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438B1 - Wall socket having main switch - Google Patents

Wall socket having main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438B1
KR101093438B1 KR1020100020374A KR20100020374A KR101093438B1 KR 101093438 B1 KR101093438 B1 KR 101093438B1 KR 1020100020374 A KR1020100020374 A KR 1020100020374A KR 20100020374 A KR20100020374 A KR 20100020374A KR 101093438 B1 KR101093438 B1 KR 10109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witch
type
unit
bran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1397A (en
Inventor
박찬우
Original Assignee
박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우 filed Critical 박찬우
Priority to KR102010002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438B1/en
Publication of KR2011010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자제품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지며,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타측단부가 연결되어지는 B1형 스위치부와 B2형 스위치부가 구비된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콘센트부와;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를 통해서 상기 전원부 및 콘센트부에 연결되는 메인스위치부와; 그리고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콘센트부의 일측구멍에 연결되어지는 A형 전기배선부와,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100)와 연결되어지고 중간에서 2개로 분기되어지는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는 상기 콘센트부의 선택스위치 중 B1형 스위치부에 연결된 후 콘센트부의 타측구멍에 연결되어지고,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는 상기 메인스위치부에 연결된 후 상기 콘센트부의 선택스위치 중 B2형 스위치부에 연결된 후 상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와 동일한 콘센트부의 타측구멍에 연결되는 B형 전기배선부가 구비된 전기배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including a main switch unit, and more particularly,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 outlet par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the outlet part including a selection switch having a B1 type switch part and a B2 type switch part to which the other branched end of the B type electric wiring part is connected; A main switch par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and the outlet part through a second branched second end part of the B-type electric wiring par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other end is an A-type electrical wiring is connected to one hole of the outlet por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00 and branched in two in the middle, The first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hole of the outlet part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B1 type switch part of the selector switch of the outlet part, and the branched second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part and then the B2 type switch of the selector switch part of the outlet part. And a main switch part comprising an electric wiring part having a B-type electric wiring part connected to the other hole of the same outlet part as the branched first other end part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part.

Description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WALL SOCKET HAVING MAIN SWITCH}Outlet including main switch part {WALL SOCKET HAVING MAIN SWITCH}

본 발명은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자제품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지며,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타측단부가 연결되어지는 B1형 스위치부와 B2형 스위치부가 구비된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콘센트부와;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를 통해서 상기 전원부 및 콘센트부에 연결되는 메인스위치부와; 그리고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콘센트부의 일측구멍에 연결되어지는 A형 전기배선부와,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100)와 연결되어지고 중간에서 2개로 분기되어지는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는 상기 콘센트부의 선택스위치 중 B1형 스위치부에 연결된 후 콘센트부의 타측구멍에 연결되어지고,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는 상기 메인스위치부에 연결된 후 상기 콘센트부의 선택스위치 중 B2형 스위치부에 연결된 후 상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와 동일한 콘센트부의 타측구멍에 연결되는 B형 전기배선부가 구비된 전기배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including a main switch unit, and more particularly,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 outlet par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the outlet part including a selection switch having a B1 type switch part and a B2 type switch part to which the other branched end of the B type electric wiring part is connected; A main switch par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and the outlet part through a second branched second end part of the B-type electric wiring par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other end is an A-type electrical wiring is connected to one hole of the outlet por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00 and branched in two in the middle, The first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hole of the outlet part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B1 type switch part of the selector switch of the outlet part, and the branched second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part and then the B2 type switch of the selector switch part of the outlet part. And a main switch part comprising an electric wiring part having a B-type electric wiring part connected to the other hole of the same outlet part as the branched first other end part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part.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제품들은 전자제품 자체에 구비된 전원을 꺼 놓는다고 하더라도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두는 것 자체만으로도 대기전력(standby power)이 발생하며, 이러한 대기전력의 발생으로 인한 연간 전력 소모는 매우 심각한 수준에 있다. 2004년 에너지관리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평균 대기전력은 3.6W로서 3억대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총 100만KW의 전력을 소모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엄청난 에너지 손실이다.
In general, even if the electronics used at home turn off the power provided in the electronics itself, the standby power is generated by simply plugging the electronics plug into the outlet. Annual power consumption is very serious. According to the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s announcement in 2004, the average standby power of electronic equipment used in Korea is 3.6W, and 300 million units do nothing and consume a total of 1 million KW. This is not a matter of individual, but a huge loss of energy nationally.

