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308B1 -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308B1
KR101091308B1 KR1020050042705A KR20050042705A KR101091308B1 KR 101091308 B1 KR101091308 B1 KR 101091308B1 KR 1020050042705 A KR1020050042705 A KR 1020050042705A KR 20050042705 A KR20050042705 A KR 20050042705A KR 101091308 B1 KR101091308 B1 KR 10109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nit
hexagonal
mobile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576A (ko
Inventor
홍상혁
윤종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30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메뉴를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와 대각선이 포함되는 방향키 신호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검색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회로부에서 운용되는 모든 기능 목록을 메뉴부에 기록저장 관리하고, 감시중인 버튼부로부터 메뉴 검색 제어명령 신호가 인가되면 메뉴부에서 관리하는 메뉴 목록을 벌집유아이부에 인가하여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고, 와이드 표시부에 인가하여 표시하며,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방향 이동신호에 의하여 육각형 메뉴의 해당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고,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탭 이동신호에 의하여 그룹을 변경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고, 또한, 휴대단말기의 운용을 감시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버튼부로부터 메뉴검색 제어명령 신호가 인가되면, 메뉴부에서 관리중인 메뉴를 벌집유아이부에 의하여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고 가로로 넓은 와이드 표시부에 인가하여 육각형 메뉴로 표시하며, 상기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방향 신호에 의하여 해당 방향으로 이동표시하고 검색하며, 탭 검색하는 경우, 좌우방향 이동신호를 입력하여 표시되는 육각형 메뉴의 그룹을 이동 표시하여 검색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 등등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METHODS AND APPARATUS OF HEXAGONAL MENU INTERFACE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식 예시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뉴 검색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방법 순서도,
도5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검색이동 설명도,
도6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탭검색 방식 설명도,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텀브네일뷰를 적용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상태 설명도,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전화번호부에 적용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상태 설명도,
도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컬러 팰리트에 적용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상태 설명도,
도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는 휴대단말기 외형상태 도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회로부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와이드 표시부
140 : 버튼부 150 : 벌집유아이부 160 : 메뉴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메뉴와 데이터 검색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는 메뉴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 메뉴를 육각형 메뉴로 표시하고, 대각선 방향키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로 신속하게 검색 선택하는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 또는 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언제나 항상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비교적 매우 작고 통신을 위하여 대기하거나 휴대하는 시간이 일반적으로 더 많으므로 이용률이 낮으며,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MS)의 낮은 이용률을 높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동시에, 통신 이용의 촉진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MS)의 부가서비스는, 기본적인 통신서비스 이외에 제공되는 것으로, 일 예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문자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발신자 번호 확인(CID), 무선 온라인 게임(WIRELESS ONLINE GAME) 등이 있고, 다른 일 예로, 휴대단말기 제조사(MAKER)에서 자체개발 생산하므로 제공되는, 전화번호부(PHONE-BOOK) 관리,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IRDA), 착신벨설정, PDA, 메시지 작성, 카메라, 티비 수신 등과 같이 다양하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고 추가된다.
상기와 같은 다수 기능은, 메뉴방식으로 관리 선택 운용되며, 기술발달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운용 가능한 기능과 처리 능력이 증가하므로, 상기 메뉴를 통하여 선호하는 기능을 선택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 검색 및 선택에 많은 시간과 절차가 필요한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서 운용되는 메뉴를 한번에 다수 표시하고, 신속하게 검색하여 선택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뉴 검색 인터페이스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식 예시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뉴 검색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식은, 휴대단말기에서 운용되는 기능을 목록(LIST) 나열 방식의 메뉴(MENU)로 순차 표시하고, 상기 순차 표시되는 목록(LIST) 중에서 선호하는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 서브 메뉴(SUB MENU)에 포함되는 목록이 순차 나열 방식으로 다시 표시되는 방식이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목록 나열 방식으로 순차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여 선호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기능이 운용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메뉴 운용방식은, 소형화되는 휴대단말기에 다양하게 구비되는 기능을, 제한되는 숫자의 키버튼으로 선택하거나 제어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의 성능이 고급화되고, 구비되는 기능이 많아지게 되므로, 상기 메뉴로 표시되는 목록의 내용이 많아지는 동시에 검색 및 선택의 절차가 매우 복잡하게 되는 동시에 검색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뉴 검색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다수 기능을 검색 선택하고자 해당 제어명령을 입력하면(S10), 상기 휴대단말기는 일체로 구비되는 표시부에 목록(LIST) 순차 나열 방식으로 메뉴(MENU)를 표시한다(S20).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방향키버튼 또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버튼(KEY BUTTON)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키버튼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고 선택한다(S30).
