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767B1 -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767B1
KR101088767B1 KR1020090029339A KR20090029339A KR101088767B1 KR 101088767 B1 KR101088767 B1 KR 101088767B1 KR 1020090029339 A KR1020090029339 A KR 1020090029339A KR 20090029339 A KR20090029339 A KR 20090029339A KR 101088767 B1 KR101088767 B1 KR 101088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ata
application
chip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029A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9002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7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06K1/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2019/06215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 G06K2019/06281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rewri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발급기관이 발급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로 탑재 또는 저장될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Application Component) 또는 데이터 블록(Data Block)을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될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C카드, 애플리케이션, 탑재, 카드단말장치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Application(or Data)}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탑재용 카드단말장치의 기능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여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여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4는 카드단말장치에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일 실시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카드단말장치 105 : 제어부
110 : 탑재부 115 : 생성부
120 : 추출부 125 : 권한 획득부
130 : 판단부 135 : 저장부
140 : IC 인터페이스 145 : 부가모듈
150 : 키 입력부 155 : 통신 처리부
160 : 화면 출력부 165 : 메모리부
170 : IC카드 175 : 카드발급기관
본 발명은 특정 발급기관이 발급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로 탑재 또는 저장될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Application Component) 또는 데이터 블록(Data Block)을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될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IC칩 또는 IC카드는 중앙처리장치와 다양한 메모리 소자들을 내장하여 각종 디지털 정보를 저장 및 연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C칩은 중앙처리 장치,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그리고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장치와 출력장치가 없는 소형 컴퓨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IC칩 또는 IC카드는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다목적용 콤비 카드로서, 카드제조사에 관계없이 프로그램 수행이 가능하여 플랫폼에 독립적이고, 카드 발급 후에도 프로그램의 설치와 삭제가 가능한 개방형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대표적인 개방형 플랫폼에는 자바카드(Javacard), MULTOS, SCFW(Smart Card For Windows), 그리고 SmartTEC OS 등이 있다.
자바 카드(Javacard)는 COS(Chip Operating System) 위에 JVM(Java Virtual Machine)을 탑재한 형태의 플랫폼으로서, 온라인 다운로딩으로 카드 내부 프로그램 수정,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탑재, 그리고 통신을 위한 기존 카드단말장치와의 범용성을 바탕으로 하는 개방형 플랫폼이다.
MULTOS는 몬덱스(Mondex)가가 개발하고 몬덱스가 이끄는 산업 콘소시움인 MAOSCO가 지원하는 다기능 운영체제인 MULTOS 위에 고유의 해석 언어인 MEL(Multos Executable Language)로 설계된 MVM(MEL Virtual Machine)을 탑재한 플랫폼으로서, 유럽을 중심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도 전자 화폐를 구비한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되어 있는 개방형 플랫폼이다.
SCFW 카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IC칩 또는 IC카드 전용 8비트 운용체제의 MS 커널(MicroSoft Kernel)에 VBVM(Visual Basic Virtual Machine)을 탑재한 플랫폼으로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을 통해 IC칩 또는 IC카드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없는 일반 개발자들도 친숙하게 서비스 개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개방형 플랫폼이다.
SmartTEC OS는 IC칩 또는 IC카드 규정인 ISO-7816에서 제안하는 파일 설계 구조와 달리 Windows NT와 동일한 구조로 설계된 데스크탑용 운영체제와 비슷한 플랫폼으로서, VM을 탑재하지 않고도 온라인 다운로딩, 다목적 응용기능 등과 같은 개방성을 지원하고, 한번 포팅된 ROM 상의 프로그램은 벡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패치가 가능한 개방형 플랫폼이다.
