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296B1 - Ankle brace including tension indicator - Google Patents

Ankle brace including tension ind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296B1
KR101083296B1 KR1020090032056A KR20090032056A KR101083296B1 KR 101083296 B1 KR101083296 B1 KR 101083296B1 KR 1020090032056 A KR1020090032056 A KR 1020090032056A KR 20090032056 A KR20090032056 A KR 20090032056A KR 101083296 B1 KR101083296 B1 KR 10108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tension
fixing member
ankle
lig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13662A (en
Inventor
김철웅
이호상
박민형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09003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296B1/en
Publication of KR2010011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6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2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7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ankl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발목 보조기는 착용자의 발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발을 감싸도록 고정되며, 인가된 장력에 의해 상기 착용자의 발목인대의 운동을 보조하는 스트랩; 그리고 상기 스트랩에 인가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기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은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실장되어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장력 표시기는 상기 스트랩에 표시되어 상기 스트랩의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감시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식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kle brace is a fixing member which is fixed to surround the wearer's foot; A strap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and fixed to surround the foot and assisting the wearer's ankle ligament movement by an applied tension; And a tension indicator indicating a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The strap is mounted inside the fixing member and moves along the fixing member by the tension, and the tension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strap so that the mark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monitoring window formed on the fixing member when the strap is moved. Can be.

스트랩, 장력 표시기, 고정부재, 발목 보조기, 인대 Straps, tension indicators, fasteners, ankle braces, ligaments

Description

장력 표시기를 구비하는 발목 보조기{ANKLE BRACE INCLUDING TENSION INDICATOR}Ankle brace with tension indicator {ANKLE BRACE INCLUDING TENSION INDICATOR}

본 발명은 발목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랩에 인가된 장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장력 표시기를 구비한 발목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kle br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kle brace having a tension indicator indicating the amount of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발은 복잡한 운동기능과 구조를 지닌 신체부위로, 흔히 걷거나 뛰는 등의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관절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은 체중을 지탱하며, 표면이 고르지 않은 곳을 걷거나 점프 후 착지 시, 또는 급선회 동작 시 평소보다 체중의 2배에서 5배에 달하는 충격을 받게 되므로, 염좌 또는 골절 등의 장애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The foot is a body part with complex motor function and structure, and it is composed of joints that are often used for movement such as walking or running. These feet support your weight and are easily exposed to disorders such as sprains or fractures, as you will be impacted twice or five times your weight when you walk, land, or swivel after uneven surfaces. have.

도 1은 발을 구성하는 뼈와 인대의 해부학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목 염좌는 스포츠 활동시 또는 일상 생활에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는 손상으로, 발목의 내번(Inversion) 또는 회외(Supination)로 인한 전방 거비 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 ATF ligament)와 종비 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 : CF ligament) 그리고 후방거비인대(Posterior talofibular tigament : PTF ligament)로 구성되는 발목외측 인대 복합체의 손상이 85% 이상이고, 발목의 외번(Eversion)과 회내(Pronation)시에는 발목 내측인대 손상도 일어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natomy of the bones and ligaments constituting the foot. Ankle sprains are damages that occur very frequently during sporting activities or in everyday life.Anterior talofibular ligaments (ATF ligaments) and calorific ligaments (CF ligaments) due to inversion or supination of the ankles. ) Anterior talofibular tigament (PTF ligament) is more than 85% of the ankle lateral ligament complex, and the ankle medial ligament injury occurs in the Eversion and Pronation of the ankle.

