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462B1 - 전기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462B1
KR101096462B1 KR1020090080401A KR20090080401A KR101096462B1 KR 101096462 B1 KR101096462 B1 KR 101096462B1 KR 1020090080401 A KR1020090080401 A KR 1020090080401A KR 20090080401 A KR20090080401 A KR 20090080401A KR 101096462 B1 KR101096462 B1 KR 10109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ing member
locking
shaft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902A (ko
Inventor
강충완
Original Assignee
(주)씨큐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큐에이스 filed Critical (주)씨큐에이스
Priority to KR1020090080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4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46Electric or magnetic means in the striker or on the frame; Operating or controlling the striker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 잠금장치에서 핀 또는 플런저의 구조를 변경하여 전기 잠금장치 언락킹 시에 잠금장치 락킹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더라도 잠금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하우징이나 도어 프레임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전기 잠금장치는, 배면과 상측면 및 하측면이 개방되고, 일측면에는 락킹 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며, 개방구를 통해 락킹 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의 상측을 고정하기 위한 상측 샤프트 홀과, 도어 언락킹 시 락킹 부재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편과, 샤프트의 하측을 고정하기 위한 하측 샤프트 홀이 형성된 샤프트 고정돌기가 배면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개방된 상측면에 안치되는 솔레노이드 케이스; 솔레노이드 케이스 내부에 구성된 중공의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 중공부분에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락킹 부재; 및, 하우징의 개방부를 통해 전면에 노출되는 암부재와, 하우징의 락킹 부재 공간부와 동일한 위치에 도어 락킹 시 락킹 부재가 위치하는 락킹 수단 공간부가 일측에 형성된 회동편이 형성된 락킹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 잠금장치,

Description

전기 잠금장치{Electric strike lock}
본 발명은 전기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 잠금장치에서 고정수단으로 이용되는 핀과 플런저 및 하우징의 구조를 변경하여 잠금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이나 도어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 가정, 상점, 정부 기관, 기업 등은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은 저가의 단순 자물쇠에서 복잡한 기계적 메커니즘을 가진 고가의 기계적 장치와 기계적 메커니즘에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전자적 장치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단순 자물쇠는 열쇠 및 자물쇠의 기계적인 정합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실현하고 있다.
하지만, 집, 사무실, 자동차, 컴퓨터, 금고 등 출입통제가 필요한 장치가 많아질수록 휴대해야 할 열쇠의 수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많은 열쇠를 휴대하기 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쇠 꾸러미에서 특정 자물쇠와 대응되는 키를 손쉽게 찾아내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단순 자물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키 입력부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 방식, 마그네틱 띠(Magnetic Stripe)를 입힌 마그네틱 카드 방식, RF(Radio Frequency) 카드 방식,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방식 등을 이용한 다양한 전자식 잠금장치(digital door lock)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잠금장치는 키를 이용한 수동식 잠금장치의 보안 기능을 개선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도어록은 핸들(handle) 등의 회전수단이 갖는 회전메카니즘에 의해 하우징 외부로 돌출 및 삽입되면서 일시적으로 락킹 및 언락킹되는 래치(latch)를 가지고 있다. 