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438B1 - Brush structure using led roller - Google Patents

Brush structure using led 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438B1
KR101085438B1 KR1020100039544A KR20100039544A KR101085438B1 KR 101085438 B1 KR101085438 B1 KR 101085438B1 KR 1020100039544 A KR1020100039544 A KR 1020100039544A KR 20100039544 A KR20100039544 A KR 20100039544A KR 101085438 B1 KR101085438 B1 KR 101085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urrent collector
wear
fram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0048A (en
Inventor
정성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3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438B1/en
Publication of KR2011012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58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urrent collector for indicating condition thereof, e.g. for indicating brush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러시 마모도가체크가 가능한 집전기의 브러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브러시의 마모정도를 체크할 수 있는 수단이 없거나 복잡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야만 하여 복잡한 구성을 가졌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종래의 집전기 분리장치의 집전기 부분에서 브러시의 마모정도를 체크하도록 하면서 한 개의 프레임의 양쪽에 별도의 스프링에 의하여 한쌍의 브러시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한 개의 브러시에 문제가 생겨도 나머지 브러시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브러시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마모가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structure of a current collector that can check the wear level at the time of picking up, and ha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because there is no means for checking the wear level of the brush or a complex electrical signal must be detect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as a pair of brushes are connected by a separate spring on both sides of one frame while checking the wear of the brush in the current collector portion of the conventional current collector separator. If you have a problem with the brush, you can use it as the remaining brush.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of the brush to prevent wear easily.

Description

롤러엘이디를 이용해 마모도 측정이 가능한 집전장치 브러시 구조{BRUSH STRUCTURE USING LED ROLLER}Current collector brush structure that can measure wear level using roller LED {BRUSH STRUCTURE USING LED ROLLER}

본 발명은 마모도 측정이 가능한 집전장치의 브러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집전장치의 브러시가 마모되는 것을 육안으로 즉시 확인 가능 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structure of the current collector that can measure the wear level, it is to be able to immediately check that the wear of the current collector brush.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크레인 전원장치의 컬렉터 설비에서 사용하는 장치인데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와 같은 제조공장에서는 대형 구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는데 보통 이동 거리가 큰 천정 크레인을 많이 이용하며 이때 이동하는 크레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서는 크레인에 인접하여 설치된 트롤리 와이어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집전 브러시가 설치된 집전장치를 이용한다. 도 1는 종래의 크레인과 트롤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집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크레인(1)의 이동방향으로 트롤리(3)가 설치되고, 집전장치(5)가 크레인(1)에 장착되어 트롤리(3)에 접지된다. 집전장치(5)는 트롤리(3)에 접지된 상태로 크레인(1)을 따라 이동하는 브러시가 구비되는데, 브러시가 트롤리(3)와 접지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마모가 심하여 브러시의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브러시의 빈번한 교체로 유지 관리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used in the collector equipment of the crane power supply in general, in a manufacturing plant such as steel mills to use a large crane to move a large structure, usually using a large crane moving a large distance and the movement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crane, a current collector installed with a current collector brush moving in contact with a trolley wire installed adjacent to the crane is used.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rane and a trolley, Figure 1b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rrent collector. 1A and 1B,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crane 1, a trolley 3 is install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rane 1, and a current collector 5 is mounted on the crane 1. The trolley 3 is grounded. The current collector 5 is provided with a brush that moves along the crane 1 in a state of being grounded to the trolley 3. Since the brush moves to a state of being grounded with the trolley 3, the brush is frequently worn and thus the brush is frequently replaced. Occurs.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consumed by frequent replacement of the brush.