상기 단계(S30)의 휴대단말기는, 선택된 메뉴가 스핀 컨트롤(SPIN CONTROL) 메뉴(MENU) 인지 판단하고(S40), 상기 판단(S40)에서 선택된 메뉴가 스핀 컨트롤 메뉴이면, 방향키버튼 또는 네비게이션 키버튼에 구비되는 좌우방향 키버튼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뉴를 검색하고 선택하며(S50), 상기 판단(S40)에서 선택된 메뉴가 스핀 컨트롤 메뉴가 아니면, 방향키버튼 또는 네비게이션 키버튼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키버튼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뉴를 검색하고 선택한다(S60).
상기의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검색되어 선택된 메뉴에 의하여 할당된 기능을 운용하고(S70), 상기의 운용이 완료되면 종료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메뉴를 표시하는 방식이, 목록 순차 나열 방식이므로, 상하 방향이동 키버튼 구동만으로 검색하여 선택하며, 스핀컨트롤이 설정된 메뉴인 경우에만 좌우 방향이동 키버튼 구동으로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의 서브 메뉴에서 다른 서브 메뉴를 검색하는 경우, 상위 메뉴로 이동하여 검색 선택하므로 해당 서브 메뉴에 진입하는 등의 과정 및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검색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의 고기능화에 의하여 메뉴의 목록의 구성이 많아지는 경우, 검색 절차와 시간이 더욱 길어지고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기능의 다양화에 의하여 메뉴 검색을 신속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메뉴를 육각형(벌집형)으로 표시하고 8 방향 키버튼으로 선택하므로 메뉴 검색시간과 절차를 간소화하는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회로부에서 운용되는 모든 기능 목록을 메뉴부에 기록저장 관리하고, 감시중인 버튼부로부터 메뉴 검색 제어명령 신호가 인가되면 메뉴부에서 관리하는 메뉴 목록을 벌집유아이부에 인가하여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고, 와이드 표시부에 인가하여 표시하며,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방향 이동신호에 의하여 육각형 메뉴의 해당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고,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탭 이동신호에 의하여 그룹을 변경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운용되는 모든 기능의 목록을 기록저장 관리하고 출력하는 메뉴부와; 상기 메뉴부에 접속하고 관리되는 기능 메뉴를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방향 제어신호에 의하여 검색 선택하고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에서 운용되는 메뉴의 목록을 육각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벌집유아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방향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육각형 메뉴를 표시하는 와이드 표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방법 순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검색이동 설명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탭검색 방식 설명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텀브네일뷰를 적용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상태 설명도 이고,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전화번호부에 적용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상태 설명도 이며, 도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컬러 팰리트에 적용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상태 설명도 이고, 도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는 휴대단말기 외형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20)에 의하여 회로부(100)에서 운용되는 모든 기능 목록을 메뉴부(160)에 기록저장 관리하고, 감시중인 버튼부(140)로부터 메뉴(MENU) 검색 제어명령 신호가 인가되면 메뉴부(160)에서 관리하는 메뉴 목록을 벌집유아이부(150)에 인가하여 육각형 메뉴(MENU)로 변환하고, 와이드 표시부(130)에 인가하여 표시(DISPLAY)하며, 버튼부(140)로부터 인가되는 방향 이동신호에 의하여 육각형 메뉴의 해당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고, 버튼부(140)로부터 인가되는 탭(TAB) 이동신호에 의하여 그룹(GROUP)을 변경 표시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구성을 다시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 기능과 다수 부가서비스 기능을 해당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회로부(100)와,
