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394B1 - Led 다운라이트 - Google Patents

Led 다운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394B1
KR101099394B1 KR1020100039563A KR20100039563A KR101099394B1 KR 101099394 B1 KR101099394 B1 KR 101099394B1 KR 1020100039563 A KR1020100039563 A KR 1020100039563A KR 20100039563 A KR20100039563 A KR 20100039563A KR 101099394 B1 KR101099394 B1 KR 101099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array
power
power input
enclosure cas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060A (ko
Inventor
김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립인텍스
(주)에스티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립인텍스, (주)에스티와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립인텍스
Priority to KR102010003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39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와,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부온도계수 온도보상저항과, 교류 전원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어 과전압 차단하는 바리스터와,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정류기와, 브리지 정류기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과도 전압을 억제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와, 브리지 정류기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되어 브리지 정류기에 의해 전파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 노이즈를 제거하는 커패시터와, 노이즈 제거용 커패시터에 직렬 연결되고, 노이즈 제거용 커패시터에 의해 안정화된 직류 전원의 전압을 분배하는 저항과, 저항에 직렬 연결되고, LED 어레이로 정전류를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정전류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LED 다운라이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소한의 부피 및 미려하고 유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수명을 보다 연장할 수 있으며, 소자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센서에 의해서 LED 어레이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역률의 회로부를 구성할 수 있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LED 다운라이트{Light Emitting Diode DownLight}
본 발명은 실내 천장에 매입되거나 부착되어 설치되는 LED 다운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부피 및 미려하고 유려한 외관을 갖으며, 수명을 보다 연장하며, 소자의 수를 최소화하며, 센서에 의해서 LED 어레이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며, 고 역률의 회로부를 구성하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LED 다운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할로겐등 또는 백열등의 높은 전력소비 및 짧은 수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ED를 적용한 실내 조명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LED를 적용한 조명기구, 예컨대 LED 다운라이트는,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회로부와, 회로부가 내설되고 천장에 고정되는 외함 케이스와, 외함 케이스와 결합하고 LED 어레이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확산하여 조사하는 렌즈가 형성되는 렌즈 커버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전술한 구성의 LED 다운라이트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사용하여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LED 어레이를 구동하므로 LED 다운라이트의 부피를 실내등으로서 최적화하기 어려우며, 전해 커패시터를 사용하므로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회로부의 수명이 현저히 짧으며, 커패시터와 저항만으로 회로부를 구성한 회로는 고 역률의 회로부를 구성할 수 없어서 소비 전력이 상당히 높아지고, 외함 케이스와 렌즈 커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않아서 제조 시간이 길어지고 내부 구성 요소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LED 다운라이트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한의 부피 및 미려하고 유려한 외관을 갖으며, 수명을 보다 연장하며, 소자의 수를 최소화하며, 센서에 의해서 LED 어레이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며, 고 역률의 회로부를 구성하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LED 다운라이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LED 다운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와, 상기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부온도계수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교류 전원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어 과전압 차단하는 바리스터와, 상기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정류기와, 상기 브리지 정류기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과도 전압을 억제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와, 상기 브리지 정류기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되어 상기 브리지 정류기에 의해 전파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 노이즈를 제거하는 커패시터와, 상기 커패시터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에 의해 리플 노이즈가 제거된 직류 전원의 전압을 분배하는 저항과, 상기 저항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LED 어레이로 정전류를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정전류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LED 다운라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다운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광 