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734B1 - 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 Google Patents

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734B1
KR101085734B1 KR1020100012615A KR20100012615A KR101085734B1 KR 101085734 B1 KR101085734 B1 KR 101085734B1 KR 1020100012615 A KR1020100012615 A KR 1020100012615A KR 20100012615 A KR20100012615 A KR 20100012615A KR 101085734 B1 KR101085734 B1 KR 10108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module
coupled
reactor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2912A (en
Inventor
손정대
김성환
방상윤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734B1/en
Publication of KR2011009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9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7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화된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에서 각 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들어올리거나 운반함으로써 각 모듈의 분해와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원자로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되 냉각팬, 리프팅 구조물, 에어 플레넘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팬 모듈; 슈라우드 플레이트와, 배플과, 서포트 칼럼을 포함하는 상부 모듈, 중앙부 모듈, 하부 모듈; 을 포함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을 인양하기 위해, 빔 구조로 형성되는 프레임부; 크레인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 모듈, 상기 중앙부 모듈, 상기 하부 모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인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of an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n integrated reactor capable of performing disassembly and installation of each module by stably fixing and lifting or transporting each module in a modular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 lifting device for a super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lifting device of the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ctor head, but a cooling fan, a lifting structure, the air plenum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an module; An upper module, a central module, and a lower module including a shroud plate, a baffle, and a support column; To lift the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including a, frame portion formed of a beam structure; Crane connection; And a lifting part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ame part, the lifting part being formed at least one to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the central module, and the low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본 발명은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화된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에서 각 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들어올리거나 운반함으로써 각 모듈의 분해와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of an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n integrated reactor capable of performing disassembly and installation of each module by stably fixing and lifting or transporting each module in a modular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 lifting device for a superstructure.

일반적으로 원자로(原子爐, nuclear reactor)는 연쇄핵분열반응의 결과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다량의 질량결손(質量缺損) 에너지가 방출되도록 연쇄반응을 제어하여 핵분열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원자로의 헤드부 상단에는 상부구조물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부 구조물을 분해하고 분해된 각 부위를 이동시키고 다시 설치하기 위해 인양 장치가 활용된다.In general, a nuclear reactor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chain reaction so that a large amount of mass defect energy is released instantaneously as a result of the chain fission reaction, and uses the heat energy generated from the nuclear fission as a power source. Say. It is common to have an upper structure at the top of the head of the reactor, and a lifting device is utilized to disassemble the upper structure and to move and reinstall the disassembled parts.

종래의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의 경우,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uperstructure lifting device,

첫째, 원자로 상부구조물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로 돌출되어 지지할 수 있는 부위가 없으므로, 분해 및 조립을 위한 설치시에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First, since the reactor superstructur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re is no part that can support and protrude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lift the structure during installation for disassembly and assembly.

둘째, 모듈화된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각 모듈을 운송 수단에 의해 운송할 때 고정하기 어려우므로, 운송중의 진동과 쏠림으로 인해 제품의 낙하로 인한 파손과 운송 수단의 전복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Second, since it is difficult to fix each module of the modularized reactor superstructure when transported by means of transportation, problems such as damage and overturning of transportation means may occur due to vibration and tilting during transportation. .

