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760B1 - 휴대용 족구 네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족구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760B1
KR101096760B1 KR1020110067244A KR20110067244A KR101096760B1 KR 101096760 B1 KR101096760 B1 KR 101096760B1 KR 1020110067244 A KR1020110067244 A KR 1020110067244A KR 20110067244 A KR20110067244 A KR 20110067244A KR 101096760 B1 KR101096760 B1 KR 10109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air
fixing
suppor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태우
Original Assignee
남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우 filed Critical 남태우
Priority to KR102011006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2Posts; Revolvably-mounted posts ; 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on the posts, e.g. coin- or time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족구 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족구 경기를 하고자 하는 실내,외의 어떠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경기 종료 후, 가방에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족구 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족구 네트{A portable foot volleyball net}
본 발명은, 족구 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족구 경기를 하고자 하는 실내,외의 어떠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경기 종료 후, 가방에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족구 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족구는 네트를 경계로 하여 진영을 나누고, 양팀이 손을 제외한 발이나 머리 등 신체를 사용하여 같은 팀원끼리 공을 2회의 범위내에서 주고 받은 다음 3회를 넘기지 않고 상대 진영으로 공을 넘겨주는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는 게임이며, 이는 성인의 평균 신장보다 낮은 높이로 네트를 설치하고 경기를 진행하므로 주택가의 공터나 주차장 및 산업현장의 공장 내 또는 야외 등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쉽게 경기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네트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의 족구 게임 진행시, 나무 막대기 또는 기둥이나 끈을 이용하여 네트 및 지지대를 설치하였으나, 제대로 경기를 진행시킬 수 없을 만큼 불편하고, 적정한 규격에 맞지 않아 경기에 대한 성의도 떨어져 야외에서 운동경기를 규정대로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79116호로 이동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족구 네트지주가 개시된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앵커(23)로 지면에 고정된 지지베이스(2)에 하부고정부재(4)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고정부재(4)에 결합된 하부지주(1b)에 상부지주(1a)가 고정된 중간연결부재(5)를 결합하며, 상기 상,하부지주(1a)(1b)에 족구네트(3)를 결합한 후, 상기 상부지주(1a)에 지주로우프(8)를 묶어 네트지주(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앵커(81)로 고정시키므로 족구네트(3)는 적당한 인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선 등록된 실용시안은, 이동 설치가 가능하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부품의 구성 수가 많아 설치작업이 복잡함과 아울러 설치시간 및 인력의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은 충격으로도 족구네트가 처지므로 수시로 지주로우프를 당겨 족구네트의 인장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베이스를 고정앵커로 지면에 고정하였으나, 지면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인 경우,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못해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구성이 간소화되어 설치작업과 설치시간 및 인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지주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고정포대로 고정시키므로 지주에 설치된 네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족구 네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면이 땅이나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와 같이 견고한 바닥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휴대용 족구 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휴대용 족구 네트는,
네트를 지지하면서 밸브가 구비된 에어지주와;
상기 에어지주 하단부에 장착되어 에어지주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에어지주에 네트를 연결하는 네트연결부와;
상기 에어지주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에어지주와 받침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지주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받침부에 안착시키는 고정포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구성이 간소화되어 설치작업 및 설치시간을 줄여 인력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지주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고정포대로 고정시키므로 지주에 설치된 네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지주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지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포대를 받침대에 안착시켜 설치하므로 땅이나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와 같은 지면에 견고한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족구 네트 정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휴대용 족구 네트(100)는, 네트(110a)를 지지하면서 밸브(111)가 구비된 에어지주(110)가 구성되고, 상기 에어지주(110) 하단부에 장착되어 에어지주(110)를 지지하도록 다수의 받침대(122)가 구비된 받침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에어지주(110)에 네트(110a)를 연결하는 네트연결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에어지주(110)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에어지주(110)와 받침부(12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지주고정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12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받침부(120)에 안착시키는 고정포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에어지주(11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대(1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121)에 힌지결합되어 절첩되는 받침대(122)가 구비되는데, 상기 받침대(122)는 상기 네트(110a)와 동일 선상으로 구비되는 제1받침대(122a)가 가장 길고, 상기 네트(110a)와 직교되는 제2,3받침대(122b)(122c)가 제1받침대(122a)보다 짧게 구비된다.
