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696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rding after Call Servi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rding after Call Servi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696B1
KR101087696B1 KR1020050063604A KR20050063604A KR101087696B1 KR 101087696 B1 KR101087696 B1 KR 101087696B1 KR 1020050063604 A KR1020050063604 A KR 1020050063604A KR 20050063604 A KR20050063604 A KR 20050063604A KR 101087696 B1 KR101087696 B1 KR 10108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mo
mobile communication
memo data
us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9752A (en
Inventor
서병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696B1/en
Publication of KR2007000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7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종료 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후 확인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later confirming voice memo data set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fter a call is terminated.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가 종료된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음성 알림 서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무선 접속망; 및 상기 무선 접속망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a call between a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erminated, wherein the caller mobil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A voice notification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a terminal or a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ceives the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and stores the voice memo data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 wireless access network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tation connected to the wireless access network and configured to relay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통화 후 메모 내용이나 떠오르는 생각을 음성으로 저장하여 추후에 음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정 기능을 추가하여 저장된 음성 메모를 예약 콜시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tore the memo contents or the rising thoughts after the call as a voice to check the voice later, and provides a service for confirming the stored voice memo at the time of the reservation call by adding a certain function.

음성 메모 데이터, 통화 종료, 추가 정보, 예약 콜  Voice memo data, call end, tips, reserved call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종료 후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성 녹음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rding after Call Servi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Method and system for voice recording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call termin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rding after Call Servi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한 후 재생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storing and reproducing voice memo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음성 알림 서버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voice notification serv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후에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추후 재생하는 서비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service for receiving, storing, and playing back voice memo data from a user after a call is termina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사용자에게 문자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되는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voice memo service menu provided to a user in a text data forma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무선 접속망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ireless access network

112: 기지국 전송기 114: 기지국 제어기112: base station transmitter 114: base station controller

120: 이동통신 교환국 122: 홈 위치 등록기120: mobile switching center 122: home location register

126: SMS 센터 130: 음성 알림 서버 126: SMS Center 130: Voice Notification Server

202: 프로그램 메모리 204: 키입력부 202: program memory 204: key input unit

206: LCD 표시부 208: 데이터 저장부 206: LCD display unit 208: Data storage unit

216: 마이크로프로세서 218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6: microprocessor 218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20: 베이스밴드 변환부 222: 스피커220: baseband converter 222: speaker

224: 마이크로폰 226: RF 신호 처리부224: microphone 226: RF signal processing unit

300: 프로그램 메모리 30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0: program memory 304: user interface unit

308: 음성 알림 서버 제어부 310: 사용자 정보 저장 DB308: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trol unit 310: user information storage DB

312: 사용자 음성 저장 DB 314: 사용자 예약 콜 일정 저장 DB 312: user voice storage DB 314: user reservation call schedule storage DB

본 발명은 통화 종료 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후 확인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가 끝난 후 메모 사항을 음성 데이터로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해 놓고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에 부합하는 추가 정보를 입력하여 추후 편리하게 음성 메모 데이터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later confirming voice memo data set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fter a call is terminated. More specifically, after the call is over, the mobile terminal user can store the memo as voice data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nd input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oice memo data to conveniently check the voice memo data later. And to the system.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이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have been provided. The most basic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is a wireless voice call service that provides voice calls wirelessly between mobile terminal user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가 설정한 '다이얼링 음악', '발신자 표시 번호', '간단한 자기소개' 등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음성으로 알려주는 컬러링 서비스가 유행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음성 저장 방법은 통화 도중 대화의 일부분을 저장하거나 통화 전체 내용을 저장하여 추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coloring services, such as 'dialing music', 'caller display number', and 'simple self-introduction' set up by a caller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being popular. In addition, many technologies for storing the contents of a call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 current voice recording method can be confirmed later by storing a part of a conversation or a whole call during a call.