따라서, 발목 염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목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발목 염좌가 발생한 경우 발목 인대의 2차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목 보조기를 착용한다. 발목 보조기(또는 앵클릿)는 장력이 인가된 스트랩을 이용하여 발목 인대의 운동을 보조하며, 이를 통해 발목 인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발목의 운동범위(Range of motion : ROM)를 제한하기 위해 테이핑 요법을 사용하거나 탄력섬유 또는 딱딱한 구조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테이핑이나 스트랩을 이용하여 발목 고정력을 확보할 경우, 의사나 물리치료사가 방향이나 장력 등을 조절하여 적용해야한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임의로 테이핑이나 스트랩의 방향과 장력을 조절할 경우, 발목 염좌 방지 효과가 떨어지거나 오히려 다른 조직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Therefore, ankle braces are worn to prevent ankle sprains from occurring, or ankle braces are worn to prevent secondary damage of ankle ligaments when ankle sprains occur. Ankle braces (or ankles) assist the movement of the ankle ligaments using a tensioned strap,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ankle ligaments. However, it is common to use taping therapy or elastic fibers or rigid structures to limit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ankle. When securing the ankle fixing force using the taping or the strap, the doctor or physiotherapist should be applied to adjust the direction or tension. However, if the people arbitrarily adjust the direction and tension of the taping or straps, the prevention of ankle sprain can be reduced or rather damage of other tissues.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목 인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목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kle brace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ankle liga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랩에 인가된 장력을 표시할 수 있는 발목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kle brace that can display the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발목 보조기는 착용자의 발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발을 감싸도록 고정되며, 인가된 장력에 의해 상기 착용자의 발목인대의 운동을 보조하는 스트랩; 그리고 상기 스트랩에 인가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kle brace is a fixing member which is fixed to surround the wearer's foot; A strap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and fixed to surround the foot and assisting the wearer's ankle ligament movement by an applied tension; And a tension indicator indicating a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상기 스트랩은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실장되어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장력 표시기는 상기 스트랩에 표시되어 상기 스트랩의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감시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식일 수 있다.The strap is mounted inside the fixing member and moves along the fixing member by the tension, and the tension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strap so that the mark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monitoring window formed on the fixing member when the strap is moved. Can be.

상기 표식은 그라데이션(gradatio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은 상기 장력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레벨표식일 수 있다.The marker may be a gradation. In addition, the marker may be a level marker indicating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in stages.

상기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의 일단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결속되어 상 기 스트랩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결속수단이 결속된 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랩에 인가되는 장력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The strap has a binding mean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rap and fixed to the fixing memb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strap, and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binding means is bound. have.

상기 스트랩은 상기 발목인대의 전방 거비 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 ATF ligament) 및 후방 거비 인대(Posterior talofibular : PTF ligament)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스트랩을 구비할 수 있다.The strap may have a first strap disposed parallel to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 ligament) and the 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 (PTF ligament).

상기 스트랩은 상기 발목인대의 전방 경골비골인대(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및 종비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 : CF ligament)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스트랩을 구비할 수 있다.The strap may include a second strap disposed parallel to the 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and anterior ligament (Calcaneofibular ligament: CF ligament).

본 발명에 의하면, 발목 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트랩에 인가된 장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과도한 장력이 스트랩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the ankle portion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and prevent excessive tension from being applied to the stra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C.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한편, 이하에서 신체 부위에 대한 명칭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 나, 신체 부위는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 사용된 명칭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의도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name for the body part, but since the body part has a feature that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the boundary, the name used below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고정부재 및 스트랩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목 보조기는 고정부재(10), 스트랩(20), 그리고 장력 표시기(3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nkle br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strap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the ankle brace includes a fixing member 10, a strap 20, and a tension indicator 30.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는 양말처럼 발부터 발목까지 감쌀 수 있으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발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고정부재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실시예와 달리, 고정부재(10)는 발가락이 노출되도록 발가락 부분에 해당하는 고정부재(10)의 앞측이 절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착용자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발가락 부분 이외의 부분이 절개된 형상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fixing member 10 may be wrapped from the foot to the ankle like a sock,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using an elastic force.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mber shown in Figure 2 is only one exampl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member 10 may be a shape in which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member 10 corresponding to the toe portion is cut out so that the toes are exposed. In addition, portions other than the toe portion may be cut to form a wearer's fit.