따라서 모듈화된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각 부위를 들어올려 운반하기 위한 인양 작업시 각 모듈이 인양 장치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는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each part of the modular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lifting device of the reactor upper structure in which each module can be stably fixedly coupled to th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에서 분리된 각 모듈이 인양 장치에 고정되도록 결합하여 인양 작업시에 제품의 낙하 등에 의한 장비 파손을 방지하고 운송 수단의 전복 사고와 낙하된 제품에 의한 2차 추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ombined with each module separated from the integral reactor superstructure to be fixed to the lifting device to prevent equipment damage, such as falling of the product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and overturning of the transport mea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of an integral reactor superstructure that can prevent accidents and secondary collisions caused by dropped produc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원자로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되 냉각팬(111), 리프팅 구조물(112), 에어 플레넘(113)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팬 모듈(110); 및 상하가 개방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형성되는 배플(122, 132, 142)과, 서포트 칼럼(105)을 포함하는 상부 모듈(120), 중앙부 모듈(130), 하부 모듈(140); 을 포함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100)을 인양하기 위해, 빔 구조로 형성되는 프레임부(210); 상기 프레임부(210)의 상면에 구비되되 크레인(30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크레인 연결부(220); 및 상기 프레임부(210)의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인양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fting device of the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ctor head, but the cooling fan 111, the lifting structure 112, the air plenum 113 is formed integrally provided with a fan module 110; And shroud plates 121, 131, and 14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open up and down, and fix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roud plates 121, 131, and 141 to form an air passage. An upper module 120, a central module 130, and a lower module 140 including baffles 122, 132, and 142 and a support column 105; To lift the unitary reactor upper structure 100 including a, frame portion 210 formed of a beam structure; A crane connection part 2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210 to be coupled to the crane 300; And a lifting part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ame part 210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and the lower module 140. 23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상기 원자로 상부 구조물(100)과 상기 인양 장치는 상기 인양부(230)를 통해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인양부(23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 체결되는 와이어(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fting device of the integral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and the lifting device through the lifting portion 230, one end is fastened to the lifting portion 230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240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the lower module 140.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상기 와이어(240)의 타단은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서 상기 서포트 칼럼(105)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ifting device of the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wire 240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and the lower module 1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fastened to the support column 105.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상기 인양부(230)는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서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ifting device of the integrated reactor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unit 230 is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the lower module 140. In the shroud plate (121, 131, 14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210)는 하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상기 인양부(2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나머지의 상기 인양부(2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연장되는 빔(2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ifting device of the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210 is one end is coupl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lifting portions 23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 other lifting At least one beam 211 extending to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unit 2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상기 인양부(230)는 상기 프레임부(210)의 하단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 1 인양부(230a), 제 2 인양부(230b), 제 3 인양부(230c), 제 4 인양부(230d), 제 5 인양부(230e), 제 6 인양부(230f)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빔(211)은, 상기 제 1 인양부(230a)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5 인양부(230e)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빔(211a); 상기 제 2 인양부(230b)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4 인양부(230d)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빔(211b); 상기 제 3 인양부(230c)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6 인양부(230f)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3 빔(211c); 을 포함하되, 상기 제 3 빔(211c)은 상기 제 1 빔(211a) 및 상기 제 2 빔(211b)과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빔(211a)과 상기 제 2 빔(211b)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보조 빔(211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lifting device of the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unit 230 is the first lifting unit 230a, the second lifting unit 230b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unit 210. And the third lifting part 230c, the fourth lifting part 230d, the fifth lifting part 230e, and the sixth lifting part 230f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the beam 211 is the first A first beam 211a formed to be coupled to one lifting portion 230a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fth lifting portion 230e; A second beam 211b formed to have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lifting portion 230b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ourth lifting portion 230d; A third beam (211c) formed so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third lifting portion (230c)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ixth lifting portion (230f); Including but, the third beam 211c is formed to cross the first beam 211a and the second beam 211b, one end of the first beam 211a and the second beam 211b Auxiliary beam 211d is provided to connect the other end with each other.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일체형 원자로의 상부 모듈, 중앙부 모듈, 하부 모듈의 상면에 인양 장치의 인양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인양 작업시에 상부 구조물 전체를 한꺼번에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하중으로 인한 부담이 없고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각 모듈이 인양 장치에 고정되어 제품 낙하에 의한 장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반 수단의 전복 사고와 2차 추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lifting device of the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the lifting portion of the lif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dule, the central module, the lower module of the integrated reactor, the entire upper structure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There is no need to lift all at once, so there is no burden due to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reactor and each modul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reactor is fixed to the lifting device to prevent the damage of equipment due to the falling of the produ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각 부위 모듈과 인양 장치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므로, 공간적인 여건상 크레인에 고정되는 인양 장치가 진입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모듈별로 인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부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칼럼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 장치로 인양하는 경우 모듈의 낙하 위험이 적고 균형을 맞출 수 있어 안정적으로 인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econd, the lifting device of the integral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enter the lifting device fixed to the crane on the spatial conditions because the module and the lifting device of each part of the reactor superstructure is connected by a wire. Ev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lifted by module. In particular, when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colum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the risk of falling of the module can be reduced and balanced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can be stably performed.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상부 모듈, 중앙부 모듈, 하부 모듈의 상단에 인양 장치의 인양부가 직접 결합되어 인양하므로, 인양과 운송 과정에서 모듈과 인양 장치가 일체로 결합되어 각 모듈의 유동이 없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 lifting device of the integral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ifting device of the lifting device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module, the central module, the lower module of the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the lifting device in the lifting and transport process Since the module and the lifting device are integrally comb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flow of each module and it can be stably fixed.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서로 다른 2개의 인양부를 연결하는 빔이 다수개로 결합되도록 프레임부를 구성하므로,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설계에 따라 적정수의 인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인양부의 개수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빔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since the lifting device of the integral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frame portion so that a plurality of beams connecting two different lifting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integral reactor superstructure, the appropriate number of lifting portions It can inclu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design a beam structure of various forms that can maintain the structur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fting parts.

다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인양 장치는 6개의 인양부를 구비하도록 설계된 인양 장치에서 2개의 인양부를 상호 연결하는 3개의 빔이 각각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나란하게 형성된 빔에는 보조빔이 연결되어, 프레임부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the lifting device of the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three beams interconnecting the two lifting portions in the lifting device designed to have six lifting portions are crossed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auxiliary beam is connected to the beam so form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frame por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는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와 하부 모듈이 와이어에 의해 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 는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와 중앙부 모듈이 와이어에 의해 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와 상부 모듈이 직접 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6 은 도 5a 에 도시된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and the lower module is coupled by a wire.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and the central module is coupled by a wir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and the upper module.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erstructure lifting device shown in Figure 5a.

일반적으로 원자로는 핵분열반응의 결과 발생하는 질량결손(質量缺損) 에너지를 이용하는 장치이다. 연소열에 의해 자동으로 연소가 확대되는 화력로와 달리 원자로는 연료의 핵분열 때에 방출되는 중성자(中性子)를 매개체로 하여 핵분열 반응을 수행한다.In general, nuclear reactors are devices that use mass-depletion energy resulting from fission reactions. Unlike thermal furnaces in which combustion is automatically expanded by combustion heat, nuclear reactors perform nuclear fission reactions through neutrons released during nuclear fission of fuel.