한편으로 저장된 내용을 추후 확인하려면 저장된 음성 메모 내용 전체를 들어야 했으며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되어 저장된 음성 메모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은 제시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to check the stored contents later, it was necessary to listen to the entire stored voice memo contents, and no method of checking the stored voice memo contents related to the user's schedule was not presente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가 끝난 후 메모 사항을 음성 데이터로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해 놓고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에 부합하는 추가 정보를 입력하여 추후 편리하게 음성 메모 데이터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memo as voice data after the call is comple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puts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oice memo data to conveniently store voice memo data la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be reconfirm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가 종 료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가 종료된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음성 알림 서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무선 접속망; 및 상기 무선 접속망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fter the call is terminated between the caller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voice notification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the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a call is terminat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ceives the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and stores the voice memo data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 wireless access network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tation connected to the wireless access network and configured to relay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음성으로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화 종료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알림 서버에 전송하는 기능의 프로그램과 음성 메시지에 대한 "대표 이름", "날짜", "장소", " 특수 비밀 번호"의 추가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추가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추가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을 비롯하여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키입력부;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 통화시 통화자의 전화번호와 전화 통화 연결 상태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추가 정보를 디스플 레이하는 LCD 표시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숫자 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며, 키입력에 따른 상기 전화 통화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나 음성을 통해 입력한 통화자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 번호 저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번호에 대한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상기 모드 상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 및 상기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서 다운받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 이동통신망과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변환부;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상기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거나, 상기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로 변환해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로 인가하는 RF 신호 처리부; 및 상기 RF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 한 상기 RF 신호를 상기 RF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메모 데이터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voice data from a user by voice and stores it in a voice notification server, wherein after receiving a call, voice memo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and transmitted to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 function for re-confirming the voice memo data desired by the user by in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representative name", "date", "place", "special password" for a program and a voice message, and searching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program;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numeric button for inputting all or a par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a character button displaying characters for inputting character data, and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menu; Displaying the overall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r and the telephone call connection stat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cluding the degree of use of the power,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adio wave, the date and time. An LCD display unit; A data storage unit which serves as a data buffer dur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numeric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voice memo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de state storage unit for storing an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as a state flag and storing the telephone call mode according to a key input as a state flag; A telephone number storage unit for storing a telephone number of a caller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or voice; A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n a uniqu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state flag stored in the mode state storage unit, receiving the voice memo data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oice memo data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 microprocessor controlling a process of downloading the voice memo data desired from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nd checking the voice memo data;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performing an audio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encoding or decoding audio data and performing an equalization function for removing noise of a multipath; A baseband conversion unit converting a signal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to a baseband signal, and performing a digital-analog conversion and an analog-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function;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aseband converter as an audible sound; A microphone for converting the user's voice input into the audio signal; An RF signal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transmission message signal into an RF signal or converting the RF signal into a reception message signal and applying the same to the baseband converter; And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voice memo data includ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the RF signal or transmitting the received RF signal to the RF signal processor and storing the received voice memo data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memo data after the voice.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통화가 종료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에 대한 "대표 이름", "날짜", "장소", " 특수 비밀 번호"의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추후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음성 알림 서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 및 상기 추가 정보를 분석하고 저장된 일정에 따라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 실행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상기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SMS 모듈부; 음성 알림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알림 서버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가입 여부나, 근황 및 기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음성 저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예약 콜 날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예약 콜 일정 저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추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음성 알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 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voice memo data is received and stor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whose call is terminated, and the "representative name", "date", "place", and "special password" for the voice memo data are stored. A voice notification server that receives additional information of and further informs the user, wherein the program analyzes the voice memo data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informs the user of the voice memo data according to a stored schedule. A program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A user interface unit converting the voice memo data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n SMS module unit for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A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overall operation of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 user information storage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user's subscription, status, and other information; A user voice storage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And a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voice memo data and notify a user later of the voice memo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base includes a user scheduled call schedule storage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a reservation call date from the user.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memo data.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a) 통화 종료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b) 통화가 종료된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c)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에 추가 정보를 입력할 것 인지 질의하는 단계; (d) 추가 정보를 입력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입력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에 대한 "대표 이름", "날짜", "장소", " 특수 비밀 번호"의 추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e) 예약 콜 정보에 맞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a call between a caller mobile terminal and a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erminated is performed. step; (b)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who terminated the call; (c) querying the stored voice memo data for input of additional information; (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to be input, sto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representative name", "date", "place", and "special password" for the input stored voice memo data; And (e) informing the user of the voice memo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servation call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한 후 재생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추후 재생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무선 접속망(110), 이동통신 교환국(120), 홈 위치 등록기(122), 방문자 위 치 등록기(124), SMS 센터(126), 음성 알림 서버(130) 등을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storing and reproducing voice memo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in FIG. 1 and later reproduc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wireless access network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he home location register 122,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124, SMS center 126, 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and the like.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 알림 서버(130)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 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이동통신 단말기를 말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terminal capable of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ing voice memo data from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cellular phone,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phone. And a wideband CDMA (W-CDMA) phone, a CDMA-2000 phone, a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 and the like. MBS phone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used in the fourth generation system currently being discussed.

