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671B1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671B1
KR101089671B1 KR1020090080732A KR20090080732A KR101089671B1 KR 101089671 B1 KR101089671 B1 KR 101089671B1 KR 1020090080732 A KR1020090080732 A KR 1020090080732A KR 20090080732 A KR20090080732 A KR 20090080732A KR 101089671 B1 KR101089671 B1 KR 10108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unit
power
power supply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3110A (en
Inventor
정태웅
Original Assignee
정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웅 filed Critical 정태웅
Priority to KR102009008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671B1/en
Publication of KR2011002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upplying a dedicated power supply for controlling the cleaner to a power supply unit dedicated to the cleaner.

홈콘트롤유니트의 전원을 온(On)동작시켜,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화인입포트를 통해 전화유니트로 입력되는 전화착신 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화착신 콜신호의 수신에 이어, 전화착신호감지모듈에서 전화착신 콜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모듈에서 전원출력부를 통해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제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urning on the power of the home control unit and receiving an incoming call signal input from the switchboard of the telephone station to the telephone unit through the telephone entry port; Following reception of the incoming call signal, when the incoming call signal is detected by the incoming call detection module, turn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dedicated to the cleaner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홈콘트롤유니트, 청소기, 콜신호 Home Control Unit, Cleaner, Call Signal

Description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전원의 공급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upply method of exclusive power for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위한 것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화인입포트를 통해 전화유니트로 입력되는 전화착신 콜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모듈에서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제어시켜, 동작중인 청소기를 자동으로 일시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pplying a dedicated power for controlling the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incoming call signal input to the telephone unit through the telephone entry port from the exchange of the telephone station is detected, the cleaner in the control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a dedicated power supply unit to be turned off to automatically pause a cleaner in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전화기와 청소기가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telephone and a cleaner are used separately.

인간들의 생활주변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청소기(201)는 본체(15)에 내장된 강력한 모터(도시 생략함.)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흡인력을 이용하여 주변의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을 빨아 들임으로써 깨끗하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The cleaner 201 that is commonly used around human life sucks dust and the like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air by using a strong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a powerful motor (not shown) built in the main body 15. It is a device that can clean it.

한편, 상기 청소기(201)는 손잡이(23) 부위에 있는 속도조절부(17)에 구비된 속도조절스위치(도시 생략함.)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강약 제어함으로써, 이때 주변의 먼지가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되고, 또한 봉의 길이가 조절되어 지도록 소정 굵기의 통공으로 된 딱딱한 금속 또는 합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흡입봉(24)과, 상기 흡입봉(24)과 연결되어 지며, 소정 굵기와 길이의 부드러운 합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흡입호스(22)를 통과하여 본체(15)에 내장된 집진용기(도시 생략함.)에 먼지가 수거되는 원리로 그 동작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vacuum cleaner 201 is to control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with a speed control switch (not shown) provided in the speed control unit 17 in the handle 23 portion, the dust around the suction ( 25 is sucked through, and the suction rod 24 made of hard metal or synthetic resin with a through hol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that the length of the rod is adjusted,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rod 24, the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The operation is made on the principle that dust is collected in a dust collecting container (not shown) built into the main body 15 by passing through a suction hose 22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가정집이나 회사,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청소기(201)는 모터의 강력한 회전소음을 비롯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소음이 동시에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the cleaner 201 mainly used in a home, a company, an office, or the like is to generate a lot of noise at the same time as the air is sucked, including powerful rotating noise of a motor.

이러한 소음으로 인해 청소 중에는 전화기(100)의 벨소리가 울려도 그 소리를 잘 들을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중요한 전화를 받지 못하는 안타까운 사례가 흔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Due to such noise, even when the ringing of the phone 100 rings during the cleaning, the user cannot hear the sound well, and thus, a sad case in which an important call is not received often occurs.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화인입포트를 통해 전화유니트로 입력되는 전화착신 콜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모듈에서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제어시켜, 동작중인 청소기를 자동으로 일시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when the incoming call signal is input to the telephone unit through the telephone inlet port from the telephone exchange of the telephone station is detected, the power supplied to the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in the control module (Off The purpose of the control is to automatically pause the cleaner in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홈콘트롤유니트의 전원을 온(On)동작시켜,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화인입포트를 통해 전화유니트로 입력되는 전화착신 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home control unit, receiving the incoming call signal input to the telephone unit through the telephone entry port from the telephone exchange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또한, 상기 전화착신 콜신호의 수신에 이어, 전화착신호감지모듈에서 전화착신 콜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모듈에서 전원출력부를 통해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제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Further, after receiving the incoming call signal, if the incoming call signal is detected by the incoming call detection module, controlling the power to b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dedicated to the cleaner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게 설명되어 질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oblems and solution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described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음이 심한 청소기 사용중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일시정지시켜 줌으로써, 전화통화에 지장을 주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coming call from the outside while using a cleaner cleaner and automatically pauses it, thereby providing an effec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elephone call.

