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537B1 -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537B1
KR101084537B1 KR1020100029749A KR20100029749A KR101084537B1 KR 101084537 B1 KR101084537 B1 KR 101084537B1 KR 1020100029749 A KR1020100029749 A KR 1020100029749A KR 20100029749 A KR20100029749 A KR 20100029749A KR 101084537 B1 KR101084537 B1 KR 10108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reader
transponder
recognition
time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435A (ko
Inventor
홍연찬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53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time domain, e.g. using binary tree search or RFID responses allocated to a random time slot
    • G06K7/100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time domain, e.g. using binary tree search or RFID responses allocated to a random time slot transponder drive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2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improve response time or to decrease power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특히 RFID 리더기가 트랜스 폰더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이후 RFID 리더기의 인식 거리 내로 들어오게 된다면 트랜스폰더는 RFID 리더기의 다음 데이터 요청 신호를 기다리게 되며 이는 인식시간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인식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현재 사용되는 리더기에서 발생하는 소프트웨어에서 트랜스폰더의 데이터 응답을 얻을 시 긴 인식시간 및 짧은 인식 거리로 인해 불필요한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데 트랜스폰더의 인식 거리 도달 여부를 비교기를 통해 감지하여 인식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RFID 리더기의 인식 속도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RECOGNITION SPEED IMPROVEMENT OF RFID READER}
본 발명은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특히 현재 사용되는 리더기의 소프트웨어에서 트랜스폰더의 데이터 응답을 얻을 시 긴 인식 시간 및 짧은 인식 거리로 인해 불필요한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의 인식 거리 도달 여부를 비교기를 통해 감지하여, RFID 리더기의 인식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인식기술은 유비쿼터스의 중요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무선 인식 기술은 공장 자동화, 물류 자동화, 무인 감시제어, 출입자 관리 및 차량 관리 등의 무선 인식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무선 인식 시스템은 크게 시스템을 관리하는 호스트와 인식을 위해 인식 대상체에 붙이는 트랜스폰더 그리고 상기 트랜스폰더를 인식하기 위한 RFID 리더기로 나누어진다. 상기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은 주종 방법에 따라 이루어지며 먼저 호스트에서 RFID 리더기로 데이터를 요청하면 RFID 리더기는 트랜스폰더를 인식하고, 상기 트랜스폰더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다시 호스트로 넘기는 방법을 취한다.
현재 사용되는 RFID 리더기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를 식별하기 위한 충돌처리 방식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동적 이진 방식(dynamic binary search procedure)이고 다른 하나는 동적 슬롯티드 알로하 방식(dynamic slotted ALOHA procedure)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동적 이진 방식은 개별적으로 부여된 시리얼 넘버를 최상위 비트부터 최하위 비트까지 검색하여 가장 작거나 큰 시리얼 넘버를 가진 트랜스폰더를 선택하는 방법이고, 동적 슬롯티드 알로하 방식은 트랜스폰더 내부의 난수 발생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임시적인 순번을 정하고 자신의 순번에 따라 RFID 리더기의 요청에 응답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두 가지 방식 모두 RFID 리더기와 트랜스폰더의 관계는 주종 관계로서 트랜스폰더는 RFID 리더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만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는 트랜스폰더에서의 데이터 요청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RFID 리더기에서는 트랜스폰더의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경우, 상기 RFID 리더기가 트랜스폰더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이후 RFID 리더기의 인식거리 내로 들어오게 된다면, 상기 트랜스폰더는 RFID 리더기의 다음 데이터 요청 신호를 기다리게 되며, 이는 인식 시간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증가 된 인식 시간을 줄이는 것이 상기 RFID 리더기의 개발의 초점으로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RFID 리더기의 데이터 요청에 대한 상기 RFID 리더기까지의 인식 시간의 감소를 위해서 준비 상태 없이 트랜스폰더가 상기 RFID 리더기의 인식거리 내 도달시 RFID 리더기가 트랜스폰더로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하여 RFID 리더기의 요청 신호 이후 트랜스폰더가 인식거리 내 도달할 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인식시간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폰더의 인식거리 도달 여부를 상호 유기 전압 차를 감지하는 비교기를 통하여 감지하여 RFID 리더기에서 능동적으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에게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트랜스폰더 감지 유무에 따른 인식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타임 아웃을 각각 100ms, 200ms, 300ms로 하였을 때와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를 이용할 경우를 측정해본 결과, 자체적으로 70ms 의 인식시간 변화가 나타나며 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할 경우가 인식시간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 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부분이 양의 값을 가지며 이러한 양의 값을 가지는 결과는 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했을 경우가, 이용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일단에 R, L, C를 포함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으로서, 상기 RFID 리더기는 트랜스폰더에 응답신호에 따라 대기 상태 없이 응답신호를 보내며, 상기 리더기에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가 접근하여 인식속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랜스폰더 인식거리 도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랜스폰더 도달 여부 감지를 이용하는 경우 이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인식 시간이 감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트랜스폰더 인식거리 도달 여부는 상기 리더기와 트랜스폰더의 유기전압 차로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 감지를 사용할 경우 최대 47.5 ms 의 인식시간이 감소하고 평균으로는 12 ms의 인식시간이 감소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의 결과로 RFID 리더기 카드를 대량 생산할 때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시간의 절감효과로 생산성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RFID 리더기의 등가 회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RFID 리더기의 안테나와 트랜스폰더의 회로적 등가 회로이다.