상기와 같은 개방형 플랫폼들의 특징은 카드 제조사에서 제작된 IC칩 또는 IC카드가 카드발급기관을 통해 사용자에게 발행된 후에도, 상기 카드발급기관 또는 상기 카드발급기관과 소정의 업무(예컨대, 카드 애플리케이션 발급업무)가 제휴된 협력기관 등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후발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IC칩 또는 IC카드에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발급 또는 후발급 할 수 있는 것은, 해당 카드발급기관 또는 소정의 협력기관만으로 제한되는데, 이것은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구비된 고수준의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만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접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자바나 MEL, 또는 비주얼 베이직과 같이 보편화된 개발 도구를 통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될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고 할지라도,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수준의 프로그래밍 지식과 IC칩 또는 IC카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발급기관이 발급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로 탑재 또는 저장될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Application Component) 또는 데이터 블록(Data Block)을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될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은, 특정 발급기관이 발급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로 탑재 또는 저장될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Application Component) 또는 데이터 블록(Data Block)을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될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를 발급한 발급기관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하는데 요구되는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서, 상기 발급기관으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대한 접근권한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급기관으로부터 접근권한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구성을 총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메모리부, 추출부, 생성부, 탑재부, 판단부, 권한 획득부, 및 저장부 등이 모두 포함된 카드단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총괄적인 실시예를 개별적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탑재용 카드단말장치(100)의 기능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카드단말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제어부(105)와 IC 인터페이스(140)와 키 입력부(150)와 화면 출력부(160)와 메모리부(165)와 통신 처리부(155) 및 소정의 부가 모듈 등으로 이루어진다.
메모리부(165)는 하드웨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HDD(Hard Disk Drive))로서 카드단말장치(100)에 내부에 탑재되거나, 또는 이탈착되는 외부에 탑재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카드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단말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 및/또는 영역의 총칭으로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의 메모리부(165)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메모리부(165)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보호 영역으로 설정된 특별 저장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저장되어진 데이터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카드 규격을 따른다.
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부(165)에는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될 수 있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프로그램 코딩없이 자동 또는 반자동(예컨대, 소정의 정보 입력 또는 설정 작업만을 수행)으로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5)에 저장되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칩 또는 IC카드(170)(예컨대, 자바카드, 몬덱스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되는 소정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는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소정의 컴파일 과정을 통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블록은 상기 카드 단말장치에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 입력 또는 대입 과정을 통해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은, 상기 카드단말장치(100)가 제작되는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165)에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제공하는 서버(예컨대, 카드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메모리부(165)에 저장되거나, 또는 소정의 이동식 저장수단(예컨대, CD(Compact Disk),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카드, CF(Compact Flash) 등)을 통해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로 독출되어 상기 메모리부(165)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5)에 저장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는,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구비된 소정의 메모 리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구비된 소정의 COS(Chip Operating System)에서 실행 또는 처리되는 문법(또는 함수)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루어진 소스코드(Source Code), 스크립트(Script), 및/또는 객체(Objec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구비된 COS에서 실행 또는 처리되는 자바 애플릿(Java Applet), MEL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소스코드, 스크립트, 및/또는 객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5)에 저장되는 데이터 블록은,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구비된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구비된 소정의 COS(Chip Operating System)에 의해 읽기 또는 쓰기가 가능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구비된 COS에서 일기 또는 쓰기되는 구조체(Structure), 공용체(Union)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5)는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로 탑재 또는 저장되는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사용하는 단말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상기 단말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로 탑재 또는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 는 데이터)을 사용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명령어 셋(Command Set)을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C 인터페이스(140)는 IC칩 또는 IC카드(170)와 카드단말장치(100)(또는 카드단말장치(100)에 구비된 단말 애플리케이션)를 연동하는 장치 및/또는 시스템으로서,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칩 또는 IC카드(170) 규격을 근거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카드단말장치(100)와 스마트 카드 사이의 데이터 교환 및/또는 트랜잭션(Transaction)을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만족하는 IC칩 또는 IC카드(170) 규격에 따르면, IC 인터페이스(140)는 카드단말장치(100)를 마스터 모드(Master Mode)로 정의하고, IC칩 또는 IC카드(170)를 슬레이브 모드(slave Mode)로 정의하는 반이중(Half Duplex) 통신을 제공한다. 예컨대, 카드단말장치(100)가 IC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스마트 카드로 일련의 명령을 전송하면, IC칩 또는 IC카드(170)는 그에 따르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카드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카드단말장치(100)로 반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 인터페이스(140)는 ISO/IEC 7816에 근거하는 접촉식 접점을 포함하는 접촉식 인터페이스(140) 및/또는 ISO/IEC 14443에 근거하는 비접촉식 접점 등을 포함하는 비접촉식 인터페이스(140) 등이 구비된다.
