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975B1 - 자동 이득 제어기 - Google Patents

자동 이득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975B1
KR101089975B1 KR1020090108684A KR20090108684A KR101089975B1 KR 101089975 B1 KR101089975 B1 KR 101089975B1 KR 1020090108684 A KR1020090108684 A KR 1020090108684A KR 20090108684 A KR20090108684 A KR 20090108684A KR 101089975 B1 KR101089975 B1 KR 101089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signal
gain control
perio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874A (ko
Inventor
구본영
정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9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6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both R.F. and I.F.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7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digitally modulate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신호의 주기에 따라 이득 설정 주기를 가변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제어되는 이득에 따라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샘플링 비트수에 따라 샘플링하는 샘플링부와, 샘플링부로부터의 샘플링된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을 이용하여 이득 제어 주기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력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와 상기 설정부의 이득 제어 주기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108684
자동 이득 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AGC), 루프(Loop), 불연속(Discontinuity), 왜곡(distortion),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Analog Digital Converter;ADC), 샘플링(Sampling)

Description

자동 이득 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
본 발명은 자동 이득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신호의 주기에 따라 이득 설정 주기를 가변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용 및 설치 등의 용이성으로 인해 무선 통신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의 RF 신호를 수신하고수신된 RF 신호를 복조하여 원 신호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기에서는 신호 내의 유용한 정보가 일련의 디지털 프로세스에 의해 복구될 수 있도록 아날로그 포맷으로부터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Digital Converter)를 채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비트수가 설정된 경우, 입력 신호 전력이 너무 크다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은 포화될 것이고, 입력신호의 전력이 너무 작다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은 심각하게 양자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접근법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의 입력신호가 희망하는 한계치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전면에 동적으로 조절가능한 이득 증폭기를 적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자동 이득제어 회로는,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피드백 루프를 형성하여 일정한 출력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수신기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불규칙한 주기를 갖는 경우 신호가 왜곡되어 원 신호의 정보를 획득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신호의 주기에 따라 이득 설정 주기를 가변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제어되는 이득에 따라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샘플링 비트수에 따라 샘플링하는 샘플링부와, 샘플링부로부터의 샘플링된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을 이용하여 이득 제어 주기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력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와 상기 설정부의 이득 제어 주기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 이득 제어가 수행되도록 상기 이득 제어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부는 이득 제어 주기의 한 주기에 복수의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부는 기설정된 이득 제어 주기 내의 구간에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이 존재하는 구간과 이득 제어가 수행되는 구간이 동시에 존재하면 해당하는 구간을 제외하고 이득 제어 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과 상기 기준 전력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되, 상기 설정부로부터의 이득 제어 주기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입력 신호는 고주파 신호 또는 중간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입력 신호는 신호 주기가 가변되는 불연속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신호의 주기에 따라 이득 설정 주기를 가변하여 증폭기의 이득을 일정하게 조정함으로써 신호의 왜곡을 저감시키고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이득 제어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 이득 제어기(100)는 샘플링부(110), 검출부(120), 설정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샘플링부(110)는 사전에 설정된 샘플링 비트수를 갖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ADC)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증폭기(Amp)는 제어되는 이득에 따라 입력 신호(Si)를 증폭하여 샘플링부(110)에 출력 신호(So)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샘플링부(110)는 증폭기(Amp)로부터 증폭된 출력 신호(So)를 상기 샘플링 비트수에 따라 샘플링한다.
샘플링된 신호는 복조기(Dem)에 전달되어, 복조기(Dem)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송신기에서 송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원 신호가 복원될 수 있다.
샘플링부(110)로부터의 샘플링된 신호는 검출부(120)에도 전달된다.
검출부(120)는 샘플링부(110)로부터의 샘플링된 신호의 평균 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평균 전력은 샘플링부(110)의 샘플링 한주기의 평균 전력일 수 있다.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 전력값은 설정부(130)와 제어부(140)에 전달될 수 있다.
설정부(130)는 검출부(120)의 의해 검출된 전력값을 이용하여 이득 제어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130)의 이득 제어 주기는 제어부(1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비교기(141)와 제어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141)는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 전력값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력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제어기(142)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기(142)는 비교기(141)의 비교 결과에 따라 증폭기(Amp)이득을 제어하되, 설정부(130)의 이득 제어 주기에 따라 증폭기(Amp)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증폭기(Amp)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Si)는 고주파(Radio Frequency;RF) 신호일 수 있고, 고주파 신호가 중간 신호 처리된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신호일 수 있다.
더하여, 입력 신호(Si)는 연속 신호일 수 있고, 가변되는 신호 주기를 갖는 불연속 신호일 수 있다.
도 2는 연속 신호의 이득 제어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Amp) 입력 신호(Si)가 연속 신호일 경우 증폭기 이득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로 제어되어 증폭기(Amp) 출력 신호(So)는 선형에 가까운 형태로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 신호(si)가 가변되는 신호 주기를 갖는 불연속 신호일 경우일 수도 있다.
도 3은 종래의 이득 제어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Amp) 입력 신호(Si)가 불연속 신호일 경우 증폭기 이득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Si)의 주기와 증폭기 이득 제어의 주기가 겹치게되는 경우 증폭기 출력 신호(So)에는 식별부호 A와 같이 신호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즉, 복조기(Dem)는 왜곡된 신호를 입력받게 되므로 외부의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에서 원 신호의 정보를 정확하게 복원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자동 이득 제어기(100)는 설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130)는 제어기(142)의 증폭기(Amp)의 이득 제어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정부(130)는 검출부(120)의 전력값의 변화에 따라 입력 신호(Si)의 주기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부(130)는 입력 신호(Si)의 신호 레벨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 이득 제어가 수행되도록 이득 제어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증폭기(Amp)의 입력 신호(Si)는 불연속 신호이므로 신호 주기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 설정된 이득 제어 주기에 의해 입력 신호(Si)의 신호 레벨 이 존재하는 구간에 이득 제어가 수행되어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설정부(130)는 이득 제어 주기의 한 주기를 복수의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된 이득 제어 주기의 이득 제어가 수행되는 구간에서 입력 신호(Si)의 신호 레벨이 존재하면 해당하는 구간을 제외하고 이득 제어 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득 제어 그래프이다.
도 1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증폭기(Amp)의 입력 신호(Si)가 불연속 신호인 경우 설정부(130)에 의해 설정된 이득 제어 주기에 따라 제어기(142)는 증폭기(Amp)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Si)는 불연속 신호이므로 신호 주기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 설정된 이득 제어 주기에 의해 입력 신호(Si)의 신호 레벨이 존재하는 구간에 이득 제어가 수행되어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득 제어 주기의 한 주기를 식별부호 ①~⑤ 까지의 5구간으로 나누어 설정하면,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구간인 ⑤구간에서 입력 신호(Si)의 신호 레벨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부(130)는 이득 제어 주기에서 ⑤구간을 제외하여 이득 제어 주기를 설정하여 입력 신호(Si)의 신호 레벨이 존재하는 구간과 이득 제어가 수행되는 구간이 겹치는 것을 방지하여 증폭된 출력 신호(So)의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신호의 주기에 따라 이득 설정 주기를 가변하여 증폭기의 이득을 일정하게 조정함으로써 신호의 왜곡을 저감시키고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이득 제어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연속 신호의 이득 제어 그래프.
도 3은 종래의 이득 제어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이득 제어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자동 이득 제어기 110...샘플링부
120...검출부 130..설정부
140...제어부 141...비교기
142...제어기

