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653B1 -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653B1
KR101096653B1 KR1020100033354A KR20100033354A KR101096653B1 KR 101096653 B1 KR101096653 B1 KR 101096653B1 KR 1020100033354 A KR1020100033354 A KR 1020100033354A KR 20100033354 A KR20100033354 A KR 20100033354A KR 101096653 B1 KR101096653 B1 KR 101096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shoulder strap
transmitt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976A (ko
Inventor
허재용
Original Assignee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653B1/ko
Priority to PCT/KR2011/002538 priority patent/WO2011129569A2/ko
Publication of KR2011011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6Advertising carried by a person, e.g. carried on the shoul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3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fixed on cloth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어깨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종래의 어깨띠에 LED를 부착시키되, 단순한 LED가 아닌 LED에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갖춘 투광부를 씌운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켜서, 박막투광부에서는 빛을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하면서도 LED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을 완화시키며, 후막투광부에서는 매질이 두꺼우므로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일부가 내부에서 반사되어 빛을 측면으로도 전달되게 함으로서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홍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LED가 부착된 발광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luminous should band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its attaching method}
본 발명은 발광어깨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종래의 어깨띠에 LED를 부착시키되, 단순한 LED가 아닌 LED에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갖춘 투광부를 씌운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켜서, 박막투광부에서는 빛을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하면서도 LED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을 완화시키며, 후막투광부에서는 매질이 두꺼우므로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일부가 내부에서 반사되어 빛을 측면으로도 전달되게 함으로서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홍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LED가 부착된 발광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깨띠는 사람의 어깨에 걸쳐져서 홍보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로 선거 또는 광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어깨띠는 단순히 천에 홍보문구가 인쇄된 것인데, 이러한 어깨띠는 주간에는 천에 인쇄된 홍보문구를 보고서 다른 사람에게 원하는 바를 어느 정도는 전달할 수 있으나, 야간에는 어깨띠에 인쇄된 홍보문구를 제대로 볼 수 없어서 어깨띠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다.
특히, 선거용과 같은 홍보용으로 사용되는 어깨띠는 유동인구가 많은 시간에 주로 사용되는데, 유동인구가 많은 출퇴근 시간에는 주위가 어두워서 종래의 어깨띠를 착용하여도 그 내용이 다른 사람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어깨띠에 LED를 부착시켜서 사람들의 시선을 확 끌어당겨서 홍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광 어깨띠를 발명하게 되었다.
그러나, LED의 가장 큰 단점은 LED는 정면 발광을 하므로, LED의 바로 앞에서 LED를 바라보면 휘도가 높아서 눈부심 현상이 있고 이로 인하여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나아가 이러한 LED를 조합하여 문자를 만들면 LED의 바로 앞에서는 눈부심으로 인하여 그 문자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다. 또한, LED에서 발광되는 빛은 직진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LED의 측면으로는 거의 빛이 전달되지 않아서 측면에서 이를 인식하기가 수월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어깨띠에 여러개의 LED를 단순히 조합하여 문자를 표현할 경우에는 어깨띠 바로 앞에서는 눈부심에 의해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투광부의 형상을 인식하기 어렵고, 반대로 측면에서는 빛이 제대로 도달하지 않아서 투광부의 형상을 인식하기가 수월하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어깨띠가 전달하려고 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나아가 상기된 LED의 정면발광과 LED에서 발광된 빛의 직진성 때문에 종래의 LED를 이용한 발광장치는 하나의 LED 빛이 조사되어지는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다수의 LED를 사용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다수의 LED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회로구성이 복잡해지고 설치비, 재료비등이 많이 소요되며, 천이나 비닐등 가볍고 플렉시블한 소재에는 표현하기가 어렵고 아울러 어깨띠의 특성상 전원으로는 주로 밧데리를 이용하게 되는데 소요전력이 많아져서 밧데리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의 어깨띠에 LED를 부착시키되, 단순한 LED가 아닌 LED에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갖춘 투광부를 씌운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켜서, 박막투광부에서는 빛을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하면서도 LED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을 완화시키며, 후막투광부에서는 매질이 두꺼우므로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일부가 내부에서 반사되어 빛을 측면으로도 전달하므로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홍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LED가 부착된 발광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는 홍보문구가 기재된 어깨띠부; 상기 어깨띠부에 부착된 다수의 LED; 및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어깨띠부는 홍보문구가 기재된 외부층과 상기 외부층과 결합하는 내부층을 포함하며, 상기 LED는 상기 외부층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는 LED 어셈블리이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및 상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되,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고 있는 투광부; 및 투광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어셈블리는 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테두리가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부로 연결되어 LED를 둘러싸는 측벽; 및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며 상기 전선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LED의 양극과 음극을 관통하는 연결나사에 의해 LED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전선연결홈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어셈블리는 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하부에 LED가 삽입될 수 있는 하부개방구가 형성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서 상부로 연결되어 LED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에 하부에는 어깨띠부에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는 LED 어셈블리이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되,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고 있는 투광부; 상기 LED의 저면에 위치하며 LED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날개판을 가지고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테두리가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상부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날개판이 삽입되는 2개의 측벽홈이 형성되어 있는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베이스; 및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하부 