또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음성으로 메모를 입력하여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에 부합하는 "대표 이름", "날짜", "장소", " 특수 비밀 번호"의 추가 정보를 입력하고 추후 다시 검색하여 음성 메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In addition, the user inputs a memo to the mobile terminal 100 by voice, stores it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nd adds "representative name", "date", "place", and "special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oice memo data. It is a terminal that can check voice memo data by inputting information and searching again later.

무선 접속망(110)은 기지국 전송기(112), 기지국 제어기(114) 및 중계기(Enhancer : 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The radio access network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a base station controller 114, a repeater (Enhancer: not shown) and supports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Here, in the case of synchronous,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base station transmitter will be a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 (BTS), and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base station controller will be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The Transceiver Subsystem,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base station controller will b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Of course, the wireless access network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GSM network other than a CDMA network and an access network of a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기지국 전송기(11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의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14)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12)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is arranged in units of cells, and receives a call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a traffic channel among signal channels, and receives the received call request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controller. In step 114, location registra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isting in the cell area under its control.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is a network endpoint devi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performing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d and wireless convers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수신측인 경우, 기지국 전송기(112)는 자신의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전달되는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14)를 통하여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receiving side,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isting in its cell area, and the cal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h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4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isting in the cell area under its control.

또한, 기지국 전송기(112)는 상공에 떠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미도시)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12)가 위치한 경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 전송기(112)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1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may obtain information such as the longitude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from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loating in the air, and forward-link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The system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of the call channe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register new location information by calculating a moving dist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self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of the cell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elongs.

기지국 제어기(114)는 기지국 전송기(112)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1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기지국 전송기(11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4 controls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assigns and releases radio channel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ntrols the transmission out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112, and inter-cell soft handoff. It performs soft handoff and hard handoff decision, transcoding and vocoding, GPS clock distribu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base station.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수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A/B/C 시스템의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performs basic and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reception and outgoing call processing of a subscriber,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nd handoff procedure, and interworking with other networks.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of the IS-95 / A / B / C system operates an access switching subsystem (ASS) that performs distributed call processing, an INS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that performs centralized call processing, and operates. And a subsystem such as a Central Control Subsystem (CCS) in charge of the centralization of maintenance, and a 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LRS) that performs storage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mobile subscribers.

또한, 3 세대 및 4 세대를 위한 이동통신 교환국(120)에는 ATM(Asynchronous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for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has an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Transfer Mode) switch (not shown) may be included. The ATM switch increases the transmission speed and the efficiency of line use by packet transmission in a cell unit.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22)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24)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122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124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registration recognition, registration deletion, and location verification.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124)는 위치 정보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의 경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수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통신 교환 국(12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124 is used to store subscriber data in the case of location information of a visited subscriber where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is performed, reception from a sending mobile terminal, reception to a receiving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SMS 센터(126)는 이동통신 교환국(120)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SMS 센터(126)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동통신 가입자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만일 발신자가 전송 의뢰한 문자 메시지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곧바로 전달되지 못한 경우에는, 발신자가 지정한 시간 또는 수신자가 수신 가능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SMS 센터(126)에 저장된다.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자가 수신 확인을 하면 SMS 센터(126)에 의하여 삭제되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혹은 발신자가 지정한 유효 시간까지 전달되지 못한 문자 메시지는 삭제된다. The SMS center 126 is connected to the mobile switching center 120 and serves to deliver a short message to mobile subscribers. The SMS center 126 u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numbers and letters bidirectionally between various text delivery systems (PC communication system, Internet server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tc.) and subscribers. Of course, the mobile subscriber may send a text message through the calling mobile terminal. If the text message requested by the sender is not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it is stored in the SMS center 126 until the time specified by the sender or the receiver reaches a state in which it can be received. When the receiver receives the text message sent by the sender and confirms the receipt, the SMS message is deleted by the SMS center 126. The text message that has not been delive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or until the valid time designated by the sender is deleted.

음성 알림 서버(130)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추가 데이터 일정에 맞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나 사용자가 설정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receives and stores voice memo data and additional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nd transfers the voice memo data to the user mobile terminal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a schedule of additional data set by the user. sen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프로그램 메모리(202), 키입력부(204), LCD 표시부(206), 데이터 저장부(208), 모드 상태 저장부(210), 전화번호 저장부(212), 가입자 정보 저장부(214), 마이크로 프로세서 (216), DSP(Digital Signal Processor)(218), 베이스밴드 변환부(220), 스피커(222), 마이크로폰(224), RF 신호 처리부(226), 안테나(228)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memory 202, a key input unit 204, an LCD display unit 206, a data storage unit 208, a mode state storage unit 210, and a telephone number storage unit 212. ),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214, microprocessor 216,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218, baseband converter 220, speaker 222, microphone 224, RF signal processor 226 And an antenna 228 or the like.

