is, the protrusions 132 having the holes 131 are formed at both upper ends of the main body 110, and both ends of the handle 130 are formed in a convex shape to form the holes 131 as in the hook fastening method. It is inserted into and fix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100)은 본체(110)가 상기 칸막이(120)에 의해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각각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물걸레의 세척시에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세척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The rotary dewater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eparated so that the main body 110 separates and receives the washing water and the dewatering water by the partition 120, respectively. Therefore, when washing the mop can be washed with clean water can be used more hygienic.

즉, 상기 칸막이(120)에 의해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한 물걸레를 탈수할 때 더러워진 물이 세척용 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물걸레를 세척할 수가 있다.That is, since the water for washing and the water for dehydration are separated by the partition 120, when the used mop is dehydrated, the soiled water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water for washing, and the mop may be washed using clean water.

또한, 상기 구동유닛(150)은 전기나 건전지 등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물걸레의 손잡이봉을 분리한 후 상기 손잡이봉을 상기 지지부(152)의 삽입홀(153a)에 삽입하고 손을 사용하여 지렛대 방식으로 전후로 움직이면서 상기 가이 드부(154)를 직선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부(154)의 직선 운동에 의해 제 1 기어(156) 및 제 2 기어(157)를 회전시키어 상기 탈수통(14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탈수통(140)에 담겨진 물걸레 또는 신발과 같은 세탁물의 탈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unit 150 removes the handle bar of the mop without requiring electricity or a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and then inserts the handle bar into the insertion hole 153a of the support part 152 and uses a hand. To move the guide part 154 linearly while moving back and forth in a lever manner, and rotates the first gear 156 and the second gear 157 by the linear motion of the guide part 154 to form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By rotating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it is possible to easily dewater laundry such as mop or shoes contained i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e unit of 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구동유닛(15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구동유닛(150)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the drive unit 150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so only the driv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150)은 결절구(111)에 삽입 및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151)와, 상기 받침대(151)상의 일측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는 지지부(152)와, 상기 지지부(152)의 사이에 구성되고 상측표면에 손잡이봉이 삽입되는 삽입홀(153a)을 갖고 상기 받침대(151)와 일정한 갭을 갖도록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53b)를 갖으며 상부가 상기 지지부(152)의 양측에 관통하는 고정축(153c)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홀(153a)에 삽입되는 손잡이봉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는 가동부(153)와, 상기 가동부(153)의 하부와 접하고 상기 가동부(153)의 전후 동작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가이드부(154)와, 상기 가이드부(154)가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154)를 수용하고 상기 받침대(151)의 상부 표면에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155)과, 상기 가이드부(154)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154)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베이스(156)와, 상기 회전 베이스(156)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 베이스(156)의 동작에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기어(157)와, 상기 제 1 기어(157)와 하부가 맞물려 상기 제 1 기어(157)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158)와, 상기 제 2 기어(158)의 측면에 상기 제 2 기어(158)와 맞물리고 중심에 상기 탈수통(140)의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탈수통(140)을 회전시키는 제 3 기어(15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driving unit 150 includes a pedestal 151 inserted into the nodule 111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a support part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pedestal 151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152 and an extension part 153b which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part 152 and has an insertion hole 153a into which a handle bar is inserted into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extends downwardly to have a constant gap with the pedestal 151. And an upper portion of which is connected to a fixed shaft 153c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152 and moved back and forth by a handle ro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53a, and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portion 153. A guide portion 154 that is in contact with and linearly moves by the front and rear motion of the movable portion 153, and accommodates the guide portion 154 so that the guide portion 154 moves linearly and is predetermi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51. Guide rail 155 protruding at a height, and the guide portion 15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4) and the rotating base 156 is rotated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guide unit 154,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ase 156 is connected an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base 156 A first gear 157 that rotates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second gear 158 that rotates by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gear 157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157 and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third gear 159 that meshes with the second gear 158 on the side of the second gear 158 and is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at the center thereof to rotate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It is composed.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54)의 복귀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55)의 내부에 스프링(161)이 구성되어 있다.Here, the spring 161 is configured inside the guide rail 155 to smoothly return the guide portion 154.

또한, 상기 가동부(153)와 접하는 상기 가이드부(154)의 일측은 다른 부분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돌출부(154a)를 가지고 있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154)가 전후로 동작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움직이게 되는데, 최정점에 도달했을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154)와 가동부(153)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154)에 돌출부(154a)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154 in contact with the movable portion 153 has a protrusion 154a protruding higher than the other portion. The guide part 154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peak point is reached, the guide part 154 is moved to the guide part 154 to prevent the guide part 154 and the movable part 153 from shifting. Protrusions 154a are formed.