원자로의 핵분열 반응은 핵연료에 흡수되는 중성자수를 제어함으로써 핵연료의 연소를 조절할 수 있는데, 원자로 내의 핵분열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핵분열시 방출되는 중성자 중에서 다시 핵연료에 흡수되어 재차 핵분열을 일으키는 수가 최소한 1개 이상이어야 한다. 만약 그 수가 1일 때에는 핵분열반응은 감소하지도 증가하지도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 상태를 원자로의 임계(臨界)라고 한다. 또한 그 수가 1을 초과할 때는 핵분열반응의 수도 점점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초임계상태(超臨界狀態)라 하며, 그 반대의 경우를 미임계상태(未臨界狀態)라 한다.Nuclear fission reactions in a nuclear reactor can control the combustion of nuclear fuel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neutrons absorbed by the fuel.In order to continue nuclear fission in a nuclear reactor, at least one of the neutrons released during nuclear fission is absorbed by the fuel again to cause nuclear fission again. do. If the number is 1, the fission reaction remains constant, neither decreasing nor increasing, and this state is called the criticality of the reactor. In addition, when the number exceeds 1, the number of fission reactions is gradually increased, which is called a supercritical state, and vice versa.

일반적으로 원자로를 일정한 출력으로 운전할 때는 이를 임계상태로 두거나 약간의 임계초과상태로 하여 여분의 중성자를 제어봉에 흡수시키는 방법을 활용한다. 1회의 핵분열에서 방출되는 중성자수는 우라늄 235의 경우 평균 2개 정도이지만, 이들 모두가 재차 핵분열에 기여하는 것은 아니고 원자로 외부로의 누설, 또는 비핵분열성 물질에의 흡수 등에 의해 그 수가 감소하므로 원자로를 계속 운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중성자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성자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핵분열성 물질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핵분열시 방출되는 고속중성자를 열중성자준위로 감속시켜 흡수확률을 높이는 방법, 노심외부(爐心外部)로의 누설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원자로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는 방법, 그리고 다른 비핵분열성 물질에의 흡수를 최소로 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핵분열의 순간에 방출되는 중성자는 에너지가 높은 고속중성자로서 핵연료에 흡수될 확률이 극히 낮으므로, 이를 감속시켜 흡수확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원자로의 제어는 카드뮴ㅇ붕소 등과 같이 중성자 흡수 단면적이 큰 재질을 노심 내에 집어넣거나 빼냄으로써 중성자수를 조절하여 제어하게 되며, 또한 반사체(反射體)나 감속재의 양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In general, when operating a reactor at a constant output, it is used to absorb the extra neutrons in the control rod by putting it in a critical state or slightly over the critical state. The average number of neutrons released in a single fission is about two in the case of uranium 235, but not all of them contribute to nuclear fission again, and their numbers decrease due to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or absorption into non-fissile materials. It is important to minimize these neutron losses in order to continue driving. To prevent neutron loss, increase the amount of fissile material or decelerate high-speed neutrons released during nuclear fission to thermal neutron level to increase absorption probability, and minimize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core. The size of the reactor is large enough to be able to do so, and the method of minimizing the absorption of other non-fissile materials is possible. Neutrons emitted at the moment of nuclear fission are high-energy fast neutrons,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absorbed by nuclear fuel is extremely low.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m to increase the absorption probability. The control of the reactor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neutrons by inserting or removing a material having a large neutron absorption cross-section such as cadmium boron into the core, and also using a method of changing the amount of reflector or moderato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3a 는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와 하부 모듈이 와이어에 의해 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3b 는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와 중앙부 모듈이 와이어에 의해 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4 는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와 상부 모듈이 직접 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를, 도 6 은 도 5a 에 도시된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도 5,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에 대해 설명한 후, 도 3 과 도 4 에서 도시되는 원자로 상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의 결합 방식에 대해 실시예 1 과 실시예 2 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and the lower module are coupled by wire,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and the middle module are coupled by wi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and the upper module are directly coupled,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erstructure lifting device shown in 5a is shown. Hereinafter, after describing the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and the superstructur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2, 5, and 6, the reactor superstructure shown in FIGS. Coupling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nto Example 1 and Example 2.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100)은 팬 모듈(110), 상부 모듈(120), 중앙부 모듈(130), 하부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integrated reactor upper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an module 110, an upper module 120, a central module 130, and a lower module 140.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팬 모듈(110)은 원자로 헤드의 상부에 위치하되, 냉각팬(111), 리프팅 구조물(112), 에어 플레넘(11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플레넘(113)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 모듈(1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111)은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 내부의 냉각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 후술하게 될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리프팅 구조물(112)은 삼각대와 쉐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대는 상기 일체형 상부구조물(100) 전체를 인양하기 위한 것이고 삼각대의 상단에 연결된 쉐클에는 크레인(300)이 연결되어 인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플레넘(113)은 상기 냉각팬(111)과 상기 리프팅 구조물(112)을 지지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플레넘(113)의 하단에는 링 빔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구비되고 링 빔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 모듈(120)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an module 110 is positioned above the reactor head, and a cooling fan 111, a lifting structure 112, and an air plenum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upper module 120 may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ir plenum 113. The cooling fan 111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to smoothly cool the inside of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to adjust the flow of air to be described later. The lifting structure 112 may be formed of a tripod and a shackle, the tripod is for lifting the whole of the integrated superstructure 100 and the crane 300 is connected to the shackl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tripod to perform the lifting operation. Can be. The air plenum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while supporting the cooling fan 111 and the lifting structure 112. A ring beam may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ir plenum 113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upper module 120 may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ring beam.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모듈(120)의 내부에는 상하가 개방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상부 슈라우드 플레이트(121)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부 슈라우드 플레이트(121)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상부 배플(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 모듈(130)과 상기 하부 모듈(140)도 상기 상부 모듈(120)과 마찬가지로 중앙부 슈라우드 플레이트(131) 및 중앙부 배플(132), 하부 슈라우드 플레이트(141) 및 하부 배플(142)이 형성됨은 같다. 다만, 상기 중앙부 모듈(130)에는 상기 중앙부 슈라우드 플레이트(131)와 상기 중앙부 배플(132)을 모두 관통하도록 공기 유입부(13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 an upper shroud plate 1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open up and down inside the upper module 120,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hroud plate 121 to form an air passage. An upper baffle 122 fixed to be spaced apart may be formed. Like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and the lower module 140 are formed with a central shroud plate 131, a central baffle 132, a lower shroud plate 141, and a lower baffle 142. same. However, the central module 1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ir inlet 135 to pass through both the central shroud plate 131 and the central baffle 132.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는 상기 배플(122, 132, 142)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각 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와 상기 배플(122, 132, 142)은 일단이 상기 상부 모듈(12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모듈(140)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칼럼(10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 칼럼(105)은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강성 유지를 위해 H 빔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배플(142)의 내부에는 제어봉 구동장치와 제어봉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팬(111)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은 상기 공기 유입부(135)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배플(122, 132, 142)과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 사이의 유동 공간을 통해 이동하도록 하여 제어봉 구동장치와 원자로 헤드의 냉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hroud plates 121, 131, and 141 are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affles 122, 132, and 142 to serve as a cover for protecting a structure provided in each module. The shroud plates 121, 131, and 141 and the baffles 122, 132, and 142 are vertically coupled so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module 12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module 140.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to the support column 105 to be formed. The support column 105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 beam may be utilized to maintain the rigidity. It is preferable that a control rod driving device and a control rod are provided inside the lower baffle 142. Air flow generated by the cooling fan 111 sucks air through the air inlet 135, and the sucked air is between the baffles 122, 132, and 142 and the shroud plates 121, 131, and 141. By moving through the flow space of the control rod drive and the reactor head can be facilitated cooling.