종래에도 집전장치에서 마모도를 감시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1996-056745호 '집전브러시 마모도의 자동측정장치'가 개시된바 있는데 상기 마모도 측정장치는 브러시와 더불어 직선운동을 하는 래크기어의 직선운동을 피니온기어의 회전운동으로 바꾸고 피니온기어의 회전운동을 다시 포텐셔미터에 의하여 전기적신호로 바꾸어 마모도를 전시적 신호로 나타낸뒤 이것을 디지털 수치화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마모도를 정밀하게 표시할 필요는 없으며 마모도를 여러 가지 신호로 변환하는 동안 오차가 발생하며 복잡한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고장이 나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1996-056745, 'Automatic Measurement Device for Collecting Brush Wear,' has been disclosed in order to monitor wear in a current collector. The wear level measuring device has a linear motion of a rack gear in a linear motion with a brush. Is changed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inion gear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inion gear is converted into the electrical signal by the potentiometer.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accurately display the degree of wear, and an error occurs while converting the wear degree into various signals, and it is easy to fail due to the configuration of a complicated devic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361호 '크레인에 있어서 트롤리와 집전기를 자동 분리할 수 있고 안전보호망을 구비한 장치'에 개시된것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집전장치의 브러시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 또한 있었다.
In addition, the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used in the brush of the new type of current collector, such as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629361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separate the trolley and current collector in the crane, and equipped with a safety protection net' There were also disadvantages that were difficult to do.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하지만 브러시의 마모상태를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브러시의 교체시기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makes it easy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brush by intuitively easy to grasp the wear state of the brush by a simple configuration do.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브러시 마모도 체크가 가능한 집전기의 브러시 구조를 제공하는데, 상기 브러시중 어느 하나에는 감지롤러가 부착되는데 상기 감지롤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브러시의 이동에 따라 구를 수 있는 방향으로 부착되며 상기 감지롤러의 끝부분은 상기 브러시의 마모한계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브러시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가 마모되는 경우 상기 브러시의 이동에 따라 감지롤러가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감지롤러는 LED 광원이 장착되며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이 그 외부를 덮어 마모가 일어났을때 상기 감지롤러의 회전에 의해 광원이 발광되면 투명한 합성수지를 통과해 빛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마모가 일어났을때 투명한 합성수지부분이 트롤리에 닿아 구르게 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brush structure of the current collector can check the brush wear, one of the brush is attached to the sensing roller, the sensing roll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an be 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rush It is attached in the direction that the end of the detection roller is coupled to the brush to match the wear limit of the brush, when the brush is worn so that the detection roller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rush and the detection roller is a LED light source When the light is emitted by the rotation of the sensing roller when the wear occurs when the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covers the outside thereof, light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synthetic resin. Therefore, when the wear occurs, the transparent plastic part touches the trolley and rolls.

상기 브러시의 마모한계점은 브러시 두께의 30%내지 40%되는 위치이며 상기 브러시는 일체형의 것으로 브러시를 고정하는 장치와 볼트결합 및 본드결합된 것일 수 있다. The wear limit point of the brush is a position of 30% to 40% of the brush thickness and the brush may be integral and bolted and bonded to the device for fixing the brush.

상기 감지롤러가 회전하여 발광하여 되면 감지롤러가 발광하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detection roller is rotated to emit ligh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light emitted by the detection roller.

상기 브러시는 브러시홀더에 장착되며 브러시 홀더는 프레임의 양끝단에 장착이 되며 상기 브러시 홀더와 프레임은 피스톤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스프링이 부착된 상기 프레임의 뒤쪽면으로 절연브라켓(32)이 부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트롤리를 향해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The brush is mounted to the brush holder, the brush holder is mounted at both ends of the frame, the brush holder and the frame is connected by a piston spring, the insulating bracket 32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to which the piston spring is attached The frame may extend toward the trolley.

상기 브러시는 한 개이상의 브러시가 한 개의 프레임에 의해 연결이 되며 한쪽 끝단에는 감지롤러가 부착되며 상기 브러시는 아암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연결되어 집전기와 90도의 각도를 이루고 형성되는 상하압착형인것일 수 있다. The brush is one or more brushes are connected by one frame, one end of the sensing roller is attached, the brush is connected to the frame consisting of the arm can be a vertical compression type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current collector have.