또한, 상기 지지부(152) 일측에 상기 받침대(15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절첩이 가능하게 보조 발판(152a)이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옆으로 펼쳐서 발을 사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상기 가동부(153)를 동작시킬 때 탈수통의 무게 중심을 잡아 보다 편리하게 고속회전시킬 수 있고, 탈수통의 중심이 무너져 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ing portion 152 has an auxiliary footrest 152a configured to be folded while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pedestal 151, and stretched sideways as needed, while pressing the movable portion 153 at a predetermined pressure using the foot. When opera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hydration can be grasped and rotated at high speed more conveniently.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 unit of 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구동유닛(15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구동유닛(150)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의 구동유닛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구동 유닛과 비교하여 별도의 기어를 하나 더 추가하고 있는데, 이는 탈수통의 회전속도를 한층 더 향상시키어 고속 회전을 하기 위해서이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drive unit 150,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ly the drive unit 150. That is, the drive unit of the rotary dehyd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one additional gear as compared to the driv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ich further improv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ehydrator. This is for high speed rota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150)은 결절구(도 1의 111)에 삽입 및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151)와, 상기 받침대(151)상의 일측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는 지지부(152)와, 상기 지지부(152)의 사이에 구성되고 상측표면에 손잡이봉이 삽입되는 삽입홀(153a)을 갖고 상기 받침대(151)와 일정한 갭을 갖도록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53b)를 갖으며 상부가 상기 지지부(152)의 양측에 관통하는 고정축(153c)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홀(153a)에 삽입되는 손잡이봉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는 가동부(153)와, 상기 가동부(153)의 연장부(153b)와 접하고 상기 가동부(153)의 전후 동작에 의해 직선운동하고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톱니형상이 형성된 가이드부(154)와, 상기 가이드부(154)가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154)를 수용하고 상기 받침대(151)의 상부 표면에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155)과, 상기 가이드레일(155)의 일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54)의 톱니형상과 하부가 맞물려 상기 가이드부(154)의 직선운동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기어(156)와, 상기 제 1 기어(156)와 하부가 맞물려 상기 제 1 기어(156)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157)와, 상기 제 2 기어(157)의 측면에 상기 제 2 기어(157)와 맞물리고 중심에 상기 탈수통(140)의 회 전축(142)이 연결되어 상기 탈수통(140)을 회전시키는 제 3 기어(15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unit 150 is a pedestal 151 inserted into the nodule (111 in FIG. 1) and protrudes outwards, and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n the pedestal 151 and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An extension portion 153b which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52 and the support portion 152 and has an insertion hole 153a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has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pedestal 151. A movable part 153 which is connected to a fixed shaft 153c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152 and moved back and forth by a handle ba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53a, and the movable part 153 The guide part 154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art 153b of the guide part and having a linear shape by the front and rear motion of the movable part 153 and having a tooth shap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the guide part so that the guide part 154 moves linearly. An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51 for receiving portions 154 The guide rail 155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guide rail 155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155 and the sawtooth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54 is engaged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guide portion 154 A first gear 156 that rotates in a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second gear 157 that rotates by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gear 156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156 and a lower portion thereof; The third gear 158 which meshes with the second gear 157 on the side of the second gear 157 and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42 of the dewatering tube 140 at the center thereof to rotate the dewatering tube 140. ) Is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54)의 복귀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55)의 내부에 스프링(159)이 구성되어 있다.Here, a spring 159 is configured inside the guide rail 155 to smoothly return the guide part 154.

또한, 상기 가동부(153)와 접하는 상기 가이드부(154)의 일측은 다른 부분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돌출부(154a)를 가지고 있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154)가 전후로 동작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움직이게 되는데, 최정점에 도달했을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154)와 가동부(153)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154)에 돌출부(154a)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154 in contact with the movable portion 153 has a protrusion 154a protruding higher than the other portion. The guide part 154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peak point is reached, the guide part 154 is moved to the guide part 154 to prevent the guide part 154 and the movable part 153 from shifting. Protrusions 154a are formed.