그러나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하나하나씩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고 사용시에는 다시 콘센트에 플러그를 끼우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것이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에너지절약을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실제로 실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위치 하나로서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을 일시에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을 없앨 수 있는 콘센트와 배선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대부분이 꼭 필요 할 때만 사용하는 것(TV, 컴퓨터 등)이기 때문에 이들에게 들어가는 대기전력을 없앤다면 가정의 전기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국가적으로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에너지 고갈의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However, it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pull out the plug from the outlet one by one when not using the electronics and plug it back into the outlet when using it, so many users feel the need for energy conserv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actic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an outlet and a wiring which can eliminate unnecessary standby power by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s which are not used as one switch at a time becomes important. In particular, since most household appliances are used only when absolutely necessary (TV, computer, etc.), eliminating standby power for them can not only reduce household electricity bills, but also nationally and globally. Can actively respond to the crisis of energy exhaustion.

본 발명은 상기한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전자제품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지며,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타측단부가 연결되어지는 B1형 스위치부와 B2형 스위치부가 구비된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콘센트부와;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를 통해서 상기 전원부 및 콘센트부에 연결되는 메인스위치부와; 그리고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콘센트부의 일측구멍에 연결되어지는 A형 전기배선부와,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100)와 연결되어지고 중간에서 2개로 분기되어지는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는 상기 콘센트부의 선택스위치 중 B1형 스위치부에 연결된 후 콘센트부의 타측구멍에 연결되어지고,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는 상기 메인스위치부에 연결된 후 상기 콘센트부의 선택스위치 중 B2형 스위치부에 연결된 후 상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와 동일한 콘센트부의 타측구멍에 연결되는 B형 전기배선부가 구비된 전기배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간편하게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을 한번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낭비되는 대기전력(standby power)을 없애도록 하여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전기료를 절감하도록 하고 국가적으로는 에너지고갈의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 outlet par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the outlet part including a selection switch having a B1 type switch part and a B2 type switch part to which the other branched end of the B type electric wiring part is connected; A main switch par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and the outlet part through a second branched second end part of the B-type electric wiring par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other end is an A-type electrical wiring is connected to one hole of the outlet por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00 and branched in two in the middle, The first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hole of the outlet part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B1 type switch part of the selector switch of the outlet part, and the branched second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part and then the B2 type switch of the selector switch part of the outlet part. By providing an outlet including a main switc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ical wiring portion provided with a B-type electrical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portion of the same outlet portion as the branched first other end portion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portion, it is simpler and more convenient to use. Eliminate wasteful standby power by allowing you to control electronics that you do not Due to national and to reduce the cost of electricity in the personal aspect is to actively respond to the crisis of energy depletion for that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을 없앨 수 있는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는 전기제품을 일일이 확인하고 하나하나 끌 필요가 없이 한 번에 제어 할 수 있어 간단하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필요없는 전기 제품의 전원을 간편하게 차단함으로써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없앨 수 있으므로 개인적으로는 전기 비용이 절감되며 국가적으로는 에너지 절약도 실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는 전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콘센트에 다른 전자제품을 연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을 없앨 수 있는 전기배선이 구비된 콘센트 및 스위치장치는 교류의 특성을 이용한 배선 설계로 합선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An outlet including a main switch unit capable of eliminating standby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and convenient because it can be controlled at a time without needing to check and turn off the electrical products one by one. Can easily cut off wasted standby power, which saves electricity and personally saves energy. In addition, the outlet including the main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witched to other electronic products to be connected to the outlet, the outlet and the switch device provided with electrical wiring to eliminate the standby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ng current There is no risk of short-circuit by using wiring design, so it is safe.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가 작동되지 않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모습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가 작동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모습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the outlet including the main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perating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outlet is operated including the main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가 작동되지 않을 때의 상태 및 작동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모습이다. 상기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을 없앨 수 있는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는 전원부(100), 콘센트부(200), 메인스위치부(300) 그리고 전기배선부(400)를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한다.