원자로 헤드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은 핵연료를 교체할 때 제어봉 구동장치와 원자로 헤드를 인양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하부 모듈(1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봉 구동장치는 원자로 노심의 핵반응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봉을 삽입하고 인출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는 다수개의 제어봉이 삽입되고 이탈될 수 있도록 허니컴 형태의 공간이 천공되는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제어봉은 제어봉 구동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원자로 노심의 핵반응 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봉 구동장치에는 제어봉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어봉 위치지시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봉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이 포함될 수 있다.The reactor superstructure 100 provided on top of the reactor head has a function of lifting the control rod drive and the reactor head when replacing the fuel. The control rod driv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lower module 140 is a device for inserting and withdrawing a control rod for controlling the nuclear reaction rate of the reactor core. The control rod drive device may have a tube shape in which a honeycomb-shaped space is drilled so that a plurality of control rods can be inserted and separated. The control rod regulates the nuclear reaction rate of the reactor core while flo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trol rod drive. The control rod driv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rod position indica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rod, it may include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control rod.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에서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데, 제어봉 구동위한 동력원의 교체, 수리 및 유지 보수 작업, 제어봉 위치지시센서의 교체, 수리 및 유지 보수 작업, 제어봉 위치지시센서의 설치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작업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냉각팬(111), 상기 리프팅 구조물(112)과 상기 에어 플레넘(113)을 차례로 분리하여 먼저 인양하고, 그 아래에 구비되는 케이블 지지유닛을 해체하여 제거한 후 상기 배플(122, 132, 142)과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를 분리해야 했다. 이처럼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의 개별적인 구성장치를 하나하나 분해하여 분리 또는 제거를 하는 작업은, 첫째, 작업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모되어 비효율적이고, 둘째, 구성장치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구성품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셋째, 분해 과정에서의 구성품의 변형 또는 파손에 의해 제어봉 구동장치와 관련된 작업을 완료한 후 다시 조립하는 과정에서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팬 모듈(110),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을 일체로 형성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IHA, Integrated head assembly)을 활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the work related to the control rod driving device is often required, replacement of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control rod, repair and maintenance work, replacement of the control rod position sensor, repair and maintenance work, control rod position instruction When the sensor is installed, calibration may be performed. Conventionally, in order to perform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rol rod drive device, the cooling fan 111, the lifting structure 112, and the air plenum 113 are separated and lifted first, and then the cable support unit provided thereunder. After dismantling and removing the baffles (122, 132, 142) and the shroud plate (121, 131, 141) had to be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the work of disassembling or removing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one by one may be inefficient, and second, the components are deformed in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the components. There is a risk of being damaged or broken, and thi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is difficult in the process of reassembling after completing the work related to the control rod drive by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components in the disassembly proces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disadvantage, an integrated reactor upper structure (IHA) is formed to integrally form the fan module 110,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and the lower module 140. Will be utilized. Hereinafter,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reactor superstructure 100 will be described.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을 인양하기 위한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는 프레임부(210), 크레인 연결부(220), 인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10)는 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부(210)의 형상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크레인 연결부(220)는 상기 프레임부(2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크레인(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크레인 연결부(220)는 상기 크레인(300)과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가 와이어로 연결되는 경우에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에 의해 상기 크레인(300)과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가 연결되는 것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체결 수단에 의해 양자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인양부(230)는 상기 프레임부(210)의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이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에 결합된다. 상기 인양부(230)와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 상호간의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실시예 1 과 실시예 2 에서 후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for lifting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may include a frame portion 210, a crane connecting portion 220, and a lifting portion 230. The frame portion 210 is preferably formed in a beam structure, an embodiment of the shape of the frame portion 210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rane connecting portion 22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210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rane (300). The crane connection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wire can be coupled when the crane 300 and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is connected by a wire. Since the crane 300 and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only one embodimen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various fastening means. The lifting portion 23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210, it can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upper surfac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the lower module 140. Thus, the reactor superstructure 100 is coupled to the superstructure lifting device 200. A coupling method between the lifting unit 230 and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Examples 1 and 2.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210)는 다수개의 빔(211)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211)은 상기 프레임부(210)의 하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상기 인양부(230) 중 서로 다른 2개의 상기 인양부(230)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개의 상기 인양부(23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빔(211)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빔(211)의 일단이 결합된 인양부(230)를 제외한 나머지의 인양부(2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기 빔(211)의 타단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부(210)를 구성하는 상기 빔(2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빔(211)은 상호 교차하거나 나란하도록 또는 단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5 and 6, the frame unit 21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211 are combined. The beam 211 is preferably formed to interconnect two different lifting portions 230 among the plurality of lifting portions 23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210. That is, one end of the beam 211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fting portions 230, and the other lifting portion 230 is selected from the lifting portions 230 except for the lifting portion 230 to which one end of the beam 211 is coup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beam 211 is coupled to any one. At least one beam 211 constituting the frame part 210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beams 211 may be formed to cross each other, be parallel to each other, or have end portions coupled thereto.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의 설계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 는 상기 인양부(230)가 6개로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5e 는 상기 인양부(230)가 5개로 구비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f 는 상기 인양부(230)가 4개로 구비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상기 인양부(230)가 양 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빔(211)이 형성된다. 상기 빔(211)은 3개로 구비되되,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되는 2개의 빔(211)과 이를 수직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되는 1개의 빔(211)으로 구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 는 도 5a 와 동일하나 3개의 상기 빔(211)이 중앙부의 한점에서 모두 교차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c 는 도 5a 와 동일한 형태이나 강성 향상을 위해 상기 빔(211)의 단부를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보조빔이 추가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d 는 도 5b 와 동일한 형태이나 강성 향상을 위해 상기 빔(211)의 단부를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조빔이 추가된 예이다. 도 5e 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상기 인양부(230)가 양 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빔(211)이 형성되되, 5개의 상기 인양부(230)를 중첩적으로 연결하도록 5개의 상기 빔(211)이 활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f 에서는 4개의 상기 인양부(230) 중 서로 다른 2개의 인양부(230)가 양 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빔(211)이 형성되되, 4개의 상기 인양부(230)를 'X' 형태로 교차하도록 2개의 상기 빔(211)이 구비되고, 2개의 상기 빔(211) 단부를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4개의 보조빔이 추가된 예이다. 도 5 에서 도시한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의 상기 프레임부(210) 구조는 일예에 불과하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ure 5 it can be seen a variety of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5A to 5D illustrate a case in which six lifting portions 230 are provided, and FIG. 5E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five lifting portions 230 are provided, and FIG. 5F illustrates the lifting portions.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four 230 are provided is shown. In FIG. 5A, the beam 211 is formed such that two different lifting portions 230 are positioned at lower ends of both ends. The beam 211 is provided with three, but shows an example consisting of two beams 211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one beam 211 is formed to be coupled to cross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 5B is the same as FIG. 5A, bu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hree beams 211 are combined to intersect at one point in the center portion. FIG. 5C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auxiliary beam is added to connect the end of the beam 2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rigidity or the same shape as that of FIG. 5A. FIG. 5D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uxiliary beam connecting the end of the beam 2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added in order to improve the rigidity or the same shape as that of FIG. 5B. In FIG. 5E, the beam 211 is formed such that two different lifting portions 230 are positioned at the lower ends of both ends, and the five beams 211 are connected to overlap the five lifting portions 230. ) Is used. In FIG. 5F, the beam 211 is formed such that two different lifting portions 230 of the four lifting portions 230 are positioned at lower ends of both ends, and the four lifting portions 230 are 'X'. Two beams 211 are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and four auxiliary beams are added to connect two ends of the beams 2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tructure of the frame part 210 of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shown in FIG. 5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hapes according to design.