상기 회로부(100)에 접속하고, 상기 회로부(100)가 운용하는 다수 기능을 메뉴(MENU)로 관리하며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방향 제어신호에 의하여 검색 선택하고 표시하는 것으로, 버튼부(140)로부터 메뉴를 검색하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메뉴부(160)를 제어하여 그룹별로 관리되는 메뉴 목록을 벌집 유아이부(150)에 인가하고, 상기 벌집 유아이부(150)가 변환하여 출력하는 육각형 메뉴를 가로로 넓은 와이드 표시부(130)에 출력 표시하는 상태에서, 버튼부(140)로부터 인가되는 방향제어 신호에 의하여 이동표시하며, 탭(TAB) 이동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방향으로 육각형 메뉴의 그룹을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를 운용(OPERATION)하며 응용(APPLICATION)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육각형 메뉴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벌집유아이부(150)가 출력하는 육각형 메뉴를 가로로 넓은 면적에 표시하는 와이드(WIDE) 표시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방향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운용을 제어하는 명령신호와 다이얼링(DIALING) 신호와 육각형 메뉴(MENU)를 검색하는 상하좌우 방향과 각 사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어신호와 탭(TAB) 이동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입력하는 버튼부(14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에서 운용되는 메뉴의 목록을 육각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부(110)에 제어에 의하여 메뉴부(160)에 기록된 목록(LIST)을 해당 그룹 영역별로 구분되는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벌집유아이부(150)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운용되는 모든 기능의 목록을 기록저장 관리하고 출력하는 메뉴부(1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비교적 매우 적으므로, 활용도가 낮고, 항상 휴대하므로, 실생활에 응용되면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개발되는 것이, 휴대단말기의 각종 부가서비스 이다.
상기와 같은 부가 서비스 중에서, 비교적 많이 이용되는 것이, 멀티미디어 관련된 기술로, 일 예로, 카메라 촬영, 동영상 촬영,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티비방송 수신 등이며,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서는 일반적으로, 세로의 길이 보다 가로의 길이가 더 긴 와이드형(WIDE TYPE) 표시부(DISPLAY PANEL) 사용이 필요하다.
또한, 반도체 집적(INTEGRATED) 기술의 발달로, 휴대단말기에서 운용 가능한 기능은, 일 예로, 전자계산기, 카메라, 전자수첩, 전자 다이어리, 메시지 관리, 전화번호부,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티비수신 등등과 같이 매우 다양해지는 동시에 처리 용량이 증가한다.
특히,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 증가로 인하여, 기록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기능과 기록저장된 대량의 데이터를 검색 선택 하기 위하여, 메뉴 검색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메뉴 검색방식으로 다양한 기능과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고 쉽게 검색하는 것이 본 발명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뉴를 종래의 목록 순차 나열 방식으로부터, 육각형의 셀들로 구성된 벌집모양으로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육각형의 셀을 선택 이동하기 위하여, 다 방향 이동 또는 네비게이션 키신호를 사용한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회로부(100)는, 휴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일 예로, 전자계산기, 카메라, 전자수첩, 전자 다이어리, 메시지 관리, 전화번호부,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티비, 라디오 등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기본적인 기능인 이동통신 기능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110)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선택된 기능이 동작되어 운용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하여서는, 메뉴 방식을 사용하며, 상기 메뉴부(160)에 운용되는 모든 기능 및 기록저장되는 데이터 목록이 관리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메모리부(120)로부터 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어 운용 대기상태를 설정하고,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를 감시한다.
상기 제어부(110)가 버튼부(140)를 감시하여,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제어명령이 각종 메뉴를 검색하는 명령이면, 메뉴부(160)를 제어하여, 관리중인 각종 기능과 데이터 목록을 벌집유아이부(150)에 인가한다.
상기 벌집 유아이부(150)는, 메뉴부(160)로부터 인가 받은 목록을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여 제어부(110)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가로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와이드 표시부(130)에 육각형 메뉴를 출력하여 표시한다.