전도층과 상기 절연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상부 전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도판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부의 측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의 외부에는 상기 LED를 둘러싼 빛확산캡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빛확산캡은 하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부의 하부에서 LED의 측면을 따라서 얇은 벽을 형성하며 LED의 상부로 올라가며, LED의 상부에는 볼록, 오목 또는 평평한 형태의 빛 확산용 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의 상부에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의 상부와 대하는 상기 투광부의 내부에는 확산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와 접하는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는 커넥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도판에는 상부전도층과 절연층만 존재하는 상부접합부와 하부전도층과 절연층만 존재하는 하부접합부가 있으며, 상기 상부접합부와 하부접합부에는 각각 볼트와 너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상기 볼트와 함께 금속와셔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와셔에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이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도판에는 볼트와 너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는 비전도성물질로 만들어졌고, 상기 홈에는 상기 볼트와 함께 금속와셔 및 너트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와셔와 너트에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이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어깨띠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은 투광부가 어깨띠부의 끼움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가 끼움공의 하부에서 상기 투광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어깨띠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어깨띠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다른 방법은 오목부가 어깨띠부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어깨띠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어깨띠에는 종래의 어깨띠에 LED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야간에는 LED에 의해 홍보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단순한 LED가 아니라,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갖춘 LED 어셈블리를 어깨띠에 부착시켜서, LED의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이 완화되고 LED의 측면에서도 LED의 빛을 수월하게 인식할 수 있어서, 근거리/원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이 향상되어서 종래의 어깨띠와는 비교할 수 없는 홍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LED 빛의 색과 투광부의 색을 같거나 다르게 하거나, 또는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하나의 LED로도 2개이상의 다양한 빛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홍보시 사람들의 시선을 확 끌어당기고 뇌리에 오래 기억시킬 수 있어서 그 홍보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LED어셈블리는 1개의 LED로 전면 및 측면으로 빛이 조사되어지는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어서 적은 수의 LED를 사용하면서도 다수의 LED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LED는 같은 범위를 비추더라도 종래의 LED에 비하여 적은 수의 LED를 사용함에 따라 소모전력이 상대적으로 적고, 밧데리를 사용할 경우에도 장시간에 걸쳐서 밧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선방식에서의 베이스를 이용하게 되면 연결이 간단할 뿐 아니라 LED 위치 변경시에는 단순히 연결나사를 풀고 LED의 위치를 변경한 후에 다시 연결나사를 조이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선이 남아서 늘어지거나 부족하여 추가적으로 전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된다.
종래에는 LE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선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개개의 LED를 연결하기 위한 전선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서 생산성이 매우 낮았으나, 본 발명에서의 무선방식에 의한 전도판을 이용하게 되면 LED 어셈블리 사이의 전선 연결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케이블이 비치지 않는 등 외관이 깨끗해지며, 나아가 전기사고의 위험과 접점불량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선방식에 의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
도 3은 LED 발광 부분이 작은 경우의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
도 4는 투광부의 일예로서 박막투광부는 평평하고 후막투광부가 볼록한 사면체의 형상을 투광부의 사시도,
도 5는 박막투광부가 음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후막투광부가 양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다수의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가 존재하는 LED 어셈블리의 예시도,
도 8은 베이스를 구비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9는 투광부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LED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베이스의 단면도,
도 11은 고정핀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2와 도 13은 오목부가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투광부와 LED가 분리된 경우의 결합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6은 수직벽이 부착된 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도판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방식에 의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9는 베이스의 평면도,
도 20은 무선방식의 LED 어셈블리에서 LED와 고정부의 평면도,
도 21과 도 22는 무선방식에서 전원공급부와의 연결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빛확산캡이 추가로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
도 24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5는 확산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6은 커넥터의 형태를 가지는 고정부의 단면도,
도 27은 두 개의 공기배출홈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AA부분 단면도,
도 29는 엠보싱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의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는 어깨띠부(200), LED(1), 전원공급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어깨띠부(200)는 종래의 어깨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선거 또는 홍보 목적으로 사람의 어깨에 걸쳐지는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어깨띠부는 그 형태나 크기의 제한이 없이 사람의 어깨에 걸쳐져서 홍보 또는 선거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도 1에서의 발광 어깨띠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어깨띠부를 채용한 발광 어깨띠의 하나를 예시로서 도시한 것이지, 본 발명에서의 어깨띠부가 도 1에서의 어깨띠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깨띠부(200)에는 홍보하려는 내용이 인쇄등의 방법으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어깨띠부(200)는 종래의 단순한 어깨띠를 의미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LED(1)는 어깨띠부(200)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깨띠부(200)에 단순히 LED(1)가 부착될 수도 있지만,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LED 어셈블리는 어깨띠부(200)에 기재된 홍보 문구의 상부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LED 어셈블리는 LED, 이를 감싸는 투광부 및 이를 전기적으로 전원공급부와 연결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원공급부와의 연결방식에 따라 유선방식의 LED 어셈블리와 무선 방식의 LED 어셈블리로 구분될 수 있다. 유선 방식이라 함은 전선을 사용한 것이고, 무선방식이라 함은 유선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서 종래의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후술하는 전도판을 이용한 방식을 의미한다.