도 6 을 참조하면 도 5a 에 도시된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10)의 하단에 구비되는 6개의 상기 인양부(2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순차적으로 제 1 인양부(230a), 제 2 인양부(230b), 제 3 인양부(230c), 제 4 인양부(230d), 제 5 인양부(230e), 제 6 인양부(230f)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211)은 제 1 빔(211a), 제 2 빔(211b), 제 3 빔(211c)을 포함하여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빔(211a)은 상기 제 1 인양부(230a)의 상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5 인양부(230e)의 상면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빔(211b)은 상기 제 2 인양부(230b)의 상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4 인양부(230d)의 상면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빔(211a)과 상기 제 2 빔(211b)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빔(211c)은 상기 제 3 인양부(230c)의 상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6 인양부(230f)의 상면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빔(211c)은 상기 제 1 빔(211a) 및 상기 제 2 빔(211b)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란하게 형성된 상기 제 1 빔(211a)과 상기 제 2 빔(211b)을 연결하도록 보조 빔(211d)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빔(211d)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 상기 제 1 빔(211a) 및 상기 제 2 빔(211b) 상호간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보조 빔(211d)은 상기 제 1 인양부(230a)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 1 빔(211a)의 일단과 상기 제 2 인양부(230b)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 2 빔(211b)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5 인양부(230e)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 1 빔(211a)의 타단과 상기 제 4 인양부(230d)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 2 빔(211b)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보조 빔(211d)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Referring to FIG. 6,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illustrated in FIG. 5A may be specifically identified. The six lifting portions 2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210 rotate clockwise and sequentially the first lifting portion 230a, the second lifting portion 230b, and the third lifting portion 230c. The fourth lifting part 230d, the fifth lifting part 230e, and the sixth lifting part 230f may be arranged and formed. The beam 211 may include at least three beams including the first beam 211a, the second beam 211b, and the third beam 211c. One end of the first beam 211a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fting unit 230a,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fth lifting unit 230e. One end of the second beam 211b may be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portion 230b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ourth lifting portion 230d. That is, the first beam 211a and the second beam 211b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One end of the third beam 211c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hird lifting unit 230c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beam 211c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ixth lifting unit 230f. That is, the third beam 211c may be formed to intersect the first beam 211a and the second beam 211b.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uxiliary beam 211d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beam 211a and the second beam 211b that are formed side by side. The auxiliary beam 211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within a range for improving structural rigidity between the first beam 211a and the second beam 211b which do not cross each other. The auxiliary beam 211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eam 211a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lifting portion 230a and the second beam 211b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portion 230b. It is good to be provided to interconnect one end of the.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am 211a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lifting portion 230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eam 211b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lifting portion 230d are interconn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beam 211d is provided.