센서와, 상기 LED 어레이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주변 영역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레이의 최종단의 음극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조광 센서 및 상기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전류에 의해서 상기 LED 어레이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다운라이트에 있어서,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상기 회로부가 고정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의 방열구가 형성되는 외함 케이스와, 상기 회로부 및 상기 외함 케이스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로부를 상기 외함 케이스의 상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상기 회로부의 LED 어레이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방열 접착제와, 상기 회로부의 LED 어레이로부터의 광을 확산하여 외부로 조사하는 렌즈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함 케이스에 대향하여 결합 형성되고, 상기 렌즈를 내부 공간에 고정하도록 하는 안착부 및 다수의 렌즈 고정편이 내향하여 돌출 형성된 렌즈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다운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외함 케이스의 상면에는 다수의 고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 및 상기 방열 접착제에는 상기 고정 홀에 상응하여 관통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 및 상기 고정 홀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일단에 결합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천장 부착 고정부재에 의해서, 상기 외함 케이스를 천장에 부착 고정하거나, 상기 렌즈 커버의 하단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림이 형성되고, 상기 외함 케이스의 측면에 개구되어 대향하여 돌출 형성된 스프링 고정핀, 상기 스프링 고정핀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양단에 결합되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는 천장 매입 고정부재에 의해서, 상기 림과 상기 걸림 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천장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압착하여 상기 외함 케이스를 천장에 매입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다운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의 측면에는 내향하여 만곡된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함 케이스의 측면 내주연에는 상기 렌즈 커버의 결합 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판 스프링이 고정 형성되어, 상기 외함 케이스와 상기 렌즈 커버가 상기 판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SMPS를 사용하지 않고, 교류 전원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직접 입력받아 LED 어레이를 구동할 수 있어서, LED 다운라이트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미려하고 유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 커패시터를 사용하지 않아서 회로부의 수명을 보다 연장할 수 있고, 회로부를 구성하는 소자의 수를 현저히 줄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 역률의 회로부를 구성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광 센서 및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서, LED 어레이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판 스프링이 렌즈 커버의 결합 홈에 탄성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외함 케이스와 렌즈 커버의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내부 구성 요소의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다운라이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LED 다운라이트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LED 다운라이트의 천장 매입 고정부재 및 판 스프링을 확대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LED 다운라이트의 회로부를 구현한 회로도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실시예 중에서,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LED 다운라이트(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다운라이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LED 다운라이트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LED 다운라이트의 천장 매입 고정부재 및 판 스프링을 확대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LED 다운라이트의 회로부를 구현한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LED 다운라이트(100)는, 광을 조사하는 LED 어레이(119)를 구동하는 회로부(110)와, 회로부(110)가 내설되는 외함 케이스(120)와, 회로부(110)를 외함 케이스(120)에 고정하는 방열 접착제(130)와, LED 어레이(119)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렌즈(140)와, 렌즈(140)를 고정하는 렌즈 커버(150)를 포함한다.
우선, 회로부(110)는 외부의 교류 전원부(10)로부터 교류 전원 입력단(111)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최종적으로 LED 어레이(119)를 구동하여 LED 어레이(119)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회로부(110)는, 교류 전원부(10)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 교류 전원 입력단(111)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교류 전원 입력단(111)으로 입력되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fuse)(112)와, 교류 전원 입력단(111)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교류 전원 입력단(111)으로 입력되는 돌입 전류(inrush current)를 제한하는 부온도계수(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온도보상저항(thermister)(113)과, 교류 전원 입력단(111)에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과전압 차단하는 바리스터(varistor)(114)와, 교류 전원 