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584B1 -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584B1
KR101092584B1 KR1020090079272A KR20090079272A KR101092584B1 KR 101092584 B1 KR101092584 B1 KR 101092584B1 KR 1020090079272 A KR1020090079272 A KR 1020090079272A KR 20090079272 A KR20090079272 A KR 20090079272A KR 101092584 B1 KR101092584 B1 KR 10109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osp
area
downloa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459A (ko
Inventor
김원겸
박경수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저작권단체연합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저작권단체연합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저작권단체연합회
Priority to KR102009007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5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과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방법은,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공급하는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SP)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인증, 자료 검색 및 다운로드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자료 검색 및 다운로드의 실행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태그들 중 특정 태그에 명령을 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명령 실행을 위한 특정 태그는 상기 특정 태그의 유일한 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을 갖는 태그를 상기 웹 페이지를 분석함으로써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웹 기반 OSP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더라도 프로그램의 수정 없이 해당 OSP로부터 자료(저작물, 컨텐츠)를 원활하게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작권, 저작물, 컨텐츠, 다운로드, OSP, 웹하드, P2P, 영상, 음원

Description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llegal contents}
본 발명은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과 웹 기반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공급하는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nline Service Provider, 이하 'OSP'라 함)로부터 자료를 다운로드하고, 불법 저작물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OSP 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과, 웹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OSP에서 자동으로 자료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들은 수많은 정보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발맞추어 서비스 공급자들도 사용자들이 조금이라도 더 편리하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통신망 상에서 사용자들이 정보를 접하는 방법으로는, 포털 사이트, 블로그, 카페, UCC 등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음악,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감상하는 방법과, 웹하드나 P2P(Peer-to-Peer) 서비스를 이용하여 업로드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 하여 감상하는 방법 등 다양하다.
그러나 영화, 음악 등의 저작권이 있는 동영상이나 음원 파일까지 무분별하게 사용자들 간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불법 저작물의 유통을 막기 위한 기술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이 있다. DRM을 간단히 설명하면, 유통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고, 적법한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DRM 환경에서 컨텐츠가 적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되었을지라도 사용자는 캡쳐 툴이나 해킹을 통하여 불법으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DRM의 범위를 벗어나 저장된 컨텐츠도 화질이나 음질의 저하 없이 자유로이 재생 및 복사가 가능하고, OSP를 통해 타 사용자에게까지 무차별적으로 공유가 가능하여 디지털 컨텐츠 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한편, 포털 사이트, 블로그, 카페, UCC, 웹하드, P2P 등의 OSP 운용자들은 불법 저작물(컨텐츠)의 등록을 제한하고, 기 등록된 불법 저작물은 삭제토록 하여 건전한 정보 공유 문화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으나, 수많은 사용자들이 올리는 불법 저작물을 일일이 확인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자동으로 OSP로부터 자료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하여 불법 저작물이 등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고,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시도된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은 OSP로부터의 자료(컨텐츠, 저작물) 검색 및 다운로드와 다운로드 된 자료의 불법 저작물 여부의 확인이 하나의 시스템(또는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하지만, 불법 저작물의 유통이 대량으로 이루어지고, 컨텐츠의 용량도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제한된 시스템(또는 서버)이 검색과 불법 저작물 판별을 모두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제시된 접속/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불법 콘텐츠 자동 검색 기술은, 수동적인 검색 방법을 스크립트화 한 다음, 이 스크립트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함으로써 OSP로부터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OSP에서 접속/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였을 경우에만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웹 기반 OSP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SP)가 제공하는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서버와, 저장된 자료의 불법 저작물 여부를 판별하는 서버를 이용하여 검색과 판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법 저작물 추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웹 기반 OSP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고 유일한 속성을 확인하여 제어 포인트를 잡음으로써, 입력 영역이나 클릭 영역의 위치가 변동 되더라도 프로그램의 수정 없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각 명령이 실행된 이후 OSP로부터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하여 오류를 확인함으로써, 원활한 작업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방법은,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공급하는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nline Service Provider, 이하 'OSP'라 함)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불러오는 브라우징 단계; 상기 불러온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과 로그인 버튼 영역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영역 확인 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사용자 인증정보의 입력과 상기 로그인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단계; 상기 로그인 된 웹 페이지에서 자료실 버튼 영역을 확인하는 자료실 버튼 확인 단계; 상기 확인된 자료실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는 자료실 페이지 요청 단계; 상기 자료실로 이동된 웹 페이지에서 검색어 입력 영역과 검색 버튼 영역을 확인하는 검색어 입력 영역 확인 단계; 상기 확인된 검색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검색어의 입력과 상기 검색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는 검색 자료 요청 단계; 상기 검색 자료 요청에 따른 검색 결과가 출력된 웹 페이지에서 특정 게시물 선택 영역을 확인하는 게시물 선택 영역 확인 단계; 상기 확인된 게시물 선택 영역의 클릭을 실행하는 게시물 선택 단계; 상기 게시물 선택에 따른 게시물 상세 정보 웹 페이지에서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을 확인하는 자료 다운로드 버튼 확인 단계; 상기 확인된 자료 다운로드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는 자료 다운로드 요청 단계; 및 상기 자료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OSP로부터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자료 