접촉식 인터페이스(140)는 ISO/IEC 7816에 근거하는 인터페이스(140) 방식으로서, 카드단말장치(100)가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교환을 위한 수단으로 전기적인 접촉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접촉식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카드단말장치(100)와 연동되는 IC칩 또는 IC카드(170)에는 전기적인 접촉판(Chip On Board; COB)을 포함되어 있는데, IC칩 또는 IC카드(170)가 접촉식 인터페이스(140)로 삽입되면, 접촉식 인터페이스(140)는 상기 접촉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점(예컨대, VCC 접촉점)을 통해 IC칩 또는 IC카드(17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점(예컨대, I/O 접촉점)을 통해 IC칩 또는 IC카드(170)와 카드단말장치(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제공한다.
비접촉식 인터페이스(140) ISO/IEC 14443에 근거하는 인터페이스(140) 방식으로서, 카드단말장치(100)가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교환을 위한 수단으로 전기적인 접촉을 이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비접촉식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카드단말장치(100)와 연동되는 IC칩 또는 IC카드(170)에는 정전결합(Capacitive Coupling) 및/또는 전자유도(Inductive Coupling) 등을 통해 카드단말장치(100)와 연동되는 안테나가 포함되는데, IC칩 또는 IC카드(170)가 비접촉식 인터페이스(140)에 접근하면, 비접촉식 인터페이 스(140)는 정전결합 및/또는 전자유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의 안테나를 통해 IC칩 또는 IC카드(170)로 전원을 공급하고, IC칩 또는 IC카드(170)와 카드단말장치(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제공한다.
키 입력부(150)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드단말장치(100) 운영자 및/또는 사용자 등이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 키 데이터(Key Data)를 발생하여 제어부(105)로 전달하는 일반적인 기능과, 함수 연산을 위한 데이터 항목과 정보 입력 기능, 그리고 IC칩 또는 IC카드(170)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기능 등과 같은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을 포함해야 하며, 이에 대한 규격은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칩 또는 IC카드(170) 규격과,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와 연동되는 IC칩 또는 IC카드(170) 제조기관 및/또는 카드발급기관(175) 등에서 정한 업무 규격에 맞도록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면 출력부(160)는 상기 키 입력부(150)에서 발생되는 키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과, 제어부(105)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단말장치(100) 구성요소(예컨대, 부가 모듈 및/또는 IC 인터페이스(140) 등)와 연동하여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과, 카드단말장치(100) 내부에서 일련의 연산 및 처리 과정을 통해 생성된 정보 및/또는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과, 통신 처리부(155) 의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장치와 송수신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과, 통신 처리부(155)의 외부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와 송수신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과, 및/또는 통신 처리부(155)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 장치와 송수신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 등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 처리부(155)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를 외부 및/또는 네트워크 등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 구성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를 외부 및/또는 네트워크 등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총칭으로서, 상기 통신 처리부(155)가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에 대한 세부 사항은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의 통신 처리부(155)에 탑재되는 통신 모듈이 지원하는 통신 규약 및 규격과, 케이블이나 근거로 통신 및/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와 연결되는 장치 및/또는 서버 등에서 제공하는 통신 규약 및 규격에 따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통신 처리부(155)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장치와 카드단말장치(100)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 모듈, 케이블 및/또는 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외부 장치와 카드단말장치(100)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 통신 모듈,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 장치와 카드단말장치(100)를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이 구비된다.
통신 처리부(155)의 네트워크 통신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예컨대, 모뎀(Modem)이나 NIC(Network Interface Card))로 구성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위 서버 및/또는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의 세부 사항은 네트워크 통신 모듈이 연결되는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및/또는 VAN(Value Added Network)) 상에서 유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규약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는 상위 서버 및/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하는 통신 규약 등을 따른다.
통신 처리부(155)의 외부 통신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렬 통신 포트(예컨대, RS-232c(Recommended Standard-232C) 포트나 USB 포트)와 병렬 통신 포트(예컨대, LPT(Line Print Terminal)) 등으로 구성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를 통신 포트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의 세부 사항은 외부 통신 모듈이 연결되는 외부 장치(예컨대, 판매 시점 단말기(Point Of Sale; POS) 및/또는 외부 프린터)에 호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규약에 따른다.
통신 처리부(155)의 근거리 통신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를 근거리 통신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장치(예컨대, 적외선(Infrared Ray) 포트, RF(Radio Frequency) 태그,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카드 등)로 구성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를 근거리 통신(예컨대,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 Tooth),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등)을 통해 근거리 통신 장치와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세부 사항은 근거리 통신 모듈이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 장치(예컨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의 IrFM(Infrared Financial Messaging)을 제공하는 무선 단말기)에 호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규약에 따른다.
