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216B1 - Toilet Door - Google Patents

Toilet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216B1
KR101097216B1 KR1020090048671A KR20090048671A KR101097216B1 KR 101097216 B1 KR101097216 B1 KR 101097216B1 KR 1020090048671 A KR1020090048671 A KR 1020090048671A KR 20090048671 A KR20090048671 A KR 20090048671A KR 101097216 B1 KR101097216 B1 KR 10109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public toilet
toile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30024A (en
Inventor
신희경
Original Assignee
신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희경 filed Critical 신희경
Priority to KR102009004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216B1/en
Publication of KR2010013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rest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외부와 내부를 차단시켜 줌으로써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용 문에 관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칸막이에 회전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문, 상기 문의 내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blic toilet door that can be used comfortably by blocking the outside and the interior to the user using a public toilet, the door is installed to rotate opening and closing in the partition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movab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ing plate to be installed.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문과 칸막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를 간편하게 차단시킬 수 있고, 틈새가 차단됨으로써 화장실 이용자가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화장실 이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block the gap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partition, and the gap is blocked, the toilet user can maintain personal privacy,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using the toilet.

또 본 발명은 문의 비틀림 또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경사면과 경사부가 서로 탈착됨에 따라 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차단판의 원활한 이동으로 틈새 차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oor is twisted or deformed,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inclined portion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oor is smoothly opened and closed, and the gap is easily blocked by the smooth movement of the blocking plate.

공중화장실, 문, 차단판, 프레임, 잠금구, 고정구 Public toilet, door, blocking plate, frame, lock, fixture

Description

공중화장실용 문{Toilet Door}Public toilet door {Toilet Door}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실 전면에 설치되는 공중화장실용 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blic toilet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blic toilet door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toilet to use the toilet installed in the public toilet.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은 공공시민이나 보호자 혹은 고객들을 위해서 용변을 볼 수 있게 설치한 화장실이다. 이러한 공중화장실은 공공 시설이므로 최소한 변기와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큰 규모의 공중화장실은 목욕 시설이나 샤워 혹은 탈의실이나 아기들을 위한 공간도 있다.In general, public toilets are toilets installed for public citizens, guardians or customers to see the toilet. Since these public toilets are public facilities, at least toilets and sinks should be installed. Large public toilets also have bathing facilities, showers, changing rooms, and spaces for babies.

공중화장실은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빌딩의 일부분으로서 지하철, 학교, 주유소 등에 설치된다. 공중화장실은 보통 고정되어 있지만, 소형 이동 화장실이나 더 큰 이동 화장실은 이동 빌딩에 만들어진다.Public toilets are installed alone or as part of a building, such as subways, schools, gas stations, etc. Public toilets are usually fixed, but small or larger toilets are built in mobile buildings.

공중화장실은 보통 성별에 의해서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나누어지지만 어떤 곳은 남녀공용이거나 1인용도 있다. 남성용과 여성용 모두 두 구간이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많은 남성용 화장실은 소변기가 있고, 장애인 화장실도 별도로 설치되 어 있다.Public toilets are usually divided into men's and women's by gender, but some are unisex or single. Both men and women often have two sections. Many men's restrooms have urinals and separate restrooms are available.

이와 같은 공중화장실에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변기가 설치된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가 고정되어 있으며, 칸막이와 칸막이 사이 즉, 칸막이 전면에는 이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문이 설치되어 있다.In such a public toilet, a partition for dividing a space where a toilet is installed for multiple people to use at the same time is fixed, and a door is installed between the partition and the partition, that is, the front of the partition to allow a user to enter and exit.

상기 문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화장실 내부에 이용자가 있는 경우 외부에서 다른 이용자가 문을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The door is rotated about the hing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re is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another user from opening the door when there is a user inside the toilet.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573908호에 '문틀 및 복원력을 갖는 화장실 도어'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a 내지 도1c에 도시하였다.Meanwhi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573908 discloses a toilet door having a door frame and a restoring force, which is illustrated in FIGS. 1A to 1C.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화장실 도어에는 출입측의 양측에 설치된 각각의 측판(15)과 상기 측판(15)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전방 측에서 밀치면서 내측으로 출입되는 도어(11)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1a to Figure 1c, the toilet door of the prior art is installed between each side plate 15 and the side plate 15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side is pushed inwards while the user pushes from the front side The door 11 is comprised.