스트랩(20)은 탄성 재질이며, 스트랩(20)의 일단은 고정부재(10)에 고정되며, 스트랩(20)은 착용자에 의해 인가된 장력에 의해 고정부재(10)에 제공된 실장공간(13)을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겉감(10a)과 안감(10b)을 포갠 상태에서 박음질(C)을 통해 겉감(10a)과 안감(10b) 사이에 실장공간(13)을 형성하며, 스트랩(20)은 장력에 의해 실장공간(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strap 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ne end of the strap 20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10, the strap 2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13 provided to the fixing member 10 by the tension applied by the wearer Move alo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space 13 is formed between the outer fabric 10a and the lining 10b through the stitching C in a state of covering the outer fabric 10a and the lining 10b. The strap 20 can move along the mounting space 13 by tension.

한편, 도 3에 도시한 실장공간(13)은 스트랩(20)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고정부재(10) 상에 다른 형태로 실장공간(13)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별도의 실장공간(13) 없이 고정부재(10)에 고리를 설치하여 스트랩(2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랩(20)은 장력에 의해 고리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space 13 shown in FIG. 3 is only one example for limiting the position of the strap 2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ounting space 13 in another form on the fixing member 10,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limit the position of the strap 20 by installing a ring on the fixing member 10 without a separate mounting space (13). In this case, the strap 20 can move on the ring by tension.

한편, 발목 염좌(ankle sprain)란, 길가 보도의 가장자리, 돌뿌리, 계단, 구멍, 고르지 못한 땅 등에서 발을 잘못 디뎌 넘어졌을 때나 운동 도중에 외상으로 잘 생기는 발목의 손상이며, 특히 농구, 테니스 ,달리기와 같은 모든 운동과 관계되는 외상의 약 10~30%를 차지하는 흔한 스포츠 손상 중의 하나이다. Ankle sprains, on the other hand, are an injury to the ankles that are caused by trauma during footfalls and during exercise, especially on the edges of roadside walkways, stones, stairways, stairways, holes, and uneven ground, especially basketball, tennis, and running. It is one of the most common sports injuries, accounting for about 10-30% of all trauma related to all movements.

특히, 발목 염좌로 인한 인대 손상은 한번 손상을 받은 부위가 자꾸 재발되기 쉬우며, 40% 이상이 만성 발목 불안증(Chronic Ankle Instability : CAI)으로 진행되고 반사성교감신경성위축증(RSD, CRPS) 등으로 고통을 받을 수 있어 손상을 입었을 때 초기 치료에 신중을 기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발목염좌예방이 최선이다.In particular, ligament injuries caused by ankle sprains are more likely to recur once damaged areas, and more than 40% progress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and suffer from reflex sympathetic atrophy (RSD, CRPS). When you are injured, you should be cautious about the initial treatment, but most importantly, prevent sprains.

이와 같은 발목 염좌는 내번(inversion) 손상, 즉 발목이 안쪽으로 뒤틀리는 것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발목이 안쪽으로 균형을 잃어 넘어지면 자기의 체중의 힘이 계속 이어져 내번의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 이때, 비골 근육이 내번에 저항하려고 하지만 외상으로 이보다 더 강하고 빨리 힘의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면 인대는 그 긴장을 감당하지 못하게 된다.Such ankle sprains can be caused by inversion damage, ie, the ankle is twisted inward, and if the ankle loses its inward balance, the strength of his weight continues and the extent of his ankle becomes more severe. At this time, the fibula muscles try to resist the next time, but if the imbalance of force is stronger and faster than this by trauma, the ligaments can not bear the tension.

인대에 대한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뼈에 부착한 부위가 일부 늘어나거나 파열하게 된다. 이때, 전방 거비인대(前距排靭帶)(anterior talofibular ligament)가 가장 약해서 자주 손상을 받기 쉽고 기능손실이 잘되는 경향이 있으며, 후방 거비인대(後距排靭帶)(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는 전방 거비인대에 비하여 2.5배 강하여 손상을 잘 받지 않으며, 손상이 심할 때는 종비인대(踵排靭帶 : calcaneofibular ligament)까지 손상될 수 있다.If the stress on the ligaments persists, some of the areas attached to the bone will stretch or rupture. At this time,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is the weakest and tends to be frequently damaged and loss of function is good. It is 2.5 times stronger than intact, and when severely damaged, it may damage the calcaneofibular ligament.