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when an outlet including a main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operation and a state when in operation. 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s, the outlet including a main switch unit capable of eliminating standby pow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00, the outlet unit 200, the main switch unit 300 and the electrical wiring unit (400) is a basic component.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전원부(100)는 콘센트에 연결된 각종 전자제품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콘센트부(200)는 각종 전자제품들의 플러그가 접속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전원부(100)와 연결되어지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타측단부가 연결되어지는 B1형 스위치부(211)와 B2형 스위치부(212)가 구비된 선택스위치(2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서 B1형 스위치부(211)와 B2형 스위치부(212)가 선택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선택스위치(210)는 시소형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Looking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power supply unit 100 supplies power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outlet. Next, the outlet 2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00 as plugs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re connected, and the branched B1 type switch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ranched electric wiring unit B to be described below ( 211 and the selection switch 210 provided with the B2 type switch unit 21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on switch 210 is preferably made of a seesaw switch so that the B1 type switch unit 211 and the B2 type switch unit 212 can be selected by the user's pressing. It does not preclude the use of other arrangements to the extent that the same objectives and functions can be achiev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들 중 하나인 메인스위치부(30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를 통해서 상기 전원부(100) 및 콘센트부(200)에 연결되어진다. 즉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는 상기 전원부(100)로부터 메인스위치부(300)에 연결된 후, 다시 메인스위치부(300)로부터 콘센트부(200)로 연결되어진다.
Next, the main switch unit 300, which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the outlet unit 200 through the second branched second end of the B-type electric wiring unit described below. It is done. That is, the branched second other end of the B-type electric wiring part is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part 300 from the power supply part 100, and then to the outlet part 200 from the main switch part 30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들 중 하나인 전기배선부(400)를 살펴보면, 상기 전기배선부는 A형 전기배선부(410)와 B형 전기배선부(4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A형 전기배선부(410)는 냉장고, 전기밥솥 등과 같이 항상 켜 두는 것이 선호되는 전자제품용 전기배선부이며, B형 전기배선부(420)는 컴퓨터, 라디오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서 꺼두는 것이 선호되는 전자제품용 전기배선부에 해당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A형 전기배선부(410)의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100)에 연결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콘센트부(200)의 일측구멍에 연결되어진다. 한편 B형 전기배선부(420)의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100)와 연결되어지고 중간에서 2개로 분기되어지는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는 상기 콘센트부(200)의 선택스위치(210) 중 B1형 스위치부(211)에 연결된 후 콘센트부(200)의 타측구멍에 연결되어지고,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는 상기 메인스위치부(300)에 연결된 후 상기 콘센트부(200)의 선택스위치(210) 중 B2형 스위치부(212)에 연결된 후 상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와 동일한 콘센트부(200)의 타측구멍에 연결되어진다.
Next, referring to the electrical wiring unit 400, which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wiring unit includes an A-type electric wiring unit 410 and a B-type electric wiring unit 420. The wiring unit 410 is an electrical wiring unit for electronic products which is preferably kept on at all times, such as a refrigerator and an electric rice cooker, and the B-type electrical wiring unit 420 is preferably an electronic product which is preferably turned off as needed, such as a computer or a radio. Corresponds to the electrical wiring section. In more detail, one side end of the A-type electrical wiring unit 4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hole of the outlet 200. Meanwhile, one end of the B-type electric wiring unit 42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is branched into two in the middle, and the branched first other end is selected from the selection switch 210 of the outlet 200.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B1 type switch unit 211 is connected to the other hole of the outlet 200, the branched second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unit 300 and then the selection switch of the outlet 200 (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B2 type switch part 212 of 210,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hole of the same outlet part 200 as the branched first other end part.

본 발명의 작동방식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described.