부가 모듈을 상기와 같은 카드단말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이외에, 카드단말장치(100)가 운용되는 환경 및 역할에 따라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장치 및/또는 시스템의 총칭으로서, 카드단말장치(100)에 탑재될 수 있는 대표적인 부가 기능 처리부에는 보안응용모듈(Secure Application Module; SAM) 시스템이나 영수증 인쇄를 위한 프린터, 현금 지급을 위한 지폐 방출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부가 기능 처리부에 대한 세부 사항은 해당 부가 기능 처리부에 부가되는 장치 및/또는 시스템이 지원하는 각각의 규약 및/또는 규격에 따른다.
제어부(105)는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시스템 버스(System Bus) 등으로 구성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카드단말장치(100)가 부팅되는 과정 및/또는 부팅된 후 실행된 운영 체제 및 카드단말장치(100) 제어 관리 프로그램과 카드단말장치(100) 애플리케이션들의 총칭으로서, 카드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예컨대, 결제 처리)을 제어하고 관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5)는 본 발명의 기능구성을 위해 메모리부(165)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거나, 또는 메모리부(165)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추출부(120)와, 상기 추출부(120)가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생성부(115)와, 상기 추출부(120)가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생성부(115)가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탑재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에는 상기 생성부(115)가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메모리부(165)에 저장하는 저장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지 판단하는 판단부(130)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탑재부(110)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데 요구되는 접근권한을 획득하는 권한 획득부(125)가 구비된다.
추출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탑재 또는 저장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여 상기 탑재부(110)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추출부(120)는 상기 판단부(130)가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도록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 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부(165)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목록,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목록 또는 데이터 블록 목록을 상기 화면 출력부(160)에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부(150)를 통해 상기 목록 중에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선택하고, 메모리부(165)로부터 상기 선택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로드(Load)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추출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이 미리 지정되어 있다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자동으로 로드하여도 무방하다.
판단부(130)는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추출 또는 생성되기 전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할 지, 및/또는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하기 전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성부(115)는 상기 추출부(120)가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가공하여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생성부(115)는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에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추가 및/또는 설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를 조립(Construction) 및/또는 컴파일(Compile)하여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탑재될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를 조립(Construction)하여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기와, 상기 코드생성기가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와, 상기 생성된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컴파일하는 컴파일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가 객체지향(Object Oriented) 소스코드, 스크립트, 및/또는 객체로 이루어진 클래스(Class)라면, 상기 생성부(115)는 상기 클래스의 추상화, 은닉성, 상속성, 및 다형성을 포함하는 속성을 이용하여 소 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으로 컴파일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코드생성기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포함된 클래스의 멤버변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인증번호, 고객이름, 주민등록번호 등)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컴파일하여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컴파일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데이터 블록이 추출되는 경우, 상기 생성부(115)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 블록에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추가 및/또는 설정하여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저장될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소정의 변수(Variable) 또는 상수(Constant)에 대입 또는 설정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와, 상기 입력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블록에 대입하여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컴파일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블록이 5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구조체라면, 상기 생성부(115)는 상기 구조체에 포함된 5개의 변수에 각각의 데이터형(예컨대, 정수, 실수, 문자, 및/또는 문자열)에 따라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와, 상기 입력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구조체에 포함된 각각의 변수에 대입하여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컴파일러로 이루어진다.
저장부(135)는 상기 생성부(115)가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저장부(135)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165)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35)에 의해 메모리부(165)에 저장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은 이후 다른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되는 경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추출되어 해당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재부(110)는 상기 추출부(120)가 메모리부(165)로부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 가능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생성부(115)가 메모리부(165)로부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 가능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권한 획득부(125)는 상기 탑재부(110)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접근권한이 필요한 경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카드발급기관(175)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접근권한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권한 획득부(125)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부터 소정의 식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식별정보와 카드단말장치(100)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접근권한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접근권한 요청정보를 상기 카드발급기관(175)으로 전송하여 접근권한 승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카드발급기관(175)으로부터 상기 접근권한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접근권한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여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통해 소정의 가맹점 카드단말장 치(100)에서 결제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예컨대, 본 도면2는 대형할인점에서 10만원 이상 구매고객에게 경품응모권에 해당하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도면2의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탑재 또는 저장할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경품응모권)에 해당하는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가맹점의 카드단말장치(100)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저장된 상태에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된 소정의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을 통해 결제처리를 수행하는데(200), 상기 결제처리 과정에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유효성(예컨대, 소정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을 통해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기밀성(Confidentiality), 인증(Authentication), 무결성(Integrity), 및 부인방지(Nonrepudiation) 보장)이 인증되며, 또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를 발급한 카드발급기관(175)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결제처리 과정에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해당 카드단말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지 여부를 판단한다(205).