먼저 유선방식에서 사용되는 LED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유선방식의 LED 어셈블리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선방식 LED 어셈블리(100)는 LED(1)와 투광부(10)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부(30)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는 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LED 발광 부분이 도 2와 같이 긴 경우 뿐 아니라, 도 3과 같이 LED 발광 부분이 짧은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LED 발광부분이 짧은 경우에는 도 2와 비교하여 LED 측면의 밝기가 더욱 강조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과 같이 LED 발광 부분이 짧은 경우에는 투광부의 형상이 LED 발광부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발광 부분이 짧지만 넓은 형태의 LED 및 둥근형태의 LED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LED는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된다. 여기서 LED의 갯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수의 LED가 설치되어지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색의 LED가 설치될 수 있고, 나아가 개개의 LED가 설치되어지는 각도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직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투광부(10)는 LED(1)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LED(1)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며 저면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투광부(10)는 빛이 난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사 범위를 형상의 크기로 지정하여 빛의 집중도를 높이고 형상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하나의 LED 어셈블리에 여러 개의 색, 모양 및 밝기가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투광부(10)는 LED(1)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므로, LED(1)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으로부터 LED(1)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LED(1)에서 방출된 빛은 투광부(10)를 거쳐서 외부로 방출되는데, 투광부(10)를 거치면서 빛은 반사, 회절등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투광부(10)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1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투광부(12)는 LED(1)의 빛을 원거리까지 도달시키되 근거리, 특히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고, 후막투광부(14)는 LED(1)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1)의 측면에서도 LED(1)의 빛을 쉽게 인식하여 형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12)보다 두꺼운 부분이다. 박막투광부(12)에서는 LED(1) 빛이 통과하는 매질의 두께가 얇으므로, 빛은 에너지의 손실이 없이 거의 대부분 통과하게 되고, 따라서 비교적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도 박막투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을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발광 어깨띠에서 홍보하려는 내용을 원거리에 있는 사람에게까지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박막투광부(12)에도 얇은 막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LED의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이 완화된다.
박막투광부(12)의 두께는 설치되어지는 LED의 휘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통상적인 LED의 경우에는 두께가 0.1~10mm가 바람직하다. 0.1mm미만이면 바로 앞에서 눈부심 현상이 있으며, 10mm 초과하면 LED 빛이 박막투광부에 의해 방해를 받아서 멀리까지 도달하기 어렵다.
