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101B1 - 소수력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수력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101B1
KR101088101B1 KR1020100022688A KR20100022688A KR101088101B1 KR 101088101 B1 KR101088101 B1 KR 101088101B1 KR 1020100022688 A KR1020100022688 A KR 1020100022688A KR 20100022688 A KR20100022688 A KR 20100022688A KR 101088101 B1 KR101088101 B1 KR 10108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power generation
generator
generation syste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564A (ko
Inventor
백경현
Original Assignee
백경현
청해 Env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현, 청해 Env (주) filed Critical 백경현
Priority to KR102010002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1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차가 없더라도 발전이 가능하고, 작은 유량으로도 다단으로 발전하여 효율이 높고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소수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수력 발전 시스템은, 소수력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양쪽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앙부에 수로가 형성되고 전후부에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좌,우 측벽; 상기 수로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터빈; 상기 각 터빈의 외부를 감싸도록 덧씌워지는 복수의 외부 케이스가 연결통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발전기 본체; 상기 터빈 및 상기 발전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터빈에 상측이 접속되고, 하측이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수단; 상기 터빈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를 증속하기 위한 증속기; 상기 증속기의 출력축과 접속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수로의 유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용수가 발전기 본체 내부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차단벽; 및 상기 발전기 본체의 상부에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증속기 및 상기 발전기가 배치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수가 발전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다단으로 배치된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작은 유량으로도 많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 낙차가 없더라도 발전이 가능하므로 하천 등에 편리하게 시설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수력 발전 시스템{SMALL HYDROPOWER 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소수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낙차가 없는 하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할 수 있고, 작은 유량으로도 다단으로 발전하여 효율이 높고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소수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전하는 발전 시스템은 화석연료를 이용한 화력발전이나, 원자력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을 주고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은 대규모의 발전설비가 필요하므로 대규모의 투자와 공간을 필요로 한다. 화력발전은 에너지원으로 석유나 석탄 등의 화석연료를 이용하므로 대기환경을 오염시키고, 오존층을 파괴하여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또한, 화력발전에서 이용되는 석유나 석탄 등은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고, 그 사용량의 증가와 고갈로 인해 다음 세대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태양열, 조력, 파력, 풍력 및 수력 등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시스템이 폭넓게 연구되고 있고, 대규모의 태열열 발전단지, 풍력 발전단지 등이 건설되고 있다.
그리고, 수력 발전시스템은 주로 댐을 건설하는 방식으로 시행하고 있으나, 과도한 건설비용과, 긴 공사기간이 요구되고, 방대한 양의 물의 담수를 위해 대규모의 토지수몰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함께 충분한 용수의 확보를 위해서는 강이나 하천이 필요하므로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설치장소에 비교적 제약을 받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시설하여 지속적으로 전력생산을 생산할 수 있는 소수력 발전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소수력 발전은 소하천의 유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생산된 전력을 하천 주변의 주택, 가로등과 같이 비교적 소규모의 전력이 요구되는 곳에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88-000354호로 개시된 소수력 발전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9362호로 개시된 소수력 발전기가 구비된 육상 양식장 등의 선행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소수력 발전 시스템은 낙차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담수지를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을 시설하기 위해서는 저수지와 같은 담수지가 기존에 시설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낙차식 소수력 발전 시스템을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91529호에는 하천 수로 등에 시설하여 발전할 수 있는 소수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등록특허 제10-0691529호는 하천의 유수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는 있으나, 발전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천을 가로질러 콘크리트 보를 시공하여야 하므로 많은 공사비가 요구되고 긴 공사기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으며, 하천을 가로막은 콘크리트 보에 의해 유수의 흐름이 차단되어 수질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보에 단일의 발전기만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발전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가 작아서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낙차가 없더라도 발전이 가능하고, 작은 유량으로도 다단으로 발전하여 효율이 높고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은, 소수력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양쪽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앙부에 수로가 형성되고 전후부에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좌,우 측벽; 상기 수로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터빈; 상기 각 터빈의 외부를 감싸도록 덧씌워지는 복수의 외부 케이스가 연결통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발전기 본체; 상기 터빈 및 상기 발전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터빈에 상측이 접속되고, 하측이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수단; 상기 터빈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를 증속하기 위한 증속기; 상기 증속기의 출력축과 접속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수로의 유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용수가 발전기 본체 내부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차단벽; 및 