다운로드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 확인, 자료실 버튼 확인, 검색어 입력 영역 확인, 게시물 선택 영역 확인 및 다운로드 버튼 확인은, 상기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여 유일한 속성을 찾음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우징 단계, 사용자 인증 요청 단계, 자료실 페이지 요청 단계, 검색 자료 요청 단계 및 게시물 선택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 이후, 상기 OSP로부터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각 단계에 대응하는 응답 페 이지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오류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자료 다운로드 단계는,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OSP로부터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며, 상기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특정 문자열을 확인하여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다운로드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방법은,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공급하는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SP)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인증, 자료 검색 및 다운로드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자료 검색 및 다운로드의 실행은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태그들 중 특정 태그에 명령을 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명령 실행을 위한 특정 태그는 상기 특정 태그의 유일한 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을 갖는 태그를 상기 웹 페이지를 분석함으로써 찾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은,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공급하는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SP)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불러오는 웹 페이지 운용부; 상기 웹 페이지 운용부를 통해 불러온 웹 페이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 로그인 버튼 영역, 자료실 버튼 영역, 검색어 입력 영역, 검색 버튼 영역, 게시물 선택 영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을 확인하는 웹 페이지 분석부; 상기 웹 페이지 분석부에서 확인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부; 상기 웹 페이지 분석부에서 확인된 검색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어 입력부; 상기 웹 페이지 분석부에서 확인된 로그인 버튼 영역, 자료실 버튼 영역, 검색 버튼 영역, 게시물 선택 영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 중 하나 이상의 버튼 클릭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부; 및 상기 명령 실행부에서 상기 자료 다운로드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면 상기 OSP로부터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다운로드 운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웹 페이지 분석부는 상기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여 유일한 속성을 찾음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 로그인 버튼 영역, 자료실 버튼 영역, 검색어 입력 영역, 검색 버튼 영역, 게시물 선택 영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OSP로부터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명령 실행부의 버튼 클릭 실행에 대응하는 결과 페이지가 상기 웹 페이지 운용부를 통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오류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다운로드 운용부는, 상기 명령 실행부에서 상기 자료 다운로드 버튼 클릭을 실행하면 다운로드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다운로드 실행 버튼 영역, 종료 버튼 영역 및 다운로드 상태를 확인하는 다운로드 프로그램 분석부; 상기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실행 버튼 클릭을 실행하여 상기 OSP로 자료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특정 문자열을 확인하여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종료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 는 다운로드 프로그램 운용부; 및 상기 OSP에서 전송되는 자료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자료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불법 저작물 추적 방법은,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SP)로부터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 하여 저장하는 검색 단계; 상기 저장된 자료의 불법 저작물 여부를 확인하는 인식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자료가 불법 저작물로 확인되면, 상기 OSP 운용자 측으로 불법 저작물 등록 여부를 통지하는 레포팅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SP라)가 제공하는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검색 서버; 상기 검색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자료의 불법 저작물 여부를 확인하는 인식 서버; 및 상기 검색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자료가 상기 인식 서버에서 불법 저작물로 확인되면, 상기 OSP 운용자 측으로 불법 저작물 등록 여부를 통지하는 관리/레포팅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OSP로부터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 하여 저장하는 검색 서버와, 저장된 자료의 불법 저작물 여부를 판별하는 인식 서버를 별도로 두어, 검색과 판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시간이 걸리는 인식 서버에서의 판별 작업이 병렬처리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법 저작물 추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OSP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고 유일한 속성을 확인하여 제어 포인트를 잡음으로써, OSP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더라도 프로그램의 수정 없이 제어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각 명령이 실행된 이후 OSP로부터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하여 오류를 확인함으로써,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정상으로 판단하여 다음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여 원활한 작업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 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100)은 검색 서버(110), 인식 서버(120) 및 관리/레포팅 서버(130)를 포함한다.
검색 서버(110)는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nline Service Provider, 이하 'OSP'라 함)가 제공하는 자료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한다.
여기서 OSP(10)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해 포털 사이트, 블로그, 카페, UCC, 웹하드, P2P(Peer-to-Peer) 등의 서비스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 측으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또는 비디오 형태의 자료(컨텐츠, 저작물)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를 통칭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OSP(10)에 자료를 게시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는 업로더이거나, OSP(10)에서 제공하는 자료 또는 업로더가 게시하거나 업로드한 자료를 검색하고 정보를 제공받는 다운로더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20)이 업로더가 사용하는 단말 및 다운로더가 사용하는 단말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OSP(10)를 통해 제공되는 자료(OSP 또는 사용자가 게시하거나 업로드한 자료)는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해 바로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지만, OSP(10)에서 제공하는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저장한 이후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검색 서버(110)가 통신망을 통해 OSP(10)에 접속하여 자료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과정은 사용자 단말(20)이 OSP(10)를 통해 자료를 이용하는 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에 OSP(10) 입장에서는 검색 서버(110)를 사용자 단말(20) 중 하나로 인식할 수도 있다.