상기 프레임에는 광원감지창이 형성되어 집전기 의 외부에 형성된 광원감지센서로부터 감지롤러에서 발광된 빛을 감지하기 유리하도록 한 것일 수 있다.
The frame may be a light source detection window is advantageous to det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detection roller from the light source detection senso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상기한 바와 같은 브러시 구조에 의하여 마모도를 쉽게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degree of wear by the brush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도1a,b,도2는 종래의 집전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구조가 사용되는 집전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5,6은 브러시의 접착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7,8,9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1A, 2B and 2 show a conventional current collector;
Figure 3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bru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current collector in which a bru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5 and 6 show the adhesive form of the brush.
Figures 7, 8 and 9 show yet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b는 종래의 집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집전장치를 도4는 도3의 집전장치가 사용되는 집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150) 2조는 하나의 아암에 연결이 되며 아암의 중간에 스프링을 연결함(도시되지 않음)으로써 하나의 스프링에 연결이 되도록 하여 트롤리에 압착되도록 하였는데 트롤리가 6미터 간격으로 계속 연결되어 있어 각 트롤리간의 이음구간을 지나게 될 때 브러시 유닛이 부딪히게 되는 경우가 많아 전원공급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스프링이 이탈되면 브러시 유닛 2조가 모두 이탈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도2b에 사용되는 스프링은 인장형 스프링으로서 약간의 충격이나 흔들림이 있는 경우에 브러시가 레일에서 이탈하게 되어 전원공급에 영향이 오는 경우가 많았다. Figure 2b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rrent collector, Figure 3 is a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urrent collector in which the current collector of Figure 3 is used. As shown in Fig. 2a, two sets of brushes 150 are connected to one arm and connected to one spring by connecting a spring to the middle of the arm (not shown) so that the trolley is pressed into the spring. Because of the continuous connection at meter intervals, brush units often collide when passing through the joint section between trolleys, which is often affected by the power supply. In addition, when the spring was detached, the two brush units were all detached and the power supply was often cut off. In addition, the spring used in Fig. 2b is a tension type spring, and in some cases, the brush is separated from the rail when there is a slight impact or shaking, which affects the power supply.

도3,4의 집전장치는 크레인에 장착되며 크레인(1)의 이동방향으로 뻗는 트롤리(3)를 향해 연장된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양끝단에 한 개이상의 피스톤 타입 스프링(31)을 이용해서 연결되는 브러시(150)가 부착되며 상기 브러시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감지롤러(160)가 부착된다. The current collectors of FIGS. 3 and 4 are mounted on a crane and extend to the trolley 3 extendi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rane 1 and one or more piston type springs 31 at both ends of the frame 110. A brush 150 connected to each other is attached, and a sensing roller 160 is attached to an upper end of any one of the brushes.

또한, 브러시(150)의 뒷면에는 피스톤 타입스프링(31)이 부착되며 프레임과 연결부분에는 스프링의 방향 뒤쪽으로 절연브라켓(32)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에는 절연애자(33)가 형성되어 고압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In addition, a piston type spring 31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brush 150, and the insulating bracket 32 is formed in the frame and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pring back. In addition, an insulator 33 is formed in the frame to cut off the high voltage power.

이처럼 종래의 집전기가 한 개의 스프링에 두 개의 브러시(150)가 연결되는 구조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브러시 유닛 2조가 각각의 스프링에 의해서 트롤리에 압착되게 된다. 따라서, 어느 한쪽의 브러시 유닛이 충격에 의해 브러시 유닛이나 스프링이 탈착되거나 파손된다고 하여도 다른쪽 브러시 유닛에는 영향을 주지않아 전원공급이나 설비운전에도 영향을 주지 않아 전원공급의 중단없이 계속적인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current colle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brushes 150 are connected to one sp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sets of brush units are compressed to the trolley by each spring. Therefore, even if one brush unit is detached or damaged by the impact of the brush unit or spring, it does not affect the other brush unit and does not affect the power supply or equipment operation. It becomes possible.