상기 발전기 본체의 상부에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증속기 및 상기 발전기가 배치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외부 케이스는 원통 형상을 갖되 그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터빈을 기준으로 일측에 폭이 넓은 광폭 용수이동부가 형성되도록 평면상에서의 배열 형태가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폭 용수이동부의 배출단에는 연이어 배치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광폭 용수이동부로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편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터빈의 회전축에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고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 및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케이스는 원통형의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이 수용되는 상부 고정케이스와, 상기 상부 고정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고정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하부에 끼움공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에 상기 고정축의 상단이 삽입되어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로의 유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 해당되는 저부에 바닥판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은 유출구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수력 발전 시스템은, 용수가 발전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다단으로 배치된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작은 유량으로도 많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 낙차가 없더라도 발전이 가능하므로 하천 등에 편리하게 시설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발전기 본체는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를 평면상에서의 배열 형태가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광폭 용수이동부가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서로 연결되고, 이 광폭 용수이동부의 배출단에 형성된 유도편이 용수의 흐름을 광폭 용수이동부로만 유도함으로써 터빈에 작용되는 역방향 반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발전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도록 일부를 절개한 도면,
도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지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지지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을 하천에 적용하여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도록 일부를 절개한 도면으로서, 도2 내지 도4는 좌,우 측벽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은, 좌,우 측벽(10), 터빈(20), 발전기 본체(30), 지지수단(40), 증속기(50), 발전기(60), 차단벽(70), 및 고정프레임(80)을 구비한다.
좌,우 측벽(10)은 양쪽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앙부에 수로가 형성되고 전후부에 유입구(11) 및 유출구(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철판, 합성수지판과 같은 판형부재로 구성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측판(10) 사이의 바닥면은 별도의 바닥판을 제작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치 위치나 조건에 따라 하천 바닥이나 기존 수로의 바닥면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바닥면은 유출구(12)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좌,우 측벽(10) 또한 동일한 기울기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닥판은 지지수단(4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계단식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터빈(2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수로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터빈(20)은 수력발전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터빈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21)에 일정한 각도로 다수의 블레이드(22)가 설치된 구조로서 각 블레이드(22)는 굴곡된 판형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발전기 본체(30)는 각 터빈(20)의 외부를 감싸도록 덧씌워지는 복수의 외부 케이스(31)가 연결통로(32)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것으로, 복수의 터빈(20)을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용수가 각각의 터빈(20)을 경유하면서 발전할 수 있는 구조라면 형태와 구조에 제한 없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발전기 본체(30)는 보다 효과적으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각 외부 케이스(31)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되, 평면상에서의 배열 형태가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케이스(31)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면 수로의 중심축을 따라 일자형으로 배치된 터빈(20)을 기준으로 일측에 폭이 넓은 광폭 용수이동부(33)가 형성되고 이 광폭 용수이동부(33)와 대응하는 반대쪽으로는 폭이 좁은 협폭 용수이동부(34)가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광폭 용수이동부(33)는 왼쪽, 오른쪽으로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광폭 용수이동부(33)의 배출단에는 연이어 배치되는 외부 케이스(31)의 광폭 용수이동부(33)로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편(35)이 형성되어 있다.
도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지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지지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b를 참조하면, 지지수단(40)은 터빈(20) 및 발전기 본체(30)를 지지하도록 터빈(20)에 상측이 접속되고, 하측이 수로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터빈(20)의 회전축(21)에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축(41), 이 고정축(41)이 삽입되고 수로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42), 및 고정케이스(42)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축(41)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43)을 구비한다.
고정케이스(42)는 내부에 베어링(43)이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 고정축(41)을 감싸서 지지하는 보스(42a)가 돌출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설치면에 볼트 체결되도록 복수의 브라켓(4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21)은 도5a의 확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41)과의 접속을 위해 하부에 끼움공(21a)이 요입, 형성되고, 이 끼움공(21a)에 고정축(41)의 상단이 삽입된 후 볼트(41b)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고정케이스(42)는 내부에 베어링(43)이 수용되고 수면 아래에 침지되어 설치되는 부재이므로 수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케이스(42)는 원통형의 상부 고정케이스(42c)와, 이 상부 고정케이스(42c)에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고정케이스(42d)로 구성되고, 상부 및 하부 고정케이스(42c,42d)는 접속 부위에 끼워지는 패킹부재(45)에 의해 수밀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고정축(41)을 감싸서 지지하는 보스(42a)의 내부에도 수밀을 위한 패킹부재(46)가 내설되어 있다.