도 3은 비교기를 포함한 RFID 리더기의 등가 회로이다.
도 4는 RFID 리더기의 인식 시간을 기록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이다.
도 5는 RFID 리더기와 트랜스폰더 감지 회로를 사용한 RFID 리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100ms, 200ms, 300ms의 타임아웃을 가질 경우의 측정된 인식 시간과 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할 경우 측정된 인식 시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RFID 리더기의 등가 회로이다.
도 1은 인덕턴스 La와 도선 저항 Ra의 안테나를 갖는 RFID 리더기(reader)의 등가 회로 이다.
도 1에서 외부 커패시터 C1은 동작 주파수 wTX=wRES 에서 직렬 공진을 얻기 위한 요소이다. 도시된 회로로부터 감지기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ia는 공급 전압 U0로부터 다음 식 1과 같이 결정된다.
식 1
Figure 112011070166466-pat00001
식 1에서 공진 주파수에서 C1과 La의 임피던스는 서로 상쇄되므로 Z0=Ra 이 되어 안테나 전압 Ua는 아래의 식 2와 같이 결정된다.
식 2
Figure 112011070166466-pat00002
식 2는 트랜스폰더가 감지기의 감지영역 바깥에 있을 때 안테나의 전압을 나타낸다. 한편, 하나의 트랜스폰더가 RFID reader에 접근하여 두 장치가 교류 자기장에 의해 결합할 경우 RFID reader의 안테나와 트랜스폰더의 회로적 등가 관계는 도 2와 같다.
도 2의 각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아래의 식3, 식 4와 같이 표현된다.
식 3
Figure 112011070166466-pat00003
식 4
Figure 112011070166466-pat00004
식 3과 식 4로부터 RFID 리더기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 ia는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
식 5
Figure 112011070166466-pat00005
따라서 RFID reader 안테나의 임피던스 Za은 식 6과같이 결정된다.
식 6
Figure 112011070166466-pat00006
식5와 식 6으로부터 자기장 결합상태에서 안테나에 걸리는 전압 Ua는 아래의 식 7과 같이 결정된다.
식 7
Figure 112011070166466-pat00007
회로의 동작이 공진 주파수 wTX=wRES에서 이루어질 경우 Z1=Ra이 되며 상호 인덕턴스을 결정하는 일반적인 식 M2=k2LaLt 을 대입하면 식 7은 아래의 식 8과 같이 표현된다.
식 8
Figure 112011070166466-pat00008
식 8에서 결합계수 k는 항상 두 한계치 0 ≤k≤1 사이에 존재하며 k=0 일 때는 먼 거리 또는 자기장에 의한 완전 비결합을 의미하고 k=1 일 때는 완전 결합으로 두 코일들이 동일한 자기 선속에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즉 트랜스폰더의 접근에 대하여 결합계수 k의 값이 변하게 되며 RFID reader의 안테나에 걸리는 전압의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가 접근 하면 안테나 전압이 하나의 태그 일 때보다 더 크게 발생하므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들이 접근함을 인지하고, 위에서 상술한 동적 이진 검색(dynamic binary search procedure)또는 동적 슬롯티드 알로하 방식(dynamic slotted ALOHA proceduer)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RFID anti-collision process 를 수행하며 통상적으로 트랜스폰더가 충돌하는 것을 리더기가 알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들이 ID를 전송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본 발명의 리더기는 접근하자마자 알 수 있어 anti-collision process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RFID reader의 안테나에 비교기를 부착하여 RFID reader에 걸리는 전압을 검사함으로써 도 3의 등가 회로와 같이 트랜스폰더 감지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설계를 할 경우 소프트웨어는 RFID reader의 REQA명령의 반복을 피하여 검색된 전압을 이용하여 트랜스폰더의 접근을 알고 REQA명령을 송신하게 된다.
Idle state에서의 변수 wait_time은 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는 변수이다. 그러나 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이 변수는 REQA를 수신한 트랜스폰더의 응답을 위한 대기 시간이 된다. 그러므로 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한 RFID 리더기의 대기 시간의 범위를 나타내면 식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식 9
Figure 112011070166466-pat00009
tTag 감지를 위한 시간은 실제 간단히 비교기를 통하여 일정한 전압과 비교하는 시간과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서 처리하는 시간이 된다. 이는 wait_time에 의해 대기하는 시간보다 매우 작다.
