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073B1 -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073B1
KR101083073B1 KR1020090023151A KR20090023151A KR101083073B1 KR 101083073 B1 KR101083073 B1 KR 101083073B1 KR 1020090023151 A KR1020090023151 A KR 1020090023151A KR 20090023151 A KR20090023151 A KR 20090023151A KR 101083073 B1 KR101083073 B1 KR 101083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ne
waste glass
permeable waterproof
fine particles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613A (ko
Inventor
박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양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양화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양화성
Priority to KR102009002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07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7Repairing concrete pavings, e.g. joining cracked road sections by dowels, applying a new concret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6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a binder; Aggregate, fillers or other additives for application on or in the surface of toppings having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binder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침투성 방수층의 표면에 폐유리 미립자와 에폭시 수지 결합제 및 수지경화제가 혼합된 유리 미립자 혼합물을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로시설물의 콘크리트 표면에 수행되어 더 이상의 중성화를 방지하여 부식, 침식 등으로 인한 노후화 억제 및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도로시설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폐유리 미립자가 침투성 방수층의 표면에 보호층으로 형성되어 침투성 방수층의 보호는 물론, 유리미립자의 재귀반사를 통해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폐유리 미립자, 침투성 방수층, 유리 미립자 혼합물,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

Description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Installation method of road facility for recycling corpuscular waste-glass}
본 발명은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1mm이하의 폐유리 미립자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도로시설물의 중성화 등의 억제 및 예방되도록 보수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리를 사용하는 사업은 건축, 토목 분야의 각종 자재를 비롯하여 생활용품의 용기류, 반도체 및 세라믹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 후 발생되는 폐유리의 처리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폐유리는 매립이나 소각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폐기물 재활용 촉진법을 제정하여 활용가능하나 처리가 곤란한 각종 폐기물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재활용 정책을 펼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폐유리는 높은 경도와 우수한 재귀 반사성으로 인하여 각종도로 표시물 및 축광 건자재, 보도블록, 시멘트 혼합물 등에 이미 재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2000-72974호에서는 폐유리를 500~700℃의 고열로에서 5~15분간 열처리 후, 급냉시키고 파쇄하여 표면이 모나지 않은 다면체의 유리입자를 제조한 다음 도로의 미끄럼방지 시설 및 표시시설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은 약 2.8~4.8mm의 직경의 폐유리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부분을 갖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재활용 대상이 한정적이었으며, 특히 직경 1mm이하인 극히 미세한 유리 미립자에 적용하기는 매우 곤란성을 갖고 있으므로 미세한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할 수 있는 뚜렷한 해결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고속도로, 고속화도로, 차량전용도로의 중앙분리대를 비롯하여 터널내부, 교량 상부의 안전난간 벽, 교량하부의 교각 등과 같은 각종 도로 시설물은 주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도로 시설물은 콘크리트의 중성화, 염해 등에 의해 노화가 발생하는데, 특히 콘크리트의 중성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대표적인 성능저하 요인으로서, 타설 직후 콘크리트의 pH값은 12 내지 13의 강알카리성을 나타내게 되지만, 대기 중의 탄산가스의 침투, 산성비 등에 의해 pH값 8.5 내지 10 정도로 알카리성을 소실하게 된다.
이러한 중성화는 콘크리트의 표면으로부터 서서히 진행하여 철근에 도달하게 되면 철근의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철근의 부식이 진행되며, 철근의 발청에 의한 주위 피복 콘크리트의 균열, 박리 및 철근 내력의 한계도달 등과 같은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도로 시설물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도로시설물의 중성화 등으로 인한 수명단축을 방지를 위해 1mm이하의 폐유리 미립자를 활용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도로시설물의 표면을 보호하고, 중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수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mm이하의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도로시설물의 표면을 보호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및 그로 인한 철근 등의 부식을 방지하며, 도로시설물에 재귀반사성이 부여될 수 있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투성 방수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시설물의 시인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침투성 방수층의 표면에 폐유리 미립자와 에폭시 수지 결합제 및 수지경화제가 혼합된 유리 미립자 혼합물을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 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하기 전에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바탕처리용 몰탈 조성물을 도포하여 균일한 바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탕층의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폐유리 미립자는 1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은 아크릴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에멀젼과 규산질계 무기질 분체가 1:2~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리 미립자 혼합물은 폐유리 