실시예 1Example 1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과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는 상기 인양부(230)를 통해 결합되되, 상기 인양부(230)에 연결되는 와이어(wire)(2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a 는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가 상기 하부 모듈(140)을 상기 와이어(240)에 의해 연결하여 인양하는 예를 도시하고, 도 3b 는 상기 상부 구조물 인양 장치(200)가 상기 중앙부 모듈(130)을 상기 와이어(240)에 의해 연결하여 인양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와이어(240)는 와이어로프일 수 있다. 와이어로프(wire rope)란 강철와이어를 합쳐서 꼬아 만든 줄로 강삭(鋼索)이라고도 한다. 선박이나 각종 기계의 전반에서 활용되며 특히, 운반 작업과 하역 작업에서도 활용된다. 보통 경강선재(硬鋼線材)를 원료로 하여 길게 늘인, 지름 1∼3㎜ 정도의 와이어를 결합하여 비틀어 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와이어로프는 몇 가닥의 와이어를 비틀어 만든 스트랜드를 다시 심 주위에 비틀어 형성한 스트랜디드로프이다. 그 밖에 스파이럴로프는 와이어를 몇 가닥 꼬아서 만든 스트랜드를 필요한 단면적만큼 평행하게 묶어서 그 단면이 동심원모양이 되도록 만든 것인데 이 경우 상대적으로 굵은 와이어가 사용된다. 스파이럴로프의 일종인 록코일로프는 바깥쪽에 사각형이나 Z형과 같은 다른 단면모양의 와이어를 배열하여 로프의 공극을 적게 한 것인데, 표면이 평활하고 마멸이 적으며 수밀성이 큰 장점이 있으나 유연하지 못한 단점도 있다. 그 밖에 스트랜디드로프를 다시 합쳐서 꼬아 형성한 케이블레이드로프, 스트랜디드로프를 벨트모양으로 엮은 플랫로프 등이 있다. 와이어를 비틀어 꼬는 방법에는 Z꼬임과 S꼬임이 있는데 통상적으로 Z꼬임이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다수의 와이어로 된 로프를 만들 때는 로프에 발생하는 비틀림 작용을 경감시키기 위해 Z꼬임과 S꼬임을 조합하는 와이어로프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and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ifting unit 230, and connected to a wire 240 connected to the lifting unit 230. Can be combined. 3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connects and lifts the lower module 140 by the wire 240, and FIG. 3B illustrates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in the center module. An example of connecting and lifting 130 by the wire 240 is shown. The wire 240 may be a wire rope. Wire rope is a wire rope made of twisted steel wires. It is used throughout ships and various machines, and especially in transportation and unloading operations. It can be produced by twisting a wire of about 1 to 3 mm in diameter, which is usually elongated using hard steel wire as a raw material. A commonly used wire rope is a strand rope made by twisting strands of wire around a seam again. In addition, spiral ropes are made by twisting strands of wire in parallel to the required cross-sectional area so that the cross-section is concentric. In this case, a relatively thick wire is used. Rock coil rope, a kind of spiral rope, is a wire rope of other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square or Z shape on the outside to reduce the gap of the rope. It has the advantages of smooth surface, less wear and water tightness, but it is not flexible.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In addition, there are cable raid ropes formed by recombining the stranded ropes, and flat ropes in which the stranded ropes are woven in a belt shape. Twisting the wire is a Z twist or S twist, usually Z twist is used a lot. However, when making ropes with multiple wires, wire ropes that combine Z and S twists may be formed to alleviate the torsional effects of the rope.