상기 와이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육각형 메뉴를 확인하고, 버튼부(140)에 구비되는 방향이동 키신호를 입력하여, 일 예로, 대각선 이동방향이 포함되는 8 방향 이동 키신호를 입력하여 육각형 메뉴를 검색하고 선택한다.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드 표시부(130)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5에서는 3번 육각형(hexagonal) 메뉴(MENU)를 선택한 상태이며, 상기 3번 육각형 메뉴로부터, 주변에 구비되어 있는 1번, 2번, 5번, 6번, 7번, 4번의 육각형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주변의 육각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서는, 버튼부(140)에서 8 방향으로 이동하는 키신호를 발생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버튼부(140)는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키신호와, 사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각선 방향 이동의 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인가되는 방향이동 키신호에 의하여 해당 위치의 육각형 메뉴로 이동 표시한다.
상기 도5에서와 같이 육각형 메뉴에서는, 6개 방향으로 이동하는 키신호가 필요하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키 신호를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버튼부(140)에 일 예로 구비되는 것으로, 대각선 방향이 포함되는 8 방향 키신호 중에서, 좌우방향 키신호는, 상기 육각형 메뉴에서 사용되지 않으므로, 다른 용도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40)의 좌우방향 키신호 응용방식을,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면, 일 예로, 현재 표시된 메뉴 영역을 B 그룹(GROUP) 영역이라고 하면, 좌측을 A 그룹 메뉴 영역이라 하고, 우측을 C 그룹 메뉴 영역이라고 한다.
상기 도6에서, 상기 와이드 표시부(130)에 B 그룹 메뉴 영역이 표시되는 상태로부터, 상기 버튼부(140)에서 좌방향 이동의 키신호가 제어부(110)에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A 그룹 메뉴 영역으로 탭(TAB) 이동하여 표시하고, 다른 일 예로, 상기 버튼부(140)로부터 우방향 이동의 키신호가 제어부(110)에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C 그룹 메뉴 영역으로 탭(TAB) 이동하여 해당 그룹(GROUP)을 구성하는 메뉴(MENU)를 표시한다.
다른 일 실시 예로, 상기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육각형 메뉴에 텀브네일 뷰(THUMBNAIL VIEW)를 적용하는 경우이며, 검색하고자 하는 메뉴의 내용을 특징하는 이미지를 손톱크기로 표시하므로, 내용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포함되는 내용의 종류를 알도록 하는 방식이다.
또한, 다른 일 실시 예로, 상기 첨부된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텀브네일 뷰를 적용한 전화번호부이다.
상기 도8은, 전화번호부를, 그룹별로 구분한 것으로, 일 예로, 학교선배그 룹, 친구그룹, 회사동료그룹 등과 같이 구분 분류하고, 현재 표시되는 친구그룹은 6개의 이동방향 키신호로 검색하며, 그룹을 이동하는 경우, 상기의 좌우방향 이동 키신호에 의하여 그룹을 이동하고 검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 예로, 상기 첨부된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컬러 팰리트(COLOUR PALLET)를 적용하는 색상표이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개발 확장되면서, 상기 와이드표시부(130)의 해상도와 색상표현 구현력이 개선되고 다양해지므로, 종래의 10가지 내외 색상으로는 사용자에게 만족한 색감을 줄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와이드 표시부(130)로 구현할 수 있는 컬러 팰리트 색상표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140)의 8 방향으로 이동하는 키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만족하는 색상을 용이하게 선택 설정하고, 이미지(IMAGE) 편집(EDITION)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첨부된 도10 은,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와이드 표시부(130)와 버튼부(140) 구성을 전면에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드 표시부(130)의 가로 길이가 더 긴 상태임을 확인하고, 상기 버튼부(40)는, 8 방향으로 제어되는 키신호를 입력하는 구성임을 보여준다.