또한, 상기 지지부(152) 일측에 상기 받침대(15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절첩이 가능하게 보조 발판(152a)이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옆으로 펼쳐서 발을 사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상기 가동부(153)를 동작시킬 때 탈수통의 무게 중심을 잡아 보다 편리하게 고속회전시킬 수 있고, 탈수통의 중심이 무너져 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ing portion 152 has an auxiliary footrest 152a configured to be folded while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pedestal 151, and stretched sideways as needed, while pressing the movable portion 153 at a predetermined pressure using the foot. When opera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hydration can be grasped and rotated at high speed more conveniently.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탈수통을 나타낸 사시도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ehydration container of FIG. 6.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탈수통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The rotary dewater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other parts except for the dehydrating container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통(140)의 내부를 분리하도록 탈부착 이 가능한 분리막(160)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6 and 7, the detachable separator 160 is configured to detach the interior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여기서, 상기 분리막(160)은 일자형태 또는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물걸레 또는 신발과 같은 세탁물의 탈수시에 상기 탈수통(140)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하여 설치된다.Here, the separation membrane 16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ght or cross, it is installed to grasp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when the laundry, such as mop or shoes dewatering.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은 탈수통(140)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막(160)을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세탁물을 탈수하는 경우에 상기 탈수통(140)의 회전에 의해 한곳으로 집중되는 상기 탈수통(140)의 무게 중심이 잃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무게 중심을 잡음으로써 상기 탈수통(140)의 회전시에 세탁물의 움직임에 의해 소음이나 기기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rotary dewater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achably separate the separation membrane 160 for separating the dewatering container 140, thereby dehydrating a larger amount of laundr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concentrated in one place by the rotation, and the noise or failure of the device due to the movement of the laundry during the rotation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by holding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뿐만 아니라 상기 탈수통(140)에 신발을 삽입하여 세탁하는 경우에 상기 분리막(160)에 의해 각각 한컬레씩 신발을 삽입하여 탈수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탈수통(140)의 무게 중심을 잡을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oe is inserted into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and washed,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may hol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by inserting the shoes one by one by the separator 160 to proceed with dehydration.

그리고 상기 분리막(160)을 일자형 형태가 아닌 십자형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에 보다 상기 탈수통(140)의 무게 중심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분리막(160)을 다수의 블록으로 분리하여 상기 탈수통(14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membrane 160 is formed in a cross shape instead of a straight shap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can be more smoothly maintained, and the separation membrane 160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의한 구동유닛을 장착하여 탈수통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dewatering canist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driv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o rotate the dehydrating canister.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탈수통(140)을 감싸면서 본체(110)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상부 표면보다 더 돌출되게 신발의 탈수를 위해 보조 탈수통(170)을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다.The rotary dewater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hile surrounding the dehydrating container 140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and is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t is the same except that the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170 is provided for dewatering the shoe to protrude.

즉,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세척 및 탈수용 물통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 구성되어 배면이 구동유닛(150)이 연결되는 탈수통(140)을 감싸면서 상기 탈수통(140)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상기 본체(110)의 내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신발을 탈수하는 보조 탈수통(1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washing and dewatering bucke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is configur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110, the back of the dehydration tank 140 to which the drive unit 150 is connec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ary dehydration container 170 for dehydrating the sho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hile projecting higher than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while wrapping.

여기서, 상기 보조 탈수통(170)은 상기 탈수통(140)의 중앙에 돌출된 볼록부(112)에 체결되어 신발을 각각 분리하여 고정하고 상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구동유닛(15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71)과, 상기 회전축(171)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홀(172)을 갖고 상기 보조 탈수통(170)의 양측을 연결하는 지지수단(17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Here, the auxiliary dehydrator 170 is fastened to the convex portion 112 protruding in the center of the dehydrator 140 to separate and fix the shoes, respectively, and to extend to the top to rotate by the drive unit 150 The rotating shaft 171 and the insertion hole 172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171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means 173 for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auxiliary dehydration tank (170).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에서 탈수통(140)은 그 깊이가 낮아 신발의 탈수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탈수통(140)을 감싸면서 상기 본체(110)보다 더 돌출되게 신발을 내장할 수 있는 보조 탈수통(170)을 상기 본체(110)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신발의 탈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rotary spinner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nneret 140 has a low depth and it is difficult to dehydrate the shoe. Accordingly,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170 that can be built into the shoe so as to protrude more than the main body 110 while surrounding the dehydration container 140 of the first embodiment is detachable to the main body 110. 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facilitate dehydration of the shoe.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 탈수통(170)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하여 상기 회전 축(171)은 다수의 신발 고리(174)가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171)의 회전시 신발을 지지함으로써 무게 중심을 잡을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171 has a plurality of shoe loops 174 is configured to grab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170 can support the center of gravity by supporting the shoe when the rotation shaft 171 is rotated. .