먼저 건물 내 배선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에 B형 전기배선부를 더 추가하여 메인스위치부(300)와 연결시킨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스위치부(300)와 연결되어있지 않고 콘센트부(200)와 직접 연결된 A형 전기배선부(410)는 냉장고, 전기밥솥 등 항상 켜 두는 것이 선호되는 전기제품용(A형) 배선으로 구분하고, 메인스위치부(300)와 연결된 후 선택스위치(210)를 통해서 콘센트부(200)에 연결되는 B형 전기배선부(420)는 필요에 따라 꺼둘 수 있는 전기제품용(B형) 배선으로 구분한다. 또한 콘센트부(200) 상단부에는 B형 전기배선부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B1형 스위치부(211)와 B2형 스위치부(212)가 포함된 선택스위치를 구비시켜 필요에 따라 배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는 사용자가 집 밖으로 외출하거나 잠을 잘 때, 메인스위치부(300)를 내림으로써 B2형 스위치부로 공급되는 전기가 차단되고 따라서 대기전력을 없앨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iring in the building is further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unit 300 by further adding a type B electrical wiring unit to the conventional wiring.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A-type electrical wiring unit 410, which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unit 300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let 200, is preferably used for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rice cookers. ) B-type electrical wiring unit 420 connected to the outlet 200 through the selector switch 210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unit 300, and can be turned off as necessary (B) Type).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outlet part 200 is provided with a selection switch including a B1 type switch part 211 and a B2 type switch part 212 capable of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power of the B type electric wiring part, so that wiring can be selected as necessary. And change it at any time. The outlet including the main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uts off the electricity supplied to the B2 type switch unit by lowering the main switch unit 300 when the user goes out of the house or sleeps, thus eliminating standby power. Can be.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원부(100)에서 나오는 2개의 전기배선 중에서 오른쪽에 위치된 배선은 A형 전기배선부(410)로서 콘센트부(200)의 일측구멍에 연결되어진다. 여기서 A형 전기배선부(410)는 단지 편의상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질 수도 있다. 한편 좌측에 위치된 배선은 B형 전기배선부(420)에 해당하는데, 중간에서 2개로 분기되어져서 하나는 메인스위치부(300)에 연결된 다음 콘센트부(200)의 윗부분에 위치된 B2형 스위치부(212)에 연결되어지고, 분기된 다른 하나는 B1형 스위치부(212)로 연결되어지며, 분기된 배선모두 콘센트부(200)의 동일한 구멍에 연결되어진다.
If the outlet including the main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wiring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wo electrical wires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an outlet portion 200 as the A-type electrical wiring unit 410 It is connected to one hole of). Here, the A-type electrical wiring unit 410 is merely expressed as being located on the right side for convenience and may be selectively disposed at another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wiring located on the left side corresponds to the B-type electric wiring unit 420, which is branched into two in the middle, on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unit 300, and then the B2 type switch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outlet 200. The other branch, which is connected to the unit 212, is connected to the B1 type switch unit 212, and all of the branched wires are connected to the same hole of the outlet unit 200.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콘센트부(200)의 윗부분에 잇는 선택스위치(210)는 시소형으로 이루어져서, 한쪽이 연결되면 다른 한쪽의 연결이 끊기도록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스위치(210)가 B2형 스위치부(212)에 연결되어 있을 때 메인스위치(300)를 내리면 콘센트부(200)와의 연결이 완전히 끊기게 되므로 대기 전력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는 언제든지 간편하게 스위치의 변경이 가능함으로 필요에 따라 변경이 자유로운데, 예를 들어 컴퓨터를 계속 사용해야 하는 경우 컴퓨터 전원 선이 꽃인 콘센트부의 스위치를 B1형 스위치부(211)로 바꿔 둔다면 메인스위치(300)를 차단해도 컴퓨터가 꺼지지 않게 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or switch 210 located at the top of the outlet 200 is made of a seesaw, so that one side of the selection switch 210 is disconnected. As shown in FIG. 2, when the selection switch 210 is connected to the B2 type switch unit 212, when the main switch 300 is lowered, the connection with the outlet 200 is completely disconnected, thereby eliminating standby power. . The outlet including the main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freely at any time because the switch can be easily changed, for example, if you need to continue to use the computer, switch the outlet of the computer power cord is flower B1 type switch unit ( 211), the computer will not be turned off even if the main switch 300 is blocked.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s and effects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modification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claim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부 200 : 콘센트부
210 : 선택스위치 211 : B1형 스위치부
212 : B2형 스위치부 300 : 메인스위치부
400 : 전기배선부 410 : A형 전기배선부
420 : B형 전기배선부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power supply 200: outlet
210: selector switch 211: B1 type switch
212: B2 type switch unit 300: main switch unit
400: electric wiring part 410: type A electric wiring part
420: B type electric wiring part