예컨대,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경품응모권에 해당하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되어 있지 않고,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를 이용한 결제금액이 10만원을 초과한다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경품응모권에 해당하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한다.
만약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필요가 없다면(210),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기존 결제처리 방식을 통해 결제요청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소정의 결제처리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처리데이터를 통해 상기 결제처리를 완료한다.
반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도록 판단되면(215),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실제로 탑재 또는 저장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220).
예컨대,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가 자바카드인데,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몬덱스카드에만 탑재 가능하다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여유공간이 없다면, 역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할 수 없다.
만약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할 수 없다면(225),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기존 결제처리 방식을 통해 결제요청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소정의 결제처리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처리데이터를 통해 상기 결제처리를 완료한다.
반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할 있다면(230),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결제서버(=카드발급기관(175))로 전송하는 결제요청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예컨대, 카드단말장치(100)가 구비된 가맹점)가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데 요구되는 접근권한 요청정보를 첨부하고(235), 상기와 같이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접근권한 요청정보가 첨부된 상기 결제요청데이터를 상기 결제서버로 전송하고, 상 기 결제서버로부터 결제처리데이터를 수신한다(240).
상기와 같이 결제서버로부터 결제처리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결제처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구비된 결제수단을 이용한 소정의 결제처리를 완료하고(245), 상기 결제처리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결제처리데이터에 상기 카드단말장치(100)가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하는데 요구되는 접근권한 승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25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카드발급기관(175)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접근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은 소정의 업무협약 등을 통해 소정의 접근권한이 획득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접근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만약 상기 결제처리데이터에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접근권한 승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255),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 상기 결제처리데이터에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접근권한 승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260),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메모리부(165)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고(265), 상기 접근권한 승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한다(270).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여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3은, IC 인터페이스(140)(예컨대, IC카드(170) 리더기)가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카드단말장치(100))에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설치(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CD를 통해 설치)하고,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예컨대, 본 도면3은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를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하고, 상기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의 유해사이트 차단 기능을 해제하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으로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도면3의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예컨대, IC카드(170) 리더기가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에는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며, 상기 소프트웨어 설치과정에서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상기 유해사이트 차단 기능을 해제하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이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저장되며, 상기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카드단말장치(100)에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는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를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설치하는 과정, 또는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는 상기 유해사이트 차단 기능을 해제하는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될 IC칩 또는 IC카드(170)를 상기 IC 인터페이스(140)에 삽입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 구비된 IC 인터페이스(140)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 또는 저장될 IC칩 또는 IC카드(170)를 삽입하면,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유효성(예컨대, 소정의 PIN 입력을 통해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기밀성, 인증, 무결성, 및 부인방지 보장)을 인증한다(300).
만약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305),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부터 칩정보(예컨대, IC칩 또는 IC카드(170) 종류, 탑재된 플랫폼 등) 또는 카드발급기관(175) 정보(예컨대, 다수의 카드발급기관(175) 중에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접근권한을 획득해야 하는 카드발급기관(175)의 서버 연결정보)를 독출하고(310), 상기 칩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315).
만약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할 수 없다면(320),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IC 인터페이스(140)로 IC칩 또는 IC카드(170)를 삽입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 및 칩정보 또는 카드발급기관(175) 정보를 독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다.
반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할 수 있다면(325),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데 요구되는 접근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접근권한 요청정보를 생성하고(330), 상기 카드발급기관(175) 정보를 통해 상기 접근권한 요청정보를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카드발 급기관(175)으로 전송 및 상기 카드발급기관(175)으로부터 접근권한 승인정보를 수신한다(335).
만약 상기 카드발급기관(175)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접근권한 승인정보가 수신되지 않는다면(340)(예컨대,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수 없다면),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 상기 카드발급기관(175)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대한 접근권한 승인정보가 수신된다면(345),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도면4와 같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탑재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 목록을 추출하여 화면 출력부(160)에 출력한다(350).