스트랩(20)은 착용자에 의해 인가된 장력에 의해 발목 인대의 운동(외반(eversion) 또는 내번(inversion)을 제한하고, 발목 인대를 보호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랩(20)은 발등스트랩(22), 제1 및 제2 스트랩(24,26), 그리고 결속수단(28)을 구비한다. 발등스트랩(22)은 발등 및 발바닥을 감싸도록 배치된다.The strap 20 limits the motion (eversion or inversion) of the ankle ligament by the tension applied by the wearer, protects the ankle ligament, and as shown in FIG. 2, the strap 20 is An instep strap 22, first and second straps 24 and 26, and fastening means 28. An instep strap 22 is arranged to surround the instep and the sole.

제1 스트랩(24)은 발의 외측에 위치하며, 앞서 설명한 전방 거비인대(또는 후방 거비인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전방 거비인대(또는 후방 거비인대)를 보호한다. 제2 스트랩(26)은 전방 경골비골인대(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및 종비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 : CFL)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전방 경골비골인대 및 종비인대를 보호한다.The first strap 24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oot and is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anterior girdle ligament (or posterior girdle ligament) described above to protect the anterior girdle ligament (or posterior girdle ligament). The second strap 26 is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and the calf of ligament (CFL) to protect the anterior tibial and ligament.

결속수단(28)은 스트랩(20)의 타단에 제공되며, 고정부재(10)에 설치된 결속수단(14)에 부착되어 스트랩(20)의 이동을 제한한다.The binding means 28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trap 20 and attached to the binding means 14 installed on the fixing member 1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trap 20.

한편, 고정부재(10) 상에는 감시창(12)이 제공되며, 감시창(12)은 개구 또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감시창(12)은 실장공간(13) 상에 제공되므로, 실장공간(13)을 따라 이동하는 스트랩(20)을 감시창(12)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스트랩(20) 상에는 장력 표시기(30)가 제공되며, 장력 표시기(30)는 스트랩(20)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장력 표시기(30)의 이동은 감시창(12)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window 12 is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10, the monitoring window 12 may be an opening or a transparent material. Since the monitoring window 12 is provided on the mounting space 13, the strap 20 moving along the mounting space 13 may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monitoring window 12. Meanwhile, the tension indicator 30 is provided on the strap 20, and the tension indicator 30 moves together as the strap 20 moves. Similarly, the movement of the tension indicator 30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monitoring window 12.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발목 보조기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nkle bra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랩(20)의 일단은 고정부재(10) 상에(예를 들어, 고정부재(10)의 바닥) 고정되며, 스트랩(20)에 장력을 인가함에 따라(또는 스트랩(20)의 타단을 잡아당김에 따라) 스트랩(20)은 실장공간(13)을 따라 이동한다(도 4a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스트랩(20)에 장력이 인가되면, 스트랩(20)은 발(발목을 포함)을 압박하며, 스트랩(20)의 탄성력(또는 복원력)은 앞서 설명한 발목 인대와 나란하게 작용하여 발목 인대를 보조(또는 보호)한다. 착용자는 스트랩(20)의 타단에 제공된 결속수단(28)을 고정부재(10)에 제공된 결속수단(14)에 결속함으로써, 스트랩(20)의 복원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strap 20 is fixed on the fixing member 10 (for example, the bottom of the fixing member 10), and by applying tension to the strap 20 (or strapping). As the other end of the 20 is pulled out, the strap 20 moves along the mounting space 13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4A).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strap 20, the strap 20 compresses the foot (including the ankle), and the elastic force (or restoring force) of the strap 20 acts in parallel with the ankle ligament described above to assist the ankle ligament ( Or protect). The wearer can prevent the restoration of the strap 20 by binding the binding means 28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trap 20 to the binding means 14 provided at the fixing member 10.