미립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결합제 140-270중량부, 수지 경화제 65-100중량부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유리비드를 살포하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은 도로시설물의 콘크리트 표면에 수행되어 더 이상의 중성화를 방지하여 부식, 침식 등으로 인한 노후화 억제 및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도로시설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폐유리 미립자가 침투성 방수층의 표면에 보호층으로 형성되어 침투성 방수층의 보호는 물론, 유리미립자의 재귀반사를 통해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처리가 어려운 1mm이하의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도로시설물에 미려한 색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바탕층 및 접착층 형성한 후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보강하고자 하는 도로시설물의 표면이 매끄러워져 침투성 방수층의 접착강도가 강화될 수 있고, 도로시설물의 수명이 보다 연장될 수 있으며, 값비싼 에폭시 수지의 사용량이 감소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수시공이 이루어져 도로시설물의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된 보호층에 유리비드를 살포하여 재귀반사성을 향상됨에 따라 보다 높은 시인성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들의 교통안전사고 등이 예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은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침투성 방수층 및 폐유리 미립자 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형성하여 도로안전시설물의 중성화를 억제하고, 예방되도록 보수보강하는 동시에 그 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은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침투성 방수층의 표면에 폐유리 미립자와 에폭시 수지 결합제 및 수지경화제가 혼합된 유리 미립자 혼합물을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침투성 방수층은 도로시설물의 방수를 통해 콘크리트의 중성화 등으로 인한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 방수역할을 하는 층으로, 방수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이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콘크리트 내로 상기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이 침투되어 경화되어 우수한 방수성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은 아크릴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에멀젼과 규산질계 무기질 분체가 혼합된 조성물로,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에멀젼은 콘크리트와 방수층간의 접착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중성화 방지 및 성능개선에 효과가 있고, 상기 규산질계 무기질 분체는 시멘트 및 입도 조정된 규사, 규산질 미분말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되어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높은 방수성을 가지도록 하여준다.
이때 상기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은 에멀젼과 규산질계 무기질 분체가 각각 1:2~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만약 상기 규산질계 무기질 분체가 상기 중량비보다 적은 양이 혼합될 경우 보수 후 콘크리트의 방수성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중량비보다 많은 양의 규산질계 무기질 분체가 혼합되면, 상대적으로 에멀젼의 양이 감소하게 되어 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보호층은 침투성 방수층의 표면에 유리 미립자 혼합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 등을 갖는 우수한 폐유리 미립자를 통해 침투성 방수층의 침식, 노화 등을 방지하는 침투성 방수층의 보호역할을 하고, 더불어 폐유리 미립자의 재귀반사를 통하여 시인성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유리 미립자 혼합물에 혼합되는 폐유리 미립자는 각종 유리 제조업체 및 수거업체로부터 수거된 유리 미립자를 깨끗한 물에 수세하여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를 거친 다음, 작은 직경을 갖도록 분쇄한 것으로, 상기 폐유리 미립자는 1mm 이하의 폐유리 미립자만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직경이 큰 폐유리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유리 미립자 혼합물 내에 고르게 혼합될 수 있어 폐유리 미립자가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리 미립자 혼합물은 폐유리 미립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 결합제 140-270중량부, 폴리아미드와 같은 수지 경화제 15-25중량부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혼합량에 있어 상기 에폭시 수지 결합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게 첨가되면 폐유리 미립자간에 결합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여 추후 폐유리 미립자간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인장 및 압축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 많이 첨가되면 상대적으로 폐유리 미립자의 양이 적어 폐유리 미립자가 결합제에 함침되어 유리가 갖는 특성, 예를 들면 재귀반사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기 때문에 전술한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제의 첨가량은 에폭시 수지 결합제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의 중량에 따라 결정되며, 이러한 에폭시 수지 결합제의 혼합비율에 대하여서는 종래 기술에서 빈번하게 공지 된 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유리 미립자 혼합물은 1mm이하의 미립자만이 에폭시 수지 결합제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에폭시 수지 접착제의 접착력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아 침투성 방수층에 용이하게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미세한 폐유리 미립자를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에폭시 수지 결합제에 미리 혼합시킨 상태에서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며, 시공단계에 경화제만 첨가하여 사용함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유리 미립자 혼합물에는 첨가물로서 탄산칼슘(CaCO3), 폴리글리콜(Polyglycol) 등이 더 첨가하여 혼합될 수도 있고, 도로시설물의 미관을 보다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색깔을 갖는 일반안료 나 형광, 축광안료 등을 더 첨가 하여 혼합된 유리 미립자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기타 분산제, 소포제, UV(자외선 차단제), 요변서부여제 등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은 도로시설물의 콘크리트 표면에 수행되어 더 이상의 중성화를 방지하여 부식, 침식 등으로 인한 노후화 억제 및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도로시설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폐유리 