상기 네트연결부(130)는, 상기 에어지주(11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네트(110a)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연결부재(131)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131)에 고정된 네트(110a)가 수직을 유지하도록 에어지주(110)를 따라 승하강하면서 네트(110a)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연결부재(1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주고정부(140)는, 상기 에어지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면서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상부체결편(141a)이 형성되는 상부고정부재(141)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122) 내부를 폐쇄시키도록 받침대(122)에 결합되면서 상부에 하부체결편(142a)이 형성된 하부고정부재(142)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고정부재(141)(142)의 상,하부체결편(141a)(142a)을 연결하는 고정로프(14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밸브(111)가 구비된 에어지주(110)의 하단부에 받침부(120)의 고정대(121)가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대(121)에는 받침대(122)의 제1,2,3받침대(122a)(122b)(122c)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에어지주(110)의 상단부에 네트연결부(130)의 상부연결부재(131)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131)보다 하부에 위치하면서 에어지주(110)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에어지주(110)에 하부연결부재(132)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에어지주(110)의 상단부에 지주고정부(140)의 상부고정부재(141)가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122)에 하부고정부재(14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고정부재(141)(142)의 상,하부체결편(141a)(142a)에는 고정로프(143)가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이 상태로 휴대용 족구 네트(100)를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휴대한 휴대용 족구 네트(100)를 설치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받침부(120)의 받침대(122)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받침대(122)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에어지주(110)와 직교되도록 하는데, 상기 에어지주(110)와 직교되는 받침대(122)는 힌지가 설치된 고정대(121)에 걸리면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이 상태로 지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받침대(122) 중 제1받침대(122a)는 네트연결부(130)에 설치되는 네트(110a)와 동일 선상으로 위치함과 동시에 제2,3받침대(122b)(122c)는 제1받침대(122a)와 직교되면서 제1받침대(122a)보다 제2,3받침대(122b)(122c)가 짧게 형성되는데, 이는 경기장에 근접하는 것을 최대한 자제하여 족구 경기의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안정감있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지주(110)를 받침대(122)가 지지하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되 바와 같이, 펌프의 호스를 밸브(111)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펌프의 작동으로 에어지주(110)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에어지주(110)가 받침부(120) 상부로 돌출되어 받침부(120)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지주(110) 상단부에 결합된 상부고정부재(141)가 받침부(120) 상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고정부재(141)의 하부체결편(142a)에 타단부가 체결되면서 상부체결편(141a)에 일단부가 체결된 고정로프(143)가 상부로 이동하여 긴장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지주(110)는 받침부(120)와 수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밸브(111)는 펌프의 작동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에어지주(110) 내부로 공급함과 아울러 공급된 공기는 에어지주(110)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밸브(11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내부가 개방되면서 공기가 에어지주(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밸브이다.