또한, 전화를 받는 동안에 청소기가 일시정지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leaner is paused while answering the phone, thus providing another effect of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작용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서 설명되어 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구성 및 작용들이 제한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llustrated by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spirit and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and actions should not be limited.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어 지는 각 도면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별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For reference, in designating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shown in different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전원의 공급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supplying a dedicated power for controlling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최근 들어 인류문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고층빌딩을 비롯하여 아파트, 오피스텔 등과 같은 다양한 주거 형태의 공동건축물의 시설이 늘어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facilities of various residential forms such as high-rise buildings, apartments, and officetels are increasing.

이와 더불어, 인간의 생활을 더욱더 편리하게 해주는 각종 기능들을 내장한 고급화된 건축물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는 점점 더 다양하게 발전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advanced buildings with various functions that make human life more convenient are appearing, and these desir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상기한 건축물들에 내장되어 지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은 홈네트워크(Home Network) 기반으로 CCTV, 소방, 주차, 방송, 출입문,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제어시스템들로 연결 및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주로 실내(아파트의 경우 거실 등)에 설치된 홈콘트롤유니트(Home Control Unit)를 통해서 통합적으로 편리하게 다양한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These various functions embedded in the above buildings are connected and composed of control systems such as CCTV, firefighting, parking, broadcasting, doors, elevators, etc., based o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Hom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etc., various controls will be conveniently integrated.

따라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홈콘트롤유니트(400)에 전화기능을 가진전화유니트(101)를 내장하고, 가정집이나 회사, 사무실과 같은 주로 실내에서 청소기(201)를 사용 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전화유니트(101)에 구비된 감지수단(91)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청소기(201)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오프(Off)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control unit 400 has a telephone unit 101 having a telephone function built in, and when a telephone is called while using the cleaner 201 mainly in a home, a company, an office, etc., The sensing unit 91 provided in the telephone unit 101 detects this and automatically turns off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201 temporarily.

반면에, 상기한 건축물들에 홈콘트롤유니트(400)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화기능을 가진 전화유니트(101)만을 사용해서 앞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구현도 가능함을 밝혀두고자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home control unit 400 is not necessary for the above-mentioned buildings,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is also possible using only the telephone unit 101 having a telephone function.

일반적으로 정보의 전달에 사용되는 매체수단의 하나인 전화기의 회로에는 음성전송에 관계되는 통화회로와 발착신 기능에 관계되는 신호회로로 구성된다.In general, a circuit of a telephone, which is one of the media means use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telephone circuit related to voice transmission and a signal circuit related to an origination and reception function.

상기 통화회로는 송화기와 수화기 및 방측음(防側音)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신호회로는 다이얼회로와 호출회로 및 훅스위치회로 등으로 구성된다.The call circuit is composed of a handset, a handset, an audible sound circuit, and the like, and the signal circuit is composed of a dial circuit, a call circuit, a hook switch circuit, and the like.

이와 같이 구성된 전화기는 송수화기(53)가 소정의 위치에 놓여 있을 경우 즉, 비응답상태(on-hook)로 되어 있으면, 교환기와 전화기 사이에는 직류 회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전화 착신호에 따라 톤링거(tone ringer)가 울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handset 53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e., when the handset 53 is in an on-hook state, the telephone is configured such that a DC circuit is not formed between the exchanger and the telephone. (tone ringer) is in a state capable of ringing.

또한, 상기 송수화기(53)가 소정의 위치에 놓여 있지 않을 경우 즉, 응답상태(off-hook)로 되어 있으면, 교환기와 전화기 사이에는 직류 회로가 형성되어 있어서 발신 또는 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handset 53 is not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in an off-hook state, a DC circuit is formed between the switch and the telephone, so that a call can be made or a call is made.

참조사항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전화기의 일반적인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본원발명의 핵심적인 사상이 아닌 부분이기에 생략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s according to general known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the phone as mentioned above will be omitted since they are not essential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콘트롤유니트를 통해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건물의 실내 레이아웃(Lay-out) 도면이다.FIG. 2 is a layout view of an interior layout of a build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dicated power for controlling a cleaner is supplied through a hom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홈콘트롤유니트(400)에 전화 송수신 기능을 가진 전화유니트(101)를 내장하고, 상기 전화유니트(101)에 구비되며,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화인입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착신 콜신호의 수신 및 감지를 하기 위한 전화착신호감지모듈(500)이 구성된다.First, the home control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telephone unit 101 having a telephon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is provided in the telephone unit 101, the incoming call is input through the telephone entry port from the exchange of the telephone station Dialing signal detection module 500 for receiving and detecting the signal is configured.

