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962B1 -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962B1
KR101090962B1 KR1020100021862A KR20100021862A KR101090962B1 KR 101090962 B1 KR101090962 B1 KR 101090962B1 KR 1020100021862 A KR1020100021862 A KR 1020100021862A KR 20100021862 A KR20100021862 A KR 20100021862A KR 101090962 B1 KR101090962 B1 KR 10109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audio signal
audio
stereo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708A (ko
Inventor
김홍국
전찬준
김용국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2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96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992Circuits for stereophonic or quadraphonic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7Generation or adaptation of the Low Frequency Effect [LFE] channel, e.g. distribution or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1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중앙 채널에 대한 5.1채널 오디오 정보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상관된(correlated) 신호로서 생성하고, 후면 채널에 대한 5.1채널 오디오 정보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비상관된(decorrelated) 신호로서 생성하여, 기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보다 높은 실감 효과를 제공하는 고품질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Audio up-mix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 업믹싱 방안에 관한 것이다.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은 기존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보다 높은 실감 효과를 가지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5.1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는 5.1 채널 오디오 신호보다 적은 채널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5.1채널 오디오 시스템의 효과가 나타나지 못하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현재 대부분의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인 것을 고려할 경우 5.1채널 오디오 시스템의 활용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5.1 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본래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보다 높은 실감 효과를 제공하는 고품질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업믹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5.1 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본래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보다 높은 실감 효과를 제공하는 고품질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업믹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5.1 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본래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보다 높은 실감 효과를 제공하는 고품질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업믹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업믹싱 장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비상관된(decorrelated)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관부; 및 상기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채널 생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비상관된 신호에 대해 저역통과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후면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관부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에 대해 동작하고,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의 상기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후면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을 독립적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상관된 신호를 상기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 신호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의 고유벡터(eigen vector)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중앙 채널 신호에 대해 저역통과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LFE(Low Frequency Enhancement)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상기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전면 채널 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업믹싱 방법은 (a)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비상관된(decorrelated)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비상관된 신호에 대해 저역통과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후면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에 대해 동작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의 상기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후면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을 독립적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상관된 신호를 상기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 신호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각각의 고유벡터(eigen vector)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중앙 채널 신호에 대해 저역통과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LFE(Low Frequency Enhancement)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상기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전면 채널 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비상관된(decorrelated)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은 5.1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중앙 채널에 대한 5.1채널 오디오 정보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상관된(correlated) 신호로서 생성하고, 후면 채널에 대한 5.1채널 오디오 정보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비상관된(decorrelated) 신호로서 생성하여, 기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보다 높은 실감 효과를 제공하는 고품질 오디오 신호를 생성 및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5.1채널 오디오 시스템 뿐만 아니라 게임, 가상현실 및 실감 방송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스테레오 오디오 콘텐츠가 5.1채널 오디오 콘텐츠보다 제작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오디오 채널 확장에 대한 기술 개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도 1은 오디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ITU-R에서 표준으로 하고 있는 5.1채널 스피커의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업믹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업믹싱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오디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오디오 디코더(100), 오디오 재생환경 제어부(200), 오디오 업믹서(300) 및 오디오 재생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의 오디오 장치는 5.1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만 해당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다채널 오디오 업믹싱 시스템에도 해당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100)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한다. 도 1의 오디오 디코더(100)에 입력되는 오디오 비트스트림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이다.
오디오 재생환경 제어부(200)는 디코딩된 신호가 입력될 재생 환경을 제어한다.
오디오 업믹서(up-mixer)(300)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5.1채널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만일 본 발명의 오디오 장치에 오디오 업믹서(300)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오디오 디코더(100)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테레오 재생 환경으로만 재생이 가능하고, 5.1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5.1채널 오디오 신호를 5.1채널 오디오 재생환경으로만 재생이 가능하다. 반면, 본 발명의 오디오 장치에 오디오 업믹서(300)가 마련되었다면, 오디오 디코더(100)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더라도 오디오 업믹서(300)가 그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5.1채널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므로 후술할 오디오 재생부(400)가 5.1채널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오디오 재생부(400)는 스테레오 또는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도 2는 ITU-R에서 표준으로 하고 있는 5.1채널 스피커의 배치도이다.