검색 서버(110)는 웹하드, P2P 등의 폐쇄형 OSP(10)에서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저작물(자료, 컨텐츠)을 다운로드하거나, 웹 기반 OSP(10)에서 웹 페이지를 분석하고 제어하여 저작물을 다운로드하거나, 포털 사이트, 블로그, 카페 등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저작물을 다운로드하거나, UCC에서 스트리밍 저작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서버(110)는 검색된 저작물 전체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인식 서버(120)에서 판별이 가능한 파일의 일부분만(예컨대, 저작물의 용량이 100메가바이트 일 경우 10메가바이트)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검색 서버(110)는 OSP(10)를 검색하면서 수집한 게시정보를 저장매체(140)에 저장한다. 게시정보란 OSP(10)정보, 접속ID, 접속IP, 시간, 로그정보, 게시판명, 검색어, 캡쳐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검색 서버(110)는 이러한 게시정보를 테이블화 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한다.
검색 서버(110)에서 다운로드한 저작물과 게시정보는 하나의 저장매체(140)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저장매체(140)에 저작물과 게시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검색 서버는 이하에서 설명할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다운로드 된 저작물은 실제 어떠한 저작물을 불법으로 침해하고 있는 것인지 확인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검색 서버(110)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OSP(10)로부터 저작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면 인식 서버(120)가 다운로드 된 저작물이 불법 저작물인지 확인한다.
인식 서버(120)는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저작물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불법 저작물 여부를 판별한다. 예컨대,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저작물이 영상 저작물일 경우, 영상디코딩을 통해 특징점을 추출하고, 실 저작물의 특징점을 저장하고 있는 특징점DB와 비교함으로써 실제 어떤 저작물을 불법으로 침해하고 있는지 판별한다.
이를 위해 인식 서버(120)는 실 저작물들의 특징점과 메타정보를 저장하고 운용하는 DBM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 저작물의 특징점과 메타정보는 운용자에 의해 꾸준히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또한, 인식 서버(120)는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다운로드 된 저작물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실 저작물의 특징점과 비교하는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병렬처리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식 서버(120)는 반드시 하나의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제어 및 작업 서버들이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시스템일 수 있다.
인식 서버(120)에서 다운로드 된 저작물에 대한 불법 저작물 여부가 판별이 되면, 인식 서버(120)는 다운로드 된 저작물이 침해하고 있는 실 저작물에 대한 값 을 저장매체(140)에 저장한다. 여기서 인식 서버(120)는 다운로드 된 저작물이 침해하고 있는 실 저작물에 대한 메타정보의 CID(Contents ID) 값을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게시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레포팅 서버(130)는 검색 서버(110)에서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자료가 인식 서버(120)에서 불법 저작물로 확인하였을 경우 OSP 운용자 측으로 불법 저작물 등록 여부를 통지한다. OSP 운용자 측으로 불법 저작물 등록 여부를 통지하는 과정은 관리/레포팅 서버(130)에서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불법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자동으로 OSP 운용자 측으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나, 수집된 정보를 시스템 운용자가 운용자 단말(150)을 통해 이메일 등을 이용해 OSP 운용자 측으로 전달해줄 수도 있다. 또한 관리/레포팅 서버(130)에서 OSP 운용자 측에 전송되는 정보는, 검색 과정에서 수집된 게시정보와 삭제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레포팅 서버(130)는 운용자 단말(150)과 연계하여 검색 서버(110) 및 인식 서버(1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신규 저작물에 대한 특징점과 메타정보를 등록(또는 기 등록된 저작물에 대한 특징점과 메타정보를 삭제, 변경)하거나, 불법 저작물 단속에 따른 통계를 내거나, 검색 서버(110)가 검색에 필요한 OSP 정보, 사용자 인증정보, 검색어 정보, 검색어 확장 정보 등을 업데이트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리/레포팅 서버(130)는 관리 서버와 레포팅 서버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도1에 도시된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100)에서 OSP(10)로부터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다운로드 된 자료가 불법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OSP 운용자 측으로 통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1에 도시된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100)을 편의상 '시스템'이라고 한다. 또한, 시스템은 다수의 OSP에서 다수의 저작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불법 저작물 여부를 판별하여 이를 통지하는 작업을 하는데, 편의상 하나의 OSP에서 하나의 저작물을 검색 및 다운로드하여 불법 저작물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해 OSP에 접속하여 자료(저작물,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한다(검색)<S210>. 여기서, OSP의 특성에 따라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접속한 OSP에 대한 기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하고 OSP에서 사용자 인증이 되면, 기 저장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저작물을 검색하고, 검색된 저작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시스템은 웹하드, P2P 등의 폐쇄형 OSP에서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저작물(자료, 컨텐츠)을 다운로드하거나, 웹 기반 OSP에서 웹 페이지를 분석하고 제어하여 저작물을 다운로드하거나, 포털 사이트, 블로그, 카페 등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저작물을 다운로드하거나, UCC에서 스트리밍 저작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OSP를 검색하면서 수집한 게시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게시정보란 OSP 정보, 접속ID, 접속IP, 시간, 로그정보, 게시판명, 검색어, 캡쳐이 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시스템은 이러한 게시정보를 테이블화 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OSP로부터 자료(저작물,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이후 시스템은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자료가 불법 저작물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인식)<S220>.