상기 홈콘트롤유니트(400)에 내장된 전화유니트(101)는 통신사(예를 들면; KT 등)의 전화선로(국선)에 건물의 벽면 또는 아파트 및 빌딩의 경우 주로 기계실에 설치된 전화인입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소정의 장소(아파트의 경우 주로 거실 등)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lephone unit 101 built in the home control unit 400 is a telephone line (telephone line) of a communication company (for example, KT, etc.) in the case of a wall of a building or an apartment and a building mainly through a telephone entry port installed in a machine room. It is preferable to use it by wired connection at a predetermined place (mainly a living room in the case of an apartment) in a home or an office.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사례로서 상기 홈콘트롤유니트(400)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화기능을 가진 전화유니트(101)만을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er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home control unit 400 is not required to be installed, it may be possible to use only the telephone unit 101 having a telephone function.

또한, 상기 전화착신호감지모듈(500)을 통해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출력부(60)를 통해 실내의 소정 위치에 일반전원공급유니트(301)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를 통해 전원을 공급을 받아서 동작중인 청소기(201)를 오프(Off)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a detection signal output through the telephone call signal detection module 500 is input, at least one cleaner with a general power supply unit 30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room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60 on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module 600 for controlling off (off) the cleaner 201 in operati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3.

다음은 상기 전화유니트(101)에 구비된 전화착신호감지모듈(500)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incoming call signal detecting module 500 provided in the telephone unit 10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홈콘트롤유니트(400)의 전원공급부(16)을 통해 소정의 입력전원이 공급되어 지고, 이와 함께 상기 홈콘트롤유니트(400)에 내장된 전화유니트(101)의 전원부(18)에도 소정의 입력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전화유니트(101)가 동작을 하게 된다.A predetermined input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6 of the home control unit 400, and a predetermined input is also input to the power supply unit 18 of the telephone unit 101 embedded in the home control unit 400. Power is supplied to the telephone unit 101 to operate.

상기 전원 공급부(16)는 일반적으로 교류 상용전원(예를 들면, AC 220볼트)이 공급된다.The power supply unit 16 is generally supplied with AC commercial power (for example, AC 220 volts).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화착신 콜신호를 수신하는 전화착신호부(92)가 구비된다.In such a state,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 call reception unit 92 is provided which receives an incoming call signal from an exchange of a telephone station.

상기 전화착신호부(92)에 전화착신 콜신호가 수신되면 스피커(93b)를 통해 벨소리 또는 제1발광수단(93a)의 불빛으로 상기 전화착신 콜신호 수신상태를 외부에 알려주는 상태표시부(93)가 온(On)동작을 하게 된다.When the incoming call signal is received by the incoming call signal part 92, the status display unit 93 notifies the outside of the incoming call signal reception state by a ring tone or a ligh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means 93a through the speaker 93b. Will be On.

상기 전화착신 콜신호 수신에 연동되어 상기 상태표시부(93)에 연결된 제2발 광수단(91a)이 온(On)동작하여 빛(광)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91)이 구비된다.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a connected to the status display unit 93 is linked to the incoming call signal reception, and the sensing means 91 detects that a light signal is generated. do.

다시 말해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발광수단(91a)이 온(On)동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광신호를 감지수단(91)이 감지를 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he sensing unit 91 detects an optical signal generated a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91a is turned on.

상기 제1 및 제2발광수단(93a)(91a)은 발광램프(전구)를 비롯한 발광다이오드(LED), 포토 다이오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3a and 91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 photodiode including a light emitting lamp (bulb).

참조사항으로, 상기 제1 및 제2발광수단(93a)(91a)은 평상시 즉, 전화가 걸려오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프(Off)되어 빛(광)을 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3a and 91a are turned off during normal times, i.e., without a call, so as not to emit light.

또한, 상기 감지수단(91)에 구비된 제2발광수단(91a)과 감지센서(91b)(91c)는 한 쌍으로 사용되며, 상기 감지센서(91b)(91c)는 CdS(황화 카드뮴 셀), 포토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a and the detection sensors 91b and 91c provided in the detection means 91 are used in pairs, and the detection sensors 91b and 91c are CdS (cadmium sulfide cells). It may be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hoto transistor (Photo Transistor).

물론, 상기 감지수단(91)에 구비된 감지센서(91b)(91c)는 상기 제2발광수단(91a)과 인접한 부위에 한 쌍으로 설치하여 상기 제2발광수단(91a)에서 발하는 광신호를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Of course, the detection sensors (91b) (91c) provided in the detection means (91) are installed in a pair adjacent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a) to emit an optical signal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a) It would be desirable to facilitate sensing.

여기서, 본 발명의 감지수단(91)에 적용되는 제1실시사례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first embodiment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9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as follows.

상기 감지수단(91)에 구비된 감지센서(91b) 즉, CdS는 조사되는 빛(광)의 량 에 따라 저항의 용량(값)이 변화되어 그 감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sensing sensor 91b provided in the sensing means 91, that is, CdS has a capaci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light) to be irradiated so that the sensing operation is performed.