미립자가 침투성 방수층의 표면에 보호층으로 형성되어 침투성 방수층의 보호는 물론, 폐유리 미립자의 재귀반사를 통해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처리가 어려운 1mm이하의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도로시설물에 미려한 색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은 상기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하기 전에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바탕처리용 몰탈 조성물을 도포하여 균일한 바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탕층의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바탕층은 콘크리트의 표면을 균일하고 평활하게 하여 침투성 방수층 및 보호층이 보다 잘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을 고압세정 처리하고, 바탕처리용 몰탈 조성물을 도포하여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을 보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압 세정기 및 그라인더, 샌드 블라스트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표면처리 방식을 통해 노후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중성화, 부식, 유분, 각종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를 수행한 후, 평탄한 콘크리트 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탕처리용 몰탈 조성물을 도포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탕층 형성에 사용되는 바탕처리용 몰탈 조성물은 아크릴계수지 에멀젼과 특수 시멘트계 분체가 혼합된 것으로 물과 함께 배합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바탕처리용 몰탈 조성물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몰탈 조성물로 그 혼합비율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빈번하게 공지된 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바탕층이 형성되면 상기 바탕층의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 프라이머의 밀착성으로 전단계에서 형성된 바탕층의 공극을 막아 바탕층을 보다 매끄럽게 개선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의 표면을 강화시키며, 미세한 입자가 콘크리트 공극으로 침투되어 콘크리트와 추후에 도포되는 실란계 침투성 방수조성물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수지 프라이머로는 유화중합에 의한 수용성 고분자 아크릴 에멀젼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바탕층 및 접착층 형성한 후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하면 보강하고자 하는 도로시설물의 표면이 매끄러워져 침투성 방수층의 접착강도가 강화될 수 있고, 보수 보강된 도로시설물의 수명이 보다 연장될 수 있으며, 값비싼 에폭시 수지의 사용량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은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유리비드를 살포하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호층에 분산되어 있는 폐유리 미립자가 에폭시 수지 결합제 등에 일부 함침됨으로 인해 부족한 재귀반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호층의 표면에 살포되어 향상된 재귀반사성으로 보다 높은 시인성을 갖도록 하여 운전자 들의 교통안전사고 등이 예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리비드는 보호층의 시공후 지촉건조 직전에 시공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시멘트, 모래, 물이 1:2:0.65의 중량비로 혼합된 시멘트 몰탈을 제조하여 온도 20℃, 상대습도 80%의 표준상태에서 8일간 건조시켜 형성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아크릴계수지 에멀젼과 특수 시멘트계 분체와 물이 각각 1:8:2의 중량비로 혼합된 바탕처리용 몰탈 조성물을 도포하여 바탕층을 형성한 후, 아크릴 수지 에멀젼 프라이머를 상기 바탕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아크릴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에멀젼과 규산질계 무기질 분체가 각각 1:2.3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을 1.5mm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여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한 후, 상기 침투성 방수층의 표면에 폐유리에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고, 체를 통해 1mm이하의 폐유리 미립자만을 선별하여 선별된 폐유리 미립자 2.5kg과 에폭시 수지 3kg과 폴리아미드 1.5kg이 혼합된 유리 미립자 혼합물을 두께 2mm로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뒤 20℃에서 72시간 동안 양생하여 포장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보호층을 형성하는 유리 미립자 혼합물이 폐유리 미립자 2.5kg, 에폭시 수지 3.5kg, 폴리아미드 1kg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포장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보호층을 형성하는 유리 미립자 혼합물이 폐유리 미립자 2kg, 에폭시 수지 3.5kg, 폴리아미드 2kg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포장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보호층을 형성하는 유리 미립자 혼합물이 폐유리 미립자 1.5kg, 에폭시 수지 4kg, 폴리아미드 1kg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포장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폐유리 미립자 2kg, 에폭시 수지 3kg, 폴리아미드 1.5kg이 혼합된 유리 미립자 혼합물을 두께 2mm가 되도록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고, 지촉건조가 시작되기 직전에 유리비드를 살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포장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 의해 포장된 침투성 도막 방수 포장시편에 대하여 각각 KS M 3006-03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험방법에 따라 인장강도(7일, 20℃기준), 신장율(7일, 20℃기준), 접착강도와 같은 물성을 측정하였고, KSF2609의 5에 따라 24시간 동안의 시간 경과에 따른 물 내흡수성을 측정하였으며, 휘도측정 장비인 모델 MIROLUX30 장비로 휘도를 측정하였고, KSL5105에 따라 압축강도 시험을 하였으며, 육안으로 침투성 방수 후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고, 아울러 방수층은 분무칠 및 롤러 시공 등 기계시공 가능여부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N/mm2) 압축강도
(N/mm2)
접착강도
(N/mm2)
신장율
(N/mm2)
내흡수성 휘도 침 투 성
깊이(mm)
기 계
시공성
제조예1 9.0 58.2 1.3 215 보통 60 6 불량
제조예2 9.3 57.6 1.4 220 보통 64 5 보통
제조예3 9.1 57.3 1.7 198 보통 73 6 보통
제조예4 10 62 1.8 200 양호 75 6 양호