브러시(150)의 구조는 구리나 흑연으로 일체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제작의 편의를 위해서 양측에 구리재질의 구리블록이 위치하고, 양측에 위치한 2개의 구리블록 사이에 흑연블록이 위치한 상태로 일체로 고정되거나, 또는 2개의 구리블록과 흑연블록의 측부를 관통한 볼트로 2개의 구리블록과 흑연블록을 체결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브러시가 일체로 형성된 것은 가공하기 쉬우며 교체시 비용도 적어질 수 있으며 분리형으로 된것은 흑연이나 구리블럭중 빨리 소모되는 것을 쉽게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brush 150 may have a shape integrally formed with copper or graphite. However,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e, copper blocks made of copper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and the graphite blocks are positioned integrally with two copper blocks located on both sides, or bolts penetrating the two copper blocks and the sides of the graphite blocks. Two copper blocks and graphite blocks may be fastened and used. The brush formed integrally is easy to process and can be less expensive to replace, and the detachable typ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used to quickly replace the graphite or copper block.

또한, 프레임에는 광원감지창(163)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감지창을 통해 브러시에 형성되는 감지롤러(160)에 발생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광원감지센서(162)가 형성될 수 있다. 감지롤러가 브러시와 브러시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부피가 줄기 때문에 광원감지창을 형성하고 브러시와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감지롤러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감지롤러가 브러시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경우 다른 브러시와 닿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지만 충분한 간격만 확보되면 외측에 형성하는 것도 좋다.
In addition, a light source detection window 163 may be formed in the frame, and a light source detection sensor 162 may be formed to detect light generated in the detection roller 160 formed in the brush through the light source detection window. When the sensing roller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brush and the brush, the volume occupies as a whole, so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light source sensing window and form the sensing roller as the space between the brush and the brush. If the detection roller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rush, there is a risk of contact with the other brush, but it is also good to form on the outside if sufficient gap is secured.

도5,6은 브러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5,6에서는 브러시가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브러시를 일체로 제조하되 분홍색으로 표시한 해당 면에 본드를 이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도6에서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볼트만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를 분리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분홍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볼트 결합면과 수직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가 이탈되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다.5 and 6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brush. In Figures 5 and 6, the brush is integrally manufactured to prevent the brush from being separated, but the bonding is performed by using a bon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marked in pink. You can do that. It also does not exclude forming the brush in a detachable manner. The part marked in pink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lt engaging surface, so that the brush does not come off.

도7은 감지롤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크레인(1)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데, 크레인(1)이 이동하면서 브러시(150)는 트롤리(3)에 의해 마모되면서 점차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따라서 감지롤러(160)의 최하점을 브러시(150)의 마모 한계점과 일치되도록 위치할 경우, 브러시(150)가 마모 한계점까지 마모되었을 때에 감지롤러(160)는 트롤리(3)에 접하게 되고 감지롤러(160)와 트롤리(3)의 마찰에 의해 감지롤러(160)가 회전한다. 감지롤러(160)가 회전하면, 도 7에 보이듯이, 감지롤러의 내부에 장착된 LED(161)가 발광하면서 감지롤러(160) 밖으로 빛이 방출될 수 있도록 감지롤러(160)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다. 작업자는 감지롤러(160)에서 발광하는 빛을 보고 브러시가 마모 한계점까지 마모됨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광원감지센서(162)를 설치하여 감지롤러가 발광한 경우 마모 한계점까지 마모됨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7 shows one embodiment of the sensing roller. The crane 1 moves along the rail, and as the crane 1 moves, the brush 150 is gradually thinned as the brush 150 is worn by the trolley 3. Therefore, when the lowest point of the detection roller 160 is positioned to match the wear limit of the brush 150, when the brush 150 is worn to the wear limit point, the detection roller 160 is in contact with the trolley 3 and the detection roller ( The sensing roller 160 rotates by the friction between the 160 and the trolley 3. When the sensing roller 160 rotates, as shown in FIG. 7, the sensing roller 160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nsing roller 160 may be emitted while the LED 161 mounted inside the sensing roller emits light. It consists of. The operator can se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nsing roller 160 to recognize that the brush is worn to the wear limit. In addi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light source sensor 162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wear of the detection roller to the wear limit point.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감지롤러(160)가 회전하면서 감지롤러의 회전으로 영구자석과 코일에 의해서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하여 LED가 발광하게 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전원장치나 건전지가 필요치 않게 되며 이와 같은 LED 구동원리는 이미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s the sensing roller 160 rotates, the LED emits light by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coil due to the rotation of the sensing roller. Therefore, a separate power supply or a battery is not necessary,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ED driving principle is already known since it is omitted.