입력단(111)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정류기(bridge rectifier)(115)와, 브리지 정류기(115)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과도 전압을 억제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 Transient Voltage Suppressor)(116)와, 브리지 정류기(115)의 양극(anode)(115-1) 및 음극(cathode)(1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브리지 정류기(115)에 의해 전파 정류된 전원의 리플 노이즈(ripple noise)를 제거하는 커패시터(smoothing capacitor)(117)와, 노이즈 제거용 커패시터(117)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노이즈 제거용 커패시터(117)에 의해 안정화된 직류 전원의 전압을 일정 비율로 분배하는 저항(R)과, 저항(R)에 직렬 연결되고, LED 어레이(119)로 정전류를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정전류 다이오드(CRD; Current regurative Diode)(11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부온도계수 온도보상저항(113)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는 저항값이 커지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저항값이 감소하는 특성에 의하여, 교류 전원부(10)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될 때 상대적으로 큰 부온도계수 온도보상저항(113)의 저항에 의해서 돌입 전류를 제한하게 된다. 또한, 바리스터(114)는 서지(surge) 전압을 차단하여, 서지 전압에 의한 회로부(110)의 손상 또는 오작동을 차단한다. 또한, 과도 전압 억제 소자(116)에 있어서, 과도 현상에 의해서 과도 전압이 발생하면, 과도 전압 억제 소자(116)의 임피던스(impedance)가 낮아져서, 과도 전압이 과도 전압 억제 소자(116)로 우회되므로, 과도 전압을 안정적인 일정 전압인 제한 전압(clamping voltage)으로 제한시킨다. 또한, 정전류 다이오드(118)는 입력 전압 또는 부하와 무관하게 펄스형태로 전류를 일정하게 LED 어레이(119)로 공급하는데, 정전류 다이오드를 대체하여 트랜지스터(TR) 또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가 LED 어레이(119)로의 정전류 공급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LED 어레이(119)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 LED 어레이(119)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회로부(110)는, LED 어레이(119)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광 센서(161)와, LED 어레이(119)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변 영역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16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레이(119)의 최종단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조광 센서(161) 및 인체 감지 센서(162)에 의해 감지되는 전류에 의해서 LED 어레이(119)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칭 소자(163)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조광 센서(161) 및 인체 감지 센서(162)의 출력 전압은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게이트(gate) 전압이 되어서, 주변이 어두울 때 사용자가 감지되면, 조광 센서(161) 및 인체 감지 센서(162)로부터 일정 크기의 출력 전압이 출력되어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스(source)로부터 드레인(drain)으로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LED 어레이(119)가 구동되므로, 사용자의 직접적인 온-오프 제어 없이, 조광 센서(161) 및 인체 감지 센서(162)에 의해서 LED 어레이(119)로부터 광이 주변 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주변이 밝거나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전기적으로 단선되므로(open), LED 어레이(119)가 구동되지 않아서 LED 어레이(119)로부터 광이 조사되지 않는다.
여기서, 조광 센서(161)는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광량을 감지하는데,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하면 전기 저항이 감소하고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하면 전기 저항이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 CdS(황화카드뮴)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소자(163)는 조광 센서(161)에 의해서 감지된 광량에 의해서 LED 어레이(119)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회로부(110)의 구성에 의해서, SMPS를 사용하지 않고, 교류 전원부(10)로부터 교류 전원을 직접 입력받아 LED 어레이(119)를 구동할 수 있어서, 실내 공간에 적합하게 최적화하여 LED 다운라이트(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미려하고 유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해 커패시터를 사용하지 않아서 회로부(110)의 수명을 보다 연장할 수 있고, 회로부(110)를 구성하는 소자(element)의 수를 현저히 줄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조광 센서(161) 및 인체 감지 센서(162)에 의해서 LED 어레이(119)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고 역률(power factor)의 회로부(110)를 구성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회로부(110)를 구비하여 실내 천장(20)에 매입 설치되거나 부착 설치되는 LED 다운 라이트(100)의 구성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함 케이스(120)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PCB 기판으로 구현된 회로부(110)가 고정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방열구(121)가 일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방열구(121)는 다수의 개구부로 형성되어 회로부(110)의 LED 어레이(119)의 구동시 발생하는 필요 이상의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열하여 과도한 온도 상승에 의한 회로부(110)의 손상 또는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다음, 방열 접착제(130)는 회로부(110)와 외함 케이스(12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회로부(110)를 외함 케이스(120)의 상면 하측에 접착 고정시키고, 회로부(110)의 LED 어레이(119)의 구동시 발생하는 필요 이상의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발산한다.