여기서 시스템은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저작물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불법 저작물 여부를 판별한다. 예컨대, 저장매체에 저장된 저작물이 영상 저작물일 경우, 영상디코딩을 통해 특징점을 추출하고, 실 저작물의 특징점을 저장하고 있는 특징점DB와 비교함으로써 실제 어떤 저작물을 불법으로 침해하고 있는지 판별한다. 시스템에서 다운로드 된 저작물에 대한 불법 저작물인 것으로 판별 되면<S230>, 시스템은 다운로드 된 저작물이 침해하고 있는 실 저작물에 대한 값을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여기서 시스템은 다운로드 된 저작물이 침해하고 있는 실 저작물에 대한 메타정보의 CID(Contents ID) 값을 저장매체에 저장된 게시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시스템은 OSP 운용자 측으로 해당 OSP에 불법 저작물의 등록여부를 통지한다(레포팅)<S240>. 시스템은 해당 OSP에서 확인된 자료에 대한 불법 저작물 여부를 확인한 정보들을 모아 한꺼번에 통지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에서 OSP 운용자 측에 전송되는 정보는, 검색 과정에서 수집된 게시정보와 삭제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검색서버는 지속적으로 OSP에서 저작물을 검색 및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인식 서버는 다운로드 된 저작물의 특징점을 실 저작물의 특징점과 비교하여 불법 여부를 확인하고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 작업과 인식 작업이 번갈아가며 이루어질 필요 없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법 저작물 추적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인식 서버에서의 판별 작업은 병렬처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OSP(30)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3에 도시된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300)은 도1에 도시된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의 검색 서버이거나, 검색 서버의 일부 구성 요소일 수 있음을 알리는 바이다. 즉, 도3에 도시된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300)은 다양한 유형의 OSP(30) 중 검색/접속 어플리케이션을 따로 제공하지 않고 웹을 기반으로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수유형 OSP(30)에서 자료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3에 도시된 OSP(30) 및 사용자 단말(4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이루어진 바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300)은, 인터페이스부(305), 정보 수신부(310), 정보 전송부(315), 웹 페이지 운용부(320), 웹 페이지 분석부(325),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부(330), 검색어 입력 부(335), 명령 실행부(340), 오류 확인부(345), 검색 결과 확인부(347) 및 다운로드 운용부(3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305)는 통신망에 대응하여 OSP(3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인터페이스부(305)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310)는 인터페이스부(305)와 연계하여 통신망을 통해 OSP(30)로부터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인터페이스 화면과 정보 제공 화면 및 다운로드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저작물, 컨텐츠) 등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정보 전송부(315)는 인터페이스부(305)와 연계하여 통신망을 통해 OSP(30)로 사용자 인증정보, 검색어 정보 및 명령 실행(클릭 실행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웹 페이지 운용부(320)는 OSP(3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불러와 출력한다. 이러한 웹 페이지 운용부(320)는 저장매체(360)에 저장된 OSP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OSP(30)의 웹 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불러올 수 있다.
웹 페이지 분석부(325)는 웹 페이지 운용부(320)에서 불러온 웹 페이지를 분석하여 명령 실행을 위한 제어 포인트를 확인한다. 여기서, 웹 페이지 분석부(325)는 OSP(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 로그인 버튼 영역, 자료실 버튼 영역, 검색어 입력 영역, 검색 버튼 영역, 게시물 선택 영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 등의 유일한 속성을 찾아낸다. 즉, 제어 포인트를 확인하는 것은 특정 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한 위치(태그)를 찾는 것 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 중 사용자 ID를 입력하는 영역의 태그가 아래와 같다고 하자.
<INPUT style="BORDER-RIGHT: #cccccc 1px solid; BORDER-TOP: #cccccc 1px solid; FONT-SIZE: 8pt; BORDER-LEFT: #cccccc 1px solid; WIDTH: 100px; COLOR: #000000; BORDER-BOTTOM: #cccccc 1px solid; HEIGHT: 19px; BACKGROUND-COLOR: #f6f6f6" maxLength=16name=mb_id>
이 경우 'mb_id'가 사용자 ID를 입력하는 영역임을 나타내는 유일한 속성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웹 페이지 분석부(325)는 사용자 ID를 입력하는 영역을 찾기 위해 OSP(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여 'mb_id'를 포함하는 태그를 찾아내는 것이다. 물론 OSP(3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면 사용자 ID가 입력하는 곳의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하지만 사용자 ID를 입력하는 'mb_id'라는 유일한 속성은 바뀌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유일한 속성을 찾아내는 방식에서는 OSP(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동하더라도 제어가 가능하다.