아울러 출입구 상측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도어(11) 양측의 측판(15)과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도어(11) 상부 일측에 설치된 힌지바(17)와 수평프레임(21)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oor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ve the door 11 is fixed to the side plate 15 on both sides of the door 11 and the hinge bar 17 and the horizontal frame 21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11 is hinged.

또 상기 수평프레임(21)에 상단부가 고정되며, 하단부는 바닥면에 고정된 베이스(65)에 안착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 지지되고, 상기 도어(11)에 인접한 측판(15)의 일측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측이 개구(60a)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체(6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21,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base 65 fixed to the bottom surface is fixed and supported by a fixing screw, one side of the side plate 15 adjacent to the door 11 is fitted One side is formed with an opening 60a to be fixed, and the support 6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지체(60)의 하부 일측면에 그 일측이 고정되며 하방 만곡되게 형성된 지지암(45)과 이 지지암(45)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지지관(51)에 상기 도어(11)의 일측 하단이 힌지 결합 지지되어 구성되며, 일정한 열림각도를 유지하는 열림각도 조절장치부(50)가 구비되어 있다.One side lower end of the door 1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60 and the support arm 45 formed to be curved downward and the rotation support tube 51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arm 45. The hinge is coupled and supported,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gle adjusting device unit 50 for maintaining a constant opening angle.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화장실 도어는 지지체(6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도어(11)가 열림각도 조절장치부(50)에 의해 다수의 도어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공중화장실에서 미 사용시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toilet door of the prior art maintains an open state when not in use in a public toilet in which a plurality of doors are continuously installed by the opening angle adjusting unit 50 having the door 11 fixed to the support 60. do.

이러한 화장실 도어는 힌지바와 열림각도 조절장치부에 의하여 도어가 회전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되므로, 측판과 도어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Since the toilet door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while the door is rotated by the hinge bar and the opening angle adjusting unit, the side plate and the door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렇게 측판과 도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에서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있는 경우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대기자가 내부를 들여다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화장실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는 외부 대기자가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어 공중화장실의 사용을 꺼리게 된다.Sinc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ide plate and the door, when there are users who use the toilet inside, there is a case where the waiting person who wants to use the toilet looks into the interior, and the user who uses the toilet looks into the outside waiting room. You will be reluctant to use public toilets.

따라서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내부에서 편안하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개인적인 프라이버시 또는 여성들에게는 불쾌감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using the toilet is not comfortable to use inside, causing personal privacy or discomfort to women.

또 화장실 도어는 장기간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므로 힌지바와 열림각도 조절장치부의 마모 또는 비틀림 등에 의하여 도어 자체가 비틀어지게 되고, 이렇게 비틀어진 화장실 도어는 측판과 서로 일치되지 않아 틈새가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toilet door is used for a long time, the door itself is twisted due to wear or twist of the hinge bar and the opening angle adjusting device, and the toilet door that is twisted does not coincide with the side plate so that the gap becomes larger. .

또한 화장실 도어가 비틀어짐에 따라 잠금장치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어 잠금장치가 잠금 또는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the toilet door is twisted, the position of the locking device is change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locking device is not smoothly locked or rel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중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외부와 내부를 차단시켜 줌으로써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blic toilet door that can be used comfortably by blocking the outside and the interior to the user using the public toile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 문을 닫는 동작에 의해 문과 칸막이 사이의 틈새가 간편하게 차단되는 공중화장실용 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blic toilet door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partition is easily blocked by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toilet do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 내부에서 화장실을 문을 닫아주게 되면 외부에서 이용자가 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blic toilet door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grasp that the user is located outside when the bathroom is clo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칸막이에 회전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문, 상기 문의 내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문 내측면에는 상기 차단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는 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that is installed to rotate open and close in a parti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blocking plate that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inner side has the The fixing frame is fix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so that the blocking plate is not separated, and the frame is fix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frame to the partition, and the frame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that becomes narrower from one surface to an inner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at.