또한, 래치에 의한 록킹의 불안전함을 보호하고자 래치의 회전 메카니즘과는 별도의 회전 메카니즘에 의해 락킹 및 언락킹되는 데드볼트(deadbolt)가 설치되면서 래치 및 데드볼트에 의한 이중 락킹 구조를 갖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잠금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잠금장치는 전기 스트라이크 락(Electric strike lock)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 전기 스트라이크 락은 하우징(1)과, 래치(2)와, 데드볼트(3)가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1)은 전기 스트라이크 락의 몸체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하우징(1) 상측 및 하측에는 스트라이크 락을 도어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공(4)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래치(2)는 하우징(1) 외부로 돌출 및 삽입되면서 일시적으로 전기 스트라이크 락을 락킹 및 언락킹시킨다. 데드볼트(3)는 래치(1)에 의한 록킹의 불안전함을 보호하고자 래치(1)의 회전 메카니즘과는 별도의 회전 메카니즘에 의해 락킹 및 언락킹된다. 도 1에서는 데드볼트(3)가 락킹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데드볼트(3)에 의한 언락킹 상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스트라이크 락이 언락킹 상태가 되면 데드볼트(3)가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래치(2)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전기 잠금장치를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1)은 배면과 상측면 및 하측면이 개방되고, 일측면에는 좌우회동하는 데드볼트(3)가 설치되는 개방구(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에는 데드볼트(3)를 고정하기 위한 상측 샤프트 홀(16)과 잠금장치로 이용되 는 제 1 핀(21)이 개재되는 제 1 핀 챔버(17)가 형성된 상측 고정편(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에는 하측 샤프트 홀(18)이 형성된 하측 고정돌기(14) 및 제 1 핀(2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잠금장치로 이용되는 제 2 핀(22)이 개재되는 제 2 핀 챔버(19)가 형성된 핀 고정돌기(15)가 배면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의 개방된 상측면 내부에는 솔레노이드 케이스(10)가 안치되고, 솔레노이드 케이스(10) 내부에는 중공의 솔레노이드(11)가 구성된다. 한편, 솔레노이드(11) 중공부분에는 솔레노이드(11)의 동작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아지는 형태의 원통형의 플런저(12)가 구성된다.
데드볼트(3)는 하우징(1) 전면에 노출되는 암부재(31)와, 하우징(1) 측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동편(32)으로 구성된다. 이때, 회동편(32) 중 하우징(1)의 상측 고정편(13)에 인접한 상부의 회동편(32)에는 하우징(1)의 상측 샤프트 홀(16)과 동일한 위치에 데드볼트 상측 샤프트 홀(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의 제 1 핀 챔버(17)와 동일한 위치에 제 2 챔버(34)가 형성된 회동 돌기(35)가 구성된다. 한편, 회동편(32)의 하부에는 하우징(1)의 하측 샤프트 홀(18)과 동일한 위치에 데드볼트 하측 샤프트 홀(36)을 갖는 고정 돌기(37)가 형성된다. 이때, 샤프트(6)는 상측 샤프트(61)와 하측 샤프트(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핀 챔버(34) 하부에는 하우징(1)에 장착되어 전기 잠금장치 언락시 제 2 핀(22)을 제 3 핀(23) 방향으로 밀어주는 판 스프링(8)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종래 전기 잠금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락 상태 시 핀 챔버에서의 핀과 플런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 시 핀 챔버에서의 핀과 플런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이면서 데드볼트 회전 시 핀 챔버에서의 핀과 플런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종래 전기 잠금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잠금장치의 락킹을 위한 전원을 솔레노이드(11)에 공급하면 플런저(12)가 하부의 제 1 핀(21)을 누르게 되고, 제 1 핀(21)은 제 3 핀(23)을 누르게 되고, 제 3핀(23)은 하부의 제 2 핀(22)을 누르게 된다. 이때, 제 1 핀(21)은 제 1 챔버(17)와 제 3 챔버(34) 내부까지 들어가게 된다. 그에 따라 샤프트(6)에 고정되어 회동하도록 된 데드볼트(3)의 회동편(32)은 제 1 핀(21)에 걸려 회동하지 못하게 되어 전기 잠금장치가 락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반대로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킹을 위해 전원을 차단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12)는 하우징(1)에 마련된 판 스프링(8)이 제 2 핀(22)을 밀어 올리고, 제 2 핀(22)이 밀어 올려짐에 따라 차례로 밀어 올려지는 제 3 핀(23) 및 제 1 핀(21)이 각각의 챔버(17)(34)(19)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따라 그에 따라 샤프트(6)에 고정되어 회동하도록 된 데드볼트(3)의 회동편(32) 역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때 데드볼드(3)의 회동편(32)이 회동하게 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핀(21)이 제 1 챔버(17)에서 분리될 수 있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동편(32)중 제 1 핀(21) 하부에 위치하는 회동편(32)의 일부분이 제 1 핀(21)의 하부를 받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회동편(32)의 일부분이 필수적으로 제 1 핀(21)의 하부를 받치는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한다.