한편, 상기 보조 탈수통(170)은 외부 표면에 볼록부(17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171)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표면에는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볼록부(175)와 오목부(114)가 슬라이딩 체결되어 보조 탈수통(170)과 본체(110)가 고정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170 has a convex portion 17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concave portion 11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ortion 171 The convex portion 175 and the concave portion 114 is slidingly fastened so that the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170 and the main body 110 are fixed.

여기서, 상기 보조 탈수통(170)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본체(110)의 내부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보조 탈수통(170)과 본체(110)를 슬라이딩 체결할 수도 있다.Here, the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170 may be formed with a recess, and a convex part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slid the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170 and the main body 110.

또한, 상기 본체(110)의 배면에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이 배수되도록 배수구(1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122)를 막는 덮개(123)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a drain hole 122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drain the washing water and the dewatering water, and includes a cover 123 that blocks the drain hole 122.

한편, 상기 배수구(122) 및 덮개(123)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세척 및 탈수용 물통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 hole 122 and the cover 123 can be commonly applied in the washing and dewatering bucket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의한 구동유닛을 장착하여 탈수통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driv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o rotate the dehydration contain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조립도2 is an assembled view showing the drive unit of FIG.

도 3은 도 2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unit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 unit of 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의 구동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 unit of 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을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탈수통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of Figure 6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회전 탈수통을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본체 120 : 칸막이110: body 120: partition

130 : 손잡이 140 : 탈수통130: handle 140: dehydration bottle

150 : 구동유닛 160 : 분리막150: drive unit 160: separator

170 : 보조 탈수통170: auxiliary dehydrator

Claims (14)