예를 들면, 상기 감지센서(91b)는 제2발광수단(91a)에서 발생하는 빛(광)의 조사량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어두운 상태에서는 높은 저항용량(값)을 가지고 있다가 조사되는 빛(광)이 밝아질수록 자체의 내부 저항용량(값)이 낮아지는 성질을 이용한 라이트(Light)-온(On)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detection sensor 91b operates by sensing an irradiation amount of light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a. In the dark state, the detection sensor 91b has a high resistive capacitance (value) and is irradiated with light. It is preferable to use a light-on type utilizing the property that the internal resistance capacity (value) of the light becomes brighter as (light) becomes brighter.

다시 말해서, 감지센서(91b)인 CdS에 제2발광수단(91a)에서 발생하는 빛(광)이 조사되면 그 저항 용량(값)이 줄어들게 된되고, 이때 상기 CdS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결국 라이트(Light)-온(On)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광신호를 전류신호로 변환한 소정의 감지신호가 제어부(20)에 입력되어 지고, 또한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이를 판별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light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a is irradiated to CdS, which is the detection sensor 91b, its resistance capacity (value) is reduced, and at this tim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dS increases. As a result, a light-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a predetermined detection signal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 current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20, and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and controls the same. Will output a signal.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91b)가 동작하기 위한 빛(광)의 수광량은 제어부(20)에서 소정의 감지범위로 미리 설정하여 판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light (light) for operating the detection sensor 91b is set 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by the controller 20 so as to be discriminated.

본 발명의 감지수단(91)의해 적용되는 제2실시사례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econd embodiment applied by the sensing means 9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as follows.

상기 감지수단(91)에 구비된 감지센서(91c) 즉, 포토트랜지스터는 제2발광수단(91a)에서 발생하는 빛(광)을 수광하여 그 감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sensing sensor 91c provided in the sensing means 91, that is, the phototransistor receives light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a, and the sensing operation is performed.

예를 들면, 상기 제2발광수단(91a)에서 발생하는 빛(광)이 감지센서(91c)인 포토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닿는 빛(광)에 의해 그 감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For example, the sen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light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a touching the base of the phototransistor which is the sensing sensor 91c.

이어서, 마찬가지로 상기 감지수단(91)에서 감지된 광신호를 전류신호로 변 환한 감지신호가 제어부(20)에 입력되어 지고, 또한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이를 판별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ubsequently, a sensing signal that converts the optical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means 91 into a current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20, and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i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역시, 상기 감지센서(91c)가 동작하기 위한 빛(광)의 수광량은 제어부(20)에서 소정의 감지범위로 미리 설정하여 판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light (light) for operating the detection sensor 91c is set in advance in a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by the control unit 20 so that the determination can be made.

다음은 상기 전화유니트(101)에 구비된 제어모듈(600)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600 provided in the telephone unit 10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제어모듈(600)은 감지수단(91)에서 감지된 전화착신 콜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부(31)를 오프(Off)제어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가 구비된다.The control module 6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20 for receiving the incoming call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91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31 (Off).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리셋트부(27)에 구비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셋트스위치(SW1)(SW2)를 누르기 전까지 전원출력부(60)를 통해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구동전원유지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ceiving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 is supplied to the cleaner dedicated power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60 until pressing at least one reset switch (SW1) (SW2) provided in the reset unit 27 And a driving power holding unit 28 for keep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unit 303 in an off state.

한편, 청소기(201)는 상기 전화유니트(101)에 구비된 전원출력부(60)를 통해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의 청소기전용콘센트(304)에 전원공급부(51)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된다.Meanwhile, the cleaner 201 electrically connects the power supply unit 51 to the cleaner exclusive outlet 304 of the cleaner exclusive power supply unit 303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60 provided in the telephone unit 101. The power supply is made.

참조사항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공급유니트(300)에는 일반전기/전자기기들 예들 들면, TV를 비롯한 냉장고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일반콘센트(Concent)(302)가 형성된 일반전원공급유니트(301)가 구비된다.For reference, as shown in FIG. 4, the power supply unit 300 includes a general power supply unit in which a general outlet 302 is formed to supply power to general electric /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refrigerator such as a TV. 301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201)에 전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청소기전용콘센 트(Concent)(304)가 형성된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303 is provided with a cleaner exclusive outlet (304) for supplying dedicated power to the cleaner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물론, 상기 전원공급유니트(300)(참고로, 이를 "아웃렛(Outlet)"이라고도 표현한다.)의 설치수량은 건물의 형태와 접속되는 부하용량에 따라 조절이 가능할 것이며, 특히 일반전원공급유니트(301)와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는 대부분 상기 전원공급유니트(300)와 함께 설치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전원공급유니트(301)와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를 별도로 분리하여 설치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Of course, the installation quantity of the power supply unit 300 (referred to as "outlet" is also referred to.) Will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load capacity connected to the shape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the general power supply unit ( Most of the power supply unit 303 and the cleaner 301 ar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power supply unit 300. However, if necessary, the general power supply unit 301 and the cleaner power supply unit 303 are separately installed. It would be okay to do it.

상기 전원공급유니트(3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실내 즉, 방을 비롯하여 거실, 주방, 현관, 베란다 등에 적어도 1개소 이상 부위에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power supply unit 300 may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t least one or more parts of a building, that is, a room, a living room, a kitchen, a porch, a porch, and the like.