참고로, 제 1 핀(21)의 경우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 약 1톤(ton)의 압력까지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기는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전기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기 잠금장치 락킹 시 외부에서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킹 동작 전에 미리 도어를 열려고 하거나, 외부에서 강제로 침입하고자 하는 경우 회동편에 의해 제 1 핀이 계속해서 충격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고의이던, 실수이던 간에 제 1 핀에는 계속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제 1 핀은 물론 회동편 및 도어 프레임 모두에 압력으로 이어지고, 그에 따라 전기 잠금장치의 하우징이나 및 도어 프레임 모두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정수단으로 이용되는 핀과 플런저 및 하우징의 구조를 변경하여 잠금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이나 도어 프레임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면과 상측면 및 하측면이 개방되고, 일측면에는 락킹 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며, 개방구를 통해 락킹 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의 상측을 고정하기 위한 상측 샤프트 홀과, 도어 언락킹 시 락킹 부재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편과, 샤프트의 하측을 고정하기 위한 하측 샤프트 홀이 형성된 샤프트 고정돌기가 배면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개방된 상측면에 안치되는 솔레노이드 케이스; 솔레노이드 케이스 내부에 구성된 중공의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 중공부분에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락킹 부재; 및, 하우징의 개방부를 통해 전면에 노출되는 암부재와, 하우징의 락킹 부재 공간부와 동일한 위치에 도어 락킹 시 락킹 부재가 위치하는 락킹 수단 공간부가 일측에 형성된 회동편이 형성된 락킹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하우징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하우징을 도어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스크류 홀이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 일측면에는 솔레노이드 케이스를 하우징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홀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하우징과 나사 결합되는 결합 홈 또는 결합 홀이 형성되고, 솔레노이드 케이스 하부에는 락킹 부재가 락킹 또는 언락킹을 위해 이동하기 위한 이동 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락킹 부재는 솔레노이드에 위치하는 상부 락킹 부재와 락킹 수단의 락킹 또는 언락킹을 위해 락킹 수단 공간부에 위치하거나 고정편의 공간부에 위치하는 하부 락킹 부재 및 상부 락킹 부재와 하부 락킹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락킹 부재의 하부 락킹 부재 중 락킹 수단의 락킹 수단 공간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측면으로 30°내지 60°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 락킹 부재와 하부 락킹 부재는 각각 원통형 또는 사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락킹 부재의 직경은 이동 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락킹 수단의 회동편 중 하우징의 고정편에 인접한 회동편에는 고정편의 상측 샤프트 홀과 동일한 위치에 샤프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락킹 수단 상측 샤프트 홀이 형성되고, 회동편의 하부에는 하우징의 하측 샤프트 홀과 동일한 위치에 샤프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락킹 수단 하측 샤프트 홀이 형성된 고정 돌기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샤프트는 하우징의 상측 샤프트 홀과 락킹 수단의 상측 샤프트 홀을 통해 하측 샤프트 홀까지 구성되는 상측 샤프트와, 하우징의 하측 샤프트 홀을 통해 락킹 수단의 하측 샤프트 홀까지 구성되는 하측 샤프트로 구성되거나, 상측 샤프트 홀을 통해 하측 샤프트 홀에 삽입되거나, 하측 샤프트 홀을 통해 상측 샤프트 홀로 샤프트를 삽입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샤프트 중 상측 샤프트 홀 삽입 부분과, 하측 샤프트 홀 삽입 부분은 나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는 언락킹 시 락킹 부재가 락킹 수단의 공간부에서 고정편의 공간부로 이동하도록 권선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정수단으로 핀과 플런저 대신 일체형의 고정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잠금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둘째, 고정부재에 경사면을 갖도록 하여 비정상상태에서 전기 잠금장치의 락킹을 시도하는 경우 고정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하우징이나 도어 프레임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잠금장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잠금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장착되며 좌우 회동하는 것에 따라 전기 잠금장치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락킹 수단(300)과, 하우징(100)에 안치되며 솔레노이드(220) 동작에 따라 락킹 수단(300)의 회동을 제어하는 락킹 부재(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배면과 상측면 및 하측면이 개방되며, 일측면에는 락킹 수단(300)을 장착하기 위한 개방구(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 배면 상부 소정영역에는 락킹 