상기 RFID 리더기의 인식 시간을 기록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은 간단한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우선 트랜스폰더를 일정한 속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태핑 모터를 사용하였으며, 스태핑 모터의 구동을 위하여 스태핑 모터 드라이버로 널리 쓰이고 있는 SLA7024M를 사용하였다. 또한, 스태핑 모터의 동작제어와 호스트로 사용되는 PC와의 연결을 위하여 40MHz의 클럭을 사용하는 AT89C51ED2를 사용하였다. RFID 리더기는 자체 제작하였으며, 필립스사의 MF RC500을 사용하였으며, MF RC 500은 ISO 14443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RFID reader 전용 칩이다.
도 5는 자체 제작된 RFID 리더기와 트랜스폰더 감지 회로를 사용한 RFID 리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식시간을 비교하기 위하여 타임 아웃을 100ms, 200ms, 300ms로 할 경우와 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할 경우에 대하여 100회 측정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70ms정도의 인식시간 변화가 나타나며 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할 경우가 타임아웃을 100ms, 200ms, 300ms가질 경우와 비교하여 인식시간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100ms, 200ms 그리고 300ms의 타임아웃을 가질 경우에 측정된 인식시간과 태그(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한 경우 측정된 인식시간의 차이를 측정해 보았다. 도 6의 그래프의 대부분이 양의 값을 가지며 이는 트랜스폰더 감지를 이용하였을 경우가 이용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빨랐음을 의미한다.
상기 트랜스폰더 감지를 사용할 경우, 최대 47.5 ms의 인식시간이 감소하고 평균으로는 12 ms의 인식시간이 감소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현재 ISO/IEC 14443 표준은 금융, 신분 인식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긴 인식시간 및 짧은 인식거리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으며, 긴 인식시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FID reader를 자체 제작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보완하도록 노력하였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읽고 쓰는 시간을 줄여 금융, 신분 인식 분야 등 RFID 태그 대량생산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일단에 R, L, C를 포함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는 트랜스폰더에 응답신호에 따라 불필요한 대기 상태 없이 응답신호를 보내며,
    상기 리더기에는 인식거리 도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비교기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가 접근할 때 인식속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트랜스폰더 감지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트랜스폰더의 도달 여부 감지를 이용하는 경우 이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인식 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의 인식거리 도달 여부는 상기 리더기와 트랜스폰더의 유기전압 차로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KR1020100029749A 2010-04-01 2010-04-01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KR10108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49A KR101084537B1 (ko) 2010-04-01 2010-04-01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49A KR101084537B1 (ko) 2010-04-01 2010-04-01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35A KR20110110435A (ko) 2011-10-07
KR101084537B1 true KR101084537B1 (ko) 2011-11-17

Family

ID=4502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49A KR101084537B1 (ko) 2010-04-01 2010-04-01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5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35A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4852B2 (en) Charging long-rang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CN103093170B (zh) 一种电子标签快速识别的方法及装置
KR101597199B1 (ko) 각종 판독 범위를 갖는 rfid 태그들을 구비한 rfid 포털 시스템
CN102246187B (zh) 具有低频功率辅助的物品级uhf rfid标签的系统和方法
EP1959579A1 (en) Electronic tag, and electronic tag system
US20080030324A1 (en) Data communication with sensors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protocol
US10671822B1 (en) Multipurpose RFID transponder and a system for reading it
US11030429B2 (en) Multipurpose RFID transponder and a system for reading it
US7626503B2 (en) Bi-slot tree based tag identification method in RFID systems
US9317725B1 (en) RFID protocol
US8334752B2 (en) Wireless tag, wireless tag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tag access device, method of detecting corresponding wireless tag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7118914A1 (en) Charging long-rang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WO2011158017A1 (en) Selectively addressing transponders
EP2339501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CN104951815A (zh) 射频识别读写器及其天线组件和读写部件
US11790191B2 (en) Multipurpose RFID transponder and a system for reading it
EP2801930B1 (en) A near field communication reader adapted for NFC A anti collision and a method of NFC A anti collision
KR101084537B1 (ko) Rfid 리더기의 인식속도 개선 방법
KR101500188B1 (ko) Rfid 시스템에서 태그 충돌 감지 방법 및 장치
US10802132B2 (en) Position-sensing sensor and position-sensing system
KR101036198B1 (ko) 무선인식 태그간 데이터 중계 시스템
CN111767749A (zh) 一种多卡射频识别的方法及装置
Lee et al. Design of active RFID reader for fast recognition time
KR20040036117A (ko) 비접촉식 아이씨 카드 리더기와 다수의 카드간의 데이터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40614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