프로그램 메모리(202)는 통화 종료 후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 및 음성 메시지에 대한 "대표 이름", "날짜", "장소", " 특수 비밀 번호"의 추가 정보를 입력하고 추가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program memory 202 enters additional information of "representative name", "date", "place", "special password" for voice memo data and voice message from the user after the end of the call and retriev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by the user. There is a program for re-confirming the desired voice memo data.

키입력부(204)는 추가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을 비롯하여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음성 알림 서버(130)으로부터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를 다운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을 할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다. The key input unit 204 is provided with a numeric button for inputting all or part of additional information, a character button displaying characters for inputting character data, and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menu. In addition, a voice memo service menu is downloaded from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and a user's desired keypad is provided.

LCD 표시부(206)는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 통화시 통화자의 전화번호와 전화 통화 연결 상태 및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메모 데이터에 대한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The LCD display unit 206 displays the overall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degree of use of power, the reception strength of radio waves, the date and time,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the telephone call connection state, and the voice memo data input by the user.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데이터 저장부(208)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숫자 데이터나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data storage unit 208 functions as a data buff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ing, and stores voice memo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numeric data or caller information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모드 상태 저장부(210)는 키입력부(204)에 의해 선택된 현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한다. 특히, 키입력에 따른 전화 통화 모드를 상태 플래 그로 저장한다.The mode state storage unit 210 stores the operation mode of the current terminal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204 as a state flag. In particular, the phone call mode according to key input is stored as a status flag.

전화번호 저장부(212)는 사용자가 키입력부(204)를 통해 입력한 통화자의 이름과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으며, 이때 전화번호는 망 식별 번호 또는 지역번호가 포함된 전체 전화번호이다.The phone number storage unit 212 stores the name of the caller entered by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204 and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as data, wherein the phone number is the entire telephone including the network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area code. Number.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214)에는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는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로서, 가입자 정보 저장부(214)는 카드 형태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214 stores subscriber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Here, the subscriber st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s a unique number given to each subscriber st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214 is inserted in the form of a card.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모드 상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 및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음성 알림 서버(130)에 전송하는 과정과 음성 알림 서버(130)으로부터 음성이나 문자 데이터 형태로 구성된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선별하고 음성 알림 서버(130)에서 희망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다운받아 확인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키입력부(204)에 의해 호 접속 요구 명령이 입력되면, 호 접속 요구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 전달한다(TX DATA).The microprocessor 21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state flag stored in the mode state storage unit, and receives voice memo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memo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Receiving a voice memo service menu configured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data from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selects the voice memo data desired by the user and downloads and checks the desired voice memo data from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To control. At this time,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command is input by the key input unit 204, the microprocessor 216 transfer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data to the baseband conversion unit 220 (TX DATA).

DSP(2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0)와 주고 받는 오디오 데이터(SPEECH)에 대해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DSP(2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부터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The DSP 218 performs an audio data processing function of encoding or decoding audio data SPEECH exchanged with the baseband converter 220 and an equalization function to remove noise of a multipath.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to perform the. In addition, the DSP 218 receives the received message data RX DATA from the baseband converter 220.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스피커(222), 마이크로폰(224) 및 RF 신호 처리부(228)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DSP(218)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22)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224)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해 DSP(218)로 출력한다.The baseband converter 220 convert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speaker 222, the microphone 224, and the RF signal processor 228 into baseband signals, and functions such as digital-to-analog conversion and analog-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Do this. Accordingly, the baseband converter 220 converts the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DSP 218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speaker 222, or convert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24 into audio data and converts the audio data into a DSP. 218).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로부터 입력된 송신 메시지 데이터(TX DATA)를 송신 메시지 신호(TXIQ)로 변환해 RF 신호 처리부(228)로 출력하거나, RF 신호 처리부(228)로부터 입력된 수신 메시지 신호(RXIQ)를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로 변환해 DSP(218)로 출력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RF 신호 처리부(228)의 전력(POWER)에 대한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In addition, the baseband converter 220 converts the transmission message data TX DATA input from the microprocessor 216 into a transmission message signal TXIQ and outputs it to the RF signal processor 228 or the RF signal processor 228. The received message signal RXIQ, which is inputted from the RXQ, is converted into the received message data RX DATA and output to the DSP 218. In addition, the baseband converter 220 automatically controls the gain for the power POWER of the RF signal processor 228 (AGC).

