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554B1 -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554B1
KR101093554B1 KR1020100037624A KR20100037624A KR101093554B1 KR 101093554 B1 KR101093554 B1 KR 101093554B1 KR 1020100037624 A KR1020100037624 A KR 1020100037624A KR 20100037624 A KR20100037624 A KR 20100037624A KR 101093554 B1 KR101093554 B1 KR 101093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longitudinal
piece portion
posture
numeric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050A (ko
Inventor
안재홍
곽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세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세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세과학
Priority to KR102010003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5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와 머리 부위를 수치가 구비된 자로 검측하여, 어깨의 좌우대칭을 비교하고 목에서부터 척추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앉은 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ㄱ' 자 형태를 갖는 몸체를 갖고, 상기 몸체는,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횡수치면이 구비된 채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막대형태의 횡편부와, 상기 횡편부 말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종수치면이 구비된 종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횡수치면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눈금과 숫자가 기재된 횡단위눈금이 포함되며, 상기 종수치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눈금과 숫자가 기재된 종단위눈금을 포함하고,
상기 횡편부는, 상기 횡편부의 수평을 가늠할 수 있는 수평계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위눈금과 종단위눈금은, 상호 교차점이 상기 횡,종단위눈금의 시작점이게 된다.

Description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CONDITION CONFIRMATION AND MEASURING}
본 발명은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와 머리 부위를 수치가 구비된 기구로 검측하여, 어깨의 좌우대칭을 비교하고 목에서부터 척추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요통(腰痛)은 현대인에게 있어 잘 알려진 질병중 하나인데 이는 오랜 시간 바르지 못한 자세로 앉아 있거나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는 등의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요통은 대게 척추(脊椎)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로 척추의 휨 손상으로부터 연유되기도 한다.
상기 척추는 인간의 몸체를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근본이기도 하다.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있어 바른 자세는 더욱 필요 시 되는 생활습관이면서, 요통 환자에게는 더욱 요구되는 것이 바로 바른 자세이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책을 보거나 컴퓨터를 하기 위해 고개를 숙이거나 허리를 앞으로 굽히는 동작이 많고, 더욱이 수험생 등의 경우 공부를 하기 위해 고개를 숙인 자세로 장시간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나쁜 자세를 반복적으로 취하다 보면 머리는 어깨보다 앞쪽으로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등은 뒤쪽으로 후퇴하여 굽게 되고, 인체 역학적인 상호 보정작용에 의해 배는 머리와 함께 앞으로 이동하게 되어 굽은 형태의 체형으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되면 목뼈는 일자 목이 되거나 전방으로 만곡 되기 쉽고, 머리는 무게로 인해 어깨선보다 앞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때, 목 뒤의 근육과 양측 어깨의 근육들은 머리가 앞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머리의 무게를 지지해야됨으로써, 근육들은 항상 경직되어 단단하게 뭉치게 된다.
이로 인해, 뒷목이 뻣뻣해지고 긴장성 두통과 함께 어깨 근육이 만질 수 없이 아프고 피로가 쉽게 오게 된다.
또한, 일자로 된 목뼈(경추) 또는 전방으로 만곡된 목뼈 부위에 무게가 가중되어 목 디스크가 목뼈에서 이탈되어 목 디스크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등이 후방으로 굽게 되어 굽어진 등의 척추는 관절을 뒤로 물러나가게 하기 때문에 척추(상부흉추)는 좌우로 어긋나거나 기울어지기 쉽고, 상대적으로 요추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요추 전만을 가중시켜 상체의 체중이 하부 요추에 쏠리게 되어 허리 디스크와 추간공(뼈 사이 공간)이 좁아져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허리 디스크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쁜 자세는 크고 작은 척추에 대한 혹사와 함께 나쁜 자세로 인한 중력이 집중되어 이로 인해 척추의 정상 만곡이 이루어지지 않아 척추의 마디마디가 제 위치를 찾지 못하고 이탈하여 척추질환을 포함한 근육, 인대, 디스크, 연골, 및 관절, 뼈 주위의 혈액순환, 중추 및 말초신경, 자율신경과 모든 기관들에게까지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나쁜 자세로 인해 다양한 질병이 발생 되는데 대표적으로 목, 어깨 근육의 긴장 및 통증, 만성피로,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척추측만증(脊椎側彎症:척추가 옆으로 심하게 굽은 증상. 통증은 없고 서서히 진행되는데, 내장 압박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장애를 일으키는 것),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근래에는 틀어진 앉은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해서 앉은 자세 교정장치를 사용하여 앉은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였지만, 자세를 교정한 후 에도 기존에 틀어진 자세가 습관적으로 나타나게 되어, 단시간 내에 다시 나쁜 앉은 자세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올바른 앉은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교정 의자가 제작되었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의자의 경우, 부피가 비대하고 무거워 일정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이 곤란했고, 그 설치 및 제작사용이 불편한 그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앉은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장치를 