물론 해당 태그 내에 다수의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유일한 속성을 찾는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INPUT'이라는 문자열과 'mb_id'라는 문자열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태그를 찾음으로써 사용자 ID를 입력하는 영역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증정보 중 비밀번호 입력 영역이나, 로그인 버튼 영역, 자료실 버튼 영역, 검색어 입력 영역, 검색 버튼 영역, 게시물 선택 영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들도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여 유일한 속성을 찾음으로써 명령 실행을 위한 제어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채용하고 있는 레이아웃 엔진인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트라이던트(Trident) 기술을 이용하여 웹 기반 OSP를 제어하기 위한 태그 분석이나 속성 파악 및 명령 실행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부(330)는 웹 페이지 분석부(325)에서 확인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사용자 인증정보(사용자 ID,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정보는 저장매체(360)에 암호화되어 기 저장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텍스트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360)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는 OSP(30)마다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부(330)는 웹 페이지 운용부(320)에서 불러온 OSP(30)에 매칭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저장매체(360)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검색어 입력부(335)는 웹 페이지 분석부(325)에서 확인된 검색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검색어를 입력한다. 검색어 입력부(335)에서 입력할 검색어는 저장매체(360)에 다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동일 저작물을 검색하기 위한 것이더라도 변형된 다수의 검색어가 세팅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검색어 입력부(335)는 저장매체(360)에 저장된 검색어 중 검색 순서에 맞춰 특정 검색어를 추출하여 검색어 입력 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에 필요한 검색어는 운용자 단말(370)을 통해 운용자가 미리 입력하여 저장매체(360)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 실행부(340)는 웹 페이지 분석부(325)에서 확인된 로그인 버튼 영역, 자료실 버튼 영역, 검색 버튼 영역, 게시물 선택 영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을 클릭하는 명령을 실행시킨다. 즉, 웹 페이지 분석부(325)에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이 확인되고,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부(330)에서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명령 실행부(340)는 웹 페이지 분석부(325)에서 확인된 로그인 버튼 영역을 클릭하는 명령을 실행하여 정보 전송부(315) 및 인터페이스부(305)와 연계하여 OSP(30)로 명령을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이후에 수행되는 자료실 버튼 영역 클릭, 검색 버튼 영역 클릭, 게시물 선택 영역 클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 클릭 명령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명령 실행부(340)는, 웹 페이지 분석부(325)를 통해 확인된 해당 태그에 제어하고자 하는 액션을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오류 확인부(345)는 명령 실행부(340)의 버튼 클릭 실행에 대응하는 결과 페이지가 웹 페이지 운용부(320)를 통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오류 확인부(345)는 버튼 클릭 실행에 대응하여 OSP(30)로부터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함으로써 오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웹 페이지 운용부(320)가 로그인 된 화면을 출력할 경우, 다운로드 된 웹 페이지의 랜더링이 끝나면 특정 함수를 콜하게 되는데, 이때 콜백 함수의 파리미터에는 랜더링된 웹 페이지의 URL이 포함되며, 오류 확인부(345)는 특정 URL이 콜백 함수의 인자로 넘어오는지 판단하여 결과 페이지의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하고 클릭 명령을 전송한 이후 OSP(30)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로그인된 웹 페이지를 전송하여 웹 페이지 운용부(320)에서 결과 페이지를 출력할 때 성공적으로 넘어와야 할 특정 URL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
'http://www.ooodisk.co.kr/main/doc/storage/GiftTest.php'
이때 오류 확인부(345)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는 명령을 실행한 이후 OSP(30)로부터
'http://www.ooodisk.co.kr/main/doc/storage/GiftTest.php' 라는 URL이 넘어오면 결과 페이지가 성공적으로 출력되어 다음 과정을 진행하여도 좋다고 판단하며, 다른 URL이 넘어오거나 어떠한 URL도 넘어오지 않을 경우에는 실패라고 판단하여 다음 과정을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명령 실행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임의적으로 성공이라고 판단하고 다음 과정을 진행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은, 웹 페이지 분석부(325)와 연계하여 검색어 입력 후의 검색 결과 페이지를 확인하고 검색 결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검색 결과 확인부(347)를 포함한다. 검색 결과 확인부(347)는 명령 실행 이후의 오류가 아닌 검색 결과의 유무를 판단한다. 예컨대, 웹 페이지 분석부(325)에서 확인된 검색어 입력 영역에 검색어 입력부(335)가 검색어를 입력하고 명령 실행부(340)가 검색 버튼 영역을 클릭하는 명령을 실행한 이후, OSP(30)로부터 검색 결과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넘어와 웹 페이지 운용부(320)를 통해 출력되었을 때, 검색 결과 확인부(347)는 웹 페이지 분석부(325)와 연계하여 검색 목록 테이블 태그의 행 수를 확인함으로써 검색 결과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웹 페이지 분석부(325)에서 검색 결과 페이지를 분석하여 검색 목록 테이블 태그 행 수가 특정 행 수 이상인 것을 확인하면 검색 결과 확인부(347)는 검색 결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과정(게시물 선택)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행수 미만인 것을 확인하면 검색 결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과정을 진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또는 다른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운로드 운용부(350)는 명령 실행부(340)에서 자료 다운로드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면 OSP(30)로부터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360)에 저장한다. 여기서, 대부분의 OSP(30)에서는 자료(저작물, 컨텐츠)의 전송을 위해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경우 다운로드 운용부(35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다운로드 운용부(350)는 다운로드 프로그램 분석부(351), 다운로드 프로그램 운용부(352) 및 자료 저장부(353)를 포함한다.