삭제delete

상기 칸막이에는 고정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rt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ture is fixed.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고정구에 탈착되는 잠금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 is detachable to the fixture.

상기 잠금구에는 손잡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ixed.

상기 문 전면에는 가림판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of th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struction plate is fixed.

상기 가림판에는 일면에 내측으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inward on one surface and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가림판의 수용부에는 상기 잠금구와 함께 이동되는 안내판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plate to be moved together with the lock is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screen.

상기 차단판에는 그 상면과 하면에 바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경사부에는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lin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inside.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바퀴가 수용되는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groove is accommodated the wheel is formed.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상기 경사면에는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one sid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문과 칸막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를 간편하게 차 단시킬 수 있고, 틈새가 차단됨으로써 화장실 이용자가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화장실 이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block the gap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partition, the gap is blocked by the toilet user can maintain a personal privacy,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using the toilet.

또 본 발명은 문의 비틀림 또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경사면과 경사부가 서로 탈착됨에 따라 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차단판의 원활한 이동으로 틈새 차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oor is twisted or deformed,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inclined portion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oor is smoothly opened and closed, and the gap is easily blocked by the smooth movement of the blocking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을 내부에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을 외부에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inside,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outside, and FIG.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the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은 서로 떨어져 있는 칸막이(11) 사이에 설치되는 문(10)과 상기 문(10)과 칸막이(11)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키는 차단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2 to 6, the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the gap between the door 10 and the door 10 and the partition 11 is installed between the partition 11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made to include a blocking plate (30).

상기 칸막이(11)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 이용자가 자유로이 활동할 수 있도록 적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며, 칸막이(1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수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artition 11 is separated by an appropriate distance so as to secure a separate space so that the user can freely act. The partition 11 is firmly vertical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synthetic resin. Is fixed.

이러한 칸막이(11)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변기(미도시됨)의 좌우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되고, 변기의 전면에도 칸막이(11)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전면에 고정되는 칸막이(11)는 문(10)이 설치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The partition 11 is fixed vertical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toilet (not shown) to secure a space, the partition 11 is fixed vertically to the front of the toilet, the partition 11 is fixed to the front It is separated by the distance at which the door 10 is installed.

아울러 칸막이(11) 사이에는 이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문(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문(10) 일측에는 힌지 또는 경첩 등의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11) between the door 10 is rotatably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enter and exit, one side of the door 1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eans such as a hinge or a hinge.

이러한 회전수단은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rotating means uses a conventional on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 문(10) 내면에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 프레임(12)이 고정되어 있고, 이들 고정 프레임(12)과 대응되는 칸막이(11)에는 프레임(17)이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to 4, the fixing frame 12 is fix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door 10, and the partition 11 corresponding to the fixing frame 12 is connected to the frame 17. ) Is fixed.

이러한 고정 프레임(12)과 프레임(17)은 용접 또는 볼트 고정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The fixing frame 12 and the frame 17 are fix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or firmly fix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또한 고정 프레임(12)은 적정 길이를 가지며, 고정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에는 이동홈(13)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 프레임(12) 일측에는 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xed frame 12 has an appropriate length, the moving groove 13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12, the inclined surface 1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frame 12.

상기 경사면(14) 끝단에는 상하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11)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17)에는 고정 프레임(12)의 경사면(14)과 대응되는 경사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18)에는 걸림돌기(15)와 대응되는 걸림홈(19)이 형성되어 있다.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14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15 protruding up and down, the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14 of the fixed frame 12 to the frame 17 fixed to the partition 11 The part 18 is formed, and the inclined part 18 is formed with a catching groove 19 corresponding to the catching protrusion 15.