Claims (6)

  1. 제어되는 이득에 따라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샘플링 비트수에 따라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샘플링부로부터의 샘플링된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을 이용하여 이득 제어 주기를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력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와 상기 설정부의 이득 제어 주기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 이득 제어가 수행되도록 상기 이득 제어 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이득 제어 주기의 한 주기에 복수의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부는 기설정된 이득 제어 주기 내의 구간에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이 존재하는 구간과 이득 제어가 수행되는 구간이 동시에 존재하면 해당하는 구간을 제외하고, 상기 검출된 전력이 존재하는 구간과 이득 제어가 수행되는 구간이 동시에 존재하지 않는 구간을 포함하도록 이득 제어 주기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과 상기 기준 전력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되, 상기 설정부로부터의 이득 제어 주기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고주파 신호 또는 중간 주파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신호 주기가 가변되는 불연속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
KR1020090108684A 2009-11-11 2009-11-11 자동 이득 제어기 KR10108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84A KR101089975B1 (ko) 2009-11-11 2009-11-11 자동 이득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84A KR101089975B1 (ko) 2009-11-11 2009-11-11 자동 이득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74A KR20110051874A (ko) 2011-05-18
KR101089975B1 true KR101089975B1 (ko) 2011-12-05

Family

ID=4436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684A KR101089975B1 (ko) 2009-11-11 2009-11-11 자동 이득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128B1 (ko) 2017-03-02 2019-08-27 박대원 연마 패드 및 연마 패드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8254A1 (en) 2005-01-18 2006-07-20 Johnson Michael P Efficient method and means for integration of power control and predistortion in a transmitter
US20060290432A1 (en) 2005-06-22 2006-12-28 Chien-Fu Chang Direct current offset canceling circuit of trans-impedance amplifier and automatic gain control trans-impedance amplifier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8254A1 (en) 2005-01-18 2006-07-20 Johnson Michael P Efficient method and means for integration of power control and predistortion in a transmitter
US20060290432A1 (en) 2005-06-22 2006-12-28 Chien-Fu Chang Direct current offset canceling circuit of trans-impedance amplifier and automatic gain control trans-impedance amplifier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74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6859B (zh) 用于无线通信接收机的数字自动增益控制电路
US20060176985A1 (en) Gain control in signal processing with feed-forward gain correction
KR2007009793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정보를 이용한 아날로그증폭 소자의 포화 회피를 위한 이득 변경 방법 및 장치
US8909183B2 (en) Automatic gain control device
JP2006121146A (ja) 無線受信機のフィルタ制御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受信機用集積回路
CN103220018B (zh) 一种电力载波通信网络中的自动增益控制方法
US8213891B2 (en) Gai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receiver of multiband OFDM system
US20080070535A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signal gain control
CN104410429A (zh) 一种基于数据链端机的自动增益控制装置
JP4168393B2 (ja) 無線通信移動局のagc制御方法
KR101089975B1 (ko) 자동 이득 제어기
US79836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out of band interferer in an RF receiver
CN102195582B (zh) 一种自动增益控制方法及装置
JP2009182589A (ja) Rf受信装置
KR100738397B1 (ko) 자동이득 제어장치
KR100916485B1 (ko) 시그마-델타 구조를 갖는 수신 장치
US20120071127A1 (en) Automatic gain control device, receiver, electronic device, and automatic gain control method
US9548777B2 (en)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WO2012155848A1 (zh) 一种自动增益控制方法及装置
JP2004134917A (ja) 自動利得制御装置、無線受信装置及び自動利得制御方法
JP2009232089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364078B1 (ko)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US83061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JP5407596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信号強度の測定方法
EP1338088B1 (en) Signal level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