아울러, 고정케이스(42)는 고정축(41)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링(44)이 구비되어 고정케이스(42)의 저부와 볼트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축(41)에는 고정링(44)의 삽입을 위한 고정홈(41a)이 형성되어 있다.
증속기(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20)의 회전축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를 증속하기 위한 구성으로, 터빈(20)의 회전축(21)에 결합되는 구동기어(51)와 접속되는 입력측 기어(52), 다단의 증속기어(53), 및 출력측 기어(54)를 구비한다.
발전기(60)는 증속기(50)의 출력측과 접속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구성으로, 증속기(50)의 출력측 기어(54)에 모터축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발전기는 터빈의 크기, 용량 등에 따라 계산되어 결정된 통상의 발전기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차단벽(70)은 유입구(11)측으로 유입되는 용수가 발전기 본체(30) 내부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판형부재를 수로의 유입구(11)측에 해당되는 좌,우 측벽(10) 사이에 설치하되, 첫 번째 외부 케이스(31)의 연결통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발전기 본체(3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벽(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유량조절벽은 유입구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판형부재로 구성되어 수로의 유입구측에 해당되는 좌,우 측벽(10)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유량조절벽은 홍수 등의 발생으로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되거나, 유지보수시에 유입구측을 선택적으로 밀폐하여 발전 시스템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유량조절벽은 수조작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하거나 전동방식의 개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전동방식의 개폐수단은 예컨대, 기어드모터와, 로프나 체인 등으로 구성되어 기어드모터와 유량조절벽에 연결되는 견인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고정프레임(80)은 증속기(50) 및 발전기(60)의 설치를 위한 구성으로, "H" 빔, 판재, "ㄱ"자 형강, "ㄷ"자 형강 등을 이용하여 직사각틀 형태로 형성하여 발전기 본체(30)의 상부에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을 하천에 적용하여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가장자리에 발전기 본체(30)를 설치하고, 터빈(20), 지지수단(40), 증속기(50), 발전기(60), 차단벽(70), 및 고정프레임(80)을 정해진 순서대로 조립한다. 이때, 발전기 몸체(30)는 유입구(11)측은 하천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유출구(12)측이 기존 수로(a)와 연결되도록 하여 하천의 용수를 먼저 발전용으로 이용하고, 이후 공업용이나 농업용 등의 용수로 다시 이용함으로써 용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발전기 몸체(30)측으로 용수를 공급하게 되면, 첫 번째 외부 케이스(31)의 연결통로로 용수가 유입되어 광폭 용수이동부(33)를 경유하면서 터빈(20)의 블레이드(22)에 수압을 작용하여 회전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후, 터빈(20)의 회전축(21)과 연결된 증속기(5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증속된 후 발전기에 전달 되므로 발전기는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첫 번째 터빈(20)을 경유한 용수는 순차적으로 다수의 터빈(20)을 회전시켜 발전작용을 수행한 후 유출구(12)를 통해 배기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에 의하면, 터빈(20)이 용수의 이동경로를 따라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어 하나의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발전작용을 수행하므로 발전효율이 높고, 수력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은 외부 케이스(31)의 평면상에서의 배열 형태가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광폭 용수이동부(33)가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연결되고, 이 광폭 용수이동부(33)의 배출단에 형성된 유도편(35)은 용수의 흐름을 광폭 용수이동부(33)로만 유도함으로써 블레이드(22)에 작용되는 역방향 반력(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의 회전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발전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 발전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좌,우 측벽 20:터빈
21:회전축 22:블레이드
30:발전기 본체 31:외부 케이스
32:연결통로 33:광폭 용수이동부
35:유도편 40:지지수단
41:고정축 42:고정케이스
43:베어링 50:증속기
60:발전 70:차단벽
80:고정프레임

Claims (5)

  1. 소수력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양쪽으로 이격, 배치되어 중앙부에 수로가 형성되고 전후부에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좌,우 측벽;
    상기 수로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터빈;
    상기 각 터빈의 외부를 감싸도록 덧씌워지는 복수의 외부 케이스가 연결통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발전기 본체;
    상기 터빈 및 상기 발전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터빈에 상측이 접속되고, 하측이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수단;
    상기 터빈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를 증속하기 위한 증속기;
    상기 증속기의 출력축과 접속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수로의 유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용수가 발전기 본체 내부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차단벽; 및
    상기 발전기 본체의 상부에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증속기 및 상기 발전기가 배치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외부 케이스는 원통 형상을 갖되 그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터빈을 기준으로 일측에 폭이 넓은 광폭 용수이동부가 형성되도록 평면상에서의 배열 형태가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폭 용수이동부의 배출단에는 연이어 배치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광폭 용수이동부로 용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터빈의 회전축에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고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 및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는 원통형의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이 수용되는 상부 고정케이스와, 상기 상부 고정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고정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하부에 끼움공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에 상기 고정축의 상단이 삽입되어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유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 해당되는 저부에 바닥판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은 유출구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 발전 시스템.