일 실험 예로, 상기 첨부된 도1의 종래 기술에서 3번 메뉴의 전자다이어리를 선택 검색하는 상태로부터 7번 메뉴의 게임을 선택하는 경우, 4번의 방향키 신호를 입력하여야 하지만, 상기 첨부된 도5의 본 발명에 의하면, 방향키 신호를 1번 입력 하므로, 3번 메뉴로부터 7번 메뉴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방식은, 종래의 목록 순차 표시방식보다, 표시부에 더 많은 숫자의 메뉴를 한번에 표시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종래의 상하좌우 4 방향으로부터 각각의 대각선 방향이 추가되는 8 방향에 의하여, 평균 약 1/2의 비율로 방향키 조작회수가 줄어들므로, 대용량 정보검색에 있어서, 검색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는,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다양한 기능과 데이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색 선택하여 운용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운용을 감시하는 제어부(110)에 의하여 버튼부(140)로부터 메뉴검색 제어명령 신호가 인가되면, 메뉴부(160)에서 관리중인 메뉴를 벌집유아이부(150)에 의하여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고 가로로 넓은 와이드 표시부(130)에 인가하여 육각형 메뉴로 표시하며, 상기 버튼부(140)로부터 인가되는 방향 신호에 의하여 해당 방향으로 이동표시하고 검색하며, 탭(TAB) 검색하는 경우, 좌우방향 이동신호를 입력하여 표시되는 육각형 메뉴 의 그룹(GROUP)을 이동 표시하여 검색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방법을 다시 설명하면,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에 의하여 운용 메뉴를 검색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구비된 메뉴 목록을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감시중인 버튼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 신호를 분석하여 운용메뉴를 검색하는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의 제어부(110)에 의하여 메뉴를 검색하는 제어명령 신호로 판단하면 메뉴부(160)에서 관리하는 그룹별 메뉴 목록을 벌집유아이부(150)에 인가하고, 상기 벌집유아이부(150)를 제어하여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육각형 메뉴를 가로로 넓은 와이드 표시부(130)에 인가하여 표시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유아이 과정과,
상기 유아이 과정에서 표시된 육각형 메뉴를 버튼부(140)로부터 인가되는 방향이동 키신호에 의하여 검색 선택하고, 탭(TAB) 검색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가로로 넓은 와이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육각형 메뉴를 상기 버튼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방향으로 이동 표시하여 검색하고 선택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의 제어부(110)에 의하여 선택된 육각형 메뉴로부터 다른 그룹의 육각형 메뉴로 탭(TAB) 이동하여 검색하는 제어명령신호가 상기 버튼부(140)로부터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검색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육각형 메뉴를 탭(TAB) 검색하는 경우 버튼부(140)로부터 좌우방향 이동 키신호를 입력하여 육각형(HEXAGONAL) 메뉴(MENU) 그룹(GROUP)을 이동 표시하고 검색하는 것으로, 제어부(110) 판단에 의하여 버튼부(140)로부터 탭(TAB) 검색하는 제어명령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버튼부(140)로부터 좌우방향 이동의 키신호를 입력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입력되는 좌우방향 이동의 키신호에 의하여 육각형 메뉴로 표시되는 그룹을 이동 표시하고 검색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탭과정과,
상기 과정들에 의한 검색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유아이 과정(S110)으로 궤환(FEEDBACK)하고 상기 검색이 완료되었으면 종료로 진행하는 반복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 구성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는, 각 기능부를 감시하는 상태에서, 버튼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메뉴를 검색하는 제어명령으로 판단되면(S100), 상기 메뉴부(160)를 제어하여 관리하는 목록을 벌집유아이부(150)에 출력하며, 상기 벌집유아이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메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목록을,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벌집유아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육각형 메뉴의 목록을 상기 와이드 표시부(13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S110).
상기 첨부된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로 길이가 더 긴 와이드 표시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육각형 메뉴로 목록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와이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육각형 메뉴로 표시되는 목록을 확인하고, 버튼부(140)의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이 포함되는 방향의 키버튼 신호 입력으로 메뉴를 검색하고, 선호하는 목록을 선택한다(S120).
상기 과정(S120)에서 검색하는 그룹(GROUP)의 목록으로부터 다른 그룹의 목록으로 탭(TAB) 이동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S130), 버튼부(140)에 구비되는 좌우이동 방향의 키신호를 입력하고(S140), 상기 과정(S140)의 좌우방향 키신호를 입력한 제어부(110)는, 입력된 키신호의 방향에 위치하는 육각형 메뉴 그룹에 해당하는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탭(TAB) 이동에 의하여 그룹 이동되어 와이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육각형 메뉴를 검색하고, 선호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활용한다(S150).