박막투광부(12)는 빛을 원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아울러 LED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현상이 완화시켜서 전체적으로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박막투광부(12)는 투광부(10) 내부에 구멍을 뚫어서 박막투광부를 주변보다 얇게 하거나, 투광부 외부 표면 중 빛이 강하게 발산되어야 할 부분을 주변보다 얇게 성형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박막투광부(12)를 측면에서 볼 때 평평한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빛이 확산될 수 있는 볼록한 형태 또는 빛이 모일 수 있는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의 두께가 박막투광부(12)보다 두꺼운 부분으로서, 매질이 두꺼우므로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일부는 내부에서 반사가 되어 후막투광부(14)의 전체에 걸쳐서 빛이 분산되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후막투광부(14)에서 방출되는 빛은 박막투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에 비하면 어두우나, 전체적으로 분산되어서 LED(1)의 발광방향의 정면 뿐 아니라 측면에서도 그 형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서, 측면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홍보하려는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박막투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은 LED(1) 정면으로 멀리까지 도달하게 되어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면서도 LED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켜서 근거리, 특히 바로 앞에서도 눈의 피로가 없이 LED(1) 빛을 인식할 수 있으며, 후막투광부(14)에서 방출되는 빛은 LED(1)의 측면으로도 LED 빛이 방출되어서 LED(1)의 빛의 진행방향의 측면에서도 그 형태를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형태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나아가 박막투광부(12)에서의 빛은 밝으며, 후막투광부(14)에서의 빛은 은은하게 비추어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가 조화를 이루어 시각적으로 매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후막투광부(14)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후막투광부는 빛이 측면으로 방출되기 위해서 박막투광부(12)보다 1.5~20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0배를 초과하면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양이 너무 적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박막투광부(12)와 후광투광부(14)의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박막투광부(12)에서의 빛이 원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LED(1)에서 방출되는 빛의 직진성을 고려할 때, LED(1) 빛이 가장 강하게 방출되는 방향인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막투광부(14)는 박막투광부(12)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의 갯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투광부(10)의 전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2에서는 사면체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삼면체, 오면체, 육면체, 반구형등등의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의 예시로서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투광부를 도시하였다.
또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반적으로 원형을 이루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별, 삼각형, 사각형, 동물문양, 사람형상, 글자모양 등등을 포함하는 특정한 도형이나 문자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박막투광부(12) 또는 후막투광부(14)에 형성되어 있는 도형이나 문자의 형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박막투광부(12)는 투광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부분을 의미하므로, 박막투광부(12)는 먼저 투광부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투광부에서 박막투광부(12)에 해당하는 부분을 음각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박막투광부(12)가 음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막투광부(12)는 투광부에서 음각이 된 부분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후막투광부(14)가 된다.
또한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을 의미하므로,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를 형성하고 투광부에서 후막투광부(14)에 해당하는 부분을 양각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후막투광부(14)가 양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에서 양각이 된 부분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박막투광부(12)가 된다. 도 6의 경우에는 후막투광부(14)가 중앙에 위치하고 박막투광부(12)가 그 주위에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나아가 양각과 음각을 적절하게 조합하여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가 여러개 존재하게 만들 수도 있다. 도 7은 다수의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가 존재하는 LED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7(a)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양각이 된 후막투광부(14')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다른 후막투광부(14'')가 존재하고 그 사이로 음각이 된 박막투광부(12)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보면 도 7(a)의 경우에는 중앙의 원(14')와 가장자리의 원(14'')사이의 박막투광부(12)가 가장 밝게 보이는 효과가 있고, 도 7(b)의 경우에는 중앙의 별(14')와 가장자리의 사각형(14'')사이의 공간인 박막투광부(12)가 가장 밝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투광부의 상부의 평평한 부분만 도시한 것이다.
또한 LED 발광장치의 시각적인 효과를 강조하기 위하여 박막투광부(12)나 후막투광부(14)에는 색이 칠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는 동일한 색으로 칠해질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해질 수도 있다. 또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에 여러개의 색이 동시에 칠해질 수도 있다. 나아가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의 외부에만 색이 칠해질 수도 있다. 또한 LED와 투광부의 색깔을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르게 하여 하나의 LED에서 방출되는 빛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투광부(10)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다만 성형이 가능하고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이면 된다. 일예로서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라텍스, 고무, 우레탄, 레진,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머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성형성이 우수하고 충격에 강한 실리콘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박막투광부(12) 또는 후막투광부(14)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 중의 어느 하나이상의 조합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고정부(30)는 LED(1) 또는 LED(1)와 투광부(10)의 저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 부분에 PCB 기판이 위치하거나 PCB 기판이 내부에 포함되어 있으며 전선이 여기에 연결된다. 고정부(30)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크거나 작게 조정할 수 있다.