스피커(222)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224)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및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The speaker 222 output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aseband converter 220 as an audible sound, and the microphone 224 functions to input call and voice data from a user.

RF 신호 처리부(226)는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해 안테나(228)로 출력하거나, 안테나(228)로부터 인가된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RXIQ)로 변환해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 출력한다. The RF signal processing unit 226 converts a transmission message signal in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antenna 228, or converts an RF signal applied from the antenna 228 into a reception message signal RXIQ and converts it into baseband. Output to the unit 220.

안테나(228)는 RF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수신한 RF 신 호를 RF 신호 처리부(226)로 전달한다.The antenna 228 transmits an RF signal to the air or transmits an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to the RF signal processor 226.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 I-mode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connect to the wireless Internet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receive multimedia data, a brows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wireless Internet using a predetermined protocol should be installed. Such a browser may be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browser, a mobile explorer (ME) browser, an I-mode,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알림 서버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voice notif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알림 서버(130)는 프로그램 메모리(3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4), SMS 모듈부(306), 음성 알림 서버 제어부(308), 사용자 정보 저장 DB(310), 사용자 음성 저장 DB(312), 사용자 예약 콜 일정 저장 DB(314)등을 포함한다.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gram memory 300, the user interface 304, SMS module unit 306,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trol unit 308, user information storage DB 310, the user Voice storage DB 312, user scheduled call schedule storage DB 314, and the like.

프로그램 메모리(300)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메모 데이터 및 추가 정보를 분석하고 저장된 일정에 따라 음성 메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사용자가 희망하는 음성 메모 데이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에 대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실행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300)에 저장되는 각종 프로그램은 음성 알림 서버 서버(130)의 운영 체제(OS)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C' 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300)는 음성 알림 서버 제어부(308)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 시로 저장하거나 가동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는 사용자가 녹음을 시작하고 끝내는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음성 메모 데이터에 대한 추가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다른 사용자에게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 음성을 메모한 사용자가 추후에 청취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ogram memory 300 stores a program that analyzes voice memo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informs the user of the voice memo data according to a stored schedule, and performs a voice memo data operation for the user's desired voice memo data. Temporarily stores programs for menus and data created when programs are run. The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3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S) of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server 130. For example, the 'C' programming language or the object-oriented 'C ++', ' It can be implemented in JAVA's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program memory 300 temporarily stores data processed by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troller 308 or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by an activated program. The voice memo service menu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tart and end recording, to allow the user to enter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voice memo data, to send voice memo data to another us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unction that a user who notes can later listen.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4)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음성 알림 서버(130)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며 그 반대로 음성 알림 서버(130)에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의 송신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등을 수행한다. The user interface unit 304 converts the voice memo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and vice versa for converting the voice memo data stored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130 in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plays the role of converting to form.

SMS 모듈부(306)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추가 정보 메시지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SMS 모듈부(306)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도 추가 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SMS module unit 306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message set by the us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In addition, the SMS module unit 306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messages to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s.

음성 알림 서버 제어부(30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음성을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음성 알림 서버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음성 알림 서버 제어부(308)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음성 메모 데이터를 비교 판단하여 저장하거나, 음성 알림 서버를 온(On)시키거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음성 알림 서버를 리셋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화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음성으로 메모할 때 참고하도록 "00년 00월 0일 xxx-xxx-xxxx 번호 사용자와 통화를 했습니다. 중요한 내용을 메모하시겠습니까?" 라는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 안내 멘트를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 게 전송한다. 문자 데이터로 참고 내용을 전송할 수도 있다.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troller 308 remotely controls a voice notification server that receives data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304 and stores or transmits a voice. That is,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troller 308 compares and stores the voice memo data with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On, or resets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from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perform the function. Also, when the call ends, the user has spoken with the user on the 00/00 / 00-xxx-xxx-xxx number to take note of the note. Do you want to take note of the important note? " The voice memo service menu announceme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You can also send notes as text data.

사용자 정보 저장 DB(310)는 사용자의 가입 여부나, 근황 및 기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DB 310 is a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a user's subscription, status, and other information.

사용자 음성 저장 DB(312)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사용자 정보 저장 DB(310)에 저장된 사용자가 저장한 음성 메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The user voice storage DB 312 is a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a user. Voice memo data stored by the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DB 310 is stored.