Claims (2)

각종 전자제품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00)와;
상기 전원부(100)와 연결되어지며,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타측단부가 연결되어지는 B1형 스위치부(211)와 B2형 스위치부(212)가 구비된 선택스위치(210)를 포함하는 콘센트부(200)와;
B형 전기배선부의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를 통해서 상기 전원부(100) 및 콘센트부(200)에 연결되는 메인스위치부(300)와; 그리고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100)에 연결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콘센트부(200)의 일측구멍에 연결되어지는 A형 전기배선부(410)와,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부(100)와 연결되어지고 중간에서 2개로 분기되어지는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는 상기 콘센트부(200)의 선택스위치(210) 중 B1형 스위치부(211)에 연결된 후 콘센트부(200)의 타측구멍에 연결되어지고, 분기된 제 2 타측단부는 상기 메인스위치부(300)에 연결된 후 상기 콘센트부(200)의 선택스위치(210) 중 B2형 스위치부(212)에 연결된 후 상기 분기된 제 1 타측단부와 동일한 콘센트부(200)의 타측구멍에 연결되는 B형 전기배선부(420)가 구비된 전기배선부(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A power supply unit 100 for supplying power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 outlet including a selection switch 21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having a B1 type switch part 211 and a B2 type switch part 212 to which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 type electric wiring part is connected. A part 200;
A main switch part 30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100 and the outlet part 200 through a second branched second end of the B-type electric wiring par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type electrical wiring unit 41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the middle Branched into two, the branched first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1 type switch part 211 of the selection switch 210 of the outlet part 200 and then connected to the other hole of the outlet part 200, Branched second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unit 300, and then connected to the B2 type switch unit 212 of the selection switch 210 of the outlet 200, the same outlet as the branched first other end Outlet including the main switch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electrical wiring unit 400 is provided with the B-type electrical wiring unit 420 connected to the other hole of the unit 2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200)의 선택스위치(210)는 시소형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The outlet of claim 1, wherein the selection switch 210 of the outlet part 200 comprises a seesaw type switch.
KR1020100020374A 2010-03-08 2010-03-08 Wall socket having main switch KR101093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74A KR101093438B1 (en) 2010-03-08 2010-03-08 Wall socket having main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74A KR101093438B1 (en) 2010-03-08 2010-03-08 Wall socket having main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97A KR20110101397A (en) 2011-09-16
KR101093438B1 true KR101093438B1 (en) 2011-12-19

Family

ID=4495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374A KR101093438B1 (en) 2010-03-08 2010-03-08 Wall socket having main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43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327Y1 (en) 2005-02-02 2005-04-19 김기래 Control apparatus for multi cons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327Y1 (en) 2005-02-02 2005-04-19 김기래 Control apparatus for multi cons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97A (en)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186B1 (en) On/off switch and standby power cut-off apparatus using the switch
WO2008063963A3 (en) Wall-mountable smart dual load control device
HK1062076A1 (en) Safety electrical outlet with logic control circuit
KR101093438B1 (en) Wall socket having main switch
CN209932377U (en) Novel multifunctional electric heating pot
KR101376132B1 (en) Multi-outlet device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electric applliances by using remote controller
KR20130014789A (en) Standby power cutting concent
US20120142204A1 (en) Electrical wall outlet
KR20090010482U (en) Socket Divided Power Saving Type Multi-Tab
KR101232820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US20180301852A1 (en) Power-saving outlet
KR20100114701A (en) Multi-outlet assembly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KR200432358Y1 (en) Concent
JP2014071986A (en) Heating cooker
CN214589537U (en) External power control and temperature regulation switch
KR200355740Y1 (en) Switching power concent
KR200268857Y1 (en) Infra red remocon control multiconcent
KR200396871Y1 (en) Outlet concent for on/off by switch
KR20140000534U (en) All in one home appliances
KR102048489B1 (en) Power saving Socket
KR20100012647U (en) System for save of standby power
KR101923644B1 (en) A socket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KR200199639Y1 (en) Electric saver multi consent code switch
KR200267355Y1 (en) a multi-concent to have simple operate on-off switch
KR200183108Y1 (en) Electric saver adapter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