고정부의 외부에는 베이스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는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투광부와 밀착되어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내부에 LED를 수용하여 LED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8은 베이스를 구비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투광부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LED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베이스(70)는 받침부(71), 측벽(73) 및 전선연결홈을 포함하고 있다. 받침부(71)에는 고정부(30)의 직경보다 큰 테두리(72)가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측벽(73)은 받침부(71)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이며, 측벽에는 투광부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측벽에는 투광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나사홈 또는 결합턱과 같은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73)은 원통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측벽(73)의 내부에는 LED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전선연결홈(76)은 받침부(71)를 관통하는 홈으로서, 이 부분으로 전선(미도시)이 연결된다. 전선연결홈(76)은 고정부(30)에 형성되어 있는 LED(1)의 양극과 음극으로 전선이 지나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고정부(30)의 양극과 음극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결나사(35)가 결합되어 있는데, 연결나사(35)는 고정부(3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게 된다. 전선연결홈(76)에 삽입된 전선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연결나사(35)가 회전하면서 전선연결홈(76)에 삽입된 전선의 피복을 관통하여 LED의 양극과 음극은 각각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래에는 LED와의 연결을 위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또한 일단 설치된 LED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전선을 추가로 연결하거나 전선이 남아서 늘어져서 외관상 안 좋았으나, 본 발명에서의 베이스를 이용하게 되면 연결이 간단할 뿐 아니라 LED 위치 변경시에는 단순히 연결나사를 풀고 LED의 위치를 변경한 후에 다시 연결나사를 조이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선이 남아서 늘어지거나 부족하여 추가적으로 전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도 10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베이스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의 베이스(70)의 하부에는 개방된 하부개방구(78)가 있으며, 하부개방구(78)는 LED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다. 하부개방구(78)가 형성된 베이스(70)의 경우에는 전선연결홈(76)이 설치되지 않는다. 이를 어깨띠부(20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어깨띠부의 끼움공(202)에 베이스(70)와 투광부(30)를 결합시킨 후에 하부개방구(78)를 통하여 LED를 삽입시켜서 결합시킨다.
유선방식의 LED 어셈블리(100)를 어깨띠부(200)에 부착시키는 방법과 관련하여, LED 어셈블리(100) 전체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져서 어깨띠부(200)에 부착되거나, 투광부(10)와 LED(1)가 서로 분리되게 만들어져서 어깨띠부(200)에 끼워질 수도 있다. 전체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어깨띠부(200)에 LED 어셈블리(100)가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의 부착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작업공정의 편리성등을 고려할 때 고주파 부착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고정부에 하부에 휘어질 수 있는 철사와 같은 고정핀(40)을 부착시키고, 이 고정핀(40)을 어깨띠부의 부착시키려고 하는 부분을 관통시킨 후, 이 고정핀(40)을 휘어서 어깨띠부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고정핀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다른 부착방법으로는 어깨띠부(2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공(202)을 내고, 상기 끼움공(202)에 LED 어셈블리(100)를 끼워넣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결합방식을 뒤 끼우기 방식이라 한다. 이 경우에 끼움공의 직경이 투광부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하여서 투광부를 끼움공에 끼우면 투광부가 끼움공에 완전히 끼인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그 결합의 강도를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하여 투광부의 하부에 오목한 형태의 오목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오목부란 투광부와 어깨띠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오목한 형태나 끼울 수 있는 홈의 형상이나 지지 할 수 있는 홈을 가진 형상을 말한다. 도 12와 도 13은 오목부가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LED 어셈블리(100)에서 투광부(10)의 하부에는 오목부(40)가 있어서, 이 부분의 측면으로 어깨띠부(200)가 결합하게 된다. 이는 투광부(10)가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져서 끼움공(202)에 끼워지게 된다. 오목부(40)는 도 12와 같이 투광부(10)의 최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도 13과 같이 투광부의 중간에 형성될 수 도 있다. 오목부는 어깨띠부에 삽입 고정된다.
반면에 투광부(10)와 LED(1)가 분리된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어깨띠에 끼움공(202)을 내고, 상기 끼움공(202)의 상부에 투광부(10)를 두고, 끼움공(202)의 하부에 LED(1)부분을 하부에서 상부로 끼우는 형식으로 밀어서 투광부(10)와 결합시키면 된다. 이를 통상적으로 앞 끼우기 방식이라 하며, 어깨띠부는 투광부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LED(1)와 투광부(10)는 밀착하게 되어 고정된다. 물론 반대로 끼움공(202)의 하부에 LED(1)를 먼저 끼우고 상부에 투광부(10)를 결합시킬 수 도 있다. 또한 베이스가 있는 경우에는 베이스를 끼움공에 끼워져서 투광부(10)와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의 결합의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해서 LED(1)의 고정부에 지지를 위한 홈이나 나사를 이용한 지지방식을 위한 지지대(5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50)는 투광부(10)와 완전히 밀착이 되어서 LED(1)를 투광부(10)내에 완전하게 고정시키고, LED(1)의 흔들림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15는 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50)는 투광부(10)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이 된다.