또한,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는 일반전원공급유니트(301)와 구분하기 위하여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상기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청소기(201)에 전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임을 알리는 주의사항을 표기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303 may change the color to distinguish it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unit 301, or to inform the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303 to supply power exclusively to the cleaner 201. It may be desirable to mark the notice.

또한, 상기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는 별도의 캡(Cap)을 설치하여, 청소기전용콘센트(Concent)(304)에 일반전기/전자기기들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cap (Cap) in the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303, it would be desirable to prevent the common electrical / electronic devices to be used in the cleaner exclusive outlet (304).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전화인입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전화라인(TEL. LINE)의 통화로의 형성 및 차단과 상기 상태표시부(93)에 구비된 스피커(93b)에서 발생되는 벨소리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 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20 generates and blocks a call path of a telephone line (TEL. LINE) connected through a telephone entry port and occurs in the speaker 93b provided in the status display unit 93. It may be desirable to control the ringtone.

또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상기 홈콘트롤유니트(400)에 각종 데이터의 입력과 제반적인 기능들의 설정을 위해 다수개의 숫자버튼(Buton) 및 기능키(Key)를 구비한 키패드부(Keypad)(70)가 구성된다.In addition, to make a call to the other party or to input various data to the home control unit 400 and to set various functions, a keypad unit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and a function key is provided. 70) is configured.

그리고,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의 조합 또는 액정표시장치(LCD)로 구성되며, 상기 홈콘트롤유니트(400) 또는 전화유니트(101)의 제어부(20)에서 제어되는 제반적인 동작상태나 다이얼링시 상대방 전화번호를 화면으로 표시하여주는 표시부(71)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the general operation state or dialing when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 of the home control unit 400 or the telephone unit 101 A display unit 71 for displaying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on the screen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홈콘트롤유니트(400) 또는 전화유니트(101)에 설정되는 제반적인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전화번호, 데이터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메모리부(72)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memory unit 72 is provided to store and manage telephone numbers, data, and the like, as well as general programs set in the home control unit 400 or the telephone unit 101.

상기 메모리부(72)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비롯한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memory unit 72 may preferably use an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a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a read only memory (ROM), and the like, including an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will be.

다음은 상기 전화유니트(101)의 전원출력부(60)을 통해 공급되는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청소기(201)의 동작제어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operation control of the cleaner 20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303 supplied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60 of the telephone unit 101 will be described.

상기 청소기(201)의 본체(15)에 내장 구비된 모터(도시 생략함.)의 회전속도를 적어도 1단계 이상 조절하고자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슬라이드스위치 또는 버튼식스위치(이하 "속도조절스위치"라 한다)가 구비된 속도조절부(17)가 구성된다.Slide switch or button-type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ed control switch")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not shown) built in the main body 15 of the cleaner 201 at least one step. Speed control unit 17 is provided.

이때, 상기 속도조절부(17)에서 모터의 회전속도 조절에 의해 손잡이(23)에 연결된 흡입봉(24)의 일단부에 구비된 흡입구(25)로부터의 흡입되는 공기의 흡인력의 강약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strength control of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25 provided in one end of the suction rod 24 connected to the handle 23 by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n the speed adjusting unit 17 is made You lose.

상기 속도조절스위치는 청소기(201)의 사용상 그 편리성을 감안하여 통상적으로 청소기(201))의 손잡이(23)의 소정 부위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eed control switch is generally provid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andle 23 of the cleaner 201 in consideration of its convenience in use of the cleaner 20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도 5의 스위칭부가 동작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unit of Figure 5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leaner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청소기(201)가 정상적으로 작동중일 때, 즉 청소를 하고 있을 경우에는 스위칭부(31)의 스위칭소자(32)가 접점(32a)에 연결(접촉)되어 있다.When the cleaner 201 is operating normally, i.e., when cleaning, the switching element 32 of the switching unit 31 is connected (contacted) to the contact point 32a.

이때,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구비된 청소기전용콘센트(304)에 전원공급부(51)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청소기(201)에는 전화유니트(101)의 전원부(18)를 거쳐 전원출력부(60)를 통해 입력전원이 공급되어 모터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vacuum cleaner 20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outlet 304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exclusive power supply unit 303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51 outputs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8 of the telephone unit 101. Input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unit 60 to perform a rotation operation of the motor.

한편, 청소중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전화착신호부(92), 상태표시부(93) 및 감지수단(91)을 통해 전화착신 콜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이어서 제어부(20)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during cleaning, as described above, the incoming call signal 92, the status display unit 93 and the detection means 91 detects the incoming call signal, and then the control unit 20 ) Outputs a control signal.

이때, 상기 스위칭부(31)에는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청소기(201)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 스위칭제어하기 위한 계전 기코일(31a)이 구비된다.In this case, the switching unit 31 receives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 to relay the on / off switching power supplied to the cleaner 201 to the relay unit coil (31a) Is provided.