상기 와이어(240)는 일단이 상기 인양부(23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240)의 타단은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서 상기 서포트 칼럼(105)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칼럼(105)은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에서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와이어(240)를 체결하기 적합하다. 실시예 1 과 같이 상기 와이어(240)를 이용하는 경우는 공간적인 제한이 있어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의 상기 프레임부(210)가 직접 결합되어 인양할 수 없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wire 240 is fastened to the lifting unit 230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an upper surfac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er module 130, and the lower module 140. desirable.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ire 240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support column 105 in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the lower module 14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column 105 is suitable for fastening the wire 240 because the support column 105 is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When using the wire 240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 spatial limitation can be utilized when the frame portion 210 of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is directly coupled can not be lifted.

실시예 2Example 2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원자로 상부구조물(100)과 상기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200)는 상기 인양부(230)를 통해 결합되되, 직접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양부(230)는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 직접 체결되어 결합되되,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양부(230)는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와 결합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인양부(230)가 각 모듈에 구비되는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에 직접 결합되어 인양하는 경우에는, 각 모듈이 상기 프레임부(210)에 일체로 결합되어 각 모듈이 흔들리거나 좌우로 유동하지 않고 실시예 1 의 경우와 같이 중심을 잡기 위해 상기 와이어(240)의 길이와 연결 지점을 맞출 필요가 없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and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200 may be coupled through the lifting unit 230, and may b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The lifting portion 230 is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the lower module 140, the shroud plate (121, 131, 141)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lifting portion 23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tongs to be coupled to the shroud plate (121, 131, 141). As such, when the lifting unit 230 is directly coupled to the shroud plates 121, 131, and 141 provided in each module to lift the lifting unit 230, each module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rame unit 210 so that each module is connected to the lifting unit 230. It does not need to match the length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ire 240 in order to be centered as in the case of Example 1 without shaking or flowing from side to 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ixed more stably.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원자로 상부구조물 105 : 서포트 칼럼
110 : 팬 모듈 111 : 냉각팬
112 : 리프팅 구조물 113 : 에어 플레넘
120 : 상부 모듈 121 : 상부 슈라우드 플레이트
122 : 상부 배플
130 : 중앙부 모듈 131 : 중앙부 슈라우드 플레이트
132 : 중앙부 배플 135 : 공기 유입부
140 : 하부 모듈 141 : 하부 슈라우드 플레이트
142 : 하부 배플
200 : 상부구조물 인양 장치
210 : 프레임부 211 : 빔
211a : 제 1 빔 211b : 제 2 빔
211c : 제 3 빔 211d : 보조 빔
220 : 크레인 연결부 230 : 인양부
230a : 제 1 인양부 230b : 제 2 인양부
230c : 제 3 인양부 230d : 제 4 인양부
230e : 제 5 인양부 230f : 제 6 인양부
240 : 와이어 300 : 크레인
100: reactor superstructure 105: support column
110: fan module 111: cooling fan
112: lifting structure 113: air plenum
120: upper module 121: upper shroud plate
122: upper baffle
130: central module 131: central shroud plate
132: center baffle 135: air inlet
140: lower module 141: lower shroud plate
142: lower baffle
200: superstructure lifting device
210: frame portion 211: beam
211a: first beam 211b: second beam
211c: third beam 211d: auxiliary beam
220: crane connection 230: lifting part
230a: first lifting part 230b: second lifting part
230c: third lifting part 230d: fourth lifting part
230e: 5th lifting part 230f: 6th lifting part
240: wire 300: crane

Claims (6)