도 8은 브러시의 바깥에 감지롤러(160)가 형성된 형태의 옆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감지롤러(160)는 집전장치의 초기 운전상태에서 집전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는데 초기에는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브러시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장시간 운전하게 되면 카본과 구리로 이루어진 브러시는 마모가 진행되고 브러시의 마모가 약 30%이상 진행 되면(통상은 약 10cm정도 이격) 감지롤러의 바닥면이 트롤리바에 접촉하게 된 상태에서 좌우로 진행하게 되면서 감지롤러가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력에 의하여 감지롤러의 코일에 기전력이 생기면서 감지롤러를 발광시키게 된다. 롤러의 회전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광시키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는 이처럼 감지롤러를 도입함으로써 브러시의 마모가 더 진행되기 전에 미리 확인을 할 수 있어 브러시의 마모를 확인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롤러는 안쪽에는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발광을 위한 LED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쪽에는 바닥면에 닿았을 때 회전을 하면서도 LED가 바닥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투명한 합성수지로 덮혀 있다.
8 shows a side view of a shape in which the sensing roller 16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rush. The sensing roller 160 moves from side to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current collector is attached to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initial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is initially positioned slightly higher than the brush so as not to touch the bottom surface. If you continue to operate for a long time in this state, the brush made of carbon and copper progresses and if the wear of the brush progresses more than 30% (usually about 10cm apar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nsing roll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rolley bar. As it progresses from side to side, the sensing roller rotate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s electromotive force in the coil of the sensing roller and emits the sensing roll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 and the technique of emitting light using the technique is a well 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the sensing roller in this way can be confirmed in advance before the wear of the brush further progres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 accident that may occur by failing to check the wear of the brush. These sensing rollers generate electromotive force on the inside and are formed with LEDs for emitting light. On the outside, the sensing rollers are covered with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so that the LEDs do not hit the bottom while rotating while touching the bottom.

도9는 상하 압착형 집전장치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것은 모두 좌우 혹은 수평압착형 방식이었으나 도9에 도시된 것은 상하압착형 집전장치이다. 즉, 브러시의 이동방향이 상하 방식이며 위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압착하게 되며 수평압착형 방식과 비교하였을때 좌우압착형은 프레임이 브러시의 위쪽에 형성되며 피스톤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상하압착형은 프레임이 브러시의 옆쪽에 형성되며 피스톤스프링이 사용되지 않는다. 단지 프레임의 형성시에 상하방향으로 약간의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개의 아암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여 브러시와 연결한다. 또한 절연브라켓에 센서의 탐침이 아래쪽에서 닿게 된다. 또한, 상하압착형이든 좌우압착형이든 감지롤러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별도의광원감지센서(162)를 이용하여 엘이디롤러에서 발생되는 빛을 감지하게 된다. 9 shows a vertical compression type current collector. All of the above described was a left-right or horizontal crimp type, but shown in FIG. 9 is a vertical compression type current collector. In other word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rush is up and down, and it is pressed down from the top to the bottom. Compared with the horizontal compression type, the left and right compression type fram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ush and the piston spring is used. I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iston and no piston spring is used. The frame is constructed using multiple arms and connected with a brush so as to have a slight elastic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only when the frame is formed. In addition, the probe of the sensor touches the insulating bracket from below. In addition, by using a separate light source detection sensor 162 in the position that can detec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detection roller, whether vertical or vertical compression type, it is to detec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roller.