또 문(10)에는 소정 위치에 장공(20)이 형성되어 있고, 문(10)의 외측에는 가림판(21)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가림판(21)에는 수용부(22)와 개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23)는 수용부(22) 내부가 보이도록 개방되어 있다.Moreover, the long hole 20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door 10, and the obstruction plate 21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door 10. As shown in FIG. The shielding plate 21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an opening portion 23, and the opening portion 23 is opened to view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상기 문(10)의 내측 즉, 고정 프레임(12)에는 차단판(3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판(30)은 문(10)과 칸막이(11) 사이에 발생된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판(30)의 높이는 문(10)의 전체 높이 보다 다소 작게 이루어져 있거나 문(10)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차단판(30)의 높이는 화장실 내부의 이용자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정도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Inside the door 10, that is, the fixing frame 12 is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30 to be movable. The blocking plate 30 is to block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door 10 and the partition 11, 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30 is made somewhat smaller than the overall height of the door 10 or the door 10 It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blocking plate 3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to the extent that the user inside the toile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아울러 차단판(30)은 고정 프레임(12)의 이동홈(13)를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차단판(3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바퀴(31)가 고정되어 있으며, 바퀴(31)는 하나 이상 설치되어 차단판(3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plate 30 is moved along the moving groove 13 of the fixing frame 12, the wheel 31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ing plate 30, respectively, the wheel 31 is one The above installation can make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plate 30 more smoothly.

이러한 바퀴(31)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차단판(30)이 이동홈(31)을 따라 미끄럼(슬라이드) 되게 할 수도 있다.Such wheels 31 are selectively installed as necessary, and the blocking plate 30 may be slid (slide) along the moving grooves 31.

또 차단판(30)에는 고정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차단판(30) 내면에는 잠금구(33)가 손잡이(3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차단판(30) 외면에는 안내판(35)이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a fixing hole 32 is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30, and a locking hole 33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30 by a handle 34, and a guide plate 3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30. ) Is fixed.

이러한 잠금구(33)에는 손잡이(3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가 끼워지고, 손잡이(34)의 나사부는 고정구멍(32)을 지나 안내판(35)에 체결되어 잠금구(33), 손잡이(34) 및 안내판(35)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The locking portion 33 is fitted with a screw portion formed in the handle 34, the screw portion of the handle 34 is fastened to the guide plate 35 through the fixing hole 32 to lock the lock 33, the handle 34 ) And guide plate 35 are fixed integrally.

아울러 잠금구(33), 손잡이(34) 및 안내판(35)은 차단판(30)에 용접 또는 별 도의 볼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device 33, the handle 34 and the guide plate 35 may be firmly fixed to the blocking plate 30 by welding or a separate bolt or the like.

또한 잠금구(33)와 대응되는 칸막이(11)에는 고정구(36)가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구(36)에는 잠금구(33)가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홈(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astener 36 is fixed to the partition 11 corresponding to the lock 33, and the fastener 36 is provided with a groove (not shown) into which the lock 33 is inserted or releas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이용자가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하여 드나들 때 문(10)을 잡아당기거나 밀어 문(10)이 개방된 상태에서 화장실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pulls or pushes the door 10 when the user enters or exits the toilet to enter the toilet in the open state.

이렇게 화장실 내부로 들어온 이용자는 차단판(30)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33)를 잡고서 문(10)의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문(1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12)은 칸막이(11)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17)과 접촉하게 되는데, 고정 프레임(12)의 경사면(14)이 프레임(17)의 경사부(18)에 끼워지게 된다.Thus, the user who enters the interior of the toilet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means of the door 10 by holding the handle 33 is fixed to the blocking plate (30). The fixed frame 12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door 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ame 17 fixed to the partition 11, and the inclined surface 14 of the fixed frame 12 is connected to the frame 17. The inclined portion 18 is fitted.

즉, 경사면(14)은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18)는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사면(14)의 좁은 부위가 경사부(18)의 넓은 부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밀려 들어가게 된다.That is, since the inclined surface 14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and the inclined portion 18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in a state where a narrow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4 is located at a wide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8. It is pushed by the force exerted by the user.