수단(300)을 하우징(100)에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400)를 고정하기 위한 상측 샤프트 홀(121)과, 도어 락킹 시 락킹 부재(230)의 하부가 위치하는 공간부(122)를 갖는 고정편(120)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0) 하부 소정영역에는 하측 샤프트 홀(131)이 형성된 샤프트 고정돌기(130)가 배면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정면에는 래치(140)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하우징(100)을 도어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스크류 홀(150)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0) 측면 중 솔레노이드 케이스(210)와 인접한 부분에는 솔레노이드 케이스(210)를 하우징(1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홀(160)이 구성된다.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측면에는 하우징(100)의 결합 홀(160)을 통해 하우징(100)과 나사결합되는 솔레노이드 케이스(210)가 안치된다. 이를 위하여 솔레노이드 케이스(210)에도 하우징(100)의 결합홈(160)과 수평한 부분에 결합 홈(또는 결합 홀)(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케이스(210) 하부에는 락킹 부재(230)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홀(240)이 형성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케이스(210) 내부에는 중공의 솔레노이드(220)가 구성되며, 솔레노이드(220) 중공부분에는 솔레노이드(220)의 동작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상측과 하측은 넓고 중간부분은 좁은 아령 형상의 락킹 부재(23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락킹 부재(230)는 도 8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락킹 부재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락킹 부재(230)는 기본적으로 상부 락킹 부재(231)와 하부 락킹 부재(232) 및 상부 락킹 부재(231)와 하부 락킹 부재(23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33)로 구성된다.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 8을 보면, 상부 락킹 부재(231)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하부 락킹 부재(232)는 마름모꼴로 구성된다. 이때, 하부 락킹 부재(232)는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일측면에 30°내지 60°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34)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234)은 락킹 수단(300) 회동 시 접촉되는 면으로써, 락킹 부재(23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킨다.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 9를 보면, 상부 락킹 부재(231)와 하부 락킹 부재(232) 모두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 락킹 부재(232)에 30°내지 60°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34)이 구성된다.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 10을 보면, 상부 락킹 부재(231)는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하부 락킹 부재(232)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하부 락킹 부재(2323)에 30°∼ 60°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34)이 구성되어 있다.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 11를 보면, 상부 락킹 부재(231)는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하부 락킹 부재(232)는 마름모꼴로 구성된다. 이때, 하부 락킹 부재(232)는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일측면에 30°∼60°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34)이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 하부 락킹 부재(232)의 경사면(234)은 락킹 수단(300) 회동 시 락킹 수단(300)과 접촉되는 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하부 락킹 부재(232)의 경사면(234)은 비정상적으로 락킹 수단(300)이 회동되는 경우 락킹 수단(300)에 의한 압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이나 도어 프레임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락킹 부재(230)는 상부 락킹 부재(231)를 솔레노이드(220)하부에서 상측으로 끼우고, 이동 홀(240)을 통해 솔레노이드(220)와 함께 솔레노이드 케이스(210)에 안치시킨다. 또한 상부 락킹 부재(231)의 직경은 이동 홀(240)의 직경 보다 크게 구성하여 잠금 장치의 락킹 시 락킹 부재(230)가 이동 홀(240)을 통해 솔레노이드 케이스(210)에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락킹 수단(300)은 하우징(100) 전면에 노출되는 암부재(310)와, 하우징(100) 측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동편(3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동편(320) 중 하우징(100)의 상측 고정편(120)에 인접한 상부의 회동편(320)에는 고정편(120)의 상측 샤프트 홀(121)과 동일한 위치에 샤프트(400)를 통과시키기 위한 락킹 수단 상측 샤프트 홀(330)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공간부(122)와 동일한 위치에는 락킹 부재(230)의 하부 락킹 부재(232)가 위치하는 락킹 수단 공간부(340)가 구성된 걸림턱부재(350)가 구성된다. 도어 락킹 시에는 걸림턱부재(350)와 하부 락킹 부재(232)에 걸림으로써 도어 락킹을 유지한다.