다운로드 프로그램 분석부(351)는 명령 실행부(340)에서 자료 다운로드 버튼 클릭을 실행하면 다운로드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는지 확인하고,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다운로드 실행 버튼 영역, 종료 버튼 영역 및 다운로드 상태를 확인한다.
다운로드 프로그램 분석부(351)는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핸들 값을 확인함으로써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고, 컨트롤 ID 및 속성을 획득하여 다운로드 실행 버튼 영역, 종료 버튼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 프로 그램의 특정 문자열(대기, 중지, 완료 등)을 확인하여 다운로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운로드 프로그램 운용부(352)는 다운로드 프로그램 분석부(351)에서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실행을 확인하고, 다운로드 실행 버튼 영역을 확인하면, 다운로드 실행 버튼 클릭을 실행하여 OSP(30)로 자료 전송을 요청한다. 또한 다운로드 프로그램 분석부(351)에서 특정 문자열을 확인인하여 다운로드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종료 버튼을 클릭하는 명령을 실행하여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자료 저장부(353)는 다운로드 프로그램 운용부(352)의 다운로드 실행 버튼 클릭에 대응하여 OSP(30)로부터 전송되는 자료(저작물, 컨텐츠)를 저장매체(360)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300)은 검색 과정에서 수집한 게시정보(OSP 정보, 접속ID, 접속IP, 시간, 로그정보, 게시판명, 검색어, 캡쳐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매체(360)에 저장하는 게시정보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게시정보는 다운로드 된 저작물과 함께 하나의 저장매체(360)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관리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저장매체(360)에 테이블화 되어 해당 저작물과 매칭하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도3에 도시된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 템(300)이 웹 기반 OSP에 접속하여 자료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3에 도시된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을 편의상 '시스템'이라 한다.
먼저,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해 OSP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OSP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불러와 출력한다(브라우징)<S505>. 여기서 시스템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OSP 정보를 통해 특정 OSP의 웹 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불러올 수 있다.
한편, OSP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불러오는 과정 이후,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함으로써 정상적인 OSP의 웹 페이지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후 시스템은 불러온 웹 페이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 영역 및 로그인 버튼 영역을 확인한다(사용자 인증 영역 확인)<S510>. 여기서 시스템은 OSP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고 유일한 속성을 찾음으로써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 및 로그인 버튼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자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OSP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인증 영역 및 로그인 버튼 영역이 확인되면,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정보(사용자 ID,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OSP 측으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사용자 인증 요청)<S515>. 사용자 인증정보는 저장매체에 암호화되어 기 저장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텍스트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는 OSP마다 다를 수 있으며, 시스템 은 불러온 OSP에 매칭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저장매체로부터 로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후, OSP가 사용자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고 로그인 된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한다(오류 확인)<S520>. 이때 시스템은 버튼 클릭 실행에 대응하여 OSP로부터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함으로써 오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자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OSP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로그인된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출력된 것을 확인하면<S525>, 시스템은 자료실 버튼 영역을 확인하고(자료실 버튼 확인)<S530>, 확인된 자료실 버튼을 클릭하는 명령을 실행한다(자료실 페이지 요청)<S535>.
여기서 OSP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로그인 된 페이지에서 바로 자료를 검색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자료실 버튼 확인 단계와 자료실 페이지 요청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자료실 페이지 요청 이후 정상적인 자료실 페이지가 출력되는지 확인하고(오류 확인)<S540>. 정상적인 자료실 페이지가 출력되면<S545>, 시스템은 자료실 페이지를 분석하여 검색어 입력 영역 및 검색 버튼 영역을 확인한다(검색어 입력 영역 확인)<S550>.
이후 확인된 검색어 입력 영역에 기 저장된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OSP로 검색 자료를 요청한다(검색 자료 요청)<S555>. 시스템에서 입력할 검색어는 저장매체에 다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동일 저작물을 검색하기 위 한 것이더라도 변형된 다수의 검색어가 세팅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검색어 중 검색 순서에 맞춰 특정 검색어를 추출하여 검색어 입력 영역에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검색 자료를 요청한 이후 시스템은 해당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한다(오류 확인)<S560>.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은, 특정 URL이 넘어와 검색 결과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검색 결과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시스템에서 검색어 입력 영역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의 클릭 명령을 실행한 이후, OSP로부터 검색 결과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넘어와 출력되었을 때, 검색 결과 페이지를 분석하여 검색 목록 테이블 태그의 행 수를 확인함으로써 검색 결과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검색 목록 테이블 태그 행 수가 특정 행 수 이상인 것을 확인하면 검색 결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 행수 미만인 것을 확인하면 검색 결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검색 목록 테이블 태그 행 수가 특정 행 수 미만으로 확인되어 검색 결과가 없는 것으로 판된되었을 경우<S565> 다른 검색어를 입력 영역에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검색 자료를 요청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면, 검색 결과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출력되고, 검색 목록 테이블 태그 행 수가 특정 행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어 검색 결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S565>, 시스템은 검색 결과 페이지를 분석하여 특정 게시물 선택 영역을 확인하고(게시물 선택 영역 확인)<S570>, 확인된 게시물 선택 영역을 클릭하여 게시물 의 상세 정보 페이지를 요청한다(게시물 선택)<S575>.