상기 이용자가 문(10)이 닫히는 위치까지 힘을 가해 줌에 따라 경사면(14)의 걸림돌기(15)는 경사부(18)의 걸림홈(19)에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문(10)이 칸막이(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As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position where the door 10 is closed, the locking protrusion 15 of the inclined surface 14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19 of the inclined portion 18, and thus the door 10. The partition 11 is not separated.

이러한 경사면(14)과 경사부(18)는 문(1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헐거운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 프레임(12)과 프레임(17)이 서로 결합됨에 따라 문(10)이 외력이나 비틀림 등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져 있더라도 고정 프레임(12)의 경사면(14)과 프레임(17)의 경사부(18)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서 여닫을 수 있게 된다.The inclined surface 14 and the inclined portion 18 are preferably assembled in a loose state so that the rotation of the door 10 is smoothly performed. As the fixed frame 12 and the frame 17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door 10 ) Can be opened and cl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inclined surface 14 of the fixed frame 12 and the inclined portion 18 of the frame 17 even if the deformation is caused by external force or torsion.

아울러 이용자는 문(10)이 닫혀진 상태에서 손잡이(34)를 잡고서 차단판(30)을 칸막이(11)의 고정구(36) 쪽으로 당겨주게 되고, 차단판(3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31)의 회전에 의해 고정구(36)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된다.In addition, the user pulls the blocking plate 30 toward the fixture 36 of the partition 11 by holding the handle 34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0 is closed, and the blocking plate 30 is shown in FIG. 6. , By the rotation of the wheel 31 is smoothly moved toward the fixture (36).

이때 차단판(30)과 함께 안내판(35)이 이동되며, 안내판(35)에 인쇄되어 있는 "사용 중" 이라는 문자가 가림판(21)의 개방부(23) 쪽으로 이동되어 외부에서 화장실을 사용 중임을 알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late 35 is moved together with the blocking plate 30, and the letter "in use" printed on the guide plate 35 is moved toward the opening 23 of the shielding plate 21 to use the toilet from the outside. You will know that you are busy.

또한 이동된 잠금구(33)는 고정구(36)에 끼워져 문(10)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동된 차단판(30)은 문(10)과 칸막이(1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oved lock 33 is inserted into the fixture 36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0 is not opened arbitrarily, the moved blocking plate 30 is formed between the door 10 and the partition (11). It will close the gap.

이와 같이 문(10)과 칸막이(11) 사이의 틈새가 차단됨으로써 화장실 이용자는 외부의 대기자와 차단되어 있어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 이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gap between the door 10 and the partition 11 is blocked, so that the toilet user is blocked from the outside waiter, thereby maintaining privacy and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using the toilet.

한편 이용자가 화장실을 나오기 위해서는 손잡이(34)를 잡고서 잠금구(33)를 고정구(36)로부터 이탈시키며, 잠금구(33)가 이탈된 상태에서 문(10)이 개방되는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user to exit the toilet, the lock 33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36 by holding the handle 34, and the lock 10 is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0 is opened while the lock 33 is removed. .

이때 고정 프레임(12)의 경사면(14)과 프레임(17)의 경사부(18)는 헐겁게 끼워져 있으므로, 이용자가 손잡이(34)를 잡아당기면 문(10)이 열리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inclined surface 14 of the fixed frame 12 and the inclined portion 18 of the frame 17 are loosely fitted, the door 10 opens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34.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뿐만 아니라 주택 또는 건물 등에 설치되는 문에도 적용될 수 있고, 외부와 내부를 차단하고자 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doors installed in houses or buildings as well as public toilets, and can be applied to block the outside and the inside.

도1a는 종래의 화장실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ilet door.

도1b는 도1a의 A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FIG. 1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FIG. 1A; FIG.

도1c는 도1a의 B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FIG. 1C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B of FIG. 1A. FIG.

도1d는 도1a의 C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FIG. 1D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C of FIG. 1A. FIG.

도2는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을 내부에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을 외부에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outside.