한편 도 16은 수직벽이 부착된 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수직벽(52)이 지지대(50)에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무선방식에 의한 LED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방식은 전도판을 사용하므로, 먼저 전도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도판의 단면도이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도판(400)은 3개의 층을 포함하고 있다. 즉, 하부전도층(420), 절연층(410), 상부전도층(4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전도층(420)과 상부전도층(430)은 구리, 알루미늄, 철, 은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절연층(410)은 상부전도층(430)과 하부전도층(420) 사이에 위치하는 층으로서, 종이, 나무, 유리, 고무, 합성수지, 고분자화합물과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절연층의 일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만든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도판은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딱딱한 판자 형태로 휘어질 수 없는 재질로도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부전도층(430)과 하부전도층(420)은 각각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양극과 음극에 연결되어서 상부전도층(430)과 하부전도층(420)은 각각 양극과 음극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전도층(430)과 하부전도층(420)은 각각 양극과 음극 중의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면 되므로, 상부전도층(430)이 반드시 양극에 연결될 필요는 없다. 절연층(410)은 양극과 음극의 역할을 하는 상부전도층(430)과 하부전도층(420)의 절연을 유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상부전도층(430), 절연층(410)과 하부전도층(420)의 접합은 공지된 방법으로 이루어지면 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도판(4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구(450)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구(450)는 무선방식의 LED 어셈블리가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결합구(450)는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은 주문자 생산방식에 의해 생산될 경우 적당한 위치에 결합구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은 LED 어셈블리를 원하는 간격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유 자재로 제작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방식에 의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방식의 LED 어셈블리(500)는 LED(1), 고정부(30), 투광부(10)와 베이스(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된 유선방식과 중복되는 부분인 LED(1), 고정부(30), 투광부(1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 형태가 일부 상이한 베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70)는 전도판(4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450)에 결합하며, 받침부(71)와 측벽(73)을 포함하고 있다. 도 19는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무선방식에서의 측벽(73)에는 2개이 측벽홈(74)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유선방식의 베이스와는 다소 상이하다.
도 20은 무선방식의 LED 어셈블리에서 LED와 고정부의 평면도이다. LED와 고정부는 베이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무선방식에서의 고정부(30)에는 각각 LED(1)의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2개의 날개판(33, 34)이 부착되어 있다. 2개의 날개판(33, 34)은 상기된 베이스(70)의 측벽홈(74)을 관통하게 된다. 2개의 날개판(33, 34) 중의 하나는 LED(1)의 양극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LED(1)의 음극에 연결된다. 여기서 2개의 날개판 중의 하나의 날개판(34)은 하부전도층(420)의 하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날개판(33)은 상부전도층(4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전도층(4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날개판(33)은 고정부의 상부에서 고정부에 연결되고, 하부전도층(4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날개판(34)은 고정부의 하부에서 고정부에 연결된다. 무선방식의 경우에는 고정부에 전선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날개판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된 전원은 상부전도층(430)과 하부전도층(420) 및 2개의 날개판(33, 34)을 통하여 LED(1)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의 날개판은 판형의 전도체 뿐 아니라, 원형의 전선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는 그 형상과는 관계없이 전도판(400)과 LED(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날개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300)는 LED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LED 어셈블리에 LED 발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예로서 축전기, 밧데리, 직류전원, 솔라셀, 또는 하이브리드 중의 어느 하나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및 소지의 편리성을 고려할 때 밧데리를 사용한다. 전원공급부는 상의에 부착될 수 있도록 고리 등을 구비하고 있거나 주머니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와 LED의 전기적인 연결은 유선방식에서는 단순히 전선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무선방식에는 전도판의 재질 등의 이유로 납땜등의 통상적인 연결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도 21과 도 22는 전원공급부와의 연결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도판에는 상부접합부(460)와 하부접합부(470)가 있으며, 상부접합부(460)에는 상부전도층(430)과 절연층(410)만 존재하고, 하부접합부(470)에는 하부전도층(420)과 절연층(410)만 존재한다. 상부접합부(460)와 하부접합부(470)에는 각각 볼트(461,471)와 너트(463,473)를 결합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상기 볼트와 함께 금속와셔(462,47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와셔(462,472)에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700)이 납땜(464,474)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도판에는 볼트(481)와 너트(483)를 결합시키기 위한 홈이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홈에 끼워지는 볼트(481)는 전기적인 절연인 물질, 예를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볼트(481)에 결합하는 너트(483)와 금속와셔(482)는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물질로 만든다. 너트(483)와 금속와셔(482)에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700)이 납땜(484,485)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무선방식의 LED 어셈블리를 사용한 경우에는 전도판이 어깨띠부의 외부층과 내부층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외부층에는 투광부가 씌워진 LED가 관통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층과 외부층의 가장자리 부분은 접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본체에 부착되는 LED 어셈블리는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빛확산캡을 추가로 부착시킬 수 있다. 빛 확산캡은 볼록 또는 오목형태나 평평한 형태의 형상을 띨 수 있으며 LED 빛의 확산 및 분산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3은 빛확산캡이 추가로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빛확산캡(80)은 LED(1)를 감싸는 형태이며, 빛확산캡(80)의 하부는 고정부(30)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부(30)의 하부에서 LED(1)의 측면으로 얇은 벽을 형성하며 상부로 올라가서, LED(1)의 상부에서 볼록, 오목 또는 평평한 형태의 빛 확산용 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한 빛확산캡(80)은 수직벽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볼록, 오목 또는 평평한 형태의 빛 확산용 렌즈가 수직벽에 부착된 형태가 된다. LED(1)에서 방사된 빛을 빛확산캡(80)에서 1차로 더욱 넓게 분산되고, 다시 빛확산캡(80) 외부에 위치하는 박막투광부와 후막 투광부에 의해 2차로 더욱 넓게 분산된다.