통해 앉은 자세를 바르게 잡고, 또 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수시로 앉은 자세 교정장치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고가의 교정장치를 수시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른 앉은 자세를 수시로 측정하는 시간과 장소의 제공도 원활하지 않은 그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는, 학교나 회사 및 집에서 의자 등에 오래 앉아 생활하는 현대인들의 평소 나쁜 자세로 인해 목, 어깨 근육의 긴장 및 통증, 만성피로,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등의 질병이 발생 되지 않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바른 앉은 자세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는, 평소의 틀어진 나쁜 자세를 앉은 자세 교정장치를 통해 교정한 후, 교정된 올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수시로 앉은 바른 자세를 검측할 수 있는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는,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면서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하게 바른 앉은 자세를 검측하여, 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ㄱ' 자 형태를 갖는 몸체를 갖고, 상기 몸체는,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횡수치면이 구비된 채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막대형태의 횡편부와, 상기 횡편부 말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종수치면이 구비된 종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횡수치면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눈금과 숫자가 기재된 횡단위눈금이 포함되며, 상기 종수치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눈금과 숫자가 기재된 종단위눈금을 포함하고,
상기 횡편부는, 상기 횡편부의 수평을 가늠할 수 있는 수평계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위눈금과 종단위눈금은, 상호 교차점이 상기 횡,종단위눈금의 시작점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편부는, 사람의 어깨와 수직방향으로 밀착시키고, 상기 횡편부를 통해 귀의 튀어나온 정도를 확인하며, 교정된 정도를 확인한다.
더불어, 상기 종편부는, 어깨에 밀착된 채로, 어깨로부터 귀까지의 높이를 검측하고, 상기 횡편부는, 상기 종편부로부터 귀까지의 수평거리를 검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는, 바르지 않은 자세로 의자 등에서 장시간 앉아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그 바르지 않은 자세로 인해 발생 될 수 있는 질병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는, 다른 자세 교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한 상태에서, 바른 자세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수시로 검측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는, 바른 자세유지의 검측을 수시로 할 수 있으면서도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않고, 별도의 비용소모가 발생 되지 않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의 'ㄱ' 자 형태를 갖는 몸체(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의 몸체(10)와 수평계(120)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를 통하여, 올바른 앉은 자세로 자세를 교정한 사용자 또는 앉은 자세를 교정하지 않은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시로 앉은 자세를 간편하게 검측할 수 있는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인체의 올바른 앉은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올바른 앉은 자세를 수시로 검측하기 위한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몸체(10)는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의 'ㄱ' 자 형태를 갖는 몸체(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는, 앉은 자세 교정장치에 의해 올바른 앉은 자세를 교정받은 사용자 또는 자세를 교정받지 않은 사용자가 앉은 상태를 수시로 검측하여,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0)는,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횡수치면(110)이 구비된 채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막대형태의 횡편부(100)와, 상기 횡편부(100) 말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종수치면(210)이 구비된 종편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횡편부(100)는, 상기 횡편부(100)가 수평을 유지하는지 외부에서 확인가능한 수평계(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에 의한 상기 몸체(10)의 구성과 기능을 보다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몸체(10)는, 'ㄱ' 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ㄱ' 형태에서 상기 횡편부(100)는, 수평방향의 막대 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종편부(200)는, 상기 횡편부(100) 말단에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 판 형태를 이룬다.
특히, 상기 횡편부(100)는, 수평 길이방향의 수치를 검측할 수 있도록 된 횡수치면(110)을 형성한다.
이렇게 수평 길이방향 수치의 검측을 위해서, 도시된 상기 횡수치면(110)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눈금과 숫자가 기재된 횡단위눈금(111)을 갖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횡단위눈금(111)은, 상기 횡편부(1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원활하게 식별 및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횡단위눈금(111)은, 상기 횡편부(100)가 투명소재로 구성될 경우, 상기 횡편부(100)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횡수치면(110)은, 수평방향의 수치를 검측 가능하도록 숫자, 기호, 눈금 등 어떠한 문양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다만 수평 길이방향의 수치를 원활하게 검측 가능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종편부(200)는, 상기 횡편부(100) 말단에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수직 길이방향의 수치를 검측할 수 있도록 된 종수치면(210)을 갖는다.