한편, 착용자는 발목 인대의 손상 정도나 신체적 특성, 또는 용도에 따라 원하는 스트랩(20)의 장력(또는 발을 압박하는 힘)이 다를 수 있다. 이때, 장력 표시기(30)는 스트랩(20)에 인가되는 장력의 크기를 정성적으로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wearer may vary the tension (or force to press the foot) of the desired strap 20,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jury 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kle ligament or use. In this case, the tension indicator 30 qualitatively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20.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랩(20)에 장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장력 표시기(30)의 선단은 감시창(12)의 일측에 위치하는 기준위치(화살표로 표시함)에 위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랩(20)에 장력을 인가하면, 장력 표시기(30)는 스트랩(20)과 함께 실장공간(13)을 따라 이동하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 표시기(30)의 이동은 감시창(12)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no tension is applied to the strap 20, the tip of the tension indicator 30 is positioned at a reference position (indicated by an arrow) located at one side of the monitoring window 12. As described above,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strap 20, the tension indicator 30 moves along the mounting space 13 together with the strap 20, as shown in FIG. 4A, the tension indicator 30. The movement of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monitoring window (12).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 표시기(30)는 스트랩(20)에 표시된 그라데이션(gradation)일 수 있으며, 착용자는 기준위치(또는 화살표)가 가리키는 그라데이션의 색이 진할수록 스트랩(20)에 인가된 장력이 일정량 만큼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tension indicator 30 may be a gradation displayed on the strap 20, and the wearer is applied to the strap 20 as the color of the gradation indicated by the reference position (or arrow) is darker. It can be seen that the tension is increased by a certain amount.

본 실시예에서는 감시창(12)이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감시창(12)의 위치를 스트랩(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기준위치(또는 화살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영점에 해당하는 기준위치(또는 화살표)의 위치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In this embodiment, the monitoring window 12 is described as being fixed, but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window 12 may be ch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20, and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sition (or arrow) may be changed.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sition (or arrow) corresponding to the zero point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wearer.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 표시기(30)는 장력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레벨표식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기준위치(또는 화살표)가 가리키는 레벨표식이 몇 번째 인지를 통해 스트랩(20)에 인가된 장력의 크기를 정량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the tension indicator 30 may be a level marker indicating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in stages. Accordingly, the wearer can quantify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20 through the number of level markers indicated by the reference position (or arrow).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 표시기(30)는 장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치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기준위치(또는 화살표)가 가리키는 수치를 보고 스트랩(20)에 인가된 장력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장력 표시기(30)의 수치는 스트랩(20)에 인가되는 장력의 크기를 실측하는 계량화 과정을 통해 실제 장력의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the tension indicator 30 may be a numerical value representing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Therefore, the wearer may check the value indicated by the reference position (or arrow) to confirm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20. The value of the tension indicator 30 may be changed to the actual amount of tension through a quantification proces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20.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other forms of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발을 구성하는 뼈와 인대의 해부학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natomy of the bones and ligaments constituting the foo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nkle br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고정부재 및 스트랩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strap shown in FIG.

도 4a는 도 2에 도시한 장력 표시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A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ension indicator shown in FIG.

도 4b 및 도 4c는 도 4a에 도시한 장력 표시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B and 4C ar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ension indicator shown in FIG. 4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고정부재 12 : 감시창10: fixing member 12: monitoring window

14 : 결속수단 22 : 발등스트랩14: binding means 22: instep strap

24 : 제1 스트랩 26 : 제2 스트랩24: first strap 26: second strap

28 : 결속수단 30 : 장력 표시기28: binding means 30: tension indicator

Claims (7)