상기 계전기코일(31a)에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전압이 인가되어 짐과 동시에 스위칭소자(32)가 접점(32a) 측에서 접점(32b) 측으로 스위칭제어되어 연결(접촉)되어 진다.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relay coil 31a by a control signal, and at the same time, the switching element 32 is switched and connected from the contact 32a side to the contact 32b side.

따라서, 상기 접점(32a) 측을 통해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구비된 청소기전용콘센트(304)에 공급되고 있던 입력전원이 오프(Off)되어 지고, 이에 따라 동작중인 청소기(201)가 오프(Off)제어되어 모터가 정지를 하게 된다.Therefore, the input power supplied to the cleaner exclusive outlet 304 provided in the cleaner exclusive power supply unit 303 through the contact 32a side is turned off, and the cleaner 201 in operation is thus turned off. Off is controlled and the motor stops.

그리고, 상기 접점(32b)에 연결된 표시램프(33)가 온(On)되어 청소기(201)가 정지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lamp 33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 32b is turned on to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cleaner 201 is stopped.

또한, 상기 스위칭부(31)의 계전기코일(31a)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유지시켜 온(On)되어 있는 접점(32b)을 리셋트부(27)에 구비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셋트스위치(SW1)(SW2)를 누르기 전까지 유지시켜 주기 위한 구동전원유지부(28)가 구비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reset switch provided in the reset unit 27 maintains a drive voltage supplied to the relay coil 31a of the switching unit 31. A driving power holding unit 28 is provided for holding until SW1) SW2 is pressed.

다시 말해서, 상기 구동전원유지부(28)는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부(31)의 계전기코일(31a)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유지시켜 리셋트스위치(SW1)(SW2)를 누르기 전까지는 전원출력부(60) 및 청소기전용콘센트(304)를 통해 청소기(201)에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riving power holding unit 28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 and maintains the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relay coil 31a of the switching unit 31 to reset the switch SW1. Until the SW2 is pressed, the input power supplied to the cleaner 201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60 and the cleaner outlet 304 is kept in an off state.

상기 리셋트부(27)에 구비된 리셋트스위치(SW1)(SW2)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홈콘트롤유니트(400) 또는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구비하여 편리하게 사 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reset switches SW1 and SW2 provided in the reset unit 27 may be conveniently provided in the home control unit 400 or the power supply unit 303 for cleaners.

또한, 상기 리셋트스위치(SW1)(SW2)는 홈콘트롤유니트(400) 또는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 중에서 어느 하나만 사용하여도 그 동작에는 무방함을 밝혀두고자 한다.In addition, the reset switch (SW1) (SW2) is to use the home control unit 400 or any one of the power supply unit 303 dedicated cleaner, it will be clear that the operation is fine.

상기 접점(32a)(32b)은 계전기코일(31a)에 구동전원이 공급되거나 끊어지면 곧바로 스위칭소자(32)가 동작을 수행하는 순시접점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act points 32a and 32b preferably use an instantaneous contact type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32 performs an operation as soon as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relay coil 31a.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칭부(31)의 다른 실시사례로서는 무접점회로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Here, as another example of the switching unit 3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contactless circuit.

다시 말해서, 상기 스위칭부(31)는 제어대상인 청소기(201)에 적합하도록 계전기(Relay)방식 또는 논리회로를 이용한 무접점방식을 사용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ing unit 31 be operated using a relay method or a contactless method using a logic circuit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cleaner 201 to be controlled.

한편, 상기 스위칭부(31)와 연결되며, 전화통화가 끝나면 다시 청소기(201)를 다시 온(On)동작시키기 위해 리셋트부(27)에 구비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셋트스위치(SW1)(SW2)를 누르게 된다.Meanwhile, at least one reset switch SW1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31 and provided in the reset unit 27 to turn on the cleaner 201 again after the telephone call ends. SW2) will be pressed.

이때, 상기 계전기코일(31a)에 인가되고 있던 구동전원이 오프(Off)되고, 이로 인해 스위칭소자(32)가 접점(32b) 측에서 접점(32a) 측으로 다시 스위칭제어되어 연결(접촉)이 된다.At this time,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relay coil 31a is turned off, which causes the switching element 32 to be switched again from the contact point 32b to the contact point 32a to be connected (contacted). .

따라서, 청소기(201)에 입력전원이 재공급(On)되어 모터가 다시 회전동작을 하여 청소를 계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input power is supplied to the cleaner 201 (On) so that the motor rotates again so that cleaning can be continued.

다음은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청소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proces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dedicated cleane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청소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플루우챠트이다.9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for clea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홈콘트롤유니트(400)의 전원이 온(On)되어 전화유니트(101)가 동작하면(S901),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화인입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착신 콜신호를 전화착신호감지모듈(500)을 통해 수신 및 감지하는 단계(S902)(S903)가 구비된다.First, when the power of the home control unit 400 is turned on and the telephone unit 101 operates (S901), the incoming call signal inputted through the telephone inlet port from the telephone exchange of the telephone station is received by the telephone call detection module ( Receiving and sensing through 500 (S902) (S903) is provided.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사례로서 상기 홈콘트롤유니트(400)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화기능을 가진 전화유니트(101)에 의해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er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home control unit 400 is not required to be installed, it may be implemented by the telephone unit 101 having a telephone function.