사용자 예약 콜 일정 저장 DB(314)는 사용자로부터 예약 콜 날짜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사용자는 음성 메모 데이터의 저장된 순서 번호나 음성 메모 데이터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기준으로 예약 콜 일정을 설정한다. 음성 알림 서버 제어부(308)에서 예약 콜에 지정된 날짜에 매칭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사용자가 지정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해준다.The user reservation call schedule storage DB 314 receives and stores a reservation call date from a user. The user sets the reservation call schedule based on the stored sequence number of the voice memo data or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voice memo data.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troller 308 transmits the voice memo data matching the date specified in the reservation call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ignated by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후에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추후 재생하는 서비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service for receiving, storing, and playing back voice memo data from a user after a call is terminat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발신자측이 통화 종료 상태인지 판단한다(S402). 여기서 통화 종료란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통화 종료 버튼"을 누르거나 충전된 밧데리 용량이 전부 소모되어 통화가 끝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통화 종료 상태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중 지하 터널로 진입하거나,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전파가 너무 미약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불가능한 지역인 블랭킷 에어리어(Blancket Area)에 존재하거나,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등 의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화 종료 상태로 간주한다. 이렇듯 통화가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 통화자는 호 단절 상태인 줄 모르고 계속해서 통화를 시도하는 수가 있다. 만일 단계 S402에서 발신측이 통화 종료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수신측이 통화 종료 상태인지 판단한다(S404). 단계 S404에서 통화 종료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통화가 계속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S406). 만일 단계 S402, S404에서 통화 종료 상태라고 판단되면 통화가 종료된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 받아서 저장한다(S408). 음성 알림 서버는 사용자가 음성 메모 데이터에 추가 정보를 입력 할 것인지 판단한다(S410). 만일 단계 S410에서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한 사용자로부터 "대표 이름", "날짜", "장소", " 특수 비밀 번호" 등의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S412). 추가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만일 단계 410에서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하지 않을것이라고 판단되면 입력된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한다(S414). 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는 추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예약 콜 정보에 맞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전송하여 알린다(S416). 또한 사용자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자신이 입력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ler is in the call termination state (S402). In this case, the call termination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user ends the call because the user intentionally presses the "end call button" or the battery capacity is exhausted. In addition, the call termination state is a blanket area in which a mobile terminal user enters an underground tunnel during a call, a radio wave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does not reach the mobile terminal, or a radio wave is too weak to receive the mobile terminal. ), Or even in an elevator. In such a case, it is regarded as a call termination state. Even though the call is ended, the other party may continue to try the call without knowing that the call is disconnecte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2 that the calling party is not in the call termination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ing party is in the call ending state (S40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4 that the call is not in the end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continues (S40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2 and S404 that the call has been terminated, voice memo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whose call is terminated and stored (S408).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s additional information into the voice memo data (S41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0 that the user inputs additional information, the user receiv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representative name", "date", "place", and "special password" from the user who stored the voice memo data ( S412). By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 user can effectively search for voice memo data and download it.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10 that the user does not enter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 voice memo data is stored by numbering them in the input order (S414). Based on the number, the user can search and confirm voice memo data later. The voice memo data is transmitted and notified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call information set by the user (S416). In addition, the user may transmit voice memo data input by the user to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도 5는 사용자에게 문자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되는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의 예시이다. 음성 알림 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는 사용자가 음성 메모를 녹음하고 녹음된 메모에 대한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 도록 하며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이러한 메뉴는 음성 데이터 형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5 is an example of a voice memo service menu provided to a user in a text data format. The voice memo service menu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llows a user to record a voice memo and input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recorded memo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another mobile terminal user. This menu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orm of voice data.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rather than limiting,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통화가 끝난 후 메모 사항을 음성 데이터로 간략하게 정리해서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해 놓고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에 부합하는 날짜, 대표 이름 등의 추가 정보 및 예약 콜 일정을 입력하여 저장해 놓고 추후 편리하게 음성 메모 데이터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riefly organizes the memo information into voice data after the call and stores it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 date and representative name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oice memo data and Save and enter the reservation call schedule has the advantage that you can conveniently check the voice memo data later.