한편, 회동편(320)의 하부에는 하우징(100)의 하측 샤프트 홀(131)과 동일한 위치에 샤프트(400)를 통과시키기 위한 락킹 수단 하측 샤프트 홀(360)이 형성된 고정 돌기(370)가 구성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7에 나타낸 샤프트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샤프트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샤프트(400)는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샤프트(410)와 하 측 샤프트(420)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측 샤프트(410)는 하우징(100)의 상측 샤프트 홀(121)과 락킹 수단(300)의 상측 샤프트 홀(330)을 통해 하측 샤프트 홀(360)까지 구성된다. 한편, 하측 샤프트(420)는 하우징(100)의 하측 샤프트 홀(131)을 통해 락킹 수단(300)의 하측 샤프트 홀(360)까지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0)의 상측 샤프트 홀(121)과 하측 샤프트 홀(131)은 각각 나사 홀로 구성한다. 또한, 상측 샤프트(410)의 상부 중 상측 샤프트 홀(121) 삽입 부분과, 하측 샤프트(420)의 하부 중 하측 샤프트 홀(131) 삽입 부분은 나사(411)(421)로 구성한다.
샤프트(40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측 샤프트(410,4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측 샤프트 홀(121)을 통해 하측 샤프트 홀(131)에 삽입하거나, 하측 샤프트 홀(131)을 통해 상측 샤프트 홀(121)로 샤프트(400)를 삽입한다. 이때, 샤프트(400)에서 상측 샤프트 홀(121) 삽입 부분과, 하측 샤프트 홀(131) 삽입 부분은 나사(401)(402)로 구성한다.
한편, 스프링(500)은 락킹 수단(300)이 언락킹 된 후 자동으로 락킹될 수 있도록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하는데, 샤프트(400)를 상측 샤프트 홀(330)이나 하측 샤프트 홀(360)에 일부 끼운 후, 스프링(500)을 샤프트(400)에 끼운다.
도 14는 도 7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락 상태 시 락킹 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7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 시 락킹 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은 도 7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 시 핀 락킹 수단과 락킹 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전기 잠금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 전기 잠금장치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전기 잠금장치의 락킹을 위하여 솔레노이드(22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락킹 부재(230)는 도어 락킹이 되도록 락킹 부재(230)의 하부 락킹 부재(232)가 락킹 수단 공간부(340)에 위치한다. 이때,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락킹 수단(300)이 비정상적으로 회동하는 경우 락킹 수단(300)의 걸림턱 부재(350)가 락킹 수단 공간부(340)에 위치한 하부 락킹 부재(232)의 경사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잠금 장치는 락킹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하우징이나 도어 프레임에 가해지는 락킹 수단(300)으로부터의 압력이 최대한 분산된다. 이때, 하부 락킹 부재(232)는 걸림턱 부재(350)의 뒤편에 위치한 것으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한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킹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20)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때, 솔레노이드(220)는 철성분이 포함된 락킹 부재(230)가 락킹을 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도선을 구성(권선)하거나 전원을 반대로 공급한다.