원자로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되 냉각팬(111), 리프팅 구조물(112), 에어 플레넘(113)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팬 모듈(110); 및
상하가 개방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형성되는 배플(122, 132, 142)과, 서포트 칼럼(105)을 포함하는 상부 모듈(120), 중앙부 모듈(130), 하부 모듈(140);
을 포함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100)을 인양하기 위해,
빔 구조로 형성되는 프레임부(210);
상기 프레임부(210)의 상면에 구비되되 크레인(30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크레인 연결부(220); 및
상기 프레임부(210)의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인양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A fan module 11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ctor head, in which a cooling fan 111, a lifting structure 112, and an air plenum 113 are integrally formed; And
Shroud plates 121, 131, and 14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top and bottom are opened, and baffles that are fix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roud plates 121, 131, and 141 to form an air passage. An upper module 120, a central module 130, and a lower module 140 including (122, 132, 142) and a support column 105;
To lift the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100 comprising:
A frame portion 210 formed in a beam structure;
A crane connection part 2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210 to be coupled to the crane 300; And
A lifting part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ame part 210 and formed to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and the lower module 140 ( 230);
Lifting device of the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상부 구조물(100)과 상기 인양 장치는 상기 인양부(230)를 통해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인양부(23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 체결되는 와이어(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ctor upper structure 100 and the lifting device is coupled through the lifting unit 230,
One end is fastened to the lifting unit 23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wire 240 is fastened to any one surfac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the lower module 140 Lifting device of the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40)의 타단은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서 상기 서포트 칼럼(105)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other end of the wire 240 is integral to the support column 105,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to any one of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er module 130, the lower module 140 selected from any one surface selected. Lifting device of the reactor super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230)는 상기 상부 모듈(120), 상기 중앙부 모듈(130), 상기 하부 모듈(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면에서 상기 슈라우드 플레이트(121, 131, 14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unit 230 is fastened to the shroud plates 121, 131, and 141 on any one surface selected from the upper module 120, the central module 130, and the lower module 140. A lifting device for an integrated reactor superstructur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10)는 하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상기 인양부(2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나머지의 상기 인양부(2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연장되는 빔(2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One end of the frame portion 210 is coupl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lifting portions 23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end of the frame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portion 230. Lifting device of the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one beam (2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230)는 상기 프레임부(210)의 하단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 1 인양부(230a), 제 2 인양부(230b), 제 3 인양부(230c), 제 4 인양부(230d), 제 5 인양부(230e), 제 6 인양부(230f)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빔(211)은,
상기 제 1 인양부(230a)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5 인양부(230e)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빔(211a);
상기 제 2 인양부(230b)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4 인양부(230d)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빔(211b);
상기 제 3 인양부(230c)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6 인양부(230f)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3 빔(211c);
을 포함하되,
상기 제 3 빔(211c)은 상기 제 1 빔(211a) 및 상기 제 2 빔(211b)과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빔(211a)과 상기 제 2 빔(211b)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보조 빔(211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원자로 상부 구조물의 인양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fting unit 230 is the first lifting unit 230a, the second lifting unit 230b, the third lifting unit 230c, the fourth lifting unit 230d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rame unit 210. , The fifth lifting portion 230e and the sixth lifting portion 230f are sequentially arranged,
The beam 211 is,
A first beam 211a formed to have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lifting portion 230a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fth lifting portion 230e;
A second beam 211b formed to have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lifting portion 230b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ourth lifting portion 230d;
A third beam (211c) formed so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third lifting portion (230c)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ixth lifting portion (230f);
Including,
The third beam 211c is formed to intersect the first beam 211a and the second beam 211b,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am 211a and the second beam 211b, respectively. The lifting device of the unitary reactor super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beam (211d) is provided to connect.
KR1020100012615A 2010-02-11 2010-02-11 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KR1010857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15A KR101085734B1 (en) 2010-02-11 2010-02-11 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15A KR101085734B1 (en) 2010-02-11 2010-02-11 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12A KR20110092912A (en) 2011-08-18
KR101085734B1 true KR101085734B1 (en) 2011-11-21

Family

ID=4492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615A KR101085734B1 (en) 2010-02-11 2010-02-11 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7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456B1 (en) * 2015-10-26 2016-05-16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Lifting method for assembly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87Y1 (en) * 2017-08-11 2019-07-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Jig for installing support slee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238B1 (en) 1992-06-23 2001-01-15 드폴 루이스 에이 Integrated head package of top mounted nuclear instrument
KR200328007Y1 (en) 2003-07-15 2003-09-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Improved Lifting Device for Reactor Vessel Internals
KR100844439B1 (en) 2007-01-02 2008-07-07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Modular reactor head area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238B1 (en) 1992-06-23 2001-01-15 드폴 루이스 에이 Integrated head package of top mounted nuclear instrument
KR200328007Y1 (en) 2003-07-15 2003-09-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Improved Lifting Device for Reactor Vessel Internals
KR100844439B1 (en) 2007-01-02 2008-07-07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Modular reactor head area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456B1 (en) * 2015-10-26 2016-05-16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Lifting method for assembly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12A (en)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3971A (en) Nuclear reactor having a modular core
JP6236463B2 (en) Reactor
JP4596739B2 (en) A platform for maintaining a nuclear reactor and a nuclear reactor maintenance method using the platform
JP2010515077A (en) Modular reactor upper assembly
JPS5829879B2 (en) Reactor
CN103871496A (en) Integrated reactor roof structure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KR101085734B1 (en) 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US20100239060A1 (en) Reflector-controlled fast reactor
KR100958350B1 (en) Inspection and Repair Stand
US9601220B2 (en)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KR101085742B1 (en) Lifting apparatus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CN203026159U (en) Integrated reactor roof structure of pressurized water reactor
WO2013089406A1 (en) Lifting shackle of head assembly for nuclear reactor
KR101037269B1 (en) Support structure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KR101057540B1 (en)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KR101085647B1 (en)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KR101141945B1 (en) Support structure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KR101032824B1 (en) Ring plate of head assembly for integrated type nuclear reactor
KR101102105B1 (en) Bonding structure for Baffle of Nuclear Reactor Head Assembly
KR101147938B1 (en) An apparatus for Pulling up Multiple Stud Tensioner
CN221054621U (en) Support structure for limiting axial displacement of vertical equipment
CN109920563A (en) A kind of truss-like integration heap roof construction suitable for high temperature resistant driving mechanism
KR101102127B1 (en) Performance Test Apparatus for Head assembly of Nuclear Reactor
CA2766440C (en) Feeder platform for nuclear reactor
JPH01253691A (en) Mechanically spectrum-shifted nuclear re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