Claims (23)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a call between a calling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erminated. 통화가 종료된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음성 알림 서버;A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voice memo data from the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he call is received;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ceives the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voice memo data to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무선 접속망; 및A wireless access network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상기 무선 접속망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국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connected to the wireless access network and for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voice memo data after the cal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가 음성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after a call,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 voice memo service menu including a function for allowing a user to make a voice memo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는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The voice memo service menu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after a c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voice or text dat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초기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 안내 멘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 initial voice memo service menu announcement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after a c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for fre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패드의 입력을 받아 녹음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The voice memo service menu receives and inputs a specific keypad from a user and starts recording.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패드의 입력을 받아 녹음을 종료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The voice memo service menu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after call term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rding is terminated by receiving an input of a specific keypad from a us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녹음이 종료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저장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after a call, characterized by numbering and storing the recorded voice memo data in ord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에 대해서 "저장 이름", " 날짜", "장소", "특수비밀번호"의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d stores the voice memo data after the c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receives and stores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save name", "date", "place", and "special password" with respect to the voice memo data. Communicat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패드의 입력을 받아 녹음된 음성 메모를 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The voice memo service menu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after a call, characterized in that for listening to a voice memo recorded by receiving a specific keypad input from a us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녹음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청취할 때 순서대로 저장된 번호를 이용하여 음성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여 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after a call, wherein the voice memo data is searched and listened to using the stored numbers in order when the recorded voice memo data is listened to.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청취할 때 "저장 이름", " 날짜", "장소", "특수비밀번호"의 추가 정보 중 하나를 입력하여 음성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여 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When listening to the stored voice memo data, after inputting on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save name", "date", "place", and "special password", the voice memo data is retrieved and listened t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memo dat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는 저장되어있거나 저장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패드의 입력을 받아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The voice memo service menu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voice memo data after the call,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stored or memorized voice memo data input from the user to a specific keypa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가 저장한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예약 콜 과 연계하여 정해진 시간에 알람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And receiving and storing the voice memo data after the end of the call, wherein the voice memo data stored by the user is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an alarm at a predetermined time in association with a reservation ca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통화 종료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기 전에 통화 일시와 통화 상대방 번호를 기본으로 구성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After receiving a call, the voice memo data is input and stored after the call is finished, characterized in that a voice service including a voice guidance message configured based on a call date and a call counterpart number is received before the voice memo data is input from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사용자로부터 음성으로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the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and stored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통화 종료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알림 서버에 전송하는 기능의 프로그램과 음성 메시지에 대한 "대표 이름", "날짜", "장소", " 특수 비밀 번호"의 추가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추가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After the call, input the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and send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representative name", "date", "place", and "special password" for the voice message and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voice memo data to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retrieving the voice memo data desired by the user by retrie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상기 추가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을 비롯하여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키입력부;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numeric button for inputting all or a par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a character button displaying characters for inputting character data, and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menu;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 통화시 통화자의 전화번호와 전화 통화 연결 상태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LCD display for displaying the overall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r and the telephone call connection stat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cluding the degree of use of power, the reception strength of radio waves, the date and time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숫자 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A data storage unit which serves as a data buffer dur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numeric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r voice memo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며, 키입력에 따른 상기 전화 통화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A mode state storage unit for storing an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as a state flag and storing the telephone call mode according to a key input as a state flag;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나 음성을 통해 입력한 통화자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 번호 저장부; A telephone number storage unit for storing a telephone number of a caller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or voic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번호에 대한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A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n a uniqu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모드 상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 및 상기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서 다운받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state flag stored in the mode state storage unit, receiving the voice memo data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oice memo data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 microprocessor controlling a process of downloading the voice memo data desired from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and checking the voice memo data;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performing an audio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encoding or decoding audio data and performing an equalization function for removing noise of a multipath; 이동통신망과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변환부; A baseband conversion unit converting a signal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to a baseband signal, and performing a digital-analog conversion and an analog-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function;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aseband converter as an audible sound;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상기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A microphone for converting the user's voice input into the audio signal;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거나, 상기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로 변환해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로 인가하는 RF 신호 처리부; 및 An RF signal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transmission message signal into an RF signal or converting the RF signal into a reception message signal and applying the same to the baseband converter; And 상기 RF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한 상기 RF 신호를 상기 RF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안테나An antenna that transmits the RF signal or delivers the received RF signal to the RF signal processor 를 포함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알림 서버에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Receiving voice memo data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ing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통화가 종료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에 대한 "대표 이름", "날짜", "장소", " 특수 비밀 번호"의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추후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음성 알림 서버에 있어서, Receives and stores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 the call is terminated, and receives additional information of "representative name", "date", "place", and "special password" for the voice memo data later. In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for notifying,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 및 상기 추가 정보를 분석하고 저장된 일정에 따라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 실행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A program memory for analyzing the voice memo data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storing a program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voice memo data according to a stored schedule and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상기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SMS 모듈부; An SMS module unit for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음성 알림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알림 서버 제어부; A voice notification server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overall operation of the voice notification server; 상기 사용자의 가입 여부나, 근황 및 기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 데이터베이스;A user information storage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user's subscription, status, and other information;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음성 저장데이터베이스; 및A user voice storage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And 상기 사용자로부터 예약 콜 날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예약 콜 일정 저장 데이터베이스User scheduled call schedule storage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reservation call date from the us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추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음성 알림 서버. Voice notification server that receives the voice memo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 inform the user later.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a call between a caller mobile terminal and a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erminated. (a) 통화 종료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a)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is in an end state; (b) 통화가 종료된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b)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from the user who terminated the call; (c)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에 추가 정보를 입력할 것 인지 질의하는 단계; (c) querying the stored voice memo data for input of additional information; (d) 추가 정보를 입력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입력 저장된 음성 메모 데이터에 대한 "대표 이름", "날짜", "장소", " 특수 비밀 번호"의 추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to be input, stor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representative name", "date", "place", and "special password" for the input stored voice memo data; (e) 예약 콜 정보에 맞춰 음성 메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e) informing the user of voice memo data in accordance with reservation call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Method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voice memo data after the cal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in step (a) 발신측 및 수신측이 통화 종료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통화가 종료될때까지 통화를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If the calling party and the receiving party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not in the end state, the call continues until the end of the cal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voice memo data after the call.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in step (a)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메모 서비스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And receiving voice memo data after a call,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voice memo service menu to a user's mobile terminal.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18. The process of claim 17, wherein in step (c)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에 추가 정보를 입력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되면 입력된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음성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not input to the voice memo data, the voice memo data is received and stored after the end of the call, wherein the voice memo data is store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in step (c) 상기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And receiving and storing voice memo data after a call, wherein the voice memo data is retrieved using the numb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step (d) 특수비밀번호를 활용하여 특수비밀번호를 모르는 사용자는 음성 메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Using a special password, a user who does not know the special password can not receive the voice memo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memo data received after the call is received and store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후에,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fter step (d): (d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메모 데이터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후 음성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방법.(d1) receiving and storing the voice memo data after the call, wherein the user transmits the voice memo data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KR1020050063604A 2005-07-14 2005-07-1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rding after Call Servi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087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604A KR101087696B1 (en) 2005-07-14 2005-07-1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rding after Call Servi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604A KR101087696B1 (en) 2005-07-14 2005-07-1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rding after Call Servi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752A KR20070009752A (en) 2007-01-19
KR101087696B1 true KR101087696B1 (en) 2011-11-30