따라서, 언락킹 시 락킹 부재(230)의 하부 락킹 부재(232)는 락킹 수단 공간부(340)에서 고정편(120)의 공간부(122)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락킹 수단(300)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킹 수단(300)을 회동시켜 도어를 열수 있 게 된다. 이때 걸림턱 부재(350)는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하여 도면상에 표시되지 않았으며, 공간부(350)가 완전히 노출되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잠금장치의 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락 상태 시 핀 챔버에서의 핀과 플런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 시 핀 챔버에서의 핀과 플런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 시 데드볼트의 회전에 따른 핀과 플런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락킹 부재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도 7에 나타낸 샤프트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샤프트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7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락 상태 시 락킹 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7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 시 락킹 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7에 나타낸 전기 잠금장치의 언락 상태 시 락킹 수단과 락킹 부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10 : 개방구
120 : 고정편 121 : 상측 샤프트 홀
122 : 공간부 130 : 샤프트 고정돌기
131 : 하측 샤프트 홀 140 : 래치
150 : 하우징 스크류 홀 160 : 결합 홀
210 : 솔레노이드 케이스 220 : 솔레노이드
230 : 락킹 부재 240 : 이동 홀
250 : 결합 홈 300 : 락킹 수단
310 : 암부재 320 : 회동편
330 : 락킹 수단 상측 샤프트 홀 340 : 공간부
350 : 걸림턱 부재
360 : 락킹 수단 하측 샤프트 홀 370 : 고정돌기
400, 410, 420 : 샤프트 500 : 토션 스프링

Claims (11)

  1. 배면과 상측면 및 하측면이 개방되고, 일측면에는 락킹 수단(300)을 장착하기 위한 개방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110)를 통해 상기 락킹 수단(300)을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400)의 상측을 고정하기 위한 상측 샤프트 홀(121)과, 도어 언락킹 시 락킹 부재(230)가 위치하는 공간부(122)가 형성된 고정편(120)과, 상기 샤프트(400)의 하측을 고정하기 위한 하측 샤프트 홀(131)이 형성된 샤프트 고정돌기(130)가 배면내부에 형성된 하우징(100);
    일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00)과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 홈(250) 또는 결합 홀과, 하부에는 상기 락킹 부재(230)가 락킹 또는 언락킹을 위해 이동하도록 형성된 이동 홀(240)이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측면에 안치되는 솔레노이드 케이스(210);
    상기 솔레노이드 케이스(210) 내부에 구성된 중공의 솔레노이드(220);
    상기 솔레노이드(220) 중공부분에 상기 솔레노이드(220)의 구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락킹 부재(230); 및,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부를 통해 전면에 노출되는 암부재(310)와, 상기 하우징(100)의 공간부(122)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도어 락킹 시 락킹 부재가 위치하는 락킹 수단 공간부(340)가 일측에 형성된 회동편(320)이 구성된 락킹 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00)을 도어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스크류 홀(15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 일측면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케이스(210)를 상기 하우징(100)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홀(160)이 더 구성됨을 특징을 하는 전기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230)는 상기 솔레노이드(220)에 위치하는 상부 락킹 부재(231)와 상기 락킹 수단(300)의 락킹 또는 언락킹을 위해 상기 락킹 수단 공간부(340)에 위치하거나, 상기 고정편(120)의 공간부(122)에 위치하는 하부 락킹 부재(232) 및 상부 락킹 부재(231)와 하부 락킹 부재(23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230)의 상기 하부 락킹 부재(232) 중 상기 락킹 수단(300)의 락킹 수단 공간부(340)에 위치되는 부분은 30°내지 60°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34)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잠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락킹 부재(231)와 하부 락킹 부재(232)는 각각 원통형 또는 사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잠금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락킹 부재(231)의 직경은 상기 이동 홀(240)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잠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수단(300)의 상기 회동편(320) 중 상기 하우징(100)의 고정 편(120)에 인접한 회동편(320)에는 상기 고정편(120)의 상기 상측 샤프트 홀(121)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샤프트(400)를 통과시키기 위한 락킹 수단 상측 샤프트 홀(33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공간부(122)와 동일한 위치에는 상기 락킹 부재(230)의 하부 락킹 부재(232)가 위치하는 상기 락킹 수단 공간부(340)가 구성된 걸림턱부재(350)가 구성되며,