종래의 브러시 마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계속적으로 브러시의 마모를 감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지만 본 발명은 마모가 일어나는 순간부터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필요한 순간에만 작동이 되며 또한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작동시킬 필요도 없으며 간단한 기계적인 원리에 의하여 작동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고장이날 가능성도 크지 않다. Conventional device for measuring the wear level of the brush continuously generates a signal to monitor the wear of the brush, but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ignal from the moment when the wear occurs, it operates only when necessary and also needs to be operated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here is no possibility of failure because it is operated by simple mechanical principle.

또한, 상기 감지롤러에 의해서 감지된 발광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서버에 유무선으로 전달되어 작업자 혹은 감독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SMS(단문메세지)발송 서버를 거쳐 SMS 형태로 즉시 전달되어 마모된 브러시에 대한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MS 뿐아니라 작업장내의 벨이나 미리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송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emission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roll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not shown) by wire or wireless to be delivered to the operator or supervisor. These signals can be immediately delivered in the form of SMS via a SMS (Short Message) sending server to allow quick action for worn brushes. In addition to SMS, it may be to transmit a bell or a prestored voice message in the workplace.

1 : 크레인 3 : 트롤리
31 : 피스톤스프링 32 : 절연브라켓
33: 압력센서 41: 본체
150 : 브러시 160: 감지롤러
161 : LED 162: 광원감지SENSOR
163: 광원감지창
1: crane 3: trolley
31: piston spring 32: insulation bracket
33: pressure sensor 41: main body
150: brush 160: detection roller
161: LED 162: light source detection
163: light source detection window

Claims (6)

브러시 마모도 체크가 가능한 집전기의 브러시 구조로서
상기 브러시중 어느 하나에는 감지롤러가 부착되는데 상기 감지롤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브러시의 이동에 따라 구를 수 있는 방향으로 부착되며 상기 감지롤러의 끝부분은 상기 브러시의 마모한계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브러시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가 마모되는 경우 상기 브러시의 이동에 따라 감지롤러가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감지롤러는 LED광원이 장착되고 그 외부를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덮여 상기 감지롤러의 회전에 의해 광원이 발광하면 투명한 합성수지를 통해 발광하는 빛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마모도 체크가 가능한 집전기의 브러시 구조
As brush structure of current collector which can check brush abrasion
The sensing roller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brushes, the sensing roll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ttached in a rollable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rush, and the end of the sensing roller is attached to the brush so as to match the wear limit of the brush. When the brush is worn, the sensing roller is rot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rush. The sensing roller is equipped with an LED light source and the outside thereof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light is emitted by the rotation of the sensing roller. Brush structure of the current collector that can check the wear of the brush,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light emitted 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의 마모한계점은 브러시 두께의 30%내지 40%되는 위치이며 상기 브러시는 일체형의 것으로 브러시를 고정하는 장치와 볼트결합 및 본드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마모도 체크가 가능한 집전기의 브러시 구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ar limit of the brush is a position of 30% to 40% of the thickness of the brush and the brush is a one-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ush wear check, and bolted and bonded with the device for fixing the brush. Brush structure of possible collector
제2항에 있어서, 감지롤러가 회전하여 발광될때 감지롤러가 발광하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브러시 마모도 체크가 가능한 집전기의 브러시 구조
The brush structure of a collector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light emitted by the detection roller when the detection roller rotates to emit ligh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마모도 체크가 가능한 브러시는 브러시홀더에 장착되며 브러시 홀더는 프레임의 양끝단에 장착이 되며 상기 브러시 홀더와 프레임은 피스톤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스프링이 부착된 상기 프레임의 뒤쪽면으로 절연브라켓(32)이 부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트롤리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마모도 체크가 가능한 집전기의 브러시 구조The fram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rush capable of checking the wear of the brush is mounted to a brush holder, the brush holder is mounted at both ends of the frame, and the brush holder and the frame are connected by a piston spring, and the piston spring is attached to the frame. Insulation bracket 32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extends toward the trolley, the brush structure of the current collector can check the brush we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한 개이상의 브러시가 한 개의 프레임에 의해 연결이 되며 한쪽 끝단에는 감지롤러가 부착되며 상기 브러시는 아암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연결되어 집전기와 90도의 각도를 이루고 형성되는 상하압착형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마모도 체크가 가능한 집전기의 브러시 구조
The brush of claim 3, wherein one or more brushes are connected by one frame, and a sensing roller is attached to one end thereof, and the brush is connected to a frame made of an arm and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current collector. Brush structure of current collector which can check brush abras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up-and-down compression typ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광원감지창이 형성되어 집전기 의 외부에 형성된 광원감지센서로부터 감지롤러에서 발광된 빛을 감지하기 유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마모도 체크가 가능한 집전기의 브러시 구조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light source detecting window is formed in the frame to facilitate the detection of the brush we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vantageous to det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detection roller from the light source senso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Brush structure of current collector
KR1020100039544A 2010-04-28 2010-04-28 Brush structure using led roller KR101085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44A KR101085438B1 (en) 2010-04-28 2010-04-28 Brush structure using led 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44A KR101085438B1 (en) 2010-04-28 2010-04-28 Brush structure using led 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048A KR20110120048A (en) 2011-11-03
KR101085438B1 true KR101085438B1 (en) 2011-11-21