Family

ID=3801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604A KR101087696B1 (en) 2005-07-14 2005-07-1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rding after Call Servi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6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905B1 (en) * 2012-03-07 2012-12-24 (주)유씨알엠 Customer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call history auto recording technology and system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771B1 (en) * 2007-08-13 2014-02-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obile phone and Method for automatic storing conversation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254489B1 (en) * 2009-03-18 2013-04-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Communication data recording service system and communication data recording service method
KR101689560B1 (en) * 2010-04-13 201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 record and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2061619B1 (en) * 2018-02-23 2020-02-11 한국과학기술원 Mobile apparatus, audio book creat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reating audio book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905B1 (en) * 2012-03-07 2012-12-24 (주)유씨알엠 Customer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call history auto recording technology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752A (en)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0673B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to-text conversion
EP1672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short text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O2005112401A2 (en) Voice to tex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20050266829A1 (en) Speech-to-tex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KR1010876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rding after Call Servi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00055316A (en) Ring type selection service of handset via ars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40005333A (en) System for Storing Voice over Telephon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24928B1 (en) Device and method of informing communication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35349A (en) Method for chatting by using short message
KR100627840B1 (en) Method, Serv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structing Menu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Service
KR2005001384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on Call Busy During Call Attemp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5877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LEEP and WAKE-UP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040600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t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1095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lor rbt service with altered music
KR2007000975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pon release of call connection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 on network
KR2007001684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 End Message Service for Another Calle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40067300A (en) Method for converting text messages into voice message in mobile telephone service
KR20070002149A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personal profile information by using mobile phone number
KR2004003552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Text Message into Voice Message
KR101172262B1 (en) Method, Serv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Received-Call Notifying Service
KR1006126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 from Web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32295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KR20040106063A (en) Mobile Telephone Capable of Providing Abbreviated Dialing and Method Thereof
KR10058525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ext message to voice offering
KR1005535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Text Message during Call Attem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