그리고, 상기 전화착신 콜신호의 감지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태표시부(93)에 연결된 제2발광수단(91a)의 온(On)동작을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of the incoming call signal may be performed by detecting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a connected to the status display unit 93.

상기 전화착신 콜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모듈(600)에서 전원출력부(60)를 통해 실내의 소정 위치에 일반전원공급유니트(301)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공급되는 전원의 오프(Off)제어에 이어서(S904), 동작중인 청소기(201)를 오프(Off)제어하는 단계(S9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When the incoming call signal is detected, at least one cleaner power supply unit 303 provided with the general power supply unit 30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room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60 in the control module 600. Subsequent to Off control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evice (S904), a step (S905) of controlling the off cleaner (201) in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상기 전화착신호감지모듈(500)을 통해 전화착신 콜신호를 감지하는 단 계(S903)에서 상기 전화착신 콜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전원이 공급되어(S907), 상기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연결된 청소기(201)가 온(On)동작을 하는 단계(S90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incoming call signal is not detected at step S903 of detecting the incoming call signal through the incoming call detection module 500, power is supplied to the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303 ( S907), the cleaner 201 connected to the cleaner-only power supply unit 303 may further include a step (S908) of performing an On operation.

또한, 상기 동작중인 청소기(201)의 오프(Off)제어 단계(S905)에 이어서, 상기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전원을 재공급하여(S909), 상기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연결된 청소기(201)의 동작을 다시 온(On)시키기 위해(S908) 리셋트부(27)에 구비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위치(SW1)(SW2)를 누르는 단계(S90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urther, following the off control step (S905) of the cleaner 201 in opera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303 again (S909), and the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303 is provided. And pressing (S906) at least one switch SW1 (SW2) provided in the reset unit 27 to turn on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201 connected thereto (S908). It would be desirable.

물론, 상기 리셋트부(27)에 구비된 리셋트스위치(SW1)(SW2)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홈콘트롤유니트(400) 또는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에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at least one of the reset switches SW1 and SW2 provided in the reset unit 27 may be provided in the home control unit 400 or the power supply unit 303 for cleaners.

또한, 상기 리셋트스위치(SW1)(SW2)는 홈콘트롤유니트(400) 또는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303) 중에서 어느 하나만 사용하여도 그 동작에는 무방함을 밝혀두고자 한다.In addition, the reset switch (SW1) (SW2) is to use the home control unit 400 or any one of the power supply unit 303 dedicated cleaner, it will be clear that the operation is fin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사례에서 설명되어진 청소기 제어전용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부분에 응용되어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limi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leaner control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and modify such as applied to various parts You will know clearly.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 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s mentioned, it will be preferred to be defin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전화기와 청소기가 개별족으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telephone and a cleaner in individual group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콘트롤유니트를 통해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건물의 실내 레이아웃(Lay-out) 도면이다.FIG. 2 is a layout view of an interior layout of a build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dicated power for controlling a cleaner is supplied through a hom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유니트가 구비된 홈콘트롤유니트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ome control unit equipped with a teleph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레이아웃에 설치되는 일반전원공급유니트와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general power supply unit and a cleaner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layout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콘트롤유니트에 구비된 전화유니트를 통해 청소기 전용전원 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leaner power supply unit through the telephone unit provided in the hom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감지수단에 의해 전화 콜신호를 감지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of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showing in detail a configuration of detecting a telephone call signal by the sensing unit of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감지수단에 의해 전화 콜신호를 감지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of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showing in detail a configuration of detecting a telephone call signal by the sensing unit of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도 5의 스위칭부가 동작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unit of Figure 5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leaner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청소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플루우챠트이다.9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for clea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5 : 본체 16, 51 : 전원공급부15: main body 16, 51: power supply

17 : 속도조절부 18 : 전원부17: speed control unit 18: power supply unit

20 : 제어부 22 : 흡입호스20: control unit 22: suction hose

23 : 손잡이 24 : 흡입봉23: handle 24: suction rod

25 : 흡입구 27 : 리셋트부25 suction port 27 reset unit

28 : 구동전원유지부 31 : 스위칭부28: drive power holding unit 31: switching unit

31a : 계전기코일 32 : 스위칭소자31a: relay coil 32: switching element

32a, 32b : 접점 33 : 표시램프32a, 32b: Contact 33: display lamp

53 : 송수화기 60: 전원출력부53: handset 60: power output unit

70: 키패드부 71: 표시부70: keypad portion 71: display portion

72: 메모리부 91 : 감지수단72: memory 91: detection means

91a : 제2발광수단 91b, 91c : 감지센서91a: second light emitting means 91b, 91c: detection sensor