이후, 게시물의 상세 정보 페이지가 출력되는지 확인한다(오류 확인)<S580>. 게시물의 상세 정보 페이지가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오류 확인 과정을 통해 게시물의 상세 정보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출력된 것으로 확인되면<S585>, 게시물 상세 정보 페이지를 분석하여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을 확인하고(자료 다운로드 버튼 확인)<S590>, 자료 다운로드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여 자료 다운로드를 요청한다(자료 다운로드 요청)<S595>.
여기서, OSP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게시물 선택 영역을 클릭하면(또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특정 게시물에 대응하는 자료(저작물, 컨텐츠)를 바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버튼을 지원) 바로 다운로드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또는 바로 다운로드 프로그램이 실행) 게시물 상세 정보 페이지의 정상 출력 여부를 확인하는 오류 확인 과정과, 게시물 상세 정보 페이지에서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을 확인하고 자료 다운로드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 시스템은 자료 다운로드 요청에 대응하여 OSP로부터 자료(저작물,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한다(자료 다운로드)<S700>. 여기서 대부분의 OSP에서는 자료(저작물, 컨텐츠)의 전송을 위해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자료 다운로드 단계<S700>는 도7에 도시된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료 다운로드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여 자료 다운로드를 요청<S595>한 이후, 시스템은 다운로드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는지 확인한다(다운로드 프로그램 확인)<S705>. 시스템은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핸들 값을 확인함으로써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실행이 확인되면, 시스템은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실행 버튼 영역을 확인하고(다운로드 실행 버튼 확인)<S710>, 다운로드 실행 버튼의 클릭 명령을 수행한다(다운로드 실행)<S715>. 이때 시스템은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컨트롤 ID 및 속성을 획득함으로써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시스템은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OSP로부터 전송되는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특정 문자열(대기, 중지, 완료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다운로드 상태를 확인한다(다운로드 상태 확인)<S720>.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특정 문자열을 통해 다운로드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S725>, 시스템은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종료 버튼 클릭 영역을 확인하고(다운로드 프로그램 종료 버튼 확인)<S730>, 종료 버튼 클릭을 실행하여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다운로드 프로그램 종료)<S735>. 여기서,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전,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리스트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검색 목록이 다수일 경우,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종료한 이후,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다른 게시물을 선택하여 자료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특정 OSP에서 특정 검색어를 통한 자료(저작물, 컨텐츠)를 검색 및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면, 차순의 OSP 또는 차순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웹 기반 OSP에서 자료를 빠르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은, 웹 기반 OSP를 운용자가 실제 사용하면서 태그를 분석하여 특정 태그에 특정 명령이 가해지도록 구현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 저작물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3에 도시된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의 다운로드 운용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OSP로부터의 자료 검색-다운로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OSP
20, 40 : 사용자 단말
140, 360 : 저장매체
150, 370 : 운용자 단말
100 :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110 : 검색서버
120 : 인식서버
130 : 관리/레포팅서버
300 : 자료 검색-다운로드 시스템
305 : 인터페이스부
310 : 정보 수신부
315 : 정보 전송부
320 : 웹 페이지 운용부
325 : 웹 페이지 분석부
330 :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부
335 : 검색어 입력부
340 : 명령 실행부
345 : 오류 확인부
347 : 검색 결과 확인부
350 : 다운로드 운용부
351 : 다운로드 프로그램 분석부
352 : 다운로드 프로그램 운용부
353 : 자료 저장부

Claims (6)

  1. 검색 서버, 인식 서버 및 관리/레포팅 서버를 포함하는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에서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nline Service Provider, 이하 'OSP'라 함)로부터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하고 불법 저작물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OSP 운용자 측으로 불법 저작물 등록 여부를 통지하는 불법 저작물 추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OSP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불러오는 브라우징 단계;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불러온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과 로그인 버튼 영역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영역 확인 단계;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사용자 인증정보의 입력과 상기 로그인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단계;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로그인 된 웹 페이지에서 자료실 버튼 영역을 확인하는 자료실 버튼 확인 단계;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자료실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는 자료실 페이지 요청 단계;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자료실로 이동된 웹 페이지에서 검색어 입력 영역과 검색 버튼 영역을 확인하는 검색어 입력 영역 확인 단계;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검색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검색어의 입력과 상기 검색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는 검색 자료 요청 단계;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검색 자료 요청에 따른 검색 결과가 출력된 웹 페이지에서 특정 게시물 선택 영역을 확인하는 게시물 선택 영역 확인 단계;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게시물 선택 영역의 클릭을 실행하는 게시물 선택 단계;
    상기 검색 서버가 상기 게시물 선택에 따른 게시물 상세 정보 웹 페이지에서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을 확인하는 자료 다운로드 버튼 확인 단계;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자료 다운로드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는 자료 다운로드 요청 단계;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자료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OSP로부터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자료 다운로드 단계;
    상기 인식 서버에서 상기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자료의 불법 저작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서버에서 상기 자료가 불법 저작물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관리/레포팅 서버에서 상기 OSP 운용자 측으로 불법 저작물 등록 여부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 확인, 자료실 버튼 확인, 검색어 입력 영역 확인, 게시물 선택 영역 확인 및 다운로드 버튼 확인은, 상기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여 유일한 속성을 찾음으로써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저작물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징 단계, 사용자 인증 요청 단계, 자료실 페이지 요청 단계, 검색 자료 요청 단계 및 게시물 선택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 이후,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OSP로부터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각 단계에 대응하는 응답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오류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저작물 추적 방법.