본 발명에의 LED 어셈블리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광부의 상부에 폴리카보네이트층을 추가로 부착시킬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빛의 확산성이 크고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아 매우 안정적인 느낌의 빛을 방출한다. 투광부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확산된 빛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통과하면서 2차로 확산되면서 안정적인 느낌의 빛으로 바뀌어서 전체적으로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24은 폴리카보네이트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광부(10)의 상부에 폴리카보네이트층(84)이 부착된다. 여기서 부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층(84)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빛의 확산을 위해서는 상부가 볼록렌즈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층(84)은 투광부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투광부의 상부에 음각을 하여 형성된 홈에 폴리카보네이트층(84)을 삽입함으로서 간단히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LED 어셈블리에서 방출되어지는 LED 빛을 넓게 확산시키기 위해서 LED의 상부와 대하는 투광부의 하부에는 확산층이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도 25는 확산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확산층(86)은 빛을 최대한 확산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만들며, 특히 난반사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크리스탈을 포함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층(86)에 의한 난반사에 의해 1차로 확산된 빛은 투광부(10)를 통과하면서 더욱 확산되어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LED 어셈블리에 의해 비추어지는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확산층(86)은 투광부(10)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투광부에 형성된 홈에 확산층(86)을 삽입함으로서 간단히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는 커넥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6은 커넥터의 형태를 가지는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넥터의 형태를 가지는 고정부는 LED(1)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형태이다. 즉, 고정부에는 LED가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LED 연결홈(38)이 2개 설치되어 있어서, LED(1) 하부의 2개의 연결부(2)가 결합하게 된다. LED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투광부(10)를 열고 단순히 LED(1)를 잡아당겨서 분리한 후에 새로운 LED를 교체하여 넣으면 수리가 완료된다. 즉, LED가 파손등의 사유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LED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LED(1)가 투광부(10)에 끼워지는 과정에 투광부(10)의 LED(1)가 끼워지는 부분의 공기가 LED(1)가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어서 장시간 사용시 LED(1)가 압축공기에 의해 밀려서 LED(1) 부분과 투광부(10)가 분리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투광부(10)의 내부에 공기배출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공기배출수단은 공기배출홈(18) 또는 엠보싱(19)을 들 수 있다. 도 27은 두 개의 공기배출홈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28는 도 27의 AA부분 단면도이다. 도 27와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광부(10) 내부의 LED(1)와 접하는 부분에 LED(1)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배출홈(18)은 LED(1)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투광부(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9는 엠보싱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9에서와 같이, 투광부(10) 내부의 LED(1)와 접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LED(1)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투광부(10) 내부의 공기는 엠보싱(19)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투광부 내부의 과도한 압축공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공기배출홈(18) 또는 엠보싱(19)은 LED의 측면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대의 측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LED 어셈블리는 투광부(10)의 저면에 반사판이 형성되어, LED에서 방출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켜서 시인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1:LED
10:투광부
30:고정부
100:유선방식의 LED 어셈블리
200:어깨띠부
300:전원공급부
400;전도판
500;무선방식의 LED 어셈블리

Claims (18)

  1. 홍보문구가 기재된 어깨띠부;
    상기 어깨띠부의 기재된 홍보문구의 상부면에 부착된 다수의 LED 어셈블리; 및
    상기 LED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LED 어셈블리에 LED 발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및
    상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되,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고 있는 투광부; 및
    투광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LED와 접하는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띠부는
    홍보문구가 기재된 외부층과
    상기 외부층과 결합하는 내부층을 포함하며,
    상기 LED는 상기 외부층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셈블리는 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테두리가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부로 연결되어 LED를 둘러싸는 측벽; 및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며 상기 전선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LED의 양극과 음극을 관통하는 연결나사에 의해 LED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전선연결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셈블리는 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하부에 LED가 삽입될 수 있는 하부개방구가 형성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서 상부로 연결되어 LED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하부에는 어깨띠부에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어깨띠.