92 : 전화착신호부 93 : 상태표시부92: call signal part 93: status display part

93a : 제1발광수단 93b : 스피커93a: first light emitting means 93b: speaker

100 : 전화기 101 : 전화유니트100: telephone 101: telephone unit

201 : 청소기 300 : 전원공급유니트201: Cleaner 300: Power supply unit

301 : 일반전원공급유니트 302 : 일반콘센트301: general power supply unit 302: general power outlet

303 :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 304 : 청소기전용콘센트303: power supply unit for cleaners 304: outlet for cleaners

500 : 전화착신호감지모듈 400 : 홈콘트롤유니트500: telephone call detection module 400: home control unit

600 : 제어모듈 SW1, SW2 : 리셋트스위치600: control module SW1, SW2: reset switch

Claims (5)

홈콘트롤유니트의 전원을 온(On)동작시켜(S901),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화인입포트를 통해 전화유니트로 입력되는 전화착신 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902);Turning on the power of the home control unit (S901) and receiving an incoming call signal input to the telephone unit from the telephone exchange through the telephone entry port (S902); 상기 전화착신 콜신호의 수신에 이어, 전화착신호감지모듈에서 전화착신 콜신호가 감지되면(S903), 제어모듈에서 전원출력부를 통해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제어시키는 단계(S904);Following reception of the incoming call signal, when the incoming call signal is detected by the incoming call detection module (S903), the control module turn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dedicated to the cleaner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Step S904; 상기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Off)제어되면(S904), 온(On)동작 중인 청소기가 오프(Off)제어되는 단계(S905); 를 포함하고,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clean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is controlled to be off (S904), the cleaner being operated on is controlled to be off (S905); Including, 상기 제어모듈은 전원출력부를 통해 일반전원공급유니트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받아서 동작중인 청소기의 전원을 오프(Off)제어시켜 주고자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전화착신 콜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부를 오프(Off)제어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The control module receives the power supplied to the cleaner power supply unit equipped with at least one with a general power supply unit through a power output unit, the telephone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to control the power of the vacuum cleaner in operation (Off)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 incoming call signal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f; And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홈콘트롤유니트 또는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의 리셋트부에 구비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셋트스위치(SW1)(SW2)를 누르기 전까지 전원출력부를 통해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구동전원유지부;Receives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supplies the cleaner exclusive power through the power output unit until the at least one reset switch SW1 (SW2) provided in the reset unit of the home control unit or the cleaner exclusive power supply unit is pressed. A driving power holding unit to keep the power supplied to the unit in an off stat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전원의 공급방법.Supply method of dedicated power for the control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On)동작 중인 청소기가 오프(Off)제어되는 단계에 이어(S905),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전원을 재공급하여(S909),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에 연결된 청소기를 다시 온(On)동작시켜 주고자(S908), 홈콘트롤유니트 또는 청소기전용전원공급유니트의 리셋트부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리셋트스위치(SW1)(SW2)를 눌러주는 단계(S906);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n-operating cleaner is turned off (S905),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leaner power supply unit again (S909), and the cleaner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dedicated to the cleaner. Pressing any one of the reset switch (SW1) (SW2) provided in the reset unit of the home control unit or the cleaner power supply unit to turn on the cleaner again (S908) (S906). ;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전원의 공급방법.Supply method of dedicated power for the control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80732A 2009-08-28 2009-08-28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 KR101089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732A KR101089671B1 (en) 2009-08-28 2009-08-28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732A KR101089671B1 (en) 2009-08-28 2009-08-28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110A KR20110023110A (en) 2011-03-08
KR101089671B1 true KR101089671B1 (en) 2011-12-08

Family

ID=4393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732A KR101089671B1 (en) 2009-08-28 2009-08-28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67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110A (en)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4855A (en) Lighting apparatus, lighting control system and home electric appliance
JP2008252884A (en) Optical switch used as communication device
KR10108967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
KR100935468B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7593516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90030719A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vacuum cleaner
KR100747773B1 (en) Phone unit
KR100747775B1 (en) Vacuum cleaner controlling unit and method
KR100777985B1 (en) Phone holder
CN107678391A (en) A kind of mirror control system and display screen
KR20100008410A (en) Power supply system for vacuum cleaner
KR100767124B1 (en) Vacuum cleaner controlling system
KR100766013B1 (en) Phone holder
KR100747770B1 (en) Vacuum cleaner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CN106200515A (en)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0767125B1 (en) Vacuum cleaner controlling system
KR100722576B1 (en) Vacuum cleaner controlling method
JPH0828902B2 (en) Telephone system
KR100812179B1 (en) Gas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s supply thereof
JP2637085B2 (en) Telephone system
KR100281033B1 (en) Telephone Mouse
JP2575426B2 (en) Telephone system
JP4514821B2 (en) Mobile phone control device
KR100731231B1 (en) A Method and apparatus of power supply at hook-on for telephone
JP2001245364A (en) Communic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