  3. 삭제
  4.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SP)가 제공하는 자료를 검색 및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검색 서버와, 상기 검색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자료의 불법 저작물 여부를 확인하는 인식 서버와, 상기 검색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자료가 상기 인식 서버에서 불법 저작물로 확인되면, 상기 OSP 운용자 측으로 불법 저작물 등록 여부를 통지하는 관리/레포팅 서버를 포함하는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는,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공급하는 온라인 서비스 공급자(OSP)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불러오는 웹 페이지 운용부;
    상기 웹 페이지 운용부를 통해 불러온 웹 페이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 로그인 버튼 영역, 자료실 버튼 영역, 검색어 입력 영역, 검색 버튼 영역, 게시물 선택 영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을 확인하는 웹 페이지 분석부;
    상기 웹 페이지 분석부에서 확인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부;
    상기 웹 페이지 분석부에서 확인된 검색어 입력 영역에 기 지정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어 입력부;
    상기 웹 페이지 분석부에서 확인된 로그인 버튼 영역, 자료실 버튼 영역, 검색 버튼 영역, 게시물 선택 영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 중 하나 이상의 버튼 클릭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부; 및
    상기 명령 실행부에서 상기 자료 다운로드 버튼의 클릭을 실행하면 상기 OSP로부터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다운로드 운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 분석부는 상기 웹 페이지의 구성 태그를 분석하여 유일한 속성을 찾음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영역, 로그인 버튼 영역, 자료실 버튼 영역, 검색어 입력 영역, 검색 버튼 영역, 게시물 선택 영역 및 자료 다운로드 버튼 영역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OSP로부터 특정 URL이 넘어오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명령 실행부의 버튼 클릭 실행에 대응하는 결과 페이지가 상기 웹 페이지 운용부를 통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오류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6. 삭제
KR1020090079272A 2009-08-26 2009-08-26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09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272A KR101092584B1 (ko) 2009-08-26 2009-08-26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272A KR101092584B1 (ko) 2009-08-26 2009-08-26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459A KR20110021459A (ko) 2011-03-04
KR101092584B1 true KR101092584B1 (ko) 2011-12-13

Family

ID=4393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272A KR101092584B1 (ko) 2009-08-26 2009-08-26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56B1 (ko) * 2017-10-17 2019-09-30 (주)아이와즈 디지털 저작물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50391B1 (ko) * 2024-01-04 2024-03-25 랜드소프트 주식회사 저작권 불명 여부와 판단을 위한 조사기관 별 정보 검색 및 수집 자동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503B1 (ko) * 2006-04-19 2007-12-17 주식회사 케이티 소봇을 이용한 검색정보 태깅에 따른 커뮤니티 생성 시스템및 그 컨텐츠 전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503B1 (ko) * 2006-04-19 2007-12-17 주식회사 케이티 소봇을 이용한 검색정보 태깅에 따른 커뮤니티 생성 시스템및 그 컨텐츠 전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459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017B1 (ko) 컨텐츠 파일들을 링크
US7797295B2 (en) User content feeds from user storage devices to a public search engine
US80243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direction of automated content identificatio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EP3203709B1 (en) Cloud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loud service server
EP2922273A1 (en) Resource sharing method, apparatus, system, and terminal, and resource management center
US200802357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Digital Content
JP4839278B2 (ja) Urlの類似性分析による処理省略判定プログラム、装置
JP2014029707A (ja) 1つのリソース上で常駐又はアクセス可能なコンテンツアイテムを別のリソースを通じて利用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249657A (ja) アクセス制限プログラム、アクセス制限方法およびプロキシサーバ装置
US201700783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Digital Media Data and Metadata and Audience Data
CN102413151A (zh) 分享网络资源的方法及系统
JP4935274B2 (ja) 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9069771B2 (en) Music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socialized music server
JP4330036B2 (ja) 画像情報取得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185830B (zh) 一种网络电视浏览器安全过滤的方法及系统
KR20180074774A (ko) 악의 웹 사이트 식별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매체
JP5572990B2 (ja) 電子データを管理する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JP2008015733A (ja) ログ管理計算機
KR100805819B1 (ko) 인터넷상에서 접속/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불법콘텐츠 자동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18274A1 (en) Distribution network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t delivery
KR101092584B1 (ko) 불법 저작물 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71871A1 (en) Intelligent uploaded content placement
Ham et al. Big Data Preprocessing Mechanism for Analytics of Mobile Web Log.
JP2007086932A (ja) アクセスログ記録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ログ記録方法
JP2011197874A (ja) 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