스피커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2 내지 3미터 거리에 떨어져 있으며 전면 좌우 (FL, FR) 채널은 중앙 채널(C)을 기준으로 30 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후면 좌우(RL, RR) 채널은 중앙 채널(C)을 기준으로 110 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한편, LFE(low frequency enhancement) 채널은 저주파를 강조하기 위한 채널로서 저주파 성분에 대한 신호는 방향성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의 청각 특성 때문에 배치에 대한 특별한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ITU-R BS.775-1, Multi-Channel Stereophonic Sound System with or without Accompanying Picture, July 1994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업믹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좌채널 오디오 입력부(310), 우채널 오디오 입력부(320), 고유벡터 연산부(330), 비상관부(340), 중앙 채널 생성부(350), 7kHz 저역통과 필터(360), 150Hz 저역통과 필터(37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디오 업믹싱 장치는 도 1의 오디오 업믹서(300)를 의미하고, 본 명세서상의 '채널 생성부'는 도3에서 비상관부(340)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블록들을 의미한다.
좌채널 오디오 입력부(310)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채널(L: left)을 입력받고, 우채널 오디오 입력부(320)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우측 채널(R:right)을 입력받는다.
우선 채널 생성부가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신호(C)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채널 생성부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상관된(correlated) 신호를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 신호로서 출력한다. 채널 생성부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의 고유벡터(eigen vector)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를 고려하여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채널 신호를
Figure 112010015525935-pat00001
우측 채널 신호를
Figure 112010015525935-pat00002
라 정의하고 이 두 신호에 대한 공분산 행렬을 구하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0015525935-pat00003
고유벡터 연산부(330)는 그 공분산 행렬에 대한 두 고유벡터(eigenvector)를 연산한다. 큰 고유값에 해당하는 고유 벡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상관된 신호'를 구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0015525935-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10015525935-pat00005
Figure 112010015525935-pat00006
의 고유벡터의 각각의 원소이며,
Figure 112010015525935-pat00007
는 중앙 채널에 대한 정보가 된다. 즉, 중앙채널 생성부(350)는 수학식 2에 따라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채널 생성부가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LFE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150Hz 저역통과 필터(370)는 중앙채널 생성부(350)가 생성한 중앙 채널 신호에 대해 차단 주파수를 150Hz 로 갖는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여 LFE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이는 다음의 수학식 3으로 표현 가능하다.
Figure 112010015525935-pat00008
여기서
Figure 112010015525935-pat00009
는 저역통과 필터링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채널 생성부가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채널(RL, RR)을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상관부(340)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비상관된(decorrelated) 신호를 생성한다. 비상관부(340)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에 대해 동작한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Figure 112010015525935-pat00010
,
Figure 112010015525935-pat00011
각각은 비상관부(340)의 입력이 되며 비상관부(340)의 동작은 다음의 수학식 4로 표현 가능하다.
Figure 112010015525935-pat00012
본 명세서에서,
Figure 112010015525935-pat00013
는 비상관부(340)를 의미하며,
Figure 112010015525935-pat00014
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왼쪽 혹은 오른쪽 채널을 의미한다.
채널 생성부는 그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채널 생성부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의 그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후면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을 독립적으로 생성한다. 즉, 채널 생성부는 스테레오 신호의 좌측 채널 신호의 그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후면 좌측 채널 신호(RL)를 생성하고, 스테레오 신호의 우측 채널 신호의 그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후면 우측 채널 신호(RR)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채널 생성부는 그 비상관된 신호에 대해 저역통과필터링을 수행하여 후면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7kHz 저역통과 필터(362)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채널 신호의 비상관된 신호에 대해 차단 주파수가 7kHz 인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여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좌측 채널 신호(RL)를 생성하고, 7kHz 저역통과 필터(364)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우측 채널 신호의 비상관된 신호에 대해 차단 주파수가 7kHz 인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여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우측 채널(RR)을 생성하고, 이는 다음의 수학식 5로 표현 가능하다.
Figure 112010015525935-pat00015
여기서
Figure 112010015525935-pat00016
는 저역통과 필터링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채널 생성부가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정면 채널(FL, FR)을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채널 생성부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전면 채널 신호로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채널 생성부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측 채널 신호를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전면 좌측 채널 신호로 출력하고,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우측 채널 신호를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전면 우측 채널 신호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업믹싱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업믹싱 장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비상관된(decorrelated) 신호를 생성한다(제410 단계).