삭제delete 착용자의 발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ixed to surround the wearer's foot;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발을 감싸도록 고정되며, 인가된 장력에 의해 상기 착용자의 발목인대의 운동을 보조하는 스트랩; 및A strap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and fixed to surround the foot and assisting the wearer's ankle ligament movement by an applied tension; And 상기 스트랩에 인가된 장력을 표시하는 장력 표시기를 포함하며,A tension indicator indicating a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상기 스트랩은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실장되어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하고,The strap is mounted inside the fixing member to move along the fixing member by the tension, 상기 장력 표시기는 상기 스트랩에 표시되어 상기 스트랩의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감시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조기.The tension indicator is an ankle br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rk is displayed on the strap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nitoring window formed on the fixing member when the strap is mov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표식은 그라데이션(grad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조기.The ankle br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rking (grada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표식은 상기 장력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레벨표식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발목 보조기.The marker is an ankle br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marker indicating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step by step.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의 일단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결속되어 상기 스트랩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수단을 가지며,The strap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rap and has a binding means for binding to the fixing memb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strap, 상기 결속수단이 결속된 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랩에 인가되는 장력의 크기는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조기.Ankle orthos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binding means is boun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트랩은 상기 발목인대의 전방 거비 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 ATF ligament)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스트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조기.The strap is an ankle bra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rst strap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 ligamen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스트랩은 상기 발목인대의 전방 경골비골인대(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및 종비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 : CFL)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스트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조기.The strap is an ankle bra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cond strap disposed parallel to the 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and anterior ligament (Calcaneofibular ligament: CFL).
KR1020090032056A 2009-04-14 2009-04-14 Ankle brace including tension indicator KR101083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056A KR101083296B1 (en) 2009-04-14 2009-04-14 Ankle brace including tension ind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056A KR101083296B1 (en) 2009-04-14 2009-04-14 Ankle brace including tension ind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662A KR20100113662A (en) 2010-10-22
KR101083296B1 true KR101083296B1 (en) 2011-11-14

Family

ID=4313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056A KR101083296B1 (en) 2009-04-14 2009-04-14 Ankle brace including tension ind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2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9191A (en) * 2018-10-09 2019-02-01 何伟华 Ankle gua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967A (en) 1997-05-08 2000-04-18 Avcor Health Care Products, Inc. Bandage compression indicator
JP2002078731A (en) * 2000-09-07 2002-03-19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Bandage for tap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967A (en) 1997-05-08 2000-04-18 Avcor Health Care Products, Inc. Bandage compression indicator
JP2002078731A (en) * 2000-09-07 2002-03-19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Bandage for ta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662A (en) 201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273B2 (en) Dynamic tension brace or support
EP1778139B1 (en) Plantar-flexion restraint device
US4441265A (en) Athletic shoe with ankle support strap
KR101092307B1 (en) Smart-strap ankle brace using viscoelastic member
Papadopoulos et al. The role of ankle bracing in injury prevention, athletic performance and neuromuscular control: a review of the literature
US20200214869A1 (en) Soft braces to prevent injury to a joint or body segment
Bek et al. Foot biomechanics and initial effects of infrapatellar strap on gai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US20140088475A1 (en) Proprioceptive topical leg gear and methods of use
KR101083296B1 (en) Ankle brace including tension indicator
CA3066418A1 (en) Living hinge for athletic brace or support
CA2686487A1 (en) Dynamic hallux valgus corrector
JP2006212398A (en) Supporter with elastic connecting body
US20120240431A1 (en) Turf Toe Terminator (TTT)
KR101675338B1 (en) Training pants
KR102013061B1 (en) Plantar fasciitis brace
US11872149B2 (en) Enhanced compression sleeve for joints
Singh et al. Athletic taping and its implications in sports
US11944561B2 (en) Toe walking prevention article
US20020077576A1 (en) Ankle brace
KR101563701B1 (en) Ankle brace for posture correction and method of wearing the same
JP2004057787A (en) Exercise assisting tool for lower leg
KR101921718B1 (en) Ankle Orthosis
EP3747419A1 (en) Passive-dynamic correction device for hallux valgus and associated static foot deformities
KR101638861B1 (en) Foot Brace
KR19990041097U (en) Mandler Foot br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