  8. 홍보문구가 기재된 어깨띠부;
    상기 어깨띠부의 기재된 홍보문구의 상부면에 부착된 다수의 LED 어셈블리; 및
    상기 LED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LED 어셈블리에 LED 발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되,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고 있는 투광부;
    상기 LED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LED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날개판;
    상기 고정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테두리가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상부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날개판이 삽입되는 2개의 측벽홈이 형성되어 있는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베이스; 및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하부 전도층과 상기 절연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상부 전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도판을 포함하고,
    상기 LED와 접하는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부의 측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외부에는 상기 LED를 둘러싼 빛확산캡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빛확산캡은 하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부의 하부에서 LED의 측면을 따라서 얇은 벽을 형성하며 LED의 상부로 올라가며, LED의 상부에는 볼록, 오목 또는 평평한 형태의 빛 확산용 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의 상부에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1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상부와 대하는 상기 투광부의 내부에는 확산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13. 삭제
  14.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커넥터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판에는 상부전도층과 절연층만 존재하는 상부접합부와 하부전도층과 절연층만 존재하는 하부접합부가 있으며, 상기 상부접합부와 하부접합부에는 각각 볼트와 너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상기 볼트와 함께 금속와셔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와셔에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판에는 볼트와 너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는 비전도성물질로 만들어졌고, 상기 홈에는 상기 볼트와 함께 금속와셔 및 너트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와셔와 너트에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17.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를 둘러싸고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며 저면이 평평하며,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부;
    상기 LED의 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부; 및
    상기 투광부와 밀착되어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내부에 LED를 수용하여 LED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LED와 접하는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는 LED 어셈블리의 어깨띠의 부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가 어깨띠부의 끼움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가 끼움공의 하부에서 상기 투광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어깨띠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18.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를 둘러싸고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며 저면이 평평하며,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며, 그 직경이 인접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투광부;
    상기 LED의 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LED와 접하는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는 LED 어셈블리의 어깨띠의 부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어깨띠부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어깨띠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KR1020100033354A 2010-04-12 2010-04-12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KR10109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354A KR101096653B1 (ko) 2010-04-12 2010-04-12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PCT/KR2011/002538 WO2011129569A2 (ko) 2010-04-12 2011-04-11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홍보용품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354A KR101096653B1 (ko) 2010-04-12 2010-04-12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976A KR20110113976A (ko) 2011-10-19
KR101096653B1 true KR101096653B1 (ko) 2011-12-21

Family

ID=4502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354A KR101096653B1 (ko) 2010-04-12 2010-04-12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6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705A (ja) * 1999-01-18 1999-10-05 Ryoji Wada 夜光反射チョッ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705A (ja) * 1999-01-18 1999-10-05 Ryoji Wada 夜光反射チョッ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976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35963A1 (en) Lighted reflective sculpture
CN206812916U (zh) 一种发光车标
US20040189604A1 (en) Computer mouse with ornamental light source
KR100967552B1 (ko) 전도판을 이용한 무선 led 모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부착한 광고판
CN107599995A (zh) 一种汽车发光标牌
KR101096653B1 (ko)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어깨띠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CN201739799U (zh) 一种柔性软灯条
US9371978B2 (en) Solar panel assembly with a lighting pattern and including conductors sandwiching a dielectric substance
KR101096665B1 (ko) 전도판을 이용한 led 모듈을 부착한 교통안전표지판
JP2012517713A (ja) 視認性と形態性が向上したledアセンブリ、これの取り付け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バナー
KR101096661B1 (ko)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 피켓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KR101096648B1 (ko) 시인성이 향상된 배너
KR101096625B1 (ko) Led가 부착된 누드사인
CN209893304U (zh) 可变换点灯效果的光学模块
KR101096627B1 (ko) 시인성이 향상된 간판
US20050024869A1 (en) Illuminated pattern device
KR100954266B1 (ko) 시인성과 형태성이 향상된 led 어셈블리 및 이의 부착방법
KR101225521B1 (ko)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매트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WO2011129569A2 (ko) 시인성이 향상된 발광홍보용품 및 이에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방법
CN209932757U (zh) 一种虹膜识别采集模组
CN215835204U (zh) 电源设备及其面盖
KR102509536B1 (ko) Led 방수 구조
CN202182418U (zh) 一种导光装置
US11828441B2 (en) LED lamp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process
CN216627611U (zh) 一种发光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