    상기 회동편(320)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 샤프트 홀(131)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샤프트(400)를 통과시키기 위한 락킹 수단 하측 샤프트 홀(360)이 형성된 고정 돌기(370)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잠금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 샤프트 홀(121)과 락킹 수단(300)의 상측 샤프트 홀(330)을 통해 하측 샤프트 홀(360)까지 구성되는 상측 샤프트(41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 샤프트 홀(131)을 통해 상기 락킹 수단(300)의 하측 샤프트 홀(360)까지 구성되는 하측 샤프트(420)로 구성되거나,
    상기 상측 샤프트 홀(121)을 통해 하측 샤프트 홀(131)에 삽입되거나, 상기 하측 샤프트 홀(131)을 통해 상측 샤프트 홀(121)로 샤프트(400)를 삽입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잠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0) 또는, 상기 상측 샤프트(410) 및 하측 샤프트(420)에서 상기 상측 샤프트 홀(121) 삽입 부분과 상기 하측 샤프트 홀(131) 삽입 부분은 각각 나사(401,402) 또는, 나사(411,42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잠금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220)는 언락킹 시 상기 락킹 부재(230)가 상기 락킹 수단(300)의 공간부(340)에서 상기 고정편(120)의 공간부(122)로 이동하도록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잠금장치.
KR1020090080401A 2009-08-28 2009-08-28 전기 잠금장치 KR101096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401A KR101096462B1 (ko) 2009-08-28 2009-08-28 전기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401A KR101096462B1 (ko) 2009-08-28 2009-08-28 전기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902A KR20110022902A (ko) 2011-03-08
KR101096462B1 true KR101096462B1 (ko) 2011-12-21

Family

ID=4393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401A KR101096462B1 (ko) 2009-08-28 2009-08-28 전기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4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46B1 (ko) * 2006-09-06 2008-04-28 박영한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0907047B1 (ko) * 2007-12-13 2009-07-09 (주)이엘에스티 전자식 데드볼트 도어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46B1 (ko) * 2006-09-06 2008-04-28 박영한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0907047B1 (ko) * 2007-12-13 2009-07-09 (주)이엘에스티 전자식 데드볼트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902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2746B2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plug
CA2653935C (en) Cam lock with retractable bolt
KR101756565B1 (ko) 개선된 회전식 차단 장치
US8419083B2 (en) Electromechanical locks and latching arrangements
EP2480740B1 (en) Lockable enclosure
US9702167B2 (en) Electric lock for doors
CA2606336A1 (en) Electromechanical lock device
US7392677B1 (en) Lock core structure
RU2723831C2 (ru) Замок для двери с притвором
KR0137881B1 (ko) 카드키를 이용한 시건장치
US20010040492A1 (en) Electronic cam assembly
KR101096462B1 (ko) 전기 잠금장치
US6591644B2 (en) Ball bearing cylinder plug and key retention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387951B1 (ko)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KR102073493B1 (ko) 사용 신뢰성을 높인 공공 사용 공간의 룸용 스마트 도어락
JP2003074226A (ja) 小電力型ドアロックシステム
JP7280598B2 (ja) 電子錠
KR102425260B1 (ko) 데드볼트식 도어락
CN217380069U (zh) 一种翻盖式锁具
EP1950365A1 (en) Lock core structure
CN217783185U (zh) 一种电子应急锁的锁芯结构
CN112218996B (zh) 设备柜锁
KR20240092478A (ko) 제어반의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설비의 제어반
KR20030025502A (ko) 도어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