다음, 렌즈(lens)(140)는 회로부(110)의 LED 어레이(119)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확산하면서 조사할 수 있고, 사용자의 과도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렌즈 커버(15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함 케이스(120)에 대향하여 결합 형성되고, 렌즈 커버(150)에는 렌즈(140)를 내부 공간에 고정하도록 하는 안착부(151) 및 다수의 렌즈 고정편(152)이 내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즉, 렌즈 고정편(152) 상측으로부터 렌즈(140)가 경사져 삽입되어 안착부(151)에 렌즈(140)의 테두리가 안착되고, 렌즈 고정편(152)에 의해서 렌즈(140)가 렌즈 커버(150)에 안정적으로 고정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의 LED 다운라이트(100)는 천장 부착 고정부재(170)에 의해서 천장(20)에 부착되어 고정 형성되거나, 천장 매입 고정부재(180)에 의해서 천장(20)에 매입되어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첫 번째, LED 다운라이트(100)가 천장(20)에 부착 고정되는 예에 있어서, 외함 케이스(120)의 상면에는 다수의 고정 홀(122)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회로부(110) 및 방열 접착제(130)에는 고정 홀(122)에 상응하여 개구된 관통 홀(110-1,131)이 각각 형성되며, 관통 홀(110-1,131) 및 고정 홀(122)을 관통하는 볼트(171) 및 볼트(171)의 일단에 결합하는 너트(172)로 이루어지는 천장 부착 고정부재(170)에 의해서, 외함 케이스(120)가 천장(2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두 번째, LED 다운라이트(100)가 천장(20)에 매입 고정되는 예에 있어서, 외함 케이스(120)의 측면에 개구되어 대향하여 돌출 형성된 스프링 고정핀(181), 스프링 고정핀(181)에 양단이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스프링(182), 및 스프링(182)의 양단에 결합되는 걸림 돌기(183)로 이루어지는 천장 매입 고정부재(180)에 의해서, 걸림 돌기(183)는 천장(20)에 매입된 외함 케이스(120)를 천장(20)에 탄성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렌즈 커버(150)의 하단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림(rim)(153)이 형성되고, 림(153)과 걸림 돌기(183) 사이에 개재되는 천장(20)은스프링(182)의 탄성력에 의해서 압착되어 외함 케이스(120)가 천장(2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매입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렌즈 커버(150)의 측면에는 내향하여 만곡된 결합 홈(154)이 형성되고, 외함 케이스(120)의 측면 내주연에는 렌즈 커버(150)의 결합 홈(154)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판 스프링(123)이 고정 형성되어, 외함 케이스(120)와 렌즈 커버(150)가 판 스프링(123)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상호 결합되거나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판 스프링(123)의 일단은 외함 케이스(120)의 측면 내주연에 고정 형성되고, 판 스프링(123)의 타단은 외함 케이스(120)의 측면 내주연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서, 판 스프링(123)이 렌즈 커버(150)의 결합 홈(154)에 탄성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외함 케이스(120)와 렌즈 커버(150)의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여 LED 다운라이트(100)의 제조 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수 있고, 내부 구성 요소의 수리 및 교체도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LED 다운라이트 110 : 회로부
111 : 교류 전원 입력단 112 : 퓨즈
113 : 부온도계수 온도보상저항 114 : 바리스터
115 : 브리지 정류기 115-1 : 양극
115-2 : 음극 116 : 과도 전압 억제 소자
117 : 커패시터 118 : 정전류 다이오드
119 : LED 어레이 R : 저항
110-1 : 관통 홀 120 : 외함 케이스
121 : 방열구 122 : 고정 홀
123 : 판 스프링 130 : 방열 접착제
131 : 관통 홀 140 : 렌즈
150 : 렌즈 커버 151 : 안착부
152 : 렌즈 고정편 153 : 림
154 : 결합 홈 161 : 조광 센서
162 : 인체 감지 센서 163 : 스위칭 소자
170 : 천장 부착 고정부재 171 : 볼트
172 : 너트 180 : 천장 매입 고정부재
181 : 스프링 고정핀 182 : 스프링
183 : 걸림 돌기 10 : 교류 전원부
20 : 천장

Claims (5)

  1.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LED 다운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와,
    상기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부온도계수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교류 전원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어 과전압 차단하는 바리스터와,
    상기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정류기와,
    상기 브리지 정류기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과도 전압을 억제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와,
    상기 브리지 정류기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되어 상기 브리지 정류기에 의해 전파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 노이즈를 제거하는 커패시터와,
    상기 노이즈 제거용 커패시터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 제거용 커패시터에 의해 안정화된 직류 전원의 전압을 분배하는 저항과,
    상기 저항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LED 어레이로 정전류를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정전류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를 구비하며;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상기 회로부가 고정 형성되고, 측면에 각각 다수의 개구부로 형성된 다수의 방열구가 형성되는 외함 케이스와,
    상기 회로부 및 상기 외함 케이스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로부를 상기 외함 케이스의 상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상기 회로부의 LED 어레이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방열 접착제와,