상기와 같이 화면 출력부(160)에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 목록이 추출되면, 상기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소정의 키 입력을 통해 상기 목록 중에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할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선택, 및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력 또는 설정하고(355), 상기와 같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조립하고, 상기 입력 또는 설정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에 대입 및 가공한 후, 소정의 컴파일 과정을 통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한다(360).
상기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생성되면, 상기 카드단말장치(100)는 상기 카드발급기관(175)으로부터 수신된 접근권한 승인정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로 탑재 또는 저장한다(365).
도면4는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일 실시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특히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과 같이 카드단말장치(100)에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후, 상기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의 유해사이트 차단기능을 해제하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화면에는 인터넷 서비스 종류(예컨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와 인터넷 서비스 상품)를 판별하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와 애플리케이션 기 능(예컨대, 유해사이트 차단 해제)을 설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를 선택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인증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번호(예컨대, 비밀번호)을 입력받는 데이터 블록에 소정의 인증번호를 입력받는다.
상기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가 선택되고, 데이터 블록에 대입될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며, 상기와 같이 생성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은 상기 카드단말장치(100)가 소정의 접근권한을 획득한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맹점에 구비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탑재용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특정 카드발급기관(175)이 발급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해당 가맹점에 특화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함으로써,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를 해당 가맹점 전용 IC칩 또는 IC카드(170)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CAD(Card Acceptance Device)가 구비된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탑재용 카드단말장치로 활용하여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가 요구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예컨대,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ESD(Electronic Software Delivery) 방식 및/또는 CD(Compact Disk) 방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특정 카드발급기관(175)이 발급한 소정의 IC칩 또는 IC카드(170)에 탑재 또는 저장함으로써, 상기 IC칩 또는 IC카드(170)를 소정의 소프트웨어용 IC칩 또는 IC카드(170)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

  1. IC(Integrated Circuit)에 구비된 IC칩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IC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카드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특정 발급기관이 발급한 IC카드의 IC칩에 기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Application Component) 또는 데이터 블록(Data Block)을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블록을 조립(Construction)하거나 컴파일(Compile)하여 상기 IC칩에 기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IC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생성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IC카드의 IC칩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
  2. 삭제
KR1020090029339A 2009-04-06 2009-04-06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088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39A KR101088767B1 (ko) 2009-04-06 2009-04-06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39A KR101088767B1 (ko) 2009-04-06 2009-04-06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74A Division KR101089383B1 (ko) 2004-04-06 2004-04-06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탑재용 카드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029A KR20090050029A (ko) 2009-05-19
KR101088767B1 true KR101088767B1 (ko) 2011-12-02

Family

ID=4085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339A KR101088767B1 (ko) 2009-04-06 2009-04-06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7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8384A (ja) * 2001-09-28 2003-04-11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ード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ロード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8384A (ja) * 2001-09-28 2003-04-11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ード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ロード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029A (ko)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7605A (ko) 네트워크 확장형 스마트 카드 및 운영 방법
KR101089383B1 (ko)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탑재용 카드단말장치
KR101088767B1 (ko)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91388B1 (ko) 지능형 스마트 카드 운용 방법
KR101017639B1 (ko) 지능형 스마트 카드
KR101025622B1 (ko) 카드단말장치
KR100913488B1 (ko) 가맹점 카드
KR100965140B1 (ko) 지능형 스마트 카드 운용 시스템
KR100591911B1 (ko) 스마트 카드 할인 시스템
KR100971125B1 (ko)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기반 네트워크 카드 운영 방법
KR101070295B1 (ko) 단말 장치
KR101070299B1 (ko) 정보 처리 방법
KR100971126B1 (ko) 카드 운영 시스템
KR101013161B1 (ko) 아이씨 카드간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KR100971137B1 (ko) 스마트 카드 연계 처리형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기반 네트워크 카드 운영 시스템
KR20080101835A (ko) 스마트 카드용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운용 방법
KR100965138B1 (ko) 네트워크 카드 단말기
KR100971128B1 (ko)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기반 네트워크 카드 운영 방법
KR20080069568A (ko) 아이씨칩
KR101020059B1 (ko) 아이씨칩 내 작업 요소 파일 저장 영역의 조정 방법
KR100951596B1 (ko) 스마트 카드용 애플리케이션 후발급 방법
KR101070301B1 (ko) 단말장치
KR100867736B1 (ko) 네트워크 카드 시스템
KR101013163B1 (ko)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시스템
KR20090004832A (ko) 카드 결제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