제조예5 9.6 63.5 1.7 235 양호 128 7 양호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경우 신장율은 우수한 편이나, 접착강도, 휘도와 같은 물성이 낮고, 기계 시공성이 불량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제조예 4 내지 제조예 5의 경우에는 인장강도, 압축강도, 접착강도, 내흡수성 등 전체적인 물성이 우수하였으며, 기계 시공성 또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으며, 기계시공성이 양호한 제조예 4 및 제조예 5의 경우가 대량시공과 균일한 품질을 위한 기계시공에 보다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조예 5의 경우가 제조예 4에 비하여 휘도가 훨씬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제조예 5에서 유리 미립자 혼합물의 도포 후 지촉건조가 발생하기 전에 유리비드를 살포함으로 인해 휘도가 향상된 것이다. 따라서 터널내부, 중앙분리대, 교량안전 방호벽 혹은 급커브길 혹은 위험도로 예고 등 많은 양의 재귀반사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는 제조예 5와 같이 유리 미립자 혼합물로 보호층을 형성한 후 유리비드를 살포하여 시공함으로써 운전사가 경각심을 일으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6)

  1.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을 도포하여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침투성 방수층의 표면에 폐유리 미립자와 에폭시 수지 결합제 및 수지경화제가 혼합된 유리 미립자 혼합물을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성 방수층을 형성하기 전에 노후화된 도로시설물의 표면에 바탕처리용 몰탈 조성물을 도포하여 균일한 바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탕층의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폐유리 미립자는 1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4.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침투성 방수 조성물은 아크릴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에멀젼과 규산질계 무기질 분체가 1:2~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리 미립자 혼합물은 폐유리 미립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결합제 140-270중량부, 수지 경화제 65-100중량부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유리비드를 살포하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이용한 도로시설물의 설치방법.
KR1020090023151A 2009-03-18 2009-03-18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KR101083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151A KR101083073B1 (ko) 2009-03-18 2009-03-18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151A KR101083073B1 (ko) 2009-03-18 2009-03-18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613A KR20100104613A (ko) 2010-09-29
KR101083073B1 true KR101083073B1 (ko) 2011-11-16

Family

ID=4300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151A KR101083073B1 (ko) 2009-03-18 2009-03-18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0593B (zh) * 2018-11-14 2021-01-19 广东东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用防水卷材铺设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877Y1 (ko) * 2001-07-30 2001-11-23 주식회사 일양화성 미끄럼 방지판
KR100782584B1 (ko) * 2006-03-15 2007-12-06 안대훈 유리를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미끄럼 방지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877Y1 (ko) * 2001-07-30 2001-11-23 주식회사 일양화성 미끄럼 방지판
KR100782584B1 (ko) * 2006-03-15 2007-12-06 안대훈 유리를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미끄럼 방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613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300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보수 및 포장 공법
KR101773920B1 (ko) 고등급 방수 칼라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보수공법
KR101470344B1 (ko) 방수 및 발수 기능 있는 고유동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0880908B1 (ko)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면 포장공법
KR101873782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100927665B1 (ko) 고탄성 mma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체의 보강공법
KR101663588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04867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94195B1 (ko) 아스팔트 포장용 에폭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조성물, 교면 포장 보수공법 및 도로 보수공법
KR101663584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이 향상된 일반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05862B1 (ko) 분급된 페로니켈 슬래그 잔골재를 사용한 초속경 콘크리트 교면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포장 시공방법
KR101449480B1 (ko) 대마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 및 보도 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65037B1 (ko)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20130023928A (ko)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반강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그라우트 주입재
KR100526416B1 (ko) 칼라 논슬립 바닥 포장재 시공방법
WO2018122079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luminescent pavement, a luminescent pavement obtained by said method, a combination and use of the combination
KR100796209B1 (ko) 칼라 바닥재용 폴리머 시멘트 조성물 및 그 포장방법
KR101227549B1 (ko) 자전거도로용 크랙방지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도로 시공방법
KR101083073B1 (ko) 콘크리트 단면보강 및 폐유리 미립자를 재활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방법
KR102351177B1 (ko) 단면보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28967B1 (ko) 친환경 레진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초속경 도로 포장 보수 공법
KR101764201B1 (ko) 도로포장용보수재 조성물 및 도로포장용보수재층 형성방법
KR101449479B1 (ko) 대마를 이용한 친환경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06529B1 (ko) 폴리스타이렌수지를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2207013B1 (ko) 폐타이어 분말을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