제410 단계 후에,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업믹싱 장치는 그 비상관된 신호에 따라 5.1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채널 신호(RL, RR)를 생성한다(제420 단계).
이상에서 언급된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업믹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오디오 디코더 200 : 오디오 재생 환경 제어부
300 : 외디오 업믹서 310 : 좌채널 오디오 입력부
320 : 우채널 오디오 입력부 330 : 고유벡터 연산부
340 : 비상관부 350 : 중앙채널 생성부
362,364 : 7Khz 저역통과 필터 370 : 150Hz 저역통과 필터
400 : 오디오 재생부

Claims (15)

  1.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변환된 신호의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에서의 크기(magnitude)와 위상(phase)에 대하여 각각 난수를 발생시키는 난수 발생부, 난수가 발생된 신호에 대하여 코사인 보간법(cosine interpolation)으로 스무딩(smoothing)하는 스무딩부, 및 스무딩된 신호로부터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한 비상관(decorrelated)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관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비상관부; 및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관 신호를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 신호로 생성 출력하며,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한 비상관 신호를 상기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채널 신호로 생성 출력하는 채널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비상관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시켜 상기 후면 채널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관부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에 대하여 상기 비상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좌우 채널 신호 각각에 대한 비상관 신호로 후면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을 독립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의 고유벡터(eigen vector)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중앙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중앙 채널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시켜 상기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LFE(Low Frequency Enhancement)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생성부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상기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전면 채널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장치.
  8. (a)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의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에서의 크기(magnitude)와 위상(phase)에 대하여 각각 난수를 발생시키며, 난수가 발생된 신호에 대하여 코사인 보간법(cosine interpolation)으로 스무딩(smoothing)하고, 스무딩된 신호로부터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한 비상관(decorrelated)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관 신호를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중앙 채널 신호로 생성 출력하며,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한 비상관 신호를 상기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후면 채널 신호로 생성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비상관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시켜 상기 후면 채널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에 대하여 상기 비상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좌우 채널 신호 각각에 대한 비상관 신호로 후면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을 독립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좌우 채널 신호 각각의 고유벡터(eigen vector)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중앙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중앙 채널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시켜 상기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LFE(Low Frequency Enhancement)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상기 5.1 채널 오디오 신호의 전면 채널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업믹싱 방법.
  15.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00021862A 2010-03-11 2010-03-11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KR10109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862A KR101090962B1 (ko) 2010-03-11 2010-03-11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862A KR101090962B1 (ko) 2010-03-11 2010-03-11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08A KR20110102708A (ko) 2011-09-19
KR101090962B1 true KR101090962B1 (ko) 2011-12-08

Family

ID=4495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862A KR101090962B1 (ko) 2010-03-11 2010-03-11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4971B (zh) 2013-09-02 2017-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文件播放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08A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9887B (zh) 用於喇叭或耳機播放之虛擬音訊處理技術
JP5698189B2 (ja) オーディオ符号化
KR100522593B1 (ko) 다채널 입체음향 사운드 생성방법 및 장치
KR102302672B1 (ko) 음향 신호의 렌더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4529515A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を再構築するために2チャンネル・マトリックス符号化オーディオを復号する方法
KR101533347B1 (ko) 다중 오디오 채널의 재생을 강화하는 방법
KR20100063092A (ko)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2160248B1 (ko) 다채널 음향 신호의 정위 방법 및 장치
US8705779B2 (en) Surround sound virtu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JP6660982B2 (ja) オーディオ信号レンダリング方法及び装置
US10999678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KR20140017639A (ko) 부가적인 출력 채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테레오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H10336798A (ja) 音場補正回路
KR20080013628A (ko)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멀티채널이 다운믹스된 신호를 2 채널로 출력하는 복호화방법 및 장치
JP4810621B1 (ja) 音声信号変換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2823534B (zh) 信号处理设备和方法以及程序
JP4497161B2 (ja) 音像生成装置及び音像生成プログラム
KR101090962B1 (ko)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KR102455549B1 (ko) 사용자 및 스피커의 위치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JP6212348B2 (ja) アップミックス装置、音響再生装置、音響増幅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167995B2 (ja) オーディオ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信号出力方法
KR102161157B1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10102719A (ko) 오디오 업믹싱 장치 및 방법
RU23849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интезирования трех выходных каналов, используя два входных кан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