상기의 방법으로 휴대용 족구 네트(100)(100')를 대향하게 설치한 후, 대향된 휴대용 족구 네트(100)(100')의 지주고정부(140)에 의해 에어지주(110)가 받침부(120)와 수직 선상을 유지하면, 상기 에어지주(110)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부연결부재(131)와 에어지주(110)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되어 위치가 조절된 하부연결부재(132)에 네트(110a)의 상,하단부를 연결하여 설치가 완료되는데, 상기 상,하부연결부재(131)(132)에 상,하단부가연결된 네트(110a)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균형있게 설치되며, 이 상태에서 받침대(122)에 물이나 모래가 담겨진 고정포대(150)를 안착시켜 받침부(1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포대(150)는 받침대(122)의 제1,2,3받침대(122a)(122b)(122c) 어느 하나 및 모두에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포대(150)가 받침대(122)에 안착되어 설치된 휴대용 족구 네트(100)를 이용하여 족구 게임을 할 수 있으며, 족구 게임이 끝났을 경우, 밸브(111)를 통해 에어지주(110) 내부에 위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상태에서 받침부(120)의 받침대(122)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절첩하여 부피를 줄여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휴대한 휴대용 족구 네트(100)를 설치하려면, 받침대(122)를 회전시켜 에어지주(110)와 직교되도록 한 상태에서 밸브(111)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에어지주(110)가 팽창되고, 받침대(122)에 고정포대(150)를 안착시키면 되기 때문에 족구 게임이 가능한 실내,외 어떠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밸브(111)를 통해 에어지주(110) 내부에 위치한 공기를 배출시킨 후, 받침대(122)를 회전시켜 부피가 줄어든 상태에서 가방에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휴대용 족구 네트 110: 에어지주
120: 받침부 130: 네트연결부
140: 지주고정부 150: 고정포대

Claims (4)

  1. 네트를 지지하면서 밸브가 구비된 에어지주와;
    상기 에어지주 하단부에 장착되어 에어지주를 지지하도록 다수의 받침대가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에어지주에 네트를 연결하는 네트연결부와;
    상기 에어지주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에어지주와 받침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지주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받침부에 안착시키는 고정포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족구 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부는,
    상기 에어지주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힌지결합되어 절첩되는 다수의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족구 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네트연결부는,
    상기 에어지주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네트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고정된 네트가 수직을 유지하도록 에어지주를 따라 승하강하면서 네트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족구 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주고정부는,
    상기 에어지주의 상단부에 결합되면서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상부체결편이 형성되는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받침대 내부를 폐쇄시키도록 받침대에 결합되면서 상부에 하부체결편이 형성된 하부고정부재와;
    상기 상,하부고정부재의 상,하부체결편을 연결하는 고정로프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족구 네트.
KR1020110067244A 2011-07-07 2011-07-07 휴대용 족구 네트 KR10109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244A KR101096760B1 (ko) 2011-07-07 2011-07-07 휴대용 족구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244A KR101096760B1 (ko) 2011-07-07 2011-07-07 휴대용 족구 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760B1 true KR101096760B1 (ko) 2011-12-21

Family

ID=4550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244A KR101096760B1 (ko) 2011-07-07 2011-07-07 휴대용 족구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7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3922A1 (en) 2003-11-17 2006-04-06 Stambaugh Cecil E Retractable telescoping court standard
KR200429640Y1 (ko) 2006-07-19 2006-10-25 허일량 네트 지지용 절첩식 폴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3922A1 (en) 2003-11-17 2006-04-06 Stambaugh Cecil E Retractable telescoping court standard
KR200429640Y1 (ko) 2006-07-19 2006-10-25 허일량 네트 지지용 절첩식 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2578A1 (en) Inflatable Enclosure and Inflatable Enclosure System
US8475301B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gamin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6210288B1 (en) Golf practice net assembly
US20200246679A1 (en) Portable, modular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a multi-sports and/or multi-use area and method of installing a multi-sports and/or multi-use area
US20150024877A1 (en) Football goal
US20080252017A1 (en) Sports targeting system
US7037220B1 (en) Sports play pool
US8197364B2 (en) Training device for beach volleyball players
KR101096760B1 (ko) 휴대용 족구 네트
KR20100048812A (ko) 운동경기용 네트의 고정장치
KR100890352B1 (ko) 휴대용 조립식 배드민턴 네트.
KR101131020B1 (ko) 천장 출몰형 농구대
US4010951A (en) Portable support frame for a tennis net
JP3139357U (ja) バレーボール練習装置
US6638199B2 (en) Collapsible structure device for practicing elastics-assisted trampoline, an activity called “acro-bungy”
US20120252605A1 (en) Water Basketball and Volleyball Game Apparatus
CN208130462U (zh) 一种可移动的室外排球场围栏
US20150105185A1 (en) Portable physical activity panels
KR101735961B1 (ko) 휴대용 네트지지장치
KR200357174Y1 (ko) 이동식 실내 골프 연습장
CN211986965U (zh) 一种便携式充气足球门
KR200396701Y1 (ko) 운동용 포스트
KR200279116Y1 (ko) 이동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족구 네트지주
KR101118702B1 (ko) 게이트볼용 펜스구조 및 게이트볼 운동장 경기시설물
CN218686226U (zh) 一种娱乐城足球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