이렇게 수직 길이방향 수치의 검측을 위해서, 도시된 상기 종수치면(2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눈금과 숫자가 기재된 종단위눈금(211)을 갖게 된다.
이어서, 상기 종단위눈금(211)은, 상기 종편부(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원활하게 식별 및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종단위눈금(211)은, 상기 종편부(200)가 투명소재로 구성될 경우, 상기 종편부(100)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종수치면(210)은 수직방향의 수치를 검측 가능하도록 숫자, 기호, 눈금 등 어떠한 문양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다만 수직 길이방향의 수치를 원활하게 검측 가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횡단위눈금(111)과 종단위눈금(211)은, 상호 교차점이 상기 횡,종단위눈금(111, 211)의 시작점(3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시작점(30)은, 숫자 '0'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시작점(30)에서 횡편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좌측으로 갈수록 숫자가 커지게 되고, 상기 시작점(30)에서 종편부(200)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갈수록 숫자가 커지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횡편부(100)는, 상기 횡편부(100)가 수평을 유지하는지 외부에서 확인가능한 수평계(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수평계(120)는, 상기 횡편부(100)가 지속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는지 확인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상기 횡편부(100)와, 상기 횡편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종편부(200)가 보다 정확한 수치 검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몸체(10)와 수평계(120)는 이하 도 2를 참조로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의 몸체(10)와 수평계(120)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횡편부(1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102)을 구비하는데, 상기 고정홈(102)에는 상기 수평계(120)가 결합 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계(1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횡편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계(120)의 내부에 눈금을 갖는 유리관이 설치되며, 상기 유리관 내부에 기포가 형성된 액체가 봉입 되는 액체봉으로 이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횡편부(100)가 정 수평을 유지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리관 내부에 기포가 유리관의 정중앙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0)를 형성하는 재질은 제한이 없으나, 'ㄱ' 형태에서 수평을 이루는 상기 횡편부(100)와 상기 횡편부(100) 말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수직을 이루는 종편부(200)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무방하다.
일례로, 상기 몸체(10)는, 상기 횡수치면(110)과 종수치면(210)의 상기 횡단위눈금(111)과 종단위눈금(211)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금속 재로 사용 가능하고, 금속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횡단위눈금(111)과 종단위눈금(211)을 상기 몸체(10) 외면에 구비하여 외부에서 수평 및 수직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몸체(10)의 사용을 통한 자세교정 검측은, 이하 도 3을 참조로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0)는, 상기 횡편부(100)의 수평을 유지한 채로 상기 종편부(200)가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자의 등 또는 어깨에 수직으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횡편부(100)의 상부는 교정자의 귀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편부(200)는, 어깨에 밀착된 채로, 등 또는 어깨로부터 귀까지의 높이를 검측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횡편부(100)는, 상기 종편부(200)로부터 귀까지의 수평거리를 검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횡편부(100)와 종편부(200)가 교정자를 검측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상기 수평계(120)의 기포가 상기 수평계(120)의 정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횡편부(100)가 수평을 유지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어야 하고, 상기 횡편부(100)와 종편부(200)는 상호 수직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몸체(10)의 사용을 통한 자세교정 검측은, 이하 도 4를 참조로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도 4를 참조해서, 상기 횡편부(100)와 종편부(200)의 검측으로 교정자의 올바른 자세를 확인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수평계(120)를 통해 상기 횡편부(100)가 수평을 유지되었다는 것이 확인된 후, 상기 횡편부(100)와 종편부(200)가 상호 수직이 된 상태로 상기 횡편부(100)는 교정자의 귀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종편부(100)는 교정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횡편부(100)의 검측을 통해 교정자의 귀 부분부터 상기 종편부(200) 상기 시작점(30)인 숫자 '0'의 위치까지의 수평거리(L)를 확인한다.
동시에, 상기 종편부(100)의 검측을 통해 교정자의 어깨 상단부터 상기 시작점(30)인 숫자 '0'의 위치까지의 높이(H)를 확인한다.
이렇게, 귀 부위부터 어깨 부위까지 수평거리(L)와 높이(H)를 검측하되, 양측 귀와 어깨를 모두 검측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머리의 치우침 정도 즉, 목뼈의 올바른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양측 귀와 어깨를 검측한 결과는 같아야 할 것이다.