도6은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문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losed state for the public toil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문 11: 칸막이10: Q 11: the partition

12: 고정 프레임 13: 이동홈12: fixed frame 13: moving groove

14: 경사면 15: 걸림돌기14: slope 15: protrusion

17: 프레임 18: 경사부17: frame 18: inclined portion

19: 걸림홈 20: 장공19: Hanging groove 20: Long hole

21: 가림판 22: 수용부21: blanking plate 22: receiving portion

23: 개방부 23: opening

30: 차단판 31: 바퀴30: blocking plate 31: wheels

32: 고정구멍 33: 잠금구32: fixing hole 33: fastener

34: 손잡이 35: 안내판34: handle 35: guide plate

36: 고정구36: Fixture

Claims (15)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칸막이에 회전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문,The door is installed to rotate open and close to the partition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문의 내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blocking plate movab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상기 문 내측면에는 상기 차단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고,Fixing frames are respectively fix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oor to prevent the blocking plate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칸막이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으며,The partition is fix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frame, 상기 프레임에는 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frame is a public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narrowed toward the inner side from one 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칸막이에는 고정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partition for the public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ture is fixed to the parti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고정구에 탈착되는 잠금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door for the public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 is fixed to the blocking plate detachable to the fixture.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잠금구에는 손잡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public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ixed to the lock.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문 전면에는 가림판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public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doo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림판에는 일면에 내측으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cover for the public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plate is formed with an opening formed inward on one surface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가림판의 수용부에는 상기 잠금구와 함께 이동되는 안내판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Public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late which is moved with the lock is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shield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단판에는 그 상면과 하면에 바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blocking plate is a public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사부에는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toilet for the public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has a locking groove formed insid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바퀴가 수용되는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fixing frame is a public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groove is formed is accommodated the wheel.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문.The public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d frame.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경사면에는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장실용 문.The inclined surface is a public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on one side.
KR1020090048671A 2009-06-02 2009-06-02 Toilet Door KR101097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71A KR101097216B1 (en) 2009-06-02 2009-06-02 Toilet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71A KR101097216B1 (en) 2009-06-02 2009-06-02 Toilet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24A KR20100130024A (en) 2010-12-10
KR101097216B1 true KR101097216B1 (en) 2011-12-22

Family

ID=4350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671A KR101097216B1 (en) 2009-06-02 2009-06-02 Toilet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2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921A (en) * 1997-08-28 1999-03-16 Okamura Corp Door device of toilet
KR200249609Y1 (en) * 2001-06-07 2001-11-16 승일 아이디(주) The toilet handle that confirmed if use or not
KR200287819Y1 (en) * 2002-05-22 2002-09-05 박진수 Fabricated toilet boo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921A (en) * 1997-08-28 1999-03-16 Okamura Corp Door device of toilet
KR200249609Y1 (en) * 2001-06-07 2001-11-16 승일 아이디(주) The toilet handle that confirmed if use or not
KR200287819Y1 (en) * 2002-05-22 2002-09-05 박진수 Fabricated toilet boo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24A (en)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4007835A (en) Curved door.
US5690157A (en) Rigid panel folding shower door assembly having improved horizontal track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303105B1 (en) A swing and sliding door to adjust the doorway space
KR101097216B1 (en) Toilet Door
EP1424031A1 (en) Shower screens kit
JP2835947B2 (en) Partition structure
GB2508966B (en) Selectively lockable hinge
JP2009052323A (en) Gate openable/closable both inward and outward
TWI435974B (en) Locking device for dual doors
JP3570205B2 (en) Bathroom with mirrored window
JP2566255Y2 (en) Small room structure
JPH09268845A (en) Sliding door device
JPH0323988Y2 (en)
JP2004316085A (en) Partition device with door
JPH0988441A (en) Doorway construction of bathroom
JPH09324579A (en) Folding door construction
JPH0657973A (en) Toilet room
JP2000336958A (en) Room unit
JPH0396575A (en) Sanitary unit
JP2003176666A (en) Sash
JPH07305569A (en) Lower structure of entrance
JP2002168038A (en) Door structure
JP2001207662A (en) Doorway structure for toilet
JP2009052324A (en) Gate with covered hinge
JP2001329757A (en) Opening/closing door structure for unit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