    상기 회로부의 LED 어레이로부터의 광을 확산하여 외부로 조사하는 렌즈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함 케이스에 대향하여 결합 형성되고, 상기 렌즈를 내부 공간에 고정하도록 하는 안착부 및 다수의 렌즈 고정편이 내향하여 돌출 형성된 렌즈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함 케이스의 상면에는 다수의 고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 및 상기 방열 접착제에는 상기 고정 홀에 상응하여 관통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 및 상기 고정 홀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일단에 결합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천장 부착 고정부재에 의해서, 상기 외함 케이스를 천장에 부착 고정하거나,
    상기 렌즈 커버의 하단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림이 형성되고, 상기 외함 케이스의 측면에 개구되어 대향하여 돌출 형성된 스프링 고정핀, 상기 스프링 고정핀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양단에 결합되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는 천장 매입 고정부재에 의해서, 상기 림과 상기 걸림 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천장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압착하여 상기 외함 케이스를 천장에 매입 고정시키는 LED 다운라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광 센서와,
    상기 LED 어레이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주변 영역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레이의 최종단의 음극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조광 센서 및 상기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전류에 의해서 상기 LED 어레이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다운라이트.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의 측면에는 내향하여 만곡된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함 케이스의 측면 내주연에는 상기 렌즈 커버의 결합 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판 스프링이 고정 형성되어, 상기 외함 케이스와 상기 렌즈 커버가 상기 판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다운라이트.
KR1020100039563A 2010-04-28 2010-04-28 Led 다운라이트 KR10109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63A KR101099394B1 (ko) 2010-04-28 2010-04-28 Led 다운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63A KR101099394B1 (ko) 2010-04-28 2010-04-28 Led 다운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060A KR20110120060A (ko) 2011-11-03
KR101099394B1 true KR101099394B1 (ko) 2011-12-28

Family

ID=4539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563A KR101099394B1 (ko) 2010-04-28 2010-04-28 Led 다운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000B1 (ko) * 2012-05-08 2014-01-09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반도체 조명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391976B1 (ko) * 2012-06-01 2014-05-15 루미리치 주식회사 다중 안전성을 확보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1461151B1 (ko) * 2013-10-21 2014-11-12 주식회사 현주아이디씨 엘이디 전원 전류 제어장치
KR20160106431A (ko) *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 이츠웰 정전류 칩을 내장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모듈
KR101895979B1 (ko) * 2018-03-28 2018-09-06 현영길 Led칩 일체형 기판을 구비한 led 등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01Y1 (ko) * 2006-03-02 2006-05-24 (주)대성피앤에스 조명기기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01Y1 (ko) * 2006-03-02 2006-05-24 (주)대성피앤에스 조명기기의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060A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054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NL1037810C2 (en) Tubeless light-emitting diode based lighting device.
US10681782B2 (en) Dimmable universal voltage LED power supply with regenerating power source circuitry and non-isolated load
TWI592608B (zh) 包含固態光發射器的發光裝置
US8076856B2 (en) LED lamp
US8593044B2 (en) Modular architecture for sealed LED light engines
KR100820942B1 (ko) 엘이디 조명등
WO2008137618A1 (en) Led-based lighting fixtures for surface illumination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and manufacturability
KR101099394B1 (ko) Led 다운라이트
EP2180765B1 (en)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JP5447969B2 (ja) Led点灯装置およびled照明器具
JP2011049527A (ja) Led照明装置
KR200453761Y1 (ko) 나사결합식 led 조명등
US20150382417A1 (en) Universal Voltage LED Power Supply with Regenerating Power Source Circuitry, Non-Isolated Load, and 0-10V Dimming Circuit
US10091859B2 (en) Power supply with microcontroller for circuit protection
KR101462645B1 (ko) 스마트 드라이버를 이용한 led 시스템 조명장치
KR100847872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0847875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0951476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KR20160072607A (ko) 엘이디 조명장치
US8653734B2 (en) Light emitting device
JP5087175B2 (ja) Led照明器具
CN218954684U (zh) 用于高天井灯具的灯具电源和高天井灯具
KR102410565B1 (ko) 디밍을 이용한 led모듈 실외조명등기구
KR101407687B1 (ko) 방열 효과가 뛰어난 대형 led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