상부가 개구되며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각각 수용하는 본체와, The main body is opened and receives the washing water and dewatering water, respectively; 상기 본체의 탈수용 물을 수용하는 곳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통과, A dehydration tube installed at a place to receive the dehydration water of the main body to dehydrate the laundry by rotation; 상기 탈수통을 감싸면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표면보다 더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탈수통의 배면 중심에 연결되어 회전축에 신발을 고정하여 탈수하는 보조 탈수통과,An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surrounding the dewatering container, protruding more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rear center of the dewatering container inside to fix and dehydrate the shoe by fixing the shoe to a rotating shaft; 상기 탈수통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지렛대 방식을 통해 상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ewatering container and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rotate the dewatering container through a lever using a user's h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으며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지렛대 방식을 통해 전후로 움직이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연장부와 접하고 상기 가동부의 전후 동작에 의해 직선운동하고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톱니형상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톱니형상과 하부가 맞물려 상기 가이드부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탈수통에 연결되는 제 2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unit has a pedestal, a support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pedestal, and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lever using the user's hand A movable part moving back and forth through the method, a guide part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art of the movable part and linearly moved by the front and rear motion of the movable part, and having a serrated shap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accommodating the guide part so as to linearly move the guide part. A first gear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rail and rotates by a linear motion of the guide part in engagement with the tooth shape and the lower part of the guide part, an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Rot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gear that rotates to be connected to the dehydrator Dehydration barr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으며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지렛대 방식을 통해 전후로 움직이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연장부와 접하고 상기 가동부의 전후 동작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베이스와, 상기 회전 베이스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 베이스의 동작에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하부가 맞물려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의 측면에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고 중심에 상기 탈수통이 연결되어 상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제 3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unit has a pedestal, a support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pedestal, and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lever using the user's hand A movable part moving back and forth through the system, a guide part contacting the extension part of the movable part and linearly moving by the front and rear motion of the movable part, a guide rail accommodating the guide part to linearly move the guide part, and one side above the guide part. Rotation base is connected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guide portion, the first gea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ase and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base, and the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rotated by a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gear in engagemen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ear; This is the dehydration tube connected to the first center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to the rotation plane dehyd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constituted by a third gear for rotating the dewatering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으며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지렛대 방식을 통해 전후로 움직이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연장부와 접하고 상기 가동부의 전후 동작에 의해 직선운동하고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톱니형상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톱니형상과 하부가 맞물려 상기 가이드부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하부가 맞물려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의 측면에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고 중심에 상기 탈수통이 연결되어 상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제 3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unit has a pedestal, a support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pedestal, and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lever using the user's hand A movable part moving back and forth through the method, a guide part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art of the movable part and linearly moved by the front and rear motion of the movable part, and having a serrated shap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accommodating the guide part so as to linearly move the guide part. A first gear,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rail and rotates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guide part by engaging the tooth shape and the lower part of the guide part, rotates the first gear by engaging the first gear and the lower part. Meshes with the second gear that rotates by movement, and the second gear on the side of the second gear; Is the dewatering tube is connected to a rotating dewatering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tituted by a third gear for rotating the dewatering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탈수통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The rotary dewater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parator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ewatering container and separating the dewatering container into a plurality of areas. 제 2 항 내지 제 4 항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복귀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 구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5. The rotary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further comprising a spring configured inside the guide rail to facilitate the return of the guide part. 제 2 항 내지 제 4 항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은 다른 부분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5. The rotary spinner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ovable portion ha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higher than the other portion. 제 2 항 내지 제 4 항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일측에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한쪽 발을 사용하여 상기 탈수통의 회전시 상기 탈수통의 중심을 잡아주는 보조 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 The auxiliary scaffol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ich is configured to be fol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to hold the center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when the dehydration container is rotated by using one foot of the user as needed. Rotating dehydrato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각각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The rotating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ain hole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dewatering wat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 2 항 내지 제 4 항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측표면에 손잡이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받침대와 일정한 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 5. The rotary spinner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movable part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handle bar is inserted into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extension part has a constant gap with the pedest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 탈수통은 슬라이딩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spinneret, the rotary spinner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fastening fix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탈수통은 상기 탈수통에 연결되어 신발을 각각 분리하여 고정하고 상부까지 연장되어 구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고 상기 보조 탈수통의 양측을 연결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dehydration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dehydration canister and each of the shoes to separate and secure and exten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both sides of the auxiliary dehydration canister Rotating dehydra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means for connect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양측면을 포함하여 배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세척용 물과 탈수용 물을 각각 분리하는 칸막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통. The rotating dewater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which includes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extends to the rear surface to separate the washing water and the dewatering water, respectively.
KR1020090118943A 2009-12-03 2009-12-03 a rotation drying machinefer case KR1010995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943A KR101099574B1 (en) 2009-12-03 2009-12-03 a rotation drying machinefer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943A KR101099574B1 (en) 2009-12-03 2009-12-03 a rotation drying machinefer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273A KR20110062273A (en) 2011-06-10
KR101099574B1 true KR101099574B1 (en) 2011-12-28

Family

ID=4439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943A KR101099574B1 (en) 2009-12-03 2009-12-03 a rotation drying machinefer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57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145Y1 (en) * 1998-09-22 2000-12-01 이병호 Handle dustcloth cleans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145Y1 (en) * 1998-09-22 2000-12-01 이병호 Handle dustcloth clea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273A (en)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3539B2 (en) Washing machine
KR200403071Y1 (en)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200441509Y1 (en) Cleaner
KR101099574B1 (en) a rotation drying machinefer case
JP2013138849A (en) Cleaning mop and its washing bucket
KR20110096747A (en) Urethan sponge roller cleaner
KR101061834B1 (en) Washing and Dewatering Bucket
CN105942941A (en) Easy-to-clean assembled mop set
KR100477380B1 (en) Cloth Cleaner
KR100883551B1 (en) A push stick for a cleaning
KR20020094970A (en) Wet floorcloth cleaner for exhaust water steam
KR101178899B1 (en) Vibration structure of a dehydration device
KR20120073425A (en) Brush for cleaning and cleaning apparatus thereof
US20070240270A1 (en) Device for Cleaning Floors and Similar Surfaces
KR20090118239A (en) Cleaner for wet floor cloth
KR200252410Y1 (en) Dustcloth washing device
KR200234737Y1 (en) apparatus for cleaning floorcloth provided with cleaning chamber
CN215305622U (en) Rotary mop bucket with detachable clear water bucket unit
CN215937288U (en) Shoe washing machine
KR200326047Y1 (en) Medical Shampoo Bowl
KR200349930Y1 (en) Mop cleaner
KR850001914Y1 (en) Mop
KR100512065B1 (en) A automobile cleaner
KR100777418B1 (en)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CN201506920U (en) Washing, spin-drying and drain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