상기 과정들에 의한 제어부(110)는, 버튼부(140)를 감시하여, 검색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S160), 상기 판단(S160)에서 검색이 완료되지 않고 계속되는 경우는, 상기 유아이 과정(S110)으로 궤환(FEEDBACK)하고, 상기 판단에서 검색이 완료된 경우는 종료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기능이 다양화되는 휴대단말기의 목록과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하는 장점이 있으며, 일반적인 데이터 베이스에서 대량의 데이터 검색하는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다양한 메뉴와 데이터를 육각형 메뉴로 표시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수의 목록을 표시하고,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 검색하므로 검색이 신속하며 용이한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육각형으로 표시하므로, 대량의 목록 및 데이터를 한번에 표시하고, 대각선 방향으로 검색하므로, 적은 횟수의 방향키 입력으로 신속하게 검색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회로부에서 운용되는 모든 기능 목록을 메뉴부에 기록저장 관리하고, 감시중인 버튼부로부터 메뉴 검색 제어명령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메뉴부에서 관리하는 메뉴 목록을 벌집유아이부에 인가하여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고, 상기 육각형 메뉴를 와이드 표시부에 인가하여 표시하며, 상기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방향 이동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육각형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탭 이동신호에 의하여 그룹을 변경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2. 휴대단말기에서 운용되는 모든 기능의 목록을 기록저장 관리하고 출력하는 메뉴부와,
    상기 메뉴부에 접속하고 관리되는 기능 메뉴를 육각형 메뉴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방향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육각형 메뉴를 검색 선택하고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에서 운용되는 메뉴의 목록을 육각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벌집유아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방향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상기 육각형 메뉴를 표시하는 와이드 표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운용을 제어하는 명령신호, 다이얼링 신호, 선택된 육각형 메뉴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과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육각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탭이동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42705A 2005-05-20 2005-05-20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09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05A KR101091308B1 (ko) 2005-05-20 2005-05-20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05A KR101091308B1 (ko) 2005-05-20 2005-05-20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76A KR20060119576A (ko) 2006-11-24
KR101091308B1 true KR101091308B1 (ko) 2011-12-07

Family

ID=3770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705A KR101091308B1 (ko) 2005-05-20 2005-05-20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490B1 (ko) 2009-12-23 201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검색방법
KR101045252B1 (ko) * 2010-11-12 2011-06-29 록앤올 주식회사 정보블록에 의한 맞춤형 지도 제공방법
CN102841751A (zh) * 2012-07-24 2012-12-26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菜单操作方法及应用该方法的便携式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76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9510C (zh) 一种移动通信终端的三维菜单装置及方法
CN101242602B (zh) 具有触摸屏的移动通信终端及使用该终端的信息输入方法
US20060236266A1 (en) User interface
CN110881079B (zh) 在扁平的交互层级中平行切换多个资源的方法及电子设备
CN110213429B (zh) 通信资源提供方法
CN105101354A (zh) 无线网络连接方法及装置
CN101923546A (zh) 对文件夹内的图像文件进行播放的方法及系统
KR101091308B1 (ko) 휴대단말기의 육각형 메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3546610A (zh) 与用户终端相关的方法和装置
US2007017123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CN105204659A (zh) 一种待输入字符的选择方法及装置
KR100715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목록 표시방법
JP2007310815A (ja) 携帯端末装置
US7526282B2 (en) Method of controlling multiple calls of communication device
CN102262441A (zh) 输入方法及装置
CN110198262B (zh) 跨应用的界面元素提供方法
US8174498B2 (en) Multi-directional navigation between focus points on a display
KR100831752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이동단말기와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서 사용하기위한 정보 항목들
KR100620004B1 (ko)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677377B1 (ko) 휴대단말기의 다중 윈도우 운용장치 및 방법
KR1003903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CN113542488A (zh) 采用终端设备控制受控终端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100690759B1 (ko) 휴대단말기의 유아이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
KR100538623B1 (ko) 사용빈도에 따른 메뉴 동적 구성 방법
JP2006211266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