Family

ID=4539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544A KR101085438B1 (en) 2010-04-28 2010-04-28 Brush structure using led 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4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381A (en) 2016-12-07 2018-06-18 코오롱엔솔루션 주식회사 A monitoring device for trolley bar
KR20220032321A (en) 2020-09-07 2022-03-15 최정진 Retro monitor stan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643Y1 (en) 1995-12-08 1999-07-01 이구택 Testing device of bru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643Y1 (en) 1995-12-08 1999-07-01 이구택 Testing device of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048A (en)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2618B2 (en) System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current collector
US8120503B2 (en) Brush wear monitor having mounted flags interactable with an impedance dependent switch
CN1898103A (en) Monitoring system for electrical vehicles drawing current from conductors
KR101085438B1 (en) Brush structure using led roller
CN103597326A (en) Vibration detec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07727694B (en) Pantograph carbon slide plate assembly and abrasion detection method thereof
WO2014013650A1 (en) Railroad car derail sensing device and railroad car
CN108309486B (en) Electric toothbrush with device for detecting brush head pressure
EP1747416B1 (en) System for detecting roller breakage in a tunnel kiln
US20140338975A1 (en) Rotary drill head position measurement system
KR101676837B1 (en) A hardness measuring device
KR20130025997A (en) Inspection apparatus for state of train-wire and the assistant device
KR101321834B1 (en) Supporting bar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overhead distribution line
WO2003056215A1 (en) Wear indicator for a seal of a suction roll of a paper or board machine
CN107831572B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cable
KR100972393B1 (en) Structure of wearing measurable brush holder of crane collector
CN105826786B (en) A kind of guide rail current-collector
KR20110008875U (en) Structure of wearing measurable brush holder of crane collector
CN116154575A (en) Electric connection mechanism based on tunnel inspection robot
CN103767727A (en) Housing cladding module with collision identification for medical device
KR101139918B1 (en) Measuring apparatus for arc and electromagnetic waves
CN108956907A (en) A kind of grain detection mobile device
KR20150075273A (en) Pantagraph device for power supply
CN208007945U (en) Be used for mechanical equipment trouble suggestion device
CN109029802A (en) sensor and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