KR1020100022688A 2010-03-15 2010-03-15 소수력 발전 시스템 KR10108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88A KR101088101B1 (ko) 2010-03-15 2010-03-15 소수력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88A KR101088101B1 (ko) 2010-03-15 2010-03-15 소수력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64A KR20110103564A (ko) 2011-09-21
KR101088101B1 true KR101088101B1 (ko) 2011-11-30

Family

ID=4495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688A KR101088101B1 (ko) 2010-03-15 2010-03-15 소수력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51A1 (ko) 2018-03-26 2019-10-03 배명순 수력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493B1 (ko) * 2016-12-20 2017-11-06 천호산업(주) 해양 양식단지 방류구용 친환경 소수력 발전시설
KR102637470B1 (ko) 2022-11-16 2024-02-19 주식회사 하백 양식장 배출수의 유량과 수두에 따라 수차시스템의 안내깃과 베인의 각도변경이 가능한 조립식 소수력발전용 임펠러 시스템
KR102637477B1 (ko) 2023-08-21 2024-02-19 주식회사 하백 양식장 배출수 유량변화 대응 소수력발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469A (ja) 1985-09-02 1987-03-11 Sanuki Tekko Kk クロスフロ−水車
JP2004211594A (ja) 2002-12-27 2004-07-29 Takeuchi Seisakusho:Kk 浮力利用の回転力発生装置
US7466035B1 (en) 2008-02-26 2008-12-16 Simon Srybnik Transportable hydro-electric 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water pressure enhancement fea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469A (ja) 1985-09-02 1987-03-11 Sanuki Tekko Kk クロスフロ−水車
JP2004211594A (ja) 2002-12-27 2004-07-29 Takeuchi Seisakusho:Kk 浮力利用の回転力発生装置
US7466035B1 (en) 2008-02-26 2008-12-16 Simon Srybnik Transportable hydro-electric 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water pressure enhancement fea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51A1 (ko) 2018-03-26 2019-10-03 배명순 수력 발전장치
KR20190112606A (ko) 2018-03-26 2019-10-07 배명순 수력 발전장치
US11668273B2 (en) 2018-03-26 2023-06-06 Myung soon Ba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64A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1823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работающая от потока воды
US9512815B2 (en) Multipurpose rotary device and generating system including same
KR20100131078A (ko) 부유식 수력발전기
KR101202678B1 (ko) 하수방류관용 수력발전장치
GB2436857A (en) two-way tidal barrage with one-way turbines
KR101088101B1 (ko) 소수력 발전 시스템
WO2004106731A1 (en) Portable hydro-generator
KR20120109933A (ko) 부양식 원통형 수차를 이용한 다중 수력발전 시스템
KR101872991B1 (ko) 환경치유발전시스템
RU2347935C2 (ru) Руслов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101348416B1 (ko) 모듈형 수직축 조류발전기
KR20200002084A (ko) 무전력 양수 및 소수력발전 시스템
KR100695544B1 (ko) 다수의 회전드럼을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101452016B1 (ko) 파랑에너지를 이용한 조력발전장치
RU23548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JP2005048603A (ja) 水力自家発電装置
JP2004068655A (ja) 定水量開放型水車発電装置
KR102375271B1 (ko) 양방향 유속증속 수력발전장치
RU241309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на замкнутом потоке воды с принудительным разгоном
RU2447229C1 (ru) Гэс с принудительным разгоном потока
KR200386117Y1 (ko) 다수의 회전드럼을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101338950B1 (ko) 태양광 보완 우수활용 발전장치
KR20120052459A (ko) 수로를 이용한 수력발전 시스템
KR102581083B1 (ko) 수중매입형 소수력 발전장치
KR20120055904A (ko) 하이브리드형 마이크로 소수력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