상기 높이(H)는, 어깨 상부부터 귀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교정장치를 통해 올바른 자세로 교정한 교정자가, 수시로 상기 수평거리(L)와 높이(H)를 검측하여, 자세가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횡편부(100)의 시작점(30)은, 상기 종편부(200)와의 교차점이므로, 상기 종편부(200)와 횡편부(100)의 시작점(30)은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30 : 시작점
100 : 횡편부
102 : 고정홈 110 : 횡수치면
111 : 횡단위눈금 120 : 수평계
200 : 종편부 210 : 종수치면
211 : 종단위눈금
L :수평거리 H : 높이

Claims (3)

  1. 눈금과 숫자를 기재한 횡단위눈금(111)으로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횡수치면(110)과 수평계(120)를 구비하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막대형상의 횡편부(100)와;
    눈금과 숫자를 기재한 종단위눈금(211)으로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종수치면(210)을 구비하고, 상기 횡편부(100) 말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종편부(200);를 구비한 'ㄱ'자 형태의 몸체(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횡단위눈금(111)과 종단위눈금(211)의 상호 교차점이 상기 횡단위눈금과 종단위눈금의 시작점(30)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편부(200)는,
    사람의 어깨와 수직방향으로 밀착시키고, 상기 횡편부(100)를 통해 귀의 튀어나온 정도를 확인하며, 교정된 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편부(200)는,
    어깨에 밀착된 채로, 어깨로부터 귀까지의 높이(H)를 검측하고,
    상기 횡편부(100)는,
    상기 종편부(200)로부터 귀까지의 수평거리(L)를 검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KR1020100037624A 2010-04-22 2010-04-22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KR10109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624A KR101093554B1 (ko) 2010-04-22 2010-04-22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624A KR101093554B1 (ko) 2010-04-22 2010-04-22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50A KR20110118050A (ko) 2011-10-28
KR101093554B1 true KR101093554B1 (ko) 2011-12-13

Family

ID=4503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624A KR101093554B1 (ko) 2010-04-22 2010-04-22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3031B (zh) * 2021-11-22 2023-11-21 兴宇伟业(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硅胶定型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8866A (ja) 2008-04-11 2009-11-19 Masato Hayashi 体幹機能調整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8866A (ja) 2008-04-11 2009-11-19 Masato Hayashi 体幹機能調整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50A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aus et al. Thoracic and lumbar posture behaviour in sitting tasks and standing: Progressing the biomechanics from observations to measurements
D’Attilio et al. Evaluation of cervical posture of children in skeletal class I, II, and III
Ng et al. Comparison of lumbar range of movement and lumbar lordosis in back pain patients and matched controls
Gadotti et al. Validity of surface markers placement on the cervical spine for craniocervical posture assessment
JP2016537036A5 (ko)
Harrison et al. Concurrent validity of flexicurve instrument measurements: sagittal skin contour of the cervical spine compared with lateral cervical radiographic measurements
ÖHLÉN et al. The sagittal configuration and mobility of the spine in idiopathic scoliosis
Mohan et al. Intrarater Reliability of Chest Expansion using Cloth Tape Measure Technique.
KR20160093231A (ko)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척추 교정기구
KR2020002649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척추측만증 교정 솔루션 제공 방법
Lee et al. Analysis of body imbalance in various writing sitting postures using sitting pressure measurement
KR20110137681A (ko) 인체공학적 체형 보정기구
KR101093554B1 (ko) 자세교정상태 확인 및 측정 기구
Lee et al. Variations in posteroanterior stiffness in the thoracolumbar spine: preliminary observations and proposed mechanisms
KR20170128374A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CN107874884A (zh) 一种脊柱状态监测及纠正装置
KR101527933B1 (ko) 환자 맞춤형 자세 교정 의자
KR100987092B1 (ko) 지능형 척추변형 교정기
KR102018840B1 (ko) 경추, 흉추, 요추 교정 및 통증 저감을 위한 기능성 잠옷
Kao et al. Influence of lumbar curvature and rotation on forward flexibility in idiopathic scoliosis
KR20160063951A (ko) 자세의 흐트러짐을 알려주는 휴대 장치
KR101020356B1 (ko) 체형 계측기
JP2012501786A (ja) 脊椎校正のための足枕
KR101093555B1 (ko) 앉은 자세 교정기구
Zepa et al. Trunk asymmetry and facial symmetry in young ad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